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4364A - 평면 스위칭 모드의 액정 패널 - Google Patents

평면 스위칭 모드의 액정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4364A
KR20060134364A KR1020050053988A KR20050053988A KR20060134364A KR 20060134364 A KR20060134364 A KR 20060134364A KR 1020050053988 A KR1020050053988 A KR 1020050053988A KR 20050053988 A KR20050053988 A KR 20050053988A KR 20060134364 A KR20060134364 A KR 200601343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alignment layer
alignment
crystal panel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3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상호
최수석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3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34364A/ko
Publication of KR20060134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43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02F1/133734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by obliquely evaporated films, e.g. Si or SiO2 film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02F1/13378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by treatment of the surface, e.g. embossing, rubbing or light irradi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7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e.g. field-induced phase transition, orientation effect, guest-host interaction or dynamic scattering
    • G02F1/139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e.g. field-induced phase transition, orientation effect, guest-host interaction or dynamic scattering based on orientation effects in which the liquid crystal remains transparent
    • G02F1/14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e.g. field-induced phase transition, orientation effect, guest-host interaction or dynamic scattering based on orientation effects in which the liquid crystal remains transparent using ferroelectric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02F1/133746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for high pretilt angles, i.e. higher than 15 degre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평면 스위칭 모드의 액정 패널은, 서로 대면되게 배열된 상부기판 및 하부기판과; 상기 상부기판 및 하부기판의 각각 상면, 하면에 부착된 제 1편광판 및 제 2편광판과; 상기 상부기판의 하면에 순차적으로 형성된 제 1 전극 패턴 및 제 1 배향막과; 상기 하부기판의 상면에 순차적으로 형성된 제 2 전극 패턴 및 제 2 배향막과; 상기 제 1배향막 및 제 2배향막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이 포함되어 구성되며, 상기 제 1 및 제 2배향막은 각각 PI 또는 SIOx 물질로 구성된 러빙 배향층과 상기 러빙 배향층 상에 형성된 FLC(강유전성 액정, Ferroelectric Liquid Crystal) 배향층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FLC 배향층 적용을 통해 액정의 응답속도를 향상시키고, NB TN 모드의 블랙 특성 및 TN 개구율을 지닌 횡전계 모드를 구현할 수 있으며, 상하기판 각각 형성된 FLC 배향층의 Ps가 반대 극성일 경우와 동일 극성을 경우 모두 TN 모드와 유사한 블랙 특성 구현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평면 스위칭 모드의 액정 패널{in plane switching mode liquid crystal panel}
도 1은 종래의 평면 스위칭 모드 액정 패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평면 스위칭 모드의 액정 패널의 개략적인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액정 패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액정 패널의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 : 상부기판 41 : 제 1편광판
42 : 제 1전극패턴 44, 54 : 러빙 배향층
46, 56 : FLC 배향층 48 : 제 1 배향막
50 : 하부기판 51 : 제 2편광판
52 : 제 2전극패턴 58 : 제 2 배향막
본 발명은 액정 패널에 관한 것으로, 특히 FLC 배향막이 적용된 평면 스위칭 모드의 액정 패널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액정 패널은 트위스티드 네마틱 모드(Twisted Nematic Mode ; TN 모드)와 평면 스위칭 모드(In Plane Switching Mode ; IPS 모드)로 구분되고 있다.
상기 TN 모드의 액정 패널에서는 액정 분자들이 패널과 수직한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움직이게 된다. 이를 위하여, TN 모드의 액정 패널은 서로 대향되어진 두장의 유리 기판을 넓은 투명전극들을 이용하여 패널의 표면과 수직한 방향의 전계가 액정층에 가해지게 한다. 이러한 TN 모드의 액정 패널에서는 충분한 휘도를 얻을 수 있기는 하나 시야각이 좁아지게 된다.
반면, IPS 모드의 액정 패널은 액정 분자들이 패널과 평행한 평면에서 움직이게 함으로써 시야각을 크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IPS 모드의 액정 패널은 자신과 평행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횡방향 전계가 액정 분자에 인가되게 한다.
