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4264A - 줄기세포 분화용 세포 자극 및 검출 바이오칩 - Google Patents

줄기세포 분화용 세포 자극 및 검출 바이오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4264A
KR20060134264A KR1020050053823A KR20050053823A KR20060134264A KR 20060134264 A KR20060134264 A KR 20060134264A KR 1020050053823 A KR1020050053823 A KR 1020050053823A KR 20050053823 A KR20050053823 A KR 20050053823A KR 20060134264 A KR20060134264 A KR 200601342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ction
stimulation
cells
cell
bioc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3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53148B1 (ko
Inventor
양상식
민병현
심우영
박신욱
박상혁
Original Assignee
양상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상식 filed Critical 양상식
Priority to KR1020050053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3148B1/ko
Publication of KR20060134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42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3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31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30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mmunological test proced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0029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provided with flat sample substrates, e.g. slides
    • G01N2035/00099Characterised by type of test elements
    • G01N2035/00158Elements containing microarrays, i.e. "biochip"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줄기세포 및 조직공학적인 연구와 실용화 분야에 적용 가능한 초소형 세포 자극 및 검출 바이오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세기와 주기를 갖는 기계적 자극을 세포에 전달할 수 있는 세포 자극기와 자극을 가한 후 세포의 분화 정도와 상태 등을 검출해 낼 수 있는 세포 검출기가 내장된 바이오칩과 이를 제작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실리콘, 유리 또는 폴리머 재질의 하부 기판에 마이크로머시닝 공정을 적용하여 미세 유로와 자극 챔버, 검출 챔버를 형성하는 단계, 상부 기판에 전기화학방전가공을 이용하여 유체의 입구, 출구를 제작하는 단계, 제작된 상부 기판과 하부 기판을 접합하는 단계, 상기 단계 후 기계적 자극을 위한 구동기를 부착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단계들로 제작된 세포 자극 및 검출 바이오칩은 세포와 함께 배양액이 유입하는 단계, 착상 단계 및 기계적 자극을 일정 시간 동안 주기적으로 가하는 단계, 세포를 탈착시켜 항원항체 반응을 이용한 특정 세포를 분리하는 단계, 분리된 세포의 비율과 형광 검출 또는 염색을 통하여 세포의 상태 및 분화정도를 알아내는 단계로 작동된다.
세포에 대한 기계적 자극과 검출 및 관찰을 단일 칩 상태에서 처리 가능하다는 점에서 줄기세포, 조직공학 분야에서의 응용 및 일반 세포와 의학, 약학 분야에도 응용 가능하며 인력, 시간, 비용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키는 특징이 있다.
Figure 112005033055825-PAT00001
줄기세포, 바이오칩, 세포 자극기, 세포 검출기, 마이크로머시닝

Description

줄기세포 분화용 세포 자극 및 검출 바이오칩{Biochip of cell stimulation and detection for stem cell differenti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포 자극 및 검출 바이오칩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포 자극 및 검출 바이오칩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포 자극 및 검출 바이오칩의 제작 공정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세포와 배양의 주입구 2 : 자극 챔버
3-1, 2 : 자기 미세 알갱이 주입구 및 출구 4 : 미세 유로
5 : 1차 세포 검출부 6 : 2차 세포 검출부
7-1, 2 : 형광 및 염색 주입구 및 출구 8 : 폐기구
9 : 상부 기판 10 : 하부 기판
11 : 자극 구동기 12 : 도금용 금속 기판
13 : 두꺼운 감광제 14 : 도금된 구조물
본 발명은 줄기세포 및 조직공학적인 연구와 실용화 분야에 적용 가능한 초소형 세포 자극 및 검출 바이오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세기와 주기를 갖는 기계적 자극을 세포에 전달할 수 있는 세포 자극기와 자극을 가한 후 세포의 분화 정도와 상태 등을 검출해 낼 수 있는 세포 검출기가 내장된 바이오칩과 이를 제작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의료분야에서 줄기세포에 대한 연구가 주목받고 있다. 줄기 세포는 아직 분화하지 않은 미성숙 상태의 세포로 체외 배양에서도 미분화 상태를 유지하면서 분열, 복제할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다. 또 개체의 발달 시기와 위치하는 장소 등에 따라 생물체를 이루는 많은 종류의 서로 다른 세포로 분화 가능한 특징을 갖고 있다.
