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1858A - 방제차량의 정속주행 및 약액 정량 살포방법 - Google Patents

방제차량의 정속주행 및 약액 정량 살포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1858A
KR20070001858A KR1020060127499A KR20060127499A KR20070001858A KR 20070001858 A KR20070001858 A KR 20070001858A KR 1020060127499 A KR1020060127499 A KR 1020060127499A KR 20060127499 A KR20060127499 A KR 20060127499A KR 20070001858 A KR20070001858 A KR 200700018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engine
vehicle
main control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7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27616B1 (ko
Inventor
황인성
Original Assignee
(주)한성티앤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성티앤아이 filed Critical (주)한성티앤아이
Priority to KR1020060127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7616B1/ko
Publication of KR20070001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18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7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76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1/00Vehicle fittings, acting on a single sub-unit only,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vehicle speed, i.e. preventing speed from exceeding an arbitrarily established velocity or maintaining speed at a particular velocity, as selected by the vehicle operator
    • B60K31/18Vehicle fittings, acting on a single sub-unit only,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vehicle speed, i.e. preventing speed from exceeding an arbitrarily established velocity or maintaining speed at a particular velocity, as selected by the vehicle operator including a device to audibly, visibly, or otherwise signal the existence of unusual or unintended speed to the driver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Special Spray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제차량을 이용하여 농작물에 약액을 살포함에 있어, 약액이 살포되면서 주행되는 방제차량이 경사진 언덕길 주행 시, 주행속도가 느려지고 엔진출력이 떨어져 살포되는 약액의 살포량이 변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방제차량이 언덕길을 주행하는 경우에, 메인 콘트롤부에서 이를 감지하여 엔진 및 H.S.T(HYDRO STATIC TRANSMISSION)를 자동 변속시켜 정속주행이 이루어지면서 정량의 약액이 살포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엔진에 의한 동력을 이용하여 주행이 이루어지고 약액살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방제차량에 있어서, 동력원으로 사용되는 엔진의 출력rpm과 주행속도 변속을 위한 H.S.T를 자동 제어할 수 있도록 메인 콘트롤부가 구비되고, 방제차량이 약액을 살포하며 주행하는 과정에서, 경사진 언덕길에 의해 주행속도가 느려지고 엔진출력이 떨어지게 되면, 메인 콘트롤부에 의해 구동부가 작동되어 H.S.T의 변속레버를 위치 변화시켜 언덕길 주행 시에도 정속주행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메인 콘트롤부에 의해 엔진 출력을 향상시켜 정속주행과 약액의 일정한 정량 살포가 자동으로 보상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방제차량, 약액, 메인콘트롤부, 구동부, 정속주행

Description

방제차량의 정속주행 및 약액 정량 살포방법{Agricultural Prevention Vehicle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제차량의 정속주행 및 약액 정량 살포방법을 나타내는 요부 확대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제차량의 정속주행 및 약액 정량 살포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제차량의 정속주행 및 약액 정량 살포방법을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엔진 3:H.S.T
10:메인콘트롤부 11:구동부
본 발명은 방제차량의 정속주행 및 약액 정량 살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방제차량을 이용하여 농작물에 약액을 살포함에 있어, 약액이 살포되면서 주행되는 방제차량이 경사진 언덕길 주행 시, 주행속도가 느려지고 엔진출 력이 떨어져 살포되는 약액의 살포량이 변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방제차량이 언덕길을 주행하는 경우에, 메인 콘트롤부에서 이를 감지하여 엔진 및 H.S.T 밋션(이하, H.S.T라 칭함)을 자동 변속시켜 정속주행이 이루어지면서 정량의 약액이 살포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농작물을 경작하기 위해서는 작물에 유해한 해충이나 병충(병원균) 등을 방제하기 위한 약액 살포가 요구되며, 특히, 과수원과 같이, 다년생 과실수(사과, 배, 복숭아, 포도 등)를 경작하는 경우에는 병충해 예방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과실수는 병충해에 감염되면, 재생이 어렵고 수명이 단축되며, 과실수확량과 직결되어 생산성이 크게 저하되는 바, 적절한 시기에 예상되는 병충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주기적인 방제작업이 요구된다.
