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8949A - 엔진의 밸브 작동 장치 - Google Patents

엔진의 밸브 작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8949A
KR20060128949A KR1020067014984A KR20067014984A KR20060128949A KR 20060128949 A KR20060128949 A KR 20060128949A KR 1020067014984 A KR1020067014984 A KR 1020067014984A KR 20067014984 A KR20067014984 A KR 20067014984A KR 20060128949 A KR20060128949 A KR 200601289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link
engine
valve
link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4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58194B1 (ko
Inventor
노리아키 후지이
아키유키 요네카와
카츠노리 나카무라
카즈나리 카네시마
유스케 코하라
토모야 후지모토
류 호리유치
케이코 요시다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3430710A external-priority patent/JP401102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000429A external-priority patent/JP4256268B2/ja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28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89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8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81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3/00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26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two or more valves operated simultaneously by same transmitting-gear; peculiar to machines or engines with more than two lift-valves per cylinder
    • F01L1/267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two or more valves operated simultaneously by same transmitting-gear; peculiar to machines or engines with more than two lift-valves per cylinder with means for varying the timing or the lift of the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12Transmitting gear between valve drive and valve
    • F01L1/18Rocking arms or le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3/00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 F01L13/0015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for optimising engine performances by modifying valve lift according to various working parameters, e.g. rotational speed, load, torqu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3/00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 F01L13/0015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for optimising engine performances by modifying valve lift according to various working parameters, e.g. rotational speed, load, torque
    • F01L13/0021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for optimising engine performances by modifying valve lift according to various working parameters, e.g. rotational speed, load, torque by modification of rocker arm ratio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3/00Lift-valve,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Parts or accessories thereof
    • F01L3/06Valve members or valve-seats with means for guiding or deflecting the medium controlled thereby, e.g. producing a rotary motion of the drawn-in cylinder char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20Adjusting or compensating clear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2305/00Valve arrangements comprising ro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2810/00Arrangements solving specific problems in relation with valve gears
    • F01L2810/02Lubr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2820/00Details on specific features characterising valve gear arrangements
    • F01L2820/03Auxiliary actuators
    • F01L2820/032Electric mo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lve Device For Special Equipments (AREA)
  • 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AREA)

Abstract

로커 아암(36)에 제1 및 제2 연결부가(61a, 62a)가 병렬적으로 상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 링크 아암(62)의 가동 지지부(62b)가, 제1 링크 아암(61)의 고정 지지부(61b)보다도 기관 밸브(19) 측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컴팩트화를 도모하는 동시에 개폐 작동의 추종성을 확보하도록 한 뒤에, 구동 수단의 신뢰성 및 내구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면서 기관 밸브의 리프트량을 연속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엔진의 밸브 작동 장치{ENGINE VALVE OPERATING SYSTEM}
본 발명은, 흡기 밸브 혹은 배기 밸브인 기관 밸브의 리프트량을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는 리프트 가변 기구를 갖춘 엔진의 밸브 작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관 밸브의 리프트량을 무단계로 변화시키기 위해서, 기관 밸브에 접촉하는 밸브 접촉부를 일단 측에 갖는 로커 아암의 타단부에, 푸시 로드의 일단이 끼워 맞춰지고, 푸시 로드의 타단 및 밸브 작동 캠 사이에 링크 기구가 설치된 밸브 작동 장치가, 특허문헌 1에서 이미 알려져 있다.
그런데, 상기 특허문헌 1에서 개시된 것에서는, 링크 기구 및 푸시 로드를 배치하기 위한 비교적 큰 스페이스를 밸브 작동 캠 및 로커 아암 사이에 확보할 필요가 있어, 밸브 작동 장치가 대형화된다. 게다가 밸브 작동 캠으로부터의 구동력이 링크 기구 및 푸시 로드를 통해 로커 아암에 전달되기 때문에, 밸브 작동 캠에 대한 로커 아암의 추종성 즉 기관 밸브의 개폐 작동 추종성이 우수하다고는 말하기 어렵다.
그래서 본 출원인은, 로커 아암에 제1 및 제2 링크 아암의 일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1 링크 아암의 타단부가 엔진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지승(支承)되어, 제2 링크 아암의 타단부를, 구동 수단에 의해서 변위시키도록 한 엔진의 밸브 작동 장치를 특허문헌 2에서 이미 제안하고 있으며, 이 밸브 작동 장치에 따르면, 밸브 작동 장치의 컴팩트화가 가능하게 되는 동시에, 밸브 작동 캠으로부터의 동력을 로커 아암에 직접 전달하도록 하여 밸브 작동 캠에 대한 우수한 추종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8-74534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2004-36560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런데, 제2 링크 아암에 작용하는 부하는 제1 링크 아암에 작용하는 부하보다도 커지는 것이지만, 상기 특허문헌 2의 밸브 작동 장치에서는 제1 및 제2 링크 아암의 길이가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고, 제2 링크 아암에 작용하는 부하의 모멘트가 비교적 크게 되어 있어, 가동축을 변위시키는 구동 수단의 신뢰성 및 내구성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상기 모멘트를 보다 작게 할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컴팩트화를 도모하는 동시에 개폐 작동의 추종성을 확보하도록 한 뒤에, 구동 수단의 신뢰성 및 내구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엔진의 밸브 작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밸브 작동 캠에 접촉하는 캠 접촉부를 가지는 동시에 일단부가 기관 밸브에 연동, 연결되는 로커 아암과;
상기 로커 아암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연결부를 일단부에 가지는 동시에 엔진 본체의 고정 위치에 회동 가능하게 지승되는 고정 지지부를 타단부에 갖는 제1 링크 아암 및 상기 로커 아암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연결부를 일단부에 가지는 동시에 변위 가능한 가동축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승되는 가동 지지부를 타단부에 갖는 제2 링크 아암을 구비하는 링크 기구와;
기관 밸브의 리프트량을 무단계로 변화시키도록 상기 가동축의 위치를 변위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가동축에 연결되는 구동 수단;을 구비하는 엔진의 밸브 작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커 아암의 타단부에, 제1 및 제2 연결부가 병렬적으로 상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 링크 아암의 상기 가동 지지부가, 제1 링크 아암의 고정 지지부보다도 상기 기관 밸브 측에 배치되는 것을 제1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특징의 구성에 더하여, 적어도 상기 가동 지지부가 제1 링크 아암 측에 가장 근접한 상태에서는 제1 링크 아암의 제1 연결부 및 고정 지지부의 제2 링크 아암 측의 측면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과 상기 가동 지지부의 일부가 측면에서 보아 겹치도록 하여, 상기 가동 지지부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가, 제1 링크 아암에 형성되는 것을 제2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2 특징의 구성에 더하여, 제1 링크 아암은, 로커 아암을 양측에서 사이에 끼우는 1쌍의 제1 연결부와, 고정 지지부와, 양 제1 연결부 및 고정 지지부 사이를 잇는 1쌍의 아암부를 가지고 대략 U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양 아암부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제3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2 또는 제3 특징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수용부가, 상기 가동축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게 형성되는 것을 제4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1 특징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로커 아암의 일단부에는, 1쌍의 기관 밸브에 각각 접촉하는 조절 볼트가 그 진퇴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하여 나사 결합되는 1쌍의 볼트 부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로커 아암의 일단부에서부터 상기 캠 접촉부가 배치되는 부분에 걸쳐서 상기 로커 아암에는, 