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6141A -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6141A
KR20210106141A KR1020200020925A KR20200020925A KR20210106141A KR 20210106141 A KR20210106141 A KR 20210106141A KR 1020200020925 A KR1020200020925 A KR 1020200020925A KR 20200020925 A KR20200020925 A KR 20200020925A KR 20210106141 A KR20210106141 A KR 202101061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ed
indoor
outdoor
motor
rotation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0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0350B1 (ko
Inventor
장지현
이동활
박보희
서성호
박현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20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0350B1/ko
Priority to US17/172,477 priority patent/US11898767B2/en
Publication of KR20210106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61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0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03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 F24F1/027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mounted in wall openings, e.g. in windo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4Electronic processing using pre-stored dat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24F11/77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by controlling the speed of venti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20Feedback from us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소음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내 공기를 유동시키는 팬을 구동하는 실내 모터와 실외 공기를 유동시키는 팬을 구동하는 실외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동작 모드에 따라 실내 공기를 유동시키는 팬을 구동하는 실내 모터의 회전 속도와, 실외 공기를 유동시키는 팬을 구동하는 실외 모터의 최대 회전 속도를 설정하고, 실내 환경에 대한 정보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설정값에 따라 상기 최대 회전 속도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 실외 모터의 회전 속도를 가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대상 공간의 공기를 냉각, 가열, 또는 정화시키거나, 대상 공간에 대하여 가습 동작 또는 제습 동작을 수행하는 장치를 말한다. 공기조화기가 대상 공간의 공기를 냉각하기 위해, 배관에 의해 순차적으로 연결된 압축기, 응축기, 팽창장치 및 증발기를 포함할 수 있다. 냉매는 배관을 통해 압축기, 응축기, 팽창장치 및 증발기를 순환한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분리형 공기조화기 및 일체형 공기조화기로 구분될 수 있다.
분리형 공기조화기는, 실내에 배치되어 실내공간에 조화된 공기를 토출하는 실내기와, 실내기와 배관을 통하여 연결되며 실외에 배치되는 실외기를 포함한다. 실내기는 실내 열교환기를 포함할 수 있고, 실외기는 실외 열교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분리형 공기조화기가 냉방운전을 수행할 때, 실외 열교환기는 응축기로서 기능하며 실내 열교환기는 증발기로서 기능할 수 있다. 분리형 공기조화기가 난방운전을 수행할 때, 실내 열교환기는 응축기로서 기능하며 실외 열교환기는 증발기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일체형 공기조화기는, 하나의 케이스 내부에 응축기와 증발기가 함께 설치된다. 응축기는 실외측에 배치되어 외기와 열교환하며, 증발기는 실내측에 배치되어 실내 공기와 열교환한다.
선행기술문헌 1(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10240호)는, 일체형 공기조화기를 공개한다. 선행기술문헌 1의 공기조화기는 하나의 모터가 실내측의 공기유동을 발생시키는 증발팬과 실외측의 공기유동을 발생시키는 응축팬을 모두 회전시킨다. 따라서, 소음의 발생을 조절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10240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소음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다 세분화된 동작 모드를 제공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필요한 성능은 확보하면서, 신뢰성도 확보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소음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다 세분화된 동작 모드를 제공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필요한 성능은 확보하면서, 신뢰성도 확보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내 공기를 유동시키는 팬을 구동하는 실내 모터와 실외 공기를 유동시키는 팬을 구동하는 실외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및/또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은, 동작 모드에 따라 실내 공기를 유동시키는 팬을 구동하는 실내 모터의 회전 속도와, 실외 공기를 유동시키는 팬을 구동하는 실외 모터의 최대 회전 속도를 설정하고, 실내 환경에 대한 정보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설정값에 따라 상기 최대 회전 속도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 실외 모터의 회전 속도를 가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및/또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은 실내 온도와 설정 온도에 따라 실외 공기를 유동시키는 팬을 구동하는 실외 모터의 회전 속도와 압축기의 동작 주파수를 조절하되, 실외 모터의 회전 속도는 동작 모드에 따라 설정된 최대 회전 속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 때, 실내 공기를 유동시키는 팬을 구동하는 실내 모터의 회전 속도는 동작 모드에 따러 설정된 값으로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되고, 실내 공기를 유동시키는 실내팬,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되고, 상기 실내팬을 구동하는 실내 모터,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되고, 실외 공기를 유동시키는 실외팬,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되고, 상기 실외팬을 구동하는 실외 모터, 및 실내 환경에 대한 정보 및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설정값에 따라 상기 실내 모터와 상기 실외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실내 모터의 회전 속도와 상기 실외 모터의 최대 회전 속도를 설정한 후, 상기 실내 모터를 상기 회전 속도로 회전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실외 모터는 상기 최대 회전 속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상기 실내팬의 전방에 배치되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로부터 배출된 냉매가 유입되는 압축기, 및 상기 실외팬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압축기로부터 배출된 상기 냉매가 유입되고, 상기 증발기로 상기 냉매를 배출하는 응축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상기 실내 환경에 대한 정보는 실내 온도이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설정값은 설정 온도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내 온도와 상기 설정 온도의 차이에 따라 상기 실외 모터의 회전 속도와 상기 압축기의 운전 주파수를 조정하되, 상기 실외 모터의 회전 속도가 상기 최대 회전 속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상기 실내팬은 횡류팬이고 상기 실외팬은 축류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상기 