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1192U - 박형의 현광(眩光) 발생가능 버튼 구조체 - Google Patents

박형의 현광(眩光) 발생가능 버튼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1192U
KR20070001192U KR2020070007812U KR20070007812U KR20070001192U KR 20070001192 U KR20070001192 U KR 20070001192U KR 2020070007812 U KR2020070007812 U KR 2020070007812U KR 20070007812 U KR20070007812 U KR 20070007812U KR 20070001192 U KR20070001192 U KR 2007000119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thin
thin film
button structure
film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78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린 춘-웨이
히에 칭-챙
챈 치엔-챙
Original Assignee
실리텍 테크날러지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실리텍 테크날러지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실리텍 테크날러지 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20200700078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01192U/ko
Publication of KR200700011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119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층마다 다른 재질이나 다른 색의 복합 재료를 압출 성형 기술 및 일체 성형의 방식으로 제작하고,버튼 모듈의 외견이 변화에 풍부하고 신뢰성을 구비한다.
박형의 현광 발생가능 버튼 구조체는,박막층과,보호층과,모양층과,일래스토머를 포함한다.그 중,상기 보호층은 상기 박막층의 상단에 설치되어,상기 모양층은 상기 박막층의 하단에 설치되어,또한, 상기 일래스토머는 상기 모양층의 하단에 설치된다.
박형, 버튼,압출, 일레스토머