이러한 횡방향의 전계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IPS 모드의 액정 패널은 화소전극과 공통전극이 동일 기판상에 존재하기 때문에 하부광원의 빛에 의한 투과율 및 개구율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이로 인하여 IPS 모드의 액정 패널은 충분한 휘도를 얻기 곤란하였다.
이러한 IPS 모드의 액정 패널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에 제1 배향막(14A)이 형성된 상부 기판(10)과, 표면에 화소 전극 패턴(16A)과 공통전극패턴(16B) 및 제2 배향막(14B)이 순차적으로 형성된 하부 기판(12)을 구비한다. 이들 상부기판(10) 및 하부기판(12)은 제1 및 제2 배향막들(14A,14B)이 서로 대향되게끔 합착되게 된다.
상기 제1 및 제2 배향막(14A, 14B)의 사이에는 액정층(18)이 주입되며, 액정층(18)을 구성하는 액정 분자들은 하부기판(12) 상의 대전용 전극 패턴에 의해 형성되는 횡전계에 응답하여 하부기판(12)와 평행한 평면에서 움직임으로써 광투과율을 조절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IPS 모드의 액정 패널에서는 화소전극패턴(16A)과 공통전극(16B) 모두가 한쪽 기판 상에 형성되어야 하므로 화소의 개구율이 작아지게 된다. 이로 인하여, IPS 모드의 액정 패널을 통과하는 광량이 제한될 수 밖에 없다. 이 결과, IPS 모드의 액정 패널은 충분한 휘도를 얻을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하 기판에 투명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투명전극 상에 FLC 배향막이 구비되고, 상기 상하 기판 사이의 벌크 층에 네마틱 액정(Δε ≤ 0)을 주입한 셀 구조로서, 상기 FLC 배향막 및 네마틱 액정의 의 초기 배향 방향이 상하 기판에 대해 서로 90도 각을 이루도록 구성됨으로써, 수직 전계에 의한 횡전계 모드가 구현되는 평면 스위칭 모드의 액정 패널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평면 스위칭 모드의 액정 패널은, 서로 대면되게 배열된 상부기판 및 하부기판과; 상기 상부기판 및 하 부기판의 각각 상면, 하면에 부착된 제 1편광판 및 제 2편광판과; 상기 상부기판의 하면에 순차적으로 형성된 제 1 전극 패턴 및 제 1 배향막과; 상기 하부기판의 상면에 순차적으로 형성된 제 2 전극 패턴 및 제 2 배향막과; 상기 제 1배향막 및 제 2배향막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이 포함되어 구성되며, 상기 제 1 및 제 2배향막은 각각 PI 또는 SIOx 물질로 구성된 러빙 배향층과 상기 러빙 배향층 상에 형성된 FLC(강유전성 액정, Ferroelectric Liquid Crystal) 배향층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전극 패턴 및 제 2전극 패턴은 모든 화소들을 덮을 수 있는 하나의 전극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 1전극 패턴 및 제 2전극패턴은 투명 금속 물질로 구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배향막 사이에 주입되는 액정층은 네마틱 액정으로 구성되며 Δε ≤ 0의 성질을 갖으며, 상기 FLC 배향층을 구성하는 액정은 콘 앵글(Cone angle, θ)이 0도 ≤ θ ≤ 90도를 이루고, 상기 FLC 배향층은 단분자 또는 구분자 형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1편광판 및 제 2편광판의 편광축이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고, 상기 제 1배향막에 구비된 러빙 배향층의 러빙방향은 상기 제 1 및 제 2편광판의 편광축과 평행하고, 상기 제 2배향막에 구비된 러빙 배향층의 러빙 방향이 상기 제 1 및 제 2편광판의 편광축과 수직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평면 스위칭 모드의 액정 패널의 개략적인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면 스위칭 모드의 액정 패널은 서로 대면되게 배열된 상부기판(20) 및 하부기판(22)를 구비한다. 상부기판(20)의 하면에는 제1 전극 패턴(24A) 및 제1 배향막(26A)이 순차적으로 형성되게 된다. 하부기판(22)의 표면에도 제 2 전극 패턴(24B) 및 제2 배향막(26B)가 순차적으로 형성되게 된다.
