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4634A - 벽난로 - Google Patents

벽난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4634A
KR20060134634A KR1020050054482A KR20050054482A KR20060134634A KR 20060134634 A KR20060134634 A KR 20060134634A KR 1020050054482 A KR1020050054482 A KR 1020050054482A KR 20050054482 A KR20050054482 A KR 20050054482A KR 20060134634 A KR20060134634 A KR 200601346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fireplace
hole
combustion chamber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4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현진
Original Assignee
정현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현진 filed Critical 정현진
Priority to KR1020050054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34634A/ko
Publication of KR20060134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46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5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 F24B1/189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characterised by air-handling means, i.e. of combustion-air, heated-air, or flue-gases, e.g. draught control dampers 
    • F24B1/19Supplying combustion-air
    • F24B1/1902Supplying combustion-air in combination with provisions for heating air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5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 F24B1/18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characterised by use of heat exchange means , e.g. using a particular heat exchange medium, e.g. oil, gas  
    • F24B1/1885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characterised by use of heat exchange means , e.g. using a particular heat exchange medium, e.g. oil, gas   the heat exchange medium being air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91Component parts; Accessories
    • F24B1/1915Means for removing as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91Component parts; Accessories
    • F24B1/192Doors; Screens; Fuel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91Component parts; Accessories
    • F24B1/195Fireboxes; Frames; Hoods; Heat refl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08Air heaters using sol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52Details for air heaters
    • F24H9/0057Guiding means
    • F24H9/0068Guiding means in combustion gas cha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난로에 관한 것으로, 벽난로의 하우징 양 측면 내부에 공기가 유동되기 위한 소정통로를 형성하여 외부의 공기가 벽난로의 후면 상부로 배출되게 함으로써 발화점을 연통에 근접되게 위치시켜 벽난로 전면의 유리도어에 발생되는 그을음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발화시간을 조절할 수 있으며, 내부 상측에 반사판(deflector)이 구비되어 탄소진(炭素塵, creosote) 등의 유해물질이 필터링된 후 연소가스 및 폐열이 배출되는 벽난로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고체연료가 장입되어 연소되는 연소실, 상기 연소실의 전면부에 힌지결합되는 유리도어, 상기 연소실의 내부에 그 중심에 소정형상의 투입공이 형성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투입공 상부에 구비되고 그 상부면에 고체연료를 적층시킴과 동시에 연소된 재를 투입공을 통하여 하부로 투입하기 위한 그릴, 및 이 연소된 재를 수납하기 위한 재받이부로 구성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벽난로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전면 좌, 우 적소에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기 위한 유입공, 상기 하우징의 내부 좌, 우측 및 후면에 위 유입공을 통하여 유입된 공기가 이송되는 유입공간, 상기 유입된 공기를 하우징 내부로 배출하는 배출공이 그 내부 후면 상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벽난로, 하우징, 유입공, 유입공간, 배출공, 반사판, 걸림공, 필터

Description

벽난로{Fireplac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벽난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벽난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벽난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벽난로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벽난로, 10 : 하우징,
11 : 유입공, 13, 13a, 13b : 유입공간,
15, 15a, 16 : 배출공, 17 : 반사판,
18 : 걸림공, 19 : 필터,
30 : 연소실, 31 : 지지판,
33 : 투입공, 35 : 그릴,
37 : 슬롯, 50 : 유리도어,
51 : 유리도어 손잡이, 70 : 재받이부,
71 : 재받이부 손잡이, 90 : 연통.
본 발명은 벽난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벽난로의 하우징 양 측면 내부에 공기가 유동되기 위한 소정통로를 형성하여 외부의 공기가 벽난로의 측면 및 후면 상부로 배출되게 함으로써 발화 포인트를 연통에 근접되게 위치시켜 벽난로 전면의 유리도어에 발생되는 그을음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완전연소에 의하여 열효율과 방생되는 유해물질을 줄일 수 있고, 발화시간을 조절할 수 있으며, 내부 상측에 반사판이 구비되어 장작이나 땔감 등의 고체연료를 태움으로써 발생되는 연소열을 외부로 유도하고, 그리고 연기가 연통을 통하여 배출될 때 탄소진 등의 유해물질이 필터링되어 배출되는 벽난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벽난로는 건물이나 가옥의 거실 등의 실내 벽면에 매립설치되며, 장작이나 땔감 등의 고체연료를 태움으로써 발생되는 연소열을 실내로 발산 및 방출시켜 겨울철 실내를 난방하는 난방장치이다.