과수원에서 과실수의 병충해 예방을 위해 실시되고 있는 방제작업은 모터펌프를 이용하여 약액이 살포장치를 통해 고압상태로 분사되도록 하는 방식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으며, 분사장치를 작업자가 직접 들고 다니는 수작업에 의한 방제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수작업에 의해 방제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는 많은 인력과 작업시간이 요구되므로 효율적이지 못하고, 특히, 살포되는 유독성의 약액에 작업자가 무방비하게 노출된 상태이므로, 호흡기를 통해 유독성의 약액이 몸안으로 유입되어 각종 질병을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는 실정으로서, 수작업에 의한 방제작업시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자동 방제를 위한 캐빈 방제차량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약액 살포를 위한 방제차량은 엔진을 동력원으로 사용하여 주행 및 약액 살포가 함께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차량형태로 탑승 된 상태에서, 주행하며 약액을 살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제차량을 이용하여 약액을 살포함에 있어, 약액살포가 이루어지는 농지의 지면이 평평하고 고른 경우에는 별다른 문제가 발생되지 않으나, 대부분의 농지는 울퉁불퉁하고 경사지게 이루어져 있으므로, 방제차량이 약액을 살포하며 주행하는 과정에서, 경사진 언덕길을 주행하게 되면, 방제차량의 출력 즉, 주행 및 약액 살포를 위한 엔진출력(rpm)이 떨어지고 주행속도가 느려지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방제차량의 엔진출력이 떨어지고 주행속도가 느려지게 되면, 살포되는 약액의 살포 압력이 떨어져 살포량이 일정하지 않게 되고, 특히, 주행속도가 느려지게 되면, 살포되는 약액이 고르게 분포되지 않고 느리게 주행되는 부위에서는 보다 더 많은 시간 동안 약액이 살포되므로, 특정 부위에 약액이 과다하게 살포되므로 약해를 입거나 약액을 낭비하게 되는 등의 폐단을 안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폐단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방제차량을 이용하여 약액을 살포함에 있어, 주행이 이루어지면서 약액이 살포되는 방제차량이 경사진 언덕길을 주행하게 되는 경우에, 주행속도가 느려지고 엔진출력이 떨어지는 것을 메인 콘트롤러에서 자동 감지하고 연산처리하여 구동부를 작동시 켜 엔진출력을 높이고 주행을 위한 H.S.T를 조작하여 언덕길의 경사각도로 인해 느려지는 주행속도를 자동 보상하여 방제차량이 정속주행과 약액의 정량 살포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형태의 방제차량의 정속주행 및 약액 정량 살포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엔진에 의한 동력을 이용하여 주행이 이루어지고 약액살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방제차량에 있어서, 동력원으로 사용되는 엔진의 출력rpm과 주행속도 변속을 위한 H.S.T를 자동 제어할 수 있도록 메인 콘트롤부가 구비되고, 방제차량이 약액을 살포하며 주행하는 과정에서, 경사진 언덕길에 의해 주행속도가 느려지고 엔진출력이 떨어지게 되면, 메인콘트롤부에 의해 구동부가 작동되어 H.S.T의 변속레버를 위치 변화시켜 언덕길 주행시에도 정속주행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메인콘트롤부에 의해 엔진 출력을 향상시켜 정속주행과 약액의 일정한 정량살포가 자동으로 보상되어 이루어지도록 된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메인 콘트롤부는 지면의 경사각도, 노면상태 등 농장의 조건에 따른 방제차량의 적정한 주행속도와 엔진rpm 값이 운전자에 의해 임의적으로 설정 및 저장되고, 주행 중인 방제차량의 언덕길의 경사각에 따라 H.S.T 및 엔진의 출력 변화에 따라 입력된 데이타와 운전자가 설정한 데이타 값을 비교 연산처리하여 그에 보상되는 만큼의 H.S.T와 엔진출력을 향상시켜 항시 일정량의 약액 살포가 이루어지고 정속주행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제차량의 정속주행 및 약액 정량 살포방법은 메인 콘트롤부(10)에서 동력원으로 사용되는 엔진(2)의 출력rpm과 주행속도 변속을 위한 H.S.T(3)를 자동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메인 콘트롤부(10)에서는 방제차량이 약액을 살포하며 주행하는 과정에서, 경사진 언덕길에 의해 주행속도가 느려지고 엔진출력이 떨어지게 되면, 구동부(11)가 작동되어 H.S.T의 변속레버(4)를 위치 변화시켜 언덕길 주행시에도 정속주행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메인콘트롤부(10)에 의해 엔진(2)의 출력을 향상시켜 정속주행과 약액의 일정한 정량살포가 자동으로 보상되는 것이다.