동작 모드는 상기 실내 모터의 회전 속도에 따라 결정되는 모드로서 적어도 4개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상기 동작 모드는 슈퍼 로우 모두, 로우 모드, 미들 모드, 및 하이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슈퍼 로우 모드이면 상기 실내팬이 제1-1 속도로 회전하도록 상기 실내 모터의 상기 회전 속도를 설정하고, 상기 실외팬의 최대 회전 속도가 제2-1 속도가 되도록 상기 실외 모터의 상기 최대 회전 속도를 설정하고,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로우 모드이면 상기 실내팬이 상기 제1-1 속도보다 큰 제1-2 속도로 회전하도록 상기 실내 모터의 상기 회전 속도를 설정하고, 상기 실외팬의 최대 회전 속도가 상기 제2-1 속도보다 큰 제2-2 속도가 되도록 상기 실외 모터의 상기 최대 회전 속도를 설정하고,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미들 모드이면 상기 실내팬이 상기 제1-2 속도보다 큰 제1-3 속도로 회전하도록 상기 실내 모터의 상기 회전 속도를 설정하고, 상기 실외팬의 최대 회전 속도가 상기 제2-2 속도보다 큰 제2-3 속도가 되도록 상기 실외 모터의 상기 최대 회전 속도를 설정하고, 상기 동작 모드가 하이 모드이면 상기 실내팬이 상기 제1-3 속도보다 큰 제1-4 속도로 회전하도록 상기 실내 모터의 상기 회전 속도를 설정하고, 상기 실외팬의 최대 회전 속도가 상기 제2-3 속도보다 큰 제2-4 속도가 되도록 상기 실외 모터의 상기 최대 회전 속도를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상기 제1-1 속도는 상기 제2-1 속도보다 크고, 상기 제1-2 속도는 상기 제2-2 속도와 동일하고, 상기 제1-3 속도는 상기 제2-3 속도보다 작고, 상기 제1-4 속도는 상기 제2-4 속도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상기 제1-3 속도와 상기 제2-3 속도의 차이는 상기 제1-4 속도와 상기 제2-4 속도의 차이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상기 동작 모드 및 상기 설정값을 입력하고, 상기 공기조화기의 운전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상기 동작 모드에 따른 상기 실내 모터의 상기 회전 속도와, 상기 동작 모드에 따른 상기 실외 모터의 상기 최대 회전 속도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메모리를 억세스하여 상기 실내 모터의 상기 회전 속도 및 상기 실외 모터의 상기 최대 회전 속도를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은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되고, 실내 공기를 유동시키는 실내팬,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되고, 상기 실내팬을 구동하는 실내 모터,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되고, 실외 공기를 유동시키는 실외팬,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되고, 상기 실외팬을 구동하는 실외 모터, 및 상기 실내 모터와 상기 실외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동작 모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실내 모터의 회전 속도와 상기 실외 모터의 최대 회전 속도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실내 모터는 상기 회전 속도로 회전하도록 제어하고, 실내 환경에 대한 정보 및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설정값에 따라 상기 실외 모터의 회전 속도를 가변시키되, 상기 실외 모터의 회전 속도가 상기 최대 회전 속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의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실내팬의 전방에 배치되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로부터 배출된 냉매가 유입되는 압축기, 및 상기 실외팬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압축기로부터 배출된 상기 냉매가 유입되고, 상기 증발기로 상기 냉매를 배출하는 응축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내 환경에 대한 정보는 실내 온도이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설정값은 설정 온도이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실내 온도와 상기 설정 온도의 차이에 따라 상기 압축기의 운전 주파수를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실내 온도와 상기 설정 온도의 차이에 따라 상기 실외 모터의 회전 속도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의 상기 동작 모드는 슈퍼 로우 모두, 로우 모드, 미들 모드, 및 하이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슈퍼 로우 모드이면 상기 실내팬이 제1-1 속도로 회전하도록 상기 실내 모터의 상기 회전 속도를 설정하고, 상기 실외팬의 최대 회전 속도가 제2-1 속도가 되도록 상기 실외 모터의 상기 최대 회전 속도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로우 모드이면 상기 실내팬이 상기 제1-1 속도보다 큰 제1-2 속도로 회전하도록 상기 실내 모터의 상기 회전 속도를 설정하고, 상기 실외팬의 최대 회전 속도가 상기 제2-1 속도보다 큰 제2-2 속도가 되도록 상기 실외 모터의 상기 최대 회전 속도를설정하는 단계,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미들 모드이면 상기 실내팬이 상기 제1-2 속도보다 큰 제1-3 속도로 회전하도록 상기 실내 모터의 상기 회전 속도를 설정하고, 상기 실외팬의 최대 회전 속도가 상기 제2-2 속도보다 큰 제2-3 속도가 되도록 상기 실외 모터의 상기 최대 회전 속도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동작 모드가 하이 모드이면 상기 실내팬이 상기 제1-3 속도보다 큰 제1-4 속도로 회전하도록 상기 실내 모터의 상기 회전 속도를 설정하고, 상기 실외팬의 최대 회전 속도가 상기 제2-3 속도보다 큰 제2-4 속도가 되도록 상기 실외 모터의 상기 최대 회전 속도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의 상기 제1-1 속도는 상기 제2-1 속도보다 크고, 상기 제1-2 속도는 상기 제2-2 속도와 동일하고, 상기 제1-3 속도는 상기 제2-3 속도보다 작고, 상기 제1-4 속도는 상기 제2-4 속도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의 상기 제1-3 속도와 상기 제2-3 속도의 차이는 상기 제1-4 속도와 상기 제2-4 속도의 차이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에 따르면, 소음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에 따르면, 보다 세분화된 동작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에 따르면, 필요한 성능을 확보하면서, 신뢰성도 확보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가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가 케이스에 삽입된 상태에서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전측방에서 바라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후측방에서 바라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동작 모드에 따른 실내팬의 회전 속도와 실외팬의 최대 회전 속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0)가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0)는 일체형 공기조화기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0)는 케이스의 내부에 응축기와 증발기가 함께 배치될 수 있다. 응축기는 실외측에 배치되어 외기와 열교환할 수 있고, 증발기는 실내측에 배치되어 실내 공기와 열교환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0)는 벽면(1)과 창문(2)이 구비되는 건물에 있어서, 벽면(1)에 형성된 구멍(설치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다르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0)는 창문(2)이 위치하는 영역에 마련된 설치공간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0)가 케이스(200)에 삽입된 상태에서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로서, 공기조화기(100)는 케이스(200)의 전면에서부터 케이스(200)의 내부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전방 또는 전면 등은 벽면(도 1의 1) 또는 창문(도 1의 2) 등을 기준으로 실내측으로 향하는 방향 또는 그 방향의 면을 지칭하고, 후방 또는 후면 등은 그 반대면, 즉 실외측으로 향하는 방향 또는 그 방향의 면을 지칭한다.
