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7637A - 색분산 개선용 확산판 및 이를 채용한 디스플레이 소자용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색분산 개선용 확산판 및 이를 채용한 디스플레이 소자용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7637A
KR20060127637A KR1020050048860A KR20050048860A KR20060127637A KR 20060127637 A KR20060127637 A KR 20060127637A KR 1020050048860 A KR1020050048860 A KR 1020050048860A KR 20050048860 A KR20050048860 A KR 20050048860A KR 20060127637 A KR20060127637 A KR 200601276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guide plate
plate
light guide
incid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8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7164B1 (ko
Inventor
김진환
최진승
민지홍
유재호
이수미
최윤선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8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7164B1/ko
Priority to US11/389,118 priority patent/US7661868B2/en
Publication of KR20060127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76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7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71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1Diffusing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02B5/0226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having particles on the surfac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73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 G02B5/0278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used in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Diffracting Gratings Or Hologram Optic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홀로그램 도광판에서 발생하는 색분산을 보상할 수 있는 확산판 및 이를 채용한 디스플레이 소자용 조명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입사하는 광을 균일하게 확산시키기 위한 확산판은, 판상의 광투과성 기판; 및 상기 광투과성 기판의 광출사면에 형성된 확산층;을 포함하며, 상기 광투과성 기판의 광입사면에는 비스듬하게 경사진 경사면과 상기 광출사면에 평행한 평탄면이 서로 교호하며 반복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색분산 개선용 확산판 및 이를 채용한 디스플레이 소자용 조명장치{Diffuser sheet for compensating chromatic dispersion and illumination apparatus using the diffuser sheet}
도 1은 홀로그램 도광판을 이용하는 종래의 디스플레이 소자용 조명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홀로그램 도광판으로부터 출사되는 광 중에서 적(R), 녹(G), 청(B)의 각 색깔별 휘도 분포를 각각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3은 출사 각도에 따른 적(R), 녹(G), 청(B)의 색깔별 휘도 분포를 표시한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확산판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소자용 조명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확산판의 광입사면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조명장치 21.....광원
22.....도광판 23.....홀로그램 패턴
24.....반사판 25.....확산판
26.....비드(bead) 27.....경사면
28.....평탄면 29.....광투과성 기판
본 발명은 확산판(diffuser sheet) 및 이를 채용한 디스플레이 소자용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홀로그램 도광판(light guide plate)에서 발생하는 색분산(chromatic dispersion)을 보상할 수 있는 확산판 및 이를 채용한 디스플레이 소자용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와 같은 비발광형 디스플레이 소자(Non emissive display)의 경우, 백라이트(back light unit)와 같은 별도의 조명장치를 필요로 한다. 도 1은 홀로그램을 사용한 도광판을 구비하는 종래의 디스플레이 소자용 조명장치를 예시적으로 간략히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디스플레이 소자용 조명장치(10)는, 미세한 홀로그램 패턴(13)이 상면에 형성된 도광판(12), 상기 도광판의 일측면에 배열된 광원(11), 및 상기 도광판의 상면으로 방출되는 광을 균일하게 확산시키는 확산판(15)으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용 조명장치(10)에서 사용하는 광원(11)으로는, 예컨대, 백색광 LED(Light Emitting Diod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광원(11)에서 방출된 백색광은, 예컨대, 광투과율이 우수한 플라스틱 재료인 PMMA(Poly Methyl Meth Acrylate)로 구성되는 상기 도광판(12)의 일측면을 통해 기울어지게 입사한다. 