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4209A - 차량의 에어 스프링 - Google Patents

차량의 에어 스프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4209A
KR20070004209A KR1020050059620A KR20050059620A KR20070004209A KR 20070004209 A KR20070004209 A KR 20070004209A KR 1020050059620 A KR1020050059620 A KR 1020050059620A KR 20050059620 A KR20050059620 A KR 20050059620A KR 20070004209 A KR20070004209 A KR 200700042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airbag
passage
opening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9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홍준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9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04209A/ko
Publication of KR20070004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42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06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both gas and liquid
    • F16F9/08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both gas and liquid where gas is in a chamber with a flexible wall
    • F16F9/084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both gas and liquid where gas is in a chamber with a flexible wall comprising a gas spring contained within a flexible wall, the wall not being in contact with the damping fluid, i.e. mounted externally on the damper cylin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52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action on a particular type of suspension unit
    • B60G17/015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action on a particular type of suspension unit pneumatic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2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 B60G17/04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fluid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2Pneumatic spring characteristi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207Constructional features
    • F16F9/3214Constructional features of pist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207Constructional features
    • F16F9/3235Constructional features of cylin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42Cool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 스프링은 차체에 고정되는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장착되고 그 상측에 공기가 주입되는 공기 주입구가 형성되는 에어백, 상기 차축에 고정되는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장착되고 에어백의 하단에 설치되는 피스톤과, 상기 에어백 내부에 배치되고 그 상단은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고정되고 그 하단은 상기 피스톤의 상면에 연결되어 유압에 의해 충격을 흡수하는 유압 실린더으로 구성되어, 충격 흡수 성능을 향상시키고 승차감을 향상시키며 차량의 과도한 쏠림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의 에어 스프링을 제공한다.
차량, 현가장치, 에어스프링, 현가스프링, 에어백