상기 양 볼트 부착부 사이에 배치되는 리브가 돌출 설치되는 것을 제5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5 특징의 구성에 더하여, 제1 링크 아암은, 상기 로커 아암을 양측에서 사이에 끼우는 1쌍의 연결부와, 상기 엔진 본체의 고정 위치에 회동 가능하게 지승되는 고정 지지부와, 양 연결부 및 고정 지지부 사이를 잇는 1쌍의 아암부를 가지고 대략 U자형으로 형성되어, 제2 링크 아암이, 제1 링크 아암의 양단부의 회동축선 사이를 잇는 직선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보아 상기 양 아암부 사이에 배치되도록 하여 평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제6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5 또는 제6 특징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로커 아암에, 제1 링크 아암의 일단부가 핀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동시에, 상기 캠 접촉부로서의 롤러가 상기 핀을 통해 피봇 지지되어, 상기 로커 아암 중 상기 밸브 작동 캠이 설치되는 캠 샤프트에 대향하는 부분의 외측면 및 상기 제1 링크 아암의 일단부 외측면이, 측면에서 보아 겹치도록 하여 상기 핀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제7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5 또는 제6 특징의 구성에 더하여, 연결판의 양끝에, 상기 가동축과, 이 가동축과 평행한 축선을 갖는 지지축이 돌출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크랭크 부재를 갖추어서, 상기 지지축이 엔진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지승되는 것을 제8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1 특징의 구성에 더하여, 복수의 상기 기관 밸브인 흡기 밸브에 개별적으로 대응한 상기 로커 아암에 각각 대응한 상기 링크 기구의 지오메트리(geometry)가 서로 다르게 설정되는 것을 제9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9 특징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각 링크 기구가 개별적으로 구비하는 제2 링크 아암의 가동 지지부를 각각 지승하는 가동축이, 각 링크 기구에 공통적으로 엔진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지승되는 크랭크 부재에 설치되는 것을 제10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1 특징의 구성에 더하여, 엔진 본체에는, 상기 밸브 작동 캠이 설치되는 캠 샤프트의 저어널부를 관통시켜 그 저어널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승하는 베어링 구멍을 갖는 캠 홀더가 설치되고, 외부로부터의 윤활유의 급유를 가능하게 하여 상기 캠 샤프트 내에 설치된 윤활유 통로에 안단을 통하게 하는 공급 구멍이, 상기 저어널부의 외주면에 바깥단을 개구하도록 하여 상기 저어널부에 형성되고, 상기 베어링 구멍의 내주면의 적어도 일부에는 상기 공급 구멍의 바깥단에 대응한 수취홈이 형성되고, 상기 기관 밸브, 상기 로커 아암 및 링크 기구 중의 특정 부분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오일제트 및 상기 수취홈 사이를 연결하는 연락 통로가 상기 캠 홀더에 형성되고, 상기 수취홈의 위치 및 형상이, 상기 캠 샤프트의 특정한 회전 각도 범위에서만 상기 공급 구멍의 바깥단에 통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제11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특징의 구성에 더하여, 제2 링크 아암의 위쪽에 배치되는 제1 링크 아암의 고정 지지부의 상부에, 상기 고정 지지부를 회동 가능하게 지승하도록 하여 고정 지지부를 관통하는 로커 아암 샤프트의 외주를 향하게 하는 윤활유 저장소가 설치되고, 상기 밸브 작동 캠이 설치되는 캠 샤프트의 저어널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승하도록 하여, 엔진 본체에 설치되는 캠 홀더에, 외부로부터의 윤활유의 급유를 가능하게 한 윤활유 통로가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윤활유 저장소에 위쪽에서부터 윤활유를 떨어트리는 급유 파이프가, 상기 윤활유 통로에 통하도록 하여 돌출 설치되는 것을 제12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제1 특징의 구성에 따르면, 가동축을 무단계로 변위시킴으로써 기관 밸브의 리프트량을 무단계로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더구나 제1 및 제2 링크 아암의 일단부가 로커 아암에 회동 가능하게 하여 직접 연결되어 있으며, 양 링크 아암을 배치하는 스페이스를 적게 하여 밸브 작동 장치의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어, 밸브 작동 캠으로부터의 동력이 로커 아암의 캠 접촉부에 직접 전달되기 때문에 밸브 작동 캠에 대한 우수한 추종성을 확보할 수 있다. 더구나 제2 링크 아암의 타단의 가동 지지부가, 제1 링크 아암의 타단부의 고정 지지부보다도 기관 밸브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제2 링크 아암으로부터 구동 수단 측에 작용하는 반력의 모멘트를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서 비교적 작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구동 수단에 걸리는 부하를 저감하여, 구동 수단의 신뢰, 내구성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특징의 구성에 따르면, 제2 링크 아암의 타단의 가동 지지부가, 적어도 제1 링크 아암에 근접했을 때에는 제1 링크 아암의 수용부에 수용되기 때문에, 가동 지지부의 변위량을 비교적 크게 설정하여 기관 밸브의 리프트 가변량을 크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면서 제1 및 제2 링크 아암을 서로 근접시키도록 하여 밸브 작동 장치를 컴팩트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특징의 구성에 따르면, 제1 링크 아암의 경량, 컴팩트화를 가능하게 하면서, 제1 및 제2 링크 아암을 보다 근접시킴으로써, 보다 한층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특징의 구성에 따르면, 제1 및 제2 링크 아암을 한층 더 근접시킴으로써, 밸브 작동 장치를 한층 더 컴팩트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특징의 구성에 따르면, 로커 아암의 일단부에서부터 캠 접촉부가 배치되는 부분에 걸쳐서 로커 아암에 리브가 돌출 설치되기 때문에, 로커 아암의 강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특징의 구성에 따르면, 제1 링크 아암의 중앙부를 두께를 뺀 구조로 함으로써, 제2 링크 아암에 비교하여 작용하는 부하가 작은 제1 링크 아암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고, 또한 제1 링크 아암보다도 큰 부하가 작용하는 제2 링크 아암을 평판형으로 함으로써, 강성을 확보하면서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7 특징의 구성에 따르면, 로커 아암 및 제1 링크 아암의 캠 샤프트와의 간섭이 생기는 것을 피하면서, 컴팩트한 배치로 제1 링크 아암의 일단부를 로커 아암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8 특징의 구성에 따르면, 크랭크 부재를 지지축의 축선 주위에 회동시킴으로써 가동축을 용이하게 변위시킬 수 있어, 구동 수단에 의해서 가동축을 변위시키는 기구의 단순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9 특징의 구성에 따르면, 1기통당 복수의 흡기 밸브를 갖추는 엔진에 있어서, 하나의 제어 기구로 복수의 흡기 밸브의 제어 특성을 서로 다른 것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특히 낮은 리프트 영역에서 복수의 흡기 밸브의 리프트량에 차이를 붙여 연소실이 기운 위치에서부터 흡기를 유입시켜, 통 내 흡기류에 선회 운동을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흡기 밸브의 리프트량을 가변으로 한 엔진에 있어서의 저부하, 저속도 영역에서의 연소 효율을 높여, 연비를 저감하는 데에 큰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0 특징의 구성에 따르면, 복수의 링크 기구의 제2 링크 아암을 공통의 크랭크 부재로 움직이도록 하여 밸브 작동 장치의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1 특징의 구성에 따르면, 캠 샤프트의 특정한 회전 각도 범위 내에서만 공급 구멍 및 수취홈을 연통시키도록 하여, 오일제트로부터 분출되는 윤활유의 공급량 및 공급 타이밍을 캠 샤프트의 회전에 의해서 제어하여, 적절한 양의 윤활유를 밸브 작동 장치의 특정 부분에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2 특징의 구성에 따르면, 윤활유 통로에서 급유 파이프에 공급되는 윤활유를 윤활유 저장소에 떨어트림으로써, 윤활유 저장소에 윤활유를 확실하게 급유할 수 있다. 더구나 급유 파이프로부터 공중을 통해 윤활유 저장소에 윤활유를 공급하기 때문에, 복잡한 윤활유 공급 경로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간단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도 1은 엔진의 부분 종단면도로서 도 2의 1-1선 단면도이다(실시예 1).
도 2는 도 1의 2-2선 단면도이다(실시예 1).
도 3은 도 2의 3-3선을 따라 본 도면이다(실시예 1).
도 4는 리프트 가변 구동 수단의 종단면도이다(실시예 1).
도 5는 리프트 가변 구동 수단의 분해 사시도이다(실시예 1).
도 6은 도 3의 6 화살 표시도이다(실시예 1).
도 7(a)는 큰 리프트량 상태에서의 리프트 가변 구동 수단의 작용 설명도이고(실시예 1), 도 7(b)는 작은 리프트량 상태에서의 리프트 가변 구동 수단의 작용 설명도이다(실시예 1).
도 8은 흡기 밸브의 리프트 곡선을 도시한 도면이다(실시예 1).
도 9는 도 3의 주요부 확대도이다(실시예 1).
도 10은 컨트롤 아암의 회전각과 센서 아암의 회전각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실시예 1).
도 11은 흡기 캠 홀더 및 리프트 가변 구동 수단 부근의 사시도이다(실시예 1).
도 12는 캡을 벗긴 상태에서의 홀더 및 흡기 캠 샤프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실시예 1).
도 13(a)는 롤러가 밸브 작동 캠의 고위부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의 도 12의 13-13선 단면도(실시예 1), 도 13(b)는 롤러의 접촉부가 밸브 작동 캠의 고위부에서 떨어진 상태에서의 도 12의 13-13선 단면도이다(실시예 1).
도 14는 흡기 캠 홀더 및 리프트 가변 구동 수단 부근의 종단면도이다(실시예 2).
도 15는 도 14의 일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실시예 2).
도 16은 리프트 가변 구동 수단의 종단면도이다(실시예 3).
도 17은 리프트 가변 구동 수단의 사시도이다(실시예 3).
도 18은 흡기 밸브의 리프트 곡선을 도시한 도면이다(실시예 3).
도 19는 흡기 밸브의 주요부 확대 종단면도이다(실시예 3).
도 20(a)는 밸브 시트 각이 좁은 상태에서의 도 19의 부분 확대도(실시예 3), 도 20(b)는 밸브 시트 각이 넓은 상태에서의 도 19의 부분 확대도이다(실시예 3).
도 21은 연소실의 천장면의 개념도이다(실시예 3).
<부호의 설명>
10 : 엔진 본체 19 : 기관 밸브인 흡기 밸브
31 : 흡기 캠 샤프트 31a : 저어널부
46 : 캠 홀더 50, 50A, 50B : 링크 기구
60 : 수용부 61 : 제1 링크 아암
61a : 제1 연결부 61b : 고정 지지부
61c : 아암부 62, 62A, 62B : 제2 링크 아암
62a, 62Aa, 62Ba : 제2 연결부 62b, 62Ab, 62Bb : 가동 지지부
63, 63A, 63b : 로커 아암 63a : 볼트 부착부
63b : 리브 64 : 핀
65 : 캠 접촉부인 롤러 67 : 로커 아암 샤프트
68 : 크랭크 부재 68a : 가동축
68b : 연결판 68c : 지지축
69 : 밸브 작동 캠 70 : 조절 볼트
72 : 구동 수단인 액츄에이터 모터 86 : 베어링 구멍
87 : 윤활유 통로 88 : 공급 구멍
89 : 수취홈 90 : 연락 통로
91 : 오일제트 98 : 윤활유 저장소
99 : 윤활유 통로 100 : 급유 파이프
L1, L2 : 직선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첨부 도면에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 ~ 도 13(b)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면, 우 선 도 1에 있어서, 직렬 다기통 엔진(E)의 엔진 본체(10)는, 내부에 실린더 보어(11 …)가 설치된 실린더 블럭(12)과, 실린더 블럭(12)의 정상면에 결합된 실린더 헤드(14)와, 실린더 헤드(14)의 정상면에 결합되는 헤드 커버(16)를 구비하고, 각 실린더 보어(11 …)에는 피스톤(13 …)이 미끄럼 이동이 자유롭게 끼워 맞춰지고, 각 피스톤(13 …)의 정상부를 향하게 하는 연소실(15 …)이 실린더 블록(12) 및 실린더 헤드(14) 사이에 형성된다.
