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3130A - 졸음예방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졸음예방패치 - Google Patents

졸음예방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졸음예방패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3130A
KR20060133130A KR1020050052768A KR20050052768A KR20060133130A KR 20060133130 A KR20060133130 A KR 20060133130A KR 1020050052768 A KR1020050052768 A KR 1020050052768A KR 20050052768 A KR20050052768 A KR 20050052768A KR 20060133130 A KR20060133130 A KR 200601331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weight
drowsiness prevention
pad
silver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2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용산
Original Assignee
윤용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용산 filed Critical 윤용산
Priority to KR1020050052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33130A/ko
Publication of KR20060133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313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0051Accessories for dressings
    • A61F13/00063Accessories for dressings comprising medicaments or additives, e.g. odor control, PH control, debriding, antimicrob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46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skin-adhering layer
    • A61F13/025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skin-adhering layer characterized by the adhesiv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76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 A61F13/0289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manufacturing of adhesive dres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18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0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plant or animal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76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 A61F2013/0296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for making transdermal patches (chemical processes exclud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otan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에 접착하는 상태로 정신을 맑게하여 졸음 예방과, 정신을 집중할 수 있는 조성물과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휴대용 조성물품에 관한 것이다.
순수은용액추출공정과 인삼,해초류를 고분자시켜서 겔화하는 공정과, 은용액과 고분자겔을 혼합하여 소정의 시간동안 희석시키는 공정과, 천연향을 희석공정에 소정량 투여하는 공정과, 상기 공정을 순차적으로 거친 후 12시간 내지 2일간 응고시키는 공정을 거친 후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여 용기내에 저장하는 포장공정에 의하여 휴대하면서 필요시 하나씩 인출시켜 피부에 접착하는 패치형 천연패드로서 피부에 스며드는 성분과 천영향에 의해 신경자극 및 혈액순환의 원활등의 작용으로 정신집중과 졸음예방의 효과를 나타내어 수험생들과 운전자들의 활동에 많은 이로움을 제공한다.
순수은용액, 천연재료의 고분자 겔, 교반기, 허브, 아로마, 라벤다, 로즈마리, 스틱용기, 회전식 추출부재

