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2494A - 백라이트 유닛 - Google Patents

백라이트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2494A
KR20070002494A KR1020050058054A KR20050058054A KR20070002494A KR 20070002494 A KR20070002494 A KR 20070002494A KR 1020050058054 A KR1020050058054 A KR 1020050058054A KR 20050058054 A KR20050058054 A KR 20050058054A KR 20070002494 A KR20070002494 A KR 200700024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uct
lamp
substrate
led
backligh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8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빈
장명기
김은주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8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02494A/ko
Publication of KR20070002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24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3Direct backlight with LE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6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12Electrical detai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28Illuminating devices with cool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백라이트 유닛의 방열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백라이트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백라이트 유닛은 복수의 램프가 설치된 램프 어레이와, 상기 램프 어레이의 상기 램프로부터 발생된 열을 흡수하는 기판과, 상기 기판의 저부를 감싸도록 바텀 커버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기판으로 전달된 열을 흡수하는 압출바와, 인접한 상기 압출바 간에 설치되어 공기가 유동하는 통로로 기능하는 에어 덕트와, 상기 바텀 커버와 결합되는 몰드 프레임의 일측부에 설치되어 상기 에어 덕트를 통해 흐르는 공기의 유동을 제어하는 일렉트리컬 팬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백라이트 유닛{BACK LIGHT UNIT}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백라이트 유닛의 에어 덕트를 흐르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a) 및 (b)는 도 1에 도시된 백라이트 유닛과 도 2에 도시된 백라이트 유닛의 방열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도시한 시뮬레이션(simulation) 결과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1 : 바텀 커버 2, 12 : 광학시트
3, 13 : 램프(LED) 4, 14 : 반사판
5, 15 : MCPCB 6, 16 : 솔더링 레그
7, 17 : 방열판 18 : 에어 덕트
19 : 패드 20 : 압출바
30 : 일렉트리컬 팬
본 발명은 백라이트 유닛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직하방식의 백라이트 유닛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정보처리장치는 다양한 형태, 다양한 기능 및 고속의 정보처리 속도를 갖도록 급속하게 발전되고 있다. 이러한 정보처리장치에서 처리된 정보는 전기적인 신호 형태를 갖는다. 따라서, 사용자가 정보처리장치에서 처리된 정보들을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해서는 인간이 눈으로 볼 수 있도록 제공하는 표시장치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표시장치 중 널리 각광받고 있는 장치가 평판표시장치이다. 평판표시장치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FED(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ELD(Electro Luminescence Display Device) 및 PDP(Plasma Display Pannels) 등이 있다.
이러한 평판표시장치 중 액정표시장치는는 액정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평판표시장치이 하나로서, 다른 표시장치에 비해 컨트라스트 비(contrast ratio)가 크고, 제조 표시나 동화상 표시에 적합하며 전력소비가 적다는 특징 때문에 노트북 컴퓨터에 테스크탑 모니터 및 액정 TV에 이르기까지 그 영역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액정표시패널과, 이 액정표시 패널에 광을 제공하기 위한 백라이트 유닛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백라이트 유닛은 광을 발생하는 램프가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크게 에지방식과 직하방식으로 분류된다.
먼저, 에지방식은 도광판(Light Guide Panel; LGP)의 측면에 램프가 배치된다. 이러한 에지방식은 박형화에 유리하기 때문에 비교적 크기가 작은 액정표시장치에 적용된다. 이에 반해, 직하방식은 액정표시패널의 하부에 복수의 램프, 예컨대, LED(Light Emitting Diode)가 병렬로 배치된다. 이러한 직하방식은 복수의 램프로부터 발생된 광이 액정표시패널에 직접적으로 공급되므로 대화면 액정표시장치에 주로 사용된다.
이하, 종래기술에 따른 직하방식의 백라이트 유닛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직하방식의 백라이트 유닛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백라이트의 상부에 설치된 액정표시패널(미도시)로 광을 방출하는 램프(3), 예컨대 LED와, LED(3)의 하부에 부착되어 액정표시패널의 반대쪽으로 새어 나온 광을 반사하는 반사판(Alset reflector, 4)과, LED(3)의 상부에 위치되어 LED(3)로부터 나온 광을 액정표시패널로 공급하는 광학시트(2)와, LED(3)의 하단에 설치되어 LED(3)를 구동시키는 구동회로 패턴이 성형되어 있으며, LED(3)로부터 발생된 열을 방열시키기 위해 알루미늄 기판으로 이루어진 MCPCB(Metal Core Printed Circuit Board, 5)와, LED(3)와 MCPCB(5)를 연결하는 솔더링 레그(soldering leg, 6)와, 상기 구성요소들을 수납하여 고정시켜주는 몰드 프레임(mold frame, 미도시)과, 바텀 커버(bottom cover, 1)를 포함한다.
