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6063A -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6063A
KR20060136063A KR1020050055557A KR20050055557A KR20060136063A KR 20060136063 A KR20060136063 A KR 20060136063A KR 1020050055557 A KR1020050055557 A KR 1020050055557A KR 20050055557 A KR20050055557 A KR 20050055557A KR 20060136063 A KR20060136063 A KR 200601360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mage forming
unit
forming apparatus
test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5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0093A (ko
Inventor
김명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5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00093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50055557A external-priority patent/KR20070000093A/ko
Publication of KR20060136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6063A/ko
Publication of KR20070000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0093A/ko

Links

Image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화상형성장치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된 원고를 스캐닝하는 이미지 센서유닛과, 인쇄모드의 실행시 인쇄매체에 화상을 인쇄하며 화상교정모드의 실행시 소정 테스트 패턴을 형성시키는 화상형성유닛을 포함하며, 화상교정모드의 실행시 원고독취용 이미지 센서를 구동시킨다. 이에 의하면, 화상형성장치의 단순화가 가능함과 아울러 화상의 교정을 보다 정교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화상형성장치, 스캔, 이미지 센서, 연결유닛, 테스트 패턴, 전사벨트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일부를 도시해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작동순서를 도시해 보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일부를 도시해 보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100' : 화상형성장치 110, 110' :화상형성장치 본체
115 : 제어부 150 : 화상형성유닛
161,162,163,164 : 상담지체 180 : 스캐닝 유닛
185 : 이미지 센서유닛 186 : 발광부
187 : 이미지 센서 190,190' : 연결유닛
189, 193, 194 : 투광창 191, 195 : 반사경
S : 스캐닝 영역 R : 교정영역
B : 전사벨트 T : 테스트 패턴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화상의 인쇄가 올바르게 이루어 지지 않는 것을 교정하는 화상교정이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화상형성장치는 입력된 화상데이터에 대응하는 화상을 인쇄매체에 인쇄하기 위한 것으로서, 최근에는 다색화상의 인쇄를 위해 복수의 상담지체를 구비하는 형태로 구비된다. 이러한 다색화상의 인쇄는 색상별로 구비된 상담지체에 의해 형성되는 토너화상이 인쇄매체에 중첩되도록 전사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인쇄화상의 품질이 저하되는데, 이에 따라 화상형성장치는 실질적인 인쇄작업이 시작되기 전에 다양한 화상교정작업을 통해 인쇄화상 품질저하를 억제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화상교정작업의 일례로 컬러 레지스트레이션(Color Registration)이라는 작업이 있다. 상기 컬러 레지스트레이션 작업은 각 상담지체에 의해 형성된 토너화상이 정확하게 중첩되지 못하는 이유로 인쇄화상의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컬러 레지스트레이션 작업은 컬러 레지스트레이션용 테스트 패턴을 형성시킨 후, 그 테스트 패턴을 발광부와 수광부를 가지는 별도의 광학식 센서유닛으로 판독함으로써 시작된다. 그리고, 컬러 레지스트레이션 작업은 상기 판독 결과에 따라 토너화상의 형성을 위한 각 구동부의 구동시간 제어에 관한 설정을 갱신시킴으로써 종료된다.
이러한, 컬러 레지스트레이션 작업은 테스트 패턴 인쇄 후 상기 테스트 패턴의 인쇄농도가 컬러 레지스트레이션을 수행하는데 적절한지를 검사한 후에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테스트 패턴의 인쇄농도 측정은 상기 발광부로부터 조사되어 테스트 패턴으로부터 반사되는 광량을 상기 수광부를 이용하여 측정함으로써 이루어진다.