케이스(200)는 전방부가 개구된 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내부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케이스(200)의 후면에는 공기의 흡입 및/또는 토출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200)는 공기조화기의 설치 공간에 고정될 수 있다. 케이스(200)는 공기조화기의 설치 공간이 미리 배치되어있을 수도 있고, 공기조화기(100)와 함께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도 있다.
공기조화기(100)는 프론트 패널(11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패널(110)의 전면에는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는 실내 흡입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패널(110)의 상부에는 조화된 공기를 토출하는 실내 배출부(114)가 형성될 수 있다.
실내 흡입부(112)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공기조화기(100)의 본체부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된 후, 실내 배출부(114)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프론트 패널(110)의 상부에는 인터페이스 개구부(116)가 형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 개구부(116)를 통해 컨트롤 박스의 디스플레이가 노출될 수 있다. 컨트롤 박스의 디스플레이는 공기조화기의 작동 정보를 보여줄 수도 있다. 또한, 컨트롤 박스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사용자에 의한 작동 명령 및/또는 희망 온도 등이 입력될 수도 있다.
도 3은 전측방에서 바라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후측방에서 바라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0)는 프론트 패널(110) 및 본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20)는 베이스(122), 베이스(122) 상에 배치되며 실내 공기가 유동하는 실내 본체부, 및 베이스(122) 상에 배치되며 실외 공기가 유동하는 실외 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의 공기조화기(100)의 프론트 패널(110)은 도 2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할 수 있다.
본체부(120)는 베이스(122) 및 베이스(130)에 설치된 복수개의 구성 요소들을 포함한다. 복수개의 구성요소들은 실내 본체부와 실외 본체부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구성요소들은 배리어 어셈블리(136), 컨트롤 박스(140), 쉬라우드(166), 압축기(172), 및 응축기(19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20)는 케이스(20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본체부(120)는 부품의 교체 또는 수리 등을 위하여 케이스(2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컨트롤 박스(140)의 측면에는 공기 흡입부(141a)가 형성되고, 컨트롤 박스(140)의 후면에는 공기 배출부(141b)가 형성될 수 있다. 컨트롤 박스(140)가 실내측 본체부와 실외측 본체부의 경계선에 설치되고, 컨트롤 박스(140)에 공기 흡입부(141a) 및 공기 배출부(141b)가 형성됨으로써 컨트롤 박스(140)로 빗물 등이 침투할 가능성을 방지함과 동시에, 컨트롤 박스(140) 내부로 실외 공기가 순환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본체부(140)의 구성요소들의 구체적인 기능 및 배치는 도 5를 참고하여 후술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0)는 프론트 패널(110) 및 본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20)는 베이스(122), 증발기(132), 히터(134), 배리어 어셈블리(136), 컨트롤 박스(140), 컨트롤 박스 커버(158), 모터 브라켓(162), 응축팬 모터(164), 쉬라우드(166), 응축팬(168), 압축기(172), 복수개의 배관들(182, 184, 186), 응축기(190), 및 후면 그릴들(192, 194)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패널(110)은 도 2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부(120)는 베이스(122), 실내 공기가 유동하는 실내측 본체부, 및 실외 공기가 유동하는 실외측 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배리어 어셈블리(136) 및 컨트롤 박스(140)가 실외측 본체부와 실내측 본체부의 경계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배리어 어셈블리(136)의 후면 및 컨트롤 박스(140) 내부의 메인 기판이 실외측 본체부와 실내측 본체부의 경계를 형성하며, 배리어 어셈블리(136)의 후면 및 컨트롤 박스(140) 내부의 메인 기판의 전방에 배치되는 구성요소들이 실내측 본체부를 구성하고, 배리어 어셈블리(136)의 후면 및 컨트롤 박스(140) 내부의 메인 기판의 후방에 배치되는 구성요소들이 실외측 본체부를 구성할 수 있다.
