KR20070005967A - 액정표시장치와, 이의 구동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와, 이의 구동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5967A
KR20070005967A KR1020050060051A KR20050060051A KR20070005967A KR 20070005967 A KR20070005967 A KR 20070005967A KR 1020050060051 A KR1020050060051 A KR 1020050060051A KR 20050060051 A KR20050060051 A KR 20050060051A KR 20070005967 A KR20070005967 A KR 200700059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average
data signals
gate
voltag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0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맹호석
최필모
박태형
김철호
송석천
이상훈
김웅식
박근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0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05967A/ko
Priority to CN200610092634XA priority patent/CN1892316B/zh
Priority to US11/480,658 priority patent/US20070008271A1/en
Publication of KR20070005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59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8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G09G3/3688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suitable for active matrices onl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43Details of the generation of driving signals
    • G09G2310/0248Precharge or discharge of column electrodes before or after applying exact column volt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7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the drivers handling digital grey scale data, e.g. use of D/A conver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89Details of voltage level shifters arranged for use in a driving circui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97Special arrangements with multiplexing or demultiplexing of display data in the drivers for data electrodes, in a pre-processing circuitry delivering display data to said drivers or in the matrix panel, e.g. multiplexing plural data signals to one D/A converter or demultiplexing the D/A converter output to multiple colum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Abstract

데이터신호에 적응적인 프리 챠지(Pre-Charge) 방식을 구현하기 위한 액정표시장치와, 이의 구동 장치 및 방법가 개시된다. 액정표시패널은 스위칭 소자와, 스위칭 소자에 연결된 액정 캐패시터를 포함한다. 소스 구동부는 입력되는 데이터신호들을 아날로그 형태의 데이터전압들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연산부는 데이터신호들의 평균데이터신호를 결정한다. 평균전압발생부는 평균데이터신호를 아날로그 형태의 평균데이터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프리 챠지부는 데이터전압들과 평균데이터전압들을 선택적으로 소스 배선들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 가변하는 데이터신호에 적응적으로 액정표시패널을 미리 충전시킴으로써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평균데이터전압, 프리 챠지 방식, 충전율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와, 이의 구동 장치 및 방법{LIQUID CRYSTAL DISPLAY AND DRIVING APPARATUS AND METHOD DRIVING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메인 구동부에 대한 상세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액정표시장치의 프리 챠지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소스 구동부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리 챠지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메인 구동부에 대한 상세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액정표시장치의 프리 챠지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소스 구동부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리 챠지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메인 구동부에 대한 상세한 블록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액정표시장치의 프리 챠지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액정표시패널 200 : 구동 장치
210 : 메인 구동부 220 : 프리 챠지부
230 : 게이트 회로부 300 : 연성인쇄회로기판
211 : 제어부 212 : 메모리
213 : 연산부 214 : 평균전압발생부
215 : 전압발생부 216 : 게이트 제어부
217 : 소스 구동부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와, 이의 구동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데이터신호에 적응적인 프리 챠지(Pre-Charge) 방식을 구현하기 위한 액정표시장치와, 이의 구동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표시패널과 상기 액정표시패널에 구동신호를 인가하는 구동회로부를 포함한다. 상기 액정표시패널은 게이트 배선들과 소스 배선들에 의해 정의된 복수의 화소부들이 구성되며, 각각의 화소부에는 스위칭 소자, 액정 캐패시터 및 스토리지 캐패시터가 형성된다.
상기 화소부의 게이트 배선에 게이트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스위칭 소자는 턴-온 되어 소스 배선으로부터 인가된 데이터 신호가 상기 액정 캐패시터에 전달한다. 상기 액정 캐패시터는 스위칭 소자를 경유한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데이터 전압을 충전하고, 상기 스토리지 캐패시터 역시 상기 데이터 전압을 충전한다. 상기 액정 캐패시터에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데이터 전압이 충전됨으로써 영상의 계조가 표시된다.
결과적으로, 각 화소부는 원하는 레벨의 데이터 전압으로 충전시켜 주어야 원하는 영상의 계조가 표시된다. 이를 위해 충전 시간에 대한 마진을 확보해야 하면, 이의 대응 방안으로 게이트 신호의 비구동 시간에 소스 배선에 일정 레벨의 전압을 인가하여 액정표시패널을 미리 충전시켜 주는 프리 챠지 방식을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프리 챠지 방식은 일정한 전압, 예컨대, 중간 계조의 전압 또는, 화이트 및 블랙 계조의 전압을 고정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경우, 현재 데이터 전압과 고정된 전압의 계조 차이가 크면 프리 챠지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갖는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데이터 신호에 적응적인 프리 챠지 방식을 갖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액정표시장치의 구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액정표시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표시패널, 소스 구동부, 연산부, 평균전압발생부 및 프리 챠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액정표시패널은 복수의 게이트 배선들과 복수의 소스 배선들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에 형성된 스위칭 소자와, 상기 스위칭 소자에 연결된 액정 캐패시터를 포함한다. 상기 소스 구동부는 입력되는 데이터신호들을 아날로그 형태의 데이터전압들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연산부는 상기 데이터신호들의 평균데이터신호를 결정한다. 상기 평균전압발생부는 상기 평균데이터신호를 아날로그형태의 평균데이터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프리 챠지부는 상기 데이터전압들과 상기 평균데이터전압들을 선택적으로 상기 소스 배선들에 출력한다.
상기 프리 챠지부는 n번째 게이트 배선이 비활성화되는 구간에 n+1번째 게이트 배선에 해당하는 데이터신호들의 평균데이터전압을 상기 소스 배선들에 출력하고, n+1번째 게이트 배선이 활성화되는 구간에 n+1번째 게이트 배선에 해당하는 데이터전압들을 상기 소스 배선들에 출력한다.
상기 연산부는 상기 n+1번째 게이트 배선에 해당하는 데이터신호들 중 가장 많은 데이터신호들의 평균값을 상기 평균데이터신호로 결정한다.
상기 입력되는 데이터신호들을 소정 단위로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산부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n+1번째 게이트 배선에 해당하는 데이터 신호들을 이용하여 상기 평균데이터신호를 결정한다.
상기 소스 구동부는 상기 데이터신호들을 일시 저장하는 래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산부는 상기 래치부에 저장된 상기 n+1번째 게이트 배선에 해당하는 데이터신호들을 이용하여 상기 평균데이터신호를 결정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소스 구동부는 출력되는 상기 데이터전압들을 소정개의 그룹들로 분리하고, 분리된 그룹별로 각각 출력한다.