실린더 헤드(14)에는, 각 연소실(15 …)에 통할 수 있는 흡기 포트(17 …) 및 배기 포트(18 …)가 설치되어 있어, 각 흡기 포트(17 …)가 1쌍의 기관 밸브인 흡기 밸브(19, 19)로 각각 개폐되고, 각 배기 포트(18)가 1쌍의 배기 밸브(20, 20)로 각각 개폐된다. 흡기 밸브(19)의 스템(19a)은 실린더 헤드(14)에 설치된 안내통(21)에 미끄럼 이동이 자유롭게 끼워 맞춰져, 스템(19a)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스프링 시트(22) 및 실린더 헤드(14)에 접촉되는 스프링 시트(23) 사이에 설치되는 밸브 스프링(24)에 의해서 각 흡기 밸브(19 …)는 폐변(閉弁) 방향으로 압박된다. 또한 배기 밸브(20)의 스템(20a)은 실린더 헤드(14)에 설치되는 안내통(25)에 미끄럼 이동이 자유롭게 끼워 맞춰져, 스템(20a)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스프링 시트(26) 및 실린더 헤드(14)에 접촉되는 스프링 시트(27) 사이에 설치되는 밸브 스프링(28)에 의해서 각 배기 밸브(20 …)는 폐변 방향으로 압박된다.
도 2를 아울러 참조하면, 실린더 헤드(14)에는, 각 기통의 양측에 배치되는 지지벽(44a …)을 갖는 홀더(44)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고, 각 지지벽(44a …)에는, 흡기 캠 홀더(46 …) 및 배기 캠 홀더(48 …)를 협동하여 구성하는 캡(45 …, 47 …)이 체결된다. 그렇게 하여 흡기 캠 홀더(46 …)에는 흡기 캠 샤프트(31)가 회전이 자유롭게 지승되고, 배기 캠 홀더(48 …)에는 배기 캠 샤프트(32)가 회전이 자유롭게 지승된다. 더구나 흡기 밸브(19 …)는 흡기 캠 샤프트(31)에 의해서 리프트 가변 구동 수단(33)을 통해 구동되고, 배기 밸브(20 …)는 배기 캠 샤프트(32)에 의해서 리프트-타이밍 가변 구동 수단(34)을 통해 구동된다.
배기 밸브(20 …)를 구동하는 리프트-타이밍 가변 구동 수단(34)은 주지된 것으로, 여기서는 그 개략을 설명한다. 홀더(44)에 지지된 배기 로커 아암 샤프트(35)에는, 1쌍의 저속용 로커 아암(36, 36)의 일단과, 단일의 고속용 로커 아암(37)의 일단이 피봇되어 있으며, 저속용 로커 아암(36, 36)의 중간부에 피봇 지지된 롤러(38, 38)에 배기 캠 샤프트(32)에 설치된 2개의 저속용 캠(39, 39)이 접촉하고, 고속용 로커 아암(37)의 중간부에 피봇 지지된 롤러(40)에 배기 캠 샤프트(32)에 설치된 고속용 캠(41)이 접촉한다. 또한 저속용 로커 아암(36, 36)의 타단에는, 배기 밸브(20 …)의 스템 엔드(20a …)에 접촉하는 어드저스트 볼트(42 …)가 진퇴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하여 나사 결합된다.
더구나 양 저속용 로커 아암(36, 36) 및 고속용 로커 아암(37)은, 유압의 제어에 의해서 연결 및 연결 해제를 전환할 수 있으며, 엔진(E)의 저속 운전시에, 저속용 로커 아암(36, 36) 및 고속용 로커 아암(37)의 연결을 해제하면, 저속용 로커 아암(36, 36)은 대응하는 저속용 캠(39, 39)에 의해 구동되고, 배기 밸브(20, 20)는 낮은 리프트-낮은 개방각으로 개폐된다. 또한 엔진(E)의 고속 운전시에, 저속용 로커 아암(36, 36) 및 고속용 로커 아암(37)을 연결하면, 고속용 로커 아암(37)은 대응하는 고속용 캠(41)에 의해 구동되고, 고속용 로커 아암(37)에 결합된 저속용 로커 아암(36, 36)에 의해, 배기 밸브(20, 20)는 높은 리프트-높은 개방각으로 개폐된다. 이와 같이, 리프트-타이밍 가변 구동 수단(34)에 의해, 배기 밸브(20, 20)의 리프트 및 타이밍이 2단계로 제어된다.
이어서 도 3 ~ 도 6을 아울러 참조하면서 리프트 가변 구동 수단(33)의 구조를 설명하면, 상기 리프트 가변 구동 수단(33)은, 로커 아암(63) 및 링크 기구(50)에 의해서 구성되는 것으로서, 링크 기구(50)는, 제1 링크 아암(61)과, 제1 링크 아암(61)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제2 링크 아암(62)을 구비한다.
제1 링크 아암(61)은, 로커 아암(63)을 양측에서 사이에 끼우는 1쌍의 제1 연결부(61a, 61a)와, 원통형의 고정 지지부(61b)와, 양 제1 연결부(61a, 61a) 및 고정 지지부(61b) 사이를 잇는 1쌍의 아암부(61c, 61c)를 가지고 대략 U자형으로 형성된다.
로커 아암(63)의 일단부에는, 1쌍의 흡기 밸브(19 …)에 있어서의 스템(19a …)의 상단에 위쪽에서부터 접촉하는 조절 볼트(70, 70)가 진퇴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하여 나사 결합되는 1쌍의 볼트 부착부(63a, 63a)가 설치된다. 또한 로커 아암(63)의 타단부는 흡기 캠 샤프트(31) 측으로 열리도록 하여 대략 U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흡기 캠 샤프트(31)에 설치되는 밸브 작동 캠으로서의 밸브 작동 캠(69)에 구름 접촉하는 캠 접촉부로서의 롤러(65)가 상부 핀(64)을 통해 로커 아암(34)의 타단부에 피봇 지지된다.
더구나 로커 아암(34)의 상부에는, 그 로커 아암(34)의 일단부와, 로커 아 암(34)의 타단부 즉 롤러(65)가 배치되는 부분과의 사이에 걸쳐, 상기 양 볼트 부착부(63a, 63a) 사이에 위치하는 리브(63b)가 돌출 설치된다.
제1 링크 아암(61)의 일단부의 제1 연결부(61a, 61a)는, 상기 상부 핀(64)을 통해 상기 로커 아암(63)의 타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로커 아암(63)의 타단부 중 상기 흡기 캠 샤프트(31)에 대향하는 부분의 외측면 및 제1 링크 아암(61)의 일단부의 제1 연결부(61a, 61)의 외측면은, 측면에서 보면 겹치도록 하여 상기 상부 핀(64)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으로 형성된다.
제2 링크 아암(62)은, 제1 링크 아암(61)의 양 단부의 회동축선 사이를 잇는 직선(L1)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보아 제1 링크 아암(61)의 상기 양 아암부(61c, 61c) 사이에 배치되도록 하여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제1 링크 아암(61)의 아래쪽에 배치된다.
제2 링크 아암(62)의 일단부에 설치되는 제2 연결부(62a)는, 상기 상부 핀(64)보다도 아래쪽에서 로커 아암(63)의 타단부에 하부 핀(66)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밸브 작동 캠(69)에 접촉하는 상기 롤러(65)를 타단측 상부에 갖는 로커 아암(63)의 일단부가 1쌍의 흡기 밸브(19 …)에 연동, 연결되어, 위쪽의 제1 링크 아암(61)이 그 일단에 갖는 제1 연결부(61a, 61a)와, 제1 링크 아암(61)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제2 링크 아암(62)이 그 일단에 갖는 제2 연결부(62a)가, 로커 아암(63)의 타단부에 상하로 병렬적으로 상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게 된다.
제1 링크 아암(61)의 타단의 고정 지지부(61b)는, 엔진 본체(10)에 설치되는 홀더(44)에 고정한 로커 아암 샤프트(67)에 회동 가능하게 지승되고, 제2 링크 아 암(62)이 그 타단에 갖는 가동 지지부(62b)는, 가동축(68a)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승된다. 더구나 제2 링크 아암(62)은 제1 링크 아암(61)보다도 짧게 형성되어 있고, 제2 링크 아암(62)의 타단의 가동 지지부(62b)는, 제1 링크 아암(61)의 타단의 고정 지지부(61b)보다도 흡기 밸브(19 …)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게 된다.