상기 제1 전극 패턴(24A)은 TN 모드의 액정 패널과 동일하게 모든 화소들을 덮을 수 있는 하나의 전극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전극 패턴(24B) 또한 모든 화소들을 덮을 수 있는 하나의 전극판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배향막(26A, 26B)의 사이에는 액정 물질(28)이 주입되며, 상기 제 1 및 제 2배향막 사이에 주입되는 액정은 네마틱 액정으로 Δε ≤ 0의 성질을 갖음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및 제2 배향막(26A, 26B)은 제1 및 제2 전극 패턴(24A, 24B)의 사이에 인가되는 전계(즉, 패널의 표면과 수직한 방향의 전기장)에 의하여 분자들이 재배열되는 물질로 형성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배향막(26A, 26B)는 PI 또는 SIOx 물질로 구성된 배향층과 상기 배향층 상에 형성된 FLC(강유전성 액정, Ferroelectric Liquid Crystal) 배향층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FLC 배향층을 구성하는 액정은 콘 앵글(Cone angle, θ)이 0도 ≤ θ ≤ 90도를 이룸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FLC는 단분자 또는 구분자 형태로 구 성된다.
즉, 상기 제1 및 제2 배향막(26A,26B)에 구비되는 FLC 배향층은 상기 제1 및 제2 전극 패턴(24A,24B) 사이에 인가되는 전압의 대부분이 감당할 수 있게끔 높은 유전율을 가지는 물질로 선택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에 따라 상기 FLC 배향층은 기존의 폴리이미드(PI) 보다 유전율이 10배 내지 1000배 정도 큰 고유전율의 물질 즉, FLC가 사용되게 된다.
이러한 제1 및 제2 배향막(26A,26B)을 구성하는 배향 물질 분자들은 제1 및 제2 전극 패턴(24A,24B) 사이에 전압이 인가되는 전기장에 의하여 배향막(26A,26B)의 계면부들(즉, 액정층(28)과 인접하는 제1 및 제2 배향막(26A,26B)의 표면층 부분)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메인 체인(Main Chain; 30A) 및 사이드 체인(Side Chain; 30B)을 형성하게끔 재배열되게 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액정 패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3에 있어서, 사이드 체인(30B)은 메인 체인(30A)으로부터 옆으로 신장되어진 곁가지의 형태를 이루게 된다. 또한, 사이드 체인(30B)은 제1 및 제2 전극 패턴(24A,24B) 사이에 인가되는 전기장에 따라 배향막(26A,26B)의 표면과 평행한 평면방향에서 변하는 구조를 가진다. 다시 말하여, 사이드 체인(30B)은 제1 및 제2 전극 패턴(24A,24B) 사이에 인가되는 전기장의 세기에 따라 배향막(26A,26B)의 표면과 평행한 평면 방향에서 움직이게 된다.
한편, 액정 물질(28)은 제1 및 제2 전극 패턴(24A,24B) 사이에 인가되는 전기장의 영향을 받지 않아야 한다. 다시 말하여, 액정층(28)은 액정 분자들이 유전 이방성에 의해 움직이지 않게끔 작은 유전이방성을 가져야 한다. 이렇게 낮은 유전 이방성을 가지는 액정 물질(28)로는 포지티브 타입(Positive Type) 및 네가티브 타입(Negative Type)의 네마틱 액정 물질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들중 네가티브 타입의 네마틱 액정물질(Δε ≤ 0)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액정 분자들은 그들의 위치에 따라 양 배향막(26A,26B) 사이에 충진되어진 액정 물질(28)이 도3에서와 같이 제1 및 제2 커멘드 층들(32A,32B)과 솔디어 층(34)으로 구분되게 한다.
