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3844A - 기기관리 시스템에서의 노드 정의 - Google Patents

기기관리 시스템에서의 노드 정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3844A
KR20070003844A KR1020067015506A KR20067015506A KR20070003844A KR 20070003844 A KR20070003844 A KR 20070003844A KR 1020067015506 A KR1020067015506 A KR 1020067015506A KR 20067015506 A KR20067015506 A KR 20067015506A KR 20070003844 A KR20070003844 A KR 200700038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management
information
data processing
process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5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31754B1 (ko
Inventor
믹코 사히노자
주씨 피이스파넨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노키아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70003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38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1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17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66Checking the configuration
    • H04L41/0869Validating the configuration within one network el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06F15/177Initialisation or configuration contro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5Retrieval of network configuration; Tracking network configuration history
    • H04L41/0853Retrieval of network configuration; Tracking network configuration history by actively collect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r by backing up configuration information
    • H04L41/0856Retrieval of network configuration; Tracking network configuration history by actively collect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r by backing up configuration information by backing up or archiv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Control By Computers (AREA)
  • Alarm Systems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기관리 시스템에서 기기관리에 이용되는 관리구조의 노드들을 정의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성에 있어서, 대소문자 구별성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노드에 연관되어 있어 대문자와 소문자 사이를 구별할지를 정의한다. 적어도 하나의 노드가 대소문자 구별성 정보에 따라 정의된다.

Description

기기관리 시스템에서의 노드 정의{Defining nodes in device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기기관리시스템에서 기기관리에 이용되는 관리구조의 노드들을정의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다른 데이터 처리기기들, 이를테면 이동국들이 더 복잡해짐에 따라, 기기관리의 중요성은 더욱 현저해지고 있다. 기기들을 여러 가지 다른 설정들, 이를테면 인터넷 접근점들에 관계된 설정들을 필요로 하고, 그것들을 사용자에 의해 수작업으로 설정하는 것은 고되고 어렵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를 들어, 기기관리 솔루션들이 개발되어 왔고 그래서 회사의 정보시스템 또는 원격조작장치의 관리자는 기기에 적당한 구성을 설정할 수 있다. 기기 관리는 일반적으로 기기를 사용하지 않는 사람이 기기의 구성을 변경할 수 있게 하는 행위들을 말하고, 예를 들어 설정들이나 기기에 의해 사용되는 프로토콜조차도 바꿀 수 있다. 기기-특화 설정들에 더하여, 사용자 프로필, 로고, 벨소리, 및 메뉴와 같이 사용자가 기기의 설정들을 개인적으로 수정할 수 있게 하거나 또는 기기 관리에 관련하여 수정이 자동으로 일어나게 하는 사용자-특화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기기관리표준들 중의 하나는 OMA(Open Mobike Akkiance) DM(Device management)이고, 그것은 부분적으로는 SyncML(Synchronization Markup Language) 프로토콜에 기초한다. 예를 들어, 개인용 컴퓨터(PC)는 기기관리 프로토콜에서 기기관리 서버로서 역할을 할 수 있고 이동국은 기기관리 클라이언트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기기관리의 견지에서, 기기관리 클라이언트는 자신에 관련한 정보를 세션 시작 메시지로 기기관리 서버에 송신하고, 기기관리 서버는 자신 소유의 정보 및 서버관리명령들을 송신함으로써 응답한다. 기기관리 클라이언트는 이것들에 상태정보로써 응답하고, 그 후 서버는 세션을 끝내거나 또는 더 많은 서버관리명령들을 송신할 수 있다. 서버가 더 많은 서버관리명령들을 송신한다면, 클라이언트는 그것들에 상태정보로 응답한다. 서버는 항상 상태정보를 수신한 후 세션을 끝내거나 또는 더 많은 서버관리명령들을 송신하는 것에 의해 세션을 계속한다. 기기관리는 그녀/그가 갱신하기 원하는 것에 대해 사용자에게 질의들을 송신함으로써 이행될 수도 있는데, 사용자의 선택들에 관한 정보는 서버에 송신된다. 그 후, 서버는 사용자가 원하는 갱신물들/명령들을 다음 패킷으로 송신한다.
기기관리 클라이언트에서 관리되는 항목들은 관리객체들로서 배치된다. 관리객체들은 기기관리 클라이언트에서 서버관리명령들에 의해 관리될 수 있는 엔티티들이다. 관리객체는 예를 들어 다수의 또는 큰 엔티티, 이를테면 배경화상 또는 화면보호기일 수 있다. 적어도 얼마간의 관리객체들은 표준화될 수 있고, OMA DM 기기관리 표준들은 현재 3가지 표준화된 관리객체들을 구비한다.
OMA 기기관리에서, 관리객체들은 관리트리에 배치되고, 그것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관리트리는 노드들로 이루어지고 하나 이상의 노드 또는 노드의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관리객체를 정의한다. 다음의 것은 관리객체들을 형성하는 노드들을 검사한다. 노드는 개개의 매개변수, 서브트리 또는 데이터모음(data collection)일 수 있다. 예를 들어, "Vendor" 노드는 내부 노드인데, 그것이 자식객체들인 "ScreenSaver" 및 "RingingTones"을 가지기 때문이다. "ScreenSaver"는 잎 노드(leaf node)인데, 그것이 자식객체를 가지지 않기 때문이다. "RingingTones" 역시 내부 노드인데, 그것이 자식객체를 가지기 때문이다. 노드는 구성값 또는 파일, 이를테면 노드 "ScreenSaver"에서의 배경화상 파일일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를 포함할 수 있다. 노드의 콘텐츠는 다른 노드에 대한 링크일 수 있다. 각 노드는 일관된 자원 식별자(URI)에 의해 주소지정될 수 있다. 노드의 URI는 루트 "/"로 시작하게 형성되고, 트리를 따라 진행할 때, 각 노드는 "/"를 분리자로서 이용하여 앞의 것들에 부가되는 이름을 가진다. 예를 들어, 노드 "RingingTones"는 URI "/Vendor/RingingTones/"에 의해 주소지정될 수 있다. 노드들은 고정이거나 동적일 수 있다. 기기관리 클라이언트 또는 서버는 동적 노드들을 관리트리에 부가할 수 있다.