최근 들어, 이러한 벽난로는 실내 난방을 위하여 사용되는 특정 계절을 제외한 나머지 계절에 실내 장식용으로 사용되며, 이로 인해 실내 분위기를 한 층 돋보이게 하는 인테리어적인 측면으로 사용되고 있다.
즉, 연소실의 전면에 구비되는 도어가 그 테두리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강화 유리 등의 투명 유리 및 합성수지재질 유리로 이루어짐으로써 연소실 내에서 연소되는 장작이나 땔감 등이 연소되는 모습이 외부로 노출되며, 이로 인해 시 각적인 효과를 얻도록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실내 장식용으로 쓰여 실내 분위기를 한 층 돋보이게 하는 인테리어적인 측면에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렇게 실내를 난방하는 난방장치로서의 벽난로는 소정형상의 하우징으로 형성되고, 하우징의 내부에는 장작이나 땔감 등의 고체연료를 연소시키기 위하여 그 내부에 소정크기 및 소정면적으로 이루어지는 연소실이 형성되며, 연소실의 하부면 적소에는 수평방향으로 지지판이 구비되고, 지지판의 중심에는 투입공이 형성되며, 투입공의 상부에는 장작이나 땔감 등의 고체연료를 적층 및 쌓을 수 있도록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연소실에서 연소된 재 등을 하부로 배출하기 위한 그릴이 구비되고, 그릴의 하부에는 그릴을 통하여 하부로 배출되는 재 등을 수거하여 폐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재받이부가 구비되며, 연소실에서 연소되는 장작 또는 땔감 등의 고체연료에서 발생되는 연기, 가스, 그을음 등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원통형의 연통이 그 상부에 연설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한편, 벽난로 하우징의 전면부에 서랍식으로 구비되는 재받이부의 전면부에는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공기유입구가 형성되고, 공기유입구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가 재받이부 및 재받이부의 배출공을 통해 그릴로 유입되며, 그릴로 유입되는 공기가 고체연료에 직접 공급되게 이루어지며, 이로 인해 그릴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장작이나 땔감 등의 고체연료를 태우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벽난로는 외부의 공기가 벽난로의 하우징 전면에 형성되는 공기유입구를 통하여 유입된 후 그릴의 하부를 통하여 하우징 내부로 공급되게 이루어짐으로써 발화 포인트가 그릴의 상부에 위치하며, 이로 인해 그릴에 가까이 있지 아니한 불꽃은 접하는 공기가 부족하여 불완전하게 연소되고 이 불완전 연소로 인하여 유해가스 및 그을음 등이 발생하게되고, 이 그을음이 유리도어의 내면에 부착 및 고착되어 투명도가 낮아지게 되므로 장작이나 땔감 등이 연소되는 아름다운 모습을 외부에서 선명하게 볼 수 없게 되므로 유리도어가 제 역할 및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장작 또는 땔감 등의 고체연료가 불완전하게 연소되는 경우에 발생되는 연기, 가스, 그을음 등이 연통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 시 연기, 가스, 그을음 등에 포함되는 여러가지 유해성분이 연통의 내주연에 고착 및 부착될 뿐만 아니라, 이러한 유해성분이 연통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환경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연통의 내부에 고착된 탄소진(炭素塵, creosote)은 열을 받게 되면 일명 침니파이어(chimney fire)가 발생하여 안전상의 문제점 또한 있었다.