상기 가동축(68a)은 크랭크 부재(68)에 설치되는 것이며, 이 크랭크 부재(68)는, 제2 링크 아암(62)의 작동 평면과 평행한 평면에 배치되는 연결판(68b)의 양끝에, 상기 가동축(68a) 및 지지축(68c)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하여 직각으로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이고, 상기 지지축(68c)은, 엔진 본체(10)에 있어서의 헤드 커버(16)에 형성되는지지 구멍(16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렇게 하여 로커 아암(63)이 도 4에 도시하는 상승 위치에 있을 때, 즉 흡기 밸브(19 …)가 폐변(閉弁) 상태에 있을 때, 로커 아암(63)의 하부를 피봇하는 하부 핀(66)의 축선(C) 상에 크랭크 부재(68)의 지지축(68c)이 동축에 배치되는(도 5 참조) 것이며, 따라서 크랭크 부재(68)가 지지축(68c)의 축선 주위로 요동하면, 가동축(68a)은 지지축(68c)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A)(도 4 참조) 위를 이동하게 된다.
그런데, 적어도 제2 링크 아암(62)의 타단부의 가동 지지부(62b)가 제1 링크 아암(61) 측에 가장 근접한 상태에서는, 제1 링크 아암(61)의 제1 연결부(61a, 61a) 및 고정 지지부(61b)의 제2 링크 아암(62) 측의 측면 사이를 잇는 직선(L2)과, 상기 가동 지지부(62b)의 일부가 측면에서 보아 겹치도록 하여, 가동 지지부(62b)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60)가, 제1 링크 아암(61)에 형성된다.
상기 수용부(60)는, 가동 지지부(62b)의 일부를 수용 가능하게 하여 제1 링크 아암(61)의 양 아암부(61c, 61c) 사이에 형성되는 개구부(60a)(도 2 참조)와, 상기 가동축(68a)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게 하여 상기 양 아암부(61c, 61c)의 하부에 형성되는 오목부(60b …)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제1 링크 아암(61)은, 상기 오목부(60b …)를 형성하도록 측면에서 보면 표단형으로 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크랭크 부재(68)의 지지축(68c)은, 헤드 커버(16)의지지 구멍(16a)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이며, 이 지지축(68c)의 선단에 컨트롤 아암(71)이 고정되고, 이 컨트롤 아암(71)이 실린더 헤드(14)의 외벽에 부착된 구동 수단으로서의 액츄에이터 모터(72)에 의해서 구동된다. 즉 액츄에이터 모터(72)에 의해 회전하는 나사축(73)에 너트 부재(74)가 맞물리고 있고, 너트 부재(74)에 핀(75)으로 일단이 피봇된 연결 링크(76)의 타단이, 핀(77, 77)을 통해 컨트롤 아암(71)에 연결된다. 따라서 액츄에이터 모터(72)를 작동시키면, 회전하는 나사축(73)을 따라서 너트 부재(74)가 이동하여, 너트 부재(74)에 연결 링크(76)를 통해 연결된 컨트롤 아암(71)에 의해서 지지축(68c) 주위로 크랭크 부재(68)가 요동함으로써, 가동축(68a)이 도 7(a)의 위치와 도 7(b)의 위치 사이를 이동한다.
헤드 커버(16)의 외벽면에, 예컨대 로터리 인코더와 같은 회전각 센서(80)가 설치되어 있고, 그 센서축(80a)의 선단에 센서 아암(81)의 일단이 고정된다. 컨트롤 아암(71)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서 직선형으로 뻗는 안내 홈(82)이 형성되어 있고, 그 안내 홈(82)에 센서 아암(81)의 타단에 설치한 핀(83)이 미끄럼 이동이 자유롭게 끼워 맞춘다.
나사축(73), 너트 부재(74), 핀(75), 연결 링크(76), 핀(77, 77), 컨트롤 아암(71), 회전각 센서(80), 센서 아암(81) 및 핀(83)은, 실린더 블록(14) 및 헤드 커버(16)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벽부(14a, 16b)의 내측에 수납되고, 벽부(14a, 16b)의 단부면을 덮는 커버(78)가 볼트(79 …)로 벽부(14a, 16b)에 고정된다.
상기 리프트 가변 구동 수단(33)에 있어서, 액츄에이터 모터(72)로 컨트롤 아암(71)이 도 3의 실선 위치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면, 컨트롤 아암(71)에 연결된 크랭크 부재(68)(도 5 참조)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고,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랭크 부재(68)의 가동축(68a)이 상승한다. 이 상태에서 흡기 캠 샤프트(31)의 밸브 작동 캠(69)에 의해 롤러(65)가 압박되면, 로커 샤프트(67), 상부 핀(64), 하부 핀(68) 및 가동축(68a)을 잇는 4절 링크가 변형하여 로커 아암(63)이 쇄선 위치에서 실선 위치로 아래쪽으로 요동하여, 조절 볼트(70, 70)가 흡기 밸브(19)의 스템(19a …)을 눌러, 흡기 밸브(19 …)를 높은 리프트로 개변(開弁)한다.
액츄에이터 모터(72)에 의해 컨트롤 아암(71)이 도 3의 실선 위치로 회동하면, 컨트롤 아암(71)에 연결된 크랭크 부재(68)가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랭크 부재(68)의 가동축(68a)이 하강한다. 이 상태에서 흡기 캠 샤프트(31)의 밸브 작동 캠(69)에 의해 롤러(65)가 압박되면, 상기 4절 링크가 변형하여 로커 아암(63)이 쇄선 위치에서 실선 위치로 아래쪽으로 요동하여, 조절 볼트(70, 70)가 흡기 밸브(19 …)의 스템(19a)을 눌러, 흡기 밸브(19 …)가 낮은 리프트로 개변한다.
도 8은 흡기(19)의 밸브 리프트 곡선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 7(a)에 대응하는 높은 리프트일 때의 개방각과, 도 7(b)에 대응하는 낮은 리프트일 때의 개방각은 동일하며, 밸브 리프트량만이 변화하고 있다. 이와 같이, 리프트 가변 구동 수단(33)을 설치함으로써, 흡기 밸브(19 …)의 개방각을 변경하지 않고서, 밸브 리프트만을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그런데, 액츄에이터 모터(72)에 의해 크랭크 부재(68)를 요동시켜 흡기 밸브(19 …)의 밸브 리프트를 변경할 때에, 밸브 리프트의 크기, 즉 크랭크 부재(68)의 지지축(68c)의 회동각을 검출하여 액츄에이터 모터(72)의 제어로 피드백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크랭크 부재(68)의 지지축(68c)의 회동각을 회전각 센서(80)로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크랭크 부재(68)의 지지축(68c)의 회동각을 단순히 검출할 뿐이면, 상기 지지축(68c)에 회전각 센서를 직결하면 좋지만, 낮은 리프트 영역에서는 리프트량이 약간 변화된 것만으로 흡기 효율이 크게 변화되기 때문에, 크랭크 부재(68)의 지지축(68c)의 회동각을 정밀도 좋게 검출하여 액츄에이터 모터(72)의 제어로 피드백할 필요가 있다. 그에 대하여, 높은 리프트의 영역에서는 리프트량이 다소 변화되더라도 흡기 효율이 크게 변화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회전각의 검출에 그만큼 높은 정밀도는 요구되지 않는다.
도 9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컨트롤 아암(71)의 위치는 낮은 리프트의 영역에 대응하고, 거기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한 쇄선으로 나타내는 컨트롤 아암(71)의 위치는 높은 리프트의 영역에 대응하고 있다. 낮은 리프트의 영역에서는, 회전각 센서(80)의 센서축(80a)에 고정한 센서 아암(81)의 핀(83)이 컨트롤 아암(71)의 안내 홈(82)의 선단측(축선 C에서 먼 측)에 결합하고 있기 때문에, 컨트롤 아암(71)이 약간 요동한 것만으로 센서 아암(81)은 크게 요동한다. 즉 크랭크 부재(68)의 회동각에 대한 센서축(80a)의 회동각의 비율이 커져, 회전각 센서(80)의 분해능이 높아져 크랭크 부재(68)의 회동각을 고정밀도로 검출할 수 있다.
한편, 컨트롤 아암(71)이 쇄선으로 나타내는 위치로 요동한 높은 리프트의 영역에서는, 회전각 센서(80)의 센서축(80a)에 고정한 센서 아암(81)의 핀(83)이 컨트롤 아암(71)의 안내 홈(82)의 기단측(축선 C에 가까운 측)에 결합하고 있기 때문에, 컨트롤 아암(71)이 크게 요동하더라도 센서 아암(81)은 조금밖에 요동하지 않는다. 즉 크랭크 부재(68)의 회동각에 대한 센서축(80a)의 회동각의 비율이 작아져, 크랭크 부재(68)의 회동각의 검출 정밀도는 낮은 리프트일 때에 비교하여 낮아진다.
도 10의 그래프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컨트롤 아암(71)의 회전각이 낮은 리프트 상태에서 높은 리프트 상태로 향해 증가해 가면, 처음에는 센서 아암(81)의 각도의 증가율이 높기 때문에 검출 정밀도가 높아지지만, 점차로 상기 증가율이 낮아져 검출 정밀도가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고가이며 검출 정밀도가 높은 회전각 센서를 이용하지 않아도, 회전각 센서(80)의 센서 아암(81)을 컨트롤 아암(71)의 안내 홈(82)에 결합시킴으로써, 높은 검출 정밀도를 필요로 하는 낮은 리프트 상태에 있어서의 검출 정밀도를 확보하여, 비용 절감에 기여할 수 있다.