OMA DM 기기관리 표준들은 관리트리가 대소문자 구별적(case sensitive)이어야 한다고 정의한다. 일부 환경들은 대문자들 또는 소문자들 사이를 구별하지 않고(대소문자 비 구별적), 예를 들어, 경로명들은 대소문자 비 구별적이다. 이 종류의 환경에서의 정보는 OMA DM 기기관리트리에 저장될 필요가 있을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특정 디렉터리구조가 기기관리트리에 OMA DM 기기관리 표준에 따라 관리되는 정보로서 부가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문제들을 야기하는데, 대소문자 구 별적인 시스템이 파일명들을 바꿀 수 있고 및/또는 노드들이 기기관리트리에서 올바로 참조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운영체계의 디렉터리구조는 예를 들어 관리트리로 직접 모델화될 수 없고, 방대한 맵핑 테이블이 관리트리에서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필요할 것이다.
방법, 기기관리 시스템, 데이터처리 기기, 컴퓨터프로그램 생성물 및 데이터구조가 지금 개발되어 있고, 그것들은 독립항들에 언급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얼마간의 실시예들은 종속항들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노드는 대문자들 및 소문자들 사이를 구별할지를 정의하는 대소문자 구별성 정보와 연관되어 있다. 그러면 관리구조 노드는 대소문자 구별성 정보에 따라 (기기관리 클라이언트 및/또는 서버에서) 정의될 수 있다.
노드는 일반적으로 인터넷 접근점의 설정들(settings)과 같이 제3자에 의해 구성가능한 기기관리 엔티티를 나타내며, OMA 기기관리 노드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관리구조는 상응하여 노드들을 담고 있는 임의의 구조일 수 있고, OMA 기기관리의 기기관리트리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대소문자 구별성 정보(case sensitivity information)는 대문자 및 소문자 사이를 구별할지를 정의하는 적어도 하나의 노드에 연관된 임의의 직접 또는 간접 정보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특히 각 노드에 대해서조차 대문자와 소문자 사이를 구별할지를 정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런 식으로, 대소문자 구별적인 환경들에서 작업할 때 오류를 피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시스템들과 연관된 노드들을 대소문자 구별적이라고 정의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대소문자 구별성 정보에 따라 동일한 이름을 가지는 모든 노드들이 대문자 및 소문자를 구별하지 않고 검색될 때, 검색 요구에 의해 지시되는 형식(대소문자 구별성에 관련됨)에 무관하게 관리구조에서 올바른 노드가 찾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노드 특성들은 관리하려는 적어도 하나의 기기를 위해 형성된 관리구조를 위한 기기 기술에서 정의되고, 기기 기술(device description)은 적어도 하나의 노드를 위해 상기 정보를 포함한다. 그러면 대소문자 구별성 정보는 기기 기술로부터 점검될 수 있고, 전체 관리구조들을 관리서버에 저장하거나 또는 그것들을 클라이언트로부터 가져올 필요가 없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노드에 연관된 대소문자 구별성 정보는 제2노드에 적용되도록 설정되기도 한다. 그러한 경우에, 제1노드의 대소문자 구별성 정보는 제2노드의 대소문자 구별성 정보를 점검할 필요가 있을 때 점검되고, 제2노드는 제1노드와 연관된 대소문자 구별성 정보에 따라 정의된다. 이 실시예로, 저장되는 정보의 량을 줄일 수 있는데, 각 노드마다 대소문자 구별성 정보를 별도로 저장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이제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해 그리고 다음의 첨부 도면들에 관련하여 매우 상세히 설명될 것이며,
도 1은 관리트리를 도시하며,
도 2는 관리시스템을 도시하고,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다음에 OMA 기기관리를 지원하는 시스템에서 설명되지만, 본 발명은 기기관리 객체들이 트리구조들과는 다르게 편성될 수도 있는 어떠한 기기관리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점에 주의해야될 것이다.
도 2는 네트워크화된 시스템을 도시한다. 네트워크 서버 또는 PC는 전형적으로 서버(S)로서 소용된다. 이동국, PC, 랩톱 컴퓨터, 또는 개인휴대 정보단말PDA) 기기는 통상 단말(TE)로서 소용된다. 다음의 실시예들에서, 기기관리를 위해 단말(TE)은 기기관리 클라이언트로서 소용되고 서버(S)는 기기관리 서버로서 소용된다. 서버(S)는 몇몇 클라이언트들(TE)을 관리할 수 있다.
도 2는 2가지 예들을 보이며 그 처음 것에서 클라이언트들(TE)과 관리서버들(S)은 근거리통신망(LAN)에 연결되어 있다. 근거리통신망(LAN)에 연결된 클라이언트(TE)는 근거리통신망(LAN)에서 기기들과의 통신을 위해 네트워크 카드 및 소프트웨어 제어 데이터 전송과 같은 기능성을 포함한다. 근거리통신망(LAN)은 어떠한 근거리통신망이라도 될 수 있고 TE는 방화벽(FW)을 이용하여 통상 인터넷을 통해 서버(S)에 연결될 수도 있다. 단말(TE)은 근거리통신망(LAN)에 접근점(AP)을 통해 무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제2예에서, 클라이언트(TE)는 서버(S)와는 이동통신망(MNW)을 통해 통신한다. 이동통신망(MNW)에 연결된 단말(TE)은 이동통신망(MNW)과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한 이동국 기능성을 포함한다. 이동통신망(MNW)과 서버(S) 사이에는 근거리통신망(LAN)과 같은 다른 통신망들이 있을 수도 있다. 이동통신망(MNW)은 임의의 알려진 무선통신망, 예를 들어 GSM서비스들을 지원하는 통신망,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를 지원하는 통신망,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의 네트워크 규격에 따른 통신망과 같은 3세대 이동통신망, 무선 근거리통신망(WLAN), 사설통신망, 또는 몇 개의 통신망들의 조합일 수 있다. 많은 이동통신망에서 전송층의 하나의 중요한 서비스는, 클라이언트(TE) 및 서버(S)에서 기기관리 응용층을 위해 전송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게 하는 WSP(Wireless Session Protocol)층을 포함하는 WAP이다. 그때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WAP 게이트웨이와 어쩌면 하나 이상의 WAP 프록시를 포함한다. 다른 프로토콜들이 기기관리 메시지들을 전송하기 위해 이용될 수도 있다. 하위층 전송 기법들은 밑에 있는 이동통신망(MNW)의 특성들에 따르는 회선- 또는 패킷- 교환 SMS기반 메시지 전송일 수 있다. 앞서의 예들 외에도, 많은 다른 기기관리구성, 이를테면 어떠한 다른 네트워크요소들 없이 무선 또는 유선 접속을 이용하는 것에 의한 단말들(TE) 사이의 관리접속 또는 단말(TE) 및 서버(S) 사이의 직접 관리접속이 가능하다.
