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1110A - 공기 조화 시스템 및 상기 공기 조화 시스템을 구성하는공기 순환기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 시스템 및 상기 공기 조화 시스템을 구성하는공기 순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1110A
KR20060131110A KR1020050051316A KR20050051316A KR20060131110A KR 20060131110 A KR20060131110 A KR 20060131110A KR 1020050051316 A KR1020050051316 A KR 1020050051316A KR 20050051316 A KR20050051316 A KR 20050051316A KR 20060131110 A KR20060131110 A KR 200601311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vane
discharge hole
circulator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1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희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1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31110A/ko
Publication of KR20060131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11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0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sea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2007/005Cyclic ventilation, e.g. alternating air supply volume or reversing flow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3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electric 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조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공기 조화 시스템 및 상기 공기 조화 시스템을 구성하는 공기 순환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순환 시스템은 공기 조화기; 및 상기 공기 조화기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대상지의 공기의 조화를 위해 상기 공기 조화기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흡입 및 배출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순환을 촉진하는 공기 순환기;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순환기는 케이스; 흡입 홀과, 제 1 배출 홀과 제 2 배출 홀; 공기에 대한 흡입력을 제공하는 팬; 팬 모터; 및 상기 제 1 배출 홀과 상기 제 2 배출 홀을 각각 차폐할 수 있는 제 1 베인과 제 2 베인;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 및 상기 공기 조화 시스템을 구성하는 공기 순환기에 의하면, 대상지에 대해 공기 조화의 사각지대가 없는 공기 조화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고, 요구되는 공기 순환의 유로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공기 조화, 공기 순환, 베인

Description

공기 조화 시스템 및 상기 공기 조화 시스템을 구성하는 공기 순환기{Air conditioning system, and air circulating apparatus construct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의 구성 및 작동 상태에 대한 제 1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의 구성 및 작동 상태에 대한 제 2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을 구성하는 공기 순환기의 구성 및 작동 상태에 대한 제 1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을 구성하는 공기 순환기의 구성 및 작동 상태에 대한 제 2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공기 조화기 20 : 공기 순환기
21 : 케이스 22 : 흡입 홀
23 : 팬 24 : 팬 모터
25 : 제 1 배출 홀 26 : 제 1 베인
27 : 제 1 베인 모터 28 : 제 2 배출 홀
29 : 제 2 베인 30 : 제 2 베인 모터
본 발명은 공기 조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공기 조화 시스템 및 상기 공기 조화 시스템을 구성하는 공기 순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공기 조화기는 실내 공기를 쾌적한 상태로 유지하는 장치이다. 상세히, 상기 공기 조화기는 일정한 공간을 인간이 활동하기에 알맞은 온도, 습도, 기류(氣流) 분포로 조절하고, 동시에 공기 속의 먼지 등을 제거할 수 있는 장치이다.
상기와 같은 공기 조화기는 주로 대형 건물에 사용되는 방식인 중앙 집중 방식과 주로 가정, 사무실 등에서 사용되는 소형의 방식인 유닛 방식으로 구분된다.
