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2600A - 유기화학 물질의 분석방법 및 분석장치 - Google Patents

유기화학 물질의 분석방법 및 분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2600A
KR20060132600A KR1020067010861A KR20067010861A KR20060132600A KR 20060132600 A KR20060132600 A KR 20060132600A KR 1020067010861 A KR1020067010861 A KR 1020067010861A KR 20067010861 A KR20067010861 A KR 20067010861A KR 20060132600 A KR20060132600 A KR 200601326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alyte
phase extraction
solid phase
extraction cartridge
elu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0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료이치 사사노
유타카 나카니시
Original Assignee
자이단호진 사이카기주쓰겐큐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자이단호진 사이카기주쓰겐큐조 filed Critical 자이단호진 사이카기주쓰겐큐조
Publication of KR20060132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26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01N30/88Integrated analysis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groups G01N30/04 - G01N30/86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01N30/26Conditioning of the fluid carrier; Flow patterns
    • G01N30/38Flow patterns
    • G01N30/46Flow patterns using more than one column
    • G01N30/461Flow patterns using more than one column with serial coupling of separation columns
    • G01N30/462Flow patterns using more than one column with serial coupling of separation columns with different eluents or with eluents in different stat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01N30/26Conditioning of the fluid carrier; Flow patterns
    • G01N30/38Flow patterns
    • G01N30/46Flow patterns using more than one colum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Other Investigation Or Analysis Of Materials By Electrical Means (AREA)

Abstract

유기화학 물질의 분석에 있어서, 그 정밀도 향상을 위하여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와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를 조합하는 것이 생각되었지만,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부터 용리액의 수분이나 고극성의 용매가 포함되어있기 때문에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에 주입할 수 없었다. 따라서 이 조합을 실현하는 분석방법 및 그 장치를 개발하는 것이 과제였다. 분석대상 시료보다 먼저 유기화학 물질을 추출 및 조제한 분석용 시료를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분획하면서, 분획된 분석대상 물질을 포함하는 용리액을 연속적으로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에 흡착시키고,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에 흡착된 분석대상 물질을 용출액으로 용출하여 가스 크로마토그래프의 저장실로 이동시키는 정량 분석방법 및 그 분석장치이다.

Description

유기화학 물질의 분석방법 및 분석장치{METHOD OF ANALYZING ORGANIC CHEMICAL SUBSTANCE AND APPARATUS FOR ANALYSIS}
본 발명은 유기화학 물질(有機化學 物質)의 분석(分析)에 있어서, 분석대상 시료(分析對象 試料)보다 먼저 유기화학 물질을 추출(抽出) 및 조제(調製)한 분석용 시료를 액체 크로마토그래피(液體 chromatography)로 분획(分劃)하면서, 그것에 의하여 분획된 분석대상 물질을 가스 크로마토그래피(gas chromatography)로 정량분석(定量分析)하는 유기화학 물질의 분석방법(分析方法) 및 분석장치(分析裝置)에 관한 것이다.
유기화학 물질, 특히 농약(農藥)의 분석에 대해서는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분석법이 사용되어 왔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참조). 또한 골프장에서 사용되는 농약의 분석에 대해서도 액체 크로마토그래피가 응용되어 왔다(예를 들면 특허문헌2참조). 그 후에 농작물에 남아있는 잔류 농약(殘留 農藥)의 안전성이 문제가 되고,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뿐만 아니라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도 이용되게 되었다. 또한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와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赤外線 吸收 spectrum)을 병용(竝用)하는 방법 혹은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의 전처리(前處理)로서 마이크로 트랩(micro trap)을 사용하는 방법도 제안되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3 및 특허문헌4 참조). 한편 환경문제가 대두(擡頭)됨에 따라서 다이옥신(dioxine) 등의 분석방법도 검토되어 왔다(예를 들면 특허문헌5 참조).
특허문헌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6-331618호 공보
특허문헌2: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5-306998호 공보
특허문헌3: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8-170941호 공보
특허문헌4: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2-328121호 공보
특허문헌5: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2-48688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잔류 농약, 환경 호르몬 등의 유기화학 물질을 분석하는 데에 있어서, 그 정밀도(精密度)를 높이기 위하여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및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의 조합을 생각하였지만,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의 용리액(溶離液; eluent)에는 수분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직접 상기 용리액을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에 주입할 수 없었다. 따라서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및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의 조합을 실현시키고, 유기화학 물질을 신속하고 정밀하게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그 분석방법 및 분석장치를 개발하는 것이 과제였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자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銳意) 검토한 결과, 본 발명을 제안하는 것에 이르렀다. 즉 유기화학 물질의 분석에 있어서, 분석대상 시료보다 먼저 유기화학 물질을 추출 및 조제한 분석용 시료를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분획하면서 상기 분획한 분석대상 물질을 포함하는 용리액에 다른 용액을 가하여 연속적으로 상기 분석대상 물질을 액체 크로마토그래프(液體 chromatograph)로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固相 抽出用 cartridge)에 흡착시키고, 상기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에 흡착된 분석대상 물질을 용출액으로 직접 가스 크로마토그래프(gas chromatograph)의 저장실(貯藏室)로 용출하여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화학 물질의 분석방법으로서, 상기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에 흡착된 분석대상 물질을 용출액(溶出液)으로 용출하여 직접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의 저장실로 용출하는 데에 있어서, 상기 용출액에 유도체화 시약(誘導體化 試藥)을 용해하여 분석대상 물질과 함께 가스 크로마토그래프의 저장실에 주입하고, 저장실에서 분석대상 물질을 유도체화 한 후에 상기 유도체를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에 흡착된 분석대상 물질을 용출액으로 용출하고 상기 용출액을 뒤이어 별개의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에 통과시킴으로써 협잡물(挾雜物)을 제거한 유출액을 가스 크로마토그래프의 저장실에 주입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유출액에 유도체화 시약을 용해하여 분석대상 물질과 함께 가스 크로마토그래프의 저장실에 주입하고, 저장실에서 분석대상 물질을 유도체화 한 후에 상기 유도체를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분석대상 물질이 1종 내지 20종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유기화학 물질의 분석에 있어서, 분석대상 시료보다 먼저 유기화학 물질을 추출 및 조제한 분석용 