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6338A - Construction structure, unit for use in construction structure and carry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Construction structure, unit for use in construction structure and carry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6338A
KR20060136338A KR1020060058303A KR20060058303A KR20060136338A KR 20060136338 A KR20060136338 A KR 20060136338A KR 1020060058303 A KR1020060058303 A KR 1020060058303A KR 20060058303 A KR20060058303 A KR 20060058303A KR 20060136338 A KR20060136338 A KR 200601363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concrete
side panel
civil construction
civ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83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00368A (en
Inventor
이사오 유키모토
기요노리 하세가와
Original Assignee
간쿄 고가쿠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간쿄 고가쿠 겐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5186143A external-priority patent/JP4518400B2/en
Application filed by 간쿄 고가쿠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간쿄 고가쿠 겐큐쇼 filed Critical 간쿄 고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36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6338A/en
Publication of KR20070000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0368A/en

Links

Images

Abstract

각 토목구축물용 유니트(7)에서 배면측 콘크리트판(9)과 표면측 콘크리트판(8) 사이에 콘크리트층(22)을 개재시켜, 보호벽(23)을 형성함과 동시에, 서로 이웃한 배면측 콘크리트판(9) 사이에 간극(21)을 형성하고, 그 간극(21)을 통해서 콘크리트층(21)의 일부를 뒷채움층(5)의 안에 진입시켜, 그 콘크리트층(22)의 일부와 뒷채움층(5)에서의 채움석(6)을 계합(係合)시킨다. 이렇게 함으로써 뒷채움층(5)에 대한 보호벽(23)의 일체화력을 높이고, 소정의 설치강도를 확보하는 것을 기준으로 하는 경우에 있어서, 보호벽(23) 형성을 위한 콘크리트 충전량을 감소시킨다.In each civil construction unit 7, a protective wall 23 is formed between the back side concrete plate 9 and the surface side concrete plate 8 to form a protective wall 23, and the back side adjacent to each other. A gap 21 is formed between the concrete plates 9, and a part of the concrete layer 21 enters into the back filling layer 5 through the gap 21, and a part of the concrete layer 22 and the back filling are formed. The filling stones 6 in the layer 5 are engaged. This increases the integration force of the protective wall 23 with respect to the backfill layer 5 and reduces the amount of concrete filling for forming the protective wall 23 in the case where it is based on securing a predetermined installation strength.

토목구축물, 표면측 판넬, 배면측 판넬, 콘크리트층, 보호벽, 반송구 Civil construction, surface panel, back panel, concrete layer, protective wall, conveyance port

Description

토목구축물, 토목구축물용 유니트 및 매달아올림 반송구 {CONSTRUCTION STRUCTURE, UNIT FOR USE IN CONSTRUCTION STRUCTURE AND CARRYING APPARATUS}Civil Construction Units, Units for Civil Construction and Suspended Return Ports {CONSTRUCTION STRUCTURE, UNIT FOR USE IN CONSTRUCTION STRUCTURE AND CARRYING APPARATUS}

도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호안을 설명하는 설명도1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a sea bank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도2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토목구축물용 유니트를 나타낸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uni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도3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토목구축물용 유니트를 나타낸 정면도3 is a front view showing a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4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토목구축물용 유니트를 나타낸 배면도4 is a rear view of the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5는 도3의 A-A선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6은 도5의 부분 확대도6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FIG.

도7은 완만한 경사의 호안을 시공공정을 설명한 설명도7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a construction process of a slop of gentle slope

도8은 도7에 계속된 공정을 설명하는 설명도8 is an explanatory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following FIG. 7;

도9는 도8에 계속된 공정을 설명하는 설명도9 is an explanatory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following FIG. 8.

도10은 토목구축물용 유니트의 매달아올림 반송구를 나타내는 사시도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ifting conveyance port of a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unit;

도11은 도9에 계속된 공정을 설명하는 설명도11 is an explanatory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following FIG. 9;

도12는 도11에 계속된 공정을 설명하는 설명도12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following FIG. 11;

도13은 급경사의 호안을 시공공정(제2 실시형태)을 설명하는 설명도13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a construction step (second embodiment) for the draft of a steep slope;

도14는 토목구축물용 유니트의 매달아올림 반송(제3 실시형태)을 설명하는 설명도14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a suspension conveyance (third embodiment) of a civil construction unit;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호안 2: 시공면1: Hoan 2: Construction surface

5: 뒷채움층 6: 채움석(채움재)5: Backfill Layer 6: Filling Stone (Filling Material)

7: 토목구축물용 유니트 8: 표면측 콘크리트판7: Unit for civil construction 8: Surface concrete plate

9: 배면측 콘크리트판 10: 나사봉9: back side concrete plate 10: screw rod

21: 간극 22: 콘크리트층21: gap 22: concrete layer

23: 보호벽 26: 와이어(삭조)23: protective wall 26: wire (cutting)

27: 매달아올림 반송구 28: 하측 완부27: Suspension return port 28: Lower arm

29: 상측 완부 37: 연결공29: upper arm 37: connector

40: 경화콘크리트 40A: 경화콘크리트40: hardened concrete 40A: hardened concrete

40B: 경화콘크리트40B: hardened concrete

본 발명은 토목구축물, 토목구축물용 유니트 및 매달아올림 반송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ivil engineering structure, a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unit and a suspension conveyance port.

벽구축 유니트로서, 특허문헌 1에 나타난 것과 같이, 2장의 판넬을 봉형상의 복수의 연결부재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만들면서 평행한 배치상태로 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이 벽구축 유니트에 있어서, 2장의 판넬을 형틀로서 이용하면서 그 양 판넬 사이에 콘크리트를 충전하면, 2장의 판넬과 콘크리트가 일체화한 벽을 얻을 수 있게 된다.As the wall construction unit, as shown in Patent Literature 1, it has been proposed to make two panels in a parallel arrangement state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a plurality of rod-shaped connecting members. In this wall construction unit, when two panels are used as a template and concrete is filled between the two panels, a wall in which the two panels and the concrete are integrated can be obtained.

이와 같은 벽구축 유니트의 기술은, 호안, 옹벽용 등에 있어서의 보호벽의 구축에도 응용할 수 있다. 즉, 토목구축물용 유니트로서, 표면측 판넬과 배면측 판넬을 봉형상의 다수의 연결부재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만들면서 대략 평행한 배치상태로 한 것을 준비하고, 그 각 토목구축물용 유니트를 배면측 판넬이 시공면쪽이 되도록 하면서 시공면에 배치함과 동시에, 그 각 토목구축물용 유니트에 있어서의 표면측 판넬과 배면측 판넬과의 사이에 콘크리트를 충전하면, 그 콘크리트가 경화하여 시공면상에 표면측 판넬과 배면측 판넬과 콘크리트가 일체화한 보호벽이 간단하게 형성된다.The technology of such a wall construction unit can also be applied to the construction of protective walls in lakes, retaining walls and the like. That is, as a civil construction unit, a surface side panel and a rear side panel are prepared in a substantially parallel arrangement state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a plurality of rod-shaped connecting members, and each civil construction unit is a rear side panel. When the concrete is placed between the surface side panel and the back side panel in each civil construction unit, the concrete hardens and the surface side panel is placed on the construction surface. The protective wall integrated with the back panel and concrete is easily formed.

특허문헌1 특개평10-18485호 공보Patent Document 1 Publication No. 10-18485

그러나 상기 토목구축물용 유니트를 사용하여 형성된 보호벽(표면측 판넬, 배면측 판넬 및 콘크리트의 일체화물)은, 그 중량 때문에 시공면에 결합하게 되어, 강도상, 만족스러운 소정 이상의 설치강도(시공면과의 일체화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 충전량을 소정량 이상으로 하여 보호벽의 중량을 확보해야만 한다.However, the protective wall formed by using the civil construction unit (integrated surface panel, rear panel and concrete) is bonded to the construction surface because of its weight, so that the strength of the installation is satisfactory. In order to secure the integrated strength), the weight of the protective wall must be secured with the concrete filling amount being a predetermined amount or more.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으로 선례에 비추어 생각하여 이루어낸 것으로, 그 제1의 기술적 과제는, 시공면에 대한 보호벽의 소정의 설치강도를 확보하면서 콘크리트 충전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토목구축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in light of the precedent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a first technical problem is to provide a civil engineering structure capable of reducing the amount of concrete filling while securing a predetermined installation strength of a protective wall on a construction surface. .

제2의 기술적 과제는, 상기 토목구축물에 사용되어진 토목구축물용 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A second technical problem is to provide a civil construction unit used in the civil construction.

제3의 기술적 과제는, 상기 토목구축물용 유니트를 매달아올려 반송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매달아올림 반송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A third technical problem is to provide a suspension conveyance port for use in order to suspend and convey the civil construction unit.

상기 제1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청구항 1에 관한 발명)에 있어서는, In order to achieve the first technical problem, in the present invention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1),

시공면에 복수의 토목구축물용 유니트가 부설되고, 상기 각 토목구축물용 유니트가 시공면상에 배치된 배면측 판넬과, 봉형상의 복수의 연결부재에 기초해 해당 배면측 판넬로부터 소정의 간격만큼 떨어뜨려 배치된 표면측 판넬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각 토목구축물용 유니트에 있어서의 상기 배면측 판넬과 상기 표면측 판넬 사이에 콘크리트층이 개재되어 있는 토목구축물로서,A plurality of civil construction units are provided on the construction surface, and each civil construction unit is separated from the rear panel by a predetermined distance based on the rear panel disposed on the construction surface and a plurality of rod-shaped connecting members. A civil engineering structure comprising a surface side panel arranged, wherein a concrete layer is interposed between the rear side panel and the surface side panel in each of the civil construction units.

상기 각 토목구축물용 유니트에 있어서의 배면측 판넬이, 서로 이웃한 토목구축물용 유니트에 있어서의 배면측 판넬에 대하여 떨어져서, 해당 서로 이웃한 배면측 판넬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고,The rear panel in each civil construction unit is separated from the rear panel in neighboring civil construction units, and a gap is formed between the neighboring rear panel.

상기 콘크리트층의 일부가, 상기 각 간극을 통해서 상기 시공면으로 진입하고 있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청구항 1의 바람직한 형태로서 청구항 2, 3에 기재한 바와 같다.A part of the concrete layer enters the construction surface through the gaps. As a preferable aspect of this claim 1, it is as described in Claims 2 and 3.

상기 제2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청구항 4에 관한 발명)에 있어서는, In order to achieve the second technical problem, in the present invention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4),

표면측 판넬과 배면측 판넬이 봉형상의 복수의 연결부재를 사이에 두고 연결 되고, 해당 표면측 판넬과 해당 배면측 판넬이 소정의 간격을 만들면서 대략 평행한 배치상태로 되어 있는 토목구축물용 유니트로서,The front panel and the back panel are connected with a plurality of rod-shaped connecting members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panel are arranged in a substantially parallel arrangement with a predetermined gap. ,

상기 배면측 판넬의 판면면적이, 상기 표면측 판넬의 판면면적보다 작게 되어 있는 구성이다. 이 청구항 4의 바람직한 형태로서 청구항 5~7에 기재한 바와 같다.The panel area of the rear panel is smaller than the panel area of the front panel. As a preferable aspect of this claim 4, it is as having described in Claims 5-7.

