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8798A - 에스보드용 토션 바 - Google Patents

에스보드용 토션 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8798A
KR20060128798A KR1020060116556A KR20060116556A KR20060128798A KR 20060128798 A KR20060128798 A KR 20060128798A KR 1020060116556 A KR1020060116556 A KR 1020060116556A KR 20060116556 A KR20060116556 A KR 20060116556A KR 20060128798 A KR20060128798 A KR 200601287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torsion bar
housing
board
compression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6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54094B1 (ko
Inventor
박호성
Original Assignee
박호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호성 filed Critical 박호성
Priority to KR1020060116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4094B1/ko
Publication of KR20060128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87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4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40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1Skateboar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2203/00Special features of skates, skis, roller-skates, snowboards and courts
    • A63C2203/40Runner or deck of boards articulated between both feet

Landscapes

  • Sp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스보드(S-Board)의 분리된 프론트플레이트와 리어플레이트가 트위스트형상으로 상호 뒤틀리면서 동시에 복원되도록 한 에스보드용 토션 바에 관한 것이다. 본 토션 바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스크류공에 수용된 스크류에 의해 상기 프론트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있으며 소정의 프론트수용공간과 암나사 형상을 갖는 축수용홈이 형성되어 있는 프론트하우징과, 적어도 하나이상의 스크류공에 수용된 스크류에 의해 상기 리어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있으며 일측과 타측이 소정의 리어수용공간으로 관통되어 있는 리어하우징과, 상기 프론트하우징과 상기 리어하우징 중 어느 일측의 내경에 전조롤링 결합되어 있는 제1캠과, 상기 제1캠과 상대회동 가능하게 맞닿아 있고 그 제1캠과 대향되는 타측의 내경에 전조롤링 결합되어 있는 제2캠과, 상기 제1캠과 제2캠 사이에 수용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볼과, 상기 프론트하우징의 축수용홈에 결합되고 상기 제1캠과 제2캠을 관통하여 상기 리어하우징의 리어수용공간으로 연장되어 있는 회동축과, 상기 회동축에 수용되어 상기 제1캠과 제2캠 중 어느 하나에게 팽창력을 제공하는 압축스프링과, 상기 회동축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압축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스프링스토퍼를 포함한다.
에스보드, 토션, 바, 트위스트, 뒤틀림, 스프링, 캠