Description

박형의 현광(眩光) 발생가능 버튼 구조체 {thin film dim light emittable button structure}
도1은,본 고안에 의한 박형의 현광 발생가능 버튼 구조체의 제 1 실시예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2는,본 고안에 의한 박형의 현광 발생가능 버튼 구조체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3은,본 고안에 의한 박형의 현광 발생가능 버튼 구조체의 제 3 실시예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4는,본 고안에 의한 박형의 현광 발생가능 버튼 구조체의 실시예4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한 부호의 설명-
10 박막층 20 보호층
30 모양층 40 일래스토머
50 금속층 60요철 몸체
70 보호층 D 두께
본 고안은,박형의 현광(眩光) 발생가능 버튼 구조체에 관한 것이며,특히 압출 성형 기술 및 일체 성형에 의하여 제작된 박형의 현광 발생가능 버튼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정보 과학 기술 시대의 도래에 수반하여,또한 통신 네트워크 기술의 진보에 따라,휴대 전화는,이미 눈앞에 가장 잘 보여지는 통신 수단의 하나가 되었다.휴대 전화 제품은,그 크기가 작고,휴대 편리하나,기능이 좋아지고 가격이 점점 낮아져야,보다 많은 소비자가 선호하게 된다.일반적으로,소비자가 휴대 전화를 선택하고 구입하려고 하는 경우,휴대 전화의 기능이나 외장을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시장도 소비자의 경향에 따라,기능 만전이나 외형이 신규한 휴대 전화를 잇달아 출시하고 있다.
일반적으로,휴대 전화의 외형 변화에 있어,설계자는 항상,케이스의 외형 및 버튼에 관한 개량을 수행하고 있다.특히,버튼의 버튼 모듈에 관해서는,버튼 모듈의 외견의 질감 및 미관을 향상시키기기 위해 ,제작 과정에서 비교적 오래 걸리고 복잡한 과정을 거칠 필요가 있다.
버튼 모듈이 현광(眩光: 흐릿한 빛)을 발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일반적으로 종래의 방법에서는,금속 시트에 다른 변화가 있는 모양이 형성되어,버튼 모듈이 금속 시트에 의하여 현광을 발생시키는 효과를 발생하게 된다.그렇지만,이와 같은 종래의 현광 발생의 제조 방법은,이하의 결점을 구비한다.
1,상기 금속 시트는 금속재료로 제작되기 때문에,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2,휴대 전화의 안테나는 항상,고주파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금속 시트를 이용하기 때문에,앞서 서술한 특성을 방해한다.
3,다른 변화의 모양이 금속 시트에 반영되도록 하는 제조 과정이 복잡하거나 어렵다.
또한,종래에는,플라스틱 필름에 다른 변화된 모양을 형성한 경우도 있는데, 이와 같은 방법도 이하의 결점을 구비한다.
1,상기 플라스틱 필름은,사출 성형으로 의한 것으로, 상기 플라스틱 필름은 상당히 얇기 때문에,플라스틱 필름의 수득률이 저하된다.
2,상당히 얇은 플라스틱 필름을 제조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사출 성형을 이용한 몰드의 수명이 저하되므로,비용이 증가될 뿐 아니라,버튼 모듈 전체의 제조 공정 및 시간도 증가된다.
3,상기 플라스틱 필름이 상당히 얇도록 요구되지만,현재의 사출 성형으로 제작한 필름의 두께는,아직 0.4mm 이상이기 때문에,두께가 한정되는 문제가 있다.
4,사출 성형 기술을 이용하기 위해,상기 플라스틱 필름의 변색이나 모양의 깊이 및 복잡성이 한정되어,즉,사출 성형 기술로 제작된 플라스틱 필름은,변색할 수 없고,게다가 모양도 한정되어,비교적으로 복잡한 모양을 성형할 수 없다.
5,일반적으로,사출 성형으로 이용한 재료는,아크릴 또는 프로필렌 카보 네이트(PC)이지만 ,아크릴 재료는 통상,투명도가 만족스럽지 않고 및 경도가 높아 부서지기 쉬운 결점이 있고, PC는 내마모성이 좋지 않은 결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상기 종래의 버튼 모듈은,실제의 응용에 있어,불편함이나 문제가 분명히 존재하고 있는 바,개선이 필요하다.
그 때문에, 본 고안자는,상기 결점을 개량하기 위하여,오랜 기간 본 기술 영역에서 쌓은 경험에 의하여 관찰하고 연구를 하였으며,또한 학술적인 이론의 운용을 통하여, 드디어 합리적으로 설계되며 또한 상기의 결점을 유효하게 개량할 수 있는 본 고안을 제안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박형의 현광 발생가능 버튼 구조체를 제공한다.본 고안에 따른 박형의 현광 발생가능 버튼 구조체는,층마다 다른 재질이나 다른 색의 복합 재료를 압출 성형 및 일체 성형의 방식으로 제작하고,버튼 모듈의 외관이 변화에 강하고 신뢰성을 구비하며,별도로 부착 가공할 필요가 없으며,플라스틱 부재의 몰드의 수가 감소되어,제조 과정이 하나의 기기로 직접적으로 압출 성형할 수 있도록 간소화되어,비용이 낮아지게 되며,또한 박형의 버튼 모듈을 제작할 수 있다.
상기 기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는,박막층과,보호층과,모양층과,일래스토머를 포함한 박형의 현광 발생가능 버튼 구조체를 제공한다.그 중,상기 박막층의 두께는 0.05∼0.4mm의 사이이고,상기 보호층은 상기 박막층의 상단에 설치되고,상기 모양층은 상기 박막층의 하단에 설치 되고,그리고 상기 일래스토머는 상기 모양층의 하단에 마련된다.
