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1299A -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비밀그룹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비밀그룹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1299A
KR20070001299A KR1020050056647A KR20050056647A KR20070001299A KR 20070001299 A KR20070001299 A KR 20070001299A KR 1020050056647 A KR1020050056647 A KR 1020050056647A KR 20050056647 A KR20050056647 A KR 20050056647A KR 20070001299 A KR20070001299 A KR 200700012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secret group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6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50056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01299A/ko
Publication of KR20070001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12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04M1/667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 H04M1/67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by electronic means
    • H04M1/673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by electronic means the user being required to key in a c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04M1/677Preventing the dialling or sending of predetermined telephone numbers or selected types of telephone numbers, e.g. long distance num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비밀그룹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이동통신단말기가 비밀로 취급할 전화번호를 저장하기 위한 비밀그룹에 전화번호를 등록하고 메모리에 저장한다. 호를 수신하면, 수신된 호의 전화번호가 상기 비밀그룹에 속한 전화번호인지 확인한다. 수신된 호의 전화번호가 상기 비밀그룹에 속한 전화번호이면, 임의의 전화번호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한다. 호 응답 이벤트가 있으면, 사용자로부터 통화연결을 위해 필요한 통화연결 비밀번호를 입력받고 통화연결 비밀번호가 일치하는지를 확인한다. 통화연결 비밀번호가 일치하면 통화를 연결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 비밀그룹 관리의 보안상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서버 등을 이용하여 비밀그룹의 보안을 강화함으로써, 보다 완벽하게 비밀그룹을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비밀그룹, 전화번호부, 비밀번호, 보안, 교환국, 서버, 이동통신단말기.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비밀그룹 관리 방법 {Method for managing secret group in mobile phon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내부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접속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다이어그램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비밀그룹을 관리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밀그룹을 등록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비밀그룹을 관리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비밀그룹을 등록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비밀그룹을 편집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비밀그룹을 관리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화면예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입력부 120 표시부
130 메모리 140 제어부
150 무선회로부 160 음성처리부
100 이동통신단말기 200 기지국
300 교환국 400 WAP G/W
500 서버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비밀그룹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화번호부 중에서 비밀로 취급할 전화번호를 저장하기 위한 비밀그룹을 관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동통신단말기는 일반적으로 음성통화만이 가능하였으나, 최근들어 통신 기술 및 이동통신단말기 제작 기술이 급속도로 발달함에 따라 다양한 소비자 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다기능 이동통신단말기가 상용화되고 있다. 최근에 상용화되고 있는 이동통신단말기는 음성을 전달하는 통화기능 이외에 이동통신단말기로 게임이나 인터넷 검색, E-mail, 대금결제 등 다양한 기능이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카메라를 설치하여 이동통신단말기로 사물의 형상을 찍는 카메라폰 기능과 자신의 형상을 카메라로 찍어 상대방에게 전송해 주는 화상 이동통신단말기 기능이 추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단말기는 전화번호부의 등록 및 검색 메뉴를 구비하여 통화시의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전화번호부 관리는 주로 단말기 상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성명, 전화번호, E-mail, 주소 등의 정보를 입력하고 편집하는 등의 작업이 이루어졌다.
한편, 이러한 전화번호부에서 그룹관리가 가능한데 예를 들어, '가족', '회사', '친구' 등의 그룹명으로 인적사항을 모아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그룹관리 중에서 비밀로 취급해야하는 인적사항은 비밀그룹으로 관리하게 된다. 종래 비밀그룹의 속성은 보통 비밀번호를 설정하여 비밀그룹의 검색이나 편집시 비밀그룹을 입력토록하여 관리하였다. 또한, 비밀그룹에 속한 사람과 통화를 하였을 경우에는 이름은 남지않고 전화번호만 착발신 이력에 저장되었다.