상기 프리 챠지부는 n번째 게이트 배선이 비활성화되는 구간에 상기 n번째 게이트 배선에 해당하는 데이터신호들의 평균데이터전압을 상기 소스 배선들에 출력하고, n+1번째 게이트 배선이 활성화되는 구간에 n+1번째 게이트 배선에 해당하는 데이터전압들을 상기 소스 배선들에 출력한다.
상기 연산부는 상기 n번째 게이트 배선에 해당하는 데이터신호들 중 가장 많은 데이터신호들의 평균값을 상기 평균데이터신호로 결정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게이트 배선들과 복수의 소스 배선들에 의해 정의된 복수의 화소부가 형성된 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주변 영역으로 이루어진 액정표시패널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의 구동 장치는 소스 구동부, 연산부, 평균전압발생부 및 프리 챠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소스 구동부는 입력되는 데이터신호들을 아날로그 형태의 데이터전압들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연산부는 상기 데이터신호들의 평균데이터신호를 결정한다. 상기 평균전압발생부는 상기 평균데이터신호를 아날로그형태의 평균데이터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프리 챠지부는 상기 데이터전압들과 상기 평 균데이터전압들을 선택적으로 상기 소스 배선들에 출력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게이트 배선들과 복수의 소스 배선들이 형성된 액정표시패널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의 구동 방법은 n+1번째 데이터신호들에 대응하는 평균데이터전압을 생성하는 단계와, n번째 게이트 배선이 비활성화되는 구간에 상기 평균데이터전압을 상기 소스 배선들에 출력하는 단계 및 n+1번째 게이트 배선이 활성화되는 구간에 상기 n+1번째 데이터신호들에 해당하는 데이터전압들을 상기 소스 배선들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평균데이터전압을 생성하는 단계는 기저장된 상기 n+1번째 데이터신호들을 이용하여 상기 평균데이터신호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평균데이터신호를 아날로그 형태의 상기 평균데이터전압으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와, 이의 구동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가변하는 데이터신호에 적응적으로 액정표시패널을 미리 충전시킴으로써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표시패널(100), 구동 장치(200) 및 연성인쇄회로기판(300)을 포함한다.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이하, FPC)(300)은 외부장치(미도시)와 상기 구동 장치(2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상기 액정표시패널(100)은 하부기판(110)과 상부기판(120) 및 상기 하부 및 상부기판(110, 120)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미도시)을 포함하고, 표시 영역(DA)과 상기 표시 영역(DA)을 둘러싸는 주변 영역(PA)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표시 영역(DA)에는 복수의 소스 배선들(DL)과 상기 소스 배선들(DL)과 교차하는 복수의 게이트 배선(GL)이 형성된다. 상기 소스 배선들(DL)과 게이트 배선들(GL)에 의해 복수의 화소부들(P)이 정의되고, 각각의 화소부(P)에는 스위칭 소자(TFT)와 상기 스위칭 소자(TFT)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액정 캐패시터(CLC) 및 스토리지 캐패시터(CST)가 형성된다.
상기 구동 장치(200)는 메인 구동부(210), 프리 챠지부(220) 및 게이트 회로부(230)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 구동부(210)는 상기 주변 영역(PA)에 실장되는 단일 칩으로,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300)으로부터 전달된 제어신호 및 데이터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화소부들(P)을 구동시키는 구동신호들을 출력한다.
상기 메인 구동부(210)는 소스 배선들(DL)에 출력되는 n+1 번째 데이터신호(D_n+1)에 대응하는 n+1 번째 평균데이터전압(A_D_n+1)을 얻어 상기 프리 챠지부(220)에 제공한다.
상기 프리 챠지부(220)는 복수의 스위치들(SW)을 포함하고, 데이터전압들 및 평균데이터전압들을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리 챠지부(200)는 n 번째 게이트 배선이 비활성화되는 구간에 n+1 번째 평균데이터전압(A_D_n+1)을 상기 소스 배선들(DL)에 출력하고, n+1 번째 게이트 배선이 활성화되는 구간에 n+1 번째 데이터신호들(D_n+1)을 상기 소스 배선들(DL)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 상기 액정표시패널(100)은 상기 n+1 번째 평균데이터전압(A_D_n+1)에 의해 미리 충전된다. 결과적으로 n+1 번째 데이터신호들(D_n+1)이 충전되는 화소부들(P_n+1)을 상기 n+1 번째 평균데이터전압(A_D_n+1)으로 미리 충전시킴으로써 상기 화소부들(P_n+1)의 충전율을 향상시킨다.
상기 게이트 회로부(230)는 상기 주변 영역에 집적되거나, 별도의 칩 형태로 실장된다. 상기 게이트 회로부(230)는 상기 메인 구동부(210)로부터 제공되는 구동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게이트 배선들(GL)에 게이트 신호들을 출력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메인 구동부에 대한 상세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메인 구동부(210)는 제어부(211), 메모리(212), 연산부(213), 평균전압발생부(214), 전압발생부(215), 게이트 제어부(216) 및 소스 구동부(217)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211)는 메인 구동부(210)를 전반적으로 제어하고, 상기 프리 챠지부(220)의 구동을 제어한다.
구체적인 일 예로서, 외부장치로부터 제공된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신호를 상기 메모리(212)에 저장한다. 상기 제어부(211)는 상기 메모리(212)에 저장된 데이터신호 중 소스 배선들(DL)에 현재 출력되는 n 번째 데이터신호(D_n) 다음에 출력되는 n+1 번째 데이터신호(D_n+1)를 독출하여 상기 연산부(213)에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n 번째 데이터신호(DATA)는 n 번째 게이트 배선에 연결된 스위 칭 소자(TFT)들을 포함하는 화소부들에 인가되는 1H 구간에 대응하는 데이터신호이다.
상기 연산부(213)는 상기 제어부(211)로부터 제공된 n+1 번째 데이터신호를 근거로 상기 n+1 번째 데이터신호들(D_n+1)의 n+1 번째 평균데이터신호(A_D_n+1)를 얻는다. 상기 n+1 번째 평균데이터신호(A_D_n+1)는 상기 n+1 번째 데이터신호들(D_n+1) 중 가장 많은 데이터신호의 평균데이터신호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평균데이터신호는 다음의 표 1 및 표 2를 참조하여 선별된다.