액정표시패널은 다수의 데이터라인들과 다수의 스캔라인들이 교차되게 배열되고 상부 및 하부기판의 사이에 액정셀들이 액티브 매트릭스(active matrix)형태로 배열된다. 또한, 액정표시패널에는 액정셀들 각각에 전계를 인가하기 위한 화소전극들과 공통전극이 형성된다. 다수의 데이터라인들과 다수의 스캔라인들의 교차부에는 스캔신호에 응답하여 화소전극에 인가될 데이터전압을 스위칭하기 위한 박막트랜지스터들(Thin Film Transister; TFT)이 형성된다. 이러한 액정표시패널에는 테이프 케리어 패키지(Tape Carrier Package; TCP)를 통해 게이트 드라이브(gate drive) 집적회로들과 데이터 드라이브(data drive) 집적회로들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LED(3)는 적색 발광 다이오드, 녹색 발광 다이오드 및 청색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며, 솔더링 레그(6)를 통해 MCPCB(5)로부터 공급되는 구동전압에 의해 발광하여 적색, 녹색 및 청색의 광을 발생하여 광학시트(2)로 발산한다. 이러한, LED(3)는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방열판(heat sink, 7) 상부에 안착 설치된다. 방열판(7)은 LED(3)로부터 발생된 열을 흡수하여 MCPCB(5)로 전달한다. 이렇게 방열판(7)으로부터 열을 전달받은 MCPCB(5)는 바텀 커버(1)로 전달하여 방출시킨다.
광학시트(2)는 LED(3)로부터 나온 광을 균일하게 확산시켜 주는 확산 시트 와, 이 확산 시트의 상부에 위치하여 확산 시트에서 확산된 광을 집광시켜 액정표시패널로 전달하는 프리즘 시트와, 프리즘 시트의 상부에 위치하여 프리즘 시트를 보호하는 보호시트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광학시트(2)는 몰드 프레임 내부에 수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백라이트 유닛의 열 방출 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LED(3)가 발광하여 광을 출사할 때, LED(3)에서 발생된 열은 방열판(7)을 통해 흡수되고, 방열판(7)에 흡수된 열은 방열판(7)의 하부에 설치된 MCPCB(5)로 다시 전달되고, 이렇게 MCPCB(5)로 전달된 열은 MCPCB(5)를 수납하는 바텀 커버(1)로 전달된다. 바텀 커버(1)는 최종적으로 MCPCB(5)로부터 전달받은 열을 외부로 방출함으로써 복수개의 LED(3)의 내부 온도를 적정한 수준으로 유지시키게 된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LED(3)가 복수개로 구성되어 LED 어레이를 형성하는 경우 복수개의 LED(3) 각각에 할당되는 방열판(7)만으로는 전체 LED 어레이 내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출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각 방열판(7)에서 전달된 열은 각각의 MCPCB(5)를 통해 바텀 커버(1)로 전달되어 외부로 원만하게 방출되지 않아 LED(3)의 온도가 상승하여 소자의 동작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백라이트 유닛의 방열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백라이트 유닛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복수의 램프가 설치된 램프 어레이와, 상기 램프 어레이의 상기 램프로부터 발생된 열을 흡수하는 기판과, 상기 기판의 저부를 감싸도록 바텀 커버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기판으로 전달된 열을 흡수하는 압출바와, 인접한 상기 압출바 간에 설치되어 공기가 유동하는 통로로 기능하는 에어 덕트와, 상기 바텀 커버와 결합되는 몰드 프레임의 일측부에 설치되어 상기 에어 덕트를 통해 흐르는 공기의 유동을 제어하는 일렉트리컬 팬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압출바는 알루미늄을 이용하여 압착 성형되어 제작된다. 또한, 상기 압출바는 상기 에어 덕트의 내부를 흐르는 공기에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에어 덕트의 내부 일측부에는 상기 에어 덕트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센서가 더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일렉트리컬 팬은 상기 온도 감지센서로부터 송신된 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상기 에어 덕트 내부를 흐르는 공기의 유량 및 유속을 조절한다. 