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4437A - 전동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 - Google Patents

전동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4437A
KR20060134437A KR1020050054108A KR20050054108A KR20060134437A KR 20060134437 A KR20060134437 A KR 20060134437A KR 1020050054108 A KR1020050054108 A KR 1020050054108A KR 20050054108 A KR20050054108 A KR 20050054108A KR 20060134437 A KR20060134437 A KR 200601344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nut
reduction gear
gear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4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5967B1 (ko
Inventor
노강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050054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5967B1/ko
Publication of KR20060134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44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5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59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1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automatic initiation; for initiation not subject to will of driver or passeng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60T13/746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and mechanical transmission of the braking 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01/00Particular use of vehicle brake systems; Special systems using also the brakes; Special software modules within the brake system controller
    • B60T2201/03Brake assist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01/00Particular use of vehicle brake systems; Special systems using also the brakes; Special software modules within the brake system controller
    • B60T2201/10Automatic or semi-automatic parking aid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Braking Systems And Boos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전동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는, 차량의 휠(11)(12)에 제동력을 가하는 브레이크(21)(22)에 연결되어 브레이크(21)(22)를 작동시키는 주차 케이블(41)(42)과, 주차 케이블(41)(42)을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는 모터(110)와, 모터(110)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기어(121)와, 구동기어(121)와 기어 연결되는 제 1 감속기어(131)와, 제 1 감속기어(131)에 결합된 연결축(132)에 동력 전달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 2 감속기어(133)와, 제 2 감속기어(133)와 기어 연결되는 입력기어(141)와, 입력기어(141)의 중심에 삽입되는 제 1 너트부재(142)와, 제 1 너트부재(142)에 상호 직선운동이 가능하도록 나사 결합되는 제 1 스크류부재(143)와, 제 1 너트부재(142)의 일측에 일체로 결합되는 제 2 스크류부재(144)와, 제 2 스크류부재(144)에 상호 직선운동이 가능하도록 나사 결합되는 제 2 너트부재(145)를 포함하며, 제 1 스크류부재(143) 및 제 2 너트부재(145)의 각 단부에 주차 케이블(41)(42)이 각각 연결된다.
주차 브레이크, 모터, 스크류-너트유닛, 너트부재, 스크류부재, 주차 케이블

Description

전동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Electric parking brake system}
도 1은 종래 주차 브레이크 장치가 구비된 차량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전동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내 보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전동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의 요부구성을 발췌하여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동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내 보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동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의 요부구성을 발췌하여 나타낸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120...모터 121,221...구동기어
130,230...감속기어유닛 131,231...제 1 감속기어
132,232...연결축 133,233...제 2 감속기어
140,240...스크류-너트유닛 141,241...입력기어
142,242...제 1 너트부재 143,243...제 1 스크류부재
144,244...제 2 스크류부재 145,245...제 2 너트부재
150,250...부하센서 160,260...비상 릴리즈 유닛
170,270...제어장치
본 발명은 차량에 장착되는 주차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전동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차 브레이크 장치는 차량을 주차시키는 경우 차량을 움직이지 못하도록 정지시키기 위한 장치로, 차량의 휠이 회전하지 못하도록 휠에 제동력을 가한다.
도 1은 종래의 수동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가 구비된 차량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내 보인 것과 같이, 종래 주차 브레이크 장치는, 한 쌍의 휠(11)(12) 각각에 설치되는 드럼 브레이크(21)(22)와, 운전자 조작을 위한 주차레버(30)와, 주차레버(30)와 각 브레이크(21)(22) 사이에 연결되는 한 쌍의 주차 케이블(41)(4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각각의 브레이크(21)(22)는 공지된 것과 같이, 휠(11)(12)과 함께 회전하는 드럼과, 드럼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드럼 내측면에 선택적으로 압착되는 한 쌍의 브레이크슈와, 각 브레이크슈를 작동시키는 작동레버와, 각 브레이크슈를 원래 위치로 복원시키기 위한 복원 스프링을 포함한다.