한편, 종래의 공기 조화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상기와 같은 공기 조화기만을 그 주요 구성 요소로 하여, 공기 조화의 대상지인 실내 등에 대하여 냉, 난방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공기 조화 시스템은 상기 공기 조화기의 공기 배출량 및 그 배출력의 한계와, 배출 공기에 대한 그 자체적인 기류 방향의 조정의 한계로 인해, 공기 조화의 대상지의 전체에 대한 균일한 냉, 난방을 수행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종래의 공기 조화 시스템에 의하면, 공기 조화의 사각지대(dead zone)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공기 조화 장치를 거친 공기의 순환을 원활히 하여, 공기 조화의 대상지 전체에 대해 균일한 냉, 난방을 수행할 수 있는 공기 조화 시스템 및 상기 공기 조화 시스템을 구성하는 공기 순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순환 시스템은 소정 냉동 사이클을 이용하여 공기 조화 대상지의 공기를 조화시키는 공기 조화기; 및 상기 공기 조화기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대상지의 공기의 조화를 위해 상기 공기 조화기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흡입 및 배출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순환을 촉진하는 공기 순환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순환기는 소정 냉동 사이클을 이용하여 공기 조화 대상지의 공기를 조화시키는 공기 조화기와 함께 공기 조화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으로서,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형성되어, 공기가 흡입될 수 있는 흡입 홀과, 상기 흡입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는 제 1 배출 홀과 제 2 배출 홀; 상기 흡입 홀을 통해 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공기에 대한 흡입력을 제공하는 팬; 상기 팬을 구동시키는 팬 모터; 및 상기 제 1 배출 홀과 상기 제 2 배출 홀을 각각 차폐할 수 있는 제 1 베인과 제 2 베인;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 및 상기 공기 조화 시스템을 구성하는 공기 순환기에 의하면, 공기 조화기와 함께 공기 순환기가 구비되어, 공기 조화 대상지의 공기 순환이 촉진된다. 따라서, 대상지에 대해 공기 조화의 사각지대가 없는 공기 조화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 및 상기 공기 조화 시스템을 구성하는 공기 순환기에 의하면, 공기 순환기의 공기 배출 홀의 선택적인 차폐가 가능하므로, 요구되는 공기 순환의 유로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의 구성 및 작동 상태에 대한 제 1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의 구성 및 작동 상태에 대한 제 2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는 예시적으로 스탠드형의 공기 조화기를 채용하고,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는 예시적으로 벽걸이형의 공기 조화기를 채용한다. 그러나, 이 것은 기류 방향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이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밝혀 둔다.
도 1 및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은 공기 조화기(10, 11)와, 상기 공기 조화기(10, 11)와 함께 실내 공기의 순환을 촉진하는 공기 순환기(20)를 포함한다.
상기 공기 조화기(10, 11)는 소정 냉동 사이클을 이용하여 공기 조화 대상지인 실내 공기를 조화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상기 공기 조화기(10, 11)로 실내기 와 실외기의 일체형, 분리형 등의 다양한 방식의 공기 조화기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순환기(20)는 상기 공기 조화기(10, 11)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게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공기 조화기(20)는 실내 공기의 조화를 위해 상기 공기 조화기(10, 11)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흡입 및 배출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10, 11)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순환을 촉진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스탠드형의 공기 조화기(10)가 채용된다. 상기 공기 조화기(10)는 공기 조화 대상지인 실내의 하방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 후 다시 실내의 상방으로 공기를 배출한다.
이 때,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은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맞은편에 상기 공기 순환기(20)를 채용한다. 상기와 같이 배치된 상기 공기 순환기(20)는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공기 흡입력 및 배출력을 보조한다.