단말(TE)과 서버(S)는 메모리, 사용자인터페이스, 데이터전송을 위한 I/O수단, 및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중앙처리부를 포함한다. 메모리는 중앙처리부를 제어하는 애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하기 위한 불휘발성 부분과, 임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휘발성 부분을 가진다. 관리트리는 단말(TE)의 메모리에 저장되고, 그것의 정보 및/또는 기기 기술은 서버(S)의 메모리에 저장된다. OMA 기기관리 클 라이언트로서 소용되는 단말(TE)은 클라이언트에서의 관리세션에 관계된 기능들을 처리하는 클라이언트 에이전트를 포함한다. 기기관리 서버로서 소용되는 서버(S)는 관리 세션을 관리하는 서버 에이전트 또는 서버 마스터를 포함한다. 클라이언트 에이전트는 단말(TE)의 중앙처리부에서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고, 서버 에이전트 또는 서버 마스터는 서버(S)의 중앙처리부에서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TE)와 서버(S)는 기기관리 서버 및/또는 클라이언트로서 소용될 수 있다. 그래서, 단말(TE)은 단말들(TE) 사이의 기기관리에서 관리서버로서 소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서버 에이전트의 기능들을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포함할 수도 있다. 중앙처리부에서 실행되는 컴퓨터프로그램 코드는 서버(S), 예를 들어 서버 에이전트가 노드들을 정의하기 위한 발명적 수단을 구현하도록 할 수 있고 사례 분리를 위해 그 일부 실시예들이 도 3a에 관련하여 도시된다. 단말(TE)의 중앙처리부에서 실행되는 컴퓨터프로그램 코드들은 단말(TE),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에이전트가 노드들을 정의하기 위한 발명적 수단을 클라이언트에 구현하도록 할 수 있고 사례 분리를 위해 그 일부 실시예들이 도 3b에 관련하여 도시된다. 컴퓨터프로그램 코드는 임의의 저장매체, 이를테면 PC의 하드디스크 또는 CD-ROM 디스크에 저장될 수 있고, 그디스크로부터 기기(TE)의 메모리에 로드될 수 있고, 서버(S)는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컴퓨터프로그램 코드는 또한 예를 들어 TCP/I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망을 통해 로드될 수 있다. 하드웨어 솔루션들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솔루션들의 조합을 발명적 수단을 구현하기 위해 이용 하는 것도 가능하다. 대소문자 구별성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구조는 예를 들어 데이터전송 통신망을 거쳐 서버(S)에 전달될 수 있고 서버(S)의 메모리 저장될 수 있다.
도 3a는 관리서버(S)에 구현될 수 있는 실시예의 방법을 도시한다. 단계 301에서, 적어도 하나의 새로운 노드를 관리되는 기기관리 클라이언트(TE)의 관리트리에 부가하는 것, 또는 이미 존재하는 노드를 관리서버(S)로부터 전송하여야 함을 관리명령으로 지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면 서버(S)는 관리트리에 관련한 정보, 적어도 참조하려는 노드 또는 새로운 노드가 부가되어야하는 노드에 관한 정보를 가져온다(302). 관리트리에 관한 정보는 서버(S)의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거나, 또는 서버(S)는 그 정보를 외부기기로부터, 예를 들면 하드웨어 제조자에 의해 유지되는 서버로부터 인터넷을 거쳐 가져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관리트리에 관련한 정보는 클라이언트(TE)로부터, 예를 들어 기기관리 세션의 시작 시에 클라이언트(TE)와 접촉하고 정보를 요구함으로써, 또는 클라이언트(TE)에서 관리트리의 내용물을 브라우즈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관리트리에 관련한 정보는 클라이언트(TE)의 관리객체들을 기술하는 관리트리 정보(관리트리의 적어도 일부의 사본은 서버(S)에 저장될 수 있음) 또는 나중에 더 상세히 설명될 기기의 구조를 기술하는 기기 기술로부터 직접 얻어질 수 있다.
현재의 구성에서, 대소문자 구별성 정보는 대문자와 소문자 사이를 구별할지를 정의하는 적어도 하나의 노드와 연관되어 있다. 단계 303에서, 대소문자 구별성 정보는 적어도 부가하려는 또는 참조하려는 노드에 인가되는 것으로, 관리트리 정 보로부터 점검된다. 그래서 대소문자 구별성 정보는 대문자와 소문자 사이를 구별할지 말지를 정의하고, 나중에 설명될 바와 같이 몇몇 다른 노드들에 어떻게든 인가하는 것은 많은 다른 방식들로 정의될 수 있을 것이다. 단계 304는 관리트리에 부가하려는 또는 참조하려는 노드의 정보를 포함하는 관리명령을 정의한다. 새로운 노드는 내부 노드 또는 잎 노드와 같은 임의의 객체 유형을 가질 수 있다. 새로운 노드의 경우에, 관리명령은 예를 들어 새로운 노드를 관리트리에 부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ADD'일 수 있거나, 또는 현존하는 노드의 경우에 정보가 가지고 와지는 노드의 일관된 자원 식별기 <LocURI>를 그것의 <Target> 요소에서 나타내는 'GET'일 수 있다.