한편, 하우징에 형성되는 공기유입공을 통하여 유입되는 외부의 공기가 재받이부를 통하여 투입공으로 유입된 후 고체연료가 적층 및 쌓여있는 그릴에 직접적으로 유입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하부에서는 강한 불꽃이 발생하는 반면에 상부에서는 불완전 연소가 이루어지게 되고, 직접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기가 쉽지 않아서 고체연료의 화력을 조절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고체연료의 연소시간을 여유롭게 가져가기가 어려우며, 또한 공기 유입을 최대한 줄이더라도 그릴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는 연소에 직접 사용되어 불꽃이 발생하는 연소가 이루어지게 되므로 불필요한 연소가 이루어지게 되어 고체연료의 낭비를 초래하게 되고, 공기 유입을 차단하게 되면 소화되어 재 점화를 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벽난로의 하우징 양 측면 내부에 공기가 유동되기 위한 소정통로를 형성하고 외부의 공기가 벽난로의 측면 및 후면 상부로 배출되게 함으로써 발화 포인트를 연통에 근접되게 위치시켜 완전연소를 유도하여 유해가스 또는 그을음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고 발화시간을 최대한 늘릴 수 있도록 하며, 내부 상측에 걸림공이 형성된 반사판을 구비하여 연소열을 난로의 외부로 반사시키며 걸림공에 의하여 탄소진 등의 유해물질이 필터링되어 배출되로고 하는 벽난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장작이나 땔감 등의 고체연료의 연소로 인해 연소열을 발생시키는 소정크기의 연소실과, 상기 연소실의 전면부에 개폐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유리도어와, 상기 연소실의 내부 적소에 수평방향으로 구비되되 그 중심에 소정형상의 투입공이 형성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투입공 상부에 구비되고 그 상부면에 장작이나 땔감 등의 고체연료를 적층시킴과 동시에 연소된 재를 투입공을 통하여 하부로 투입하기 위한 그릴과, 상기 투입공과 그릴을 통하여 떨어진 재를 수납하기 위한 재받이부로 구성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벽난로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전면 좌, 우 적소에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기 위한 유입공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 좌, 우측 및 후면 전체 에 유입공을 통하여 유입된 공기가 소통되기 위한 소정의 유입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유입공간으로 유입된 공기를 하우징 내부의 연소실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공이 위 유입공간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 후면 상부에 형성되는 배출공에 근접되는 상측에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판체형상의 반사판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반사판에 규칙 또는 불규칙적으로 다수 개의 걸림공이 관통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각 걸림공이 원형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각 걸림공에 걸림공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망체형상의 필터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각 필터가 금속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걸림공은 다양한 형상, 즉 삼각형, 사각형 또는 타원형 등 각종의 형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내부 하면 전체에 유입공을 통하여 유입된 공기가 이송되기 위한 소정의 유입공간이 추가로 형성되어 하우징의 내부 좌, 우측 및 후면에 형성되는 유입공간과 연설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벽난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벽난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벽난 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벽난로(1)는 일반적인 벽난로(1)와 대략 동일한 소정형상의 하우징(10)으로 형성되며, 그 내부에 장작이나 땔감 등의 고체연료가 연소되어 소정온도의 연소열을 발생시키기 위한 연소실(3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의 전면부에 개폐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유리도어(50)가 구비되고, 상기 유리도어(50)는 연소실(30) 내에서 연소되는 장작이나 땔감 등의 고체연료가 연소되는 모습을 외부로 노출 및 보여줌으로써 시각적인 효과를 가질 수 있도록 테두리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내화 및 강화 유리 등의 투명 유리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유리도어(50)의 전면 일측 적소에는 유리도어(50)의 개폐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유리도어 손잡이(51)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연소실(30)의 하부에는 수평방향으로 구비되되, 그 중심에 소정형상의 투입공(33)이 형성되는 판체형상의 지지판(31)이 구비되며, 상기 지지판(31)의 투입공(33) 상부면에는 장작이나 땔감 등의 고체연료를 적층시킴과 동시에 적층된 고체연료의 연소 시 연소된 재를 투입공(33)을 통하여 하부로 떨어지게 하기 위한 그릴(35)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그릴(35)은 그 적소에 다수 개의 슬롯(37)이 관통형성되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그릴(35)의 슬롯(37)을 통하여 그 상부면에서 연소되는 고체연료가 연소 후 재로 바뀐 다음 이 다수 개의 슬롯(37)을 통하여 바닥으로 떨 어지게 된다.