증발기(132)는 프론트 패널(110)의 내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실내 흡입부(112)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증발기(132)를 통과하여 실내 배출부(114)로 배출될 수 있다. 응축기(190)에서 응축된 냉매는 제3 배관부(186)를 통해 증발기(132)로 유입될 수 있고, 증발기(132)를 통과한 냉매는 제1 배관부(182)를 통해 압축기(172)로 배출될 수 있다. 제3 배관부(186)는 응축기(190)에서 응축된 냉매를 감압하는 팽창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실내 흡입부(112)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증발기(132)를 통과하면서, 증발기(132) 내의 냉매와 열교환될 수 있다.
히터(134)는 증발기(132)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히터(134)는 실내 흡입부(112)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배리어 어셈블리(136)는 증발기(132)의 후방(보다 구체적으로는 증발기(132)의 후방에 배치된 히터(134)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배리어 어셈블리(136)는 실외측 본체부와 실내측 본체부를 구획하는 기능을 수행하면서, 실내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다. 즉, 배리어 어셈블리(136)의 후판(136a)은 평판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실내측 공기유로와 실외측 공기유로를 분리시킬 수 있다. 배리어 어셈블리(136)는 후판(136a)을 포함하는 배리어 구조물과, 배리어 구조물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된 증발팬(136b)과, 배리어 구조물에 고정된 증발팬 모터(136c)를 포함할 수 있다. 증발팬(136b) 및 증발팬 모터(136c)는 배리어 어셈블리(136)의 후판(136a)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증발팬(136b) 및 증발팬 모터(136c)는 실내측 본체부에 포함될 수 있다. 증발팬 모터(136c)는 증발팬(136b)를 회전시킬 수 있다. 증발팬(136b)은 증발기(132) 및/또는 히터(134)를 통과한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할 수 있다. 증발팬(136b)에 의해 배출된 공기는 실내 배출부(114)를 통해 실내로 배출될 수 있다. 즉, 증발팬(136b)은 실내 공기를 유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증발팬(136b)은 횡류팬(corss-flow fan)일 수 있다.
컨트롤 박스(140)는 적어도 전면의 일부가 프론트 패널(110)의 내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컨트롤 박스(140)는 상기 배리어 어셈블리(136)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컨트롤 박스(140)는 케이스(도 2의 200)의 내측면과 일정한 거리 이상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스(도 2의 200)의 측면과 컨트롤 박스(140)의 내측면 사이의 거리는 15mm 이상일 수 있다. 컨트롤 박스(140)는 증발팬 모터(136c), 응축팬 모터(164), 및 압축기(172)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 박스(140)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은 도 6 및 도 7을 참고하여 후술한다.
컨트롤 박스 커버(158)는 컨트롤 박스(140)의 상부에 배치되며, 컨트롤 박스(140)의 상부면을 덮을 수 있다.
모터 브라켓(162)은 응축팬 모터(164)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모터 브라켓(162)은 응축팬 모터(164)를 지지하고 고정할 수 있다.
응축팬 모터(164)는 배리어 어셈블리(136)의 후판(136a)과 쉬라우드(166)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응축팬 모터(164)는 응축팬(168)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응축팬 모터(164)는 특히, 응축팬 모터(164)는 응축팬 모터(164)의 모터축과 쉬라우드(166)의 쉬라우드 개구부(166a)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쉬라우드(166)는 배리어 어셈블리(136)와 응축기(19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쉬라우드(166)는 배리어 어셈블리(136)의 후방에 배리어 어셈블리(136)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쉬라우드(166)는 응축기(190)와 결합할 수 있다. 쉬라우드(166)는 응축팬(168)과 결합되어 응축팬(168)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쉬라우드(166)에는 응축팬(168)의 흡입측으로 공기를 가이드하는 쉬라우드 개구부(166a)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케이스(도 2의 200)의 내부로 유입된 실외 공기는 쉬라우드 개구부(166a)를 통해 응축팬(168)으로 흡입될 수 있다.
응축팬(168)은 쉬라우드(166)와 응축기(19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응축팬(168)은 응축기(190)의 전방의 공간 중 쉬라우드(166)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응축팬(168)은 쉬라우드(166)와 결합될 수 있다. 응축팬(168)은 쉬라우드 개구부(166a)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한 공기를 응축기(190)로 배출할 수 있다. 즉, 응축팬(168)은 실외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다. 응축팬(168)은 축류팬(axial-flow fan)일 수 있다. 즉, 응축팬(168)은 축 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고, 축 방향으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압축기(172)는 컨트롤 박스(140)의 후방과 쉬라우드(166)의 측면 사이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압축기(172)는 컨트롤 박스(140) 및 쉬라우드(166)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압축기(172)의 일측에 기액분리기가 배치될 수 있다. 압축기(172)는 제1 배관부(182)를 통해 증발기(132)와 연결될 수 있다. 증발기(132)로부터 배출된 냉매는 제1 배관부(182)를 통해 압축기(172)로 유입된다. 압축기(172)는 유입된 냉매를 압축하여 제2 배관부(184)를 통해 응축기(190)로 배출할 수 있다.
응축기(190)는 쉬라우드(166)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응축기(190)는 쉬라우드(166)의 후방에서 쉬라우드(166)와 결합될 수 있다. 응축팬(168)으로부터 배출된 공기는 응축기(190)를 통해 실외로 배출될 수 있다. 압축기(172)로부터 배출된 냉매는 제2 배관부(184)를 통해 응축기(190)로 유입될 수 있다. 응축기(190)는 유입된 냉매를 응축하여 제3 배관부(186)를 통해 증발기(132)로 배출할 수 있다.