이렇게 입사한 백색광은 상기 도광판(12)의 상면과 하면에서 전반사되면서 도광판(12)의 타측면까지 전달된다. 이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광판(12)의 상면에는 홀로그램 패턴(13)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도광판(12)의 상면으로 입사하는 광의 일부는 상기 홀로그램 패턴(13)에 의해 회절되어 상기 도광판(12)의 상면으로 방출된다. 예컨대, 상기 홀로그램 패턴(13)은 소정의 주기를 갖는 사인 곡선(sinusoidal)의 형태일 수 있다. 이렇게 도광판(12)의 상면으로 방출된 광은 확산판(diffuser sheet)(15)을 통해 균일하게 확산된 후, LCD와 같은 비발광형 디스플레이 소자를 조명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광의 파장에 따라 굴절률과 투과율이 달라지기 때문에, 백색광이 상기 홀로그램 패턴(13)을 통해 도광판(12)의 상면으로 방출될 때 색분산이 발생하게 된다. 도 2a 내지 도 2c는 이러한 색분산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홀로그램 도광판(12)으로부터 출사되는 광 중에서 적(R), 녹(G), 청(B)의 각 색깔별 휘도 분포를 각각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상기 홀로그팸 패턴(13)의 주기는 420nm 이고 두께는 250nm 이었다. 그리고, 적색광의 파장은 600nm, 녹색광의 파장은 555nm, 청색광의 파장은 450nm 에 대해 측정하였다. 먼저, 도 2a는 적색광의 휘도 분포를 나타내는 것으로, 적색광은 대부분은 입사 중심점 가까이에 분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2b는 녹색광의 휘도 분포를 나타내는 것으로, 녹색광 역시 입사 중심점 가까이에 분포되어 있으나, 가장 밝은 부분이 적색광에 비하여 중심에서 조금 벗어나 있다. 도 2c는 청색광의 휘도 분포를 나타내는 것으로, 가장 밝은 부분이 입사 중심점에서 크게 벗어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색깔별로 휘도 분포가 다르게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출사 각도에 따른 적(R), 녹(G), 청(B)의 색깔별 휘도 분포를 표시한 도 3의 그래프를 보면 이러한 색분산 현상을 보다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각도는 도광판(12)에 수직한 법선으로부터 측정한 각도이다. 도 3의 그래프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청색광은 약 22°의 각도를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다. 이러한 각도를 피크각이라고 한다. 즉, 청색광은 약 22°의 피크각을 가지며 도광판(12)으로부터 출사된다. 또한, 녹색광은 약 8°의 피크각으로 도광판(12)으로부터 출사되며, 적색광은 약 4°의 피크각으로 도광판(12)으로부터 출사된다.
따라서, 이렇게 파장에 따라 도광판(12)으로부터 출사되는 각도가 다르기 때문에, 점광원(11)에서 방출된 백색광이 도광판(12)에 의해 색깔별로 분리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종래의 경우, 입사광을 고르게 확산시키는 역할을 하는 확산판(15)은 이렇게 색깔별로 분리된 광들을 완벽하게 백색광으로 재생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백색광이 아닌 색깔별로 분리된 광이 디스플레이 소자에 입사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소자의 전체적인 디스플레이 성능을 떨어뜨리는 결과를 가져왔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디스플레이 소자용 조명장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홀로그램 패턴을 갖는 도광판에서 발생하는 색분산을 보다 완전하게 보상할 수 있는 확산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확산판을 사용하여 색분산이 개선된 디스 플레이 소자용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유형에 따르면, 입사하는 광을 균일하게 확산시키기 위한 확산판은, 판상의 광투과성 기판; 및 상기 광투과성 기판의 광출사면에 형성된 확산층;을 포함하며, 상기 광투과성 기판의 광입사면에는 비스듬하게 경사진 경사면과 상기 광출사면에 평행한 평탄면이 서로 교호하며 반복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광투과성 기판의 광입사면에 형성된 상기 평탄면의 폭(b)에 대한 상기 경사면의 폭(a)의 비율(a/b)이 각각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산층은 불균일한 크기의 다수의 비드(bead)들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유형에 따르면, 일측면에 광원이 배치된 도광판의 상면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균일하게 확산시키기 위한 확산판은, 상기 도광판의 상면을 통해 광이 출사될 때 발생하는 색분산을 보상하기 위하여, 상기 도광판과 대향하는 상기 확산판의 광입사면에는 비스듬하게 경사진 경사면과 경사지지 않은 평탄면이 서로 교호하면서 나란하게 반복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경사면들은 상기 도광판의 일측면에 배치된 광원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평탄면의 폭(b)에 대한 상기 경사면의 폭(a)의 비율(a/b)이 상기 광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작아질 수 있다.