대부분의 연구 그룹에서는 현재까지 해왔던 고전적 방법인 배양 접시 단위의 세포 배양 및 분화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고전적 연구 방법은 세포의 변화를 검출하기 위해 다량의 배양 세포를 필요로 하며, 매 실험시 반복적인 세포 배양을 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이는 동일 실험에 대해 결과가 달라져 신뢰성, 반복 재현성이 떨어지는 결과를 낳았다. 또 매 실험 단계마다 실험자의 조작과 노동력이 필요하며, 넓은 공간, 많은 시간과 비용을 필요로 한다.
실험 수행과는 별도로 그 동안의 줄기세포의 분화 연구는 분화를 촉진하기 위한 배양액의 조성과 분화 유도 물질을 통한 연구에 국한되어 있으며, 최근 생화학적 요인 외에 중력, 체액에 의한 전단 응력 등과 같은 기계적 요인들이 줄기세포 분화에 중요한 요인으로 생각되어 이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계적 연구 또한 고전적인 배양 접시 단위로 진행되어 앞서 기술된 공간, 시간, 노동력, 비용 등이 많이 필요한 단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 마이크로머시닝 기술을 적용하여 다양한 세기와 주기를 갖는 기계적 자극을 세포에 전달할 수 있는 세포 자극기와 자극을 가한 후 세포의 분화 정도와 상태 등을 검출해 낼 수 있는 세포 검출기가 한 칩에 통합 내장된 바이오칩을 제작함으로서 모든 공정을 단일칩에서 진행하여 매 실험에 반복적으로 필요한 세포량, 노동력, 비용, 시간을 최소화하고 실험의 신뢰도를 향상시키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실리콘, 유리 또는 폴리머 재질의 하부 기판에 마이크로머시닝 공정을 적용하여 미세 유로와 자극 챔버, 검출 챔버를 형성하는 단계, 상부 기판에 전기화학방전가공을 이용하여 유체의 입구, 출구를 제작하는 단계, 제작된 상부 기판과 하부 기판을 접합하는 단계, 상기 단계 후 기계적 자극을 위한 구동기를 부착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단계들로 제작된 세포 자극 및 검출 바이오칩은 세포와 함께 배양액이 유입하는 단계, 착상 단계 및 기계적 자극을 일정 시간 동안 주기적으로 가하는 단계, 세포를 탈착시켜 항원항체 반응을 이용한 특정 세포를 분리하는 단계, 분리된 세포의 비율과 형광 검출 또는 염색을 통하여 세포의 상태 및 분화정도를 알아내는 단계로 작동된다.
세포에 대한 기계적 자극과 검출 및 관찰을 단일 칩 상태에서 처리 가능하다는 점에서 줄기세포, 조직공학 분야에서의 응용 및 일반 세포와 의학, 약학 분야에도 응용 가능하며 인력, 시간, 비용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키는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2는 각각 본 발명의 줄기 세포 분화를 위한 세포 자극 및 검출 바이오칩의 평면도와 단면도이다. 세포 자극 및 검출 바이오칩은 한개의 자극 챔버(2)와 두개의 검출 챔버(5, 6)로 구성되어 있다. 하부 기판(10)은 챔버 형성을 위한 공동(2, 5, 6)과 유체가 흘러갈 수 있는 미세 채널(4)을 갖고 있으며, 상부 기판(9)은 각각의 챔버에 검출을 위한 물질 주입을 위한 입구(3-1, 7-1)와 출구(3-2, 7-2)를 갖고 있다. 최종적으로 세포 자극 및 검출 바이오칩은 상부 기판(9)과 하부 기판(10)이 접합된 구조로 되어있다.