시료를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분획하면서, 상기 분획한 분석대상 물질을 포함하는 용리액을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에 통과시키고, 연속적으로 상기 분석대상 물질을 상기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에 흡착시키고, 상기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에 흡착된 분석대상 물질을 용출액으로 직접 가스 크로마토그래프의 저장실에 용출하여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화학 물질의 분석방법으로서, 상기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에 흡착된 분석대상 물질을 용출액으로 용출하여 직접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의 저장실로 용출하는 데에 있어서, 상기 용출액에 유도체화 시약을 용해하여 분석대상 물질과 함께 가스 크로마토그래프의 저장실에 주입하고, 저장실에서 분석대상 물질을 유도체화 한 후에 상기 유도체를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에 흡착된 분석대상 물질을 용출액으로 용출하고, 상기 용출액을 뒤이어 별개의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에 통과시켜 협잡물을 제거한 유출액을, 가스 크로마토그래프의 저장실에 주입하고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에 흡착된 분석대상 물질을 용출액으로 용출하고, 상기 용출액을 뒤이어 별개의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에 통과시켜 협잡물을 제거한 유출액을, 가스 크로마토그래프의 저장실에 주입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유출액에 유도체화 시약을 용해하여 분석대상 물질과 함께 가스 크로마토그래프의 저장실에 주입하고, 저장실에서 분석대상 물질을 유도체화 한 후에 상기 유도체를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분석대상 물질이 1종 내지 20종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분석대상 시료에 포함되어 있는 유기화학 물질을 추출 및 조제한 분석용 시료를 유입하여 분획하기 위한 액체 크로마토그래프와, 이 액체 크로마토그래프에서 분획한 분석대상 물질을 포함하는 용리액에 상기 분석대상 물질의 용리시간에 의거하여 상기 용리액과는 다른 제1용액을 자동 공급하기 위한 제1공급수단과, 상기 제1용액과 액체 크로마토그래프로 분획한 용리액의 혼합액에 의하여 이동하여 온 분석대상 물질을 흡착시키기 위한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와, 이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에 흡착된 분석대상 물질을 용출시키기 위한 용출액을 자동 공급하기 위한 제2공급수단과, 상기 용출된 분석대상 물질을 가스 크로마토그래프에 유입하기 위하여 상기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의 유출구(流出口)에 연결되게 접속된 시린지 바늘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화학 물질의 분석장치이며, 상기 제1용액과 액체 크로마토그래프로 분획한 용리액의 혼합액에 의하여 이동하여 온 분석대상 물질을 상기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에서 흡착시키기 위한 제1경로에 대하여, 상기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에 흡착된 분석대상 물질을 용출하여 상기 가스 크로마토그래프에 유입하는 제2경로를 별도로 설치하고, 상기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를 2개의 경로에 각각 착탈(着脫)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1용액과 액체 크로마토그래프로 분획한 용리액의 혼합액에 의하여 이동하여 온 분석대상 물질을 상기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에 공급하여 상기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에 흡착시키기 위한 제1공급상태와, 상기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에 상기 용출액을 공급하여 상기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에 흡착된 분석대상 물질을 용출하여 상기 가스 크로마토그래프에 유입하는 제2공급상태의 사이에서 공급상태를 전환하기 위한 전환밸브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가스 크로마토그래프가, 상기 시린지 바늘로부터 유입되는 분석대상 물질을 일단 저장시킬 수 있는 포집제(捕集劑)를 포함하지 않는 저장실을 기화실(氣化室) 내에 설치한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분석대상 시료에 포함되어 있는 유기화학 물질을 추출 및 조제한 분석용 시료를 유입하여 분획하기 위한 액체 크로마토그래프와, 이 액체 크로마토그래프로 분획되어 이동하여 온 분석대상 물질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수단과, 이 검출수단으로부터의 분석대상 물질 검출신호에 의거하여 배출경로(排出經路) 측에서 주경로(主經路) 측으로 배출처(排出處)를 전환하기 위한 배출처 전환밸브와, 상기 배출처 전환밸브에 의하여 주경로 측으로 전환되어 용리액과 함께 이동하여 온 분석대상 물질을 흡착시키기 위하여 상기 주경로에 구비시킨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와, 이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에 흡착된 분석대상 물질을 가스 크로마토그래프에 유입하기 위하여 용출액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수단과, 상기 용출액과 함께 용출한 분석대상 물질을 가스 크로마토그래프에 유입하기 위하여 상기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의 유출구에 연결되게 접속된 상하 동작 가능한 시린지 바늘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화학 물질의 분석장치이며, 상기 용리액과 함께 이동하여 온 분석대상 물질을 상기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에서 흡착시키기 위한 제1경로에 대하여, 상기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에 흡착된 분석대상 물질을 상기 공급수단으로부터의 용출액으로 용출하여 상기 가스 크로마토그래프에 유입하는 제2경로를 별도로 설치하고, 상기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를 상기 2개의 경로에 각각 탈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용리액과 함께 이동하여 온 분석대상 물질을 상기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에 공급하여 상기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에 흡착시키기 위한 제1공급상태와, 상기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에 상기 용출액을 공급하여 상기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에 흡착된 분석대상 물질을 용출하여 상기 가스 크로마토그래프에 유입하는 제2공급상태의 사이에서 공급상태를 전환하기 위한 공급상태 전환밸브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가스 크로마토그래프가, 상기 시린지 바늘로부터 유입되는 분석대상 물질을 일단 저장시킬 수 있는 포집제를 포함하지 않는 저장실을 기화실 내에 설치한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분석방법은, 협잡물을 포함하는 유기화학 물질을 정밀도(精密度) 높게 분석하는 것에 있어 우수하고, 특히 유기화학 물질이 1종 내지 20종일 때에 그 효과를 가장 발휘하며, 분석대상 물질을 정밀도 높고 신속하게 분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분석용 시료를 역상 액체 크로마토그래피(逆相 液體 chromatography)로 분획하면서 그 용리액을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에 통과시켜 분석대상 물질을 흡착시킴으로써, 액체 크로마토그래피(LC)로부터 물이나 고극성(高極性)의 용매가 수반되지 않게 하여 분석대상 물질을 가스 크로마토그래피(GC)에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여러 종류의 유기화학 물질을 정밀도 높게 분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의 유출구에 상하 동작(上下 動作) 가능한 시린지 바늘(syringe 바늘)이 연결되게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로부터의 분석대상 물질을 낭비 없고 간단하게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에 주입할 수 있다. 또한 가스 크로마토그래프에 시린지 바늘로부터 유입되는 분석대상 물질을 일단 저장시킬 수 있는 저장실을 기화실 내에 설치한 것을 사용함으로써,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로부터의 용출량을 전부 가스 크로마토그래프에 주입할 수 있다. 또한 액체 크로마토그래피(LC)와 가스 크로마토그래피(GC)로 이루어지는 분석방법의 액체 크로마토그래피(LC)는, 클린업 기능(clean up 機能)으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클린업을 하는 전처리를 생략한 분석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에 흡착된 분석대상 물질을 용출액으로 용출하고, 직접 가스 크로마토그래프의 저장실에 주입하는 것에 있어서 용출액에 유도체화 시약을 용해하여 분석대상 물질과 함께 가스 크로마토그래프의 저장실에 주입하고 분석대상 물질의 유도체를 제작한 후에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할 수 있기 때문에, 분석대상 물질의 종류가 증가하고 그 분석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에 용리액을 공급하는 제1공급상태와 용출액을 공급하는 제2공급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전환밸브를 설치함으로써,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를 제1경로로부터 떼어내어 제2경로에 부착하는 작업이 불필요하게 되어 분석 작업을 보다 더 신속하게 할 수 있다.