상기 제3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청구항 8에 관한 발명)에 있어서는,In order to achieve the third technical problem, in the present invention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8),

표면측 판넬과 배면측 판넬이 봉형상의 복수의 연결부재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해당 표면측 판넬과 해당 배면측 판넬이 소정의 간격을 만들면서 대략 평행한 배치상태로 되고, 상기 배면측 판넬의 판면면적이 상기 표면측 판넬의 판면면적보다 작게 되어 있는 토목구축물용 유니트를 매달아올려 반송하는 매달아올림 반송구로서,The front panel and the back panel are connected with a plurality of rod-shaped connecting members interposed therebetween, so that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panel are in a substantially parallel arrangement state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therebetween. A suspending conveying port for suspending and conveying a civil construction unit having a plate area smaller than that of the surface side panel,

상기 표면측 판넬의 내면측에 배치하기 위한 하측 완부(腕部)와, 해당 하측 완부에 대향하도록 하여 만들어져 해당 표면측 판넬의 표면측에 배치하기 위한 상측 완부가 구비되고,A lower arm for arranging on the inner surface side of the surface side panel and an upper arm for facing the lower arm and arranged on the surface side of the surface side panel,

상기 하측 완부, 상기 상측 완부의 적어도 어느 한 쪽에, 상기 표면측 판넬을 해당 하측 완부, 해당 상측 완부 안의 다른 쪽으로 향하게 하여 압압(押壓)하는 압압구가 구비되고,At least one of the lower arm and the upper arm is provided with a pressure port for pressing the surface side panel to face the lower arm and the other side in the upper arm,

상기 상측 완부에 그 연장방향에 있어서, 매달아올림 와이어(삭조, 索條)를 연결하기 위한 다수의 연결공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이다.The upper arm is a configuration in which a plurality of connecting holes are formed in the extending direction to connect the hanging wires.

이하, 본 발명이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is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drawings.

도1 내지 도12는 제1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그 제1 실시형태에 관한 호안(1)에 있어서는, 도1에 나타난 것처럼, 시공면(2)(법면)이 하천(3)측에서 육상측(도1 중 우측)으로 향함에 따라 위쪽으로 향하여 연장하도록 경사져 있고, 그 시공면(2)의 하단위치에는 기초블록(4)이 구비되어 있다. 시공면(2)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일정 층두께를 이루는 뒷채움층(5)의 표면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그 뒷채움층(5)은, 쇄석(碎石), 할률석(割栗石) 등의 채움돌(채움재)(6)을 서로 맞물리게 한 상태로 충전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고 있다. 기초블록(4)은, 하천수의 흐르는 방향(도1 중 지면직각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하여 배치되고 있고, 그 기초블록(4)에는 육상측에 있어서의 상부에 있어서, 위쪽으로 향함에 따라 하천(3)측으로 경사진 경사면(4a)이 형성되어 있다.1 to 12 show a first embodiment. In the raft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s shown in Fig. 1, the construction surface 2 (law surface) faces upward from the river 3 side toward the land side (right side in Fig. 1). It is inclined so as to extend, and the foundation block 4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position of the construction surface 2. The construction surface 2 is formed by the surface of the backfill layer 5 which forms a fixed layer thickness in this embodiment, and the backfill layer 5 is a crushed stone and a calcite stone. It is formed by filling the filling stones (filling material) 6 of the back in the state which meshed with each other. The foundation block 4 is arranged so as to extend in the flowing direction of the river water (the right angle to the ground in Fig. 1), and the foundation block 4 is formed at the upper portion on the land side as it flows upward. The inclined surface 4a inclined to the 3) side is formed.

상기 시공면(2) 위에는, 도1에 나타난 것처럼, 호안 기능을 발휘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고, 복수의 토목구축물용 유니트(7)가 전면에 깔려 있다. 각 토목구축물용 유니트(7)는, 도2 내지 도5에 나타난 것처럼, 일정 두께가 있으며 평면이 대략 정방 형상인 표면측 콘크리트판(표면측 판넬)(8)과 배면측 콘크리트판(배면측 판넬)(9)을 갖고 있고, 그 표면측 콘크리트판(8)과 배면측 콘크리트판(9)은, 연결부재로서 나사봉(10)을 이용하는 것으로부터, 그 양자(8, 9)의 판면이 평행상태를 유지하면서 일정 간격을 갖는 구성이다.On the construction surface 2, as shown in Fig. 1, the main purpose is to exert a relief function, and a plurality of civil construction units 7 are laid out on the front surface. Each civil construction unit 7 includes a surface side concrete plate (surface side panel) 8 and a back side concrete plate (back side panel)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having a substantially square plane as shown in FIGS. ), And the surface side concrete plate 8 and the back side concrete plate 9 use the screw rod 10 as a connecting member, so that the plate surfaces of both the 8 and 9 are parallel. It is a configuration having a certain interval while maintaining the state.

상기 각 토목구축물용 유니트(7)의 배면측 콘크리트판(9)은, 도1 내지 도5에 나타난 것처럼, 뒷채움층(5)의 위(시공면(2))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배면측 콘크 리트판(9)은, 그 각 한 변이 표면측 콘크리트판(8)의 한 변보다도 작게 되어 있고, 그 배면측 콘크리트판(9)의 판면면적(내, 외면면적)은 표면측 콘크리트판(8)의 판면면적(내, 외면면적)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 또한, 각 토목구축물용 유니트(7)에 있어서의 배면측 콘크리트판(9)의 측면(9a)은, 그 두께 방향 바깥쪽으로부터 안쪽으로 향함에 따라 주위 바깥쪽으로 뻗어나가도록 경사져 있고, 배면측 콘크리트판(9)의 판면 내면의 면적이, 그 판면 외면의 면적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 배면측 콘크리트판(9)으로서, 예를 들면, 두께 70㎜ 전후, 한쪽 변 950㎜ 전후의 것이 사용되고 있다. 더욱이, 이 배면측 콘크리트판(9)의 내면에는, 도5, 도6에 나타난 것처럼, 그 네 구석방향 쪽에 있어서 삽통공(11)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각 삽통공(11)은, 배면측 콘크리트판(9)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게 하고, 그 외면측에는 그 삽통공(11)의 지름이 넓어지고, 단(段)붙임구멍(12)이 형성되어 있다.The back side concrete plate 9 of each civil construction unit 7 is arrange | positioned on the back filling layer 5 (construction surface 2), respectively, as shown to FIG. Each side of the back side concrete plate 9 is smaller than one side of the surface side concrete plate 8, and the plate surface area (inner and outer surface areas) of the back side concrete plate 9 is surface side concrete. It is smaller than the plate surface area (inner and outer surface area) of the board 8. As shown in FIG. In addition, the side surface 9a of the back side concrete board 9 in each civil construction unit 7 is inclined so that it may extend to the outer periphery as it goes inward from the thickness direction outward, and a back side concrete board The area of the inner surface of the plate surface of (9) is larger than the area of the outer surface of the plate surface. In this embodiment, as this back side concrete board 9, the thing about 70 mm in thickness, and about one side 950 mm is used, for example. Furthermore, as shown in Figs. 5 and 6, the insertion holes 11 are formed in the four corner directions, respectively,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ack side concrete plate 9. Each of the insertion holes 11 allows the back side concrete plate 9 to penetrate in the thickness direction, and on the outer surface side thereof, the diameter of the insertion hole 11 is widened, and a stepped hole 12 is formed. It is.

상기 각 토목구축물용 유니트(7)의 표면측 콘크리트판(8)은, 도1 내지 도5에 나타난 것처럼, 그 각 토목구축물용 유니트(7)의 표면측 콘크리트판(9)에 대하여 일정 간격만큼 상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 표면측 콘크리트판(8)의 측면(8a)은, 그 내외면에 대해 수직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그 두께는, 배면측 콘크리트판(9)의 두께보다도 두껍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표면측 콘크리트판(8)의 두께는, 그 측면(8a)을 재치면(載置面)에 대한 당접면(當接面)으로 한 경우에, 자립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급경사(예를 들면 1:0.3~1:0.6)에 대응하도록 설정된 기초블록(4)의 경사면 위에서, 토목구축물용 유니트(7)가 표면측 콘크리 트 때문에 자리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표면측 콘크리트판(8)의 측면(8a)에는, 그 한 측면(8aa)에 있어서, 한 쌍의 돌출부(13)가 돌출되어, 그 하나의 측면(8aa)에 대향하는 측면(8ab)에 오목부(14)가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돌출부(13)는, 일정 간격만큼 떨어져서 배치되어 있고, 오목부(14)는 그 내부에 다른 토목구축물용 유니트(7)의 한 쌍의 돌출부(13)를 끼워 넣을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경우, 오목부(14)는, 표면측 콘크리트판(8)의 측면 바깥쪽뿐만 아니라 내면 바깥쪽으로도 개구되어 있다(도5 참조). 이렇게 함으로써, 서로 이웃한 토목구축물용 유니트(7) 끼리에 있어서, 표면측 콘크리트판(8)의 측면 끼리를 맞추어 볼 때에, 횡방향으로부터 가까워지는 경우 뿐만 아니라 위쪽으로부터 내려놓는 것에 의해 가까워지는 것에 의해서도, 하나의 토목구축물용 유니트(7)에 있어서의 표면측 콘크리트판(8)의 한 쌍의 돌출부(13)로 다른 토목구축물용 유니트(7)에서의 표면측 콘크리트판(8)의 오목부(14)를 끼워 넣을 수 있고, 이 오목부(14)와 한 쌍의 돌출부(13)를 끼워 맞춘 결합관계에 기초하여, 토목구축물용 유니트(7) 끼리의 위치결정이 행해진다.As shown in FIGS. 1 to 5, the surface-side concrete plate 8 of each civil structural unit 7 is fix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with respect to the surface-side concrete plate 9 of each civil structural unit 7. It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The side surface 8a of this surface side concrete board 8 is formed in the perpendicular | vertical state with respect to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and the thickness is set so that it may become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back side concrete board 9. The thickness of this surface side concrete board 8 is set so that it may become independent when the side surface 8a is made into the contact surface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surface, and this Example In the above, the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unit 7 is set so as to sit on the inclined surface of the foundation block 4 set to correspond to steep slopes (for example, 1: 0.3 to 1: 0.6) due to the surface-side concrete. On the side surface 8a of this surface side concrete board 8, a pair of protrusions 13 protrude from the side surface 8aa, and the side surface 8ab facing the one side surface 8aa. The recessed part 14 is formed. The pair of protrusions 13 are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part, and the recess 14 is set so as to fit the pair of protrusions 13 of the other civil construction unit 7 therein. . In this case, the recessed part 14 is opened not only in the side outer side of the surface side concrete board 8 but also in the inner surface outer side (refer FIG. 5). In this way, when the side surfaces of the surface-side concrete plate 8 are aligned with each other, the units 7 for civil construction adjacent to each other are not only close to the lateral direction but also close to each other by being lowered from the upper side. A recess of the surface-side concrete plate 8 in the other civil construction unit 7 with a pair of protrusions 13 of the surface-side concrete plate 8 in one civil construction unit 7 14) can be fitted, and positioning of the civil construction units 7 is performed on the basis of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recess 14 and the pair of protrusions 13.