데이터신호 평균데이터신호
MSB LSB
00 XXXX 001000 (8gray)
01 XXXX 011000(24gray)
10 XXXX 101000(40gray)
11 XXXX 111000(56gray)
먼저, 표 1을 참조하면, n+1 번째 데이터신호들(D_n+1) 중 가장 많은 데이터신호가 상위(MSB) 2비트가 '00'이 가장 많은 경우에 상기 n+1 번째 평균데이터신호(A_D_n+1)는 '000000' 내지 '001111'의 중간 계조인 '001000', 즉 8 계조의 데이터신호가 된다.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18비트의 데이터신호들(DATA)을 4 영역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영역에서의 중간 계조를 해당하는 영역의 평균데이터신호(A_DATA)로 결정한다.
데이터신호 평균데이터신호
MSB LSB
000 XXX 000100(4gray)
001 XXX 001100(12gray)
010 XXX 010100(20gray)
011 XXX 011100(28gray)
100 XXX 100100(36gray)
101 XXX 101100(44gray)
110 XXX 110100(52gray)
111 XXX 111100(60gray)
다음, 표 2를 참조하면, n+1 번째 데이터신호들(D_n+1) 중 가장 많은 데이터신호가 상위(MSB) 3비트가 '001'이 가장 많은 경우에 상기 n+1 번째 평균데이터신호(A_D_n+1)는 '001000' 내지 '001111'의 중간 계조인 '001100', 즉 12 계조의 데이터신호가 된다.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18비트의 데이터신호들(DATA)을 8 영역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영역에서의 중간 계조를 해당하는 영역의 평균데이터신호(A_DATA)로 결정한다.
상기 평균전압발생부(214)는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로서, 상기 연산부(213)에서 제공된 평균데이터신호(A_DATA)를 아날로그 형태의 평균데이터전압으로 출력한다. 예컨대, 상기 연산부(213)로부터 n+1 번째 데이터신호들(D_n+1)에 해당하는 상기 n+1 번째 평균데이터신호(A_D_n+1)가 '001100' 인 경우, 상기 평균전압발생부(214)는 상기 '001100'에 해당하는 평균데이터전압을 출력한다.
이와 같이, 평균전압발생부(214)에서 출력되는 평균데이터전압은 상기 프리 챠지부(220)에 제공된다.
상기 프리 챠지부(220)는 상기 제어부(211)의 제어에 따라서, n 번째 게이트 배선의 비활성화 구간 동안에 상기 n+1 번째 평균데이터신호(A_D_n+1)를 상기 소스 배선들(DL)에 출력하여 상기 액정표시패널(100)에 미리 충전시킨다. 이후, n+1 번째 게이트 배선이 활성화되는 구간 동안에 상기 n+1 번째 데이터신호(D_n+1)가 상기 화소부들(P_n+1)에 충전된다. 이에 의해 상기 화소부들(P_n+1)의 충전율을 향상시킨다.
상기 전압 발생부(215)는 외부로부터 인가된 외부전원을 이용하여 구동전압들을 생성한다. 상기 구동전압들은 상기 평균전압발생부(214)에 제공하는 아날로그 구동전압(AVDD)와, 상기 게이트 제어부(216)에 제공되는 게이트 전압들(VSS, VDD)과, 상기 소스 구동부(217)에 제공하는 기준감마전압들(VREF)과, 상기 액정표시패널(100)의 액정 캐패시터(CLC)에 제공되는 공통전압(VCOM)을 포함한다.
상기 게이트 구동부(216)는 상기 제어부(211)로부터 제공되는 게이트 제어신호들과, 상기 게이트 전압들(VSS, VDD)을 상기 게이트 회로부(230)에 출력한다. 상기 게이트 제어신호들은 수직개시신호(STV), 제1 클럭신호(CK), 제2 클럭신호(CKB)를 포함한다.
상기 소스 구동부(217)는 상기 감마기준전압(VREF)에 기초하여 상기 메모리(213)로부터 독출된 데이터신호들을 아날로그의 데이터 전압들(D1, ..Dm)로 변환하여 소스 배선들(DL)에 출력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액정표시장치의 프리 챠지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소스 구동부(217)는 상기 제어부(211)로부터 제공받은 데이터신호들(R1, G1, B2, ..., Rk, Gk, Bk)를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들(DAC)를 이용하여 아날로그 형태의 데이터전압들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각각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C)는 입력된 데이터신호(R1)를 상기 전압 발생부(215)로부터 제공받은 기준감마전압들(VREF)을 이용하여 아날로그 데이터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프리 챠지부(220)는 상기 소스 구동부(217)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전압들과, 상기 평균전압발생부(214)에서 출력되는 평균데이터전압들(214a)을 선택적으로 상기 소스 배선들(DL1, DL2, ..DLm)에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211)로부터 제공되는 제어신호(211b)에 따라서, 상기 프리 챠지부(220)는 n 번째 게이트 배선이 비활성화되는 구간 동안에는 상기 n+1 번째 평균데이터전압(A_D_n)을 상기 소스 배선들(DL1, DL2, ..DLm)에 출력한다.
한편, 상기 프리 챠지부(220)는 n+1 번째 게이트 배선이 활성화되는 구간동안 에는 n+1 번째 게이트 배선에 대응하는 n+1 번째 데이터신호(D_n+1)를 상기 소스 배선들(DL1, DL2, ..DLm)에 출력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소스 구동부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리 챠지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211)는 소스 구동부(217-1)에 1H 구간에 대응하는 데이터신호들을 제공할 때, 상기 데이터신호들을 복수의 그룹으로 묶어서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신호들(R1, G1, B1, .., Rk, Gk, Bk)을 레드 데이터 그룹, 그린 데이터 그룹 및 블루 데이터 그룹으로 묶어 순차적으로 제공한다.
먼저, 레드 데이터신호들(R1, ..Rk)을 상기 소스 구동부(217-1)에 제공하고, 다음 그린 데이터신호들(G1, ..Gk)을 상기 소스 구동부(217-1)에 제공하고, 이어 블루 데이터신호들(B1, ..Bk)을 상기 소스 구동부(217-1)에 제공한다. 이에 소스 구동부(217-1)의 DAC부(217a)는 도 3에 비해 1/3로 줄어들게 된다.
상기 DAC부(217a)는 상기 레드 데이터신호들(R1, .., Rk)을 먼저 아날로그 형태의 데이터전압으로 변환하여 디먹스부(217b)에 출력한다. 상기 디먹스부(217b)는 입력된 레드 데이터전압들을 제1 출력단들로 출력시킨다.
다음, 상기 DAC부(217a)는 그린 데이터신호(G1, ..., Gk)을 아날로그 형태의 데이터전압으로 변환하여 디먹스부(217b)에 출력한다. 상기 디먹스부(217b)는 입력된 그린 데이터전압들을 제2 출력단들로 출력시킨다.