이렇게 그릴(35)의 슬롯(37)을 통하여 하부로 낙하하는 연소된 재를 보다 용이하게 수납하여 폐기하기 위하여 상기 연소실(30)의 하부에는 재를 수납하기 위한 서랍식의 재받이부(70)가 구비된다.
상기 재받이부(70)는 일반적인 서랍의 구조와 유사하게 이루어지며, 그 전면부에는 재받이부(70)에 수납 및 수거된 재를 폐기할 때에 상기 재받이부(70)를 하우징(10)에서 용이하게 분리하기 위하여 재받이부(70) 전면에는 재받이부 손잡이(71)가 구비된다. 이 손잡이(71)는 재받이부(70)를 분리하거나 장착할 때 이용하는 손잡이로서도 이용되며, 나사식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좌우회전에 의하여 이 손잡이(71) 후면의 재받이부(70)에 형성되어 있는 절개부(71a)를 개폐시켜서 이 절개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위 절개부(71a)로 유입되는 공기는 그릴(35)을 통하여 연소실(30)로 공급되며 고체연료의 직접적인 연소 즉 불꽃이 발생하는 활화(活火)에 사용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10)의 전면 좌, 우 적소에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기 위한 유입공(11)이 관통형성되고, 하우징(10)의 내부 좌, 우측 및 후면에는 유입공(11)을 통하여 유입되는 외부의 공기를 이송하기 위한 소정의 유입공간(13, 13a)이 형성된다. 여기서 유입공(11)의 형상은 원형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아라비아 일자형, 한문의 일(一)자형이던지 무관하게 소량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면 어떤 형태이던지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유입공(11)을 통하여 후면의 유입공간(13)으로 유입된 외부의 공기를 벽난로(1) 내부로 배출하기 위한 후면 배출공(15)이 하우징(10) 내부의 후면 상부에 형성되며, 좌,우측면 유입공간(13a)으로 유입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측면 배출공(15a)이 하우징(10) 내부의 측면 상부에 형성되고, 위 측면 배출공(15a)의 하부에는 하나 이상의 중간 배출공(16)이 형성된다. 이 중간 배출공(16)들은 전체 높이에서 2/3 이상 높은 곳에 형성하는 것이 완전연소 및 잠화(潛火)를위하여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잠화란 상기 절개부(71a)를 완전히 폐쇄하였을 때 슬롯(37)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없어지게 되면 연소실(30)의 하단에서는 연소가 일어나지는 않지만 불길은 공기가 있는 부분을 찾게되고 이때 배출공(15, 15a, 16)으로는 소량이기는 하지만 공기가 유입이 되고 있으므로 불길은 이 공기를 찾아서 불길이 죽지 않은 정도의 연소를 하고 있게 되는 데 이를 잠화(潛火)라 칭하고 본 발명에서 동일하게 사용한다.