상세히, 상기 공기 순환기(20)는 상방으로부터 실내 공기를 유입하고, 다시 그 하방으로 공기를 배출한다. 그러면, 상기 실내 상방의 공기는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배출력과 상기 공기 순환기(20)의 흡입력을 함께 받게 되므로, 상기 실내 상방의 공기 순환이 촉진될 수 있다. 이와 동일한 원리로, 상기 실내 하방의 공기는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흡입력과 상기 공기 순환기(20)의 배출력을 함께 받게 되므로, 상기 실내 하방의 공기 순환이 촉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에 의하면, 공기 조화 대상지인 실내의 공기 순환이 촉진되고, 상기 공기 조화기(10) 및 상기 공기 순환기(20)의 적절한 배치에 의해, 공기 조화의 사각지대(dead zone)를 없앨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기 순환기(20)는 그 내부로 흡입된 공기가 그 상방으로 배출되도록, 상방으로 형성된 제 1 배출 홀과, 흡입된 공기가 그 하방으로 배출되도록, 하방으로 형성된 제 2 배출 홀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 순환기(20)는 상기 제 1 배출 홀을 차폐할 수 있는 제 1 베인과, 상기 제 2 배출 홀을 차폐할 수 있는 제 2 베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배출 홀과 상기 제 2 배출 홀은 각각 제 1 베인과 상기 제 2 베인에 의해 택일적으로 개구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순환기(20)에 대하여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을 구성하는 공기 순환기의 구성 및 작동 상태에 대한 제 1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을 구성하는 공기 순환기의 구성 및 작동 상태에 대한 제 2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을 구성하는 공기 순환기(20)는 소정 냉동 사이클을 이용하여 공기 조화 대상지인 실내 공기를 조화시키는 공기 조화기와 함께 공기 조화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공기 순환기(20)는 그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21)와, 상기 케이스(21)에 형성되어 공기가 흡입될 수 있는 흡입 홀(22)과, 상기 흡입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는 제 1 배출 홀(25)과 제 2 배출 홀(28)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공기 순환기(20)는 상기 흡입 홀(22)을 통해 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공기에 대한 흡입력을 제공하는 팬(23)과, 상기 팬(23)을 구동시키는 팬 모터(24)와, 상기 제 1 배출 홀(25)과 상기 제 2 배출 홀(28)을 각각 차폐할 수 있는 제 1 베인(26)과 제 2 베인(29)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공기 순환기(20)는 상기 제 1 베인(26)과 상기 제 2 베인(29)을 각각 구동시키는 제 1 베인 모터(27)와 제 2 베인 모터(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배출 홀(25)은 상기 케이스(21)의 상방으로 형성되어, 상기 흡입 홀(22)을 통해 흡입된 공기가 상방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배출 홀(28)은 상기 케이스(21)의 하방으로 형성되어, 상기 흡입 홀(22)을 통해 흡입된 공기가 하방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배출 홀(25)과 상기 제 2 배출 홀(28)은 택일적으로 차폐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1 배출 홀(25)이 상기 제 1 베인(26)에 의해 차폐되면, 상기 제 2 배출 홀(28)은 개구된다. 동일한 원리로, 상기 제 2 배출 홀(28)이 상기 제 2 베인(29)에 의해 차폐되면, 상기 제 1 배출 홀)25)은 개구된다. 상기와 같이 제 1 배출 홀(25)과 상기 제 2 배출 홀(28)이 택일적으로 차폐됨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10)의 형태 및 그에 의해 형성되는 기류에 따라, 상기 공기 순환기(20)의 공기 배출 방향을 선택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상기 제 1 배출 홀(25)과 상기 제 2 배출 홀(28)이 동시에 개구되어, 상기 공기 순환기(20)의 상방 및 하방으로 동시에 공기가 배출될 수도 있다.
상기 제 1 베인 모터(27)와, 상기 제 2 베인 모터(30)는 각각 상기 제 1 베인(26)과, 상기 제 2 베인(29)을 소정 각도 내로 정방향,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따라서, 상기 제 1 베인 모터(27)와 상기 제 2 베인 모터(30)는 스텝 모터(step motor)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팬 모터(24)는 상기 공기 순환기(20)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기 위해 상기 팬(23)을 회전시키는 부분이다. 상기 공기 순환기(20)가 이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실내 등에 적용된다. 따라서, 상기 공기 순환기(20)은 저소음, 고효율의 장치일 것이 요구된다. 상기와 같은 요구에 부합될 수 있도록, 상기 팬 모터(24)는 저소음으로 고속 회전이 가능한 BLDC 모터(brushless motor)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 및 상기 공기 조화 시스템을 구성하는 공기 순환기에 의하면, 공기 조화기와 함께 공기 순환기가 구비되어, 공기 조화 대상지의 공기 순환이 촉진된다. 따라서, 대상지에 대해 공기 조화의 사각지대가 없는 공기 조화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 및 상기 공기 조화 시스템을 구성하는 공기 순환기에 의하면, 공기 순환기의 공기 배출 홀의 선택적인 차폐가 가능하므로, 요구되는 공기 순환의 유로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소정 냉동 사이클을 이용하여 공기 조화 대상지의 공기를 조화시키는 공기 조화기; 및
    상기 공기 조화기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대상지의 공기의 조화를 위해 상기 공기 조화기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흡입 및 배출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순환을 촉진하는 공기 순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순환기는 흡입된 공기가 그 상방으로 배출되도록, 상방으로 형성된 제 1 배출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순환기는 흡입된 공기가 그 하방으로 배출되도록, 하방으로 형성된 제 2 배출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순환기는 상기 제 1 배출 홀을 차폐할 수 있는 제 1 베인과, 상기 제 2 배출 홀을 차폐할 수 있는 제 2 베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 화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배출 홀과 상기 제 2 배출 홀은 각각 제 1 베인과 상기 제 2 베인에 의해 택일적으로 개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