같은 방식으로 블루 데이터신호(B1, ..Bk)로 상기 DAC부(217a)를 거쳐 디먹스부(217b)의 제3 출력단들로 출력된다.
상기 디먹스부(217b)로부터 출력된 데이터전압들은 상기 프리 챠지부(220)에 입력된다.
상기 프리 챠지부(220)는 상기 소스 구동부(217-1)로부터 출력된 데이터전압들과 상기 평균전압발생부(214)로부터 출력된 평균데이터전압들을 선택적으로 상기 소스 배선들(DL1, DL2, ..DLm)에 출력한다.
상기 소스 배선들(DL1, DL2, ..DLm)에 출력되는 데이터전압들은, 상기 소스 구동부(217-1)로부터 출력되는 출력방식에 대응하여 레드 데이터전압들 먼저 해당하는 소스 배선들(DL1, ..DLm-2)에 출력되고, 다음 그린 데이터전압들이 해당하는 소스 배선들(DL2, ..DLm-1)에 출력되고, 이어 블루 데이터전압들이 소스 배선들(DL3, ..DLm)에 출력된다.
이상에서는 3 멀티플렉싱 출력 방식을 갖는 소스 구동부(217-1)를 예로 설명하였으나, 6 멀티플렉싱 출력 방식을 갖는 소스 구동부 역시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표시패널(400), 구동 장치(500) 및 상기 구동 장치(500)의 메인 구동부(510)가 실장된 연성인쇄회로기판(600)을 포함한다.
상기 액정표시패널(400)은 하부기판(410)과 상부기판(420) 및 상기 하부 및 상부기판(410, 420)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미도시)을 포함하고, 표시 영역(DA)과 상기 표시 영역(DA)을 둘러싸는 주변 영역(PA)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표시 영역(DA)에는 복수의 소스 배선들(DL)과 상기 소스 배선들(DL)과 교차하는 복수의 게이트 배선(GL)이 형성된다. 상기 소스 배선들(DL)과 게이트 배선들(GL)에 의해 복수의 화소부들(P)이 정의되고, 각각의 화소부(P)에는 스위칭 소자(TFT)와 상기 스위칭 소자(TFT)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액정 캐패시터(CLC) 및 스토리지 캐패시터(CST)가 형성된다.
상기 구동 장치(500)는 메인 구동부(510), 소스 구동부(520), 프리 챠지부(530) 및 게이트 회로부(540)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 구동부(510)는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600)에 실장된 단일 칩이며, 외부장치로부터 전달된 제어신호들 및 데이터신호들을 이용하여 상기 화소부들(P)을 구동시키는 구동신호들을 출력한다.
상기 메인 구동부(510)는 소스 배선들(DL)에 출력되는 n+1 번째 데이터신호(D_n+1)에 대응하는 n+1 번째 평균데이터전압(A_D_n+1)을 얻어, 상기 프리 챠지부(530)에 제공한다.
상기 소스 구동부(520)는 상기 주변 영역(PA)에 집적되거나, 별도의 칩으로 실장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주변 영역(PA)에 집적되는 것을 예로서 설명한다. 상기 소스 구동부(520)는 상기 메인 구동부(510)로부터 제공되는 구동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신호들을 아날로그 형태의 데이터전압들로 변환하여 상기 소스 배선들(DL)에 출력한다.
상기 프리 챠지부(530)는 복수의 스위치들(SW)을 포함하고, 데이터전압들 및 평균데이터전압들을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리 챠지부(530)는 n 번째 게이트 배선이 비활성화되는 구간에 n+1 번째 평균데이터전압(A_D_n+1)을 상기 소스 배선들(DL)에 출력하고, n+1 번째 게이트 배선이 활성화되는 구간에 n+1 번째 데이터신호들(D_n+1)을 상기 소스 배선들(DL)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 상기 액정표시패널(400)을 상기 n+1 번째 평균데이터전압(A_D_n+1)으로 미리 충전된다. 결과적으로 n+1번째 게이트 배선에 연결된 화소부들(P_n+1)은 상기 n+1 번째 평균데이터전압(A_D_n+1)으로 미리 충전됨에 따라 충전율이 향상된다.
상기 게이트 회로부(540)는 상기 주변 영역에 집적되거나, 별도의 칩 형태로 실장된다. 상기 게이트 회로부(540)는 상기 메인 구동부(510)로부터 제공되는 구동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게이트 배선들(GL)에 게이트 신호들을 출력한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메인 구동부에 대한 상세한 블록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메인 구동부(510)는 제어부(511), 연산부(513), 평균전압발생부(514), 전압 발생부(515) 및 게이트 제어부(516)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511)는 메인 구동부(510)를 전반적으로 제어하고, 상기 프리 챠지부(530)의 구동을 제어한다.
구체적인 일 예로서, 외부장치로부터 제공된 제어신호들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신호들(511d)을 상기 소스 구동부(520)에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511)는 상기 소스 구동부(520)에 일시 저장된 n+1 번째 데이터신호(D_n+1)를 독출하여(520a) 상기 연산부(513)에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n+1 번째 데이터신호(D_n+1)는 n+1 번째 게이트 배선에 연결된 화소부들(P_n+1)에 인가되는 데이터신호들이다.
상기 연산부(513)는 상기 제어부(511)로부터 제공된 n+1 번째 데이터신호를 근거로 상기 n+1 번째 데이터신호들(D_n+1)의 평균데이터신호(A_D_n+1)를 얻는다. n+1 번째 평균데이터신호(A_D_n+1)는 상기 n+1 번째 데이터신호들(D_n+1) 중 가장 많은 데이터신호들의 평균데이터신호이다.
상기 평균데이터신호는 앞서 설명된 표 1 및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방식으로 얻어진다.
상기 평균전압발생부(514)는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로서, 상기 연산부(513)에서 제공된 평균데이터신호(A_DATA)를 아날로그 형태의 평균데이터전압으로 출력한다. 상기 평균전압발생부(514)에서 출력되는 평균데이터전압은 상기 프리 챠지부(530)에 제공된다.
상기 프리 챠지부(530)는 상기 제어부(511)의 제어에 따라서, n 번째 게이트 배선이 활성화된 이후, 잔여 1H 구간 동안 상기 n+1 번째 평균데이터전압(A_D_n+1)을 상기 소스 배선들(DL)에 출력하여 상기 n+1 번째 게이트 배선에 연결된 화소부들(P_n+1)을 미리 충전시킨다. 이후, n+1 번째 게이트 배선이 활성화됨에 따라 상기 n+1 번째 데이터신호(D_n+1)가 상기 화소부들(P_n+1)에 충전된다.