도 3은 세포 자극 및 검출 바이오칩의 제작 공정도이다. 하부 기판(10)을 제작하기 전에 도금용 금속 기판에 도금 틀을 형성하기 위해 두꺼운 감광제(13)를 회전 도포 후 정밀 노광 장치를 이용하여 도 3(가)와 같이 패턴닝 한다. 패턴된 도금 틀 위에 전기 도금 공정을 이용하여 도 3(다)와 같이 핫프레싱 몰드용 도금된 구조물(14)을 제작한다. 제작된 구조물에 폴리머 기판을 핫프레싱 하여 하부 기판의 각각의 챔버(2, 5, 6)와 미세 채널(4)을 도 3(마)와 같이 형성한다. 제작된 하부 기판(10)을 자극 구동기(11) 장착을 위해 정밀가공기를 사용하여 구멍을 도 3(바)와 같이 관통시킨다. 상부 기판(9)을 전기화학방전가공을 이용하여 검출용 유체 주입을 위한 입구, 출구를 도 3(사)와 같이 제작한다. 제작된 상부 기판(9)과 하부 기판(10)을 접합한 후 도 3(자)와 같이 자극 구동기를 부착하여 세포 자극 및 검출 바이오칩을 완성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이용할 경우 특정 유형의 세포로 분화시킬 수 있는 분화기술이 개발이 용이하며,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우선 1차적인 줄기 세포 및 생물학적 연구에 대한 기대효과로 세포에 대한 기계적 자극과 검출 및 관찰을 단일 칩 상태에서 처리 가능하다는 점에서 줄기세포, 조직공학 분야에서의 응용 및 일반 세포와 의학, 약학 분야에도 응용 가능하며 인력, 시간, 비용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키는 효과특징이 있다.
2차적인 효과로 다양한 종류의 난치병 치료에 응용이 가능하며, 세포 치료기술 및 조직 공학과의 연계를 통하여 장기 이식을 포함한 생체 재생의학에도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다. 또 신약 후보물질에 대한 전 임상 실험으로서 줄기세포로부터 분화 유도된 특정 세포를 이용하여 신약개발 및 약물 조사에도 응용될 수 있다.
마이크로머시닝을 이용한 바이오칩의 대량 생산을 통한 생산 단가 절감으로 바이오칩의 대중화 및 보급에도 크게 기여함으로서 기초과학과 산업의 발전 및 국민의 복지에도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2)

  1. 세포 자극 및 검출 바이오칩 제작에 있어서, 실리콘, 유리 또는 폴리머 재질의 하부 기판에 마이크로머시닝 공정을 적용하여 미세 유로와 자극 챔버, 검출 챔버를 형성하는 단계, 상부 기판에 전기화학방전가공을 이용하여 유체의 입구, 출구를 제작하는 단계, 제작된 상부 기판과 하부 기판을 접합하는 단계, 상기 단계 후 기계적 자극을 위한 구동기를 부착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자극 및 검출 바이오칩 제작 방법.
  2. 상기 단계들로 제작된 세포 자극 및 검출 바이오칩의 작동 방법에 있어서, 세포와 함께 배양액이 유입하는 단계, 착상 단계 및 기계적 자극을 일정 시간 동안 주기적으로 가하는 단계, 세포를 탈착시켜 항원항체 반응을 이용한 특정 세포를 분리하는 단계, 분리된 세포의 비율과 형광 검출 또는 염색을 통하여 세포의 상태 및 분화정도를 알아내는 단계, 상기 순서로 세포를 자극 및 검출하도록 작동되는 방식.