Description

에스보드용 토션 바{Torsion Bar for S-Boar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스보드용 토션 바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스보드용 토션 바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스보드용 토션 바의 뒤틀림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스보드용 토션 바의 복원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론트플레이트 3 ; 리어플레이트
5 ; 프론트하우징 7 ; 리어하우징
9 ; 제1캠 11 ; 제2캠
13 ; 볼 15 ; 회동축
17 ; 압축스프링 19 ; 스프링스토퍼
21, 27 ; 스크류공 23 ; 프론트수용공간
25 ; 축수용홈 29 ; 리어수용공간
30 ; 관통공 33 ; 회동가이더
35 ; 플렌지
본 발명은 에스보드용 토션 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에스보드(S-Board)의 분리된 두 플레이트가 트위스트형상으로 상호 뒤틀리면서 동시에 복원되도록 한 에스보드용 토션 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스보드(S-Board)는 프론트플레이트와 리어플레이트로 구성되어 각 플레이트가 상호 트위스트방향으로 상대회동하면서 바퀴에 추진력을 형성하고 이와 같은 추진력으로 연속적인 주행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프론트플레이트와 리어플레이트에는 이들을 연결하는 토션 바(Torsion Bar)가 결합되어 있으며, 그 토션 바는 프론트플레이트와 리어플레이트의 저면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토션 바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판스프링과, 그 판스프링을 수용하여 프론트플레이트와 리어플레이트에 각각 고정되어 있는 프론트하우징 및 리어하우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특히 판스프링은 상기 프론트하우징과 리어하우징을 일체형으로 연결하고 있으며, 각 하우징에 결합된 두개의 플레이트가 트위스트 방향으로 뒤틀리게 될 경우, 같이 뒤틀린 판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항상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킨다.
그런데, 상기의 종래기술은 뒤틀림시에 발생하는 복원력이 판스프링에 의해서 발생되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1. 판스프링의 뒤틀림이 수없이 많이 이루어지지 때문에 재료적으로 변형이 일어나므로 복원력이 떨어지거나 물리적인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2. 판스프링의 뒤틀림과 복원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면 판스프링의 길이가 미세하게 변동되기 때문에 부가적인 부하가 발생되어 판스프링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3. 위와 같은 문제점들로 인하여 판스프링이 파손되어 A/S를 요청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에 따른 A/S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4. 탑승자의 체중을 고려하지 않고 일정한 복원력을 갖는 판스프링을 사용하기 때문에 정해진 범위 내의 체중을 갖는 탑승자만이 사용하게 되고 그 범위를 초과하는 즉 높거나, 낮은 체중을 갖는 탑승자들이 사용하는데 상당히 불편한 문제점을 제공하고, 이에 따라 사용을 기피하는 문제점이 있다.
5. 일정범위의 복원력을 갖는 판스프링을 사용하기 위하여는 일률적으로 정해진 길이로 구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에스보드의 전체 길이가 길거나 또는 크기가 커서 어린이들이 휴대하기에 곤란하거나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 캠과 압축스프링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복원력을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구성을 향상시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에스보드용 토션 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토션 바를 컴팩트하게 제작하므로 에스보드의 전체 부피를 비교적 작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한 에스보드용 토션 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프론트플레이트와 리어플레이트를 갖는 에스보드의 토션바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이상의 스크류공에 수용된 스크류에 의해 상기 프론트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있으며 소정의 프론트수용공간과 암나사 형상을 갖는 축수용홈이 형성되어 있는 프론트하우징과, 적어도 하나이상의 스크류공에 수용된 스크류에 의해 상기 리어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있으며 일측과 타측이 소정의 리어수용공간으로 관통되어 있는 리어하우징과, 상기 프론트하우징과 상기 리어하우징 중 어느 일측의 내경에 전조롤링 결합되어 있는 제1캠과, 상기 제1캠과 상대회동 가능하게 맞닿아 있고 그 제1캠과 대향되는 타측의 내경에 전조롤링 결합되어 있는 제2캠과, 상기 제1캠과 제2캠 사이에 수용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볼과, 상기 프론트하우징의 축수용홈에 결합되고 상기 제1캠과 제2캠을 관통하여 상기 리어하우징의 리어수용공간으로 연장되어 있는 회동축과, 상기 회동축에 수용되어 상기 제1캠과 제2캠 중 어느 하나에게 팽창력을 제공하는 압축스프링과, 상기 회동축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압축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스프링스토퍼를 포함하는 에스보드용 토션 바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프론트하우징과 상기 리어하우징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캠과 제2캠의 노출된 부분을 보호하기 위하여 그 외경에 상대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플렌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캠과 상기 제2캠에는 상기 볼이 나선방향을 따라 소정의 회동각만큼 이동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이상의 회동가이더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동가이더는 기준점을 중심으로 소정의 원주각만큼 대칭적인 나선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에스보드용 토션 바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스보드용 토션 바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스보드용 토션 바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스보드용 토션 바의 뒤틀림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스보드용 토션 바의 복원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에스보드용 토션 바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론트플레이트(1)와 리어플레이트(3) 각각의 저면에 고정되어 그 플레이트(1,3)들을 트위스트로 꼬우면서 전방을 향하여 소정의 속도감으로 주행할 수 있는 것으로, 프론트하우징(5), 리어하우징(7), 제1캠(9), 제2캠(11), 볼(13), 회동축(15), 압축스프링(17), 스프링스토퍼(19)로 구성되어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프론트플레이트(1)와 리어플레이트(3)에는 토션 바의 인접영역에 노면을 따라 주행하기 위한 바퀴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바퀴는 일방향으로 고정되어 있지 않고, 360도의 회전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쉽게 전환할 수 있는 회전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프론트하우징(5)은 적어도 하나이상의 스크류공(21)에 수용된 스크류에 의해 상기 프론트플레이트(1)에 고정되어 있으며, 소정의 프론트수용공간(23)과 암나사 형상을 갖는 축수용홈(2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리어하우징(7)은 상기 프론트하우징(5)과 길이방향으로 정열되어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고, 적어도 하나이상의 스크류공(27)에 수용된 스크류에 의해 상기 리어플레이트(3)에 고정되어 있으며 일측과 타측이 소정의 리어수용공간(29)을 통하여 관통되어 있다.