후면 그릴들(192, 194)은 응축기(190)의 후방에, 응축기(19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후면 그릴들(192, 194)은 응축기(190)를 통과한 공기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제어부(10), 인터페이스부(20), 메모리(30), 감지부(40), 증발팬 모터(51), 응축팬 모터(52), 및 압축기(5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의 증발팬 모터(51), 응축팬 모터(52), 및 압축기(53) 각각의 배치 및 기능은 도 5에서 설명한 증발팬 모터(136c), 응축팬 모터(164), 및 압축기(172)와 동일할 수 있다.
제어부(10)는 감지부(40)로부터 측정된 실내 환경에 대한 정보, 공기조화기의 상태에 대한 정보, 인터페이스부(2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의도와 관련된 정보, 및 메모리(30)에 저장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기초로 증발팬 모터(51), 응축팬 모터(52), 및 압축기(53)를 제어할 수 있다.
실내 환경에 대한 정보는 실내 온도에 대한 정보 및/또는 실내 공기질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의 상태에 대한 정보는 압축기(53)의 입구측, 즉, 냉매가 압축기(36)로 유입되는 부분의 압력에 대한 정보, 및 냉매가 이동하는 배관(특히, 증발기(37)와 압축기(36) 사이의 배관)의 온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의도와 관련된 정보는 동작 모드에 대한 정보, 냉방 또는 난방 운전의 시작을 위한 정보, 설정 온도에 대한 정보, 및 냉방 또는 난방 운전의 종료를 위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동작 모드는 냉방 및/또는 난방의 세기, 공기조화기에서 토출되는 바람의 세기(즉, 증발팬 모터(51)의 회전 속도), 및 소음 정도 등에 따라 세분화된 것으로서, 적어도 4개 이상일 수 있다. 메모리(140)에 저장된 정보는 동작 모드에 따른 증발팬 모터(51)의 회전 속도와 응축팬 모터(52)의 최대 회전 속도, 운전 조건에 따른 압축기(36)의 입구측 압력의 변화율에 대한 정보, 및 제어 주기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0)는 실외 제어부 및 실내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외 제어부는 본체부(120) 중 실외측 본체부에 배치될 수 있고, 실내 제어부는 본체부(120) 중 실내측 본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실외 제어부와 실내 제어부는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제어부(1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싱 유닛은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 (CPU), 그래픽처리장치 (GPU),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반도체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코어를 가질 수 있다.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OM, 플래시 메모리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메모리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이 저장될 수 있고, 운영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도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는 통신 가능한 통신접속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접속은 모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무선 주파수 송신기/수신기, 적외선 포트, USB 접속, 또는 기타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접속은 유선 접속 또는 무선 접속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0)의 구체적인 동작은 도 7을 참고하여 후술한다.
인터페이스부(20)는 사용자의 의도와 관련된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정보를 제어부(10)로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의도와 관련된 정보는 동작 모드에 대한 정보, 냉방 또는 난방 운전의 시작을 위한 정보, 설정 온도에 대한 정보, 및 냉방 또는 난방 운전의 종료를 위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부(20)는 공기조화기의 운전과 관련된 보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공기조화기의 운전과 관련된 정보는 현재의 동작 모드, 설정 온도, 실내 온도, 배출되는 바람의 세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30)는 제어부(10)가 증발팬 모터(51), 응축팬 모터(52), 및 압축기(53)를 제어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모리(30)는 동작 모드에 따른 증발팬 모터(51)의 회전 속도, 동작 모드에 따른 응축팬 모터(52)의 최대 회전 속도, 실내 온도와 희망 온도의 차이인 온도 차이와 동작 모드에 따른 압력 변화율, 및 실내 온도와 희망 온도의 차이인 온도 차이와 동작 모드에 따른 배관온도 변화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저장할 수 있다.