상기 전압 발생부(515)는 외부로부터 인가된 외부전원을 이용하여 구동전압들을 생성한다. 상기 구동전압들은 상기 평균전압발생부(514)에 제공하는 아날로그 구동전압(AVDD)과, 상기 게이트 제어부(516)에 제공되는 게이트 전압들(VSS, VDD)과, 상기 소스 구동부(520)에 제공하는 기준감마전압들(VREF)과, 상기 액정 캐패시터(CLC)에 제공되는 공통전압(VCOM)을 포함한다.
상기 게이트 구동부(516)는 상기 제어부(511)로부터 제공되는 게이트 제어신호들과, 상기 게이트 전압들(VSS, VDD)을 상기 게이트 회로부(540)에 출력한다. 상기 게이트 제어신호들은 수직개시신호(STV), 제1 클럭신호(CK), 제2 클럭신호(CKB)를 포함한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액정표시장치의 프리 챠지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소스 구동부(520)는 샘플링 래치부(521), 레벨 쉬프터부(522), 홀딩 래치부(523), DAC부(524) 및 출력 버퍼부(252)를 포함한다.
상기 샘플링 래치부(521)는 복수의 샘플링 래치들(SL)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511)로부터 제공된 1H 구간에 대응하는 데이터신호들(R1, G1, B1, ..., Rk, Gk, Bk)이 순차적으로 래치시킨다.
상기 레벨 쉬프터부(522)는 복수의 레벨 쉬프터들(LS)을 포함하고, 상기 쉬프트 레지스터부(521)로부터 출력된 데이터신호들의 레벨을 소정 레벨로 쉬프팅시킨다.
상기 홀딩 래치부(523)는 복수의 홀딩 래치들(HL)를 포함하고, 상기 레벨 쉬프터부(522)로부터 출력된 데이터신호들을 순차적으로 래치하고, 상기 제어부(511)로부터 제공되는 제어신호(511b)에 기초하여 로딩시킨다. 한편, 상기 제어부(511)는 상기 홀딩 래치부(523)에 래치된 데이터신호들을 독출하여(520a) 상기 연산부(513)에 제공한다. 즉, 상기 연산부(513)는 홀딩 래치부(523)에 래치된 데이터신호들에 기초하여 평균데이터신호를 얻게 된다.
상기 DAC 부는 복수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들(DAC)을 포함하며, 상기 홀딩 래치부(523)로부터 로딩된 데이터신호들을 상기 기준감마전압들(VREF)를 이용하여 아날로그 형태의 데이터전압들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출력 버퍼부(524)는 복수의 증폭기들(A)을 포함하며, 상기 DAC부(523)로부터 출력된 데이터전압들을 소정 레벨로 증폭하여 상기 프리 챠지부(530)에 출력한다.
상기 프리 챠지부(530)는 상기 소스 구동부(52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전압들과, 상기 평균전압발생부(514)에서 출력되는 평균데이터전압들(514a)을 선택적으로 상기 소스 배선들(DL1, DL2, ..DLm)에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511)로부터 제공되는 제어신호(511c)에 따라서, 상기 프리 챠지부(530)는 n 번째 게이트 배선이 비활성화되는 구간 동안에는 상기 n+1 번째 평균데이터전압(A_D_n+1)을 상기 소스 배선들(DL1, DL2, ..DLm)에 출력한다.
한편, 상기 프리 챠지부(530)는 n+1 번째 게이트 배선이 활성화되는 구간 동안에는 n+1 번째 게이트 배선에 대응하는 n+1 번째 데이터신호(D_n+1)를 상기 소스 배선들(DL1, DL2, ..DLm)에 출력한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소스 구동부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리 챠지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소스 구동부(520-1)는 샘플링 래치부(521), 레벨 쉬프터부(522), 홀딩 래치부(523), 먹스부(526), DAC부(527) 및 디먹스부(528)를 포함한다. 상기 샘플링 래치부(521), 레벨 쉬프터부(522), 홀딩 래치부(523)는 도 7에서 설명된 바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먹스부(526)는 상기 홀딩 래치부(523)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신호들을 복수의 그룹으로 묶어, 각각의 그룹에 포함된 데이터신호들의 출력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홀딩 래치부(523)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신호들(R1, G1, B1, .., Rk, Gk, Bk)을 레드 데이터 그룹, 그린 데이터 그룹 및 블루 데이터 그룹으로 묶고, 각 그룹내의 레드, 그린 및 블루 데이터신호들의 출력을 제어한다.
먼저, 레드 데이터신호들(R1, ..Rk)을 상기 DAC부(527)에 출력하고, 다음 그린 데이터신호들(G1, ..Gk)을 DAC부(527)에 출력하고, 이어 블루 데이터신호들(B1, ..Bk)을 DAC부(527)에 출력한다. 이에 상기 DAC부(527)는 도 7에 비해 1/3로 줄어들게 된다.
상기 DAC부(527)는 상기 레드 데이터신호들(R1, .., Rk)을 먼저 아날로그 형태의 데이터전압으로 변환하여 디먹스부(528)에 출력한다. 상기 디먹스부(528)는 입력된 레드 데이터전압들을 제1 출력단들로 출력시킨다.
다음, 상기 DAC부(527)는 그린 데이터신호(G1, ..., Gk)을 아날로그 형태의 데이터전압으로 변환하여 디먹스부(528)에 출력한다. 상기 디먹스부(528)는 입력된 그린 데이터전압들을 제2 출력단들로 출력시킨다.
같은 방식으로 블루 데이터신호(B1, ..Bk)로 상기 DAC부(527)를 거쳐 디먹스부(528)의 제3 출력단들로 출력된다.
상기 디먹스부(528)로부터 출력된 데이터전압들은 상기 프리 챠지부(530)에 입력된다.
상기 프리 챠지부(530)는 상기 소스 구동부(520a)로부터 출력된 데이터전압들과 상기 평균전압발생부(514)로부터 출력된 평균데이터전압들을 선택적으로 상기 소스 배선들(DL1, DL2, ..DLm)에 출력한다.
상기 소스 배선들(DL1, DL2, ..DLm)에 출력되는 데이터전압들은, 상기 소스 구동부(520a)로부터 출력되는 출력방식에 대응하여 레드 데이터전압들 먼저 해당하는 소스 배선들(DL1, ..DLm-2)에 출력되고, 다음 그린 데이터전압들이 해당하는 소스 배선들(DL2, ..DLm-1)에 출력되고, 이어 블루 데이터전압들이 소스 배선들(DL3, ..DLm)에 출력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표시패널(700), 구동 장치(800) 및 상기 구동 장치(800)의 메인 구동부(810)가 실장된 연성인쇄회로기판(900)을 포함한다.