도1은 분석장치의 개략도이다.
도2는 검출기에서 검출한 결과를 나타내는 크로마토그램이다.
도3은 첨가 회수 시험의 결과를 나타내는 크로마토그램이다.
도4는 다른 첨가 회수 시험의 결과를 나타내는 크로마토그램이다.
도5는 전환밸브로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로의 공급유로를 변경 가능하게 한 다른 분석장치의 개략도이다.
도6은 도5에서 나타낸 분석장치의 요부(要部)의 확대도를 나타내고, (a)는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에 분석대상 물질을 흡착시키는 제1공급상태를 나타내고, (b)는 흡착된 분석대상 물질을 용출시켜서 크로마토그래프에 공급하는 제2공급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7은 제2펌프를 생략한 분석장치의 개략도이다.
도8은 클린업용의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를 장착한 별도의 분석장치의 개략도이다.
도9는 복수의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를 장착한 별도의 분석장치의 개략도이다.
도10은 2개의 저장실로 각각 분석대상 물질을 유출시킬 수 있는 구성의 다른 분석장치의 개략도이다.
도11은 3개의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를 카트리지 홀더에 지지시킨 별도의 분석장치의 개략도이다.
도12는 유도체화 시약을 사용하는 경우의 크로마토그램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액체 크로마토그래프 2: 가스 크로마토그래프
3: 인터페이스 4: 주입구
5: 펌프 6: 프리칼럼
7: LC칼럼 8: 검출기
9: 배출경로 10: 제1경로
11: 밸브 12: 펌프
13: 믹서 14: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
15: 배출구 16, 16A: 제2경로
17, 17A: 제2펌프 18, 18A: 시린지 바늘
19, 19A: 저장실 20, 20A: 기화실
21A: 에토프로포스(ethoprophos)의 피크
21B: 클로르피리포스(chlorpyrifos)의 피크
22: 전환밸브
22A, 22B, 22C: 유로 23-27: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
28: 카트리지 홀더
본 발명에서 말하는 유기화학 물질이라 함은 잔류 농약, 환경 호르몬, 향료 등을 포함하는 유기화학 물질로서, 특별하게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잔류 농약으로서는 아슐람(asulam), 옥신코퍼(oxine copper, 옥시동), 메코프로프(MCPP), 티우람(thiuram), 시듀론(siduron), 이프로디온(iprodione), 클로로탈로닐(chlorothalonil), 펜시클론(pencycuron), 벤술라이드(bensulide), 클로르피리포스(chlorpyrifos), 에토프로포스(ethoprophos)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환경 호르몬으로서는 노닐페놀(Nonylphenol), 비스페놀A(BisphenolA) 등 의 페놀류(phenol類), 프탈산 에스테르(phthalate ester), PCB나 다이옥신류(dioxine類) 등, 트리부틸주석(Tributyl tin), 트리페닐주석(Triphenyl tin) 등의 유기주석 화합물(有機朱錫 化合物), 에티닐 에스트라디올(Ethinyl Estradiol), 에스트리올(estriol) 등의 합성 에스트로겐(合成 estrogen) 등, 향료(香料)로서는 리모넨(limonene), 디펜텐(Dipentene), 테르피놀렌(terpinolene), 알로오시멘(allo-ocimene), 오시멘(ocimene), 리날롤(linalool), 게라니올(geraniol), 네롤(nerol), 시트로네롤(citronellol), 무골(mugol)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분석대상 시료는 특별하게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식물성 및 동물성 식품의 성분으로서 포함되어 있는 유기화학 물질 및 식품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유기화학 물질 등 분석해야 할 대상의 시료가 포함된다. 예를 들면 야채류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잔류 농약 혹은 환경 호르몬 등 분석을 해야 할 야채류 등이 분석대상 시료로서 적합하다.
여기에서 분석대상 시료는, 분석해야 할 유기화학 물질을 용제(溶劑)로 추출하고 그 농도를 조정하여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제공하는 분석용 시료를 조제한다. 예를 들면 야채, 과실류(果實類)는 잘게 자르고, 곡류, 콩류는 분쇄 후에 물을 가하여 충분하게 팽윤(膨潤)시킨 다음에 용제로서 아세토니트릴(acetonitrile), 아세톤, 메탄올, 에테르, 초산에틸, 물 등을 가하고, 균질화(homoginize)한 후에 여별(濾別; filtering)하여 유기화학 물질의 추출을 한다. 이 유기화학 물질의 추출액을 분석용 시료라고 한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분석대상 물질은, 분석대상 시료 중에 함유되어 있는 유기화학 물질이며 그 함유량을 분석하려고 하는 대상의 물질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분석대상 물질의 종류에 대해서는 특별하게 한정하지 않지만, 1종 내지 20종인 경우가 분석 정밀도 및 분석의 신속성을 위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유도체화 시약은, 분석대상 물질을 그대로 가스 크로마토그래프로 분석하여 그 분석 정밀도가 충분하게 얻어지지 않을 경우에 유도체화 시약에 의하여 분석대상 물질의 유도체를 얻음으로써, 그 분석 정밀도를 높이는 것으로 N, O-Bis(trimethylsilyl)trifluoroacetamide(BSTFA), Trimethylsilyl-diazomethane(TMS-Diazomethane)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분석용 시료를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분획하기 전에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를 사용하여 협잡물(挾雜物)을 제거할 수 있다. 이 때, 협잡물의 종류에 의하여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의 충전제(充塡劑)의 종류를 변경할 수 있다.