즉, 상기 하우징(10)의 전면 좌, 우 적소에 형성된 유입공(11)을 통하여 유입되는 외부의 공기를 하우징(10) 내부의 연소실(30)에 공급하기 위한 소정의 유입공간(13, 13a)이 형성되며, 유입공(11)을 통하여 유입공간(13, 13a)으로 유입된 공기를 하우징(10) 내부의 연소실(30)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공(15, 15a, 16)이 상기 하우징(10) 내부의 측면 및 후면 상부에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측면 및 후면 상부에 형성되는 배출공(15, 15a)은 하우징(10)의 상부에 연설되는 연통(90)의 입구측에 근접되게 위치하며, 측면의 중간에 형성되는 배출공(16)은 측면 배출공(15a)의 하부로 4개가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후면 및 측면 상부에 배출공(15, 15a)이 형성됨으로써 유입공(11)을 통하여 유입공간(13, 13a)으로 유입된 외부의 공기가 배출공(15, 15a)을 통하여 하우징(10)의 연소실(30) 내부로 유입되도록 이루어져 기본적인 연소는 절개부(71a)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에 의하여 연소가 되도록 하고, 이 연소에 의하여 다 연소되지 아니한 불길 및 불꽃의 끝점이 미량의 공기가 유입되는 배출공(15, 15a)에 근접되는 위치에서 완전연소 또는 불꽃의 끝점이 향하도록 유도하며, 이로 인해 발화점(연소점, 불꽃의 끝 부분)의 위치가 유리도어(50)에서 소정거리를 두고 위치함으로써 발화로 인한 연소 시 유리도어(50)에 그을음 등의 발생이 방지되며, 좌우 및 후면의 상부에서 공급되는 공기로 인하여 불완전하게 연소되었던 불꽃이 한번 더 연소되어 완전연소에 가깝게 되어 탄소진과 같은 유해물질의 발생이 현격하게 줄어들게 된다. 또한, 재받이부손잡이(71)를 회전시켜 잠그게 되면 절개부(71a)는 완전히 폐쇄되어 공기의 유입이 없게 되면 유입공(11)을 통한 공기만이 연소실(30) 내부로 공급이 되고 직접연소에 사용되는 공기가 유입이 되지 아니하므로 불꽃이 발생하는 활화(活火) 상태가 종료하게 되고, 배출공(15, 15a, 16)을 통하여 유입되는 소량의 공기만이 연소실에 공급이 되므로 연소실에서 불은 꺼지지는 않지만 아주 미약하게 살아있는 잠화(潛火)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벽난로(1)의 하우징(10) 내부의 후면 상부에는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판체형상의 반사판(deflector)(17)이 구비된다. 즉,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연통(90)과 연결되는 배출구측에 근접되는 위치 및 상기 배출공(15)에 근접되는 상측에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판체형상의 반사판(17)이 구비 되며, 상기 반사판(17)에는 규칙 또는 불규칙적으로 이루어지는 걸림공(18)이 다수 개 관통형성되어 있고, 위 반사판(17)은 평면적으로 보았을 때 연통(90)의 1/2 또는 2/3 정도를 막고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여기서, 상기 반사판(17)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걸림공(18)은 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걸림공(18)에 의하여 연소실(30)에서 고체연료의 연소 시 발생되는 연기, 가스, 그을음 등에 포함되는 탄소진 등의 유해물질이 필터링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반사판(17)에 규칙 또는 불규칙적으로 다수 개 형성되는 걸림공(18)이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한 바와 같이 유해물질을 필터링하기만 용이하다면 기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각 걸림공(18)에는 걸림공(18)에 결합되기 용이한 형상으로 형성되되, 망체형상으로 형성되는 필터(19)가 각각 구비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각 걸림공(18)에 망체형상으로 형성되는 필터(19)가 각각 결합되며, 상기 각 걸림공(18)에 결합되는 망체형상의 필터(19)에 의하여 고체연료의 연소 시 발생되는 연기, 가스, 그을음 등에 포함되는 탄소진 등의 유해물질이 필터링되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필터(19)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각 걸림공(18)에 결합이 용이하고, 유해물질을 필터링하기 용이하다면 기타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각 걸림공(18)에 결합되는 필터(19)가 망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필터(19)가 기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 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벽난로(1)의 사용을 설명한다.
먼저, 벽난로(1)의 하우징(10) 전면에 구비되는 유리도어 손잡이(51)를 이용하여 하우징(10)에 힌지결합된 유리도어(50)를 개방한 다음, 연소실(30)에 수평방향으로 구비되는 지지판(31)의 투입공(33) 상부면에 설치된 그릴(35)에 장작이나 땔감 등의 고체연료를 투입한 후 불을 붙인다.
이렇게 장작이나 땔감 등의 고체연료에 불을 붙인 다음, 하우징(10)의 전면에 구비되는 유리도어(50)를 닫는다.