상기 액정표시패널(700)은 하부기판(710)과 상부기판(720) 및 상기 하부 및 상부기판(710, 720)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미도시)을 포함하고, 표시 영역(DA)과 상기 표시 영역(DA)을 둘러싸는 주변 영역(PA)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표시 영역(DA)에는 복수의 소스 배선들(DL)과 상기 소스 배선들(DL)과 교차하는 복수의 게이트 배선(GL)이 형성된다. 상기 소스 배선들(DL)과 게이트 배선들(GL)에 의해 복수의 화소부들(P)이 정의되고, 각각의 화소부(P)에는 스위칭 소자(TFT)와 상기 스위칭 소자(TFT)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액정 캐패시터(CLC) 및 스토리지 캐패시터(CST)가 형성된다.
상기 구동 장치(800)는 메인 구동부(810), 쉬프트레지스터부(820), 프리 챠지부(830) 및 게이트 회로부(840)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 구동부(810)는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900)에 실장된 단일 칩며, 외부장치로부터 전달된 제어신호들 및 데이터신호들을 이용하여 상기 화소부들(P)을 구동시키는 구동신호들을 출력한다.
상기 메인 구동부(810)는 현재 소스 배선들(DL)에 출력되는 n 번째 데이터신호(D_n)에 대응하는 평균데이터신호(A_D_n)를 검출하여 상기 프리 챠지부(830)에 제공한다. 상기 평균데이터신호(A_D_n)는 n+1 번째 데이터신호(D_n+1)가 상기 소스 배선들에 출력되기 전, 상기 액정표시패널(100)을 미리 충전시키는 프리 충전용 데이터전압으로 사용된다.
상기 쉬프트 레지스터부(820)는 상기 주변 영역(PA)에 집적되거나, 별도의 칩으로 실장된다. 상기 쉬프트 레지스터부(820)는 상기 메인 구동부(810)로부터 제공되는 소정개의 데이터신호들을 순차적으로 입력받아 1H 구간에 대응하는 데이터신호들을 일시 저장한다.
예컨대, 메인 구동부(810)로부터 3개의 배선들을 이용하여 레드, 그린 및 블루 데이터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쉬프트 레지스터부(820)는 입력되는 레드, 그린 및 블루 데이터신호를 순차적으로 쉬프팅시켜 1H 구간에 대응하는 데이터신호들을 입력받는다.
상기 프리 챠지부(830)는 복수의 스위치들(SW)을 포함하고, 데이터전압들 및 평균데이터전압들을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리 챠지부(830)는 n 번째 게이트 배선이 비활성화되는 구간 동안에 상기 n 번째 데이터신호들(D_n)의 평균데이터신호(A_D_n)를 출력하고, n+1 번째 게이트 배선이 활성화되는 구간 동안에 n+1 번째 데이터신호들(D_n+1)을 상기 소스 배선들(DL)에 출력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액정표시패널(700)을 상기 n 번째 평균데이터전압(A_D_n)으로 미리 충전시킴에 따라서, n+1 번째 데이터신호(D_n+1)의 충전율을 향상시킨다.
상기 게이트 회로부(840)는 상기 주변 영역에 집적되거나, 별도의 칩 형태로 실장된다. 상기 게이트 회로부(840)는 상기 메인 구동부(810)로부터 제공되는 구동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게이트 배선들(GL)에 게이트 신호들을 출력한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메인 구동부에 대한 상세한 블록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메인 구동부(810)는 제어부(811), 연산부(813), 평균전압발생부(814), 전압 발생부(815), 게이트 제어부(816) 및 소스 구동부(817)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811)는 메인 구동부(810)를 전반적으로 제어하고, 상기 프리 챠지부(830)의 구동을 제어한다.
구체적인 일 예로서, 외부장치로부터 제공된 제어신호들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신호들(811d)을 상기 소스 구동부(817)에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811)는 상기 소스 구동부(817)로부터 n 번째 데이터신호(D_n)의 정보를 검출하여(818a) 상기 연산부(813)에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n 번째 데이터신호(D_n)는 n 번째 게이트 배선에 연결된 화소부들(P_n)에 인가되는 데이터신호들이다.
상기 연산부(813)는 상기 제어부(811)로부터 제공된 n 번째 데이터신호를 근거로 상기 n 번째 데이터신호들(D_n)의 평균데이터신호(A_D_n)를 얻는다. n 번째 평균데이터신호(A_D_n)는 상기 n 번째 데이터신호들(D_n) 중 가장 많은 데이터신호들의 평균데이터신호이다.
상기 평균데이터신호는 앞서 설명된 표 1 및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방식으로 얻어진다.
상기 평균전압발생부(814)는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로서, 상기 연산부(813)에서 제공된 평균데이터신호를 아날로그 형태의 평균데이터전압으로 출력한다. 상기 평균전압발생부(814)에서 출력되는 평균데이터전압은 상기 프리 챠지부(830)에 제공된다.
상기 프리 챠지부(830)는 상기 제어부(811)의 제어신호(811b)에 따라서, n 번째 게이트 배선의 비활성화 구간 동안에 상기 n 번째 평균데이터전압(A_D_n)을 상기 소스 배선들(DL)에 출력하여 상기 액정표시패널(700)을 미리 충전시킨다. 이후, n+1 번째 게이트 배선이 활성화됨에 따라 상기 n+1번째 데이터신호들(D_n+1)이 상기 화소부들(P_n+1)에 충전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화소부들(P_n+1)에는 n째 데이터신호들(D_n)의 평균데이터전압(A_D_n)이 미리 충전됨에 따라 상기 n+1 번째 데이터신호들(D_n+1)의 충전율을 향상시킨다.
상기 전압 발생부(815)는 외부로부터 인가된 외부전원을 이용하여 구동전압들을 생성한다. 상기 구동전압들은 상기 평균전압발생부(814)에 제공하는 아날로그 구동전압(AVDD)과, 상기 게이트 제어부(816)에 제공되는 게이트 전압들(VSS, VDD)과, 상기 소스 구동부(817)에 제공하는 기준감마전압들(VREF)과, 상기 액정 캐패시터(CLC)에 제공되는 공통전압(VCOM)을 포함한다.