Description

졸음예방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졸음예방패치{omitted composition}
본 발명은 피부에 부착하여 그 성분이 피부속으로 침투되게 하므로써 정신을 집중할 수 있도록 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졸음예방 패치에 관한 것이다.
운전이나 공부는 의자에 앉아서 전방의 환경을 집중하는 자세를 취하게 때문에 오래시간 동안 집중하게 되면 뇌에 산소공급이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정신이 흐려지게 되어 정신집중이 않될 뿐만 아니라 졸음을 동반하는 현상이 나타난다.
이러한 현상은 사용자 입장에서 매우 곤란하고, 회복하기 어려운 상황으로 발전하는 경우가 발생되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휴식을 취해야 하지만 현실적으로 휴식을 취할 수 없는 상황에 의해서 신체적으로 무리를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전방의 상황을 지속적으로 주시해야하는 사용자의 뇌 신경을 효율적으로 자극하기 위하여 물리적인 방법 외에도 천연향에 의한 자극방법이 요구되고, 혈류의 흐름이 원활히 이루어도지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순수은용액추출공정과 인삼,해초류를 고분자시켜서 겔화하는 공정과, 은용액과 고분자겔을 혼합하여 소정의 시간동안 희석시키는 공정과, 천연향을 희석공정에 소정량 투여하는 공정과, 상기 공정을 순차적으로 거친 후 12시간 내지 2일간 응고시키는 공정을 거친 후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여 용기내에 저장하는 포장공정에 의하여 휴대하면서 필요시 하나씩 인출시켜 피부에 접착하는 패치형 천연패드로서 피부에 스며드는 성분과 천영향에 의해 신경자극 및 혈액순환의 원활에 의한 작용으로 달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제1공정 (순수 은용액 추출공정)
고체 은을 전기분해하여 액체화 시킨 상태에서 은용액화의 순도 99.99%를 1~5시간 동안 추출하여 추출된 은용액을 모은다.
제2공정(겔형성공정)
건조된 인삼과 다시마등과 같은 해조류를 함께 2~3시간 동안 분말화 시키면 인삼과 해조류는 고분자화 되면서 이때 생성되는 즙에 의해 분말이 즙에 혼합되어 겔 상태가 된다.
제3공정(희석공정)
상기 순수 은용액과 고분자 겔을 믹서기에 넣고 1내지 4시간 동안 혼합할 때 믹서기 내의 온도를 영하와 상온으로 교차시키면서 혼합한다.
제4공정(천연향 투여공정)
상기 희석된 조성물에 천연향을 극소량 투여한다.
제5공정(응고공정)
상기 공정을 순차적으로 거친 겔 상태의 조성물을 12시간 내지 2일간 응고시킨다.
제6공정(포장공정)
상기 응고된 조성물을 교반기에서 꺼내어 소정의 크기와 형상 및 두께로 절단하여 한 장씩 겹치는 상태로 용기 내에 저장하여 한 장식 꺼내어 사용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졸음예방 조성물에 대한 제조방법에 있어서 천연향은 허브향 아로마향 라벤더향 로즈마리향 중 어느 하나의 향을 극소량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외에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 범위 내에서 동일 한 효과를 발생하는 향이면 다른 향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에 의해 생산되는 겔 상태의 졸음예방 조성물의 성분은 조성물은 100중량%에 대하여 순수은용액은 62.5중량%, 페퍼민트는 30.0중량%, 겔첨가물7.0중량%,천연향 0.5중량%으로 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에 적합하지만 각각의 성분에 대한 중량%에서 +, - 10중량%를 유지하여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에 충분하다.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졸음예방 조성물은 겔 상태이므로 사용 및 휴대하기가 편리하지 않아 조성물을 두께가 0.2~7mm의 패드를 원판형으로 절단하고, 이를 15~30장을 포개면 봉형상이 되며 이를 회전에 의해 수직 승,하강 되는 인출부재가 구비된 스틱형 용기내에 장입시켜 보관한다.
이와 같이 졸음예방 조성물을 스틱용기내에 보관하면 우선적으로 스틱형 용기에 의해서 휴대하기가 매우 편리하며, 필요시에 스틱형 용기의 하단에 부착된 인출부재를 조작하는 상태로 스틱형 용기 속에 보관된 졸음예방 조성물을 용기의 상단으로 노출시킬 수 있고, 노출된 조성물을 하나씩 떼어내어 사용자의 피부에 접착시키면 조성물의 성분이 피부를 통해 진피속으로 흡습된다.
이후 노출된 조성물은 다시 인출부재의 역방향 조작에 의해 스틱형 용기속에 삽입되어 보관이됨과 동시에 휴대가능하다.
피부를 통하여 진피 속으로 흡습된 조성물의 페퍼민트와 인삼, 해조류의 성분은 뇌에 혈액의 공급을 원활하게 하는 작용을 하고, 천연향은 향의 냄새를 맡게하여 신경계를 자극하므로 머리를 맑게 해주는 작용을 하게 되어 결국 정신집중과 졸음예방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작용은 학생과, 운전자들에게 매우 바람직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신경계의 자극은 천연재료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반복성이 없어 습관성이 형성되지 않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금단의 현상은 발생하지 않는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재료에 의한 향으로 신경계의 자극과 뇌의 혈액 순환을 원활히 하게 하므로 졸음의 예방과, 정신집중을 이루는 효과를 제공하며, 천연재료로 제조되는 것이어서 접착된 부위의 피부에 거부반응이 발생하지 않는 등이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4)