이 표면측 콘크리트판(8)의 표면상에는, 복수의 자연석(15)이 식석되어 있는 것과 함께, 그 각 자연석(15)이 존재하는 이외의 잔여 부분에 있어서 10㎜정도보다도 작은 직경의 작은 자갈(16)이 그 잔여 부분을 덮도록 유지되고 있다(작은 자갈면의 형성). 복수의 자연석(15) 및 작은 자갈(16)은, 표면측 콘크리트판(8)이 미경화에 있는 상태를 이용하여 유지되고 있고, 복수의 자연석(15)과 작은 자갈(16)은, 토목구축물용 유니트(7)를 자연경관에 조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고, 자연석(15)은 한층 더, 전석(轉石) 등의 외력을 막아서 보호하는 보호 기능을 수행하게 되어 있다. 한편, 표면측 콘크리트판(8)의 내면에는, 도5, 도6에 나타난 것처럼 상기 4개의 삽통공(11)에 대응하여, 4개의 삽입너트(17)가 매설되어 있다. 이 4개의 삽입너트(17)는, 표면측 콘크리트판(8)의 내면측의 네 귀퉁이 안쪽에 배치되어 있고, 그 각 삽입너트(17)의 나사구멍은 표면측 콘크리트판(8)의 내면에서 바깥쪽으로 향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표면측 콘크리트판(8)으로서 두께 130㎜ 전후, 한 변 1000㎜ 전후의 것이 사용되고 있다.On the surface of the surface-side concrete plate 8, a plurality of natural stones 15 are grafted, and small pebbles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about 10 mm in the remaining portions other than the natural stones 15 are present ( 16) is kept to cover the remainder (formation of small gravel). The plurality of natural stones 15 and the small gravel 16 are held using the state that the surface-side concrete plate 8 is not hardened, and the plurality of natural stones 15 and the small gravel 16 are civil engineering structures. It performs a function of harmonizing the unit 7 to the natural landscape, the natural stone 15 is to perform a protective function to further protect by preventing external forces such as stone. On the other hand, four insertion nuts 17 are embedd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surface-side concrete plate 8 corresponding to the four insertion holes 11 as shown in Figs. 5 and 6. These four insertion nuts 17 are arranged inside four corners of the inner surface side of the surface-side concrete plate 8, and the screw holes of the respective insertion nuts 17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urface-side concrete plate 8. Facing outwards. In this embodiment, about 130 mm in thickness, and about 1000 mm in one side are used as the surface side concrete board 8.

상기 나사봉(10)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2~도6에 나타난 것처럼 4개 사용되고 있다. 각 나사봉(10)은 그 일단부가 표면측 콘크리트판(8)의 삽입너트(17)에 나사결합되어 있고, 그 일단측에 있어서, 나사봉(10)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너트(18)가 표면측 콘크리트판(8)의 내면으로 강하게 당접하도록 단단히 죄어져 있다. 각 나사봉(10)의 다른 단부는, 배면측 콘크리트판(9)의 삽통공(11)에 꽂아 넣어지고, 그 나사봉(10)에 나사결합된 한 쌍의 너트(19, 20)에 의해 배면측 판넬(삽통공(11) 주변부)이 끼워져 결합되어 있다. 이 때 한쪽 너트(20)는, 단붙임구멍(12) 내에 수납되고, 그 너트(20) 및 그 너트(20)에 나사결합된 나사봉(10)의 다른 단부는, 배면측 콘크리트판(9)의 외면에서 돌출하지 않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표면측 콘크리트판(8)과 배면측 콘크리트판(9)은, 그 판면끼리가 너트(19, 20) 등의 조정에 의해,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평행하게 됨과 동시에, 배면측 콘크리트판(9)이 표면측 콘크리트판(8)의 내면측 영역 내로 향하면서, 해당 표면측 콘크리트판(8)에 대해 동심(同心) 모양으로 배치되게 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four screw rods 10 are used as shown in Figs. One end of each threaded rod 10 is screwed into the insertion nut 17 of the surface-side concrete plate 8, and at one end thereof, a nut 18 screwed into the threaded rod 10 is provided. It is tightened so that it may strongly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surface side concrete board 8. The other end of each of the threaded rods 1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1 of the back side concrete plate 9 by a pair of nuts 19 and 20 screwed to the threaded rods 10. A rear panel (a periphery of the insertion hole 11) is fitted and engaged. At this time, one nut 20 is accommodated in the stepping hole 12, and the other end of the nut 20 and the screw rod 10 screwed to the nut 20 is the rear concrete plate 9. It does not protrude from the outer surface. As a result, the surface-side concrete plate 8 and the rear-side concrete plate 9 are parallel to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by adjusting the nuts 19, 20, etc., and at the same time, the back-side concrete plate While the plate 9 is directed into the inner surface side region of the surface side concrete plate 8, it is arranged concentrically with respect to the surface side concrete plate 8.

상기 각 토목구축물용 유니트(7)는, 뒷채움층(5) 위에 있어서, 도1에 나타난 것처럼, 기초블록(4)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쌓아올려져서, 서로 이웃한 토목구축물용 유니트(7)와의 관계에 있어, 그 표면측 콘크리트판(8)의 각 측면(8a)끼리가 당접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서로 이웃한 토목구축물용 유니트(7)에 있어서의 배면측 콘크리트판(9)의 측면(9a)끼리는, 그 양자(9), (9) 사이에 간극(21)을 형성하게 되어, 그 간극(21)을 통해서 뒷채움층(5)이 표면측 콘크리트판(8)과 배면측 콘크리트판(9)의 사이 공간으로 향하고 있다.Each civil construction unit 7 is stacked on the backfill layer 5 sequentially from the base block 4, as shown in FIG. 1, in relation to the neighboring civil construction unit 7 adjacent to each other. Each side surface 8a of the surface side concrete board 8 abuts. However, the side surfaces 9a of the back side concrete plate 9 in the adjacent civil engineering structure units 7 form a gap 21 between the two 9, 9, and the gaps therebetween. The backfill layer 5 is directed to the space between the surface-side concrete plate 8 and the rear-side concrete plate 9 through 21.

쌓아 올려진 토목구축물용 유니트(7)의 표면측 콘크리트판(8)과 배면측 콘크리트판(9)의 사이에는 도1에 나타난 것처럼, 콘크리트층(22)이 개재되어 있다. 콘크리트층(22)은 배면측 콘크리트판(9)이 표면측(하천(3)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고, 그 배면측 콘크리트판(9)으로 연결되어 있는 표면측 콘크리트판(8)이 표면측으로 이동하는 것(탈락하는 것)을 규제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콘크리트층(22)은 표면측 콘크리트판(8)이 표면측에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과 동시에, 표면측 콘크리트판(8) 및 배면측 콘크리트판(9)과 일체화하여, 시공면(2)에 결합하는 보호벽(23)을 형성하게 되어 있다(보호벽의 설치).A concrete layer 22 is interposed between the surface-side concrete plate 8 and the rear-side concrete plate 9 of the stacked civil construction unit 7. The concrete layer 22 restricts the back side concrete plate 9 from moving to the surface side (river 3 side), and the surface side concrete plate 8 connected to the back side concrete plate 9 is It regulates the movement to the surface side (falling off). As a result, the concrete layer 22 prevents the surface-side concrete plate 8 from falling off on the surface side, and is integrated with the surface-side concrete plate 8 and the back-side concrete plate 9 to form a construction surface ( The protective wall 23 which engages with 2) is formed (installation of a protective wall).

상기 콘크리트층(22)은, 도1에 나타난 것처럼 그 일부가 상기 각 간극(21)을 통하여 뒷채움층(5)으로 진입하고 있다(화살표로 나타낸다). 이 진입한 콘크리트층(22)의 일부는, 뒷채움층(5)에 있어서의 서로 맞물린 쇄석들의 채움석(6)에 계합하고 있고, 이것이 뒷채움층(5)에서 서로 맞물린 쇄석들의 채움재(6)로 계합되어 있고, 그것이 뒷채움층(5)에 대한 보호벽(23)의 일체화에 기여한 것이 되었다. 이 때문에 이러한 호안(1)에 있어서는, 뒷채움층(5)(시공면(2))에 대한 보호벽(23)의 설치강도에 관하여, 소정의 설치강도를 충족시키는 것을 기준으로 하는 경우에는, 콘크리트층(22)의 두께(중량)를 감소시킬 수 있고, 콘크리트층(22)의 두께(중량)를 종전대로 하는 경우에는, 뒷채움층(5)에 대한 보호벽(23)의 설치강도를 한층 높일 수 있게 된다. As shown in FIG. 1, a part of the concrete layer 22 enters the backfill layer 5 through the gaps 21 (indicated by arrows). A part of this entered concrete layer 22 engages the filling stones 6 of the interlocked crushed stones in the back filling layer 5, which is the filling material 6 of the crushed stones in the back filling layer 5. In connection with it, it contributed to the integration of the protective wall 23 with respect to the backfill layer 5. For this reason, in this arc 1, when it is based on satisfy | filling predetermined installation strength with respect to the installation strength of the protective wall 23 with respect to the backfill layer 5 (construction surface 2), a concrete layer When the thickness (weight) of the 22 can be reduced, and the thickness (weight) of the concrete layer 22 is conventional, the installation strength of the protective wall 23 to the backfill layer 5 can be further increased. do.

또한, 상기 각 간극(21)에 근거하여 콘크리트층(22)의 일부는, 도1에 나타난 것과 같이, 각 토목구축물용 유니트(7)에서의 배면측 콘크리트판(9)의 측면(경사면)에 계합하고 있다. 이 때문에 콘크리트층(22)과 각 토목구축물용 유니트(7)에서의 각 배면측 콘크리트판(9)에 사이를 떨어뜨리는 방향의 힘이 작용해도 그것이 규제되게 되어, 각 토목구축물용 유니트(7)에서의 배면측 콘크리트판(9)의 중량은 보호벽(23)이 시공면(2)에 결합하기 위한 중량으로서 확실하게 이용되고 있다(뒷채움층(5)에 대한 보호벽(23)의 설치강도를 높이는 것에 기여).Further, based on the gaps 21, a part of the concrete layer 22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inclined surface) of the back side concrete plate 9 in the units 7 for civil construction as shown in FIG. Are engaged. For this reason, even if a force in the direction of dropping between the concrete layer 22 and each back side concrete plate 9 in each civil construction unit 7 acts, it is regulated, and each civil construction unit 7 The weight of the concrete plate 9 on the back side is used reliably as the weight for the protective wall 23 to be bonded to the construction surface 2 (increasing the installation strength of the protective wall 23 to the backfill layer 5). Contribution to things).

다음으로, 도1에 나타난 완만하게 굽은 배치의 호안(토목구축물)(1)의 시공방법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raft (civil engineering structure) 1 of the gently curved arrangement shown in FIG. 1 is demonstrated.

먼저, 도7에 나타난 것과 같이, 대략 수평한 기초면(24)과, 그 기초면(24)으로부터 위쪽으로 향함에 따라 육상측에 경사하는 경사기초면(25)을 형성하고, 기초면(24) 상에 경사기초면(25)으로부터 다소 사이를 떨어뜨린 상태로 기초블록(4)을 형성한다.First, as shown in FIG. 7, the substantially horizontal base surface 24 and the inclined base surface 25 which incline to the land side as it goes upward from the base surface 24 are formed, and the base surface 24 is formed. The base block 4 is formed in a state in which it is somewhat spaced apart from the inclined base surface 25.