감지부(40)는 공기조화기의 운전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정보를 제어부(10)에 제공할 수 있다. 감지부(40)가 수집하는 정보는 실내 온도에 대한 정보, 압축기의 입구측 압력에 대한 정보, 및 냉매가 이동하는 배관의 온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40)는 복수개의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에 나타낸 각 단계는 도 6의 제어부(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먼저, 제어부(10)는 동작 모드를 확인할 수 있다(S100 단계). 제어부(10)는 인터페이스부(20)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동작 모드를 확인할 수 있다. 동작 모드는 적어도 4개의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동작 모드는 슈퍼 로우 모드, 로우 모드, 미들 모드, 및 하이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0)는 확인된 동작 모드에 따라 실내 공기를 유동시키는 실내팬을 구동하는 실내 모터의 회전 속도를 설정할 수 있다(S200 단계). 제어부(10)는 동작 모드에 기초하여 메모리(30)를 억세스함으로써, 상기 실내 모터의 회전 속도를 설정할 수 있다. 실내팬은 증발팬(도 5의 136b)일 수 있고, 실내 모터는 증발팬 모터(도 5의 136c 또는 도 6의 51)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0)는 동작 모드가 슈퍼 로우 모드이면 실내팬이 제1-1 속도로 회전하고, 동작 모드가 로우 모드이면 실내팬이 제1-1 속도보다 큰 제1-2 속도로 회전하고, 동작 모드가 미들 모드이면 실내팬이 제1-2 속도보다 큰 제1-3 속도로 회전하고, 동작 모드가 하이 모드이면 실내팬이 제1-3 속도보다 큰 제1-4 속도로 회전하도록 실내 모터의 회전 속도를 설정할 수 있다. 설계에 따라, 실내 모터의 회전 속도와 실내팬의 회전 속도는 동일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0)는 확인된 동작 모드에 따라 실외 공기를 유동시키는 실외팬을 구동하는 실외 모터의 최대 회전 속도를 설정할 수 있다(S300 단계). 제어부(10)는 동작 모드에 기초하여 메모리(30)를 억세스함으로써, 상기 실외 모터의 최대 회전 속도를 설정할 수 있다. 실외팬은 응축팬(도 5의 168)일 수 있고, 실외 모터는 응축팬 모터(도 5의 164 또는 도 6의 52)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0)는 동작 모드가 슈퍼 로우 모드이면 실외팬의 최대 회전 속도가 제2-1 속도가 되고, 동작 모드가 로우 모드이면 실외팬의 최대 회전 속도가 제2-1 속도보다 큰 제2-2 속도가 되고, 동작 모드가 미들 모드이면 실외팬의 최대 회전 속도가 제2-2 속도보다 큰 제2-3 속도가 되고, 동작 모드가 하이 모드이면 실외팬의 최대 회전 속도가 제2-3 속도보다 큰 제2-4 속도가 되도록 실외 모터의 최대 회전 속도를 설정할 수 있다. 설계에 따라, 실외 모터의 회전 속도와 실외팬의 회전 속도는 동일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0)는 실내 온도 및 설정 온도에 따라 공기조화기를 운전할 수 있다(S400 단계).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0)는 S200 단계에서 설정된 회전 속도로 회전하도록 실내 모터(예를 들면, 증발팬 모터(도 5의 136c 또는 도 6의 51))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는 실내 온도 및 설정 온도에 따라 실외 모터(예를 들면, 응축팬 모터(도 5의 164 또는 도 6의 52))의 회전 속도와 압축기(도 5의 172 또는 도 6의 53)의 운전 주파수를 조정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0)는 실외 모터(예를 들면, 응축팬 모터(도 5의 164 또는 도 6의 52))의 회전 속도가 S300 단계에서 설정된 최대 회전 속도가 초과되지 않도록 실외 모터(예를 들면, 응축팬 모터(도 5의 164 또는 도 6의 52))를 제어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동작 모드에 따른 실내팬의 회전 속도와 실외팬의 최대 회전 속도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점선은 실내팬의 회전 속도를, 실선은 실외팬의 최대 회전 속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슈퍼 로우 모드에서는 실내팬의 회전 속도가 실외팬의 최대 회전 속도보다 크다. 즉, 슈퍼 로우 모드에서는 실외팬의 회전 속도 실내팬의 회전 속도보다 항상 느릴 수 있다.
로우 모드에서는 실내팬의 회전 속도와 실외팬의 최대 회전 속도가 동일하다. 즉, 로우 모드에서는 실외팬의 회전 속도는 실내팬의 회전 속도와 같거나 작을 수 있다.
미들 모드 및 하이 모드에서는 실내팬의 회전 속도가 실외팬의 최대 회전 속도보다 클 수 있다. 다만, 미들 모드에서의 실내팬의 회전 속도와 실외팬의 최대 회전 속도의 차이는 하이 모드에서의 실내팬의 회전 속도와 실외팬의 최대 회전 속도의 차이보다 클 수 있다.
이와 같이 구현함으로써, 소음의 발생을 최소화하면서도 필요한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다음의 표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동작 모드에 따른 소음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서, 2개의 공기조화기(제1 공기조화기 및 제2 공기조화기) 각각에 대해 운전 시 소음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모드 제1 공기조화기 제2 공기조화기
음압
(dBA)
라우드니스
(sone)
샤프니스
(acum)
음압
(dBA)
라우드니스
(sone)
샤프니스
(acum)
하이 51.8 7.9 1.09 52.6 8.2 1.08
미들 47.4 5.5 0.89 47.2 5.5 0.94
로우 42.3 3.7 0.90 41.0 3.5 1.02
슈퍼 로우 38.6 2.5 0.94 37.6 2.6 1.08
표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경우, 특히 슈퍼 로우 모두로 동작하는 경우에 음압이 상당히 낮은 수준을 유지할 수 있다는 알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내의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시키는 장치를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개념은 대상 공간의 공기를 가열, 또는 정화시키거나, 대상 공간에 대해 가습 동작 또는 제습 동작을 수행하는 다양한 공기조화기에 대하여 적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0 : 공기조화기 110 : 전면 패널
120 : 본체부 200 : 케이스
136b : 증발팬 136c, 51 : 증발팬 모터
164, 52 : 응축팬 모터 168 : 응축팬
172, 53 : 압축기 10 : 제어부
20 : 인터페이스부 30 : 메모리
40 : 감지부

Claims (15)

  1.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되고, 실내 공기를 유동시키는 실내팬;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되고, 상기 실내팬을 구동하는 실내 모터;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되고, 실외 공기를 유동시키는 실외팬;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되고, 상기 실외팬을 구동하는 실외 모터; 및
    실내 환경에 대한 정보 및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설정값에 따라 상기 실내 모터와 상기 실외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실내 모터의 회전 속도와 상기 실외 모터의 최대 회전 속도를 설정한 후, 상기 실내 모터를 상기 회전 속도로 회전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실외 모터는 상기 최대 회전 속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공기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조화기는