이 때, 컨트롤 아암(71)의 일단측(지지축(68c)에 가까운 측)과 센서 아 암(81)의 일단측(회전각 센서(80)에 가까운 측)을 접근시켜 배치하여, 컨트롤 아암(71)의 일단측에 안내 홈(82)을 형성했기 때문에, 센서 아암(81)의 길이를 짧게 하여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 아암(71)의 일단측에 안내 홈(82)을 형성하면, 축선(C)으로부터의 거리가 작아져 안내 홈(82)의 원주 방향의 이동량도 작아지지만, 센서 아암(81)의 길이도 짧아지기 때문에, 센서 아암(81)의 회동각을 충분히 확보하여 회전 센서(80)의 검출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에 있어서, 흡기 캠 홀더(46)를 협동하여 구성하는 홀더(44)의 지지벽(44a) 및 캡(45) 사이에는 흡기 캠 샤프트(31)의 저어널부(31a)를 관통시켜 그 저어널부(31a)를 회전 가능하게 지승하는 베어링 구멍(86)이 형성된다. 또한 흡기 캠 샤프트(31) 내에는 외부의 도시하지 않는 윤활유 공급원으로부터 윤활유가 급유되는 윤활유 통로(87)가 동축에 설치되고 있고, 상기 저어널부(31a)에는 상기 윤활유 통로(87)에 안단을 통하게 하는 공급 구멍(88)이, 그 바깥단을 저어널부(31a)의 외주에 개구시키도록 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베어링 구멍(86)의 내주면의 적어도 일부, 이 실시예에서는 베어링 구멍(86) 중 홀더(44)측 부분의 내주면에, 공급 구멍(88)의 바깥단에 대응한 수취홈(89)이 형성된다. 이 수취홈(89)은 베어링 구멍(86)의 내주의 일부에만 형성되기 때문에, 저어널부(31a)로부터의 부하를 받는 부하 능력에 악영향을 미치게 하는 일은 없다.
한편, 흡기 캠 홀더(46)에는, 일단을 상기 수취홈(89)에 통하게 하는 연락 통로(90)가 설치된다. 그런데, 캡(45)은 흡기 캠 샤프트(31)의 양측에 배치되는 1 쌍의 볼트(92, 93)에 의해 홀더(44)의 지지벽(44a)에 체결되는 것이며, 상기 각 볼트(92, 93)를 삽입 통과시켜, 나사 결합시키는 볼트 구멍(94, 95)이 상기 지지벽(44a)에 형성된다. 그렇게 하여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락 통로(90)는, 일단을 상기 수취홈(89)에 통하게 하여 홀더(44)에 있어서의 지지벽(44a)의 상면에 설치되는 홈(96)과, 상기 볼트(92) 및 볼트 구멍(94) 사이에 생기는 간극에 의해서 구성되는 것으로, 흡기 밸브(19 …), 로커 아암(63) 및 링크 기구(50) 중의 특정 부분 이 실시예에서는 흡기 밸브(19)의 스템(19a) 및 조절 볼트(70)의 접촉부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연락 통로(90)에 통하는 오일제트(91)가, 흡기 캠 홀더(46)에 있어서의 지지벽(44a)에 설치된다.
더구나 수취홈(89)의 위치 및 형상은, 흡기 캠 샤프트(31)의 특정한 회전 각도 범위에서만 공급 구멍(88)의 바깥단에 통하도록 설정되는 것이며, 흡기 캠 샤프트(31)의 특정한 회전 각도 범위는, 예를 들면 밸브 작동 캠(69)의 고위부가 로커 아암(63)의 롤러(65)에 접촉하는 범위이다.
즉 도 13(a)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기 캠 샤프트(31)가 회전 각도 범위(θ1)에 있고 밸브 작동 캠(69)의 고위부가 로커 아암(63)의 롤러(65)에 접촉하는 범위에서만, 공급 구멍(88)을 통해 윤활유 통로(87)가 수취홈(89)에 연통하고, 이 때, 윤활유가 연락 통로(90)로부터 오일제트(91)에 공급된다.
한편, 흡기 캠 샤프트(31)의 회전 각도 범위가 상기 각도 범위(θ1)를 제외한 범위(θ2)에 있을 때에는, 도 13(b)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급 구멍(88)은 수취홈(89)으로부터 차단된 위치에 있어, 윤활유가 오일제트(91)에 공급되는 일없 이, 공급 구멍(88)으로부터의 윤활유는 저어널부(31a) 및 베어링 구멍(86) 사이의 윤활에 이용된다.
이어서 이 제1 실시예의 작용에 관해서 설명하면, 흡기 밸브(19 …)의 개변 리프트량을 연속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리프트 가변 구동 수단(33)에 있어서, 제1 및 제2 링크 아암(61, 62)이 그 일단부에 갖는 제1 및 제2 연결부(61a, 61a; 62a)는, 일단부가 1쌍의 흡기 밸브(19 …)에 연동, 연결되는 로커 아암(63)의 타단부에 병렬적으로 상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1 링크 아암(61)의 타단의 고정 지지부(61b)는 엔진 본체(10)에 있어서의 로커 아암 샤프트(67)에 회동이 가능하게 지승되고, 제2 링크 아암(62)의 타단의 가동 지지부(62b)는 변위 가능한 가동축(68a)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승되고 있다.
따라서 가동축(68a)을 무단계로 변위시킴으로써 흡기 밸브(19 …)의 리프트량을 무단계로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더구나 제1 및 제2 링크 아암(61, 62)의 일단부가 로커 아암(63)에 회동 가능하게 하여 직접 연결되어 있어, 양 링크 아암(61, 62)을 배치하는 스페이스를 적게 하여 밸브 작동 장치의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어, 밸브 작동 캠(69)으로부터의 동력이 로커 아암(63)의 롤러(65)에 직접 전달되기 때문에 밸브 작동 캠(69)에 대한 우수한 추종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흡기 캠 샤프트(31)의 축선을 따르는 방향에서의 로커 아암(63), 제1 및 제2 링크 아암(61, 62)의 위치를 거의 동일 위치에 배치할 수 있어, 흡기 캠 샤프트(31)의 축선을 따르는 방향에서의 밸브 작동 장치의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로커 아암(63)의 일단부에는, 1쌍의 흡기 밸브(19 …)에 각각 접촉하는 조절 볼트(70, 70)가 그 진퇴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하여 나사 결합되는 1쌍의 볼트 부착부(63a, 63a)가 설치되고, 로커 아암(63)의 일단부에서부터 상기 롤러(65)가 배치되는 부분에 걸쳐서 로커 아암(63)에는, 양 볼트 부착부(63a, 63a) 사이에 배치되는 리브(63b)가 돌출 설치되기 때문에, 로커 아암(63)의 강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1 링크 아암(61)은, 로커 아암(63)을 양측에서 사이에 끼우는 1쌍의 제1 연결부(61a, 61a)와, 고정 지지부(61b)와, 양 제1 연결부(61a, 61a) 및 고정 지지부(61b) 사이를 잇는 1쌍의 아암부(61c, 61c)를 지니고, 제2 링크 아암(62)은, 제1 링크 아암(61)의 양 단부의 회동축선 사이를 잇는 직선(L1)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보아 상기 양 아암부(61c, 61c) 사이에 배치되도록 하여 평판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제2 링크 아암(62)에 비해서 담당하는 부하가 작은 제1 링크 아암(61)의 경량, 컴팩트화를 가능하게 하면서, 제1 링크 아암(61)보다도 큰 부하가 작용하는 제2 링크 아암(62)을, 평판형으로 함으로써, 제2 링크 아암(62)의 강성을 확보하면서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더구나 적어도 상기 가동 지지부(62b)가 제1 링크 아암(61) 측에 가장 근접한 상태에서는, 제1 링크 아암(61)의 제1 연결부(61a, 61a) 및 고정 지지부(61b)의 제2 링크 아암(62) 측의 측면 사이를 잇는 직선(L2)과 가동 지지부(62b)의 일부가 측면에서 보아 겹치도록 하여, 가동 지지부(62b)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60)가, 제1 링크 아암(61)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동 지지부(62b)의 변위량을 비교적 크게 설정하여 흡기 밸브(19 …)의 리프트 가변량을 크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면 서 제1 및 제2 링크 아암(61, 62)을 서로 근접시키도록 하여 밸브 작동 장치를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더구나 상기 수용부(60)의 일부가 상기 양 아암부(61c, 61c) 사이에 형성되기 때문에, 제1 및 제2 링크 아암(61, 62)을 보다 근접시킴으로써, 한층 더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고, 또한 수용부(60)는 가동축(68a)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게 형성되기 때문에, 제1 및 제2 링크 아암(61, 62)을 한층 더 근접시킴으로써, 밸브 작동 장치를 한층 더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링크 아암(61, 62)의 일단부의 제1 및 제2 연결부(61a, 61b)는, 일단부가 흡기 밸브(19 …)에 연동, 연결되는 로커 아암(63)의 타단부에 상하로 병렬적으로 상대 회동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제2 링크 아암(62)은 제1 링크 아암(61)보다도 짧게 형성되어 있고, 제2 링크 아암(62)의 타단의 가동 지지부(62b)는, 제1 링크 아암(61)의 타단의 고정 지지부(61b)보다도 흡기 밸브(19 …)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크랭크 부재(68)를 통해 컨트롤 아암(71)에 제2 링크 아암(62)으로부터 작용하는 반력의 