종래 이러한 비밀그룹 속성은 단말기 상에 그룹 이름과 인적사항이 디스플레이될 뿐만 아니라, 비밀그룹 내의 사람과 통화시에 착발신 이력에 정보가 남기 때문에, 보안측면에서 볼 때 허점이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비밀그룹에 속한 사람과 통화시에 착발신 이력이 남지 않게 하거나, 서버를 이용하여 비밀그룹을 관리함으로써 비밀그룹의 보안을 강화하도록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비밀그룹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가 비밀로 취급할 전화번호를 저장하기 위한 비밀그룹에 전화번호를 등록하고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1단계와, 호를 수신하면, 수신된 호의 전화번호가 상기 비밀그룹에 속한 전화번호인지 확인하는 제2단계와, 수신된 호의 전화번호가 상기 비밀그룹에 속한 전화번호이면, 임의의 전화번호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제3단계와, 호 응답 이벤트가 있으면, 사용자로부터 통화연결을 위해 필요한 통화연결 비밀번호를 입력받고 통화연결 비밀번호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는 제4단계와, 통화연결 비밀번호가 일치하면 통화를 연결하는 제5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5단계 후에 통화가 종료되면 상기 제3단계에서 생성된 전화번호를 착신이력에 저장하는 제6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이동통신단말기가 서버에 접속하여 비밀로 취급할 전화번호를 저장하기 위한 비밀그룹에 전화번호를 등록하고, 등록된 전화번호를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1단계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호를 수신하면, 수신된 호의 전화번호가 상기 비밀그룹에 속한 전화번호인지 확인하는 제2단계와, 수신된 호의 전화번호가 상기 비밀그룹에 속한 전화번호이면, 임의의 전화번호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제3단계와, 호 응답 이벤트가 있으면, 서버는 교환국으로부터 호 응답 신호를 전달받고, 교환국을 통해 이동통신단말기에 통화연결을 위해 필요한 통화연결 비밀번호 입력을 요청하는 제4단계와, 이동통신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통화연결 비밀번호를 입력받고, 이를 서버에 전송하는 제5단계와, 서버는 통화연결 비밀번호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고, 통화연결 비밀번호가 일치하면 통화를 연결하는 제6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4단계에서 서버는 미리 저장된 멘트를 이용하여 이동통신단말기에 통화연결 비밀번호 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제1단계는 이동통신단말기가 서버에 접속하여 비밀그룹에 접근을 시도하는 제1-1단계와, 서버는 비밀그룹 접근을 위해 필요한 접근 비밀번호 입력을 요구하고, 입력된 접근 비밀번호가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제1-2단계와, 서버는 접근 비밀번호가 일치하면 이동통신단말기의 비밀그룹 접근을 허용하는 제1-3단계와, 이동통신단말기가 비밀그룹에 전화번호를 등록하는 제1-4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6단계 후에 통화가 종료되면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제3단계에서 생성된 전화번호를 착신이력에 저장하는 제7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단계는 이동통신단말기가 서버에 접속하여 비밀그룹에 접근을 시도하는 제1-1단계와, 서버는 비밀그룹 접근을 위해 필요한 접근 비밀번호 입력을 요구하고, 입력된 접근 비밀번호가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제1-2단계와, 서버는 접근 비밀번호가 일치하면 이동통신단말기의 비밀그룹 접근을 허용하는 제1-3단계와, 이동통신단말기는 비밀그룹을 편집하는 제1-4단계와, 서버는 편집된 비밀그룹을 저장하는 제1-5단계와, 이동통신단말기는 메모리에 편집된 비밀그룹을 저장하는 제1-6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단계에서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된 비밀그룹은 디스플레이되지 않을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내부구성도이다. 이동통신단말기는 입력부(110), 표시부(120), 메모리(130), 제어부(140), 무선회로부(150), 음성처리부(160) 등을 포함한다.
입력부(110)는 키패드, 조그셔틀, 포인트스틱, 터치스크린 등 다양한 소자가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거나 정보를 입력할 때 사용된다.
표시부(120)는 사용자에게 여러 가지 정보를 보여주기 위한 것으로, LCD(Liquid Crystal Display)가 주로 사용된다.