    상기 실내팬의 전방에 배치되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로부터 배출된 냉매가 유입되는 압축기; 및
    상기 실외팬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압축기로부터 배출된 상기 냉매가 유입되고, 상기 증발기로 상기 냉매를 배출하는 응축기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환경에 대한 정보는 실내 온도이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설정값은 설정 온도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내 온도와 상기 설정 온도의 차이에 따라 상기 실외 모터의 회전 속도와 상기 압축기의 운전 주파수를 조정하되, 상기 실외 모터의 회전 속도가 상기 최대 회전 속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공기조화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팬은 횡류팬이고, 상기 실외팬은 축류팬인 공기조화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는
    상기 실내 모터의 회전 속도에 따라 결정되는 모드로서 적어도 4개 이상인 공기조화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는 슈퍼 로우 모두, 로우 모드, 미들 모드, 및 하이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슈퍼 로우 모드이면 상기 실내팬이 제1-1 속도로 회전하도록 상기 실내 모터의 상기 회전 속도를 설정하고, 상기 실외팬의 최대 회전 속도가 제2-1 속도가 되도록 상기 실외 모터의 상기 최대 회전 속도를 설정하고,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로우 모드이면 상기 실내팬이 상기 제1-1 속도보다 큰 제1-2 속도로 회전하도록 상기 실내 모터의 상기 회전 속도를 설정하고, 상기 실외팬의 최대 회전 속도가 상기 제2-1 속도보다 큰 제2-2 속도가 되도록 상기 실외 모터의 상기 최대 회전 속도를 설정하고,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미들 모드이면 상기 실내팬이 상기 제1-2 속도보다 큰 제1-3 속도로 회전하도록 상기 실내 모터의 상기 회전 속도를 설정하고, 상기 실외팬의 최대 회전 속도가 상기 제2-2 속도보다 큰 제2-3 속도가 되도록 상기 실외 모터의 상기 최대 회전 속도를 설정하고,
    상기 동작 모드가 하이 모드이면 상기 실내팬이 상기 제1-3 속도보다 큰 제1-4 속도로 회전하도록 상기 실내 모터의 상기 회전 속도를 설정하고, 상기 실외팬의 최대 회전 속도가 상기 제2-3 속도보다 큰 제2-4 속도가 되도록 상기 실외 모터의 상기 최대 회전 속도를 설정하는 공기조화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1 속도는 상기 제2-1 속도보다 크고, 상기 제1-2 속도는 상기 제2-2 속도와 동일하고, 상기 제1-3 속도는 상기 제2-3 속도보다 작고, 상기 제1-4 속도는 상기 제2-4 속도보다 작은 공기조화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3 속도와 상기 제2-3 속도의 차이는 상기 제1-4 속도와 상기 제2-4 속도의 차이보다 큰 공기조화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동작 모드 및 상기 설정값을 입력하고, 상기 공기조화기의 운전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동작 모드에 따른 상기 실내 모터의 상기 회전 속도와, 상기 동작 모드에 따른 상기 실외 모터의 상기 최대 회전 속도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메모리를 억세스하여 상기 실내 모터의 상기 회전 속도 및 상기 실외 모터의 상기 최대 회전 속도를 설정하는 공기조화기.
  11.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되고, 실내 공기를 유동시키는 실내팬,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되고, 상기 실내팬을 구동하는 실내 모터,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되고, 실외 공기를 유동시키는 실외팬,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되고, 상기 실외팬을 구동하는 실외 모터, 및 상기 실내 모터와 상기 실외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동작 모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실내 모터의 회전 속도와 상기 실외 모터의 최대 회전 속도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실내 모터는 상기 회전 속도로 회전하도록 제어하고, 실내 환경에 대한 정보 및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설정값에 따라 상기 실외 모터의 회전 속도를 가변시키되, 상기 실외 모터의 회전 속도가 상기 최대 회전 속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실내팬의 전방에 배치되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로부터 배출된 냉매가 유입되는 압축기, 및 상기 실외팬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압축기로부터 배출된 상기 냉매가 유입되고, 상기 증발기로 상기 냉매를 배출하는 응축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내 환경에 대한 정보는 실내 온도이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설정값은 설정 온도이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실내 온도와 상기 설정 온도의 차이에 따라 상기 압축기의 운전 주파수를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실내 온도와 상기 설정 온도의 차이에 따라 상기 실외 모터의 회전 속도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는 슈퍼 로우 모두, 로우 모드, 미들 모드, 및 하이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슈퍼 로우 모드이면 상기 실내팬이 제1-1 속도로 회전하도록 상기 실내 모터의 상기 회전 속도를 설정하고, 상기 실외팬의 최대 회전 속도가 제2-1 속도가 되도록 상기 실외 모터의 상기 최대 회전 속도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로우 모드이면 상기 실내팬이 상기 제1-1 속도보다 큰 제1-2 속도로 회전하도록 상기 실내 모터의 상기 회전 속도를 설정하고, 상기 실외팬의 최대 회전 속도가 상기 제2-1 속도보다 큰 제2-2 속도가 되도록 상기 실외 모터의 상기 최대 회전 속도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미들 모드이면 상기 실내팬이 상기 제1-2 속도보다 큰 제1-3 속도로 회전하도록 상기 실내 모터의 상기 회전 속도를 설정하고, 상기 실외팬의 최대 회전 속도가 상기 제2-2 속도보다 큰 제2-3 속도가 되도록 상기 실외 모터의 상기 최대 회전 속도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동작 모드가 하이 모드이면 상기 실내팬이 상기 제1-3 속도보다 큰 제1-4 속도로 회전하도록 상기 실내 모터의 상기 회전 속도를 설정하고, 상기 실외팬의 최대 회전 속도가 상기 제2-3 속도보다 큰 제2-4 속도가 되도록 상기 실외 모터의 상기 최대 회전 속도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1 속도는 상기 제2-1 속도보다 크고, 상기 제1-2 속도는 상기 제2-2 속도와 동일하고, 상기 제1-3 속도는 상기 제2-3 속도보다 작고, 상기 제1-4 속도는 상기 제2-4 속도보다 작은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3 속도와 상기 제2-3 속도의 차이는 상기 제1-4 속도와 상기 제2-4 속도의 차이보다 큰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KR1020200020925A 2020-02-20 2020-02-20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KR1023103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0925A KR102310350B1 (ko) 2020-02-20 2020-02-20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US17/172,477 US11898767B2 (en) 2020-02-20 2021-02-10 Air conditioner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an air 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0925A KR102310350B1 (ko) 2020-02-20 2020-02-20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6141A true KR20210106141A (ko) 2021-08-30