관리 서버(S)는 단계 304에서 구체적으로는 대소문자 구별성 정보를 고려하여 노드의 이름을 (예를 들어 <LocURI> 요소에서) 정의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대소문자 구별성 정보에 따라 대문자와 소문자가 노드들에서 분리되어야 한다면(대소문자 구별적), 노드의 이름은 대문자 및 소문자 양쪽을 이용하여 정의될 수 있다. 그 다음에, 만일 서버(S)가 자신의 메모리 내에 단말의 관리트리의 노드들에 대한 정보를 유지한다면, 서버(S)는, 새로운 노드를 추가할 때, 대문자와 소문자를 분리하는 동일한 형식으로 노드의 이름을 정확히 저장할 것이다. 이 경우, 서버(S)는 동일한 문자의 대문자 및 소문자 형식들을 다른 문자들로서 처리하고, 그 경우 만일 이름들에서 대문자와 소문자가 정확히 일치된다면 새로운 노드가 현존하는 노드를 대체한다. 예를 들어, 노드 "Screensaver"는 노드 "ScreenSaver"를 대체하지 않는다. 당연히, 이것은 노드 상의 정보가 가져와 진 다음에는 대문자 및 소문자가 저장된 노드의 이름으로 구별가능하다는 것을 뜻하기도 한다. 그러나, 대소문자 구별성 정보에 따르면, 만일 대문자와 소문자가 별개로 되지 않는다면, 동일한 문자들을 포함하는 노드 이름은 그 문자들이 대문자와 소문자에서 다른 식으로 입력되는 지에 무관하게 동일하게 해석된다. 그래서, 이것은 예를 들어 'ADD' 관리명령에서 정의된 노드에서와 동일한 문자들을 가지는 관리트리의 노드는 관리명령에서 정의되는 노드에 의해 항상 교체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래서, 대소문자 구별성 정보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다른 시스템들에서 대문자와 소문자 처리 시에 착오를 피할 수 있는데, 노드들이 대소문자 구별성 정보에 의존하여 동일한 방식으로 정의되기 때문이다. 이 경우 (서버(S)의 메모리에 어쩌면 저장되는 관리명령에서 그리고 노드 정보에서) 정의하려는 노드의 이름은 대문자와 소문자를 섞어서 담고 있지 않고, 대문자나 소문자만 담고 있고, 그 경우 특히 만일 문제의 기기들이 대소문자 구별성 정보의 이용을 지원하지 않는 것들이라면 문제의 가능성을 줄이는 것이 추가로 가능하다. 그래서, 관리기기(TE)의 관리트리에 있는 어떠한 기기관리 명령이라도 수행할 때 서버(S)는 대소문자 구별성 정보에 따라 노드의 이름을 정의할 수 있다.
관리 서버(S)는 적어도 하나의 노드를 담고 있거나 식별하는 관리패키지를 관리 클라이언트(TE)에 송신할 수 있다(305). 관리패키지는 예를 들어 'ADD' 명령을 새로운 노드들을 위해 포함할 수 있고, 그 경우 TE는 노드들에 정의되는 정보를 자신의 메모리에 추가하고 관리트리를 갱신한다. 단계 305에서, 기기관리 프로토콜의 메커니즘들 및 그것을 위해 정의된 메시지들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OMA 기 기관리 프로토콜 및 다른 명령들의 더 상세한 기술에 대해, 예를 들어, OMA 규격인 「"SyncML Device Management Protocol", version 1.1.2, 12 June 2003, 41 pages」, 및 OMA 규격인 「"SyncML Representation Protocol Device Management Usage", version 1.1.2, 12 June 2003,39 pages」를 참조한다. 챕터 6.5에서, 후자인 규격은 관리 서버(S)가 관리 클라이언트(TE)의 관리트리에 대해 관리 명령들을 정의할 수 있게 하는 다른 프로토콜 동작 요소들을 정의한다.
기기관리 관점에서, 클라이언트 기기(TE)는 하나 이상의 노드에 연관된 대소문자 구별성 정보를 고려하여, 그리고 그에 따라 대문자와 소문자 사이를 구별하도록, 또는 노드들을 처리할 때, 예를 들어 새로운 노드를 관리트리에 저장할 때 대소문자 구별성 정보를 고려하여 구성된다. 관리 클라이언트, 이를테면 단말 설비(TE)는 도 3b에 도시된 특징들을 적용할 수 있다. 단계 310은 처리되는 노드와 연관되는 대소문자 구별성 정보를 점검하고, 그에 따라 노드는 단계 311에 관리트리에서 정의된다. 실시예에 의하면, 단계 310은 관리명령이 관리서버(S)로부터 수신될 때 시작될 수 있다. 그때 관리 클라이언트(TE)는 관리명령으로 식별된 노드와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연관된 대소문자 구별성 정보를 점검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면 관리 클라이언트(TE)는 대문자와 소문자의 차이를 고려하거나 또는 무시하여 노드 식별자를 관리트리에 이미 있는 노드들의 식별자들과 비교할 수 있다.