메모리(130)는 이동통신단말기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으며,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 다양한 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메모리(130)에는 비밀그룹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다.
제어부(140)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부(140)는 마이크로프로세서나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140)에는 또한 무선회로부(150)로부터의 기저대역신호의 처리를 위한 기저대역신호처리회로가 포함되어 있다.
무선회로부(150)는 무선으로 기지국과 음성 및 제어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회로이다. 외부의 이동통신단말기가 발송하는 호신호를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하고 이를 제어부(140)에 전송하거나, 메모리(13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안테나를 통해 발신자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음성처리부(160)는 디지털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고 증폭하여 스피커(SP)로 출력하거나, 마이크(MIC)로부터의 음성신호를 증폭하고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 비밀그룹을 관리하기 위하여 무선인터넷을 통하여 서버에 접속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서버에 접속하는 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접속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다이어그램이다. 이동통신단말기(100)가 서버(500)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이동통신망에 연결된 WAP Gateway(G/W)(400)를 거쳐야 한다. WAP G/W(400)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사용할 수 있는 무선인터넷 용 WML로 자동 변환해 주는 시스템이다. 즉, 이동통신단말기(100)는 기지국(200), 교환국(300)을 거쳐서 WAP G/W(400)를 통하여 서버(500)에 접속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비밀그룹을 관리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이동통신단말기가 비밀로 취급할 전화번호를 저장하기 위한 비밀그룹을 등록한다(S310). 등록한 비밀그룹을 메모리(130)에 저장한다(S320).
호를 수신하면(S330), 수신된 호의 전화번호가 비밀그룹에 속한 전화번호인지 확인한다(S340).
수신된 호의 전화번호가 비밀그룹에 속한 전화번호이면, 임의의 전화번호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한다(S350). 이때의 화면예가 도 9 (d)에 도시되어 있다. 도 9 (d)에서 실제 수신된 호의 전화번호가 011-123-1234이고 이 번호가 비밀그룹에 속한 전화번호라면, 단말기는 임의로 생성된 3498-7661이라는 번호를 디스플레이한다는 것이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사용자 이외의 타인에게 비밀그룹에 속한 전화번호를 나타내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다음, 호 응답 이벤트가 발생한다(S360). 예를 들어, 플립 또는 폴더를 연다 거나, 슬라이드를 연다거나, 통화버튼을 누른다거나 하는 것이 호 응답 이벤트가 될 수 있다.
다음, 사용자로부터 통화연결을 위해 필요한 통화연결 비밀번호를 입력받는다. 이때의 화면예가 도 9 (b)에 도시되어 있다. 단말기는 입력받은 통화연결 비밀번호가 일치하는지를 확인한다(S380).
통화연결 비밀번호가 적합하지 않으면 실패메시지와 함께 비밀번호를 다시 입력받고, 통화연결 비밀번호가 일치하면 통화를 연결한다(S390). 통화를 연결한다는 것은 구체적으로 이동통신단말기(100)에서 통화 연결을 위한 신호를 교환국(300)에 전송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S390 단계 후에 통화가 종료되면 S350 단계에서 생성된 전화번호를 착신이력에 저장할 수 있다.
이제부터는 서버(500)를 이용하여 비밀그룹을 관리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서버(500)에 비밀그룹을 등록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밀그룹을 등록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이동통신단말기(100)가 서버(500)에 접속을 시도한다(S410). 보통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번호를 입력하여 서버(500)에 접속한다. 예를 들어 접속번호가 "1111"이라면 "1111"을 입력하고 통화버튼을 눌러서 서버(500)에 접속을 시도한다. 이때의 화면예가 도 9 (a)에 도시되어 있다.