상기 제1캠(9)은 회전가능하게 그 중심에 관통공(3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프론트하우징(5)과 상기 리어하우징(7) 중 어느 일측의 내경에 전조롤링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2캠(11)은 회전가능하게 그 중심에 관통공(3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캠(9)과 동일한 형태를 가지고 상기 제1캠(9)과 상대회동 가능하게 맞닿아 있으며, 그 제1캠(9)과 대향되는 타측의 내경에 전조롤링 결합되어 있다.
상기 볼(13)은 상기 제1캠(9)과 제2캠(11) 사이에 형성된 한 쌍의 공간에 적어도 하나이상이 수용되어 있다.
상기 회동축(15)은 상기 프론트하우징(5)의 축수용홈(25)에 결합되어 리어하우징(7)의 말단까지 관통가능하게 연장되어 있고, 동시에 상기 제1캠(9)과 제2캠(11)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리어하우징(7)의 리어수용공간(29)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상기 압축스프링(17)은 상기 회동축(15)에 수용되어 상기 제1캠(9)과 제2캠(11) 중 어느 하나에게 팽창력을 제공한다.
상기 스프링스토퍼(19)는 상기 리어하우징(7)의 말단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수용되어 있으며, 상기 회동축(15)의 타측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압축스프링(17)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 및 제2캠(9,11)은 관통공(30)의 주변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볼(13)이 나선방향을 따라 소정의 회동각만큼 이동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이상의 회동가이더(3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캠(9)과 제2캠(11)이 맞닿아 있을 경우 상기 회동가이더(33)에 의해서 상기 볼(13)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회동가이더(33)는 기준점을 중심으로 소정의 원주각만큼 대칭적인 나선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상기 회동축(15)을 이용하면 상기 축수용홈(25)에 스크류 결합되면서 길이방향을 따라 노출된 나머지부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회동축(15)에 수용된 압축스프링(17)의 팽창력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체중 또는 취향에 따라 강하고 약한 탄성을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압축스프링(17)의 팽창력이 점차적으로 감소하게 되더라도 상기 회동축(15)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항상 사용자가 원하는 팽창력을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에스보드용 토션 바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론트하우징(5)과 리어하우징(7)이 트위스트방향으로 뒤틀리면 제1캠(9)과 제2캠(11) 사이의 회동가이더(33)를 따라 한 쌍의 볼(13)이 나선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러면, 제2캠(11)은 제1캠(9)과의 이격간격이 점점 멀어지면서 압축스프링(17)을 길이방향으로 압축하여 반발하는 팽창력을 유도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축스프링(17)의 팽창력에 의해 상기 볼(13)은 상기 회동가이더(33)를 따라 그 기준점으로 복원되며, 상기 제1캠(9)과 제2캠(11)은 다시 맞닿아 있는 원상태로 복원된다.
본 발명은 캠과 압축스프링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복원력을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구성을 향상시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토션 바를 컴팩트하게 제작하므로 에스보드의 전체 부피를 비교적 작게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재료적으로 변형이 없고, 일정한 복원력을 유지하므로 쉽게 파손되지 않으며, A/S비용이 소요되지 않아 유지, 보수, 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2. 탑승자의 체중을 고려하여 해당 복원력을 갖도록 사용자가 직접 조절할 수 있으므로 그 범용성을 극대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3. 본 발명의 토션 바가 비교적 짧게 제작할 수 있으므로 전체 길이가 짧은 에스보드를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어린이들이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프론트플레이트와 리어플레이트를 갖는 에스보드의 토션바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이상의 스크류공에 수용된 스크류에 의해 상기 프론트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있으며 소정의 프론트수용공간과 암나사 형상을 갖는 축수용홈이 형성되어 있는 프론트하우징과;
    적어도 하나이상의 스크류공에 수용된 스크류에 의해 상기 리어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있으며 일측과 타측이 소정의 리어수용공간으로 관통되어 있는 리어하우징과;
    상기 프론트하우징과 상기 리어하우징 중 어느 일측의 내경에 전조롤링 결합되어 있는 제1캠과;
    상기 제1캠과 상대회동 가능하게 맞닿아 있고 그 제1캠과 대향되는 타측의 내경에 전조롤링 결합되어 있는 제2캠과;
    상기 제1캠과 제2캠 사이에 수용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볼과;
    상기 프론트하우징의 축수용홈에 결합되고 상기 제1캠과 제2캠을 관통하여 상기 리어하우징의 리어수용공간으로 연장되어 있는 회동축과;
    상기 회동축에 수용되어 상기 제1캠과 제2캠 중 어느 하나에게 팽창력을 제공하는 압축스프링과;
    상기 회동축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압축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스프링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보드용 토션 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하우징과 상기 리어하우징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캠과 제2캠의 노출된 부분을 보호하기 위하여 그 외경에 상대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플렌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보드용 토션 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캠과 상기 제2캠에는 상기 볼이 나선방향을 따라 소정의 회동각만큼 이동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이상의 회동가이더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보드용 토션 바.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가이더는 기준점을 중심으로 소정의 원주각만큼 대칭적인 나선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보드용 토션 바.
KR1020060116556A 2006-11-23 2006-11-23 에스보드용 토션 바 KR1008540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6556A KR100854094B1 (ko) 2006-11-23 2006-11-23 에스보드용 토션 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6556A KR100854094B1 (ko) 2006-11-23 2006-11-23 에스보드용 토션 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8798A true KR20060128798A (ko) 2006-12-14
KR100854094B1 KR100854094B1 (ko) 2008-08-25