도3을 참조하면, 제1 커멘드 층(32A)은 제1 배향막(24A)에 인접한 액정 물질 층(28)의 상부 표피 부분에 해당하고, 제2 커멘드 층(32B)은 제2 배향막(24B)과 인접한 액정 물질 층(28)의 하부 표피 부분에 의해 형성되게 된다. 제1 커멘드 층(32A)에 포함되어진 액정 분자들은 제1 및 제2 전극 패턴(24A,24B) 사이에 전기장이 인가된 때에 제1 배향막(26A)의 기계적인 동력, 즉 제1 배향막(26A)의 계면에서 나타나는 사이드 체인(30B)의 움직임에 의하여 제1 배향막(26A)의 표면과 평행한 평면에서 움직이게 된다. 비슷하게, 제2 커멘드 층(32B)에 포함되어진 액정 분자들도 제1 및 제2 전극 패턴(24A, 24B) 사이에 전기장이 인가된 때에 제2 배향막(26B)의 기계적인 동력, 즉 제2 배향막(26B)의 계면에서 나타나는 사이드 체인(30B)의 움직임에 의하여 제1 배향막(26A)의 표면과 평행한 평면방향에서 움직이게 된다.
솔디어 층(34)은 제1 및 제2 커멘드 층(32A,32B), 즉 상부 및 하부의 표피 부분들을 제외한 나머지 액정층(28)에 의해 형성되게 된다. 이 솔디어 층(34)에 포함되어진 액정 분자들은 인접하는 제1 또는 제2 커멘드 층(32A,32B)의 액정 분자들 의 기계적인 동력(즉, 움직임)에 의하여 배향막(26A,26B)의 표면과 평행한 평면방향에서 움직이게 된다.
결과적으로, 제1 및 제2 배향막(26A,26B)은 제1 및 제2 전극 패턴(24A,24B) 사이에 인가되는 전기장에 응답하여 계면 상에서 나타나는 사이드 체인(30B)의 구조를 변경시킴으로써, 제1 및 제2 커멘드 층(32A,32B)과 솔디어 층(34)에 포함되어진 액정 분자들이 순차적으로 기판(20,22)의 표면들과 평행한 평면방향에서 움직이게 한다.
이와 같이 도 2 및 도 3과 같이 구성된 액정패널의 경우, 수직 전계에 의한 횡전계 모드가 구현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액정 패널의 분해 사시도이다.
단, 수직전계에 의한 횡전계 모드가 구현되는 방식은 앞서 도 2 및 도 3을 통해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액정패널은 서로 대면되게 배열된 상부기판(40) 및 하부기판(50)이 구비되며, 상기 상부기판(40) 및 하부기판(50)의 각각 상면, 하면에는 제 1편광판(41) 및 제 2편광판(51)이 부착된다.
또한, 상부기판(40)의 하면에는 제1 전극 패턴(42) 및 제1 배향막(48)이 순차적으로 형성되게 된다. 하부기판(50)의 표면에도 제 2 전극 패턴(52) 및 제2 배향막(58)가 순차적으로 형성되게 된다.
상기 제1 전극 패턴(42)은 TN 모드의 액정 패널과 동일하게 모든 화소들을 덮을 수 있는 하나의 전극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전극 패턴(52) 또한 모든 화소들을 덮을 수 있는 하나의 전극판 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전극 패턴(42) 및 제 2전극패턴(52)는 모두 투명 금속 물질로 구현되며, 상기 투명 금속 물질로는 일 례로 ITO 또는 IZO를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배향막(48, 58)의 사이에는 액정 물질(60)이 주입되며, 상기 제 1 및 제 2배향막(48, 58) 사이에 주입되는 액정은 네마틱 액정으로 Δε ≤ 0의 성질을 갖음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및 제2 배향막(48, 58)은 제1 및 제2 전극 패턴(42, 52)의 사이에 인가되는 전계(즉, 패널의 표면과 수직한 방향의 전기장)에 의하여 분자들이 재배열되는 물질로 형성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배향막(48, 58)는 PI 또는 SIOx 물질로 구성된 러빙 배향층(44, 54)과 상기 러빙 배향층 상에 형성된 FLC(강유전성 액정, Ferroelectric Liquid Crystal) 배향층(46, 56)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FLC 배향층(46, 56)을 구성하는 액정은 콘 앵글(Cone angle, θ)이 0도 ≤ θ ≤ 90도를 이룸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FLC는 단분자 또는 구분자 형태로 구성된다.