서버(500)에 접속하여 비밀그룹을 등록하고 해당 비밀그룹에 비밀로 취급할 전화번호를 저장한다(S420). 등록된 비밀그룹에 대한 정보는 또한 이동통신단말기(100)의 메모리(130)에도 저장된다(S430). 이때, 메모리(130)에 저장된 비밀그룹은 보안을 위하여 디스플레이 되지 않는다. 즉, 비밀그룹을 편집하거나 확인하기 위해서는 서버(500)에 접속하여 비밀그룹을 열람해야 하는 것이다.
서버(500)에 비밀그룹을 등록하는 과정을 세분화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비밀그룹을 등록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이동통신단말기(100)가 서버(500)에 접속하여 비밀그룹에 접근을 시도한다(S605).
서버(500)는 비밀그룹 접근을 위해 필요한 접근 비밀번호 입력을 이동통신단말기(100)에 요구한다(S610).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사용자로부터 비밀번호를 입력받는다(S615). 서버(500)는 이동통신단말기(100)로부터 입력된 접근 비밀번호가 일치하는지 확인한다(S620).
서버(500)는 접근 비밀번호가 일치하면 이동통신단말기(100)의 비밀그룹 접근을 허용한다(S625). 서버(500)에 비밀그룹을 등록한다(S630). 서버(500)는 등록된 비밀그룹을 저장한다(S635). 이동통신단말기(100)는 등록된 비밀그룹을 저장한다(S640). 이때 이동통신단말기(100)에 저장된 비밀그룹은 보안을 위하여 디스플레이되지 않는다.
이제 서버에 비밀그룹을 등록한 후에 구체적인 관리법의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비밀그룹을 관리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이동통신단말기(100)에서 호를 수신한다(S505). 수신된 호의 전화번호가 메모리(130)에 저장된 비밀그룹에 속한 전화번호인지 확인한다(S510). 수신된 호의 전화번호가 비밀그룹에 속한 전화번호이면, 임의의 전화번호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한다(S515). 이때의 화면예가 도 9 (d)에 도시되어 있다. 도 9 (d)에서 실제 수신된 호의 전화번호가 011-123-1234이고 이 번호가 비밀그룹에 속한 전화번호라면, 단말기는 임의로 생성된 3498-7661이라는 번호를 디스플레이한다는 것이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사용자외의 타인에게 비밀그룹에 속한 전화번호를 나타내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다음, 호 응답 이벤트가 발생한다(S520). 예를 들어, 플립, 또는 플립을 연다거나, 슬라이드를 연다거나, 통화버튼을 누른다거나 하는 것이 호 응답 이벤트가 될 수 있다. 호 응답 이벤트가 있으면, 교환국(300)은 서버(500)에 호 응답 신호를 전달한다(S525). 서버(500)는 교환국(300)으로부터 호 응답 신호를 전달받고, 교환국(300)을 통해 이동통신단말기에 통화연결을 위해 필요한 통화연결 비밀번호 입력을 요청한다(S530, S535). 이때 서버(500)는 미리 저장된 멘트를 이용하여 이동통신단말기(100)에 통화연결 비밀번호 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사용자로부터 통화연결 비밀번호를 입력받는다 (S540). 이때의 화면예가 도 9 (b)에 도시되어 있다. 통화연결 비밀번호를 서버(500)에 전송한다.
서버(500)는 통화연결 비밀번호가 일치하는지를 확인한다(S545). 통화연결 비밀번호가 일치하면 교환국(300)에 통화 연결을 요청한다(S550). 교환국(300)은 송신측과 수신측을 연결하여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S555).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S555 단계 후에 통화가 종료되면 이동통신단말기(100)는 S515단계에서 생성된 전화번호를 착신이력에 저장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비밀그룹을 편집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이동통신단말기(100)가 서버(500)에 접속하여 비밀그룹에 접근을 시도한다(S705).
서버(500)는 비밀그룹 접근을 위해 필요한 접근 비밀번호 입력을 이동통신단말기(100)에 요구한다(S710).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사용자로부터 비밀번호를 입력받는다(S715). 서버(500)는 이동통신단말기(100)로부터 입력된 접근 비밀번호가 일치하는지 확인한다(S720).