각 주차 케이블(41)(42)의 일단은 좌우 브레이크(21)(22)의 작동레버에 연결되고, 또다른 일단은 좌우 주차 케이블(41)(42)에 동일한 부하가 가해지도록 주차레버(30)에 연결된 이퀄라이저(50)에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 주차 브레이크 장치는, 운전자가 주차레버(30)를 상부 방향으로 당기면 각 주차 케이블(41)(42)이 동시에 당겨지면서 좌우 브레이크(21)(22) 각각의 작동레버가 해당 브레이크슈를 드럼의 내측면 쪽으로 밀어낸다. 이러한 동작에 의해 브레이크슈가 드럼의 내측면에 압착되면 드럼 및 휠(11)(12)에 제동력이 가해져 휠(11)(12)이 회전하지 못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수동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는, 운전자가 적절한 힘으로 주차레버를 당겨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주차레버의 작동반경이 커서 차량의 실내 공간 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수동식 주차 브레이크의 여러가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모터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전동식 주차 브레이크가 제안되어 있으며, 이에 대한 성능 향상을 위한 다양한 연구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구동력을 발생하는 모터를 비롯하여 구동력을 전달하는 각종 기어 및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바꾸어주는 스크류-너트유닛 등 각 구성부품의 구조 및 구성부품들 사이의 연결구조를 개선하여 보다 원활하게 작동될 수 있는 전동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전동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는, 차량의 휠에 제동력을 가하는 브레이크에 연결되어 상기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주차 케이블과, 상기 주차 케이블을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와 기어 연결되는 제 1 감속기어와, 상기 제 1 감속기어에 결합되는 연결축에 동력 전달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 2 감속기어와, 상기 제 2 감속기어와 기어 연결되는 입력기어와, 상기 입력기어의 중심에 삽입되는 제 1 너트부재와, 상기 제 1 너트부재에 상호 직선운동이 가능하도록 나사 결합되는 제 1 스크류부재와, 상기 제 1 너트부재의 일측에 일체로 결합되는 제 2 스크류부재와, 상기 제 2 스크류부재에 상호 직선운동이 가능하도록 나사 결합되는 제 2 너트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스크류부재 및 상기 제 2 너트부재의 각 단부에 상기 주차 케이블이 각각 연결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2 감속기어의 회전 중심에는 비원형의 중심공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축에는 상기 비원형의 중심공에 대응되는 비원형의 슬라이딩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 2 감속기어는 상기 연결축 상에서 직선 이동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 1 스크류부재와 이에 결합된 상기 주차 케이블 사이, 그리고 상기 제 2 너트부재와 이에 결합된 상기 주차 케이블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는 상기 각 주차 케이블에 가해지는 힘의 크기를 검출하기 위한 부하센서가 설 치된다.
또한, 상기 제 1 스크류부재와 이에 결합된 상기 주차 케이블 사이, 그리고 상기 제 2 너트부재와 이에 결합된 상기 주차 케이블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는 상기 두 개의 주차 케이블 사이의 연결을 해제시키기 위한 비상 릴리즈 유닛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연결축은 외부에서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그 일측 단부가 상기 제 1 감속기어 또는 상기 제 2 감속기어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또한, 상기 입력기어의 회전 중심에는 비원형의 중심공이 구비되고, 상기 제 1 너트 부재의 일측에는 상기 비원형의 중심공에 대응되는 비원형의 슬라이딩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 1 너트부재는 상기 입력기어에 삽입된 상태에서 축 방향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전동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종래와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종래 도면에 나타내 보인 구성을 인용하여 이를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내 보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전동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는, 차량의 휠(11, 12;도 1참조)에 제동력을 가하는 브레이크(21, 22;도 1참조)에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주차 케이블(41)(42)과, 제 1 및 제 2 주차 케이블(41)(42)을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는 모터(110)와, 모터(110)와 연결되는 구동기어(121)와, 구동기어(121)와 연결되는 감속기어유닛(130) 과, 감속기어유닛(130)에 결합되어 작동하는 스크류-너트유닛(140)과, 모터(11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브레이크(21)(22) 및 이를 작동시키는 제 1,2 주차 케이블(41)(42)은 종래와 그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모터(110)는 회전축(111)을 구비하며, 회전축(111)의 일측에 구동기어(121)가 일체로 결합된다.