상기 게이트 구동부(816)는 상기 제어부(811)로부터 제공되는 게이트 제어신호들과, 상기 게이트 전압들(VSS, VDD)을 상기 게이트 회로부(540)에 출력한다. 상기 게이트 제어신호들은 수직개시신호(STV), 제1 클럭신호(CK), 제2 클럭신호(CKB)를 포함한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액정표시장치의 프리 챠지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소스 구동부(817)는 입력부(818) 및 DAC부(819)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부(818)는 상기 제어부(811)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신호들을 입력받아서 상기 DAC부(819)에 출력한다.
상기 DAC부(819)는 소정개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C)를 포함하며, 입력된 소정개의 데이터신호들을 아날로그 형태의 데이터전압들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레드, 그린 및 블루 데이터신호들(R, G, B)을 하나의 단위로 입력받아 아날로그 데이터전압들로 변환하여 상기 쉬프트 레지스터부(820)에 출력한다.
상기 쉬프트 레지스터부(820)는 복수의 쉬프트 레지스터들(SL1, .., SRm)을 포함하고, 상기 DAC부(819)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전압들을 순차적으로 쉬프트시켜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DAC부(819)에서 제1 출력된 R1, G1, B1 데이터전압들은 제1 내지 제3 쉬프트 레지스터들(SL1, SL2, SL3)에 입력되고, 제2 출력된 R2, G2, B2 데이터전압들은 상기 제1 내지 제3 쉬프트 레지스터들(SL1, SL2, SL3)을 통해 제4 내지 제6 쉬프트 레지스터들(SL4, SL5, SL6)에 순차적으로 입력된다.
같은 방식으로 제k 출력된 Rk, Gk, Bk 데이터전압들은 제m-2 내지 제m 쉬프트 레지스터들(SLm-2, SLm-1, SLm)에 입력된다.
상기 쉬프트 레지스터부(820)에 데이터전압들이 채워지면 상기 쉬프트 레지스터부(820)에 저장된 데이터전압들은 상기 프리 챠지부(830)에 출력된다.
상기 프리 챠지부(830)는 상기 쉬프트 레지스터부(82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전압들과, 상기 평균전압발생부(814)에서 출력되는 평균데이터전압들(814a)을 선택적으로 상기 소스 배선들(DL1, DL2,.., DLm)에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211)로부터 제공되는 제어신호(811b)에 따라서, 상기 프리 챠지부(830)는 1H 구간 중 n 번째 게이트 배선의 비활성화 구간 동안에 상기 n 번째 평균데이터전압(A_D_n)을 상기 소스 배선들(DL1, DL2,.., DLm)에 출력한다.
한편, 상기 프리 챠지부(830)는 n+1 번째 게이트 배선이 활성화되는 구간 동안에 n+1 번째 게이트 배선에 대응하는 n+1 번째 데이터신호(D_n+1)를 상기 소스 배선들(DL1, DL2,.., DLm)에 출력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화소부들(P_n+1)에는 상기 n 번째 평균데이터전압(A_D_n)으로 미리 충전되어 상기 n+1 번째 데이터신호들(D_n+1)의 충전율을 향상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첫째, n 번째 게이트 배선들의 비활성화 시간동안 n+1 번째 게이트 배선들에 해당하는 n+1 번째 데이터전압들 의 평균데이터전압으로 액정표시패널을 미리 충전시킴으로써 충전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n 번째 게이트 배선의 비활성화 시간동안 n 번째 게이트 배선들에 해당하는 n 번째 데이터전압들의 평균데이터전압으로 상기 액정표시패널을 미리 충전시킴으로써 충전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가변하는 데이터신호들에 적응적인 프리 챠징 전압을 적용함으로써 액정표시장치의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0)

  1. 복수의 게이트 배선들과 복수의 소스 배선들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에 형성된 스위칭 소자와, 상기 스위칭 소자에 연결된 액정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액정표시패널;
    입력되는 데이터신호들을 아날로그 형태의 데이터전압들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소스 구동부;
    상기 데이터신호들의 평균데이터신호를 결정하는 연산부;
    상기 평균데이터신호를 아날로그 형태의 평균데이터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평균전압발생부; 및
    상기 데이터전압들과 상기 평균데이터전압들을 선택적으로 상기 소스 배선들에 출력하는 프리 챠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 챠지부는
    n번째 게이트 배선이 비활성화되는 구간에 n+1번째 게이트 배선에 해당하는 데이터신호들의 평균데이터전압을 상기 소스 배선들에 출력하고,
    n+1번째 게이트 배선이 활성화되는 구간에 n+1번째 게이트 배선에 해당하는 데이터전압들을 상기 소스 배선들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n+1번째 게이트 배선에 해당하는 데이 터신호들 중 가장 많은 데이터신호들의 평균값을 상기 평균데이터신호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되는 데이터신호들을 소정 단위로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산부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n+1번째 게이트 배선에 해당하는 데이터신호들을 이용하여 상기 평균데이터신호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구동부는 상기 데이터신호들을 일시 저장하는 래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산부는 상기 래치부에 저장된 상기 n+1번째 게이트 배선에 해당하는 데이터신호들을 이용하여 상기 평균데이터신호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구동부는 출력되는 상기 데이터전압들을 소정개의 그룹들로 분리하고, 분리된 그룹별로 각각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 챠지부는
    n번째 게이트 배선이 비활성화되는 구간에 상기 n번째 게이트 배선에 해당하는 데이터신호들의 평균데이터전압을 상기 소스 배선들에 출력하고,
    n+1번째 게이트 배선이 활성화되는 구간에 n+1번째 게이트 배선에 해당하는 데이터전압들을 상기 소스 배선들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n번째 게이트 배선에 해당하는 데이터신호들 중 가장 많은 데이터신호들의 평균값을 상기 평균데이터신호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9. 복수의 게이트 배선들과 복수의 소스 배선들에 의해 정의된 복수의 화소부가 형성된 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주변 영역으로 이루어진 액정표시패널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의 구동 장치에서,
    입력되는 데이터신호들을 아날로그 형태의 데이터전압들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소스 구동부;
    상기 데이터신호들의 평균데이터신호를 결정하는 연산부;
    상기 평균데이터신호를 아날로그형태의 평균데이터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평균전압발생부; 및
    상기 데이터전압들과 상기 평균데이터전압들을 선택적으로 상기 소스 배선들에 출력하는 프리 챠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구동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배선들에 게이트 신호들을 출력하는 게이트 회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구동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회로부는 상기 주변 영역에 집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구동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 챠지부는
    n번째 게이트 배선이 비활성화되는 구간에 n+1번째 게이트 배선에 해당하는 데이터신호들의 평균데이터전압을 상기 소스 배선들에 출력하고,
    n+1번째 게이트 배선이 활성화되는 구간에 n+1번째 게이트 배선에 해당하는 데이터전압들을 상기 소스 배선들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구동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n+1번째 게이트 배선에 해당하는 데이터신호들 중 가장 많은 데이터신호들의 평균값을 상기 평균데이터신호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구동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되는 데이터신호들을 소정 단위로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산부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n+1번째 게이트 배선에 해당하는 데이터신호들을 이용하여 상기 평균데이터신호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구동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구동부는 상기 데이터신호들을 일시 저장하는 래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산부는 상기 래치부에 저장된 상기 n+1번째 게이트 배선에 해당하는 데이터신호들을 이용하여 상기 평균데이터신호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구동 장치.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 챠지부는
    n번째 게이트 배선이 비활성화되는 구간에 상기 n번째 게이트 배선에 해당하는 데이터신호들의 평균데이터전압을 상기 소스 배선들에 출력하고,
    n+1번째 게이트 배선이 활성화되는 구간에 n+1번째 게이트 배선에 해당하는 데이터전압들을 상기 소스 배선들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구동 장치.