서버(500)는 접근 비밀번호가 일치하면 이동통신단말기(100)의 비밀그룹 접근을 허용한다(S725). 서버(500)에 있는 비밀그룹을 편집한다(S730). 도 9 (c)의 화면예는 비밀그룹에 저장된 내용을 화면예로 도시한 것이다. 서버(500)는 편집된 비밀그룹을 저장한다(S735). 이동통신단말기(100)는 편집된 비밀그룹을 저장한다 (S740). 이때 이동통신단말기(100)에 저장된 비밀그룹은 보안을 위하여 디스플레이되지 않는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비밀그룹을 관리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8의 실시 예는 비밀그룹에 속한 전화번호를 검색하여 발신하고자 할 때의 예이다.
이동통신단말기(100)가 서버(500)에 접속하여 비밀그룹에 접근을 시도한다(S805).
서버(500)는 비밀그룹 접근을 위해 필요한 접근 비밀번호 입력을 이동통신단말기(100)에 요구한다(S810).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사용자로부터 비밀번호를 입력받는다(S815). 서버(500)는 이동통신단말기(100)로부터 입력된 접근 비밀번호가 일치하는지 확인한다(S820).
서버(500)는 접근 비밀번호가 일치하면 이동통신단말기(100)의 비밀그룹 접근을 허용한다(S725). 서버(500)에 있는 비밀그룹을 검색한다(S730). 이동통신단말기(100)는 검색한 결과, 선택된 전화번호로 발신한다(S835).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 비밀그룹 관리의 보안상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서버 등을 이용하여 비밀그룹의 보안을 강화함으로써, 보다 완벽하게 비밀그룹을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동통신 사업자로서도 사용자의 무선 인터넷 사용시간을 증대시킬 수 있어서 보다 높은 이윤 창출을 기대할 수 있다.

Claims (8)

  1. 이동통신단말기가 비밀로 취급할 전화번호를 저장하기 위한 비밀그룹에 전화번호를 등록하고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1단계와,
    호를 수신하면, 수신된 호의 전화번호가 상기 비밀그룹에 속한 전화번호인지 확인하는 제2단계와,
    수신된 호의 전화번호가 상기 비밀그룹에 속한 전화번호이면, 임의의 전화번호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제3단계와,
    호 응답 이벤트가 있으면, 사용자로부터 통화연결을 위해 필요한 통화연결 비밀번호를 입력받고 통화연결 비밀번호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는 제4단계와,
    통화연결 비밀번호가 일치하면 통화를 연결하는 제5단계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비밀그룹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 후에 통화가 종료되면 상기 제3단계에서 생성된 전화번호를 착신이력에 저장하는 제6단계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비밀그룹 관리 방법.
  3. 이동통신단말기가 서버에 접속하여 비밀로 취급할 전화번호를 저장하기 위한 비밀그룹에 전화번호를 등록하고, 등록된 전화번호를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1단계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호를 수신하면, 수신된 호의 전화번호가 상기 비밀그룹에 속한 전화번호인지 확인하는 제2단계와,
    수신된 호의 전화번호가 상기 비밀그룹에 속한 전화번호이면, 임의의 전화번호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제3단계와,
    호 응답 이벤트가 있으면, 서버는 교환국으로부터 호 응답 신호를 전달받고, 교환국을 통해 이동통신단말기에 통화연결을 위해 필요한 통화연결 비밀번호 입력을 요청하는 제4단계와,
    이동통신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통화연결 비밀번호를 입력받고, 이를 서버에 전송하는 제5단계와,
    서버는 통화연결 비밀번호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고, 통화연결 비밀번호가 일치하면 통화를 연결하는 제6단계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비밀그룹 관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에서
    서버는 미리 저장된 멘트를 이용하여 이동통신단말기에 통화연결 비밀번호 입력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비밀그룹 관리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이동통신단말기가 서버에 접속하여 비밀그룹에 접근을 시도하는 제1-1단계와,
    서버는 비밀그룹 접근을 위해 필요한 접근 비밀번호 입력을 요구하고, 입력된 접근 비밀번호가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제1-2단계와,
    서버는 접근 비밀번호가 일치하면 이동통신단말기의 비밀그룹 접근을 허용하는 제1-3단계와,
    이동통신단말기가 비밀그룹에 전화번호를 등록하는 제1-4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비밀그룹 관리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6단계 후에 통화가 종료되면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제3단계에서 생성된 전화번호를 착신이력에 저장하는 제7단계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비밀그룹 관리 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이동통신단말기가 서버에 접속하여 비밀그룹에 접근을 시도하는 제1-1단계와,
    서버는 비밀그룹 접근을 위해 필요한 접근 비밀번호 입력을 요구하고, 입력 된 접근 비밀번호가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제1-2단계와,
    서버는 접근 비밀번호가 일치하면 이동통신단말기의 비밀그룹 접근을 허용하는 제1-3단계와,
    이동통신단말기는 비밀그룹을 편집하는 제1-4단계와,
    서버는 편집된 비밀그룹을 저장하는 제1-5단계와,
    이동통신단말기는 메모리에 편집된 비밀그룹을 저장하는 제1-6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비밀그룹 관리 방법.