이때, 메인콘트롤부(10)는 지면의 경사각도, 노면상태 등 농장의 조건에 따른 방제차량의 적정한 주행속도와 엔진rpm 값이 운전자에 의해 임의적으로 설정 및 저장되고, 주행 중인 방제차량의 언덕길의 경사각에 따라 H.S.T(3) 및 엔진(2)의 출력 변화에 따라 입력된 데이타와 운전자가 설정한 데이타 값을 비교 연산처리하여 그에 해당되는 만큼 H.S.T(3)와 엔진출력(2)이 구동부(11)에 의해 보상되어 정량의 약액 살포가 이루어지고 정속주행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메인콘트롤부(10)에는 주행속도 및 약액정량 살포 이상 유무에 대한 상태를 사용자가 식별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5)가 연결되고, 디스플레이부(5)는 방제차량의 운전석 전면패널(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설치되며, 엔진(2)에 의해 발생된 동력이 H.S.T(3)를 거쳐 차륜축(6)을 통해 차륜(7)에 전달되어 주행을 위한 회전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상기 차륜축(6)에는 주행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센 서(8)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메인콘트롤부(10)에 입력되는 경사면에 대한 H.S.T(3) 및 엔진(2)출력 rpm은 실질적인 농지의 환경과 살포하고자 하는 약액의 종류에 따라 설정값이 정해지게 되며, 데이타값은 CPU와 메모리칩 등에 의해 자동으로 비교 연산처리되어 상황에 따라 알맞는 보상값이 설정되는 것으로서, 이에 대해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데이타 측정에 대한 기술이므로 도면표기 및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제차량의 정속주행 및 약액 정량 살포방법을 나타내는 요부 확대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제차량의 정속주행 및 약액 정량 살포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제차량의 정속주행 및 약액 정량 살포방법을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로서, 엔진과 H.S.T를 동력원으로 하여 주행과 약액살포가 함께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방제차량을 이용함에 있어, 정속주행 및 약액정량 살포방법은 방제차량을 작동시켜 주행 및 약액을 살포하는 단계(S10); 약액을 살포하며 주행하는 과정에서 경사진 언덕길을 주행하는 경우에 정속주행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S20); 경사진 언덕길 주행으로 인해 주행속도가 느려지고 엔진출력이 떨어지는 경우에 메인콘트롤부에 의해 주행속도가 감지되는 단계(S30); 메인콘트롤부에 의해 구동부가 작동되어 H.S.T의 변속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단계(S40); 메인콘트롤부에 의한 구동부에 의해 엔진출력이 향상되는 단계(S50); 메인콘트롤부의 구동부에 의해 엔진 및 H.S.T가 변속되어 언덕길에서도 정속주행과 약액의 정량 살포가 유지되는 단계(S60)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약액을 살포하며 주행하는 과정에서 경사진 언덕길을 주행하는 경우에 정속주행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S20)에서는 주행속도 및 약액 살포량의 유무를 사용자가 식별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에 의해 표시되는 단계(S70)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방제차량의 정속주행과 약액의 정량살포를 위해 구성되는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한 전기적인 연결방식은 통상적인 전기 신호방식으로서, 이에 대한 도면표기 및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제차량의 정속주행 및 약액 정량 살포방법은 방제차량을 이용하여 약액을 살포함에 있어, 방제차량이 경사진 언덕길을 주행하게 되면, 엔진출력이 떨어져 속도가 느려져 정속주행이 이루어지지 못함은 물론, 살포되는 약액의 정량 살포가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지만, 이와 같은 경우에 본 발명은 경사진 언덕길을 주행함으로 인해 감소되는 주행속도 즉, 엔진(2)의 출력 rpm과 H.S.T(3)의 변속이 메인콘트롤부(10)에 의해 비교 연산처리되어 구동부(11)에 의해 rpm출력과 변속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방제차량이 