상기 경사면의 경사각은, 상기 경사면을 통해 입사한 적색 및 청색광이 상기 평탄면을 통해 입사한 청색 및 적생광과 확산판 내부에서 각각 혼색될 수 있도록 하는 각도이다.
또한, 상기 확산판의 광출사면에는 불균일한 크기의 다수의 비드(bead)들을 갖는 확산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경사면은 확산판의 내부로 음각된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유형에 따른 디스플레이 소자용 조명장치는, 광을 방사하는 광원; 일측면에 상기 광원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사되어 일측면을 통해 입사된 광이 상면을 통해 방출될 수 있도록 상면에 홀로그램 패턴이 형성된 도광판; 및 상기 도광판의 상면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균일하게 확산시키는 확산판;을 포함하며, 상기 도광판 상면의 홀로그램 패턴에 의해 발생하는 색분산을 보상하기 위하여, 상기 도광판과 대향하는 상기 확산판의 광입사면에는 비스듬하게 경사진 경사면과 경사지지 않은 평탄면이 서로 교호하면서 나란하게 반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용 조명장치는, 상기 도광판의 내부를 통해 진행하여 상기 타측면으로 출사되는 광을 상기 도광판의 내부로 반사할 수 있도록 상기 도광판의 타측면에 배치된 반사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확산판 및 이를 채용한 디스플레이 소자용 조명장치의 구조 및 동작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소자용 조명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소자용 조명장치(20)는, 광을 방사하는 광원(21), 일측면에 상기 광원(21)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면에 홀로그램 패턴(23)이 형성되어 있는 도광판(22), 및 상기 도광판(22)의 상면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균일하게 확산시키는 확산판(25)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광원(21)으로는, 예컨대, 백색광을 방출하는 LED(Light Emitting Diode)를 사용할 수 있다. 비록 도 4에서는 광원(21)이 단지 한 개만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도광판(22)의 일측면을 따라 다수의 광원이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도광판(22)은, 종래의 기술과 마찬가지로, 광투과율이 우수한 플라스틱 재료인 PMMA(Poly Methyl Meth Acrylate) 등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광판(22)의 상면에 형성된 홀로그램 패턴(23) 역시 종래와 마찬가지로 소정의 주기를 갖는 사인 곡선의 형태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홀로그램 패턴(13)은 주기가 420nm 이고 두께가 250nm 인 사인 곡선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상기 광원(21)에서 방사된 광은 상기 도광판(22)의 일측면을 통해 도광판(22)의 상면에 비스듬하게 입사한 후, 상기 홀로그램 패턴(23)에 의해 회절되어 도광판(22)의 상면을 통해 외부로 방출된다.
한편, 상기 도광판(22)의 타측면에는 반사판(24)이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반사판(24)은 상기 도광판(22)의 내부를 통해 진행하여 도광판(22)의 타 측면으로 출사되는 광을 반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반사판(24)에 의해 반사된 광은 상기 도광판(22)의 타측면을 통해 도광판(22)의 내부로 다시 입사한 후, 홀로그램 패턴(23)에 의해 회절되어 도광판(22)의 상면을 통해 외부로 방출된다.