  17. 복수의 게이트 배선들과 복수의 소스 배선들이 형성된 액정표시패널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의 구동 방법에서,
    n+1번째 데이터신호들에 대응하는 평균데이터전압을 생성하는 단계;
    n번째 게이트 배선이 비활성화되는 구간에 상기 평균데이터전압을 상기 소스 배선들에 출력하는 단계; 및
    n+1번째 게이트 배선이 활성화되는 구간에 상기 n+1번째 데이터신호들에 해당하는 데이터전압들을 상기 소스 배선들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구동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평균데이터전압을 생성하는 단계는
    기저장된 상기 n+1번째 데이터신호들을 이용하여 상기 평균데이터신호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평균데이터신호를 아날로그 형태의 평균데이터전압으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구동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평균데이터전압은
    상기 n+1번째 데이터신호들 중 가장 많은 데이터신호들의 평균값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구동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평균데이터전압은
    상기 n번째 데이터신호들 중 가장 많은 데이터신호들의 평균값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구동 방법.
KR1020050060051A 2005-07-05 2005-07-05 액정표시장치와, 이의 구동 장치 및 방법 KR20070005967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0051A KR20070005967A (ko) 2005-07-05 2005-07-05 액정표시장치와, 이의 구동 장치 및 방법
CN200610092634XA CN1892316B (zh) 2005-07-05 2006-06-26 液晶显示装置、驱动该装置的设备以及该装置的驱动方法
US11/480,658 US20070008271A1 (en) 2005-07-05 2006-07-03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pparatus for driving the sam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0051A KR20070005967A (ko) 2005-07-05 2005-07-05 액정표시장치와, 이의 구동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5967A true KR20070005967A (ko) 2007-01-11

Family

ID=37597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0051A KR20070005967A (ko) 2005-07-05 2005-07-05 액정표시장치와, 이의 구동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70008271A1 (ko)
KR (1) KR20070005967A (ko)
CN (1) CN1892316B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74197A (zh) * 2011-01-21 2011-05-25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一种有源矩阵有机发光显示器驱动方法
KR20120008186A (ko) * 2010-07-16 2012-01-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468935B1 (ko) * 2008-01-11 2014-12-04 삼성전자주식회사 선택적 프리차지를 위한 구동 회로
KR101510877B1 (ko) * 2007-06-20 2015-04-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20160094132A (ko) * 2015-01-30 2016-08-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76346A1 (en) * 2011-01-11 2012-07-12 Himax Technologies Limited Source driver
TWI459348B (zh) * 2012-03-09 2014-11-01 Raydium Semiconductor Corp 源極驅動器
JP6420056B2 (ja) * 2014-04-24 2018-11-07 シナプティ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携帯端末及び表示パネルドライバ
US10299290B2 (en) * 2016-09-30 2019-05-21 Intel IP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radar detection
CN110211547A (zh) * 2019-06-04 2019-09-0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其驱动方法及显示装置
CN114093322A (zh) * 2022-01-18 2022-02-25 浙江宏禧科技有限公司 Oled显示装置的像素驱动结构和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530287B (en) * 1998-09-03 2003-05-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display device
KR100649243B1 (ko) * 2002-03-21 2006-11-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발광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JP2004093717A (ja) * 2002-08-30 2004-03-25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
KR100697378B1 (ko) * 2003-03-10 2007-03-20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JP3942595B2 (ja) * 2004-01-13 2007-07-11 沖電気工業株式会社 液晶パネルの駆動回路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0877B1 (ko) * 2007-06-20 2015-04-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1468935B1 (ko) * 2008-01-11 2014-12-04 삼성전자주식회사 선택적 프리차지를 위한 구동 회로
KR20120008186A (ko) * 2010-07-16 2012-01-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CN102074197A (zh) * 2011-01-21 2011-05-25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一种有源矩阵有机发光显示器驱动方法
KR20160094132A (ko) * 2015-01-30 2016-08-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92316A (zh) 2007-01-10
CN1892316B (zh) 2010-10-13
US20070008271A1 (en) 2007-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05967A (ko) 액정표시장치와, 이의 구동 장치 및 방법
US766767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iv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8487859B2 (en) Data dr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7193551B2 (en) Reference voltage generator for use in display applications
US8384650B2 (en) Reference voltage generators for use in display applications
KR20070023099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120072944A (ko) 감마전압 제어기, 계조 전압 생성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1872993B1 (ko) 액정 표시 장치
KR20070111791A (ko) 표시 장치, 그 구동 장치 및 방법
JP2007288787A (ja) デジタル・アナログ変換器及び表示装置の駆動方法
KR100914781B1 (ko) 액정표시장치의 데이터 구동 장치 및 방법
US9019321B2 (en) Gradation voltage generator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20020003276A (ko)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 회로와 이 회로에 의해구동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JP5098619B2 (ja) 表示駆動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表示装置
JPH04237091A (ja) フラットディスプレイの階調駆動回路
JP2009288526A (ja) Da変換回路、液晶駆動回路、液晶表示装置、およびda変換回路の設計方法
US20100007654A1 (en) Display device
US20090040214A1 (en) Signal process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driv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07219091A (ja) 駆動回路、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KR101212157B1 (ko) 데이터 구동회로와 이를 이용한 평판 표시장치의 구동장치및 구동방법
JP4724785B2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の駆動装置
JP2008065244A (ja) 駆動回路および表示装置
KR100583317B1 (ko) 액정표시장치의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
CN115512645A (zh) 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KR20060006571A (ko)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