KR1020050053823A 2005-06-22 2005-06-22 줄기세포 분화용 세포 자극 및 검출 바이오칩 KR1007531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3823A KR100753148B1 (ko) 2005-06-22 2005-06-22 줄기세포 분화용 세포 자극 및 검출 바이오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3823A KR100753148B1 (ko) 2005-06-22 2005-06-22 줄기세포 분화용 세포 자극 및 검출 바이오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4264A true KR20060134264A (ko) 2006-12-28
KR100753148B1 KR100753148B1 (ko) 2007-08-30

Family

ID=37812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3823A KR100753148B1 (ko) 2005-06-22 2005-06-22 줄기세포 분화용 세포 자극 및 검출 바이오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314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07915A1 (en) * 2008-02-29 2009-09-03 Ajou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Cell-chip and automatic controlled system capable of detecting conditions for optimizing differentiation of stem cell using mechanical stimulus
US8133722B2 (en) 2008-12-22 2012-03-1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Cell culture compartment unit and array including the same
WO2012102545A2 (ko) * 2011-01-28 2012-08-02 서강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화학적 방법을 기반으로 한 세포 주기 측정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1373B1 (ko) 2010-06-04 2012-09-19 한국과학기술원 힘촉각 정보 획득 방법 및 세포 기반의 바이오 센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83121A (zh) 1996-01-24 1998-05-27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测定组织或细胞物理化学特性的方法、检测药品的方法及其装置
US5981268A (en) 1997-05-30 1999-11-09 Board Of Trustees, Leland Stanford, Jr. University Hybrid biosensors
JP2004138583A (ja) 2002-10-21 2004-05-13 Sumitomo Bakelite Co Ltd 細胞機能測定用マイクロチップ
KR100724316B1 (ko) * 2004-06-04 2007-06-04 주식회사 엘지생명과학 마이크로 플루이딕 칩 및 그 용도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07915A1 (en) * 2008-02-29 2009-09-03 Ajou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Cell-chip and automatic controlled system capable of detecting conditions for optimizing differentiation of stem cell using mechanical stimulus
JP2011500050A (ja) * 2008-02-29 2011-01-06 アジョウ・ユニバーシティ・インダストリー−アカデミック・コーポレイション・ファウンデイション 機械的刺激に対する幹細胞分化の最適の条件を検出することができるセルチップ及びその制御システム
US8187863B2 (en) 2008-02-29 2012-05-29 Ajou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Cell-chip and automatic controlled system capable of detecting conditions for optimizing differentiation of stem cell using mechanical stimulus
US8133722B2 (en) 2008-12-22 2012-03-1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Cell culture compartment unit and array including the same
WO2012102545A2 (ko) * 2011-01-28 2012-08-02 서강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화학적 방법을 기반으로 한 세포 주기 측정 방법
WO2012102545A3 (ko) * 2011-01-28 2012-12-06 서강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화학적 방법을 기반으로 한 세포 주기 측정 방법
KR101226655B1 (ko) * 2011-01-28 2013-01-25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전기화학적 방법을 기반으로 한 세포 주기 측정 방법
US9945841B2 (en) 2011-01-28 2018-04-17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Sogang University Cell cycle measuring method based on an electrochemical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3148B1 (ko) 2007-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485972B (zh) 一种用于细胞组织培养与实时监测的微流控芯片及其使用方法
US8293524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the manipul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and testing thereof
Yeon et al. Microfluidic cell culture systems for cellular analysis
Kovarik et al. Micro total analysis systems for cell biology and biochemical assays
CN101460253B (zh) 一种操作单个细胞及其小团块的方法与仪器
Andersson et al. Microfluidic devices for cellomics: a review
Sibbitts et al. Cellular analysis using microfluidics
CN110004043B (zh) 一种单细胞捕获微流控芯片
US20180257075A1 (en) Magnetic single cell arrays for probing cell-drug and cell-cell communication
US11371008B2 (en) Systems for producing cellular immunotherapeutics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20150204763A1 (en) System for analyzing biological sample material
US11566224B2 (en) Dendritic cell generator
IE20011111A1 (en) Biological assays
Espulgar et al. Single cell trapping and cell–cell interaction monitoring of cardiomyocytes in a designed microfluidic chip
De Stefano et al. The impact of microfluidics in high-throughput drug-screening applications
WO2016090237A1 (en) Systems for dissociation of biological tissues
Qin et al. Microfluidic devices for the analysis of apoptosis
Tang et al. On-Chip cell–cell interaction monitoring at single-cell level by efficient immobilization of multiple cells in adjustable quantities
KR20060134264A (ko) 줄기세포 분화용 세포 자극 및 검출 바이오칩
Delamarche et al. Pharmacology on microfluidics: multimodal analysis for studying cell–cell interaction
Aishwarya et al. Dynamic three-dimensional cell-culture systems for enhanced in vitro applications
Han et al. Large-scale investigation of single cell activities and response dynamics in a microarray chip with a microfluidics-fabricated microporous membrane
Svendsen et al. Micro and nano-platforms for biological cell analysis
Selimović et al. Microfluidic systems for controlling stem cell microenvironments
Verma et al. Microfluidics-the state-of-the-art technology for pharmaceutical appl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