  1. 고체 은을 전기분해하여 액체화 시킨 상태에서 은용액화의 순도 99.99%롤 추출하는 순수 은용액 추출공정과;
    인삼과 해초류를 함께 고분자상태로 분말화 시켜서 생성되는 즙에 의해 겔화하는 공정과;
    상기 순수 은용액과 고분자겔을 믹서기에 넣고 1내지 4시간 동안 영하와 상온으로 믹서기 내의 온도를 교차시키면서 혼합하는 희석공정과;
    상기 희석된 조성물에 천연향을 극소량 투여하는 공정과;
    상기 공정을 순차적으로 거친 후 12시간 내지 2일간 응고시키는 공정과;
    상기 응고공정에 의한 조성물을 소정의 크기와 형상 및 두께로 절단하여 한 장씩 겹치는 상태로 용기 내에 저장하여 한 장식 꺼내어 사용하도록 한 포장공정으로 이루어진 졸음예방 조성물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향은 허브향, 아로마향, 라벤더향, 로즈마리향 중에 어느 한 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졸음예방 조성물의 제조방법.
  3. 제1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졸음예방 조성물은 100중량%에 대하여 순수은용액은 62.5중량%, 페퍼민트는 30.0중량%, 겔첨가물7.0중량%,천연향 0.5중량%으로된 겔 이며, 응고된 상태에서 두께 0.2~0.7mm의 패드형으로 피부에 직접접착하도록 한 졸음예방 조성물.
  4. 두께가 0.2~7mm의 패드를 원판형으로 절단하면서 15~30장을 포개어 봉형상이 되게 하여 이를 회전에 의해 수직 승하강 되는 인출부재가 구비된 스틱형 용기내에 장입시켜 인출부재의 조작으로 스틱형 용기내에서 봉형상의 패드가 승하강되어 저장 및 인출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졸음예방조성물 패드.
KR1020050052768A 2005-06-20 2005-06-20 졸음예방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졸음예방패치 KR200601331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2768A KR20060133130A (ko) 2005-06-20 2005-06-20 졸음예방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졸음예방패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2768A KR20060133130A (ko) 2005-06-20 2005-06-20 졸음예방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졸음예방패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3130A true KR20060133130A (ko) 2006-12-26

Family

ID=37812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2768A KR20060133130A (ko) 2005-06-20 2005-06-20 졸음예방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졸음예방패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3313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7438B1 (ko) * 2013-01-09 2013-03-25 김관석 졸음운전방지패치의 제조방법
KR101365204B1 (ko) * 2012-03-09 2014-02-19 김관석 졸음운전 방지용 조성물
KR20180046616A (ko) * 2016-10-28 2018-05-09 김관석 하이드로콜로이드형 졸음방지 패치의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5204B1 (ko) * 2012-03-09 2014-02-19 김관석 졸음운전 방지용 조성물
KR101247438B1 (ko) * 2013-01-09 2013-03-25 김관석 졸음운전방지패치의 제조방법
WO2014109447A1 (ko) * 2013-01-09 2014-07-17 Kim Kwan Suk 졸음운전방지패치의 제조방법
KR20180046616A (ko) * 2016-10-28 2018-05-09 김관석 하이드로콜로이드형 졸음방지 패치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84610B (zh) 一种美白淡斑滋润嫩肤面膜及其制备方法
CN106281680B (zh) 一种薄荷烟爆珠用凉味薄荷香精及其制备方法与应用
DE60006376T2 (de) Nikotinhaltige verabreichungssysteme
CN1899139B (zh) 香体健身强化蜂宏微量元素无尼古丁香烟及生产方法
KR20100107826A (ko) 지질치환에 의한 손상된 피부 장벽 복원 및 진경, 항염의 복합작용을 통한 아토피 증상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4434697B (zh) 一种驱蚊止痒、护肤安神的固体花露水及其制备方法
CN104770865A (zh) 一种芳香植物电子雾化液及其制备方法
CN108452060A (zh) 复方精油组合物、其应用以及缓解抑郁的产品
KR20060133130A (ko) 졸음예방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졸음예방패치
CN108403589A (zh) 天然植物护肤霜
CN111195295A (zh) 一种助眠的复方精油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2010105924A (ja) 皮膚角化促進剤
CN109090147A (zh) 一种香味持久的香珠及其制备方法
KR102118555B1 (ko) 진정 및 수면 촉진 효과를 갖는 나노 리포좀 허브 복합 추출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5011349A (zh) 一种含有沉香提取物的电子烟烟油及其制备方法
KR200400935Y1 (ko) 휴대용 졸음예방 패치
KR101881663B1 (ko) 발효 구인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이를 사용한 보습력 및 흡수력이 뛰어나며 피부 재생을 도모하는 발효 구인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화장품 및 혈관계 성인병 예방에 효과가 있는 발효 구인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성식품
WO2013162013A1 (ja) 浴用剤組成物
JP2005023044A (ja) 香気剤
CN102488637B (zh) 一种环保无载体的食品级美容膜
CN107693480B (zh) 一种嫩白滋润的手膜及其制备方法
CN112190666A (zh) 中药冷香丸及其制作工艺与所得香囊
CN107338172A (zh) 一种保健药酒及其制备方法
CN104306259A (zh) 一种不含防腐剂和合成香精的纯天然护肤油及其制备方法
CN101693004A (zh) 面部去皱组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