다음으로, 경사기초면(25) 상에 도8에 나타난 것과 같이, 표면이 시공면(2)으로 된 뒷채움층(5)을 형성한다. 이 뒷채움층(5)은 쇄석, 할률석 등의 채움석(6) 을 서로 맞물리게 한 상태에서, 일정 두께로 되어 있어, 그 서로 맞물림에 의해 뒷채움층(5)은 일체로서 경사기초면(25) 상에 설치되고 있다. 이 뒷채움층(5)의 형성은 구축해야 하는 호안(1)이 완만하게 굽은 배치의 경우에는 작업부담을 경감하도록 별도의 방법(후술)이 쓰인다.Next, as shown in FIG. 8, on the inclined base surface 25, the backfill layer 5 whose surface is the construction surface 2 is formed. The backfill layer 5 is of a constant thickness in the state in which the fill stones 6 such as crushed stone and a chalcedony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Is being installed on. The formation of this backfill layer 5 uses a separate method (to be described later) to reduce the work load in the case of a gently curved arrangement of the revetment 1 to be constructed.

다음으로, 상기 토목구축물용 유니트(7)를 크레인(와이어(26)와 같은 부호를 사용한다)에 의해 매달아올림 반송구(27)를 사이에 두고 뒷채움층(5) 위로 반송한다. 이 토목구축물용 유니트(7)는 도9에 나타난 것과 같이, 뒷채움층(5) 표면의 경사에 따른 경사상태 때문에 매달아올림 반송되게 되고, 그 토목구축물용 유니트(7)는 그 경사상태인 채, 경사진 뒷채움층(5)의 표면 위에 내려진다. 이 때문에 이 토목구축물용 유니트(7)의 매달아올림 반송에 있어서, 토목구축물용 유니트(7)의 매달아올림 상태(경사상태)를 조정할 수 있는 매달아올림 반송구(27)가 사용되고 있다.Next, the civil construction unit 7 is conveyed onto the back filling layer 5 with a lifting carrier 27 interposed by a crane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 as the wire 26). As shown in Fig. 9, the civil construction unit 7 is suspended and conveyed due to the inclined state of the surface of the backfill layer 5, and the civil construction unit 7 is in the inclined state. It is lowered on the surface of the inclined backfill layer 5. For this reason, in the suspension conveyance of this civil construction unit 7, the suspension conveyance opening 27 which can adjust the suspension state (inclined state) of the civil construction unit 7 is used.

구체적으로는, 상기 매달아올림 반송구(27)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하측 완부(28)와 상측 완부(29)와 연결부(30)에 의해 개략적으로 구성된 것이 사용되고 있다. 하측 완부(28)는 똑바로 연장한 한 쌍의 프레임(L자 앵글)(31)을 소정의 간격(표면측 콘크리트판(8)의 한 변보다도 짧은 길이)만큼 떨어뜨려 배치함과 동시에 그 한 쌍의 프레임(31) 사이에 보강 프레임(32)이 걸쳐진 구성으로 되어 있고, 그 연장 길이는 표면측 콘크리트판(8)의 한 변의 길이 보다도 다소 짧게 되어 있다. 상측 완부(29)는 하측 완부(28)의 위쪽 방향에 있어서, 해당 하측 완부(28)와 마찬가지로, 똑바로 연장한 한 쌍의 프레임(L자 앵글)(33)을 소정의 간격만큼 띠어서 배치함과 동시에 그 한 쌍의 프레임(33) 사이에 보강 프레임(34)이 걸쳐져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그 연장 길이는 하측 완부(28) 보다도 짧게 되어 있다. 연결부(30)는 한 쌍의 세로 프레임(35)을 구비하여, 그 한쪽의 세로 프레임(35)이 하측 완부(28)의 한쪽의 프레임(31)의 기단부와 상측 완부(29)의 한쪽 프레임(33)의 기단부를 연결하고 있고, 다른 쪽 세로 프레임(35)은 하측 완부(28)의 다른 쪽 프레임(31)의 기단부와 상측 완부(29)의 다른 쪽 프레임(33)의 기단부를 연결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하측 완부(28)와 상측 완부(29)는, 표면측 콘크리트판(8)의 두께(자연석(15)을 포함한 두께)보다도 다소 긴 간격을 갖고 대향하게 되어 있다.Specifically, the hanging carrier port 27 is u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which is schematically configured by the lower arm 28, the upper arm 29, and the connecting portion 30. The lower arm 28 arranges a pair of straight frames (L-angles) 31 a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shorter than one side of the surface-side concrete plate 8) and is disposed at the same time. The reinforcement frame 32 is interposed between the frames 31, and the extension length is somewhat shorter than the length of one side of the surface-side concrete plate 8. The upper arm 29 is arranged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lower arm 28, similarly to the lower arm 28, with a pair of straight frames (L-angles) 33 extending at predetermined intervals. At the same time, the reinforcing frame 34 extends between the pair of frames 33, and the extension length thereof is shorter than that of the lower arm 28. The connection part 30 is provided with a pair of vertical frames 35 so that one of the vertical frames 35 has a base end of one frame 31 of the lower arm 28 and one frame of the upper arm 29 ( 33 is connected to the proximal end, and the other vertical frame 35 connects the proximal end of the other frame 31 of the lower arm 28 and the proximal end of the other frame 33 of the upper arm 29. . As a result, the lower arm 28 and the upper arm 29 face each other with an interval somewhat lon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urface-side concrete plate 8 (thickness including the natural stone 15).

또한, 상측 완부(29)(한 쌍의 프레임)에는 도9에 나타난 것과 같이, 압압구로서 볼트(36)가 나사결합 상태로써 만들어짐과 동시에, 복수의 연결공(37)이 형성되어 있다. 볼트(36)는 그 선단부가 상측 완부(29)로부터 하측 완부(28)로 향해져 있어, 그 볼트(36)의 선단부와 하측 완부(28)의 간격은, 볼트(36)의 돌림에 의해 조정가능하게 되어 있다. 복수의 연결공(37)은 상측 완부(29)의 선단부(先端部)에서 기단부(基端部)로 향하여 일정 간격마다 배치되어 있다. 이 복수의 연결공(37) 중 하나인 연결공(37)에 크레인(도시생략)으로부터 연장한 와이어(26)가 연결 가능하게 되어 있어, 그 중 어느 것 하나의 연결공(37)에 와이어(26)를 연결하여 그 와이어(26)를 매달아올리면, 토목구축물용 유니트(7)가 그 연결공(37)에 따른 경사상태로서 매달아올려지게 되어 있다. 한편, 하측 완부(28)(각 프레임)에는 2개의 걸림부(38)가 형성되어 있다(도9 참조). 이 각 걸림부(38)는 하측 완부(28)를 잘라내는 것에 의해 형성되고, 그 각 걸림부(38)에는 토목구축물용 유니트(7)에서의 나사 봉(10)이 계지(係止)할 수 있게 되어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9, the upper arm 29 (a pair of frames) is provided with a bolt 36 as a pressing hole in a screwed state, and a plurality of connection holes 37 are formed. The tip of the bolt 36 is directed from the upper arm 29 to the lower arm 28, and the gap between the tip of the bolt 36 and the lower arm 28 is adjusted by turning the bolt 36. It is possible. The plurality of connecting holes 37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from the distal end of the upper arm 29 toward the proximal end. The wire 26 extending from a crane (not shown) can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hole 37 which is one of the plurality of connection holes 37, and the wire (a) is connected to any one of the connection holes 37. When 26 is connected and the wire 26 is suspended, the civil construction unit 7 is suspended as an inclined state along the connection hole 37. On the other hand, two locking portions 38 are formed on the lower arm 28 (each frame) (see Fig. 9). Each of the engaging portions 38 is formed by cutting the lower arm 28, and the engaging rods 38 are held by the screw rods 10 of the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unit 7. It is supposed to be.

이 매달아올림 반송구(27)를 사용하여 토목구축물용 유니트(7)를 매달아올릴 때에는, 먼저, 매달아올려야 할 토목구축물용 유니트(7)에서의 표면측 콘크리트판(8)의 내면측에 하측 완부(28)를 배치함과 동시에, 상측 완부(29)를 표면측 콘크리트판(8)의 표면측에 배치한다. 다음으로, 하측 완부(28)의 걸림부(38)에 나사봉(10)을 거는 한편, 볼트(36)를 꽉 죄는 것에 의해, 그 볼트(36)의 선단부와 하측 완부(28)에서 표면측 콘크리트판(8)을 협지(挾持)한다. 이것에 의해 매달아올림 반송구(27)가 표면측 콘크리트판(8)에 일체적으로 유지되게 된다.When suspending the unit 7 for civil construction using this suspension conveyance port 27, first, the lower arm is completed on the inner surface side of the surface-side concrete plate 8 in the unit 7 for civil construction to be suspended. While arranging 28, the upper arm 29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surface side of the surface side concrete board 8. As shown in FIG. Next, the screw rod 10 is fastened to the engaging portion 38 of the lower arm 28, and the bolt 36 is tightened, whereby the front end of the bolt 36 and the lower arm 28 are the surface side. The concrete plate 8 is sandwiched. As a result, the suspension carrier 27 is integrally held by the surface-side concrete plate 8.

그 다음에, 연결공(37)을, 토목구축물용 유니트(7)를 시공면(2)의 경사상태에 알맞게 하는 것으로 선택하여, 그 연결공(37)에 크레인측에서 연장한 와이어(26)를 연결하여 토목구축물용 유니트(7)를 매달아올리면, 토목구축물용 유니트(7)는 시공면(2)의 경사상태에 알맞은 경사로서 경사지게 된다. Next, the connection hole 37 is selected to make the civil construction unit 7 suitable to the inclined state of the construction surface 2, and the wire 26 extending from the crane side to the connection hole 37 is then selected. When connecting the suspended by the civil construction unit (7), civil construction unit 7 is inclined as a slope suitable for the inclined state of the construction surface (2).

상기 매달아올림 반송에 의해 뒷채움층(5) 위에 토목구축물용 유니트(7)가 반송될 때, 그 토목구축물용 유니트(7)를 우선, 최하단인 1단 째의 토목구축물용 유니트(7A)(도9 중, 지면수직방향에 복수의 토목구축물용 유니트(7)를 배치)로서 뒷채움층(5) 위에 설치한다. 이 토목구축물용 유니트(7)의 설치에 있어서는, 그 배면측 콘크리트판(9)이 시공면(2) 위에 설치되어, 표면측 콘크리트판(8)의 측면(오목부(14)가 존재하는 측면)(8a)이 기초블록(4)의 경사면(4a)으로 지지되도록 배치되어, 한 쌍의 돌출부(13)를 갖는 측면(8a)은 기초블록(4)과는 반대측으로 향해진다.When the civil construction unit 7 is conveyed onto the backfill layer 5 by the above-mentioned lifting conveyance, the civil construction unit 7 is first given the lowest stage first civil construction unit 7A (Fig. In the ninth, a plurality of civil construction units (7) are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ground), and are installed on the back filling layer (5). In the installation of the civil engineering structure unit 7, the rear side concrete plate 9 is provided on the construction surface 2, and the side surface of the surface side concrete plate 8 (the side with the recessed portion 14) is present. 8a is arranged to be supported by the inclined surface 4a of the foundation block 4, so that the side face 8a having a pair of projections 13 faces away from the foundation block 4.