확산판(25)은 상기 도광판(22)의 상면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균일하게 확산시킬 수 있도록 도광판(22)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확산판(25)은 일반적으로 판상의 광투과성 기판(29) 상면에 광을 균일하게 확산시키기 위한 확산층(26)이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 광투과성 기판(29)으로는, 예컨대, 아크릴이나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등과 같은 합성 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확산층(26)으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균일한 크기의 다수의 비드(bead)들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비드들은, 예컨대, 10㎛ 내지 80㎛ 범위의 다양한 직경을 가지며, 평균적으로는 약 50㎛ 의 직경을 갖는다. 이렇게 다양한 직경을 갖는 비드들의 층(26)을 통과하면서 광이 균일하게 확산될 수 있다. 또한, 폴리카보네이트(PC)나 아크릴 등으로 이루어진 광투과성 기판(29) 내에 확산제나 기포를 포함시킴으로써 상기 광투과성 기판(29) 자체도 광확산을 일으키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확산판(25)은, 상기 도광판(22)의 상면을 통해 광이 출사될 때 발생하는 색분산을 보상하기 위하여, 비스듬하게 경사진 경사면(27)과 경사지지 않은 평탄면(28)이 상기 도광판(22)과 대향하는 광입사면에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도 4에서 확산판(25)은 도광판(22)에 비하여 훨씬 두껍게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상기 경사면(27)과 평탄면(28)을 보다 상세히 보이기 위한 것으로, 실제로 상기 확산판(25)의 두께는 약 150㎛ 정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확산판(25)의 광입사면에는 다수의 경사면(27)과 평탄면(28)이 서로 교호하면서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5는 이러한 확산판(25)의 광입사면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사면(27)과 평탄면(28)은 서로 나란하게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경사면(27)은, 예컨대, 평탄한 확산판(25)의 광입사면을 상기 확산판(25)의 내부를 향해 소정의 각도로 비스듬하게 음각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다수의 경사면(27)들은 모두 동일한 방향을 향하고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21)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경사면(27)들은 상기 광원(21)에 방사된 광이 도광판(22) 내에서 진행하는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술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확산판(25)에서 색분산이 보상되는 원리에 대해 설명한다.
예컨대, 적색광의 파장을 600nm, 녹색광의 파장을 555nm, 청색광의 파장을 450nm 라고 할 경우, 상기 도광판(22)의 상면에 형성된 상기 홀로그팸 패턴(23)의 주기가 420nm 이고 두께가 250nm 이면, 이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적색광(R)은 약 4°의 피크각으로 도광판(22)으로부터 출사된다. 또한, 녹색광(G)은 약 8°의 피크각으로 도광판(22)으로부터 출사되며, 청색광(B)은 약 22°의 피크각으로 도광판(22)으로부터 출사된다. 즉, 도 4에서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도광판(22)의 상면으로부터 출사되는 광들 중, 파장이 길수록 수직에 가깝게 출사되고, 파장이 짧아질수록 수직에서 먼 각도로 출사된다. 이렇게 홀로그램 패턴(23)에 의해 회절 되면서 파장별로 상이한 피크각으로 도광판(22)으로부터 각각 출사되기 때문에 색분산이 일어나게 된다.
이렇게 색분산된 광들의 일부는 경사면(27)을 통해 확산판(25)으로 입사하며, 다른 일부는 평탄면(28)을 통해 확산판(25)으로 입사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굴절률이 서로 다른 매질 사이를 광이 이동할 때, 광은 스넬의 법칙(Snell's law)에 따라 두 매질의 경계면에서 굴절된다. 따라서, 상기 경사면(27)을 통해 입사하는 광과 평탄면(28)을 입사하는 광은 입사각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확산판(25) 내에서의 피크각 역시 서로 달라지게 된다.