도1에는 액체 크로마토그래프1과 가스 크로마토그래프2가 인터페이스3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분석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액체 크로마토그래프1은, 분석용 시료를 LC칼럼 측에 유입하기 위한 주입구(注入口)4에 용액을 공급하기 위한 펌프5와, 분석용 시료에 포함되는 LC칼럼을 열화(劣化)시키는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한 프리칼럼(pre-column)6 및 협잡물 및 분석대상 물질을 분리시키기 위한 LC칼럼7과, LC칼 럼7을 통하여 분획된 용리액을 포함하는 분석대상 물질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기(檢出器)8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3은, 상기 검출기8이 원하는 분석대상 물질을 검출했을 때에 배출경로9 측에서 제1경로10 측으로 검출기8로부터의 분석대상 물질을 포함하는 용리액(溶離液)의 배출처(排出處)를 전환시키는 밸브11과, 제1경로10 측에 유입된 상기 분석대상 물질을 포함하는 용리액에 대하여 상기 용리액에 포함되는 용액과는 다른 제1용액을 상기 분석대상 물질의 용리시간, 즉 상기 밸브11의 전환신호에 의거하여 자동 공급하기 위한 제1공급수단으로서의 제1펌프12와, 상기 펌프12로부터의 제1용액과 상기 밸브11로부터의 용리액을 혼합하기 위한 믹서13과, 상기 믹서13으로부터의 유출액(流出液) 중 분석대상 물질을 흡착시키기 위한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14를 구비하고 있어 상기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14에 흡착되지 않은 수분 등이 하방(下方)의 배출구(排出口)15로 배출된다. 또 상기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14에 흡착된 분석대상 물질을 용출하기 위한 용출액을 상기 제1경로10과는 다른 제2경로16에 자동 공급하기 위한 제2공급수단으로서의 제2펌프17을 상기 인터페이스3에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14는, 제1경로10에 대하여 착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2경로16의 종단(終端)에 착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분석대상 물질이 흡착된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14를 제1경로10으로부터 떼어내어 제2경로16의 종단에 부착할 수 있게 되어있다. 분석대상 물질을 흡착시킨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14를 상기 제1경로10으로부터 떼어내어 상기 제2경로16에 상기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14를 부착한 것이, 센서 등의 검출기에 의하여 검출되었을 때의 검출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제2펌프17을 작동시킴으로써,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14에 흡착된 분석대상 물질을 용출시켜 가스 크로마토그래프2에 유입되어 분석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의 충전제로서는, C18, C8, CN, 디올(diol), NH2, 알루미나(alumina), 플로리실(florisil), 실리카(silica), 활성탄(活性炭)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14의 하방의 유출구에는 시린지 바늘18이 연결되게 접속되어 있고,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14를 제2경로16에 부착함으로써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14로부터 유출된 분석대상 물질이 시린지 바늘18을 통하여 낭비 없이 간단하게 주입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이 때, 유도체화 시약을 포함하는 용액을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14로부터 유출된 분석대상 물질과 함께 저장실19에 주입하고, 저장실19 내에서 분석대상 물질을 유도체화 할 수 있다.
가스 크로마토그래프2는, 상기 시린지 바늘18로부터 유입되는 분석대상 물질을 일단 저장시킬 수 있는 저장실19를 기화실(氣化室)20 내에 설치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2에는 상기 주입구4로부터 주입된 분석용 시료가 펌프5로부터의 용액에 의하여 시간경과에 따라 용출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크로마토그 램을 나타내고 있고, 도2의 2군데에 분석대상 물질이 유출하고 있는 시간을 나타내고, 그 유출하고 있는 것을 상기 검출기8에서 검출하고 있는 동안 (또는 먼저 조사한 분석대상 물질이 유출하고 있는 시간 중)에 밸브11을 제1경로10으로 흐르는 상태로 전환하도록 제어수단으로 제어하게 되어있다.
도1에서는 분석대상 물질이 흡착된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14를 제1경로10으로부터 떼어내어 제2경로16에 부착하도록 되어있지만, 도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경로10과 제2경로16이 합류(合流)하는 장소에 전환밸브(도면에서는 로터리 밸브를 나타내고 있지만 예를 들면 슬라이드 시켜서 전환하는 것 이외의 형식이어도 좋다)22를 설치하고, 이 전환밸브22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전환함으로써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14를 착탈하지 않고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14에 흡착된 분석대상 물질을 가스 크로마토그래프2에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전환밸브22의 가동 측(회전 측)의 스풀(spool)(스풀의 외주(外周)를 덮는 케이싱이 되는 슬리브는 생략한다)에 상기 믹서13으로부터의 제1용액 또는 제2펌프17로부터의 용출액을 받아들여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14의 공급유로(供給流路)22D로 흐르게 하기 위한 제1유로22A와, 이 제1유로22A로부터의 유출액을 공급유로22D를 통하여 상기 배출구15 측에 공급하기 위한 제2유로22C와, 상기 공급유로22D로부터 유출한 분석대상 물질을 시린지 바늘18(가스 크로마토그래프2)에 공급하기 위한 제3유로22B의 3개를 형성하고, 상기 제1용액에서 이동하여 온 분석대상 물질을 제1유 로22A, 공급유로22D를 통하여 상기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14에 공급하여 상기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14에 흡착시키고,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14에 흡착되지 않은 수분 등을 제2유로22C을 통하여 하방의 배출구15로 배출시키는 제1공급상태(도6(a)참조)와, 상기 스풀22를 수동 또는 전동력을 사용하여 도6(a)의 화살표 방향으로 60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14에 제1유로22A, 공급유로22D를 통하여 상기 유출액을 공급하여 상기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14에 흡착된 분석대상 물질을 용출하여 제3유로22B을 통하여 시린지 바늘18(가스 크로마토그래프2)에 유입하는 제2공급상태(도5 및 도6(b)참조)로 공급상태를 전환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상기 전환밸브22를 제2공급상태로 하였을 경우에는, 그것과 동시에 시린지 바늘18을 하방으로 이동시켜서 시린지 바늘18을 가스 크로마토그래프2 내에 삽입한 상태가 된다. 한편 도6(b)의 제2공급상태로부터 스풀22를 도면에 나타나 있는 화살표의 방향(역방향)으로 60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1공급상태로 되돌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때, 유도체화 시약을 포함하는 용액을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14로부터 유출된 분석대상 물질과 함께 가스 크로마토그래프2 내에 주입하여 저장실19 내에서 분석대상 물질을 유도체화 할 수 있다.