상기 기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는,박막층과,다수개의 요철 몸체와,모양층과,일래스토머를 포함한 박형의 현광 발생가능 버튼 구조체를 제공한다.그 중,상기 박막층의 두께는 0.05∼0.4mm의 사이이고,이러한 요철 몸체는 각각 상기 박막층의 상단에 설치되고,상기 모양층은 상기 박막층의 하단에 설치되며,또한,상기 일래스토머는 상기 모양층의 하단에 마련된다.
본 고안이 소정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채용한 기술,수단 및 그 효과를 더욱 자세한 내용적으로 구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이하 본 고안에 관한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을 참조함으로써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으나,그러한 첨부 도면은 참고적으로 그리고 설명 만을 위하여 쓰여지는 것이며,본 고안의 주장 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닌 것은 말할 필요도 없는 것이다.
도1은,본 고안에 의한 박형의 현광 발생가능 버튼 구조체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도1에 나타낸 것처럼,제 1 실시예에 게시되고 있는 박형의 현광 발생가능 버튼 구조체는,박막층(10)과,보호층(20)과,모양층(30)과,일래스토머(40)을 포함한다.
박막층(10)은,투명한 플라스틱 재료로 제작된 플라스틱 시트 또는 플라스틱 필름이고,또,상기 박막층(10)은,패턴이나 부호,문자 또는 숫자(도시하지 않음)가 인쇄된 프린트 필름 층이고,상기 박막층(10)의 두께(D)는 0.05∼0.4mm의 사이이다.
또,보호층(20)은,상기 박막층(10)의 상단에 설치되고,상기 보호층(20)은,내마모성의 수지 박막 또는 프린트 잉크 필름이다.모양층(30)은,상기 박막층(10)의 하단에 설치되며,상기 모양층(30)은,규칙적이거나 불규칙한 모양을 갖는다.또,일래스토머(40)은,상기 모양층(30)의 하단에 설치되고,상기 일래스토머(40)은,탄성이 있는 고무 재료 또는 플라스틱 재료로 된다.
도2는,본 고안에 의한 박형의 현광 발생가능 버튼 구조체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도2에 나타낸 것처럼,제 2 실시예는,또한,모양층(30)과 일래스토머(40)의 사이에 설치된 금속층(50)을 포함하고,상기 금속층(50)에 의하여 버튼 구조체가 금속적 질감이 있는 외관을 발생할 수 있게 된다는 점에서,제 1 실시예과 가장 크게 다르다.
도3은,본 고안에 의한 박형의 현광 발생가능 버튼 구조체의 제 3 실시예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도3에 나타낸 것처럼,제 3 실시예에 게시되고 있는 박형의 현광 발생가능 버튼 구조체는,박막층(10)과,다수개의 요철 몸체(60)와,보호층 (70)과,모양층(30)과,일래스토머(40)을 포함한다.
이러한 요철 몸체(60)는,패턴이나 부호,문자 또는 숫자인 것이 바람직하며,이러한 요철 몸체(60)는,각각 상기 박막층(10)의 상단에 설치된다.보호층(70)은,상기 박막층(10) 및 이러한 요철 몸체(60)의 상단에 설치되어,상기보호층(70)은,내마모성의 수지 박막 또는 프린트 잉크 필름이다.또,모양층(30)은,상기 박막층(10)의 하단에 설치되고,일래스토머(40)는,상기 모양층(30)의 하단에 설치된다.
도4는,본 고안에 의한 박형의 현광 발생가능 버튼 구조체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도4에 나타낸 것처럼,제 4실시예는, 또한,모양층(30)과 일래스토머(40)과의 사이에 설치된 금속층(50)을 포함하고,상기 금속층(50)에 의하여 버튼 구조체가 금속적 질감이 있는 외관을 발생할 수 있게 된 점에서,제 3 실시예와 가장 크게 다르다.
이상과 같이,본 고안에 관계된 박형의 현광 발생가능 버튼 구조체는,층마다 다른 재질이나 다른 색의 복합 재료를 압출 성형 기술 및 일체 성형의 방식으로 구성하고,버튼 모듈의 외과이 다층화되어 변화 및 신뢰성을 구비하고,별개로 부착 가공할 필요가 없으며,플라스틱 부재의 몰드의 수가 감소되어,제조 프로세스가 하나의 기기로 직접적으로 압출 성형하도록 간소화되어,비용이 낮아지고,또한 박형의 버튼 모듈을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이상과 같은 설명은,단지 본 고안이 바람직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지나지 않으며,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 청구의 범위를 국한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기술 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전문가는,본 고안의 분야 가운데에서,적당하게 변경이나 수정할 수 있으나 ,그러한 실시가 본 고안의 실용신안 등록 청구 범위의 범주 내에 포함되는 것이 당연하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는 것이다.