예컨대, 광투과성 기판(29)으로서 굴절률 n 이 1.58 인 폴리카보네이트(PC)를 사용하고, 경사면(27)의 경사각(α)을 30°로 설계한 경우, 평탄면(28)을 통해 입사한 적색광의 피크각은 약 2.5°가 되며, 녹색광의 피크각은 약 5°, 청색광의 피크각은 약 14°가 된다. 또한, 경사면(27)을 통해 입사한 적색광의 피크각은 약 -10°가 되며, 녹색광의 피크각은 약 -8.7°, 청색광의 피크각은 약 0°가 된다. 즉, 경사면(27)을 통과한 광들의 경우, 파장이 비교적 짧은 청색광은 거의 수직으로 진행하고, 파장이 길어질수록 더 비스듬한 각도로 진행하게 된다. 반면, 평탄면(28)을 통과한 광들의 경우, 파장이 비교적 긴 적색광은 거의 수직으로 진행하고, 파장이 짧아질수록 더 비스듬한 각도로 진행하게 된다. 따라서, 도 4에서 확산판(25) 내의 가운데에 부분에 있는 화살표 그룹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색을 갖는 광들은 확산판(25) 내에서 전체적으로 거의 대칭적인 피크각을 이루게 된다. 그 결과, 색분산된 광들은 상기 확산판(25) 내에서 거의 백색광으로 혼색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일반적으로 확산판(25) 내에서 약 ±10°이내의 피크각을 갖고 진행하는 광들은 비드들로 구성된 확산층(26)을 통과하면서 거의 대부분 확산판(25)에 대해 수직에 가까운 각도로 출사된다. 따라서, 상기의 예에서, 거의 대부분의 광들이 ±10°이내의 피크각을 갖기 때문에 확산층(26)을 통과하면서 대부분 수직으로 출사되어 혼색되면서 보다 완전한 백색광이 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르면, 장파장인 적색광과 단파장인 청색광이 서로 거의 대칭이기 때문에, 확산층(26)으로부터 출사하는 동안 서로 혼색됨으로써 색분산이 거의 상쇄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 비하여 색도를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피크각이 각각 -8.7°와 5°인 녹색광들이 비드들로 구성된 확산층(26)을 통과하면서 서로 합쳐지므로, 휘도의 개선 효과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평탄면(28)의 폭(b)에 대한 상기 경사면(27)의 폭(a)의 비율(a/b)을 조절함으로써 이러한 혼색비를 최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확산판(25)의 설계시, 상기 도광판(22)에서 출사되는 광들의 파장별 피크각 분포를 고려하여, 경사면(27)의 경사각(α), 평탄면(28)의 폭(b)에 대한 경사면(27)의 폭(a)의 비율(a/b) 등을 최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도광판(22)의 측면에 반사판(24)이 추가적으로 배치되는 경우, 상기 광원(21)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평탄면(28)의 폭(b)에 대한 경사면(27)의 폭(a)의 비율(a/b)이 작아지도록 상기 확산판(25)을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사판(24)에 의해 반사되어 도광판(22)의 내부로 다시 입사된 광의 경우, 상기 도광판(22)의 상면을 통해 외부로 방출될 때의 파장별 피크각이 앞서 설명한 것과 반대로 되기 때문에, 광원(21)에서 멀어질수록 색분산이 조금씩 감소되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확산판은 홀로그램 패턴을 갖는 도광판에서 발생하는 색분산을 보다 완전하게 보상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확산판을 디스플레이 소자용 조명 장치에 이용할 경우, 색분산을 최소화함으로써 보다 우수한 색도 및 휘도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7)

  1. 입사하는 광을 균일하게 확산시키기 위한 확산판에 있어서,
    판상의 광투과성 기판; 및
    상기 광투과성 기판의 광출사면에 형성된 확산층;을 포함하며,
    상기 광투과성 기판의 광입사면에는 비스듬하게 경사진 경사면과 상기 광출사면에 평행한 평탄면이 서로 교호하며 반복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면의 폭(b)에 대한 상기 경사면의 폭(a)의 비율(a/b)이 각각 다르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층은 불균일한 크기의 다수의 비드(bead)들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판.