또한, 상기 일렉트리컬 팬은 상기 램프 어레이를 경계로 인접한 상기 에어 덕트 내부를 통해 유동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이 교번적으로 서로 다른 방향을 갖도록 인접한 상기 에어 덕트의 서로 상반된 방향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램프의 하부에 부착되어 액정표시패널의 반대쪽으로 새어 나온 광을 반사하는 반사판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일렉트리컬 팬의 일부는 상기 반사판의 저부를 지지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램프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램프로부터 나온 광을 액정표시패널로 공급하는 광학시트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광학시트는, 상기 램프로부터 나온 광을 균일하게 확산시켜 주는 확산 시트와, 상기 확산 시트의 상부에 위치하여 확산 시트에서 확산된 광을 집광시켜 액정표시패널로 전달하는 프리즘 시트와, 상기 프리즘 시트의 상부에 위치하여 프리즘 시트를 보호하는 보호시트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램프는 LED로 이루어지며, 상기 LED는 적색 발광 다이오드, 녹색 발광 다이오드 및 청색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LED와 상기 기판을 접속시키는 솔더링 레그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LED와 상기 기판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LED로부터 발생된 열을 방열하는 방열판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기판은 MCPCB이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 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배면이 바텀 커버(11)를 통해 지지되고, 상부는 MCPCB(15)의 저부를 감싸도록 일정한 높이로 설치된 압출바(extrusion bar, 20)와, 바텀 커버(11)와 반사판(14)에 의해 고립되어 압출바(20)의 높이에 의해 인접한 압출바(20) 사이의 공간에 설치된 에어 덕트(air duct, 18)와, 에어 덕트(18)를 통해 공기를 유동시켜 램프(13)로부터 MCPCB(15) 및 압출바(20)로 전달된 열을 방열시키는 일렉트릭컬 팬(electrical 30)을 포함한다.
압출바(20)는 열전도성이 좋은 알루미늄 물질을 이용하여 압출 성형을 통해 제작한다. 이러한 압출바(20)는 MCPCB 기판(15)의 저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일부는 반사판(14)을 지지하도록 'Y'자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압출바(20)는 램프(13)로부터 MCPCB(15)로 전달된 열을 흡수하여 에어 덕트(18)를 통해 유동하는 공기에 노출시켜 방열하도록 가급적 에어 덕트(18)로 노출되는 면적을 최대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소자의 박형화를 고려하는 범위 내에서 그 높이를 최대화하여 제작하도록 한다.
에어 덕트(18)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램프(13)가 형성된 램프 어레이 간에 설치되며, 일렉트리컬 팬(30)을 통해 인위적으로 발생된 공기가 흐르는 통로가 된다. 에어 덕트(18) 각각에는 적어도 하나의 일렉트리컬 팬(30)이 설치되어 공기의 유동을 형성한다. 이때, 에어 덕트(18) 각각에서 공기의 유동방향이 동일할 경우 공기의 유입구와 출입구 사이의 온도차가 크게 발생되어 소자 특성에 나쁜 영향을 미치므로 동도면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과 같이 교번적으로 서로 다른 방향을 갖도록 공기의 유동방향을 제어한다. 이러한 공기의 유동방향은 일렉트리컬 팬(30)을 통해 제어한다.
일렉트리컬 팬(30)은 바텀 커버(11)와 결합되어 램프(13), 반사판(14), MCPCB(15), 압출바(20), 에어 덕트(18) 및 광학시트(12)와 같은 구성요소를 수납하는 몰드 프레임(미도시)의 일측부에 체결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일렉트리컬 팬(30)은 각 에어 덕트(18)에 대응되는 부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되, 각 에어 덕트(18)마다 공기의 유동방향을 교번적으로 램프(13) 어레이의 설치방향으로 좌에서 우 또는 우에서 좌로 서로 다르게 형성하기 위하여 교번적으로 서로 상반된 방향에 설치된다.