즉, 상기 제1 및 제2 배향막(48,58)에 구비되는 FLC 배향층(46, 56)은 상기 제1 및 제2 전극 패턴(42, 52) 사이에 인가되는 전압의 대부분이 감당할 수 있게끔 높은 유전율을 가지는 물질로 선택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에 따라 상기 FLC 배향층(46, 56)은 기존의 폴리이미드(PI) 보다 유전율이 10배 내지 1000배 정도 큰 고유전율의 물질 즉, FLC가 사용되게 된다.
이러한 제1 및 제2 배향막(48, 58)을 구성하는 배향 물질 분자들은 제1 및 제2 전극 패턴(42, 52) 사이에 전압이 인가되는 전기장에 의하여 배향막(48, 58)의 계면부들(즉, 액정층(60)과 인접하는 제1 및 제2 배향막(48, 58)의 표면층 부분)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메인 체인(Main Chain; 30A) 및 사이드 체인(Side Chain; 30B)을 형성하게끔 재배열되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는, 상기 제 1편광판(41) 및 제 2편광판(51)의 편광축이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고, 상기 제 1배향막(48)에 구비된 러빙 배향층(44)의 러빙방향은 상기 제 1 및 제 2편광판(41, 51)의 편광축과 평행하고, 상기 제 2배향막(58)에 구비된 러빙 배향층(54)의 러빙 방향이 상기 제 1 및 제 2편광판(41, 51)의 편광축과 수직임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배향막(48, 58)에 각각 구비된 러빙 배향층(44, 54)의 러빙 방향 및 상기 러빙 배향층(44, 54)에 의해 배향된 FLC 배향층(46, 56) 과 네마틱 액정(60)의 초기 배향 방향은 상, 하기판간 90도의 각을 이루는 종래의 일반적인 노멀리 블랙(Normally Black) TN 모드와 유사한 구조를 지니게 된다.
즉, 상기 액정 패널에 전계가 인가되기 전에는 상기 액정 패널이 NB TN 모드와 같으나, 상기 액정 패널의 제 1 및 제 2전극패턴에 수직 전계가 인가되면, 이는 TN 모드가 아닌 횡전계 모드로 동작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수직 전계가 인가됨에 따라 FLC 배향층이 수평 방향으로 네마틱 액정의 트위스트 앵글(Twist angle)을 유도하여 횡전계 모드로 동작하게 되 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상,하부기판에 각각 형성된 제 1 및 제 2배향막에 구비된 FLC 배향층의 Ps는 반대 극성일 수도 있고, 동일 극성일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경우 상기 FLC 배향층의 Ps는 극성의 동일 유무에 관계치 않음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IPS 모드의 액정 패널은 자신의 표면과 수직한 방향의 전기장에 의해 배향막이 패널의 표면과 평행한 평면방향에서 변하는 기계적인 동력을 발생하게 함으로써 액정 분자들의 배향 방향을 패널의 표면과 평행한 평면방향에서 움직이게 할 수 있다.
액정물질에 횡전기장을 가하기 위한 동일기판 내의 화소전극과 공통전극의 패턴들이 IPS 모드를 구현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IPS 모드의 액정 패널은 개구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 결과, 본 발명에 따른 IPS 모드의 액정 패널은 시야각을 크게 할 수 있음은 물론 충분한 휘도를 얻을 수 있다.