하지만, 종래의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광학식 센서유닛이 화상형성장치 내부에 별도로 설치되어 화상형성장치의 구조를 복잡하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 테스트 패턴의 인쇄농도가 적절치 못한 것으로 판독되었을 때, 상담지체의 구동이상, 전사벨트의 손상, 광학식 센서유닛의 동작오류 중 어느 원인에 의해서인지 쉽게 판단이 힘들기 때문에 이에 대한 적절한 대처가 늦어지는 문제점도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화상형성장치를 단순화시킴과 아울러 화상교정작업 수행시 문제가 발생된 경우 빠른 대처가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화상형성장치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된 원고를 스캐닝하는 이미지 센서유닛; 인쇄모드의 실행시 인쇄매체에 화상을 인쇄하며, 화상교정모드의 실행시 소정 테스트 패턴을 형성시키는 화상형성유닛; 및 상기 화상교정모드의 실행시 상기 테스트 패턴의 판독을 위해 상기 이미지 센서유닛을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별도의 광학식 센서를 설치하지 않고 원고의 스캔을 위한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화상교정을 실시하기 때문에 화상형성장치의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보다 정교한 화상의 교정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미지 센서유닛은, 상기 원고의 스캐닝을 위한 스캐닝영역과 상기 화상형성유닛과 광학적으로 연결되는 교정영역 사이에서 왕복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상교정모드의 실행시, 상기 이미지 센서유닛을 상기 교정영역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광학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상교정모드의 실행시, 상기 연결유닛을 상기 교정영역으로 이동시켜 상기 이미지 센서유닛과 상기 화상형성유닛이 광학적으로 연결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화상형성유닛은, 각각 다른 색상의 토너화상을 형성시키는 복수의 상담지체; 상기 상담지체들과 마주하는 인쇄영역과 상기 교정영역 사이를 순환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인쇄모드의 실행시 상기 인쇄매체를 상기 전사영역으로 이송시키고, 상기 화상교정모드의 실행시 상기 교정영역으로 이송될 상기 테스트 패턴이 그 외주면에 직접 전사되는 전사벨트;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은, 테스트 패턴을 형성시킨 후 교정영역으로 상기 테스트 패턴을 이송시키는 단계; 상기 이미지 센서유닛과 상기 화상형성유닛을 광학적으로 연결시킨 후 상기 테스트 패턴을 상기 이미지 센서로 판독하는 단계; 및 상기 판독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화상형성유닛의 구동을 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다색화상의 형성이 가능함과 아울러 원고의 스캐닝이 가능한 복합기를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일례로서 도시해 보인 것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인쇄매체로의 화상인쇄를 위한 화상형성유닛(150)과, 원고의 스캐닝을 위한 스캐닝 유닛(180) 및 화상형성장치(100)의 각 구동부의 제어를 위한 제어부(115)를 포함한다.
화상형성유닛(150)은 복수의 토너공급부(165,166,167,168), 복수의 상담지체(161,162,163,164), 전사벨트(B), 전사롤러(171,172,173,174), 정착롤러(140), 배지롤러(130)를 포함한다. 복수의 상담지체(161,162,163,164)는 시안(Cyan), 마젠타(Magenta), 노랑(Yellow), 검정(Black) 색상의 토너들을 각 토너공급부(165,166,167,168)로부터 공급받아 그 외주면에 토너화상을 형성시킨다. 전사롤러(171,172,173,174)는 미도시된 인쇄매체 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된 인쇄매체(미도시)에 상기 토너화상을 전사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각 상담지체(161,162,163,164)와 마주하도록 복수로 마련되어 인쇄영역(P)을 형성시킨다. 전사벨트(B)는 화상의 인쇄시 인쇄매체를 상기 인쇄영역(P)으로 이송시킴과 아울러 후 술될 화상교정시 테스트 패턴(T)을 교정영역(R)로 이송시키도록 화상형성장치 본체(110) 내부에서 순환된다. 정착롤러(140)는 상담지체(161,162,163,164)와 전사롤러(171,172,173,174)에 의해 화상이 인쇄된 인쇄매체를 고온고압으로 압착시켜 인쇄매체상의 토너가 인쇄매체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정착롤러(140)를 경유한 인쇄매체는 배지롤러(130)에 의해 배지구(111)를 경유하여 배지대(120)로 배출됨으로써 인쇄매체의 화상인쇄가 완료된다.
스캐닝 유닛(180)은 원고대(181)와, 이미지 센서유닛(185)을 구비한다. 원고대(185)는 유리, 아크릴과 같은 투명재질로 형성되며 그 상면에 스캔될 원고가 놓여진다. 이미지 센서유닛(185)은 원고를 향해 조사될 조명광을 생성시키는 발광부(186)와, 원고로부터 반사된 광을 판독하여 원고의 화상을 판독하는 이미지 센서(187)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이미지 센서유닛(185)은 원고의 스캐닝이 가능한 스캐닝영역(S)와, 후술될 테스트 패턴(T)의 판독이 가능한 교정영역(R) 사이에서 왕복이 가능하게 화상형성장치 본체(110)에 설치된다. 참고로, 참조부호 C는 원고대(181)에 놓여진 원고의 스캐닝시 외부광이 이미지 센서유닛(185)으로 입사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를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화상의 인쇄를 위한 인쇄모드와, 원고의 스캐닝을 위한 스캐닝모드와, 컬러 레지스트레이션과 같은 화상교정모드로 구동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화상교정모드는 이미지 센서유닛(185)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며,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이미지 센서유닛(185)이 교정영역(R)으로 이동되 었을 때 이미지 센서유닛(185)과 전사벨트(B)의 일측면을 광학적으로 연결시키도록 교정영역(R)에 설치되는 연결유닛(190)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연결유닛(190)은 이미지 센서유닛(185)의 조명광(L)을 전사벨트(B)로 안내하는 복수의 반사경(191)과, 화상형성장치 본체(110)를 가로질러 광의 출입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투광창(193)(194)과 같은 광학소자들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어부(115)는 테스트 패턴(T)의 판독을 위해 각 상담지체(161,162,163,164)의 토너화상이 전사벨트(B)에 전사되도록 한 후, 전사벨트(B)를 구동시켜 테스트 패턴(T)을 이미지 센서유닛(185)을 통한 판독이 가능한 위치인 교정영역(R)에 배치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의 구동을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스캔모드가 요청되면, 이미지 센서유닛(185)은 정상적으로 스캐닝영역(S)내에서 움직이면서 원고대(185) 상에 놓여진 원고(미도시)를 스캐닝한다(S10,S20).