일 예는 ADD명령이 노드를 위해 수신되고 관리트리는 이미 동일한 이름의 노드를 가지지만 관리트리에서 그 노드의 이름(예컨대, Abc)과 관리명령에서 그 노드의 이름(aBc)은 소문자와 대문자의 사용에서 서로 다른 상황이다. 관리트리에서의 노드의 특성들이 대문자와 소문자의 대소문자 구별성을 정의한다면, 관리 클라이언트(TE)는 단계 311에서 노드 'aBc'를 노드 'Abc' 외의 새로운 노드로서 부가한다. 대소문자 구별성이 정의되어 있지 않다면, 관리 클라이언트(TE)는 ADD명령에서 정의된 노드가 이미 관리트리에 존재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에러 메시지에 의해 ADD명령에 응답한다. 그래서, 관리 클라이언트(TE)는 관리명령들을 실행할 때 대소문자 구별성을 고려할 수 있고, 노드를 관리트리에 정의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관리 클라이언트(TE)는 가져오려는 노드의 대소문자 구별성 정보를 고려하여 관리트리에서 노드의 정보를 상응하는 방식으로 GET명령에 응답하여 가져올 수 있는데, 대소문자 구별성이 GET명령에 의해 표시된 노드 'aBc'에 대해 정의된다면, 관리 클라이언트(TE)는 관리트리로부터 노드 'Abc'의 정보를 가져오그 그것을 GET명령에 따라 반환한다. 이런 식으로, 관리 클라이언트(TE)에서 대문자와 소문자를 구별할 때의 차이에 의해 야기되는 문제들을 피할 수 있고, 대소문자 구별성 정보에 따라 노드들을 구별함으로써 관리서버(S)의 괸리명령들을 정확히 실행할 수 있다. 위의 ADD 및 GET명령 예들 외에도, 관리 클라이언트(TE)는 관리서버(S)로부터 수신되는 어떤 관리명령 또는 그 밖의 곳(예컨대, 사용자인터페이스)으로부터 수신되는 어떤 명령을 처리할 때 대소문자 구별성 정보를 고려하여 관리트리의 노드를 추가 또는 수정한다. 일 예는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을 관리 클라이언트(TE)에 로딩하는 것이고, 이 경우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관리되는 정보는 대소문자 구별성 정보에 따라서 관리트리에 정의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관리 클라이언트(TE)는 예를 들어 관리서버가 관리트리의 일부를 가져올 때 노드에 대한 페치요구에 응답하여 노드에 연관된 대소문자 구별성 정보를 관리서버(S)에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대소문자 구별성 정보의 부가, 삭제 및/또는 수정은 관리 클라이언트(TE)에서 구성도리 수도 있다.
OMA DM 규격인 「"SyncML Device Management Tree and Description", version 1.1.2, 12 June 2003, 44 pages, chapter 9」에 기재된 바와 같이, 다른 장비 제조자들은 표준화된 기기기술 프레임워크(DDF)의 DTD(Document Type Description)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관리서버(S)에 대해 관리하려는 기기(TE)의 기기기술을 형성할 수 있는데, 그것은 기기특화 특성 정보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기기 기술들은 XML언어에 기초한 문서들이다. XML기반 문서들의 경우, XML언어로 사용하려는 태그들, 식별자들 사이의 요소들의 구조적 관계(!ELEMENT), 및 사용하려는 다른 XML문서정의들을 정의하는 문서유형정의 DTD가 만들어진다. XML언어에서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데이터 요소는 초기식별자(예컨대, <section>)로 시작하고 최종식별자(</section>)로 끝나며, 텍스트나 다른 요소들을 담고 있다. DTD는 모든 송신된 문서 내에 있고, 그것들은 이미 알려진 DTD이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기기 기술은 OMA기기관리 규격에서 정의된 DTD모델을 기초로 하여 정의된다. DTD모델과 그것에 기초한 기기 기술은 특히 장비 제조자와 기기 유형 및 기기에 대해 정의가능한 노드들의 속성들을 정의하는 요소들을 정의한다. 노드-특화 정보는 무엇보다도 노드의 이름, 노드까지의 경로, 노드의 실행시간(run-time)특성 및 관리서버에 대한 안정한 노드정보를 정의한다. 이 유형의 기기 기술 대신, 본 발명은 다른 유형들의 기기 기술들에 적용될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RDF(Resource Description Framework), CC/PP(Composite Capability/Preference Profiles), CIM(Common Information Model), GUP(Generic User Profile), XML스키마, 및 UML(Unified Modelling Language)와 같은 다른 기기 기술 프레임워크들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기기 기술의 DTD모델은 장비 제조자가 문제의 기기 유형의 특성들을 정의할 수 있게 하고 그래서 기기기술을 작성할 수 있게 하는 XML요소들을 정의한다. 기기 기술을 기초로 하여, 관리서버(S)는 관리명령을 기기관리 클라이언트들의 역할을 하고 있는 다른 기기들(TE)에 전달할 수 있다. 기기 기술에서, 관리되는 객체들의 형태의 관리 클라이언트의 특히 내부 소프트웨어 구조가 정의될 수 있다. 특성정보는 예를 들어, 특히 각 노드에 대해, 기기(더 상세하게는 정의하려는 노드)가 타임스탬프(이 노드가 바로 전에 변경되었을 때)의 사용을 지원하는지에 관한 정보, 또는 어떤 MIME 유형들이 노드 지원을 하는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 기술은 전형적으로는 각 기기 유형에 특화되어 있고, 제조자에 의해 제조 중에 미리 정의될 수 있다. 기기 기술이 정의될 때, 그것은 예를 들어 관리서버(S)의 메모리로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관리 클라이언트(TE)에서 기기 기술을 만들거나 수정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예를 들어, 관리 클라이언트(TE)의 소프트웨어가 업데이트되거나 또는 새로운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이 추가될 때, 기기 기술을 관리 클라이언트(TE)에서 정의하고 그것을 적어도 TE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302에서, 서버(S)는 그것의 메모리로부터 기기 기술의 적어도 부분을 기기 식별자, 이를테면 제조 식별자 및 기기유형 식별자를 기초로 하여 가져올 수 있다. 다르게는 기기 기술은, 관리 클라이언트(TE)가 관리되고 있는 경우에서조차, 다른 기기로부터 가져와 질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대소문자 구별성 정보는 기기 기술에서 적어도 하나의 노드를 위해 정의된다. 그러한 경우에, 기기 기술 문서의 DTD는 대소문자 구별성 정보의 정의를 위한 하나 이상의 요소 또는 필드를 이미 담고 있을 수 있다. 관리서버(S)는 도 3의 단계 303에서 기기 기술로부터 대소문자 구별성 정보를 점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소문자 구별성 정보는 노드의 실행시간 특성들에서, 즉 OMA 기기관리의 기기 기술의 노드-특화 RTProperties 요소들에서 정의되고, 그 경우에 기기 기술은 대소문자 구별성 정보의 정의를 위해 새로운 요소를 담고 있을 수 있다. 그러면 대소문자 구별성 정보는 적어도 페치 명령 'GET'을 그리고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소문자 구별성 정보 필드의 내용물을 변경하기 위한 교체명령 'REPLACE'을 지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노드 특성이다. 예로써, DTD는 전술한 대소문자 구별성 정보를 담고 있는 RTProperties 요소에 관해서 아래에서 보이고 있다.