또한, FLC 배향층 적용을 통해 액정의 응답속도를 향상시키고, NB TN 모드의 블랙 특성 및 TN 개구율을 지닌 횡전계 모드를 구현할 수 있으며, 상하기판 각각 형성된 FLC 배향층의 Ps가 반대 극성일 경우와 동일 극성을 경우 모두 TN 모드와 유사한 블랙 특성 구현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 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9)

  1. 서로 대면되게 배열된 상부기판 및 하부기판과;
    상기 상부기판 및 하부기판의 각각 상면, 하면에 부착된 제 1편광판 및 제 2편광판과;
    상기 상부기판의 하면에 순차적으로 형성된 제 1 전극 패턴 및 제 1 배향막과;
    상기 하부기판의 상면에 순차적으로 형성된 제 2 전극 패턴 및 제 2 배향막과;
    상기 제 1배향막 및 제 2배향막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이 포함되어 구성되며,
    상기 제 1 및 제 2배향막은 각각 PI 또는 SIOx 물질로 구성된 러빙 배향층과 상기 러빙 배향층 상에 형성된 FLC(강유전성 액정, Ferroelectric Liquid Crystal) 배향층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스위칭 모드의 액정 패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패턴 및 제 2전극 패턴은 모든 화소들을 덮을 수 있는 하나의 전극판 형태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스위칭 모드의 액정 패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전극 패턴 및 제 2전극패턴은 투명 금속 물질로 구현됨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스위칭 모드의 액정 패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배향막 사이에 주입되는 액정층은 네마틱 액정으로 구성되며, Δε ≤ 0의 성질을 갖음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스위칭 모드의 액정 패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FLC 배향층을 구성하는 액정은 콘 앵글(Cone angle, θ)이 0도 ≤ θ ≤ 90도를 이룸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스위칭 모드의 액정 패널.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FLC 배향층은 단분자 또는 구분자 형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스위칭 모드의 액정 패널.
  7. 제 1항에 있어서,
    제 1편광판 및 제 2편광판의 편광축이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고, 상기 제 1배향막에 구비된 러빙 배향층의 러빙방향은 상기 제 1 및 제 2편광판의 편광축과 평행하고, 상기 제 2배향막에 구비된 러빙 배향층의 러빙 방향이 상기 제 1 및 제 2편광판의 편광축과 수직임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스위칭 모드의 액정 패널.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 하부기판에 각각 형성된 제 1 및 제 2배향막에 구비된 FLC 배향층의 Ps는 반대 극성임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스위칭 모드의 액정 패널.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 하부기판에 각각 형성된 제 1 및 제 2배향막에 구비된 FLC 배향층의 Ps는 동일 극성임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스위칭 모드의 액정 패널.
KR1020050053988A 2005-06-22 2005-06-22 평면 스위칭 모드의 액정 패널 KR200601343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3988A KR20060134364A (ko) 2005-06-22 2005-06-22 평면 스위칭 모드의 액정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3988A KR20060134364A (ko) 2005-06-22 2005-06-22 평면 스위칭 모드의 액정 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4364A true KR20060134364A (ko) 2006-12-28

Family

ID=37812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3988A KR20060134364A (ko) 2005-06-22 2005-06-22 평면 스위칭 모드의 액정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3436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01657A (zh) * 2012-12-27 2014-07-02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面内切换型液晶显示面板和显示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01657A (zh) * 2012-12-27 2014-07-02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面内切换型液晶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03901657B (zh) * 2012-12-27 2016-09-21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面内切换型液晶显示面板和显示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8250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controllable viewing angle and driving method thereof
JP4543006B2 (ja) 液晶表示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147127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0293811B1 (ko) 아이피에스모드의액정표시장치
KR100306799B1 (ko) 액정표시장치
US7616283B2 (en) In-plane switching mode LCD device
KR100545020B1 (ko) 평면 스위칭 모드의 액정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157975B1 (ko) 액정표시소자의 구동방법
KR101888516B1 (ko) 듀얼 모드 액정표시장치
WO2010137427A1 (ja) 液晶表示装置
US20080180377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7599036B2 (en) In-plane switching active matrix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KR101223721B1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9990074569A (ko) 액정 표시 장치
KR20060134364A (ko) 평면 스위칭 모드의 액정 패널
KR100674227B1 (ko) 수직배향-프린지전계스위칭 모드 액정표시장치
US20040218130A1 (en) In-plane switching mode thin film transist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for reducing color shift
KR20020076401A (ko) 프린지 필드 구동 모드 액정표시장치
KR101960834B1 (ko) 액정 소자, 액정 표시 장치
US9354481B2 (en) Liquid crystal element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US7268847B2 (en) In-plane switching mode thin film transist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two domains
KR100931489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7053178B2 (ja) 液晶表示装置
KR20080032327A (ko) 시야각 전환모드 액정표시장치
KR100674231B1 (ko) 프린지 필드 구동 모드 액정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