다음으로, 도11에 나타난 것과 같이, 상기 1단 째의 토목구축물용 유니트(7A) 내(표면측 콘크리트판(8)과 배면측 콘크리트판(9)과의 사이)에 콘크리트(39)를 충전한다. 표면측 콘크리트판(8)과 배면측 콘크리트판(9) 사이에 콘크리트층(22)의 일부로서 경화콘크리트(40A)를 개재시키는 것에 의해, 배면측 콘크리트판(9)의 표면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고, 그것에 따라 표면측 콘크리트판(8)의 탈락이 방지됨과 동시에, 표면측 콘크리트판(8), 배면측 콘크리트판(9) 및 경화 콘크리트(40A)가 일체화되어 보호벽(23)의 일부가 구성되게 된다.Next, as shown in Fig. 11, the concrete 39 is filled in the first stage civil construction unit 7A (between the surface-side concrete plate 8 and the rear-side concrete plate 9). do. By interposing the hardened concrete 40A as part of the concrete layer 22 between the surface-side concrete plate 8 and the back-side concrete plate 9, the movement to the surface side of the back-side concrete plate 9 is regulated. In this way, while the surface-side concrete plate 8 is prevented from falling off, the surface-side concrete plate 8, the back-side concrete plate 9 and the hardened concrete 40A are integrated to form a part of the protective wall 23. Will be.

이 경우, 콘크리트(39)의 충전은 토목구축물용 유니트(7)의 표면측 콘크리트판(8)을 콘크리트(39)에 대한 틀로서 이용하면서, 아래쪽 방향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충전되어, 그 때의 콘크리트(39)의 충전상면은 배면측 콘크리트판(9)의 상단으로부터 흘러넘치지 않는 높은 위치까지로 된다. 1단 째의 토목구축물용 유니트(7A) 상에 뒷채움층(5)을 따라 쌓아 올려진 다음(2단 째) 토목구축물용 유니트(7)의 설치에, 흘러넘친 콘크리트(39)가 지장을 미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In this case, the concrete 39 is filled sequentially from the downward direction while using the surface-side concrete plate 8 of the civil construction unit 7 as a frame for the concrete 39, and then the concrete at that time ( The filled upper surface of 39 is from the upper end of the back side concrete plate 9 to a high position which does not overflow. The overflowed concrete 39 does not interfere with the installation of the civil engineering units 7 stacked on the first stage civil engineering units 7A along the backfill layer 5 (second stage). This is to avoid.

또한 이때,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표면측 콘크리트판(8)과 배면측 콘크리트판(9) 사이에 콘크리트(39) 충전공간 전체에 콘크리트(39)를 충전하지 않고, 그 상부의 일부가 공간으로서 남겨짐과 동시에, 충전된 콘크리트(39)의 상단부에 그 경화 전에 철근(도시 생략)을 끼워 넣는다.At this time, in this embodiment, the concrete 39 is not filled in the entirety of the concrete 39 filling space between the surface-side concrete plate 8 and the rear-side concrete plate 9, and a part of the upper portion is a space. At the same time, the reinforcing bar (not shown) is inserted in the upper end of the filled concrete 39 before its hardening.

다음으로 도12에 나타난 것과 같이, 뒷채움층(5) 상에, 2단 째의 토목구축물용 유니트(7B)(도12 중, 지면수직방향으로 복수의 토목구축물용 유니트(7)를 배치)를 1단 째의 토목구축물용 유니트(7A)로 쌓아 올려서 배치하고, 그 2단 째의 토목 구축물용 유니트(7B)에 대해, 상기 1단 째의 토목구축물용 유니트(7A)와 같은 모양의 콘크리트층(22)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콘크리트(39)를 충전한다. 이 2단 째의 토목구축물용 유니트(7B)는, 표면측 콘크리트판(8)과 배면측 콘크리트판(9)의 배치관계에 관계하고, 1단 째의 토목구축물용 유니트(7A)의 경우와 같은 상태를 갖고 배치되어, 그 표면측 콘크리트판(8)의 측면(8a)은 순차적으로 빈틈없이 깔리도록, 1단 째의 토목구축물용 유니트(7A)에서의 표면측 콘크리트판(8)의 측면(상방측 측면) (8a)에 당접된다. 다른 한편, 토목구축물용 유니트(7A, 7B)에 있어서, 배면측 콘크리트판(9)이 표면측 콘크리트판(8)에 비해 전체적으로 작게 되어 있는 것에서부터, 1단 째의 토목구축물용 유니트(7A)에서의 배면측 콘크리트판(9)과 2단 째의 토목구축물용 유니트(7B)에서의 배면측 콘크리트판(9) 사이, 나아가서는 각 단에서 서로 이웃한 토목구축물용 유니트(7A, 7B)의 배면측 콘크리트판(9) 사이에 있어서 간극(21)이 형성되게 되고, 그 간극(21)을 통해서 뒷채움층(5)이 표면측 콘크리트판(8)과 배면측 콘크리트판(9) 사이의 공간으로 향하게 된다. 2단 째의 토목구축물용 유니트(7B) 내에 대한 콘크리트(39)의 충전은, 1단 째의 토목구축물용 유니트(7A)에 대한 콘크리트(39)의 충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행해지지만, 이 콘크리트(39)의 충전에 따라, 그 콘크리트(39)의 일부가 간극(21)을 통해서 뒷채움층(5) 내에 진입한다. 이 때문에 이 콘크리트(39)가 경화하여 경화콘크리트(40B)로 될 때, 그 경화콘크리트(40B)의 일부가 뒷채움층(5) 내에서 서로 맞물린 채움석(6)과 계합하게 되고, 그 계합관계 때문에도, 보호벽(23)(토목구축물(7A, 7B) 및 콘크리트층(22))은 뒷채움층(5)과 일체화하게 된다.Next, as shown in FIG. 12, on the backfill layer 5, the second stage civil construction units 7B (in FIG. 12, a plurality of civil construction units 7 are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ground) are placed. The concrete layer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first stage civil engineering unit 7A with respect to the second stage civil construction unit 7B by stacking and arranging it in the first stage civil construction unit 7A. The concrete 39 is filled to form part of the 22. The second stage civil construction unit 7B is related to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between the surface side concrete plate 8 and the rear side concrete plate 9, and is similar to the case of the first stage civil construction unit 7A. Side surfaces of the surface-side concrete plates 8 in the first-stage civil construction units 7A so that the side surfaces 8a of the surface-side concrete plates 8 are sequentially laid without gaps. (Upper side) Abutting on 8a. On the other hand, in the civil construction units 7A and 7B, the back side concrete plate 9 is generally smaller than the surface side concrete plate 8, and thus the first stage civil construction unit 7A. Between the back side concrete plate 9 and the back side concrete plate 9 at the second stage of the civil construction unit 7B, and further, the civil construction units 7A and 7B adjacent to each other at each stage. A gap 21 is formed between the rear concrete plate 9, and a space between the surface-side concrete plate 8 and the rear-side concrete plate 9 is formed by the backfill layer 5 through the gap 21. You will be directed to. The filling of concrete 39 in the second stage civil engineering unit 7B is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case of filling the concrete 39 in the first stage civil construction unit 7A. Upon filling 39, a portion of the concrete 39 enters the backfill layer 5 through the gap 21. For this reason, when this concrete 39 hardens | cures and becomes hardened concrete 40B, a part of the hardened concrete 40B engages with the filling stones 6 engaged with each other in the backfill layer 5, The engagement relationship Therefore, the protective wall 23 (the civil engineering structures 7A and 7B and the concrete layer 22) is integrated with the backfill layer 5.

또한 이 경우, 각 배면측 콘크리트판(9)가, 그 외면을 제외한 전체가 콘크리트(39)에 완전히 둘러싸여져, 그 콘크리트(39)의 경화 후에, 그 측면(배면측 콘크리트판(9)의 내면측으로 향할 만큼 주위 바깥쪽으로 뻗쳐나간 경사면)(9a)과 그 경화콘크리트(40A, 40B)가 계합하게 되어, 각 배면측 콘크리트판(9)은 경화 콘크리트(40A), 40)로부터 사이를 떨어뜨리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된다. 이 때문에 각 배면측 콘크리트판(9)을 확실하게 경화콘크리트(40A, 40B)에 일체화해두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탈락 방지), 표면측 콘크리트판(8) 및 경화콘크리트(40A, 40B)의 중량뿐만 아니라 각 배면측 콘크리트판(9)의 중량도 설치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확실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each back side concrete plate 9 is completely surrounded by the concrete 39 except for the outer surface thereof, and after curing of the concrete 39, the side surface (inner surface of the back side concrete plate 9). 9a of inclined surfaces extending outwards to the side and its hardened concrete 40A, 40B are engaged, so that each back side concrete plate 9 is separated from the hardened concrete 40A, 40 by Moving to the country is regulated. For this reason, each back side concrete board 9 can be reliably integrated with the hardened concrete 40A, 40B (falling prevention), and the weight of the surface side concrete board 8 and the hardened concrete 40A, 40B is prevented. In addition, the weight of each back side concrete plate 9 can be reliably used to increase the installation strength.

게다가 이 경우, 2단 째의 토목구축물용 유니트(7B) 내에 대한 콘크리트(39)의 충전에 의해, 그 콘크리트(39)가 1단 째의 토목구축물용 유니트(7A) 내에 남겨져 있던 콘크리트(39) 충전공간(41)에 진입함과 동시에, 1단 째의 토목구축물 내에서의 콘크리트(39)로 끼워 넣어진 철근을 매립한다. 이 때문에 2단 째의 토목구축물용 유니트(7B) 내에 형성된 경화콘크리트(40A)와 1단 째의 토목구축물용 유니트(7A)(표면측 콘크리트판(8), 배면측 콘크리트판(9)) 사이에서 계합관계가 이루어짐과 동시에, 1단 째 및 2단 째에서의 토목구축물(7A, 7B) 내에 형성된 경화콘크리트(40A, 40B)가 철근에 의해서도 일체화되어, 보호벽(23)(전체로서의 보호벽(23)의 일부)은 충분한 일체화 강도를 갖게 된다.In this case, moreover, the concrete 39 remains in the first stage civil engineering unit 7A by the filling of the concrete 39 in the second stage civil construction unit 7B. At the same time as the filling space 41 enters, the reinforcing bars embedded in the concrete 39 in the first stage civil engineering structures are embedded. Therefore, between the hardened concrete 40A formed in the second stage civil construction unit 7B and the first stage civil construction unit 7A (surface side concrete plate 8, rear side concrete plate 9) At the same time, the hardened concrete 40A and 40B formed in the civil engineering structures 7A and 7B in the first and second stages are also integrated by reinforcing bars, thereby forming a protective wall 23 (protective wall 23 as a whole). A part of) will have sufficient integration strength.

이렇게 하여 토목구축물용 유니트(7)의 쌓아올림과 콘크리트(39)의 충전을 순차 반복하고, 마지막으로 기초블록(4) 및 보호벽(23)의 하측 부분을 메움으로써, 도1에 나타난 호안(1)을 이룬다. 따라서 이 호안(1)에 있어서는, 각 토목구축물용 유니트(7)(표면측 콘크리트판(8), 배면측 콘크리트판(9))와, 콘크리트층(22)(각 토목구축물용 유니트(7) 내에서의 경화콘크리트(40A, 40B, …)에 의해 뒷채움층(5) 상에 보호벽(23)이 형성되는 것뿐만 아니라, 그 콘크리트층(22)의 일부가 각 간극(21)을 통하여 뒷채움층(5)으로 진입하고, 그 뒷채움층(5)에서의 채움석(6)과 계합하게 되고, 뒷채움층(5)에 대한 보호벽(23)의 설치강도는 높아진다.In this way, the stacking of the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unit 7 and the filling of the concrete 39 are sequentially repeated, and finally, the lower part of the foundation block 4 and the protective wall 23 is filled, thereby providing a revetment 1 shown in FIG. ). Therefore, in this heading 1, each civil construction unit 7 (surface side concrete plate 8, back side concrete plate 9), and concrete layer 22 (each civil construction unit 7) Not only the protective walls 23 are formed on the backfill layer 5 by the hardened concrete 40A, 40B, ..., but also a part of the concrete layer 22 is backfilled through each gap 21. It enters (5), engages with the filling stone 6 in the back filling layer 5, and the installation strength of the protective wall 23 with respect to the back filling layer 5 becomes high.