Description

차량의 에어 스프링 { AIR SPRING OF VEHICLE }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에어 스프링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스프링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스프링의 유압 실린더의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스프링의 유압 실린더의 작동 상태도들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차체 12 : 상부 플레이트
14 : 공기 유입구 16 : 에어백
20 : 차축 22 : 하부 플레이트
24 : 피스톤 26 : 유압 실린더
28 : 커버 브래킷 30 : 본체
32 : 냉각관 34 : 압축유로
36 : 인장유로 38 : 작동판
40 : 작동로드 42 : 개폐판
44 : 스프링 46 : 냉각핀
50 : 제1챔버 52 : 제2챔버
56 : 개폐밸브
본 발명은 차량용 현가장치의 에어 스프링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 스프링에 유압에 의해 완충작용을 하는 유입 실린더를 구비하여 충격 흡수 성능을 향상시키고 승차감을 향상시키며 차량의 과도한 쏠림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의 에어 스프링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에어 스프링의 단면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에어 스프링은 차체(110)에 고정되는 상부 플레이트(102)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102)에 장착되고 그 상측에 공기가 주입되는 공기 주입구(104)가 형성되는 에어백(106), 상기 차축(120)에 고정되는 하부 플레이트(108)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108)에 장착되고 에어백(106)의 하단에 설치되어 수직방향으로 직선 운동하는 피스톤(112)과, 상기 에어백(106)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피스톤(112)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상기 피스톤(112)과 접촉되면서 완충작용을 하는 러버 버퍼(116)와, 상기 피스톤(112)과 에어백(106)의 외주면에 감싸지게 배치되어 상기 피스톤(112)과 에어백(106)을 보호하는 커버 브래킷(114)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에어 스프링은 차량의 상하 진동시 에어백(106)에 충진된 공기에 의해 완충작용을 하고 상기 피스톤(112)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피스톤(112)의 상단이 러버 버퍼(116)와 접촉되고 상기 고무 재질의 러버 버퍼(116)가 차량의 변위제어 및 충격을 흡수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기술에 따른 에어 스프링은 장기간 사용시 러버 버퍼(116)에 변형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완충기능이 저하되고 충격 흡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에어백(106)만으로 완충작용을 함으로써 진동 발생시 여진이 남게 되어 승차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에어백 내부에 유압 실린더를 설치하여 유압에 의해 완충작용을 수행함으로써, 에어백에 의한 완충 작용시 발생되는 여진을 컨트롤하여 충격 흡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어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차량의 과도한 쏠림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의 에어 스프링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에어 스프링은 에어 스프링은 차체에 고정되는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장착되고 그 상측에 공기가 주입되는 공기 주입구가 형성되는 에어백, 상기 차축에 고정되는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장착되고 에어백의 하단에 설치되는 피스톤과, 상기 에어백 내부에 배치되고 그 상단은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고정되고 그 하단은 상기 피스톤의 상면에 연결되어 유압에 의해 충격을 흡수하는 유압 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압 실린더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고정되고 그 내부에 오일이 충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측에 연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본체에 충진된 오일을 냉각시키는 냉각관과, 상기 본체의 내주면에 접촉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고 오일이 통과하는 압축유로 및 인장유로가 형성되는 작동판과, 상기 작동판과 연결되고 상기 피스톤의 상면에 연결되는 작동로드와, 상기 작동판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압축유로의 개폐작용을 하는 개폐판과, 상기 개폐판과 본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개폐판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각관은 U 자 형태로 형성되어 그 양단이 각각 본체의 상단에 연결되고 그 외주면에는 냉각작용을 하는 냉각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에어 스프링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스프링은 차체(10)에 고정되는 상부 플레이트(12)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12)에 장착되고 그 상측에 공기가 주입되는 공기 주입구(14)가 형성되는 에어백(16)과, 상기 차축(20)에 고정되는 하부 플레이트(22)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22)에 장착되고 에어백(16)의 하단에 설치되어 수직방향으로 직선 운동하는 피스톤(24)과, 상기 에어백(16) 내부에 배치되고 그 상단은 상기 상부 플레이트(12)에 고정되고 그 하단은 상기 피스톤(24)의 상면에 연결되어 유압에 의해 충격을 흡수하는 유압 실린더(26)와, 상기 피스톤(24)과 에어백(16)의 외주면에 감싸지게 배치되어 상기 피스톤(24)과 에어백(16)을 보호하는 커버 브래킷(28)으로 구성된다.
상기 유압 실린더(26)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어백(16)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12)에 고정되고 그 내부에 오일이 충진되는 본체(30)와, 상기 본체(30)의 상측에 연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본체(30)에 충진된 오일을 냉각시키는 냉각관(32)과, 상기 본체(30)의 내주면에 접촉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고 오일이 통과하는 압축유로(34) 및 인장유로(36)가 형성되는 작동판(38)과, 상기 작동판(38)과 연결되고 상기 피스톤(24)의 상면에 연결되는 작동로드(40)와, 상기 작동판(40)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압축유로(34)의 개폐작용을 하는 개폐판(42)과, 상기 개폐판(42)과 본체(3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개폐판(42)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44)으로 구성된다.
상기 냉각관(32)은 U 자 형태로 형성되어 그 양단이 각각 본체(30)의 상단에 연결되고 그 외주면에는 냉각작용을 하는 냉각핀(46)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냉각관(32)은 본체에 저장된 오일이 냉각관(32)의 제1통로(48)를 통해 유입되면 상기 냉각관(32)에 형성된 냉각핀(46)에 의해 냉각이 되고, 냉각된 오일은 제2통로(50)를 통해 본체(30)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작동판(38)은 원판 형태로 상기 본체(30) 내부를 제1챔버(52)와 제2챔버(54)로 구획하고, 그 일측에는 오일이 압축될 때 즉, 작동판(38)이 상측방향으로 이동될 때 오일이 통과하는 압축유로(34)와, 오일이 인장될 때 즉, 작동판(38)이 하측방향으로 이동될 때 오일이 통과하는 인장유로(36)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인장유로(36)에는 상기 인장유로(36)의 개폐작용을 하는 개폐밸브(56)가 설치된다.
상기 개폐판(42)은 원판 형태로 형성되고 그 중앙에는 오일이 통과하는 오일통로(60)가 형성되고 상기 인장유로(36)가 형성되는 부위와 연통되는 부위에는 개폐밸브(56)가 통과하는 밸브 통과홀(62)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스프링의 작용을 다음에서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스프링의 유압 실린더의 작동 상태도이다.
먼저, 압축 작용시 살펴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24)과 연결된 작동로드(40)가 상측방향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작동판(38)이 상측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러면, 상기 작동판(38)에 형성된 압축유로(34)를 통해 제1챔버(52)의 오일이 제2챔버(54)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압축유로(34)를 통과하는 오일의 유로저항에 의해 완충작용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인장유로(36)는 개폐밸브(56)에 의해 폐쇄되어 오일의 유동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작동판(38)이 계속 상승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판(38)이 개폐판(42)의 하면에 접촉되면서 압축유로(34)가 폐쇄되면서 본체(30)의 제1챔버(52)를 밀폐하여 오일의 유동이 발생되지 않는 범퍼(bumper)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작동로드(40)가 하측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작동판(38)이 하측방향으로 이동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판(38)의 인 장유로(36)에서 개폐밸브(56)가 개방되면서 인장유로(36)가 개방된다. 그러면 상기 인장유로(36)와 압축유로(34)를 통해 제2챔버(54) 내의 오일이 제1챔버(52)로 이동되면서 유로저항을 발생시켜 완충작용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스프링은 에어백 내부에 유압 실린더를 설치하여 오일의 유로저항에 의해 완충작용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에어백 작동시 발생되는 여진을 조절할 수 있어 충격 완화 성능을 향상시키고 승차감을 향상시키며 차량의 과도한 쏠림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유압 실린더에 냉각관을 설치하여 유압 실린더에 충진된 오일을 냉각시킴으로써, 에어백의 압축공기에 의한 열화에 의해 유압 실린더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에어백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에어 스프링은 차체에 고정되는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장착되고 그 상측에 공기가 주입되는 공기 주입구가 형성되는 에어백;
    상기 차축에 고정되는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장착되고 에어백의 하단에 설치되는 피스톤과;
    상기 에어백 내부에 배치되고 그 상단은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고정되고 그 하단은 상기 피스톤의 상면에 연결되어 유압에 의해 충격을 흡수하는 유압 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에어 스프링.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실린더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고정되고 그 내부에 오일이 충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측에 연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본체에 충진된 오일을 냉각시키는 냉각관과;
    상기 본체의 내주면에 접촉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고 오일이 통과하는 압축유로 및 인장유로가 형성되는 작동판과;
    상기 작동판과 연결되고 상기 피스톤의 상면에 연결되는 작동로드와;
    상기 작동판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압축유로의 개폐작용을 하는 개폐판과;
    상기 개폐판과 본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개폐판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에어 스프링.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관은 U 자 형태로 형성되어 그 양단이 각각 본체의 상단에 연결되고 그 외주면에는 냉각작용을 하는 냉각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에어 스프링.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판은 상기 실린더 내부를 제1챔버와 제2챔버로 구획하고, 그 일측에는 작동판이 상측방향으로 이동될 때 오일이 통과하는 압축유로와, 상기 작동판이 하측방향으로 이동될 때 오일이 통과하는 인장유로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인장유로에는 상기 인장유로의 개폐작용을 하는 개폐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에어 스프링.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판은 그 중앙에는 오일이 통과하는 오일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인장유로가 형성되는 부위와 연통되는 부위에는 개폐밸브가 통과하는 밸브 통과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에어 스프링.
KR1020050059620A 2005-07-04 2005-07-04 차량의 에어 스프링 KR200700042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9620A KR20070004209A (ko) 2005-07-04 2005-07-04 차량의 에어 스프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9620A KR20070004209A (ko) 2005-07-04 2005-07-04 차량의 에어 스프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4209A true KR20070004209A (ko) 2007-01-09