도1에서는 액체 크로마토그래프2에서 분획한 분석대상 물질을 포함하는 용리액에 대하여 제1용액을 공급하기 위한 펌프12를 설치한 것을 나타냈지만, 도7에서는 제1용액을 용리액에 공급하지 않는 분석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설명하지 않은 다른 부분은 도1의 것과 동일하다.
도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2경로16의 상기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14의 하단의 배출 측 장소에, 상기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14로부터 용출되는 분석대상 물질을 포함하는 용출액 중의 협잡물을 흡착시키기 위한 협잡물제거용의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23을 구비하였다. 이에 따라 클린업을 하는 전처리를 생략한 분석이 가능하게 되고, 분석 시간의 단축화를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설명하지 않은 다른 부분은 도1의 것과 동일하다.
도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14에서 흡착할 수 없었던 분석대상 물질을 다시 흡착시키기 위한 동일한 구성의 다른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24를 제1경로10에 착탈할 수 있도록 부착하여 실시하여도 좋다. 도9에서는 2개의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14, 24를 나타내고 있지만, 3개 이상의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를 제1경로10에 착탈할 수 있도록 부착하여도 좋다. 따라서 복수(도8에서는 2개)의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14, 24로 분석대상 물질을 흡착시키고 나서, 그들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14, 24를 떼어내어 제2경로16에 부착하여 용출액에서 분석대상 물질을 용출시킴으로써, 1개의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14 만으로 분석대상 물질을 흡착시키는 경우에 비하여 분석대상 물질을 많이 흡착시킬 수 있어 분석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설명하지 않은 다른 부분은 도1의 것과 동일하다.
도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14로 흡착할 수 없는 서로 다른 분석대상 물질을 흡착하기 위한 제2의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25를 제1경로10에 착탈할 수 있도록 부착하여 실시하더라도 좋다. 이렇게 서로 다른 2종류의 분석대상 물질을 흡착한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14, 25에 대하여 다른 용출액을 공급하기 위한 제2펌프17, 17A를 제2경로16, 16A에 각각 부착하고, 각각의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14, 25로부터 서로 다른 분석대상 물질을 용출하여 다른 2개의 기화실20, 20A에 각각 공급함으로써, 서로 다른 분석대상 물질을 일거에 분석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도10에서는 2개의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14, 24를 설치한 것을 나타내고 있지만, 3개 이상의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를 설치하여 3종류 이상의 분석대상 물질을 분석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한편 도10에서는 다른 기화실20, 20A를 설치했을 경우를 나타냈지만, 동일한 기화실에 서로 다른 분석대상 물질을 시간차이를 두고 용출시킴으로써 분석을 가능하게 하여도 좋다. 설명하지 않은 다른 부분은 도1의 것과 동일하다.
도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 홀더28에 복수(도면에서는 3개이지만, 2개 또는 4개 이상이라도 좋다)의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14, 26, 27을 구비시켜 복수의 피크를 가지는 분석대상 물질의 각 피크 시에 유출되는 분석대상 물질의 타이밍에 따라(시간경과나 센서로부터의 검출신호에 의거하여) 카트리지 홀더28을 전동모터 등의 구동기구(驅動機構)를 사용하여 카트리지 홀더28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복수의 피크를 가지는 분석대상 물질을 흡착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그리고 분석대상 물질을 흡착한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14, 26, 27을 지지한 카트리지 홀더28을 제1경로10으로부터 제2경로16에 부착하고, 전동모터 등의 구동기구를 사용하여 카트리지 홀더28 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복수의 피크의 분석대상 물질을 분석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상기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14, 26, 27에서 서로 다른 분석대상 물질을 흡착하는 경우에는, 다른 용출액으로 용출하여 다른 기화실에서 복수의 분석대상 물질을 분석하게 된다. 또 동일한 종류의 분석대상 물질을 복수의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14, 26, 27에서 흡착하였을 경우에는 제2경로16에 복수의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14, 26, 27을 직렬로 연결한 상태로 단일의 펌프로부터의 용출액을 흐르게 하여 분석대상 물질을 용출하게 된다. 설명하지 않은 다른 부분은 도1의 것과 동일하다.
도1, 도7, 도8에서 나타내고 있는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14를 제1경로10 및 제2경로16의 양방에 실선으로 나타내고 있지만, 실제로는 제1경로10에 있는 경우에는 제2경로16에는 없고, 제2경로16에 있는 경우에는 제1경로10에는 없는, 어느 일방(一方)의 경로에만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14가 접속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또 도9 ~ 도11에 기재된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14, 24, 25, 26, 27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어느 일방의 경로에만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도9에서는 14, 24, 도10에서는 14, 25, 도11에서는 14, 26, 27)가 접속된 상태가 된다.
[실시예1]
시금치 중의 잔류 농약의 분석을 첨가 회수 시험(添加 回收 試驗)에 의하여 실시하였다.
(시료의 조제)
시금치 20g을 계량하고 아세토니트릴 100ml을 가하여 에토프로포스를 0.02mg 첨가한 후에 균질화하여 이것을 흡인여과(吸引濾過)한 여과액을 시금치 추출액으로 하였다.