  6. 소정 냉동 사이클을 이용하여 공기 조화 대상지의 공기를 조화시키는 공기 조화기와 함께 공기 조화 시스템을 구성하는 공기 순환기에 있어서,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형성되어, 공기가 흡입될 수 있는 흡입 홀과, 상기 흡입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는 제 1 배출 홀과 제 2 배출 홀;
    상기 흡입 홀을 통해 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공기에 대한 흡입력을 제공하는 팬;
    상기 팬을 구동시키는 팬 모터; 및
    상기 제 1 배출 홀과 상기 제 2 배출 홀을 각각 차폐할 수 있는 제 1 베인과 제 2 베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순환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순환기는 상기 제 1 베인과 상기 제 2 베인을 각각 구동시키는 제 1 베인 모터와 제 2 베인 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순환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베인 모터와 상기 제 2 베인 모터는 스텝 모터(step moto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순환기.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팬 모터는 BLDC 모터(brushless moto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순환기.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배출 홀은 상기 케이스의 상방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배출 홀은 상기 케이스의 하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순환기.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배출 홀이 상기 제 1 베인에 의해 차폐되면, 상기 제 2 배출 홀은 개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순환기.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배출 홀이 상기 제 2 베인에 의해 차폐되면, 상기 제 1 배출 홀은 개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순환기.
KR1020050051316A 2005-06-15 2005-06-15 공기 조화 시스템 및 상기 공기 조화 시스템을 구성하는공기 순환기 KR200601311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1316A KR20060131110A (ko) 2005-06-15 2005-06-15 공기 조화 시스템 및 상기 공기 조화 시스템을 구성하는공기 순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1316A KR20060131110A (ko) 2005-06-15 2005-06-15 공기 조화 시스템 및 상기 공기 조화 시스템을 구성하는공기 순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1110A true KR20060131110A (ko) 2006-12-20

Family

ID=37811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1316A KR20060131110A (ko) 2005-06-15 2005-06-15 공기 조화 시스템 및 상기 공기 조화 시스템을 구성하는공기 순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3111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90407A (zh) * 2016-10-26 2018-05-04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室内换热装置、空调器及空调器的控制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90407A (zh) * 2016-10-26 2018-05-04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室内换热装置、空调器及空调器的控制方法
CN107990407B (zh) * 2016-10-26 2020-08-25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器的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9342B1 (ko) 공기조화기
EP1734313A1 (en)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TW200510682A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JP2016538515A (ja) 家庭用空気流発生装置
JP6075088B2 (ja) 空気調和機
KR100762142B1 (ko) 실내 공기조화장치
US20060010896A1 (en) Air-conditioning system
JPH0271027A (ja) 空気調和機及び空気調和方法
JP7185185B2 (ja) 空気調和機
JP5492624B2 (ja) 空気調和機
KR20210106141A (ko)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KR20060131110A (ko) 공기 조화 시스템 및 상기 공기 조화 시스템을 구성하는공기 순환기
JPH11132496A (ja) 空気調和装置
KR20090017287A (ko) 공기조화 시스템
KR100765163B1 (ko) 공기조화기
JP2001108271A (ja) 換気装置、それを用いた空調換気システム及び建物
KR100617102B1 (ko) 환기겸용 열교환 유닛
JP2004019960A (ja) 優れた冷房効果を具えた空調送風機
JP2010101600A (ja) 空調システム
KR20090010449A (ko) 공기조화기
KR102336631B1 (ko) 에어컨
JP2009058220A (ja) 空気調和方法及び空気調和機
KR20070078253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2015099009A (ja) 空気調和方法及び空気調和機
CN1959252B (zh) 空调系统及构成空调系统的空气循环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