언덕길을 주행하며 약액살포가 이루어지더라도 항시 정속주행과 일정량의 약액살포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방제차량은 엔진출력 조절과 H.S.T의 변속 조절은 통상적인 방식 즉, 방제차량에 탑승된 운전석에 설치된 작동레버에 의한 수동조작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통상적인 방제차량의 엔진 및 H.S.T 변속을 위한 구성에 메인콘트롤부, 구동부, 주행속도 감지를 위한 센서 및 디스플레이부를 추가적인 구성으로 사용한 것이며, 메인콘트롤부에는 전자적인 신호감지와 데이타 값 설정 및 연산처리를 위한 CPU, 릴레이, 메모리칩 등이 사용되며, 구동부는 H.S.T의 변속을 위한 수단으로 액츄에이터 및 정역회전 모터가 사용되는 바, 본 발명에서 언급한 구성요소 뿐만 아니라, 방제차량의 주행속도를 측정하고 H.S.T의 변속을 위한 또 다른 기계 및 전자적인 구성요소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제차량의 정속주행 및 약액 정량 살포방법을 이용함에 따라, 방제차량을 이용하여 약액을 살포함에 있어, 약액이 살포되는 방제차량이 경사진 언덕길을 주행하게 되더라도 메인콘트롤부에 의해 주행속도가 느려지거나 엔진출력이 떨어지지 않고 자동 변속이 이루어져 주행속도 및 약액 살포량이 자동으로 보상되고 항시 정속주행과 약액의 정량 살포가 유지되므로, 약액 방제에 따른 효율성과 경제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4)

  1. 본 발명은 엔진에 의한 동력을 이용하여 주행이 이루어지고 약액살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방제차량에 있어서,
    동력원으로 사용되는 엔진의 출력rpm과 주행속도 변속을 위한 H.S.T를 자동 제어할 수 있도록 메인 콘트롤부가 구비되고, 방제차량이 약액을 살포하며 주행하는 과정에서, 경사진 언덕길에 의해 주행속도가 느려지고 엔진출력이 떨어지게 되면, 메인콘트롤부에 의해 구동부가 작동되어 H.S.T의 변속레버를 위치 변화시켜 언덕길 주행시에도 정속주행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메인콘트롤부에 의해 엔진 출력을 향상시켜 정속주행과 약액의 일정한 정량살포가 자동으로 보상되어 이루어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제차량의 정속주행 및 약액 정량 살포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콘트롤부는 지면의 경사각도, 노면상태 등 농장의 조건에 따른 방제차량의 적정한 주행속도와 엔진rpm 값이 운전자에 의해 임의적으로 설정 및 저장되고, 주행 중인 방제차량의 언덕길의 경사각에 따라 H.S.T 및 엔진의 출력 변화에 따라 입력된 데이타와 운전자가 설정한 데이타 값을 비교 연산처리하여 그에 보상되는 만큼의 H.S.T와 엔진출력을 향상시켜 항시 일정량의 약액 살포가 이루어지고 정속주행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제차량의 정속주행 및 약액 정량 살포방법.
  3. 엔진과 H.S.T를 동력원으로 하여 주행과 약액살포가 함께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방제차량을 이용함에 있어서,
    정속주행 및 약액정량 살포방법은 방제차량을 작동시켜 주행 및 약액을 살포하는 단계(S10);
    약액을 살포하며 주행하는 과정에서 경사진 언덕길을 주행하는 경우에 정속주행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S20);
    경사진 언덕길 주행으로 인해 주행속도가 느려지고 엔진출력이 떨어지는 경우에 메인콘트롤부에 의해 주행속도가 감지되는 단계(S30);
    메인콘트롤부에 의해 구동부가 작동되어 H.S.T의 변속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단계(S40);
    메인콘트롤부에 의한 구동부에 의해 엔진출력이 향상되는 단계(S50);
    메인콘트롤부의 구동부에 의해 엔진 및 H.S.T가 변속되어 언덕길에서도 정속주행과 약액의 정량 살포가 유지되는 단계(S6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제차량의 정속주행 및 약액 정량 살포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약액을 살포하며 주행하는 과정에서 경사진 언덕길을 주행하는 경우에 정속주행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S20)에서는 주행속도 및 약액 살포량의 유무를 사용자가 식별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에 의해 표시되는 단계(S70)가 포함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방제차량의 정속주행 및 약액 정량 살포방법.