(분석장치)
액체 크로마토그래프(HPLC)
칼럼; ODS2.1×100mm
이동상; 70% 아세토니트릴수
유속; 0.2ml/min
주입량; 5μl
측정파장; 254nm
가스 크로마토그래프(GC/MS)
저장실; 대량주입용(위형 라이너(胃型 liner)를 사용)
저장실 온도; 60℃-100℃/min-250℃(20min)
칼럼 오븐 온도; 60℃(4min)-10℃/min-260℃(5min)
인터페이스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 고상C18
첨가액; 물, 2ml/min
용출액; 아세톤, 50μl
(분석방법)
HPLC에 시금치 추출액 10μl를 주입하고 액체 크로마토그래프로 분리하 였다. 먼저 조사해 둔 에토프로포스의 용출시간에 밸브를 전환하고, 물을 가하면서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에 통과시켰다. 이 때, 에토프로포스는 이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에 흡착된다. 이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에 시린지를 부착하고 용출액 아세톤으로 직접 가스 크로마토그래프 저장실로 용출시켜, GC/MS에 의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에토프로포스는 90% 이상의 회수율(回收率)과 도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양호한 크로마토그램이 얻어졌다. 도3의 21A는 에토프로포스의 피크를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2]
시금치 중의 잔류 농약의 분석을 첨가 회수 시험에 의하여 실시하였다.
(시료의 조제)
시금치 20g을 계량하고 아세토니트릴 100ml을 가하여 클로르피리포스를 0.02mg 첨가한 후에 균질화하여 이것을 흡인여과한 여과액을 시금치 추출액이라고 한다.
(분석장치)
액체 크로마토그래프(HPLC)
칼럼; C2 3.0mm i.d.×100mm
분리액; 50% 아세토니트릴수
유속; 0.5ml/min
주입량; 100μl
측정파장; 210nm
인터페이스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 고상 스티렌디비닐벤젠
용출액; 헥산 용액
가스 크로마토그래프(GC/MS)
저장실; 대량주입용(위형 삽입(胃型 insert)을 사용)
저장실 온도; 70℃-120℃/min-220℃(3min)-50℃/min-260℃(10min)
칼럼 오븐 온도; 70℃(3min)-20℃/min-280℃(4min) 
MS메소드; SCAN
(분석방법)
HPLC에 시금치 추출액 100μl을 주입하고 액체 크로마토그래프로 분리하였다. 먼저 조사해 둔 클로르피리포스의 용출시간에 밸브를 전환하고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에 통과시켰다. 이 때 클로르피리포스는 이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에 흡착된다. 이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에 시린지를 부착하고, 용출액 헥산에서 직접 가스 크로마토그래프 저장실로 용출시켜 GC/MS에 의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클로르피리포스는 90% 이상의 회수율로 도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양호한 SCAN 크로마토그램이 얻어졌다. 도4에 나타낸 21B는 클로르피리포스의 피크다.
[실시예3]
시료와 유도체화 시약을 연속하여 저장실에 주입하고, 저장실의 안에 서 유도체화 시킨 후에 분석하는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료 및 유도체시약의 조제)
시료는 펜타클로로페놀(pentachlorophenol)과 비스페놀A를 아세톤으로 희석한 것을 사용하였다. 유도체시약은 N, O-Bis(trimethylsilyl)trifluoroacetamide(BSTFA)를 아세톤으로 희석한 것을 사용하였다.
(분석장치)
가스 크로마토그래프(GC/MS)
칼럼; DB-5ms 0.25mm i.d.×30m, df=0.25μm
기화실온도; 50℃-30℃/min-180℃(2min)
오븐온도; 50℃(5min)-20℃/min-240℃(4min)
캐리어 가스; He
스플릿 초기 유량; 30ml/min
스플릿리스 시간(splitless 時間); 5min
시료 주입량; 2μl
BSTFA주입량; 1μl
(분석방법)
시료를 주입하고, 기화실20의 저장실19 안에 저장한다. 다음에 유도체화 시약(BSTFA)을 기화실19에 주입한다. 기화실20의 온도를 적당한 온도로 설정하고, 농축하면서 유도체화를 꾀한다. 이 유도체물질을 가스 크로마토그 래프에 유입한다. 이 분석에 의한 크로마토그램이 도12에 나타나 있다. 이 결과로부터 유도체화가 확실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유도체화 시약 주입법을 사용하면, 먼저 유도체화 시키는 전처리조작을 생략할 수 있고, 또한 인체에 악영향을 끼치는 유도체화 시약에 손을 대지 않고 유도체화 시킬 수 있으며, 또한 유도체화 후 즉시 분석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유기화학 물질의 분석방법은, 1종 내지 20종정도의 특정한 잔류 농약 및 환경 호르몬을 신속하게 또한 정밀하게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대상으로 하는 식품 등의 안전성을 신속하게 평가하는데도 적합하다.

Claims (14)

  1. 유기화학 물질의 분석에 있어서,
    분석대상 시료보다 먼저 유기화학 물질을 추출(抽出) 및 조제(調製)한 분석용 시료를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분획(分劃)하면서 상기 분획한 분석대상 물질을 포함하는 용리액(溶離液; eluent)에 다른 용액을 가하여 연속적으로 상기 분석대상 물질을 액체 크로마토그래프로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에 흡착시키고, 상기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에 흡착된 분석대상 물질을 용출액(溶出液)으로 직접 가스 크로마토그래프(gas chromatograph)의 저장실로 용출하여,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화학 물질의 분석방법.