한편, 화상교정모드가 요청되면(S30), 제어부(115)는 이미지 센서유닛(185)을 스캐닝영역(S)의 제 1 위치(P1)로부터 교정영역(R)의 제 2 위치(P2)로 이동시킴으로써 연결유닛(190)에 의해 전사벨트(B)와 이미지 센서유닛(185)이 광학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S40). 그리고, 각 상담지체(161,162,163,164)의 토너화상을 전사벨트(B)에 직접 전사시켜 테스트 패턴(T)을 형성시킨 후, 테스트 패턴(T)이 교정영역(R)에 위치되도록 전사벨트(B)를 구동시킴으로써 화상교정의 준비를 완료한다(S50,S60).
상술한 바와 같이 화상교정준비가 완료되면, 먼저, 제어부(115)는 이미지 센 서유닛(185)을 이용하여 전사벨트(B) 상의 테스트 패턴(T)이 정상적인 농도로 형성되었는지를 판독한다(S70). 이러한 농도판독은 테스트 패턴(T)을 향하여 조명광(L)을 조사한 후 테스트 패턴(T)으로부터 반사되어 이미지 센서(187)로 입사되는 광량의 측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만약, 상기 단계 70에서 테스트 패턴(T)의 농도가 정상이 아니라고 판명되면, 전사벨트(B)의 손상 또는 상담지체(161,162,163,164)를 포함한 화상형성유닛(150)의 이상으로 판단하고 후속조치를 취하면 된다. 이러한 후속조취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화상형성유닛(150)의 손상에 의한 교정에러를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통해 표시하는 등의 방법이 있다. 한편, 상기 단계 70에서 테스트 패턴(T)의 농도가 정상이라고 판단되면, 컬러 레지스트레이션과 같은 교정작업을 수행한 후(S80) 화상교정모드를 종료시킨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도시해 보인 것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의 스캐닝 유닛(180)은 외부에 노출된 트레이(182)에 적재되는 다수의 원고를 복수의 롤러(210)를 이용하여 낱장씩 이송시키면서 스캐닝이 가능하게 하는 자동원고급지장치(200)가 커버(C')에 일체로 구비되는 점에 있어서 앞선 제 1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100)와 차이점이 있다. 이러한 자동원고급지장치(200)를 구비함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의 스캐닝 유닛(180)은 스캐닝영역(S) 및 교정영역(R) 모두에서 원고스캔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이미지 센서유닛(185)이 교정영역(R)의 제 2 위치(P2)에 위치한다 하더라도, 이미지 센서유닛(185)은 자동원고급지장치(200)에 의해 이송되는 원고와 마주하는 투광창(189)과 광학적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앞선 실시예와 같이 화상교정에 사용되 기 힘들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의 화상형성장치(100)는 제 2 위치(P2)에서의 원고독취가 가능하게 하는 제 4위치(P4)와 테스트 패턴(T)의 판독을 가능하게 하는 제 3 위치(P3) 사이에서 이동되는 연결유닛(190')을 포함한다. 이러한 연결유닛(190')은 이미지 센서유닛(185)과 전사벨트(B)를 광학적으로 연결시키는 반사경(195)과 같은 복수의 광학소자들을 구비한다. 이에 따르면, 이미지 센서유닛(185)은, 제 2 위치(P2)에 위치하더라도, 연결유닛(190')이 제 4 위치(P4)에 위치하면 자동원고급지장치(200)와 연결된 투광창(185)을 통한 원고의 스캔에 사용되고, 연결유닛(190')이 제 3 위치(P3)에 위치하면 전사벨트(B)상의 테스트 패턴(T)을 판독하는데 사용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의 화상형성장치(100')는 화상형성장치 본체(110)가 화상형성유닛(150) 및 스캐닝 유닛(180)이 한 몸으로 형성되도록 형성되는 점만 제외하면, 나머지 화상형성유닛(150)의 구성은 앞선 도 1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여기에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화상교정모드에서의 테스트 패턴 판독을 원고의 스캔을 위해 설치되는 이미지 센서유닛을 이용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별도의 광학식 센서유닛을 더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된다. 이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의 단순화가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제조비용 문제때문에 사용되던 종래의 광학식 센서보다 조명광량 및 판독정확성이 높은 원고스캔용 이미지 센서를 사용하기 때문에 화상교정이 보다 정교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또한, 원고의 스캐닝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 것 만 확인된다면 화상교정의 에러시 화상형성유닛의 이상이라는 것을 쉽게 판단할 수 있어 이에 따른 빠른 후속대처도 가능하게 함으로써 화상형성장치의 유지보수도 용이하게 하는 효과도 발생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화상형성장치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된 원고를 스캐닝하는 이미지 센서유닛;
    인쇄모드의 실행시 인쇄매체에 화상을 인쇄하며, 화상교정모드의 실행시 소정 테스트 패턴을 형성시키는 화상형성유닛; 및
    상기 화상교정모드의 실행시 상기 테스트 패턴의 판독을 위해 상기 이미지 센서유닛을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유닛은, 상기 원고의 스캐닝을 위한 스캐닝영역과 상기 화상형성유닛과 광학적으로 연결되는 교정영역 사이에서 왕복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상교정모드의 실행시, 상기 이미지 센서유닛을 상기 교정영역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광학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상교정모드의 실행시, 상기 연결유닛을 상기 교정영역으로 이동시켜 상기 이미지 센서유닛과 상기 화상형성유닛이 광학적으로 연결되 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유닛은,