이때, 상기 하우징(10)의 전면에 형성되는 유입공(11)을 통하여 유입공간(13, 13a)으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외부의 공기가 유입공간(13, 13a)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배출공(15, 15a, 16)을 통하여 하우징(10) 내부의 연소실(30)로 배출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발화위치(발화점, 불꽃의 끝 부분)가 하우징(10) 전면에 구비되는 유리도어(50)에서 소정거리 간격을 두고 발생되며, 이로 인해 하우징(10) 전면에 구비되는 유리도어(50)의 내측면에 발생되는 그을음이 방지된다. 이때 고체연료를 연소시키는 직접적인 공기는 손잡이(71) 후면의 재받이부(70)에 형성되어 있는 절개부(71a)를 통하여 공급되며, 발화점은 유리도어(50)와는 거리를 둔 후면에 위치하게 되는 데 이는 배출공(15, 15a, 16)을 통하여 공급되는 미량의 공기가 발화점을 후면으로 유인하여 이루어지는 것이고, 이들 배출공(15, 15a, 16)으로 공급되는 공기는 절개부(71a)를 통하여 그릴(35)의 슬릿(37)으로 공 급되는 공기를 보충하게 되므로 이 슬릿(37)을 공급된 공기로는 완전하게 연소되지 아니한 불완전 연소가 배출공(15, 15a, 16)에 의하여 공급되는 공기로 인하여 완전연소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벽난로(1)의 하우징(10) 내부에 형성되는 연소실(30)에서 연소되는 장작 및 땔감에서 발산 및 방출되는 열에 의하여 실내를 난방하며, 발화위치를 벽난로(1)의 하우징(10) 내부 상측에 위치시킴으로써 유리도어(50)를 통하여 보다 용이하게 연소실(30)의 내부가 외부로 노출 및 보여지며, 이로 인해 시각적인 효과의 향상을 가져온다.
한편, 상기 벽난로(1)의 하우징(10) 내부에 형성되는 연소실(30)의 상부에 형성되는 배출공(15)에 근접되는 부분에 반사판(deflector)(17)이 구비되어 연소실(30)에서 발생하는 열을 유리도어(50) 쪽으로 반사시켜 열이 벽난로(1)의 외부로 발산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연소 후 발생되는 연기, 가스, 그을음 등에서 발생되는 탄소진 등의 유해물질이 필터링 된 후 연통(9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이루어진다. 이때 위 연기, 가스 또는 그을음이 자연스럽게 통과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반사판(17)의 수평면과의 각도는 15 ~ 45°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하우징(10)의 전면에 형성되는 유입공(11)을 통하여 유입공간(13, 13a)으로 유입되는 외부의 공기가 배출공(15, 15a, 16)을 통하여 하우징(10)의 연소실(30)내로 유입되되, 하우징(10)의 내부 상측에 위치하는 배출공(15,15a, 16)을 통하여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발화위치가 연소실(30)의 상부에 위치되고, 상기 배출공(15, 15a, 16)에 근접되는 상부 즉, 연통(90)의 하부에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이루어지는 반사판(17)이 구비됨으로써 발화위치에서 발화로 인해 배출되는 연기, 가스, 그을음이 그 상부에 구비되는 반사판(17)의 걸림공(18)을 통과한 후 연통(9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어 완전연소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는 유해물질을 2차적으로 걸러주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 및 구성에 의하여 종래 외부의 공기가 재받이부(70)를 통하여 유입된 후 재받이부(70)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구비되는 지지판(31)의 투입공(33)을 통과한 후 그릴(35)의 하부로만 유입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발화위치가 유리도어(50)에 근접되게 위치하고, 고체연료의 하부에서만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발화시간 및 화력의 조절이 어려운 종래 기술에 비해 본 발명에 의한 벽난로(1)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공(11)을 통하여 유입공간(13, 13a)으로 유입된 후 배출공(15, 15a, 16)을 통하여 하우징(10)의 내부 상측에서 배출되도록 이루어지는 공기공급수단을 추가로 구성함으로써 발화위치가 연통(90)의 단부에 근접되는 적소에 위치하고, 이로 인해 외부의 공기가 간접적이고 추가적으로 연소실에 유입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으며, 손잡이(71) 후면의 재받이부(70)에 형성되어 있는 절개부(71a)를 폐쇄하더라고 배출공(15, 15a)으로는 미량의 공기가 유입이 되어 고체연료가 불이 꺼지지는 않으나 살아 있는 잠화(潛火) 상태를 유지하게 할 수 있으므로 완전연소, 발화시간 및 화력의 조절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장시간 고체연료를 태울 수가 있다.