  2. 유기화학 물질의 분석에 있어서,
    분석대상 시료보다 먼저 유기화학 물질을 추출 및 조제한 분석용 시료를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분획하면서, 상기 분획한 분석대상 물질을 포함하는 용리액을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에 통과시키고, 연속적으로 상기 분석대상 물질을 상기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에 흡착시키고, 상기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에 흡착된 분석대상 물질을 용출액으로 직접 가스 크로마토그래프의 저장실에 용출하여,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화 학 물질의 분석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에 흡착된 분석대상 물질을 용출액으로 용출하여 직접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의 저장실로 용출하는 데에 있어서, 상기 용출액에 유도체화 시약(誘導體化 試藥)을 용해하여 분석대상 물질과 함께 가스 크로마토그래프의 저장실에 주입하고, 저장실에서 분석대상 물질을 유도체화 한 후에 상기 유도체를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화학 물질의 분석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에 흡착된 분석대상 물질을 용출액으로 용출하고, 상기 용출액을 뒤이어 별개의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에 통과시켜 협잡물을 제거한 유출액을, 가스 크로마토그래프의 저장실에 주입하여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화학 물질의 분석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에 흡착된 분석대상 물질을 용출액으로 용출하고, 상기 용출액을 뒤이어 별개의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에 통과시켜 협잡물을 제거한 유출액을 가스 크로마토그래프의 저장실에 주입하는 데에 있어서, 상기 유출액에 유도체화 시약을 용해하여 분석대상 물질과 함께 가스 크로마토그래프의 저장실에 주입하고, 저장실에서 분석대상 물질을 유도체화 한 후에 상기 유도체를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화학 물질의 분석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대상 물질이 1종 내지 20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화학 물질의 분석방법.
  7. 분석대상 시료에 포함되어 있는 유기화학 물질을 추출 및 조제한 분석용 시료를 유입하여 분획하기 위한 액체 크로마토그래프와,
    이 액체 크로마토그래프에서 분획한 분석대상 물질을 포함하는 용리액에 상기 분석대상 물질의 용리시간에 의거하여 상기 용리액과는 다른 제1용액을 자동 공급하기 위한 제1공급수단과,
    상기 제1용액과 액체 크로마토그래프로 분획한 용리액의 혼합액에 의 하여 이동하여 온 분석대상 물질을 흡착시키기 위한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와,
    이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에 흡착된 분석대상 물질을 용출시키기 위한 용출액을 자동 공급하기 위한 제2공급수단과,
    상기 용출된 분석대상 물질을 가스 크로마토그래프에 유입하기 위하여 상기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의 유출구(流出口)에 연결되게 접속된 시린지 바늘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화학 물질의 분석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용액과 액체 크로마토그래프로 분획한 용리액의 혼합액에 의하여 이동하여 온 분석대상 물질을 상기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에서 흡착시키기 위한 제1경로에 대하여, 상기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에 흡착된 분석대상 물질을 용출하여 상기 가스 크로마토그래프에 유입하는 제2경로를 별도로 설치하고, 상기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를 2개의 경로에 각각에 착탈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화학 물질의 분석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용액과 액체 크로마토그래프로 분획한 용리액의 혼합액에 의하여 이동하여 온 분석대상 물질을 상기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에 공급하여 상기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에 흡착시키기 위한 제1공급상태와,
    상기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에 상기 용출액을 공급하여 상기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에 흡착된 분석대상 물질을 용출하여 상기 가스 크로마토그래프에 유입하는 제2공급상태의
    사이에서 공급상태를 전환하기 위한 전환밸브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화학 물질의 분석장치.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크로마토그래프가, 상기 시린지 바늘로부터 유입되는 분석대상 물질을 일단 저장시킬 수 있는 포집제(捕集劑)를 포함하지 않는 저장실을 기화실(氣化室) 내에 설치한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화학 물질의 분석장치.
  11. 분석대상 시료에 포함되어 있는 유기화학 물질을 추출 및 조제한 분석용 시료를 유입하여 분획하기 위한 액체 크로마토그래프와,
    이 액체 크로마토그래프로 분획되어 이동하여 온 분석대상 물질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수단과,
    이 검출수단으로부터의 분석대상 물질 검출신호에 의거하여 배출경로(排出經路) 측에서 주경로(主經路) 측으로 배출처(排出處)를 전환하기 위한 배출처 전환밸브와,
    상기 배출처 전환밸브에 의하여 주경로 측으로 전환되어 용리액과 함께 이동하여 온 분석대상 물질을 흡착시키기 위하여 상기 주경로에 구비시킨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와,
    이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에 흡착된 분석대상 물질을 가스 크로마토그래프에 유입하기 위하여 용출액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수단과,
    상기 용출액과 함께 용출한 분석대상 물질을 가스 크로마토그래프에 유입하기 위하여 상기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의 유출구에 연결되게 접속된 상하 동작(上下 動作) 가능한 시린지 바늘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화학 물질의 분석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용리액과 함께 이동하여 온 분석대상 물질을 상기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로 흡착시키기 위한 제1경로에 대하여, 상기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에 흡착된 분석대상 물질을 상기 공급수단으로부터의 용출액으로 용출하여 상기 가스 크로마토그래프에 유입하는 제2경로를 별도로 설치하고, 상기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를 상기 2개의 경로에 각각 착탈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화학 물질의 분석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용리액과 함께 이동하여 온 분석대상 물질을 상기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에 공급하여 상기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에 흡착시키기 위한 제1공급상태와,
    상기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에 상기 용출액을 공급하여 상기 고상 추출용 카트리지에 흡착된 분석대상 물질을 용출하여 상기 가스 크로마토그래프에 유입하는 제2공급상태의
    사이에서 공급상태를 전환하기 위한 공급상태 전환밸브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화학 물질의 분석장치.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크로마토그래프가, 상기 시린지 바늘로부터 유입되는 분석대상 물질을 일단 저장시킬 수 있는 포집제를 포함하지 않는 저장실을 기화실 내에 설치한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화학 물질의 분석장치.