도13은 제2 실시형태, 도14는 제3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이 각 실시형태에서,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13 shows a second embodiment, and FIG. 14 shows a third embodiment. In each of these embodiments,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above embodiment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13에 나타난 제2 실시형태는, 급경사의 호안을 구축할 때에 뒷채움층(5)을 형성하는 작업부담을 경감하는 내용을 나타내고 있다. 급경사의 호안을 구축하는 경우에는, 경사기초면(25) 상에 뒷채움층(5)을 형성하지 않고, 우선 기초블록(4)의 경사면(4a) 상에 토목구축물용 유니트(7)를, 그 표면측 콘크리트판(8)으로서 자립시킨다. 즉, 이 때 경사기초면(25)이 급경사가 되는 한편으로, 기초블록(4)의 경사면(4a)의 경사각도는, 수평방향에 대해 완만하게 되기 때문에, 토목구축물용 유니트(7)에서의 표면측 콘크리트판(8)의 측면(8a) 및 배면측 콘크리트판(9)의 측면을 기초블록(4)의 경사면(4a)에 당접시키는 것에 의해 해당 토목구축물용 유니트(7)는 자립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배면측 콘크리트판(9)이 경사기초면(25)으로부터 일정 간격 만큼 사이를 떨어뜨린 채움석(6)의 충전공간(42)을 형성하는 칸막이판으로서 기능하게 되고, 그 배면측 콘크리트판(9)과 경사기초면(25)이 형성한 충전공간(42) 에 채움석(6)을 충전해 가면, 뒷채움층(5)의 일부가 간단하게 형성되게 된다. 게다가 이 경우, 경사기초면(25)이 급경사이기 때문에 그 급경사에 기초하여 채움석(6)을 투입하는 것만으로 하방측에서 서로 맞물린 상태로 채움석(6)이 충전되어 견고한 뒷채움층(5)이 형성된다.2nd Embodiment shown in FIG. 13 has shown the content which reduces the workload which forms the backfill layer 5, when building the bank of steep inclination. In the case of constructing a steep slope, a backfill layer 5 is not formed on the inclined base surface 25, and the civil construction unit 7 is first formed on the inclined surface 4a of the foundation block 4. Free standing as the surface side concrete board 8. That is, at this time, the inclined base surface 25 is steeply inclined, while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inclined surface 4a of the foundation block 4 becomes smooth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in the civil construction unit 7 By attaching the side surface 8a of the surface side concrete plate 8 and the side surface of the back side concrete plate 9 to the inclined surface 4a of the foundation block 4, the said civil engineering structure unit 7 becomes independent. . As a result, the back side concrete plate 9 functions as a partition plate forming the filling space 42 of the filling stone 6 which is spaced apart from the inclined base surface 25 by a predetermined interval. When the filling stone 6 is filled in the filling space 42 formed by the plate 9 and the sloped base surface 25, a part of the back filling layer 5 is easily formed. In this case, since the base surface 25 is steeply inclined, the filler seats 6 are filled in the state of being engaged with each other on the lower side only by injecting the filler seats 6 based on the steep slopes, and the firm backfill layer 5 Is formed.

1단 째의 토목구축물용 유니트(7A)에 있어서, 상기 채움석(6)의 충전과 앞서 말한 콘크리트(39)의 충전을 끝마칠 때, 2단 째의 토목구축물용 유니트(7B)가, 1단 째의 토목구축물용 유니트(7A)의 상측측면에 당접되어, 그 상측측면은 재치면으로서, 2단 째의 토목구축물용 유니트(7B)는 자립된다. 이 2단 째의 토목구축물용 유니트(7B)에 대해서도, 채움석(6)의 충전과 콘크리트(39)의 충전이 행해져, 이하 이러한 작업이 반복된다. In the first stage civil construction unit 7A, when the filling of the filling stone 6 and the above-described concrete 39 are finished, the second stage civil construction unit 7B is 1 The upper side surface of the stage 7A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unit 7A is abutted, and the upper side surface thereof is a mounting surface, and the second stage civil construction unit 7B freely stands. Also about this 2nd stage civil engineering structure unit 7B, the filling stone 6 is filled and the concrete 39 is filled, and this operation | work is repeated hereafter.

이 실시형태에서 사용된 토목구축물(7)은, 경사기초면(25)에 따른 방향의 길이에 관계하여, 표면측 콘크리트판(8)과 배면측 콘크리트판은 동일하게 되고, 지면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웃한 토목구축물(7)의 배면측 콘크리트판(8) 사이에 간극(21)이 형성된다. 이러한 토목구축물용 유니트(7)로서는 5부경사(5分勾配, 급경사)의 경우에 있어서, 표면측 콘크리트판(8)에 두께 130㎜에, 세로 1250㎜, 가로 800㎜의 것을 사용하고, 배면측 콘크리트판(9)으로서 두께 70㎜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for the civil engineering structure 7 used in this embodiment, the surface side concrete board 8 and the back side concrete board become the same, and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ground with respect to the length of the direction along the slope base surface 25 In the gap, a gap 21 is formed between the concrete plates 8 on the back side of the adjacent civil construction 7. In the case of 5-part slant (5 minute inclination), such a civil construction unit 7 uses a surface side concrete plate 8 having a thickness of 130 mm, a length of 1250 mm, and a width of 800 mm. It is preferable to use the one having a thickness of 70 mm as the side concrete plate 9.

따라서, 이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급경사의 호안(1)을 구축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토목구축물용 유니트(7)에서의 배면측 콘크리트판(9)을 이용하여 뒷채움층(5)을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고, 급경사의 호안(1)을 신속하게 구축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in this 2nd Embodiment, even when constructing the arc of slope 1 of a steep inclination, the backfill layer 5 is easily made using the back side concrete board 9 in the civil engineering structure unit 7. It can form, and it becomes possible to quickly build the rake 1 of a steep slope.

도14에 나타난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매달아올림 반송구(27)의 변형 예를 나타낸다.In 3rd Embodiment shown in FIG. 14, the modification of the suspension conveyance opening 27 is shown.

토목구축물용 유니트(7)에 있어서는, 표면측 콘크리트판(8)의 중량이 다른 구성요소에 비해 현격히 무겁고, 토목구축물용 유니트(7)의 중심 O위치는 표면측 콘크리트판(8)에 위치하게 되지만, 그 표면측 콘크리트(39)에 그 중심 O위치로부터 벗어난 위치에서 두께 방향으로 관통한 관통공(43)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공(43)에는 와이어(26)가 삽통되어, 그 와이어(26)의 단측이 크레인 등(도시 생략)으로 연결되는 한편, 그 타단측은 표면측 콘크리트판(8)과 배면측 콘크리트판(9) 사이에 위치되어 링부(44)를 갖는다. 이 와이어(26) 타단측에서의 링부(44)에는, 봉형상부재(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관)(45)가 통과되어 있어, 와이어(26)을 매달아올리는 것에 의해 봉형상부재(45)가 표면측 콘크리트판(8)의 내면으로 스토퍼로서 당접하고, 그 와이어(26)가 한층 더 매달아올림에 따라 토목구축물용 유니트(7)는 매달아올려진다. 이 때 관통공(43)의 위치가 중심 O위치에서 벗어나 있는 것으로부터, 도14에 나타난 것과 같이 면(2)의 소정의 위치에 그 경사의 상태로 내려지게 된다. 이 토목구축물용 유니트(7)에서 와이어(26)를 떼어 내는 것으로는, 그 토목구축물용 유니트(7)를 시공면(2)에 내린 후, 봉형상부재(45)를 토목구축물용 유니트(7)에서의 표면측 콘크리트판(8)과 배면측 콘크리트판(9)의 공간을 이용하여 뽑아낼 수 있으면 좋고, 그 후 와이어(26)를 관통공(43)에서 뽑아내게 된다.In the civil construction unit 7, the weight of the surface-side concrete plate 8 is significantly heavier than other components, and the center O position of the civil construction unit 7 is located on the surface-side concrete plate 8. However, the through-hole 43 penetrat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is formed in the surface-side concrete 39 at a position deviating from the center O position. The wire 26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43, and one end side of the wire 26 is connected by a crane or the like (not shown), while the other end side thereof is the surface side concrete plate 8 and the rear side concrete plate ( 9) positioned between and having a ring portion 44. The rod-shaped member (tube in this embodiment) 45 passes through the ring portion 44 at the other end side of the wire 26, and the rod-shaped member 45 is suspended from the surface side by suspending the wire 26. The inner surface of the concrete plate 8 abuts as a stopper, and as the wire 26 is suspended further, the civil construction unit 7 is suspended. At this time, since the position of the through-hole 43 is out of the center O position, as shown in FIG. 14, it will fall to the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surface 2 in the inclined state. To remove the wire 26 from the civil construction unit 7, the civil construction unit 7 is lowered to the construction surface 2, and then the rod-shaped member 45 is removed from the civil construction unit (7). It is good to be able to pull out using the space of the surface side concrete board 8 and the back side concrete board 9 in (), and the wire 26 is pulled out from the through-hole 43 after that.

또한, 토목구축물용 유니트(7)의 매달아올릴 때의 경사각도는, 중심 O위치에 대한 관통공(43)의 위치(벗어난 양)로서 결정되지만, 복수의 관통공(43)을 미리 형성해 두어도 좋다.Incidentally, the angle of inclination of the civil construction unit 7 when hanging is determined as the position (away amount) of the through hole 43 with respect to the center O position, but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43 may be formed in advance. .

이상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형태를 포함한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embodiment was described, the following aspects are included in this invention.

⑴ 돌로서, 자연석(15) 외에 의석(擬石) 등을 사용하는 것.As stone, use natural stone (15) as well as seats.

⑵ 하천(3)에서의 호안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에 한하지 않고, 호수, 바다에서의 호안 등에도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⑵ Applying the present invention to lakes, seas, shores, etc., without being limited to shores in rivers (3).

⑶ 토목구축물용 유니트(7)에서의 표면측 콘크리트판(8)이 마주보는 측면(8a)에, 매달아올림 와이어(26)를 수납하면서 인도하는 안내홈을 형성하고, 그 안내홈에 와이어(26)를 넣으면서, 그 와이어(26)로서 표면측 콘크리트판(8)을 감싸서(卷回) 유지하고, 그 와이어(26)를 매달아올리는 것에 의해 당해 토목구축물용 유니트(7)를 매달아올리는 것.안내 In the side surface 8a of the surface-side concrete plate 8 in the civil construction unit 7, a guide groove for guiding the receiving wire 26 is formed, and the wire 26 in the guide groove. ), While holding the surface-side concrete plate 8 as the wire 26 and holding the wire 26, the suspension of the civil engineering unit 7 is suspended.

⑷ 시공면(2)이 흙 등인 경우에, 간극(21)이 향하는 곳에서, 요철을 붙이거나 구멍을 파고 콘크리트가 계합하기 쉽게 하는 것.(2) When the construction surface (2) is soil or the like, in the place where the gap (21) faces, it is to attach the unevenness or dig a hole to make concrete easy to engage.