한편, 일렉트리컬 팬(30)은 에어 덕트(18) 내의 온도에 따라 구동력이 제어될 수도 있는데, 이를 위해 에어 덕트(18) 내부에 온도 감지센서(미도시)를 설치한다. 예컨대, 온도 감지센서는 실시간으로 에어 덕트(18) 내부의 온도를 감지한 후 감지된 온도에 대응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일렉트리컬 팬(30)으로 송신한다. 일렉트리컬 팬(3)은 내부에 내장된 신호 처리부(미도시)를 통해 온도 감지센서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처리하여 팬의 회전력을 적절히 제어한다. 예컨대, 에어 덕트(18)의 온도가 높으면 팬의 회전력을 증대시켜 에어 덕트(18)를 통해 흐르는 공기의 유속을 증대시키고, 온도가 낮으면 팬의 회전을 감소시켜 에어 덕트(18)를 통해 흐르는 공기의 유속을 감소시킨다. 이로써, 에어 덕트(18)마다 일정한 온도를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백 라이트의 상부에 설치된 액정표시패널(미도시)은 다수의 데이터라인들과 다수의 스캔라인들이 교차되게 배열되고 상부 및 하부기판의 사이에 액정셀들이 액티브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다. 또한, 액정표시패널에는 액정셀들 각각에 전계를 인가하기 위한 화소전극들과 공통전극이 형성된다. 다수의 데이터라인들과 다수의 스캔라인들의 교차부에는 스캔신호에 응답하여 화소전극에 인가될 데이터전압을 스위칭하기 위한 박막트랜지스터들이 형성된다. 이러한 액정표시패널에는 테이프 케리어 패키지를 통해 게이트 드라이브 집적회로들과 데이터 드라이브 집적회로들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램프(13)는 LED로 이루어지면, LED는 적색 발광 다이오드, 녹색 발광 다이오드 및 청색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며, 솔더링 레그(16)를 통해 MCPCB(15)로부터 공급되는 구동전압에 의해 발광하여 적색, 녹색 및 청색의 광을 발생하여 광학시트(12)로 발산한다. 이러한, LED는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방열판(17) 상부에 안착 설치된다. 방열판(17)은 LED로부터 발생된 열을 흡수하여 MCPCB(15)로 전달한다. 이렇게 방열판(17)으로부터 열을 전달받은 MCPCB(15)는 압출바(20)로 전달하여 방출시킨다.
광학시트(12)는 램프(13)로부터 나온 광을 균일하게 확산시켜 주는 확산 시트와, 이 확산 시트의 상부에 위치하여 확산 시트에서 확산된 광을 집광시켜 액정표시패널로 전달하는 프리즘 시트와, 프리즘 시트의 상부에 위치하여 프리즘 시트를 보호하는 보호시트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광학시트(12)는 몰드 프레임 내부에 수납된다.
한편, 도 2에 도시되고, 미설명된 '19'는 패드(pad)로서, 반사판(14)과 MCPCB(15) 간의 절연을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서, 경우에 따라서는 설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백라이트 유닛의 열 방출 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램프(13)가 발광하여 광을 출사할 때, 램프(13)에서 발생된 열은 방열판(17)을 통해 흡수되고, 방열판(17)에 흡수된 열은 방열판(17)의 하부에 설치된 MCPCB(15)로 다시 전달되고, MCPCB(15)로 전달된 열은 하부에 설치된 압출바(20)로 전달된다. 압출바(20)로 전달된 열은 에어 덕트(18)를 통해 유동하는 공기에 의해 냉각되어 방열된다. 즉, 공기 냉각방식을 통해 압출바(20)로 흡수된 열은 방열되게 된다. 이때, 에어 덕트(18) 내에 설치된 온도 감지센서를 통해 일렉트리컬 팬(30)의 동작을 적절히 제어하여 백라이트 유닛 내부가 항상 동일한 온도로 유지되도록 한다.
도 4의 (a)와 (b)는 도 1에 도시된 종래기술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과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방열 특성을 비교한 시뮬레이션(simulation) 결과도로서, 도 4의 (a)는 도 1에 도시된 종래기술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방열 특성 시뮬레이션 결과도이고, 도 4의 (b)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이트 유닛의 방열 특성 시뮬레이션 결과도이다.
