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0033U - 입체도형의 모형 - Google Patents

입체도형의 모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0033U
KR20070000033U KR2020060031552U KR20060031552U KR20070000033U KR 20070000033 U KR20070000033 U KR 20070000033U KR 2020060031552 U KR2020060031552 U KR 2020060031552U KR 20060031552 U KR20060031552 U KR 20060031552U KR 20070000033 U KR20070000033 U KR 2007000003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mensional
model
surface portion
magnet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315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복정수
Original Assignee
복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복정수 filed Critical 복정수
Priority to KR20200600315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00033U/ko
Publication of KR200700000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003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10Modell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 G09B1/04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 G09B1/06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and being attachable to, or mounted on, the support
    • G09B1/08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and being attachable to, or mounted on, the support by means of magne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 G09B1/04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 G09B1/06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and being attachable to, or mounted on, the support
    • G09B1/1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and being attachable to, or mounted on, the support by means of pins and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구용 입체도형의 모형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입체도형의 모형은: 복수로 분할되고 1조로서 면접하여 입체도형의 형태를 형성하게 되는 블록과, 상기 면접하는 블록의 표면부에 제공되어 블록 상호간의 정위치를 설정하는 대응 결착부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결착부재는 자석이다. 자석은 상기 블록의 표면부와 동일한 평면상에서 고정될 수 있으며, 다르게는 표면부로부터 함침 고정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모형의 형태적 완성 및 유지가 쉽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블록의 분리 및 조합 과정에서, 사용자는 입체도형의 구체적인 형태에 대한 새로운 시각과 사물에 대한 정확한 이해력을 갖게 된다.
입체도형, 모형, 결착부재, 자석

Description

입체도형의 모형 {Models of solid figures}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모형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블록의 단면도.
도 3a, 3b는 각각 도 2의 다른 예시도.
도 4 내지 도 6은 각각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형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모형 11a,b. 블록
12a,b. 표면부 13. 홈
14a,b. 자석
본 고안은 교구용 입체도형의 모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로 분할된 블록들이 1조로서 조합되어 모형을 형성하게 되는 입체도형의 모형에 관한 것이다.
입체도형이란 수학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기하학적 형태 즉 구, 뿔, 기둥, 다면체 등의 형태를 말한다. 특히 유아나 어린이들은 입체적·공간적 감각이 발달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입체도형만으로 그 구체적인 형태를 인식하기 어렵다. 따라서 눈으로 확인하고 손으로 만져보도록 함으로써 사물에 대한 입체감각과 공간에 대한 이해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에 실제로 제작된 입체도형의 모형이 교구로서 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종래에는 상기 입체도형의 형태를 그대로 표현한 모형 교구를 제작하고 이를 통하여 입체적·기하학적 감각을 익힐 수 있도록 하였다. 분명히 이러한 모형 교구가 입체도형의 형태를 파악하는데에 도움이 된다. 그러나 이러한 단순 모형 교구만으로는 어떤 입체가 어떤 형태 또는 방법으로 분할될 수 있는 지 또는 어떤 조각들이 모여 그 입체를 이룰 수 있는 지에 대한 심도있는 탐구가 불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단순 모형 교구는 금방 질리고 싫증나게 된다.
결국 종래의 입체모형 교구는 입체도형의 형태를 그대로 표현한 단순 모형 교구로서 교육적으로 이용되기에는 한계가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모형 교구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입체를 다수의 블록으로 분할 및 조합하여 관찰, 탐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입체도형의 형태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형성하고 사물에 대한 정확한 이해력을 형성하는데 효과적인 입체도형의 모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동시에, 조합시 입체 모형을 형성하는 블록들이 정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형태를 이룰 수 있는 입체도형의 모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입체도형의 모형은: 복수로 분할되고 1조로서 면접하여 입체도형의 형태를 형성하게 되는 블록과, 상기 면접하는 블록의 표면부에 제공되어 블록 상호간의 정위치를 설정하는 대응 결착부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결착부재는 자석이다. 자석은 상기 블록의 표면부와 동일한 평면상에서 고정될 수 있으며, 다르게는 표면부로부터 함침 고정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입체도형의 모형은 복수의 블록으로 다양하게 분할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이들 블록을 조합하여 하나의 입체도형의 형태를 완성할 수 있다. 이 때 결착부재는 블록들이 정위치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입체 모형이 형성되도록 한다. 블록의 분리 및 조합 과정에서, 사용자는 입체도형의 구체적인 형태에 대한 새로운 시각과 사물에 대한 정확한 이해력을 갖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특징과 작용효과는,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 기재를 통하여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입체도형의 모형은 부호 10으로 표시된다. 상기 모형(10)은 분리 및 결착이 가능한 두 개의 블록(11a,11b)를 포함하며, 각 블록(11a,11b)은 서로 면접하는 표면부(12a,12b)를 갖는다. 두 개의 블록(11a,11b)이 상기 표면부(12a,12b)에서 면접하여 결착되었을 때 모형의 형태는 '구'이다.
상기 모형(10)은 면접하는 표면부(12a,12b)에 각각 제공되어 서로 대응하는 결착부재(14a,14b)를 포함한다. 상기 결착부재(14a,14b)는 두 개의 블록(11a,11b)이 쉽게 분리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결착부재(14a,14b)로서 돌기-홈 메카니즘도 가능할 것이나, 이 경우 자칫 부상의 위험이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결착부재(14a,14b)는 자석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자석(14b)은 블록(11b)의 표면부(12b)에 끼워지고, 표면부(12b)와 동일 평면을 이루게 된다. 이를 위하여 표면부(12b)에는 일정 깊이의 홈(13)이 형성된다. 이 결합구조는 가공 및 제작이 비교적 간편한 이점이 있으나, 상기 자석(14b)이 표면부(12b)로부터 이탈될 염려가 있다.
도 3a 및 도 3b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석(14b)을 표면부(12b)에서 함침되도록 하여 그 이탈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자석(14b)의 자력이 약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3b에서는 블록(11b)의 표면부(12b)와 자석(14b) 간에 연장된 홀(15)이 형성된 것을 예시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자석(14a,14b)은 서로 면접촉하여 결착되는 성질을 갖고 있다. 따라서 모형(10)의 형태적 완성 및 유지가 쉽게 이루어진다. 한편, 도 4의 경우 사각뿔 모형은 경사지게 구분된 두 개의 블록으로 구성되며, 이 때에도 자석(14a,14b)에 의해 모형의 형태적 완성 및 유지가 쉽게 이루어진다.
도 1 및 도 2에서는, 두 개의 블록(11a,11b)이 상기 표면부(12a,12b)에서 면접하고, 결착부재(14a,14b)에 의하여 결착되었을 때, 입체도형을 형성하는 모형(10)의 형태는 '구'인 것으로 설명하였다. 다만, 본 고안이 구현되는 모형의 특정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4 내지 도6에 예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입체도형의 모형은 뿔, 기둥, 다면체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4 내지 도6에 예시된 입체도형의 모형이: 복수로 분할되고 1조로서 면접하여 입체도형의 형태를 형성하게 되는 블록과, 상기 면접하는 블록의 표면부에 제공되어 블록 상호간의 정위치를 설정하는 대응 결착부재를 포함하는 점에서, 입체도형의 모형이 '구'인 위의 경우와 다르지 않다.
본 고안에 따른 입체도형의 모형은 복수의 블록으로 다양하게 분할되어 있으 며, 사용자는 이들 블록을 조합하여 하나의 입체도형의 형태를 완성할 수 있다. 이 때 결착부재가 블록들을 정위치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입체 모형을 형성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블록의 분리 및 조합 과정에서, 사용자는 입체도형의 구체적인 형태에 대한 새로운 시각과 사물에 대한 정확한 이해력을 갖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복수로 분할되고 1조로서 면접하여 입체도형의 형태를 형성하게 되는 블록과, 상기 면접하는 블록의 표면부에 제공되어 블록 상호간의 정위치를 설정하는 대응 결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도형의 모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도형의 모형은 구, 뿔, 기둥 또는 다면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도형의 모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착부재는 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도형의 모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은 블록의 표면부와 동일한 평면상에서 고정되거나 또는 표면부로부터 함침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도형의 모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이 표면부로부터 함침 고정되는 경우, 상기 블록은 표면부와 자석 간에 연장된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도형의 모형.
KR2020060031552U 2006-12-12 2006-12-12 입체도형의 모형 KR2007000003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1552U KR20070000033U (ko) 2006-12-12 2006-12-12 입체도형의 모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1552U KR20070000033U (ko) 2006-12-12 2006-12-12 입체도형의 모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0033U true KR20070000033U (ko) 2007-01-05