  4. 일측면에 광원이 배치된 도광판의 상면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균일하게 확산시키기 위한 확산판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의 상면을 통해 광이 출사될 때 발생하는 색분산을 보상하기 위 하여, 상기 도광판과 대향하는 상기 확산판의 광입사면에는 비스듬하게 경사진 경사면과 경사지지 않은 평탄면이 서로 교호하면서 나란하게 반복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들은 상기 도광판의 일측면에 배치된 광원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면의 폭(b)에 대한 상기 경사면의 폭(a)의 비율(a/b)이 상기 광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판.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의 경사각은, 상기 경사면을 통해 입사한 적색 및 청색광이 상기 평탄면을 통해 입사한 청색 및 적생광과 확산판 내부에서 각각 혼색될 수 있도록 하는 각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판.
  8.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판의 광출사면에는 불균일한 크기의 다수의 비드(bead)들을 갖는 확산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판.
  9.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확산판의 내부로 음각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판.
  10. 광을 방사하는 광원;
    일측면에 상기 광원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사되어 일측면을 통해 입사된 광이 상면을 통해 방출될 수 있도록 상면에 홀로그램 패턴이 형성된 도광판; 및
    상기 도광판의 상면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균일하게 확산시키는 확산판;을 포함하며,
    상기 도광판 상면의 홀로그램 패턴에 의해 발생하는 색분산을 보상하기 위하여, 상기 도광판과 대향하는 상기 확산판의 광입사면에는 비스듬하게 경사진 경사면과 경사지지 않은 평탄면이 서로 교호하면서 나란하게 반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소자용 조명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판의 광입사면에 형성된 경사면들은 상기 도광판의 일측면에 배치된 광원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소자용 조명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면의 폭(b)에 대한 상기 경사면의 폭(a)의 비율(a/b)이 상기 광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소자용 조명장치.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의 경사각은, 상기 경사면을 통해 입사한 적색 및 청색광이 상기 평탄면을 통해 입사한 청색 및 적생광과 확산판 내부에서 각각 혼색될 수 있도록 하는 각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소자용 조명장치.
  14.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판의 광출사면에는 불균일한 크기의 다수의 비드들을 갖는 확산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소자용 조명장치.
  15.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백색광 LED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소자용 조명장치.
  16.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의 타측면에는, 상기 도광판의 내부를 통해 진행하여 상기 타측 면으로 출사되는 광을 상기 도광판의 내부로 반사하는 반사판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소자용 조명장치.
  17.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판의 경사면은 확산판의 내부로 음각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소자용 조명장치.
KR1020050048860A 2005-06-08 2005-06-08 색분산 개선용 확산판 및 이를 채용한 디스플레이 소자용조명장치 KR100707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8860A KR100707164B1 (ko) 2005-06-08 2005-06-08 색분산 개선용 확산판 및 이를 채용한 디스플레이 소자용조명장치
US11/389,118 US7661868B2 (en) 2005-06-08 2006-03-27 Diffuser sheet for compensating for chromatic dispersion and illumination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8860A KR100707164B1 (ko) 2005-06-08 2005-06-08 색분산 개선용 확산판 및 이를 채용한 디스플레이 소자용조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7637A true KR20060127637A (ko) 2006-12-13
KR100707164B1 KR100707164B1 (ko) 2007-04-13

Family

ID=37730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8860A KR100707164B1 (ko) 2005-06-08 2005-06-08 색분산 개선용 확산판 및 이를 채용한 디스플레이 소자용조명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661868B2 (ko)
KR (1) KR1007071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4899A (ko) * 2012-08-13 2015-04-27 바이엘 머티리얼사이언스 아게 액정 디스플레이용 조명 디바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7576B1 (ko) * 2007-04-12 2014-06-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색분산이 개선된 백라이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2005535A1 (en) * 1990-09-20 1992-04-02 Illumination Research Goup (Properties) Pty.Ltd. A display system