여기서, 상기 반사판(17)을 통과하는 연기, 가스, 그을음 등에서 발생되는 탄소진 등의 유해물질은 반사판(17)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걸림공(18)을 통하여 필터링된 후 연통(9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반사판(17)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걸림공(18)에 망체형상의 필터(19)가 더 구비됨으로써 반사판(17)을 통과하는 연기, 가스, 그을음 등에 포함되는 탄소진 등의 유해물질이 보다 용이하게 필터링되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필터(19)는 반사판(17)의 걸림공(18)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반사판(17) 또한 상기 하우징(10) 내부의 연소실(30) 상부 적소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소정기간 사용한 후 교환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벽난로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도 1, 도 2, 도 3을 더불어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벽난로(1)의 하우징(10) 전면 좌, 우 적소에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기 위한 유입공(11)이 하우징(10)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0)의 하부에 형성되는 유입공(11)이 하우징(10)의 하부에 형성되는 유입공간(13b)과 연설되게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유입공(11)을 통한 외부 공기의 유입이 용이하며, 유입된 외부의 공기가 배출공(15, 15a, 16)을 통하여 배출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도 1, 도 2,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동일한 작용과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우징(10)의 하부에 형성되는 유입공(11)이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기 용이하다면 기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유입공(11)이 상기 하우징(10)의 하부에 다수 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유입공(11)이 상기 벽난로(1)의 하우징(10)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나,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기 용이하다면 양 측면 또는 하우징(10)의 소정위치에 유입공(11)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첨부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개조 및 변형된 실시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벽난로의 하우징 후면, 하면 및 양 측면 내부에 공기가 유동되기 위한 유입공간을 형성하여 외부의 공기가 벽난로의 측면 및 후면의 상부로 배출되게 함으로써 발화점을 연통에 근접되게 위치시켜 벽난로 전면의 유리도어에 발생되는 그을음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연료의 직접연소에 사용되는 공기가 유입되는 절개부를 완전히 폐쇄하더라도 미량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으므로 발화시간을 조절할 수 있으며, 발화시간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땔감의 소비를 줄일 수 있으며 또한 장시간 잠화(潛火)인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은은한 열이 지속적으로 발생되어 적절한 온도조절을 할 수 있고, 이렇게 별도로 공급되는 공기로 인하여 연소실 내에서 완전연소가 이루어지므로 탄소진 등 유해물질의 발생이 최대한 억제될 수 있고, 내부 상측에 반사판이 구비되어 장작이나 땔감 등의 고체연료를 태움으로써 발생되는 연소열이 유리도어 측으로 되돌려 질 수 있으므로 발열효과가 커지게 되고, 연소에 의한 연기가 연통을 통하여 배출될 때 탄소진 등의 유해물질이 필터링되어 배출되므로 환경적인 측면에서 공해를 줄일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거둘 수 있고, 탄소진의 누적으로 인한 침니파이어(chimney fire)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Claims (9)

  1. 내부에 장작이나 땔감 등의 고체연료의 연소로 인해 연소열을 발생시키는 소정크기의 연소실과, 상기 연소실의 전면부에 개폐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유리도어와, 상기 연소실의 내부 적소에 수평방향으로 구비되되 그 중심에 소정형상의 투입공이 형성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투입공 상부에 구비되고 그 상부면에 장작이나 땔감 등의 고체연료를 적층시킴과 동시에 연소된 재를 투입공을 통하여 하부로 투입하기 위한 그릴과, 상기 투입공을 통하여 그릴의 연소된 재를 수납하기 위한 재받이부로 구성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벽난로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전면의 좌, 우 적소에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기 위하여 1개 이상이 관통형성된 유입공;
    상기 하우징의 내부 후면전체에 위 유입공을 통하여 유입된 공기가 이동하기 위하여 이 유입공과 연설되어 형성된 유입공간; 및