⑸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 토목구축물용 유니트(7)의 표면측 콘크리트판(8)만으로 자립할 수 있도록 하거나, 지지부재를 이용하여 토목구축물용 유니트(7)를 자립하도록 하는 것.(2)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self-supporting unit (7) can be self-supporting only by the surface side concrete plate (8) of each civil building unit (7) or by using a supporting member.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명기된 것에 한하지 않고, 실질적으로 바람직거나 혹은 이점(利点)으로서 기재된 것에 대응한 것을 제공하는 것도 포함하는 것이다.Moreover, the objective of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what was specified, and also includes providing what corresponded to what was described as substantially preferable or an advantage.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각 토목구축물용 유니트에 있어서의 배면측 판넬과 표면측 판넬의 사이에 콘크리트층이 사이에 끼워져 보호벽이 형성되는 것뿐만 아니라, 그 콘크리트층의 일부가, 서로 이웃한 배면측 판넬 사이의 각 간극을 통해서 시공면으로 진입하고 있는 것으로부터, 그 콘크리트층의 일부를 시공면의 표면부분, 혹은 시공면 안 부분에 계합시킬 수 있고, 그 계합관계 때문에, 시공면에 대한 보호벽의 일체화력을 높일 수 있다. 게다가 시공면으로 진입한 콘크리트도, 콘크리트층의 일부로서, 시공면에 결합하기 위한 중량으로서 이용된다. 이 때문에 시공면에 대한 보호벽의 소정의 설치강도를 확보하는 것을 기준으로 하는 경우에는, 계합관계에 근거한 일체화력에 상당하는 양만큼, 콘크리트층을 형성하기 위한 콘크리트 충전량을 줄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1, not only the concrete layer is interposed between the rear side panel and the surface side panel in each civil construction unit, and a protective wall is formed, and some of the concrete layers are adjacent to each other. Part of the concrete layer can be engaged with the surface portion of the construction surface or the inside of the construction surface through entering the construction surface through each gap between the rear panel, and because of the engagement relationship,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integrity of the protective wall. In addition, concrete that has entered the construction surface is also used as a weight for bonding to the construction surface as part of the concrete layer. For this reason, when it is based on securing the predetermined installation strength of the protective wall on the construction surface, the amount of concrete filling for forming the concrete layer can be reduced by an amount corresponding to the integration force based on the engagement relationship.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각 토목구축물용 유니트에 있어서의 배면측 판넬과 표면측 판넬의 사이에 콘크리트층이 사이에 끼워져 보호벽이 형성되는 것뿐만 아니라, 그 콘크리트층의 일부가, 서로 이웃한 배면측 판넬 사이의 각 간극을 통해서 뒷채움층 내에 진입하여, 뒷채움층에 있어서의 채움재에 계합하고 있는 것으로부터, 그 계합관계 때문에, 뒷채움층에 대한 보호벽의 일체화력을 높일 수 있다. 게다가 뒷채움층 내에 진입한 콘크리트도, 콘크리트층의 일부로서, 뒷채움층에 결합하기 위한 중량으로서 이용된다. 이 때문에 시공면에 대한 보호벽이 소정의 설치강도를 확보하는 것을 기준으로 하는 경우에는, 계합관계에 근거한 일체화력에 상당하는 양만큼 콘크리트층을 형성하기 위한 콘크리트 충전량을 줄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2, not only the concrete layer is interposed between the rear side panel and the front side panel in each civil construction unit to form a protective wall, but some of the concrete layers are adjacent to each other. It enters into the back filling layer through each gap between the rear panel, and engages with the filling material in the back filling layer, and because of the engagement relationship, the integration power of a protective wall with respect to a back filling layer can be improved. In addition, concrete that has entered the backfill layer is also used as part of the concrete layer as the weight for bonding to the backfill layer. For this reason, when the protective wall on the construction surface is based on securing a predetermined installation strength, the amount of concrete filling for forming the concrete layer can be reduced by an amount corresponding to the integration force based on the engagement relationship.

청구항 3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각 토목구축물용 유니트에 있어서의 배면측 판넬의 판면면적이, 각 해당 토목구축물용 유니트에 있어서의 표면측 판넬의 판면면적보다 작게 되어 있는 것으로부터, 각 토목구축물용 유니트의 표면측 판넬의 측면을, 서로 이웃한 토목구축물용 유니트의 표면측 판넬의 측면에 맞대면서, 각 해당 토목구축물용 유니트를 부설해 가는 것만으로, 서로 이웃한 배면측 판넬끼리 사이에 간극을 형성할 수 있고, 그 각 간극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상기 청구항 1과 같은 형태의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3, the surface area of the rear panel in each civil construction unit is smaller than the surface area of the surface side panel in each civil construction unit. A gap is formed between the rear panels adjacent to each other by simply laying the units for the civil engineering structures while facing the sides of the surface panels of the unit against the sides of the surface panels of the adjacent civil construction units. It can be formed, and the effect of the form similar to the said Claim 1 can be acquired by using each clearance gap.

청구항 4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표면측 판넬과 배면측 판넬이 봉형상의 복수의 연결부재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해당 표면측 판넬과 해당 배면측 판넬이 소정의 간극을 만들면서 대략 평행한 배치 상태로 되고, 배면측 판넬의 판면면적이, 시공측 판넬의 판면면적보다 작게 되어 있는 것으로부터, 당해 토목구축물용 유니트를 시공면 상에 빈틈없이 깔고, 그 각 토목구축물용 유니트 안에 콘크리트를 충전하면, 상기 청구항 3에 관한 토목구축물을 얻을 수 있다. 이 때문에 당해 토목구축물용 유니트를 청구항 3에 관한 토목구축물로 이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4, the front panel and the rear panel are connected with a plurality of rod-shaped connecting members interposed therebetween, so that the front panel and the rear panel are substantially parallel in a predetermined gap. When the panel area of the back panel is smaller than that of the construction side panel, the civil engineering unit is laid tightly on the construction surface, and the concrete is filled in each civil construction unit. A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according to claim 3 can be obtained. For this reason, the civil engineering structure unit can be used as a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according to claim 3.

또한, 배면측 판넬의 판면면적이 표면측 판넬의 판면면적보다 작게 되어 있기 때문에, 시공할 때, 시공면이 다소의 곡률(曲率)을 갖는 경우에 있어서도 그러한 시공면에 대해 토목구축물용 유니트를 적확하게 설치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urface area of the rear panel is smaller than the surface area of the surface panel, even when the construction surface has a slight curvature, the civil construction unit is precisely selected for such a construction surface. Can be installed.

더욱이 배면측 판넬의 판면면적이 표면측 판넬의 판면면적보다 작게 되어, 배면측 판넬이 표면측 판넬의 내면측 영역에 들어가는 구성이 되는 것으로부터, 경사진 시공면 등에 있어서, 이미 설치되어 있는 토목구축물용 유니트에 대해 위치맞춤할 때, 배면측 판넬이 표면측 판넬보다도 먼저, 미리 설치되어 있는 토목구축물 용 유니트에 들어맞는 것을 막을 수 있고, 토목구축물용 유니트의 부설을 쉽게 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surface area of the rear panel is smaller than the surface area of the front panel, so that the rear panel enters the inner surface side area of the front panel. When positioning with respect to the unit for the construc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ear panel from fitting to the previously installed civil construction unit before the surface side panel, and facilitate laying of the civil construction unit.

청구항 5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배면측 판넬이, 표면측 판넬의 내면측 영역 내로 향하도록 하면서, 해당 표면측 판넬에 대해 동심상태를 가지고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부터, 각 토목구축물용 유니트를 시공면에 빈틈없이 깔면, 그 각 토목구축물용 유니트에 있어서의 배면측 판넬의 주위에 간극을 각각 형성할 수 있고, 그 구석구석까지 만들어진 각 간극으로부터 시공면 내에 콘크리트를 진입시키고, 토목구축물용 유니트(표면측 판넬 및 배면측 판넬) 및 콘크리트(경화물)에서 만들어진 보호벽의 설치강도를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5, each civil construction unit is disposed on the construction surface by being arranged concentrically with respect to the surface side panel, with the rear panel facing the inner surface side region of the surface side panel. If it is laid firmly, gaps can be formed around the rear panel of each civil construction unit, and concrete is introduced into the construction surface from each gap made up to every corner thereof, and a civil construction unit (surface sid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increase the installation strength of protective walls made of panels and rear panels) and concrete (hardened).

청구항 6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상기 배면측 판넬의 측면이, 해당 배면측 판넬의 두께 방향 바깥쪽으로부터 두께 방향 안쪽으로 향함에 따라 주위 바깥 방향으로 뻗어나가도록 경사져 있는 것으로부터, 당해 토목구축물용 유니트를 이용하면, 콘크리트의 충전에 따라, 콘크리트를 각 간극에도 흘러들어가게 하여, 그 콘크리트의 경화에 의해, 그 경화된 콘크리트와 배면측 판넬의 경사측면을 계합시키고, 배면측 판넬이 경화된 콘크리트로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경화된 콘크리트에 배면측 판넬을 확실하게 일체화해 둘 수 있고, 그 배면측 판넬의 중량을, 토목구축물용 유니트(표면측 판넬 및 배면측 판넬) 및 콘크리트(경화물)에서 만들어진 보호벽의 설치강도를 높이는 것으로 항상 반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6, the side of the rear panel is inclined so as to extend in the circumferential outward direction from the outer side in the thickness direction toward the inner side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rear side panel, so that the unit for civil construction is When used, the concrete flows into each gap as the concrete is filled, and the hardened concrete is engaged with the inclined side surfaces of the hardened concrete and the rear panel, and the rear panel is separated from the hardened concrete. To regulate movement. To this end, it is possible to reliably integrate the back panel in the hardened concrete, and the weight of the back panel can be determined by using the unit for civil construction (front panel and back panel) and the protective wall made of concrete (hardened material). Increasing the installation strength can always be reflected.

청구항 7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적어도 상기 표면측 판넬이 콘크리트판에 의해 형성되고, 그 표면측 판넬의 두께가, 상기 배면측 판넬의 두께 보다도 두껍게 되어, 해당 표면측 판넬의 측면이 재치면에 대한 당접면으로서, 자립을 높이는 크기로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부터, 당해 토목구축물용 유니트를 그 표면측 판넬을 이용하여 자립시키는 것에 의해, 배면측 판넬을, 채움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공간을 형성하는 칸막이벽으로서 이용할 수 있게 되고, 그 충전공간으로의 채움재의 충전에 의해, 시공면을 구성하는 뒷채움층을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다. 특히 뒷채움층을 형성하기 어려운 급경사를 이용한 채움재의 투입충전이 가능하게 되고, 급경사의 호안 등을 구축할 때에 당해 토목구축물용 유니트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7, at least the surface side panel is formed of a concrete plate, the thickness of the surface side panel is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back side panel, and the side surface of the surface side panel is The partition wall which forms the filling space for filling a back panel by filling the back side panel by the self-supporting said civil construction unit using the surface side panel, since it is set to the magnitude | size which raises independence as a contact surface. It can be used as, and by filling the filling material into the filling space, the back filling layer constituting the construction surface can be easily formed.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charge and fill the filling material using a steep slope, which is difficult to form a backfill layer, and the civil engineering unit can be effectively used when constructing a sharp slope or the like.