KR102310350B1 KR102310350B1 (ko) 2021-10-07

Family

ID=77366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0925A KR102310350B1 (ko) 2020-02-20 2020-02-20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898767B2 (ko)
KR (1) KR1023103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61054B (zh) * 2021-11-03 2023-01-13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主动降噪的控制方法、系统、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14427731B (zh) * 2022-01-24 2023-07-21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空调器的风机转速控制方法、装置及空调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82743B1 (ko) * 1996-02-22 1999-05-01 김광호 공기조화기의 송풍팬 제어방법
KR100232155B1 (ko) * 1997-10-17 1999-12-01 구자홍 공기조화기 풍량조절 방법
KR20190010240A (ko) 2017-07-21 2019-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컨트롤 박스 및 이를 포함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09716A (en) * 1996-11-22 2000-01-04 Sharp Kabushiki Kaisha Integral air conditioner with motors for driving interior and exterior blowers both disposed at exterior side
KR100541472B1 (ko) * 2003-08-18 2006-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일체형 공기조화기
US7757507B2 (en) * 2004-06-14 2010-07-20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er
KR102600975B1 (ko) * 2016-12-21 2023-11-14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380096B1 (ko) 2017-07-20 2022-03-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일체형 공기 조화기
US10921000B2 (en) * 2018-01-12 2021-02-16 Trane International Inc. Limiting operation of a HVAC system for low-noise municipalities
US10578321B2 (en) * 2018-03-21 2020-03-03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Air conditioner unit with selective cooling of an indoor fan motor
US11802708B2 (en) * 2019-05-20 2023-10-3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Outdoor unit, air conditioner,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for air conditioner
US11221155B2 (en) * 2019-07-15 2022-01-11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Alternative feedback usage for HVAC system
WO2021130960A1 (ja) * 2019-12-26 2021-07-01 三菱電機株式会社 空調制御装置、空調システム、空調方法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82743B1 (ko) * 1996-02-22 1999-05-01 김광호 공기조화기의 송풍팬 제어방법
KR100232155B1 (ko) * 1997-10-17 1999-12-01 구자홍 공기조화기 풍량조절 방법
KR20190010240A (ko) 2017-07-21 2019-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컨트롤 박스 및 이를 포함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262687A1 (en) 2021-08-26
US11898767B2 (en) 2024-02-13
KR102310350B1 (ko) 2021-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679805B (zh) 空调及其控制方法
US6644049B2 (en) Space conditioning system having multi-stage cooling and dehumidification capability
US9696044B2 (en) Air conditioner units and methods for providing make-up air
US9746197B2 (en) Bathroom air-conditioner
CN1714259A (zh) 干燥制冷除湿系统
KR102310350B1 (ko)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JPS6356450B2 (ko)
US9841198B2 (en) Air conditioner units having improved make-up air module communication
US20170067655A1 (en) Air conditioner units having improved apparatus for providing make-up air
WO2020156344A1 (zh) 空调器
KR20190137408A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7002918B2 (ja) 換気システム、空調システム、換気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1124434A (ja) 空調装置
KR102429294B1 (ko) 인버터 제습기의 제어 방법
KR100400462B1 (ko) 히트 펌프식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풍향조절 베인
CN216159162U (zh) 空调换气系统
ES2155417A1 (es) Dispositivo humidificador y aparato acondicionador de aire que presenta dicho dispositivo.
JP2003106706A (ja) 再熱除湿式空気調和機
JP3643660B2 (ja) 空気調和機
JP2000146283A (ja) 空気調和機
FI120705B (fi) Jäähdytyslaitteisto sisäilman jäähdyttämiseksi
KR100241442B1 (ko) 냉난방 겸용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488510B1 (ko) 창문형 에어컨의 동굴풍 제어 방법
CN114729758B (zh) 具有补充空气模块的空调设备
US20210116140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figuring hvac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