TW594115B (en) * 1992-10-09 2004-06-21 Asahi Glass Co Ltd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an illumination device for a direct viewing type display element
US5673999A (en) * 1994-12-12 1997-10-07 Norand Corporation LCD backlight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a xenon flash tube including drive circuit
JP3632208B2 (ja) * 1995-11-06 2005-03-2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照明装置並びにそれら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H10133283A (ja) * 1996-09-05 1998-05-22 Denso Corp 透過型ホログラムスクリーンの製造方法
US6104446A (en) * 1996-12-18 2000-08-15 Blankenbecler; Richard Color separation optical plate for use with LCD panels
JPH10319400A (ja) * 1997-05-17 1998-12-04 Enplas Corp サイドライト型面光源装置
WO1999057602A1 (fr) * 1998-04-30 1999-11-11 Nippon Zeon Co., Ltd. Plaque de conduction de lumiere
KR100356991B1 (ko) * 1999-08-19 2002-10-18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KR100679094B1 (ko) * 1999-10-08 2007-02-05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JP2001229725A (ja) * 2000-02-16 2001-08-24 Citizen Electronics Co Ltd 導光板
US6733147B2 (en) * 2000-09-07 2004-05-11 San Zhuang Wang Backlighting system for displays
US6683720B2 (en) * 2000-12-14 2004-01-27 Mitsui Chemicals, Inc. Reflector, sidelight type backlighting apparatus and reflector substrate
JP2002313121A (ja) * 2001-04-16 2002-10-25 Nitto Denko Corp タッチパネル付照明装置及び反射型液晶表示装置
JP3822102B2 (ja) * 2001-12-27 2006-09-13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光拡散フイルム、その製造方法、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20030090406A (ko) * 2002-05-23 2003-11-28 삼성전자주식회사 직하형 액정 표시 장치
TW575722B (en) * 2002-09-02 2004-02-11 Hannstar Display Corp Planar light source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7460196B2 (en) * 2002-09-25 2008-12-02 Lg Displays Co., Ltd. Backlight device for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0476563B1 (ko) * 2003-06-02 2005-03-18 삼성전기주식회사 디스플레이용 라이트 유닛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4899A (ko) * 2012-08-13 2015-04-27 바이엘 머티리얼사이언스 아게 액정 디스플레이용 조명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7164B1 (ko) 2007-04-13
US7661868B2 (en) 2010-02-16
US20070081359A1 (en) 2007-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32800B2 (en) Light guide unit
JP4249631B2 (ja)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US9091408B2 (en) Recycling backlights with semi-specular components
KR100657914B1 (ko) 프리즘 시트 및 이를 채용한 백라이트 유니트
JP3944170B2 (ja)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5134202B2 (ja) Led光源
US7695165B2 (en) Optical plate and backlight module using the same
KR20050112721A (ko) Led 패키지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어셈블리
KR20080048759A (ko) 도광 유닛, 이를 채용한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20090126719A (ko) 광학 부재,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장치
KR100682875B1 (ko) 다중 주기의 패턴을 갖는 도광판 및 이를 채용한디스플레이 소자용 조명장치
KR20080028133A (ko) 회절격자가 구비된 도광체 및 이를 이용한 면광원장치
TWI545296B (zh) 背光模組
JP2002175713A (ja) 面光源装置
US7594745B2 (en) Optical plate and backlight module using the same
KR100707164B1 (ko) 색분산 개선용 확산판 및 이를 채용한 디스플레이 소자용조명장치
KR20010046581A (ko) 표시 장치용 백라이트 장치
JP4645150B2 (ja)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TWI360696B (en) Optical plate and backlight module using the same
KR101850428B1 (ko) 광원 모듈,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TWI344017B (en) Optical plate and backlight module using the same
JP2006066128A (ja) 導光板及び面光源装置
KR101407576B1 (ko) 색분산이 개선된 백라이트 장치
KR100634554B1 (ko) 백라이트 유닛
JP4599988B2 (ja)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