  8.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된 비밀그룹은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비밀그룹 관리 방법.
KR1020050056647A 2005-06-29 2005-06-29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비밀그룹 관리 방법 KR200700012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6647A KR20070001299A (ko) 2005-06-29 2005-06-29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비밀그룹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6647A KR20070001299A (ko) 2005-06-29 2005-06-29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비밀그룹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1299A true KR20070001299A (ko) 2007-01-04

Family

ID=37868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6647A KR20070001299A (ko) 2005-06-29 2005-06-29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비밀그룹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0129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80731A (zh) * 2012-10-26 2014-05-07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获取隐私联系人的方法及装置
US9820143B2 (en) 2010-12-06 2017-11-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ivacy protec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terminal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20143B2 (en) 2010-12-06 2017-11-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ivacy protec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terminal
US9986429B2 (en) 2010-12-06 2018-05-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ivacy protec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terminal
US11558738B2 (en) 2010-12-06 2023-01-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ivacy protec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terminal
CN103780731A (zh) * 2012-10-26 2014-05-07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获取隐私联系人的方法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163366A1 (en) Authentication and control of incoming communication
CN102714681B (zh) 用于使用语音信箱提供消息传送的方法和装置
US8280418B2 (en) System for supporting video message service and method thereof
JP2010538512A (ja) ローミングネットワーク環境におけるデータサービスの提供および課金
JP2005094351A (ja) 個人情報の保存・管理システムおよび保存・管理方法
US8954044B1 (en) Off-device service platform discovery
JP5823185B2 (ja) 発信者情報提供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070001299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비밀그룹 관리 방법
KR20060125058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호간 정보 공유 방법
KR100346354B1 (ko) 휴대전화번호를 이용한 전자메일 서비스 방법 및 그시스템
JP2009094909A (ja) 通信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7028217A (ja) 通信システム、端末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6074552A (ja) 送受信システム
KR100761533B1 (ko) 이동 단말기와 웹 간의 파일 관리 방법
JP2019145972A (ja) 電話制御装置及び電話制御方法
KR100721285B1 (ko) 통합 통신 id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자동 로그인 시스템및 그 방법
JP5775028B2 (ja) 認証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705437B1 (ko) Enum 서비스를 이용한 모바일 블로그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KR100886763B1 (ko) 웹사이트 연결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64712B1 (ko) 고객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678063B1 (ko) 콘텐트의 저장 및 재생 방법
JP2002152406A (ja) 電話通信方法、電話通信システム、ウェブサーバ及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KR101412223B1 (ko) 소셜 네트워크 자동접속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06547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개인 정보 관리 방법
WO2015109374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warding a caller in a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