    위 유입공간으로 유입된 공기를 하우징 내부의 연소실로 배출하기 위하여 이 유입공간의 상부에 수평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배출공;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난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좌, 우측면에 상기 유입공과 연설되어 이 유입공을 통하여 유 입된 공기가 이동하기 위하여 좌, 우측면 전체에 유입공간이 추가로 형성되고, 이 좌, 우측 유입공간으로 유입된 공기를 하우징 내부의 연소실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공이 상부에 수평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난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좌, 우측면 유입공간의 상부에서 일정거리를 둔 아래쪽에 3이상의 배출공이 수평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난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형성된 유입공에 연설되어 이 하우징의 하부면 전체에 유입공간이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난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 후면 상부에 형성되는 배출공에 근접되는 상측에 예각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판체형상의 반사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난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이 평면적으로 보았을 때 연통의 1/2 내지 2/3 정도를 막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난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에 규칙 또는 불규칙적으로 다수 개의 걸림공이 관통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난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 걸림공이 원형, 삼각형 또는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난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각 걸림공에 걸림공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망체형상의 필터가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난로.
KR1020050054482A 2005-06-23 2005-06-23 벽난로 KR200601346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4482A KR20060134634A (ko) 2005-06-23 2005-06-23 벽난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4482A KR20060134634A (ko) 2005-06-23 2005-06-23 벽난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4634A true KR20060134634A (ko) 2006-12-28

Family

ID=37812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4482A KR20060134634A (ko) 2005-06-23 2005-06-23 벽난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3463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2910B1 (ko) * 2007-09-20 2008-08-20 박지안 그을음 및 연기 발생이 저감되는 난로
KR101051655B1 (ko) * 2010-12-30 2011-07-26 강훈이 연소효율이 향상된 무연 연소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목보일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2910B1 (ko) * 2007-09-20 2008-08-20 박지안 그을음 및 연기 발생이 저감되는 난로
KR101051655B1 (ko) * 2010-12-30 2011-07-26 강훈이 연소효율이 향상된 무연 연소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목보일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89521A (en) Gravity fed pellet burner
KR100281507B1 (ko) 소각기능을 갖춘 기름보일러 겸용 나무 보일러
US9651262B1 (en) Low emission woodstove
US20140238282A1 (en) Bonfire oven
KR100679316B1 (ko) 화목 보일러
KR200486674Y1 (ko) 난로
US4347831A (en) Fuel burning stove
JP2007229193A (ja) 炭火ロースター
KR20060134634A (ko) 벽난로
KR100852905B1 (ko) 벽난로
KR100977012B1 (ko) 기압차를 이용한 연소장치 겸용 보일러
KR200475650Y1 (ko) 벽난로
KR200294584Y1 (ko) 벽난로용 에어 커튼장치
KR20160141097A (ko) 고효율 연소가 가능한 난로
KR200384941Y1 (ko) 노출형 벽난로
KR20150002292U (ko) 펠렛 및 화목 겸용 난로
KR200349810Y1 (ko) 벽난로
KR200294583Y1 (ko) 벽난로용 다중 연소장치
KR20140135353A (ko) 화목 벽난로
KR101723483B1 (ko) 에어커튼 기능을 가진 난로
KR200294585Y1 (ko) 벽난로용 완전 연소장치
KR20150140881A (ko) 실내에 설치하는 화목보일러
KR102413149B1 (ko) 완전연소가 유도되는 화목난로
KR102227907B1 (ko) 다용도 벽난로
CN218721676U (zh) 燃薪炉中炉气化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