감속기어유닛(130)은 구동기어(121)와 기어 연결되는 제 1 감속기어(131)와, 제 1 감속기어(131)와 결합된 연결축(132)과, 연결축(132)에 결합된 제 2 감속기어(1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연결축(132)은 제 1 감속기어(131)와 일체로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그 일측에는 단면 형상이 비원형인 슬라이딩부(132a)가 구비된다. 도 3에 나타내 보인 것과 같이, 슬라이딩부(132a)는 그 단면이 제 2 감속기어(133)의 중심에 구비된 육각 형상의 중심공(133a)에 대응하는 육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 2 감속기어(133)는 원주 방향으로는 슬립되지 않지만 축 방향으로는 미끄러지면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축(132)에 삽입된다. 제 2 감속기어(133)의 중심공(133a) 형상과 이에 삽입되는 슬라이딩부(132a)의 단면 형상은 제 2 감속기어(133)가 원주 방향으로 슬립되지 않도록 육각 형상 이외에 사각 형상, 오각 형상 등 비원형의 다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크류-너트유닛(140)은 감속기어유닛(130)에 연동하여 작동하면서 제 1 및 제 2 주차 케이블(41)(42)을 당기거나 풀어주는 역할을 한다. 스크류-너트유닛(140)은 제 2 감속기어(133)에 기어 연결되는 입력기어(141)와, 입력기어(141)의 중심에 결합되는 제 1 너트부재(142)와, 제 1 너트부재(142)에 나사 결합되는 제 1 스크류부재(143)와, 제 1 너트부재(142)의 일단부에 결합된 제 2 스크류부재(144)와, 제 2 스크류부재(144)와 나사 결합되는 제 2 너트부재(14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 1 너트부재(142)는 입력기어(141)의 중심을 관통하여 입력기어(141)에 일체로 결합되며, 그 중앙 일측에는 일정한 나선 방향을 갖는 다수의 암나사산으로 이루어진 암나사부(142a)가 구비된다. 제 1 스크류부재(143)는 제 1 너트부재(142)의 암나사부(142a)에 대응되는 수나사부(143a)를 구비하며, 그 일측 단부에는 제 1 주차 케이블(41)이 연결된다. 제 1 스크류부재(143)와 제 1 주차 케이블(41) 사이에는 부하센서(150)가 설치된다.
제 1 너트부재(142)의 일측 단부에는 제 2 스크류부재(144)가 결합된다. 제 2 스크류부재(144)는 제 1 너트부재(142)와 함께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제 1 너트부재(142)의 일측 단부에 일체로 결합된다. 또한, 제 2 스크류부재(144)는 제 1 스크류부재(143)의 수나사부(143a)의 나선 방향과 반대 나선 방향을 갖는 수나사부(144a)를 구비하며, 제 2 너트부재(145)와 나사 결합된다. 제 2 너트부재(145)는 그 중앙 일측에 제 2 스크류부재(144)의 수나사부(144a)와 같은 나선 방향을 갖는 암나사부(145a)를 구비한다. 제 2 너트부재(145)의 일측 단부에는 제 2 주차 케이블(42)이 연결되며, 제 2 너트부재(145)와 제 2 주차 케이블(42) 사이에는 비상 릴리즈 유닛(160)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스크류-너트유닛(140)은 제 2 감속기어(133)의 회전에 연동하여 작동되며, 제 1 너트부재(142)와 제 1 스크류부재(143) 사이의 상호 직선운동, 그리고 제 2 너트부재(145)와 제 2 스크류부재(144) 사이의 상호 직선운동에 의해 제 1 및 제 2 주차 케이블(41)(42)을 당기거나 이격시키게 된다.
제 1 스크류부재(143)와 제 1 주차 케이블(41) 사이에 설치되는 부하센서(150)는 스크류-너트유닛(140)의 작동에 의해 제 1 및 제 2 주차 케이블(41)(42)에 가해지는 힘의 크기를 검출하여 그 신호를 제어장치(170)로 송출한다.