모멘트를,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서 비교적 작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컨트롤 아암(71) 및 액츄에이터 모터(72)에 걸리는 부하를 저감하여, 컨트롤 아암(71) 및 액츄에이터 모터(72)의 신뢰, 내구성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로커 아암(63)에는, 제1 링크 아암(61)의 일단부의 제1 연결부(61a, 61a)가 상부 핀(64)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동시에, 롤러(65)가 상부 핀(64)을 통해 피봇 지지되고, 로커 아암(63) 중 흡기 캠 샤프트(31)에 대향하는 부분의 외측면 및 제1 링크 아암(61)의 일단부의 제1 연결부(61a, 61a)의 외측면이, 측면에서 보아 겹치도록 하여 상부 핀(64)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로커 아암(63) 및 제1 링크 아암(61)의 흡기 캠 샤프트(31)와의 간섭이 생기는 것을 피하면서, 컴팩트한 배치로 제1 링크 아암(61)의 일단부를 로커 아암(63)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리프트 가변 구동 수단(33)은, 연결판(68b)의 양끝에, 가동축(68a)과, 이 가동축(68a)과 평행한 축선을 갖는 지지축(68c)이 돌출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크랭크 부재(68)를 갖추고 있고, 지지축(68c)이 엔진 본체(10)의 헤드 커버(16)에 회동 가능하게 지승되기 때문에, 크랭크 부재(68)를 지지축(68c)의 축선 주위로 회동시킴으로써 가동축(68a)을 용이하게 변위시킬 수 있어, 액츄에이터 모터(72)에 의해서 가동축(68a)을 변위시키는 기구의 단순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외부로부터의 윤활유의 급유를 가능하게 하여 흡기 캠 샤프트(31) 내에 설치된 윤활유 통로(87)에 안단을 통하게 하는 공급 구멍(88)이, 흡기 캠 샤프트(31)의 저어널부(31a)의 외주면에 바깥단을 개구하도록 하여 저어널부(31a)에 설치되고, 흡기 캠 홀더(46)가 구비하는 베어링 구멍(86)의 내주면의 적어도 일부에는 공급 구멍(88)의 바깥단에 대응한 수취홈(89)이 설치되고, 흡기 밸브(19 …), 로커 아암(63) 및 링크 기구(50) 중의 특정 부분, 이 실시예에서는 흡기 밸브(19) 및 로커 아암(63)의 접촉부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오일제트(91) 및 수취홈(89) 사이를 잇는 연락 통로(90)가 흡기 캠 홀더(46)에 설치되어, 수취홈(89)의 위치 및 형상이, 흡기 캠 샤프트(31)의 특정한 회전 각도 범위(θ1)에서만 공급 구멍(88)의 바깥단에 통하도록 설정되기 때문에, 흡기 캠 샤프트(31)의 특정한 회전 각도 범 위(θ1) 내에서만 공급 구멍(88) 및 수취홈(89)을 연통시키도록 하여, 오일제트(91)로부터 분출되는 윤활유의 공급량 및 공급 타이밍을 흡기 캠 샤프트(31)의 회전에 의해서 제어하여, 적절한 양의 윤활유를 밸브 작동 장치의 특정 부분에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제1 실시예에서는, 흡기 캠 샤프트(31)의 특정한 회전 각도 범위(θ1)를 밸브 작동 캠(69)의 고위부가 로커 아암(63)의 롤러(65)에 접촉하는 범위로서 정했지만, 그와 같은 범위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실시예 2>
이어서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면, 제2 링크 아암(62)의 위쪽에 배치되는 제1 링크 아암(61)의 고정 지지부(61b)의 상부에는, 그 고정 지지부(61b)를 회동 가능하게 지승하도록 하여 고정 지지부(61b)를 관통하는 로커 아암 샤프트(67)의 외주를 향하게 하는 윤활유 저장소(98)가 설치된다. 또한 흡기 캠 홀더(46)의 캡(45)에는, 외부로부터의 윤활유의 급유를 가능하게 한 윤활유 통로(99)가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윤활유 저장소(98)에 위쪽에서부터 윤활유를 떨어트리는 급유 파이프(100)가, 윤활유 통로(99)에 통하도록 하여 흡기 캠 홀더(46)의 캡(45)으로부터 돌출 설치된다.
이러한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윤활유 통로(99)로부터 급유 파이프(100)에 공급되는 윤활유를 윤활유 저장소(98)에 떨어뜨림으로써, 윤활유 저장소(98)에 윤활유를 확실하게 급유할 수 있어, 윤활유 저장소(98)에 고인 윤활유를 로커 아암 샤프트(67) 및 제1 링크 아암(61) 사이의 윤활에 이용할 수 있다. 더구나 급유 파이 프(100)로부터 공중을 통해 윤활유 저장소(98)에 윤활유를 공급하기 때문에, 복잡한 윤활유 공급 경로를 설치할 필요가 없이, 간단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 급유 파이프(100)에 윤활유를 공급하는 경로는 상기 제2 실시예의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제1 실시예와 같이, 흡기 캠 샤프트(31) 내에 설치된 윤활유 통로(87)로부터 공급 구멍(88) 및 수취홈(89)을 통해 흡기 캠 홀더(46)에 설치되는 윤활유 통로를 거쳐 급유 파이프(100)에 윤활유가 공급되도록 하여 윤활유 공급 경로를 구성하더라도 좋다.
<실시예 3>
또한 도 16 ~ 도 2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면, 우선 도 16 및 도 17에 있어서, 1쌍의 흡기 밸브(19 …)는, 흡기 캠 샤프트(31)에 의해서 리프트 가변 구동 수단(105)을 통해 구동되고, 리프트 가변 구동 수단(105)은, 상기 양 흡기 밸브(19 …)에 개별적으로 대응한 1쌍의 로커 아암(63A, 63B)과, 각 로커 아암(63A, 63B)에 각각 대응한 1쌍의 링크 기구(50A, 50B)에 의해서 구성되는 것으로, 로커 아암(63A)에 대응하는 한 쪽의 링크 기구(50A)는, 제1 링크 아암(61) 및 제2 링크 아암(62B)을 갖추고, 로커 아암(63B)에 대응하는 다른 쪽의 링크 기구(50B)는, 제1 링크 아암(61) 및 제2 링크 아암(62B)을 갖추고, 제1 링크 아암(61)은, 양 링크 기구(50A, 50B)에 공통으로 형성된다.
1쌍의 로커 아암(63A, 63B)의 일단부에는, 이들 로커 아암(63A, 63b)에 개별적으로 대응한 흡기 밸브(19 …)가 구비하는 스템(19a …)의 상단에 접촉하는 밸브 접촉부로서의 조절 볼트(70 …)가 진퇴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하여 나사 결합되 고, 양 로커 아암(63A, 63B)의 타단부 사이에는, 흡기 캠 샤프트(31)가 구비하는 밸브 작동 캠(69)에 구름 접촉하는 캠 접촉부로서의 롤러(65)가, 상부 핀(64)을 통해 피봇 지지된다.
제1 링크 아암(61)은, 양 로커 아암(63A, 63B)을 양측에서 사이에 끼우는 1쌍의 제1 연결부(61a, 61a)를 가지고 대략 U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1 링크 아암(61)의 일단부의 제1 연결부(61a, 61a)는, 상기 상부 핀(64)을 통해 양 로커 아암(63A, 63B)의 타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 링크 아암(61)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제2 링크 아암(62A)의 일단부에 설치되는 제2 연결부(62Aa)는, 상기 상부 핀(64)보다도 아래쪽에서 로커 아암(63A)의 타단부에 하부 핀(66A)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1 링크 아암(61)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제2 링크 아암(62B)의 일단부에 설치되는 제2 연결부(62Ba)는, 상기 상부 핀(64)보다도 아래쪽에서 로커 아암(63A)의 타단부에 하부 핀(66B)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 링크 아암(61)의 타단의 고정 지지부(61b)는 로커 아암 샤프트(67)에 회동 가능하게 지승되고, 제2 링크 아암(62A, 62B)이 그 타단에 갖는 가동 지지부(62Ab, 62Bb)는, 크랭크 부재(68)의 가동축(68a)에서 회동 가능하게 지승된다. 더구나 제2 링크 아암(62A, 62B)은 제1 링크 아암(61)보다도 짧게 형성되어 있고, 제2 링크 아암(62A, 62B)의 타단의 가동 지지부(62Ab, 62Bb)는, 제1 링크 아암(61)의 타단의 고정 지지부(61b)보다도 흡기 밸브(19 …)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게 된다.
또한 적어도 제2 링크 아암(62A, 62B)의 타단부의 가동 지지부(62Ab, 62Bb)가 제1 링크 아암(61) 측에 가장 근접한 상태에서는, 제1 링크 아암(61)의 제1 연결부(61a, 61a) 및 고정 지지부(61b)의 제2 링크 아암(62A, 62B) 측의 측면 사이를 잇는 직선(L2)과, 상기 가동 지지부(62Ab, 62Bb)의 일부가 측면에서 보아 겹치도록 하여, 가동 지지부(62Ab, 62Bb)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60)가, 제1 링크 아암(61)에 형성된다.
그런데 상기 양 제2 링크 아암(62A, 62B)의 일단부를 양 로커 아암(63A, 63b)의 타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하부 핀(66A, 66B) 의 중심 위치 사이에는 소정의 차(OS)가 설정되어 있고, 이에 따라 양 제2 링크 아암(62A, 62B)의 아암 길이도 서로 다른 것으로 된다. 즉 1쌍의 흡기 밸브(19 …)에 개별적으로 대응한 1쌍의 로커 아암(63A, 63B)에 각각 대응한 링크 기구(50A, 50B)의 지오메트리가 서로 다르게 설정되게 된다.