Claims (13)

  1. 박막층과,
    상기 박막층의 상단에 설치된 보호층과,
    상기 박막층의 하단에 설치된 모양층과,그리고
    상기 모양층의 하단에 설치된 일래스토머를 포함하는,
    박형의 현광(眩光) 발생가능 버튼 구조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층의 두께는 0.05∼0.4mm의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의 현광 발생가능 버튼 구조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층은,투명한 플라스틱 재료로 제작된 플라스틱 시트 또는 플라스틱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의 현광 발생가능 버튼 구조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층은,패턴이나 부호,문자 또는 숫자가 인쇄된 프린트 필름 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의 현광 발생가능 버튼 구조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은,내마모성의 수지 박막 또는 프린트 잉크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의 현광 발생가능 버튼 구조체.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양층은,규칙적 또는 불규칙한 모양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의 현광 발생가능 버튼 구조체.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일래스토머는,탄성이 있는 고무 재료 또는 플라스틱 재료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의 현광 발생가능 버튼 구조체.
  8. 제 1항에 있어서,
    또한,상기 모양층과 상기 일래스토머와의 사이에 설치된 금속층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의 현광 발생가능 버튼 구조체.
  9. 박막층과,
    상기 박막층의 상단에 각각 설치된 다수개의 요철 몸체와,
    상기 박막층의 하단에 설치된 모양층과,
    상기 모양층의 하단에 설치된 일래스토머를 포함하는, 박형의 현광(眩光) 발 생가능 버튼 구조체.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 몸체는,패턴이나 부호,문자 또는 숫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의 현광 발생가능 버튼 구조체.
  11. 제 9항에 있어서,
    또한,상기 박막층 및 상기 이러한 요철 몸체의 상단에 설치된 보호층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의 현광 발생가능 버튼 구조체.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은,내마모성의 수지 박막 또는 프린트 잉크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의 현광 발생가능 버튼 구조체.
  13. 제 9항에 있어서,
    또한,상기 모양층과 상기 일래스토머와의 사이에 설치된 금속층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의 현광 발생가능 버튼 구조체.
KR2020070007812U 2006-05-16 2007-05-11 박형의 현광(眩光) 발생가능 버튼 구조체 KR2007000119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7812U KR20070001192U (ko) 2006-05-16 2007-05-11 박형의 현광(眩光) 발생가능 버튼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95208358 2006-05-16
KR2020070007812U KR20070001192U (ko) 2006-05-16 2007-05-11 박형의 현광(眩光) 발생가능 버튼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1192U true KR20070001192U (ko) 2007-11-21

Family

ID=41558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7812U KR20070001192U (ko) 2006-05-16 2007-05-11 박형의 현광(眩光) 발생가능 버튼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01192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26508B (zh) 壳体及其制造方法
CN201243414Y (zh) 一种外壳及使用该外壳的电子产品
CN103716426A (zh) 移动终端壳体及其制造方法
CN102555652A (zh) 一种具有表面纹理触感的模内注塑装饰膜
CN101537677A (zh) 壳体的制作方法及由该方法制得的壳体
US8475911B2 (en) Device housing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20100255246A1 (en) Decorated molded surface
CN101959378A (zh) 壳体的制作方法及由该方法制得的壳体
CN216968937U (zh) 一种设置有触摸屏的汽车内饰件
JP2007220640A (ja) 立体表示体及びこれを備える加飾成形体又は加飾シート、並びに加飾成形体の製造方法
CN101364490B (zh) 双色成型按键及其制造方法
CN105313384A (zh) 一种导光装饰复合片材及其部件
CN101276698B (zh) 薄形按键面板的制作方法
CN104527305A (zh) 在3d曲面上实现变色图案效果的方法及产品
CN101276699B (zh) 薄形化的按键面板的制作方法
JP3133721U (ja) 薄型の眩光発生可能なボタン構造
KR20070001192U (ko) 박형의 현광(眩光) 발생가능 버튼 구조체
CN2678874Y (zh) 具有表面覆膜装饰面的塑料构件
TW200633830A (en) In mold decoration fabrication of injection molding
CN101676130B (zh) 装饰薄膜及使用该装饰薄膜的外壳
JP4113784B2 (ja) 押釦スイッチ用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CN201437312U (zh) 具有下凹图案的人造皮革面板
CN101930862A (zh) 按键面板的制作方法及由该方法制得的按键面板
CN201594957U (zh) 一种电子产品外壳
CN114228284A (zh) 一种设置有触摸屏的汽车内饰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