도 4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경우 내부 최고 온도가 종래기술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에 비해 35℃ 이상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즉, 일렉트리컬 팬(30)의 구동력에 기인한 공기의 유량 및 속도와 에어 덕트(18)의 유로 크기를 설계시 스펙(spec)에 따라 능동적으로 제어하여 램프(13)의 온도 요구 조건을 만족하는 수준의 온도 감소를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그 내부에 압출바, 에어 덕트 그리고 일렉트리컬 팬을 설치하여 램프에서 발생된 열을 안정적으로 방열시켜 소자의 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14)

  1. 복수의 램프가 설치된 램프 어레이와,
    상기 램프 어레이의 상기 램프로부터 발생된 열을 흡수하는 기판과,
    상기 기판의 저부를 감싸도록 바텀 커버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기판으로 전달된 열을 흡수하는 압출바와,
    인접한 상기 압출바 간에 설치되어 공기가 유동하는 통로로 기능하는 에어 덕트와,
    상기 바텀 커버와 결합되는 몰드 프레임의 일측부에 설치되어 상기 에어 덕트를 통해 흐르는 공기의 유동을 제어하는 일렉트리컬 팬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바는 알루미늄을 이용하여 압착 성형되어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3.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바는 상기 에어 덕트의 내부를 흐르는 공기에 노출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덕트의 내부 일측부에는 상기 에어 덕트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센서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일렉트리컬 팬은 상기 온도 감지센서로부터 송신된 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상기 에어 덕트 내부를 흐르는 공기의 유량 및 유속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6. 제 1 항, 제 4 항 및 제 5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일렉트리컬 팬은 상기 램프 어레이를 경계로 인접한 상기 에어 덕트 내부를 통해 유동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이 교번적으로 서로 다른 방향을 갖도록 인접한 상기 에어 덕트의 서로 상반된 방향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의 하부에 부착되어 액정표시패널의 반대쪽으로 새어 나온 광을 반사하는 반사판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일렉트리컬 팬의 일부는 상기 반사판의 저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9. 제 1 항, 제 2 항, 제 4 항, 제 5 항, 제 7 항 및 제 8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램프로부터 나온 광을 액정표시패널로 공급하는 광학시트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시트는,
    상기 램프로부터 나온 광을 균일하게 확산시켜 주는 확산 시트와,
    상기 확산 시트의 상부에 위치하여 확산 시트에서 확산된 광을 집광시켜 액정표시패널로 전달하는 프리즘 시트와,
    상기 프리즘 시트의 상부에 위치하여 프리즘 시트를 보호하는 보호시트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11. 제 1 항, 제 2 항, 제 4 항, 제 5 항, 제 7 항 및 제 8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는 LED로 이루어지며, 상기 LED는 적색 발광 다이오드, 녹색 발광 다이오드 및 청색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LED와 상기 기판을 접속시키는 솔더링 레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LED와 상기 기판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LED로부터 발생된 열을 방열하는 방열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MCPC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KR1020050058054A 2005-06-30 2005-06-30 백라이트 유닛 KR200700024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8054A KR20070002494A (ko) 2005-06-30 2005-06-30 백라이트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8054A KR20070002494A (ko) 2005-06-30 2005-06-30 백라이트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2494A true KR20070002494A (ko) 2007-01-05

Family

ID=37869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8054A KR20070002494A (ko) 2005-06-30 2005-06-30 백라이트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0249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81395A (zh) * 2020-01-21 2020-07-07 奥提赞光晶(山东)显示科技有限公司 一种电控连续变焦透镜、制备方法和曝光系统
CN114019717A (zh) * 2021-09-18 2022-02-08 信阳市谷麦光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高效稳定量子点发光led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81395A (zh) * 2020-01-21 2020-07-07 奥提赞光晶(山东)显示科技有限公司 一种电控连续变焦透镜、制备方法和曝光系统
CN111381395B (zh) * 2020-01-21 2023-11-28 奥提赞光晶(山东)显示科技有限公司 一种电控连续变焦透镜、制备方法和曝光系统
CN114019717A (zh) * 2021-09-18 2022-02-08 信阳市谷麦光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高效稳定量子点发光led
CN114019717B (zh) * 2021-09-18 2023-10-24 信阳市谷麦光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高效稳定量子点发光le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7865B1 (ko) 액정표시장치
EP1717632A1 (en) Cooling arrangement for a liquid crystal display
EP2607949A1 (en) Display module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JP2009098310A (ja) 液晶表示装置
WO2012001998A1 (ja) 照明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表示装置
KR20080008751A (ko) 표시 장치
KR20140126912A (ko) 디지털 사이니지
KR20070076879A (ko) 액정표시장치모듈
JP2008304630A (ja) 液晶表示装置
JP4777469B1 (ja) 照明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表示装置
JP2010192174A (ja) 照明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TW201524311A (zh) 顯示裝置
JP5479215B2 (ja) 表示装置
JP2007041476A (ja) バックライト
KR102100234B1 (ko)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갖춘 디스플레이 장치
EP3385782A1 (en) Lcd display device
KR101323456B1 (ko) 액정표시장치
KR20070002494A (ko) 백라이트 유닛
KR20110099449A (ko) 발광 다이오드 백라이트 장치
KR102532934B1 (ko) 냉각 효율을 높인 고휘도용 양면 사이니지 디스플레이 장치
KR101729776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101679077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20090119405A (ko) 백라이트 유닛
KR20040082132A (ko) 백라이트 장치
KR20090032620A (ko) 백라이트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