이러한 링크 기구(50A, 50B)의 지오메트리의 차이에 따르면, 양 로커 아암(63A, 63B)에 제1 링크 아암(61)을 연결하는 상부 핀(64)의 중심의 궤적은 양 링크 기구(50A, 50B)에서 공통이지만, 양 로커 아암(63A, 63B)에 제2 링크 아암(62A, 62B)을 연결하는 하부 핀(66A, 66B)의 중심의 궤적은 서로 다른 것으로 되고, 따라서, 양 흡기 밸브(19 …)에는, 도 18에 실선 및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다른 리프트 특성이 주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양 흡기 밸브(19 …)에 개방도차가 생겨, 특히 저개방도 영역에서는 개방도차의 영향이 현저히 나타나, 연소실(15) 내에서 흡기류가 선회한다.
양 흡기 밸브(19 …)의 리프트의 차는, 양 로커 아암(63A, 63B)에의 하부 핀(66A, 66B)의 피봇 부착 위치를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저개방도 영역에서는 개방도차를 크게, 또 고개방도 영역에서는 개방도차가 작아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고개방도 영역에서는 양 흡기 밸브(19 …)의 개방도차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작아지기 때문에, 그 개방도차는 엔진 출력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되지 않는다.
또한 양 흡기 밸브(19 …)의 개방도차는, 양 로커 아암(63A, 63b)에 나사 결합되어 있는 조절 볼트(70 …)의 진퇴 위치를 조정하고, 양 흡기 밸브(19 …)의 스템(19a …)과, 조절 볼트(70 …) 사이의 간극의 조정치를 서로 다른 것으로 함으로써, 용이하게 조절 가능하다. 즉, 태핏 클리어런스가 작으면, 로커 아암(63A, 63B) 및 흡기 밸브(19 …) 사이의 기계적인 연동 오차가 작아져, 밸브 작동 캠(69)의 리프트량에 따른 개방도가 주어지지만, 태핏 클리어런스가 크면, 밸브 작동 캠(69)에 의한 로커 아암(63A, 63B)의 종동 동작 중 흡기 밸브(19 …)의 개변 스트로크에 기여하는 정도가 작아진다. 이것을 이용하여, 양 흡기 밸브(19 …)에 개방도차를 붙이는 것보다, 스월(swirl) 효과를 보다 한층 현저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당연하지만 태핏 클리어런스의 차는 전체 운전 영역에 영향을 미치지만, 개방도가 커짐에 따라서 개방도차의 영향이 작아지기 때문에, 이 차가 엔진 출력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는 되지 않음은 상술한 것과 같다.
그런데, 도 18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버섯형을 이루는 흡기 밸브(19)의 우산형부(106)의 밸브 시트(107)에 접촉하는 면 즉 시트면(108)에는, 소정의 밸브 시트 각(θ)을 이루도록 모따기가 실시되는 것인데, 그 밸브 시트 각(θ)을 75도 이하로 하여, 시트면(108) 및 우산형부(106)의 외면이 이루는 각도(ψ)를 30도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우산형부(106)의 윤곽이 곡면인 경우에는, 그 곡면의 접선(우산형부(106)의 상면에서 반경 방향으로 3 mm 떨어진 2점을 잇는 직선이라 정의함)에 30도 이상인 부분을 포함하면 좋다.
이러한 설정은, 밸브 시트 각(θ)이 좁으면 좁을수록 흡기 밸브(19 …)의 낮은 리프트 영역(자동차의 경우 약 2 mm 이하)에 있어서의 동일 밸브 리프트량[도 20(a) 및 도 20(b) 중의 a1 = a2]에서의 유효 간극이 작아지기[도 20(a) 및 도 20(b) 중의 b1 < b2] 때문에, 밸브 리프트량의 유효 개구 면적의 변화를 작게 하는 데에 유효하다. 이에 따라, 밸브 리프트 가변식의 흡기 밸브(19 …)에 있어서, 온도 변화나 제조 오차 등에 기인하여 생기는 저리프트 영역에서의 개방도 오차 혹은 변동의 영향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리프트량 제어에 의해 흡기량 제어를 하는 경우는, 저개방도 영역에서의 리프트량 변화에 대한 흡기량 변화의 응답성이 과민하게 되지 않으며, 정밀도를 저하시키지 않고서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밸브 시트(107)에 시트면(108)이 안착할 때의 수직 속도는 밸브 시트 각(θ)이 작아질수록 낮아지기 때문에, 밸브 시트 각(θ)을 좁게 하는 것은, 소음의 저감에도 유리하게 작동한다.
한편, 시트면(108) 및 우산형부(106)의 외면이 이루는 각도(ψ)는, 그 각도(ψ)를 제로에서부터 서서히 크게 해 가면, 흡기가 처음에는 우산형부(106)의 윤곽을 따라서 흐르지만, 이 각도(ψ)가 30도 부근일 때에 시트면(108)으로부터의 부분적인 박리가 생겨 흡기 저항이 커지는 경향이 보인다. 이것이 30도를 넘으면, 흡기 류가 시트면(108)으로부터 완전히 박리하여, 도리어 흡기 저항이 감소한다.
이 반대로, 각도(ψ)가 30도보다도 작으면, 흡기 저항은 적어지지만, 우산형부(106)의 체적이 커져, 흡기 밸브(19 …)의 관성 질량이 증대하는 데다, 시트면(108)보다도 상류측의 포트 유효 면적을 줄여 버리는 점이 문제가 된다.
또한 연소실(15)에 대한 흡기 포트(17)의 개구단에는, 흡기 밸브(19)의 내면보다도 연소실(15) 측으로 돌출한 부분[시라우드(shroud)라 불림, 109)이 형성되지만, 도 21dpt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시라우드(109)의 일부를 절제하여 흡기류의 선회를 촉진시키기 위한 안내면(110)을 형성하는 것보다, 보다 한층 스월(swirl) 효과를 촉진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을 일탈하지 않고 여러 가지의 설계 변경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원 발명에 따르면, 로커 아암(36)에 제1 및 제2 연결부가(61a, 62a)가 병렬적으로 상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 링크 아암(62)의 가동 지지부(62b)가, 제1 링크 아암(61)의 고정 지지부(61b)보다도 기관 밸브(19) 측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컴팩트화를 도모하는 동시에 개폐 작동의 추종성을 확보하도록 한 뒤에, 구동 수단의 신뢰성 및 내구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면서 기관 밸브의 리프트량을 연속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Claims (12)

  1. 밸브 작동 캠(69)에 접촉하는 캠 접촉부(65)를 가지는 동시에 일단부가 기관 밸브(19)에 연동, 연결되는 로커 아암(63, 63A, 63B)과;
    이 로커 아암(63, 63A, 63B)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연결부(61a)를 일단부에 가지는 동시에 엔진 본체(10)의 고정 위치에 회동 가능하게 지승되는 고정 지지부(61b)를 타단부에 갖는 제1 링크 아암(61) 및 상기 로커 아암(63, 63A, 63B)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연결부(62a, 62Aa, 62Ba)를 일단부에 가지는 동시에 변위 가능한 가동축(68a)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승되는 가동 지지부(62b, 62Ab, 62Bb)를 타단부에 갖는 제2 링크 아암(62, 62A, 62B)을 구비하는 링크 기구(50, 50A, 50B)와;
    기관 밸브(19)의 리프트량을 무단계로 변화시키도록 상기 가동축(68a)의 위치를 변위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가동축(68a)에 연결되는 구동 수단(72);을 포함하는 엔진의 밸브 작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커 아암(63, 63A, 63B)의 타단부에, 제1 및 제2 연결부(61a, 62a)가 병렬적으로 상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 링크 아암(62, 62A, 62B)의 상기 가동 지지부(62b, 62Ab, 62Bb)가, 제1 링크 아암(61)의 고정 지지부(61b)보다도 상기 기관 밸브(19) 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밸브 작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가동 지지부(62b, 62Ab, 62Bb)가 제1 링크 아 암(61) 측에 가장 근접한 상태에서는 제1 링크 아암(61)의 제1 연결부(61a) 및 고정 지지부(61b)의 제2 링크 아암(62, 62A, 62B) 측의 측면 사이를 잇는 직선(L2)과 상기 가동 지지부(62b)의 일부가 측면에서 보아 겹치도록 하여, 상기 가동 지지부(62b, 62Ab, 62Bb)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60)가, 제1 링크 아암(61)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밸브 작동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제1 링크 아암(61)은, 상기 로커 아암(63, 63A, 63B)을 양측에서 사이에 끼우는 1쌍의 제1 연결부(61a)와, 고정 지지부(61b)와, 양 제1 연결부(61a) 및 고정 지지부(61b) 사이를 잇는 1쌍의 아암부(61c)를 가지고 대략 U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60)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양 아암부(60c)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밸브 작동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60)가, 상기 가동축(68a)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밸브 작동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커 아암(63)의 일단부에는, 1쌍의 기관 밸브(19)에 각각 접촉하는 조절 볼트(70)가 그 진퇴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하여 나사 결합되는 1쌍의 볼트 부착부(63a)가 설치되고, 상기 로커 아암(63)의 일단부에서부터 상기 캠 접촉부(65)가 배치되는 부분에 걸쳐서 상기 로커 아암(63)에는, 상기 양 볼트 부착부(63a) 사이에 배치되는 리브(63b)가 돌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밸브 작동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제1 링크 아암(61)은, 상기 로커 아암(63)을 양측에서 사이에 끼우는 1쌍의 연결부(61a)와, 상기 엔진 본체(10)의 고정 위치에 회동 가능하게 지승되는 고정 지지부(61b)와, 양 연결부(61a) 및 고정 지지부(61b) 사이를 잇는 1쌍의 아암부(61c)를 가지고 대략 U자형으로 형성되어, 제2 링크 아암(62)이, 제1 링크 아암(61)의 양단부의 회동축선 사이를 잇는 직선(L1)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보아 상기 양 아암부(61c) 사이에 배치되도록 하여 평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밸브 작동 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로커 아암(63, 63A, 63B)에, 제1 링크 아암(61)의 일단부가 핀(64)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동시에, 상기 캠 접촉부로서의 롤러(65)가 상기 핀(64)을 통해 피봇 지지되고, 상기 로커 아암(63, 63A, 63B) 중 상기 밸브 작동 캠(69)이 설치되는 캠 샤프트(31)에 대향하는 부분의 외측면 및 상기 제1 링크 아암(61)의 일단부 외측면이, 측면에서 보아 겹치도록 하여 상기 핀(64)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밸브 작동 장치.