Family

ID=43656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31552U KR20070000033U (ko) 2006-12-12 2006-12-12 입체도형의 모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00033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9661B1 (ko) * 2007-05-15 2008-04-04 이규휘 유아 학습용 자석블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9661B1 (ko) * 2007-05-15 2008-04-04 이규휘 유아 학습용 자석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9524317A (ja) 玩具組立要素
US20180161690A1 (en) Play toy in the form of interchangeable blocks and method for locking interchangeable blocks
US20160271510A1 (en) Apparatus for Forming Instructional Figures
KR101684922B1 (ko) 조립완구용 면블록 홀더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완구유닛
US20140220854A1 (en) Adaptor brick
KR20070000033U (ko) 입체도형의 모형
KR20170065212A (ko) 탄성벽을 이용한 체결구조를 가지는 디오라마 조립식 블록
US20150360137A1 (en) Mosaic Structure Assembly Kit
KR101250530B1 (ko) 블록교구
CN106029193B (zh) 用于产生链条和立体结构的可连接元件
CN201655094U (zh) 组合式双曲抛物面教具模型
KR20130004345U (ko) 지능형 유아용 자석 블록
KR20140109064A (ko) 자석퍼즐
JP3178676U (ja) 直方体組立パズル
KR200427056Y1 (ko) 데코 패널
CN205516507U (zh) 一种儿童学习积木
JP3153111U (ja) 組合せブロック玩具
JP3197214U (ja) 組立ブロックおもちゃ
KR101004887B1 (ko) 유아용 자석블록
KR200479878Y1 (ko) 블록 지지대를 갖는 블록완구
CN204050963U (zh) 一种磁性拼接玩具车
JP3162980U (ja) 図形棒
CN201399228Y (zh) 一种镶嵌式益智玩具
KR100740408B1 (ko) 학습용 조립블록
JP3999809B1 (ja) 立体パズ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