    각각 다른 색상의 토너화상을 형성시키는 복수의 상담지체;
    상기 상담지체들과 마주하는 인쇄영역과 상기 교정영역 사이를 순환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인쇄모드의 실행시 상기 인쇄매체를 상기 전사영역으로 이송시키고, 상기 화상교정모드의 실행시 상기 교정영역으로 이송될 상기 테스트 패턴이 그 외주면에 직접 전사되는 전사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인쇄매체에 화상을 인쇄하는 화상형성유닛 및 원고의 화상을 스캐닝하는 이미지 센서유닛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테스트 패턴을 형성시킨 후 교정영역으로 상기 테스트 패턴을 이송시키는 단계;
    상기 이미지 센서유닛과 상기 화상형성유닛을 광학적으로 연결시킨 후 상기 테스트 패턴을 상기 이미지 센서로 판독하는 단계; 및
    상기 판독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화상형성유닛의 구동을 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50055557A 2005-06-27 2005-06-27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KR200700000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5557A KR20070000093A (ko) 2005-06-27 2005-06-27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5557A KR20070000093A (ko) 2005-06-27 2005-06-27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6063A true KR20060136063A (ko) 2007-01-02
KR20070000093A KR20070000093A (ko) 2007-01-02

Family

ID=37868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5557A KR20070000093A (ko) 2005-06-27 2005-06-27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0009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64414B2 (en) Optical writing control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optical writing device
US810783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rrecting color misregistration in image forming apparatus
US8638481B2 (en) Optical writing control apparatus for controlling a light source emitting a light beam onto a photosensitive member and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US919515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7383431B2 (ja) 画像形成装置
US20140153010A1 (en) Optical-writing control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optical writing device
US20100296822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EP1806629B1 (en)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US1035331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that sequentially executes adjustment operation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adjustment items
JP2021092670A (ja) 画像形成装置
JP5565217B2 (ja) 光書き込み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光書き込み制御方法
US1020965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KR20060136063A (ko)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KR20070000093A (ko)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US7483045B2 (en) Printing apparatus
JP2006333410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の調整方法
JP7027759B2 (ja) 画像形成装置
US20050134677A1 (en) Image-forming apparatus
JP6551792B2 (ja) 画像読取装置、画像読取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6091904A5 (ko)
JP6471436B2 (ja) 撮像装置、測色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20050104954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0004110A (ja) 画像読取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H08156332A (ja) 画像形成装置
JP2007053606A (ja) 画像読取装置、読取精度評価方法、及び補正係数決定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