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연결판(68b)의 양끝에, 상기 가동축(68a)과, 이 가동축(68a)과 평행한 축선을 갖는 지지축(68c)이 돌출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크랭 크 부재(68)를 구비하여, 상기 지지축(68c)이 엔진 본체(10)에 회동 가능하게 지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밸브 작동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기관 밸브인 흡기 밸브(19)에 개별적으로 대응한 상기 로커 아암(63A, 63B)에 각각 대응한 상기 링크 기구(50A, 50B)의 지오메트리(geometry)가 서로 다르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밸브 작동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각 링크 기구(50A, 50B)가 개별적으로 구비하는 제2 링크 아암(62A, 62B)의 가동 지지부(62Ab, 62Bb)를 각각 지승하는 가동축(68a)이, 각 링크 기구(50A, 50B)에 공통적으로 엔진 본체(10)에 회동 가능하게 지승되는 크랭크 부재(68)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밸브 작동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엔진 본체(10)에는, 상기 밸브 작동 캠(69)이 설치되는 캠 샤프트(31)의 저어널부(31a)를 관통시켜 그 저어널부(31a)를 회전 가능하게 지승하는 베어링 구멍(86)을 갖는 캠 홀더(46)가 설치되고, 외부로부터의 윤활유의 급유를 가능하게 하여 상기 캠 샤프트(31) 안에 설치된 윤활유 통로(87)에 안단을 통하게 하는 공급 구멍(88)이, 상기 저어널부(31a)의 외주면에 바깥단을 개구하도록 하여 상기 저어널부(31a)에 형성되고, 상기 베어링 구멍(86)의 내주면의 적어도 일부에는 상기 공급 구멍(88)의 바깥단에 대응한 수취홈(89)이 형성되고, 상기 기관 밸브(19), 상기 로커 아암(63, 63A, 63B) 및 상기 링크 기구(50, 50A, 50B) 중의 특 정 부분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오일제트(91) 및 상기 수취홈(89) 사이를 잇는 연락 통로(90)가 상기 캠 홀더(46)에 설치되어, 상기 수취홈(89)의 위치 및 형상이, 상기 캠 샤프트(31)의 특정한 회전 각도 범위에서만 상기 공급 구멍(88)의 바깥단에 통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밸브 작동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제2 링크 아암(62, 62A, 62B)의 위쪽에 배치되는 제1 링크 아암(61)의 고정 지지부(61b)의 상부에, 그 고정 지지부(61b)를 회동 가능하게 지승하도록 하여 고정 지지부(61b)를 관통하는 로커 아암 샤프트(67)의 외주를 향하게 하는 윤활유 저장소(98)가 설치되고, 상기 밸브 작동 캠(69)이 설치되는 캠 샤프트(31)의 저어널부(31a)를 회전 가능하게 지승하도록 하여 엔진 본체(10)에 설치되는 캠 홀더(46)에, 외부로부터의 윤활유의 급유를 가능하게 한 윤활유 통로(99)가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윤활유 저장소(98)에 위쪽에서 윤활유를 떨어트리는 급유 파이프(100)가, 상기 윤활유 통로(99)에 통하도록 하여 돌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밸브 작동 장치.
KR1020067014984A 2003-12-25 2004-12-21 엔진의 밸브 작동 장치 KR1007581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430710A JP4011020B2 (ja) 2003-12-25 2003-12-25 エンジンの動弁装置
JPJP-P-2003-00430710 2003-12-25
JPJP-P-2003-00434055 2003-12-26
JPJP-P-2003-00433595 2003-12-26
JP2003434055 2003-12-26
JP2003433595 2003-12-26
JPJP-P-2004-00000429 2004-01-05
JP2004000429A JP4256268B2 (ja) 2004-01-05 2004-01-05 動弁装置の潤滑油供給構造
PCT/JP2004/019084 WO2005064124A1 (ja) 2003-12-25 2004-12-21 エンジンの動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8949A true KR20060128949A (ko) 2006-12-14
KR100758194B1 KR100758194B1 (ko) 2007-09-13

Family

ID=34743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4984A KR100758194B1 (ko) 2003-12-25 2004-12-21 엔진의 밸브 작동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363892B2 (ko)
EP (1) EP1707766A4 (ko)
KR (1) KR100758194B1 (ko)
CN (1) CN100434659C (ko)
BR (1) BRPI0418155A (ko)
CA (1) CA2549968C (ko)
TW (1) TWI255881B (ko)
WO (1) WO20050641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29902B2 (ja) 2004-01-16 2009-02-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ンジンの動弁装置
TW200533825A (en) 2004-01-16 2005-10-16 Honda Motor Co Ltd Engine valve operating system
JP4238203B2 (ja) * 2004-01-30 2009-03-1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ンジン
WO2011086201A2 (es) * 2009-12-23 2011-07-21 Amadeo Marti Carbonell, S.A. Mejoras introducidas en la lubricación de los asientos de un árbol de levas y eje de balancines en un motor de combustión interna
JP5662965B2 (ja) 2012-06-06 2015-02-04 大豊工業株式会社 エンジンの潤滑油供給機構
US10151223B2 (en) * 2016-06-09 2018-12-1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alve deactivating system for an engine
CN108223047B (zh) * 2017-06-09 2020-01-31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配气机构、发动机和车辆
CN109026265B (zh) * 2017-06-09 2020-12-22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配气机构、发动机和车辆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0523A (ja) * 1993-03-29 1994-10-04 Honda Motor Co Ltd 内燃機関の動弁装置
JP3455956B2 (ja) 1994-09-01 2003-10-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バルブリフト量連続可変機構
US5988125A (en) * 1997-08-07 1999-11-23 Unisia Jecs Corporation Variable valve actuation apparatus for engine
JP3982917B2 (ja) * 1997-08-08 2007-09-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内燃機関の可変動弁装置
JP3921290B2 (ja) * 1998-01-22 2007-05-3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内燃機関の可変動弁装置
GR20010100295A (el) * 2001-06-18 2003-02-27 Εμμανουηλ Παττακος Μεταβλητο συστημα βαλβιδων
DE10136612A1 (de) * 2001-07-17 2003-02-06 Herbert Naumann Variable Hubventilsteuerungen
JP4057855B2 (ja) * 2002-07-05 2008-03-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の動弁装置
CA2526183C (en) * 2003-05-28 2009-06-23 Honda Motor Co., Ltd. Engine valve operating system
JP2004353599A (ja) * 2003-05-30 2004-12-16 Honda Motor Co Ltd エンジンの動弁装置
EP1548240B1 (en) * 2003-12-24 2007-06-20 Honda Motor Co., Ltd. Drive of variable valve lift mechanism
BRPI0418077A (pt) * 2003-12-24 2007-04-17 Honda Motor Co Ltd dispositivo de levantamento de válvula de motor de combustão interna
JP2007126966A (ja) * 2004-01-15 2007-05-24 Toyota Motor Corp 可変動弁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533823A (en) 2005-10-16
CN1898458A (zh) 2007-01-17
CA2549968A1 (en) 2005-07-14
WO2005064124A1 (ja) 2005-07-14
CN100434659C (zh) 2008-11-19
BRPI0418155A (pt) 2007-04-27
US20070144471A1 (en) 2007-06-28
CA2549968C (en) 2009-08-11
KR100758194B1 (ko) 2007-09-13
TWI255881B (en) 2006-06-01
EP1707766A1 (en) 2006-10-04
EP1707766A4 (en) 2008-12-17
US7363892B2 (en) 2008-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69669B2 (en) Variable valve train mechanism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7305946B2 (en) Variable valve operating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7503295B2 (en) Engine valve operating system
US7121239B2 (en) Valve train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7104231B2 (en) Valve trai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0758194B1 (ko) 엔진의 밸브 작동 장치
US8181613B2 (en) Variable valve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7647903B2 (en) Variable valve lift device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7523727B2 (en) Engine
US7556003B2 (en) Engine valve operating system
US7104230B2 (en) Drive of variable valve lift mechanism
US7444966B2 (en) Valve moving device for engine
KR20000071212A (ko) 밸브 작동기구
JP4238173B2 (ja) エンジンの動弁装置
US7631621B2 (en) Engine valve operating system
RU2328605C2 (ru) Система привода клапанов двигателя
JP4462618B2 (ja) 内燃機関におけるバルブリフト可変式動弁装置
MXPA06007340A (en) Valve gear system of eng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