KR1020067010861A 2003-12-05 2004-12-03 유기화학 물질의 분석방법 및 분석장치 KR2006013260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407067 2003-12-05
JPJP-P-2003-00407067 2003-12-05
JPJP-P-2004-00161061 2004-05-31
JP2004161061 2004-05-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2600A true KR20060132600A (ko) 2006-12-21

Family

ID=34810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0861A KR20060132600A (ko) 2003-12-05 2004-12-03 유기화학 물질의 분석방법 및 분석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042379B2 (ko)
EP (1) EP1698896A1 (ko)
JP (1) JP4492541B2 (ko)
KR (1) KR20060132600A (ko)
AU (1) AU2004314503A1 (ko)
WO (1) WO200507139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1592A (ko) 2017-12-29 2019-07-09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향료 조성물의 미량 물질 분석방법
KR20210133526A (ko) * 2020-04-29 2021-11-08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지표수 내 유기물의 분석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45408B2 (ja) * 2005-10-14 2011-03-09 株式会社島津製作所 ガスクロマトグラフ用試料注入装置
KR100757512B1 (ko) * 2006-11-16 2007-09-1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초고압 이중 온라인 고체상 추출 및 역상 액체크로마토그래피 장치
CN101936963B (zh) * 2010-07-28 2012-10-03 河北科技大学 有机锡自动测试仪
DE102010036770A1 (de) * 2010-07-30 2012-02-02 Joint Analytical Systems Gmbh Anordnung zur Probenaufbereitung und Analyse von Pestiziden
CN102967495B (zh) * 2012-11-21 2015-04-01 北京普立泰科仪器有限公司 样品前处理装置及处理方法
CN104133031A (zh) * 2014-07-31 2014-11-05 云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用在线固相萃取测定卷烟烟气苯并[α]芘方法及其装置
JP6519852B2 (ja) * 2015-01-16 2019-05-29 株式会社アイスティサイエンス 分析試料作製装置及び分析試料作製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87088A (en) * 1976-01-16 1977-07-20 Nippon Oil Co Ltd Pona analysis
JPS5938650A (ja) * 1982-08-28 1984-03-02 Shimadzu Corp 試料前処理装置付ガスクロマトグラフ
US5522988A (en) * 1985-01-25 1996-06-04 The Dow Chemical Company On-line coupled liquid and gas chromatography system with an interface capillary tube interposed between a pair of capillary chromatographic columns
US5236593A (en) * 1985-01-25 1993-08-17 The Dow Chemical Company On-line coupled liquid and gas chromatography system with an interface capillary tube interposed between a pair of capillary chromatographic columns
US4935145A (en) * 1985-01-25 1990-06-19 The Dow Chemical Company On-line coupled liquid and gas chromatography system
JPH0592717U (ja) * 1992-05-19 1993-12-17 武田薬品工業株式会社 フラクションコレクター
JPH063343A (ja) * 1992-06-19 1994-01-11 Fujita Corp ガスクロマトグラフ装置
JPH10197506A (ja) * 1996-12-27 1998-07-31 Shimadzu Corp 液体クロマトグラフ
JPH1194812A (ja) * 1997-09-22 1999-04-09 Asahi Breweries Ltd 飲料中のジオール類の検出法
JPH11258220A (ja) * 1998-03-13 1999-09-24 Gl Science Inc 固相抽出方法及び装置
ES2152153B1 (es) * 1998-05-22 2001-08-16 Consejo Superior Investigacion Dispositivo de interfase para el acoplamiento directo de cromatografia de liquidos y cromatografia de gases.
JPH11344477A (ja) * 1998-06-02 1999-12-14 Japan Organo Co Ltd 有害有機物質の分解処理装置の排水のモニタリング方法及び装置
SE9801949D0 (sv) * 1998-06-02 1998-06-02 Astra Ab Process control
JP2002174629A (ja) * 2000-12-06 2002-06-21 Saika Gijutsu Kenkyusho ガスクロマトグラフィーの試料注入方法及びその装置
US6719826B2 (en) * 2002-07-15 2004-04-13 Saika Technological Institute Found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ample injecting in gas chromatograph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1592A (ko) 2017-12-29 2019-07-09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향료 조성물의 미량 물질 분석방법
KR20210133526A (ko) * 2020-04-29 2021-11-08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지표수 내 유기물의 분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042379B2 (en) 2011-10-25
JPWO2005071398A1 (ja) 2007-07-26
JP4492541B2 (ja) 2010-06-30
US20080209983A1 (en) 2008-09-04
EP1698896A1 (en) 2006-09-06
AU2004314503A1 (en) 2005-08-04
WO2005071398A1 (ja) 2005-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10584B (zh) 利用固相萃取柱的有机化学物质的分析方法及其分析装置
Capriotti et al. Recent trends in matrix solid-phase dispersion
JP4780109B2 (ja) 有機化学物質の分析前処理装置及びその分析前処理方法
Vazquez-Roig et al. Pressurized liquid extraction of organic contaminants in environmental and food samples
Liu et al. Separation of polybrominated diphenyl ethers, polychlorinated biphenyls, polychlorinated dibenzo-p-dioxins and dibenzo-furans in environmental samples using silica gel and florisil fractionation chromatography
Picó et al. Current trends in solid-phase-based extraction techniques for the determination of pesticides in food and environment
David et al. Determination of pesticides in fatty matrices using gel permeation clean-up followed by GC-MS/MS and LC-MS/MS analysis: a comparison of low-and high-pressure gel permeation columns
KR20060132600A (ko) 유기화학 물질의 분석방법 및 분석장치
Quintana et al. Online coupling of bead injection lab-on-valve analysis to gas chromatography: application to the determination of trace levels of polychlorinated biphenyls in solid waste leachates
US20050106741A1 (en) Determination of aromatic hydrocarbons in edible oil products
García‐Rodríguez et al.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of polyhalogenated pollutants from aquaculture and marine environmental samples: A review
JP2006058238A (ja) 有機化学成分分離方法並びに装置
JP4065090B2 (ja) Pcb簡易測定装置
JP4207787B2 (ja) ダイオキシン類の簡易分析方法および簡易分析装置
JP4034914B2 (ja) ダイオキシン簡易測定装置
CN103109181B (zh) 用于试样制备和分析杀虫剂的hilic色谱柱组件和spe-积聚组件
Gillespie et al. Semi-preparative reverse phase HPLC fractionation of pesticides from edible fats and oils
Haglund et al. A Modular Approach to Pressurized Liquid Extraction With in-cell Clean-up.
Champmartin et al. Routine determination of benzo [a] pyrene at part-per-billion in complex industrial matrices by multidimensional liquid chromatography
Purcaro Classical and comprehensive 2D LC-GC
JP2000028598A (ja) 全自動試料連続精製・分析装置及び精製・分析方法
CN1890562A (zh) 有机化学物质的分析方法和分析装置
Toledano Torres et al. Analysis of pesticide residues by on line coupled liquid chromatography-gas chromatography using the through oven transfer adsorption desorption interface
US10858596B2 (en) Separation of fractions in hydrocarbon samples using an accelerated solvent extractor
Addink et al. Semi-Automated Cleanup of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in Environmental Samples—Complete Separation of PCDD/Fs and PCBs for Extracts in Tolue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