<!ELEMENT RTProperties (ACL, Format, Name, Size?, Title?, TStamp?, Type, VerNo?, CSen)>
요소 'CSen'은 DTD에 추가되어 대소문자 구별성 정보를 정의하고 있다. CSen 요소의 값은 예를 들어 '대소문자 구별성(Case Sensitivity)'(대문자 및 소문자는 구별된다) 또는 '대소문자 비구별성(Case Insensitivity)'(대문자 및 소문자는 구 별되지 않는다) 또는 약어 또는 숫자일 수 있고, 그것을 기초로 하여 서버(S)는 대소문자 구별성 설정들 중의 어느 것이 적용되는지를 알 수 있다. 기기 기술 문서에서 노드의 CSen 요소는 그래서 대문자 및 소문자 사이를 구별해야 하는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관리서버(S)는 단계 303에서 CSen 요소의 내용물을 확인하도록 구성된다. 관리서버(S)는 단계 304에서 CSen 요소의 값에 따라 기기관리 명령 속에 노드를 정의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CSen 요소의 내용물은 OMA DM 규격인「 "SyncML Device Management Tree and Description", version 1.1.2, chapter 7.3」에서 기재된 바와 같은 관리트리 노드와 연관된 다른 특성들과 동일한 방식으로 관리트리로부터 가져와 질 수 있다(단계 302/303에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소문자 구별성 정보는 RTProperties 요소의 Type 부요소에서 정의되는데, 그것은 문제의 노드가 Type 특성의 사용을 지원하는지를 정의한다. 그러면 대소문자 구별성 정보는 또한 Type 요소의 값으로서 정의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대소문자 구별성 정보는 더 높은 레벨에서 'Node'요소의 새로운 자식요소(그것은 RTProperties 요소를 포함한다)로서 정의될 수 있다.
대소문자 구별성 정보는 많은 다른 방식들로, 예를 들어 대소문자 구별성 및 대소문자 비구별성이 그것들 소유의 값들을 가지는 방식으로 정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 대체물들 중의 하나만이, 예를 들어 대소문자 비구별성이 자신 소유의 값 또는 플래그를 가진다. 그러한 경우에, 대소문자 비구별성은 상기 값이 노드의 특성에서 정의된 경우에만 조정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한 노드의 기기 기술 특성들에서 또는 관리 클라이언트(TE)의 관리트리를 정의하고 관리서버(S) 에 저장되는 다른 정보에서 정의되는 대소문자 구별성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노드에 영향을 미친다. 이처럼, 대소문자 구별성 정보는 모든 노드를 위해 개별적으로 정의될 필요가 없다. 이 실시예는 많은 다른 방식들로 이행될 수 있는데,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소문자 구별성 또는 비구별성은 전체 디렉토리 트리의 하나 이상의 노드를 위한 디폴트일 수 있고, 이 디폴트는 그렇지 않다면 노드의 특성들에서 정의될 때까지 준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노드를 위해 정의된 대소문자 구별성 정보 역시 노드의 자식노드들에 적용된다. 예를 들어, 대소문자 구별성 정보를 기기 기술에서 기기관리 트리의 루트에 대해 미리 정의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 경우에, 그것은 전체 기기관리 트리에 적용될 수 있다. 만일 다른 대소문자 구별성 정보가 자식노드에서 별도로 정의된다면, 정의된 대소문자 구별성은 적어도 문제의 자식 노드에 적용될 수 있다. 그래서, 관리 트리의 가지(branch)를 따라 진행할 때, 앞서 정의된 대소문자 구별성 정보는 새로운 대소문자 구별성 정보가 노드에서 정의되고 그 다음에 관련된 자식노드에서 사용될 수 있을 때까지 유효하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소문자 구별성 정보를 정의하는 요소는 ACL(Access Control List) 특성과 동일한 방식으로 하나의 노드에서 다른 노드로 상속된다. 즉, 노드가 자신 소유의 대소문자 구별성 정보를 가지지 않는다면 서버(S)는 그 노드에 대해 부모 노드의 대소문자 구별성 정보를 정의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소문자 구별성 정보는 각 OMA DM 관리 클라이언트가 지원해야만 하고 성공적인 기기관리 세션을 위해 필요한 관리 클라이언트의 특성들을 기술하는 표준화된 DevInfo 관리객체(노드)에서의 새로운 요소로서 정의된다. 그러한 경우에, 기기 기술(또는 기기 기술 문서의 DTD)는 대소문자 구별성의 정위를 위한 요소를 가질 필요가 없지만, Devlnfo 관리객체에서 정의된 대소문자 구별성 정보는 기기의 관리트리에서의 모든 노드들에 적용된다. 몇 개의 노드들에 영향을 미치는 대소문자 구별성 정보가 Devinfo 객체 대신에 대신에, 다르게는 기기 정보 또는 프로파일을 기술하는 다른 객체에서 정의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대체 실시예에 따르면, 대소문자 구별성 정보는 또한 예를 들어 기기 기술의 프레임워크 특성들에서 하나 이상의 노드를 위해 새로운 요소 또는 프레임워크 특성으로서 정의될 수 있다. OMA DM 규격인 「"SynchML Device Management Tree and Description", version 1.1.2, chapter 9.3.4」는 현재의 프레임워크 특성들을 기술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재귀 정보는 대소문자 구별성 정보와는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예컨대, 대소문자 구별성 정보가 정의된 노드와 더불어) 연관이 있고, 그 경우에 대소문자 구별성 정보는 재귀 정보에 따라서 노드를 복제할 때 관리트리에서 복제될 수 있다.