그리고, 제 2 너트부재(145)와 제 2 주차 케이블(42) 사이에는 설치되는 비상 릴리즈 유닛(160)은 고장발생이나 전원공급 차단과 같은 돌발상황시 스크류-너트유닛(140)과 제 1 및 제 2 주차 케이블(41)(42) 사이의 연결을 해제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돌방상황이 발생되면 운전자는 비상 릴리즈 유닛(160)을 조작하여 너트부재(145)로부터 제 2 주차 케이블(42)을 분리함으로써 제 1 및 제 2 주차 케이블(41)(42)에 가해지는 힘을 제거한다. 비상 릴리즈 유닛(160)은 수동 조작이 가능한 턴버클(turn-buckles), 샤클(shackles), 클립(clips) 등 다양한 체결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부하센서(150)와 비상 릴리즈 유닛(160)의 설치 위치는 바뀔 수 있다.
제어장치(170)는 운전자 명령 및 부하센서(150)로부터 송출되는 입력 신호를 통해 모터(110)의 운전 및 정지, 정회전, 역회전 등 모터(110)의 여러가지 동작을 제어한다. 운전자에 의해 브레이크 작동 명령 또는 브레이크 해제 명령이 인가되면, 제어장치(170)는 모터(110)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또한, 제어장치(170)는 부하센서(15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제 1 및 제 2 주차 케이블(41)(42)에 가해지는 힘이 일정 크기 이상 되면 모터(110)를 정지시킨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전동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어장치(170)를 통해 브레이크 작동 명령이 인가되면, 모터(110)가 일정 방향 예컨대, 정방향으로 회전한다. 회전축(111)이 회전하면, 구동기어(121)가 제 1 감속기어(131)를 회전시키게 되고, 제 1 감속기어(131)에 전달된 구동력은 연결축(132)을 통해 제 2 감속기어(133)로 전달된다. 제 2 감속기어(133)가 회전하면 제 2 감속기어(133)와 기어 연결되어 있는 입력기어(141)가 회전하면서 제 1 너트부재(142) 및 제 2 스크류부재(144)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제 1 너트부재(142)에 암나사부(142a)에 나사 결합되어 있는 제 1 스크류부재(143)의 수나사부(143a)는 암나사부(142a) 내부로 삽입되어 들어가고, 제 2 스크류부재(144)의 수나사부(144a) 역시 제 2 너트부재(145)의 암나사부(145a) 내부로 삽입되어 들어간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주차 케이블(41)(42)이 동시에 제 1 너트부재(142) 쪽으로 당겨지게 되며, 이러한 제 1 및 제 2 주차 케이블(41)(42)의 작동에 의해 각 브레이크(21, 22;도 1참조)가 휠(11, 12;도 1참조)에 제동력을 가하게 된다.
제 1 및 제 2 주차 케이블(41)(42)이 당겨지는 동안 각 주차 케이블(41)(42)에 가해지는 힘의 크기가 달라 어느 한 쪽의 주차 케이블(41)(42)이 힘을 더 받게 될 경우, 스크류-너트유닛(140)이 힘을 더 받는 주차 케이블 쪽으로 움직이면서 제 1 및 제 2 주차 케이블(41)(42)에는 결과적으로 같은 힘이 가해진다. 스크류-너트유닛(140)이 움직일 때, 이와 동력 전달이 가능하게 결합된 제 2 감속기어(133)도 연결축(132)에서 슬라이딩되면서 스크류-너트유닛(140)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제 2 감속기어(133)와 스크류-너트유닛(140)의 입력기어(141) 사이의 연결은 계속 유지된다.
제 1 및 제 2 주차 케이블(41)(42)이 계속 당겨져서 이들에 가해지는 힘이 일정 크기 이상이 되면, 이에 대한 신호를 부하센서(150)로부터 인가받은 제어장치(170)는 모터(110)를 정시시키게 된다.