청구항 8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매달아올림 반송구로서, 표면측 판넬의 내면측에 배치하기 위한 하측 완부와, 해당 하측 완부에 대향하도록 하여 만들어져 해당 표면측 판넬의 표면측에 배치하기 위한 상측 완부가 구비되고, 하측 완부, 상측 완부의 적어도 어느 한 쪽에, 표면측 판넬을 해당 하측 완부, 해당 상측 완부 내의 다른 쪽으로 향하게 하여 압압하는 압압구가 구비되고, 상측 완부에 그 연장방향에 있어서, 매달아올림 와이어를 연결하기 위한 다수의 연결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이용되는 것으로부터, 압압구와 해당 하측 완부, 해당 상측 완부 내의 다른 쪽으로 표면측 판넬을 협지시킬수 있고, 게다가 복수의 연결공을 선택하는 것에 의해, 매달아올릴 때에 있어서의 토목구축물용 유니트의 경사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당해 매달아올림 반송구를 이용하는 것으로부터, 토목구축물용 유니트의 매달아올림 반송상태(경사상태)를 시공면의 경사상태에 간단하게 맞출 수 있고, 토목구축물용 유니트의 설치작업성을 높일 수 있다. 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8, it is a suspension conveyance port which consists of a lower arm part for arrange | positioning on the inner surface side of a surface side panel, and an upper arm part made to face the lower arm part, and arrange | positioning on the surface side of the said surface side panel. And a pressing port for pressing the surface side panel toward the lower arm and the other side in the upper arm, at least one of the lower arm and the upper arm is provided, and the upper arm is suspended in the extending direction in the extending direction. It is possible to clamp the surface side panel to the other side in the pressure port, the lower arm, and the upper arm, because a plurality of connecting holes are formed to connect the pins, and further, by selecting a plurality of connecting holes, The slope of the civil engineering unit can be determined. For this purpose, by using the hanging conveying port, the hanging conveying state (inclined state) of the civil construction unit can be easily adjusted to the inclined state of the construction surface, and the installation workability of the civil constructing unit can be improved. .

Claims (8)

시공면에 복수의 토목구축물용 유니트가 부설되고, 상기 각 토목구축물용 유니트가 시공면 상에 배치된 배면측 판넬과, 봉형상의 복수의 연결부재에 기초해 해당 배면측 판넬로부터 소정의 간격만큼 떨어뜨려 배치된 표면측 판넬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각 토목구축물용 유니트에 있어서의 상기 배면측 판넬과 상기 표면측 판넬 사이에 콘크리트층이 개재되어 있는 토목구축물로서,A plurality of civil construction units are provided on the construction surface, and each civil construction unit is separated from the rear panel by a predetermined distance based on the rear panel disposed on the construction surface and a plurality of rod-shaped connecting members. As a civil engineering structure comprised by the surface side panel arrange | positioned up, and a concrete layer interposed between the said back side panel and the said surface side panel in each said civil engineering structure unit, 상기 각 토목구축물용 유니트에 있어서의 배면측 판넬이, 서로 이웃한 토목구축물용 유니트에 있어서의 배면측 판넬에 대해 떨어져서, 해당 서로 이웃한 배면측 판넬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The rear panel in each civil construction unit is separated from the rear panel in neighboring civil construction units, and a gap is formed between the neighboring rear panel. 상기 콘크리트층의 일부가, 상기 각 간극을 통해서 상기 시공면으로 진입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구축물.Part of the concrete layer, civil engineer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entering the construction surface through each gap.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시공면이, 채움재가 꽉 채워진 상태로 형성된 뒷채움층의 표면에 형성되어,The construction surface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backfill layer 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filling material is tightly filled, 상기 콘크리트층의 일부가, 상기 각 간극을 통해서 상기 뒷채움층 안으로 진입되어 해당 뒷채움층의 채움재에 계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구축물.And a portion of the concrete layer enters the rear filling layer through the gaps and engages with the filling material of the rear filling layer.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각 토목구축물용 유니트의 배면측 판넬의 판면면적이, 각 해당 토목구축물용 유니트의 표면측 판넬의 판면면적보다 작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구축물.And a panel area of the rear side panel of each civil construction unit is smaller than the surface area of the surface side panel of the respective civil construction unit. 표면측 판넬과 배면측 판넬이 봉형상의 복수의 연결부재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고, 해당 표면측 판넬과 해당 배면측 판넬이 소정의 간격을 만들면서 대략 평행한 배치상태로 되어 있는 토목구축물용 유니트로서,Surface-side panel and rear-side panel are connected with a plurality of rod-shaped connecting members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surface-side panel and the rear-side panel are arranged in a substantially parallel arrangement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as a unit for civil construction , 상기 배면측 판넬의 판면면적이, 상기 표면측 판넬의 판면면적보다 작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구축물용 유니트.And a panel area of the rear side panel is smaller than that of the front side panel. 청구항 4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상기 배면측 판넬이, 상기 표면측 판넬의 내면측 영역 내로 향하도록 하면서, 해당 표면측 판넬에 대해 동심상태를 가지고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구축물용 유니트.And the rear panel is disposed concentrically with respect to the surface side panel, while facing the inner surface side region of the surface side panel. 청구항 4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상기 배면측 판넬의 측면이, 해당 배면측 판넬의 두께 방향 바깥쪽으로부터 두께 방향 안쪽으로 향함에 따라 주위 바깥방향으로 뻗어나가도록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구축물용 유니트.And a side surface of the rear panel is inclined so as to extend outwar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the outer side in the thickness direction toward the inner side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rear side panel. 청구항 4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적어도 상기 표면측 판넬이 콘크리트판에 의해 형성되고,At least the surface side panel is formed by a concrete plate, 상기 표면측 판넬의 두께가, 상기 배면측 판넬의 두께보다도 두껍게 되어, 해당 표면측 판넬의 측면이 재치면에 대한 당접면으로서, 자립을 높이는 크기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구축물용 유니트The thickness of the surface side panel is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rear side panel, the side surface of the surface side panel is a contact surface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surface, it is set to a size to increase the self-reliance, unit for civil construction 표면측 판넬과 배면측 판넬이 봉형상의 복수의 연결부재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고, 해당 표면측 판넬과 해당 배면측 판넬이 소정의 간격을 만들면서 대략 평행한 배치상태로 되고, 상기 배면측 판넬의 판면면적이 상기 표면측 판넬의 판면면적보다 작게 되어 있는 토목구축물용 유니트를 매달아올려 반송하는 매달아올림 반송구로서,The front panel and the back panel are connected with a plurality of rod-shaped connecting members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panel are placed in a substantially parallel arrangement with a predetermined gap. A suspending conveying port for suspending and conveying a civil construction unit having a plate area smaller than that of the surface side panel, 상기 표면측 판넬의 내면측에 배치하기 위한 하측 완부와, 해당 하측 완부에 대향하도록 만들어져 해당 표면측 판넬의 표면측에 배치하기 위한 상측 완부가 구비되고,A lower arm portion for arranging on the inner surface side of the surface side panel and an upper arm portion which is made to face the lower arm portion and arranged on the surface side of the surface side panel, 상기 하측 완부, 상기 상측 완부의 적어도 어느 한 쪽에, 상기 표면측 판넬을 해당 하측 완부, 해당 상측 완부 안의 다른 쪽으로 향하게 하여 압압하는 압압구가 구비되고,At least one of the lower arm and the upper arm is provided with a pressing tool for pressing the surface side panel to face the lower arm and the other side in the upper arm, 상기 상측 완부에 그 연장방향에 있어서, 매달아올림 와이어를 연결하기 위한 다수의 연결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달아올림 반송구.Suspension conveying port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connecting holes for connecting the suspending wire is formed in the extending direction in the upper arm.
KR1020060058303A 2005-06-27 2006-06-27 Construction structure, unit for use in construction structure and carrying apparatus KR20070000368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86143 2005-06-27
JP2005186143A JP4518400B2 (en) 2005-06-27 2005-06-27 Civil engineering 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6338A true KR20060136338A (en) 2007-01-02
KR20070000368A KR20070000368A (en) 2007-01-02

Family

ID=37688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8303A KR20070000368A (en) 2005-06-27 2006-06-27 Construction structure, unit for use in construction structure and carrying apparatus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518400B2 (en)
KR (1) KR20070000368A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94833B2 (en) * 2009-06-24 2014-01-22 環境工学株式会社 Civil engineering structur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civil engineering structure
CN102758419B (en) * 2012-07-31 2015-01-28 长江南京航道工程局 Method for deep-water interlocking row laying construction based on movable reinforced bars
CN108001946B (en) * 2016-07-06 2021-08-27 诸慧 Building engineering masonry conveying equipment with locking function
JP6698052B2 (en) * 2017-07-18 2020-05-27 和光コンクリート工業株式会社 Block unit for retaining wall and retaining wall
CN109024630B (en) * 2018-08-30 2020-10-09 商丘工学院 Slope protection structure and repairing method thereof
CN118065309B (en) * 2024-04-24 2024-06-25 四川纤谷之星科技有限公司 High-strength fiber composite board river sand and gravel interception and separation device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0514U (en) * 1989-08-31 1991-04-18
JP2739438B2 (en) * 1994-09-12 1998-04-15 草竹コンクリート工業株式会社 Block hanger
JP2820629B2 (en) * 1994-10-26 1998-11-05 日建産業株式会社 Combination stacking block and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it
JPH09202586A (en) * 1996-01-29 1997-08-05 Ken Ichimura Block suspension tool
JP2914914B2 (en) * 1996-07-12 1999-07-05 株式会社カンケン Vegetation concrete block
JP3327838B2 (en) * 1998-05-21 2002-09-24 山富産業株式会社 Concrete block for retaining wall
JP2002332648A (en) * 2001-05-08 2002-11-22 Masanori Yuasa Precast concrete block with angle adjustment and gravity retaining wall
JP2005105627A (en) * 2003-09-30 2005-04-21 Daiwa House Ind Co Ltd Anchor bolt setting method and anchor bolt preset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033318T2 (en) PREVENTED MODULAR SUPPORT WALL SYSTEM AND METHOD
CN100371544C (en) High building and multiple building panels for forming three dimension space structure
KR100495782B1 (en) A Facing panel for reinforced earth wall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20060136338A (en) Construction structure, unit for use in construction structure and carrying apparatus
KR20070000368A (en) Construction structure, unit for use in construction structure and carrying apparatus
CN101939492B (en) Precast temporary facility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KR101255027B1 (en) Precast rahmen type box culvert
JP5384310B2 (en) Fall bridge prevention device
KR100583294B1 (en) A Facing panel for reinforced earth wall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20040055845A (en) Frame type breakwater
CN209798563U (en) Anti structure of floating of assembled culvert
CN108221955B (en) Prefabricated underground diaphragm wall capable of being recycled integrally, lifting appliance and construction method
KR20190049284A (en) Concrete Caisson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JP5028323B2 (en) Ground anchor method
US20130104468A1 (en) Backfill structure and backfill construction method
JP2006348583A (en) Construction method of civil engineering structure and civil engineering structure
US20140010599A1 (en) Retaining Module
JPH0525821A (en) Continuous underground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JP4809399B2 (en) Wall panel and method of constructing embankment structure using the same
JP2011099250A (en) Retaining wall using precast concrete member
JPS61134422A (en) Method of building precast concrete underground continuous wall
JP2000290965A (en) Joint structure for caisson,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and joint filler for caisson
KR101954113B1 (en)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JPS6310250B2 (en)
JP5151078B2 (en) Core material, underground continuous wall, soil cement wall, underground wall pile, soil cement wall pile, cast-in-place concrete pi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