대소문자 구별성 정보는 장비 제조자에 의해 만들어진 기기 기술에서 예를 들어 기기-특화 설정들을 포함하는 노드에서는 대문자와 소문자가 항상 구별되지만 관리서버(S)에 의해 추가된 디렉터리 트리들과 같이 다른 어떻게든지 추가된 노드들에서는 대문자와 소문자가 구별되지 않는 방식으로 미리 정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관리서버(S)는 대소문자 구별성 정보를 변경할 수 있거나 또는 파 일시스템의 구조를 기술하는 노드들과 같은 새로운 노드들(예컨대, 기기 기술에서 기술되지 않는 것들)을 위해 그것을 정의할 수 있다. 이 실시예는 만일 관리서버(S)가 예를 들어 소문자 및 대문자 사이의 차이를 구별할 수 없다면 유용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애플리케이션 개발자는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대소문자 구별성 정보를 정의한다. 즉, 애플리케이션 관리를 위해 요구된 정보를 관리트리 및/또는 기기 기술에 추가할 때 대소문자 구별성 정보 역시 그 정보에서 정의된다. 이 이후, 애플리케이션에 관련한 정보는 대소문자 구별성 정보에 따라서 위에 도시된 방식으로 관리될 수 있다.
위에 기술된 실시예들이 그것들의 어떠한 조합에라도 적용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위에 도시된 예들 대신에, 대소문자 구별성 정보는 또한 관리트리에서 다른 노드 요소의 매개변수 또는 서브 요소로서 기술될 수 있다. 이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는 기술이 발전하여도 본 발명의 기본 아이디어는 많은다른 방식들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하다. 본 발명과 그 실시예들은 위에서 설명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서 변할 수 있다.

Claims (20)

  1. 기기관리시스템에서 기기관리에 이용되는 관리구조의 노드들을 정의하는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노드는 대문자들 및 소문자들 사이를 구별할지를 정의하는 대소문자 구별성 정보와 연관되어 있고,
    적어도 하나의 노드는 대소문자 구별성 정보에 따라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노드의 특성들은 관리하려는 적어도 하나의 기기를 위해 형성된 관리구조를 위한 기기기술(device description)에서 정의되고, 기기기술은 적어도 하나의 노드를 위한 상기 정보를 포함하고,
    대소문자 구별성 정보는 기기기술로부터 점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대소문자 구별성 정보는 관리하려는 기기의 정보를 기술하는 관리구조에서 정의되고,
    대소문자 구별성 정보는 관리구조로부터 점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노드의 정보를 대소문자 구별성 정보에 따라 관리서버에서 발생된 관리명령에서 정의하고,
    관리명령을 관리되는 관리 클라이언트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새로운 노드를 만들기 위한 필요 또는 관리구조에서 이미 노드를 참조하고 있음에 응답하여 대소문자 구별성 정보를 점검하고, 대문자 및 소문자 사이를 구별함으로써 또는 그것들 간을 구별하지 않음으로써 대소문자 구별성 정보에 따라 노드의 이름을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노드와 연관되는 대소문자 구별성 정보는 제2노드에도 인가되도록 설정되고,
    제1노드의 대소문자 구별성 정보는 제2노드의 대소문자 구별성 정보를 점검하기 위한 필요에 응답하여 점검되고,
    제2노드는 제1노드와 연관된 대소문자 구별성 정보에 따라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적어도 하나의 기기관리 서버 및 관리하려는 적어도 하나의 기기관리 클라이언트를 포함하는 기기관리시스템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노드를 포함하는 관리구조 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기기관리 클라이언트를 관리하도록 구성된 기기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노드는 대문자 및 소문자 사이를 구별할지를 정의하는 대소문자 구별성 정보와 연관되고,
    기기관리시스템은 대소문자 구별성 정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노드를 정의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관리시스템.
  8. 기기관리프로토콜로 관리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관리구조의 노드를 정의하도록 구성된 데이터 처리기기에 있어서,
    데이터 처리기기는 대문자 및 소문자 사이를 구별할지를 정의하는 적어도 하나의 노드와 연관된 대소문자 구별성 정보를 점검하도록 구성되고,
    데이터 처리기기는 대소문자 구별성 정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노드를 정의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기기.
  9. 제8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노드의 특성들은 관리하려는 적어도 하나의 기기를 위해 형성된 관리구조를 위한 기기 기술에서 정의되고, 기기 기술은 적어도 하나의 노드를 위한 정보를 포함하고,
    데이터 처리기기는 기기 기술로부터 대소문자 구별성 정보를 점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기기.
  10. 제8항에 있어서, 대소문자 구별성 정보는 관리하려는 기기의 정보를 기술하는 관리구조에서 정의되고,
    데이터 처리기기는 관리구조로부터 대소문자 구별성 정보를 점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기기.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데이터 처리기기는 새로운 노드를 만들기 위한 필요 또는 관리구조에서 이미 노드를 참조하고 있음에 응답하여 대소문자 구별성 정보를 점검하도록 구성되고,
    데이터 처리기기는 대문자 및 소문자 사이를 구별함으로써 또는 그것들 간을 구별하지 않음으로써 대소문자 구별성 정보에 따라 노드의 이름을 정의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기기.
  12.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노드와 연관된 대소문자 구별성 정보는 제2노드에도 적용되도록 설정되고,
    데이터 처리기기는 제2노드의 대소문자 구별성 정보를 점검하기 위한 필요에 응답하여 제1노드의 대소문자 구별성 정보를 점검하도록 구성되고,
    데이터 처리기기는 제1노드와 연관된 대소문자 구별성 정보에 따라 제2노드를 정의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기기.
  13.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데이터 처리기기는 기기관리 클라이언트로서 소용되도록 구성되고,
    데이터 처리기기는 대소문자 구별성 정보에 따른 관리구조에 이미 저장된 노드를 참조하도록 및/또는 새로운 노드를 부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기기.