반대로, 제어장치(170)을 통해 브레이크 해제 명령이 인가되면, 모터(110)가 일정 방향 예컨대,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러한 모터(110)의 구동력은 구동기어(121), 제 1 감속기어(131), 연결축(132), 제 2 감속기어(133)를 통해 입력기어(141)로 전달되며, 제 1 너트부재(142) 및 제 2 스크류부재(144)의 회전에 의해 제 1 스크류부재(143)는 제 1 너트부재(142)의 암나사부(142a)에서 빠져나오고, 제 2 스크류부재(144)는 제 2 너트부재(145)의 암나사부(145a)에서 빠져나오게 된다. 이에 의해 제 1 및 제 2 주차 케이블(41)(42)을 당겼던 힘이 제거되며, 각 브레이크(21)(22)에 구비된 복원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각 주차 케이블(41)(42)이 해당 브레이크(21)(22) 쪽으로 끌려가면서 각 휠(11)(12)에 가해졌던 브레이크(21)(22)의 제동력이 제거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전동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는, 감속기어유닛(130)과 스크류-너트유닛(140)의 유기적인 연동에 의해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한편,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동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내 보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주차 브레이크 장치는, 감속기어유닛(230) 및 스크류-너트유닛(240)의 일부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이 상기 바람직한 실시에에 의한 전동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의 구성과 동일하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동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는, 회전축(211)을 갖는 모터(210)와, 회전축(211)에 결합되는 구동기어(221)와, 구동기어(221)에 결합된 감속기어유닛(230)과, 감속기어유닛(230)에 결합되어 작동하는 스크류-너트유닛(240)과, 해당 브레이크(21, 22;도 1참조)를 작동시키기 위해 스크류-너트유닛(240)의 양 단부에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주차 케이블(41)(42)과, 스크류부재(241)와 제 1 주차 케이블(41) 사이에 설치되는 부하센서(250)와, 너트부재(245)와 제 2 주차 케이블(42) 사이에 설치되는 비상 릴리즈 유닛(260)과, 모터(210)를 제어하는 제어장치(2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감속기어유닛(230)은 구동기어(221)와 기어 연결되는 제 1 감속기어(231)와, 제 1 감속기어(231)의 중심을 관통하여 일체로 결합된 연결축(232)과, 연결축(232)의 일측에 일체로 결합된 제 2 감속기어(2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스크류-너트유닛(240)은 제 2 감속기어(233)에 기어 연결되는 입력기어(241)와, 입력기어(241)의 중심에 결합되는 제 1 너트부재(242)와, 제 1 너트부재(242)에 나사 결합되는 제 1 스크류부재(243)와, 제 1 너트부재(242)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제 2 스크류부재(244)와, 제 2 스크류부재(244)와 나사 결합되는 제 2 너트부재 (24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스크류-너트유닛(240)의 구성요소 중에서 제 1 너트부재(242)는, 암나사부(242a)와 슬라이딩부(242b)를 갖는다. 암나사부(242a)는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전동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와 같이 중심 내부에 구비된다. 슬라이딩부(242b)는 입력기어(241)에 구비되는 중심공(242b)에 축 방향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되는 부분으로 도 5에 나타내 보인 것과 같이, 그 단면 형상이 중심공(242b)에 대응하는 육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중심공(242b) 및 슬라이딩부(242b)는, 슬라이딩부(242b)가 중심공(242b)에 삽입된 상태에서 원주 방향으로 슬립되지 않도록 육각 형상 이외에 사각 형상, 오각 형상 등 비원형의 다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밖의 스크류-너트유닛(240)의 나머지 부분 및 주차 브레이크 장치를 구성하는 다른 구성요소들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전동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동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의 동작 역시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전동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와 유사하다.
다만, 도 4에 나타내 보인 것과 같이, 스크류-너트유닛(240)이 작동되어 제 1 및 제 2 주차 케이블(41)(42)이 당겨지는 동안, 각 주차 케이블(41)(42)에 가해지는 힘이 같지 않아서 어느 한 쪽의 주차 케이블(41)(42)이 힘을 더 받게 될 경우, 제 1 너트부재(242)의 슬라이딩부(242b)가 입력기어(241)의 중심공(242b)에서 미끌어지면서 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감속기어유닛(230) 및 입력기어(241)는 움직이지 않는다.