KR1020060127499A 2006-12-14 2006-12-14 방제차량의 정속주행 및 약액 정량 살포방법 KR1008276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7499A KR100827616B1 (ko) 2006-12-14 2006-12-14 방제차량의 정속주행 및 약액 정량 살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7499A KR100827616B1 (ko) 2006-12-14 2006-12-14 방제차량의 정속주행 및 약액 정량 살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1858A true KR20070001858A (ko) 2007-01-04
KR100827616B1 KR100827616B1 (ko) 2008-05-07

Family

ID=37869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7499A KR100827616B1 (ko) 2006-12-14 2006-12-14 방제차량의 정속주행 및 약액 정량 살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761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3209B1 (ko) * 2008-07-01 2010-02-22 (주)한성티앤아이 방제차량의 정속주행 컨트롤러
CN102070116A (zh) * 2009-11-19 2011-05-25 上海轻叶工程科技有限公司 分布式定量装车控制系统
CN106483905A (zh) * 2016-12-09 2017-03-08 珠海市摩尔自动化技术有限公司 定量装车控制仪和定量装车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52486B2 (ja) * 1992-05-15 1997-09-10 セイレイ工業株式会社 クルーズコントロール装置
JPH1148823A (ja) 1997-08-04 1999-02-23 Mitsubishi Motors Corp 車両用定速走行装置
JP4055227B2 (ja) * 1997-10-23 2008-03-05 井関農機株式会社 作業車両
JP4025528B2 (ja) 2001-10-24 2007-12-19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ロータリー耕耘作業機を備えたトラクタの走行制御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3209B1 (ko) * 2008-07-01 2010-02-22 (주)한성티앤아이 방제차량의 정속주행 컨트롤러
CN102070116A (zh) * 2009-11-19 2011-05-25 上海轻叶工程科技有限公司 分布式定量装车控制系统
CN106483905A (zh) * 2016-12-09 2017-03-08 珠海市摩尔自动化技术有限公司 定量装车控制仪和定量装车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7616B1 (ko) 2008-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49615C2 (ru)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ый машинный агрегат
US6198992B1 (en) Override for guidance control system
US714296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variable rate application of substances to land
US7729830B2 (en) Vehicle control system
AU2013211548B2 (en) Control system for mobile fluid delivery machine
DE50111948D1 (de) Einrichtung zur Optimierung der Überladung von Erntegut an landwirtschaftlichen Fahrzeugen
CN101773016A (zh) 一种水稻智能变量施肥机及其变量施肥方法
US20220022361A1 (en) Autonomous Travel System
JP2017209070A (ja) 作業車及び作業車に適用される時間ベース管理システム
KR100827616B1 (ko) 방제차량의 정속주행 및 약액 정량 살포방법
JP2006299902A (ja) Pto軸回転数制御装置
İrsel et al. Adaptation of tilt adjustment and tracking force automation system on a laser-controlled land leveling machine
JP2009287469A (ja) 作業車のアクセル制御構造
US20210274772A1 (en) System and method for spray monitoring
CN104686481A (zh) 一种用于变量喷药的喷药机械车速自动控制装置及方法
US10054225B2 (en) Self-propelled off-road agricultural vehicle with a dynamically reconfiguring speed control and display system
JP2019062816A (ja) 走行位置認知システム、農作業用走行車、及び無人自動走行作業車
JP2009287472A (ja) 作業車のアクセル制御構造
CN206339268U (zh) 一种智能农田监测车
CN202548587U (zh) 一种对靶变量喷雾实验机控制系统
JP2009287471A (ja) 作業車のエンジン回転数制御構造
JP6999471B2 (ja) 圃場作業機
WO2018207558A1 (ja) 作業機の操作支援システム及び農業支援システム
NL2031414B1 (en) A method to cultivate a piece of farmland with an autonomous tractor and a tractor for employing the method
JP2007122244A (ja) 作業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