Family

ID=37731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6556A KR100854094B1 (ko) 2006-11-23 2006-11-23 에스보드용 토션 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40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7153B1 (ko) 2019-03-26 2019-08-05 강인태 에스보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2572A (ja) * 2000-07-26 2002-02-08 Sumitomo Electric Ind Ltd クッションテープ及び同テープを用いたゴム・プラスチック絶縁電力ケーブル
KR20050088978A (ko) * 2005-08-17 2005-09-07 최종연 스케이트 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4094B1 (ko) 2008-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377514B (zh) 具有可枢转剃须单元的剃须头
US6523837B2 (en) Adjustable truck assembly for skateboards with retainer
US6315304B1 (en) Adjustable truck assembly for skateboards
US10279242B2 (en) Adjustable skateboard truck
US6543807B2 (en) Steering position adjustment device
CN102892663B (zh) 齿轮齿条式转向器单元
CN206336324U (zh) 转向柱的倾斜装置
WO2009014728A3 (en) Interspinous spacer
US20110193331A1 (en) Rack bar supporting device of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EP3497295B1 (en) Axial cam hinge
US20110233885A1 (en) Lean-steering stabilization device for a vehicle having a leaning part and a non-leaning part
JP2007523380A5 (ko)
US20030067151A1 (en) Frame for an electric scooter
US6981710B2 (en) Wheel assembly for skateboard
CN206863342U (zh) 一种头戴显示设备
US6053512A (en) Suspension system for in-line roller skates
KR20070098467A (ko) 스케이트보드
KR100854094B1 (ko) 에스보드용 토션 바
JP2010042713A (ja) 車両用操舵装置
US6543791B1 (en) Axle shock absorber
KR102168446B1 (ko) 반능동 스테빌라이저 장치
US6513741B2 (en) Shredding machine
JP2009113689A (ja) 操舵装置
CN205597567U (zh) 一种靠背转椅前后摆动初始反力的自锁式无级调整装置
US20070290424A1 (en) Bicycle rear suspension and damp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