Family

ID=37870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9620A KR20070004209A (ko) 2005-07-04 2005-07-04 차량의 에어 스프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0420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86749A (zh) * 2017-08-14 2017-12-19 中国航发航空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环形薄壁零件加工的减振装置
CN110341577A (zh) * 2019-05-27 2019-10-18 广州供电局有限公司 缓冲组件和电源测试车
CN112610637A (zh) * 2020-12-22 2021-04-06 杭州上裕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避免弹性消失的阻尼式减震器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86749A (zh) * 2017-08-14 2017-12-19 中国航发航空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环形薄壁零件加工的减振装置
CN107486749B (zh) * 2017-08-14 2019-03-01 中国航发航空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环形薄壁零件加工的减振装置
CN110341577A (zh) * 2019-05-27 2019-10-18 广州供电局有限公司 缓冲组件和电源测试车
CN112610637A (zh) * 2020-12-22 2021-04-06 杭州上裕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避免弹性消失的阻尼式减震器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94374A (ko) 쇽업소버의 감쇠력 가변 밸브
JP2005076881A (ja) 空圧懸架装置
KR100766854B1 (ko) 쇽업소버
KR20070004209A (ko) 차량의 에어 스프링
KR20170093344A (ko) 자전거의 안장 완충장치
KR101131048B1 (ko) 쇽업소버의 스토퍼
KR101218838B1 (ko) 쇽업소버의 밸브 구조
CN110822003B (zh) 阻尼力可变减震器
KR100757811B1 (ko) 쇽업소버
KR100911403B1 (ko) 차량용 쇽 업소버
KR20150018107A (ko) 주파수 감응형 쇽업소버
KR20020046006A (ko) 쇽 업소버의 감쇠력 가변장치
KR20200113807A (ko)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
KR20150128455A (ko)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
KR20150064533A (ko) 선회 감응형 밸브 조립체를 갖는 쇽업소버
KR102238045B1 (ko) 차량용 쇽업소버
KR101229443B1 (ko) 쇽업소버의 감쇠력 가변밸브
KR100776569B1 (ko) 쇽업소버의 감쇠력 가변밸브
KR20110067531A (ko) 유압 스토핑 구조를 가지는 쇽업소버
KR20200069170A (ko) 차량용 쇽업소버
JP3700962B2 (ja) フロントフォーク
KR101176169B1 (ko) 리바운드 행정이 제어되는 쇽업소버
KR100521515B1 (ko) 머플러용 러버 행거의 대변위 제어용 스톱퍼 구조
KR101089574B1 (ko) 차량용 쇽업소버
KR100482137B1 (ko) 쇽업쇼바의 피스톤 밸브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