이 이외의 나머지 동작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전동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와 같으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동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 역시, 모터(210), 감속기어유닛(230) 및 스크류-너트유닛(240)의 유기적인 연동에 의해 동작이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한 전동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모터를 비롯하여 구동력을 전달하는 감속기어유닛 및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바꾸어주는 스크류-너트유닛 등의 구성요소들이 유기적으로 원활하게 연동하면서 작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이상, 본 발명을 몇가지 실시예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은 실시예로서 도면화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본 발명은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

Claims (6)

  1. 차량의 휠에 제동력을 가하는 브레이크에 연결되어 상기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주차 케이블 및 상기 주차 케이블을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전동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와 기어 연결되는 제 1 감속기어와, 상기 제 1 감속기어에 결합되는 연결축에 동력 전달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 2 감속기어와, 상기 제 2 감속기어와 기어 연결되는 입력기어와, 상기 입력기어의 중심에 삽입되는 제 1 너트부재와, 상기 제 1 너트부재에 상호 직선운동이 가능하도록 나사 결합되는 제 1 스크류부재와, 상기 제 1 너트부재의 일측에 일체로 결합되는 제 2 스크류부재와, 상기 제 2 스크류부재에 상호 직선운동이 가능하도록 나사 결합되는 제 2 너트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스크류부재 및 상기 제 2 너트부재의 각 단부에 상기 주차 케이블이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감속기어의 회전 중심에는 비원형의 중심공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축에는 상기 비원형의 중심공에 대응되는 비원형의 슬라이딩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 2 감속기어는 상기 연결축 상에서 직선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크류부재와 이에 결합된 상기 주차 케이블 사이, 그리고 상기 제 2 너트부재와 이에 결합된 상기 주차 케이블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는 상기 각 주차 케이블에 가해지는 힘의 크기를 검출하기 위한 부하센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크류부재와 이에 결합된 상기 주차 케이블 사이, 그리고 상기 제 2 너트부재와 이에 결합된 상기 주차 케이블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는 상기 두 개의 주차 케이블 사이의 연결을 해제시키기 위한 비상 릴리즈 유닛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은 외부에서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그 일측 단부가 상기 제 1 감속기어 또는 상기 제 2 감속기어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기어의 회전 중심에는 비원형의 중심공이 구비되고, 상기 제 1 너 트 부재의 일측에는 상기 비원형의 중심공에 대응되는 비원형의 슬라이딩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 1 너트부재는 상기 입력기어에 삽입된 상태에서 축 방향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
KR1020050054108A 2005-06-22 2005-06-22 전동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 KR1010559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4108A KR101055967B1 (ko) 2005-06-22 2005-06-22 전동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4108A KR101055967B1 (ko) 2005-06-22 2005-06-22 전동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4437A true KR20060134437A (ko) 2006-12-28
KR101055967B1 KR101055967B1 (ko) 2011-08-11

Family

ID=37812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4108A KR101055967B1 (ko) 2005-06-22 2005-06-22 전동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59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5925B1 (ko) * 2007-12-15 2009-11-1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전동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26525B1 (fr) * 1994-11-03 1997-01-17 Rockwell Body & Chassis Syst Frein electrique de stationnement de vehicule automobile
DE19755933C1 (de) * 1997-12-17 1999-08-12 Kuester & Co Gmbh Feststellbremse für Fahrzeuge
JP2002098179A (ja) * 2000-09-21 2002-04-05 Toyota Motor Corp 電動アクチュエータの遠隔操作装置及び車両用駐車ブレーキ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5925B1 (ko) * 2007-12-15 2009-11-1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전동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5967B1 (ko) 2011-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5975B1 (ko) 전동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
US7757823B2 (en) Electric parking brake
US8607938B2 (en) Electric parking brake
US20130105256A1 (en) Electric parking brake
US20150152928A1 (en) Electronic parking brake
KR101055974B1 (ko) 전동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
US8051956B2 (en) Driving device for a parking brake system
KR101056085B1 (ko) 전동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
KR101055967B1 (ko) 전동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
KR100586154B1 (ko) 자동차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장치용 액츄에이터
JP2005534570A (ja) 駐車ブレーキ用の作動機構
KR101518910B1 (ko) 전동식 주차 브레이크장치
KR20130109557A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KR100589195B1 (ko) 자동차의 전동식 자동브레이크 장치
CN205226176U (zh) 制动器执行单元和执行器控制单元
KR20080078098A (ko) 차량용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KR101053502B1 (ko) 전동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KR20090079008A (ko) 전동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
KR20050123471A (ko) 전기식 주차브레이크 구동장치
KR101419796B1 (ko) 차량의 주차 브레이크용 액추에이터
KR20110057761A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장치
US20150159711A1 (en) Parking brake device
KR100808474B1 (ko) 전동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
KR20120053765A (ko) 차량용 주차 브레이크
KR20060099073A (ko) 전기식 주차브레이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