  14. 제13항에 있어서, 데이터 처리기기는 관리서버로부터 수신된 관리명령에 따라 관리구조에서 노드를 정의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기기.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데이터 처리기기는 OMA 기기관리 표준에 따르는 기기관리 클라이언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기기.
  16.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데이터 처리기기는 이동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기기.
  17. 제8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데이터 처리기기는 기기관리 서버로서 소용되도록 그리고 기기관리 클라이언트에 관리명령들을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데이터 처리기기는 대소문자 구별성 정보에 따라 관리명령에서 적어도 하나 의 노드의 정보를 정의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기기.
  18. 제17항에 있어서, 데이터 처리기기는 OMA 기기관리 표준에 따르는 기기관리 서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기기.
  19. 데이터 처리기기의 메모리에 다운로드 가능한 컴퓨터프로그램 생성물에 있어서, 컴퓨터프로그램 생성물은 데이터 처리기기의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때 데이터처리기기가
    기기관리 프로토콜로 관리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관리구조의 적어도 하나의 노드의 대소문자 구별성 정보를 점검하는 동작으로서, 대소문자 구별성 정보는 대문자 및 소문자를 구별할지를 정의하는 동작, 및
    대소문자 구별성 정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노드를 정의하는 동작
    을 하도록 하는 컴퓨터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프로그램 생성물.
  20. 기기관리 프로토콜에 의해 관리하려는 정보를 포함하는 관리구조의 노드들을 정의하는 데이터 처리기기를 제어하는 데이터 처리기기에 의해 판독가능한 데이터구조에 있어서, 데이터구조는, 대문자 및 소문자 사이를 구별하는 것 또는 그것들 간을 구별하지 않는 것에 의해 대소문자 구별성 정보에 따라 노드를 정의하는 데이터 처리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노드에 연관된 대소문자 구별성 정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구조.
KR1020067015506A 2004-01-30 2005-01-28 기기관리 시스템에서의 노드 정의 KR1008317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20040141A FI120613B (fi) 2004-01-30 2004-01-30 Solmujen määrittäminen laitteenhallintajärjestelmässä
FI20040141 2004-0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3844A true KR20070003844A (ko) 2007-01-05
KR100831754B1 KR100831754B1 (ko) 2008-05-23

Family

ID=30129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5506A KR100831754B1 (ko) 2004-01-30 2005-01-28 기기관리 시스템에서의 노드 정의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EP (1) EP1709548B1 (ko)
JP (1) JP2007520007A (ko)
KR (1) KR100831754B1 (ko)
CN (1) CN1914606A (ko)
AT (1) ATE387670T1 (ko)
AU (1) AU2005208065B2 (ko)
DE (1) DE602005005018T2 (ko)
ES (1) ES2300989T3 (ko)
FI (1) FI120613B (ko)
HK (1) HK1096465A1 (ko)
MY (1) MY139197A (ko)
TW (1) TW200538950A (ko)
WO (1) WO200507386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8663B1 (ko) * 2007-12-03 2015-02-0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Dm 서비스 세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467B1 (ko) * 2005-10-01 2007-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그 관리 객체를 이용한 장치관리 시스템 및 해당시스템에서의 로깅 데이터 생성 및 제어 방법
CN100428693C (zh) * 2006-03-13 2008-10-22 华为技术有限公司 分区域管理用户设备功能的方法和用户设备
CN101437071B (zh) 2007-11-15 2011-09-28 华为技术有限公司 终端设备管理树管理对象实例化的方法及设备
US8775579B2 (en) * 2010-01-13 2014-07-08 Htc Corporation Method for addressing management object in management tree and associated device management system
US9026582B2 (en) 2010-03-23 2015-05-05 Htc Corporation Device management methods and related apparatus for enhancing applicability of status messages in response to command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44683B2 (en) 2001-10-10 2010-11-30 Juniper Networks, Inc. String matching method and device
DE60224849T2 (de) * 2002-04-30 2009-01-22 Nokia Corp.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verwaltung des baumdatenaustauschs
US20040044659A1 (en) * 2002-05-14 2004-03-04 Douglass Russell Judd 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and retrieving structured, semi-structured and unstructured cont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8663B1 (ko) * 2007-12-03 2015-02-0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Dm 서비스 세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I120613B (fi) 2009-12-15
EP1709548B1 (en) 2008-02-27
DE602005005018D1 (de) 2008-04-10
FI20040141A0 (fi) 2004-01-30
MY139197A (en) 2009-08-28
FI20040141A (fi) 2005-07-31
HK1096465A1 (en) 2007-06-01
TW200538950A (en) 2005-12-01
DE602005005018T2 (de) 2008-06-12
KR100831754B1 (ko) 2008-05-23
ATE387670T1 (de) 2008-03-15
AU2005208065A1 (en) 2005-08-11
AU2005208065B2 (en) 2010-04-01
JP2007520007A (ja) 2007-07-19
WO2005073868A1 (en) 2005-08-11
CN1914606A (zh) 2007-02-14
EP1709548A1 (en) 2006-10-11
ES2300989T3 (es) 2008-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19664B2 (en) Defining nodes in device management system
RU2390952C2 (ru) Определение узлов управления в системе управления устройством
US7269821B2 (en) Method and device for management of tree data exchange
KR100737991B1 (ko) 관리 오브젝트들의 우선순위화
EP1644842B1 (en) Method; system; data processing device and computer program for specifying nodes in device management system
US8745190B2 (en) Method for providing node information, method for acquiring node information, and device
KR20080087891A (ko) 의존성 통지
KR100831754B1 (ko) 기기관리 시스템에서의 노드 정의
US7734728B2 (en) Addressing a management object
US20230308348A1 (en) Server to support client data models from heterogeneous data sources
KR20100067332A (ko) 의존성 통지
JP2010244564A (ja) 移動通信装置用の装置管理用ツリーの設定を可能にするオブジェクトを定義する方法およ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