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5026A - 워터제트직기의 직물제직장치 - Google Patents

워터제트직기의 직물제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5026A
KR20060125026A KR1020050046801A KR20050046801A KR20060125026A KR 20060125026 A KR20060125026 A KR 20060125026A KR 1020050046801 A KR1020050046801 A KR 1020050046801A KR 20050046801 A KR20050046801 A KR 20050046801A KR 20060125026 A KR20060125026 A KR 200601250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water jet
roller
jet loom
pede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6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원기
곽태식
Original Assignee
젯트기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젯트기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젯트기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6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25026A/ko
Priority to JP2006152686A priority patent/JP2006336183A/ja
Publication of KR20060125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50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28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 D03D47/32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by liquid je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1/00Double or multi-ply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27Drive or guide mechanisms for weft inserting
    • D03D47/277Guide mechanism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9/00Details or constructional features not specially adapted for looms of a particular type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51/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arrangements; Automatic stop motions
    • D03D51/02General arrangements of driving mechanism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1/00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 D03J1/24Mirrors or other arrangements for inspecting loom part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2700/00Auxiliary apparatus associated with looms; Weavening combined with other operations; Shuttles
    • D03J2700/06Auxiliary devices for inspecting, counting or meas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 Auxiliary Weaving Apparatuses, Weavers' Tools, And Shutt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워터제트직기를 이용한 직물제직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사단처리용 스핀들 관련품들의 위치를 워터젯트직기 우측 프레임 전방 상부에 이동설치하여 직물이동경로선 상에 간섭을 받지 않도록 하고 프릭션롤러까지의 직물이동거리를 최단거리로 단축시킴으로서 고밀도 직물이나 이중직 직물의 제직이 원활하도록 하고 또한 탈수장치부분의 효율화와 바디의 편마모현상을 방지하여 내구성 향상을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워터제트직기의 직물제직장치{WEAVING DEVICE OF WATER JET LOOM}
도 1 : 본 발명 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2 : 도 1의 요부 확대도.
도 3 : 본 발명에 장치된 캣치코드사처리를 위한 스핀들 관련부분의 사시도.
도 4 : 본 발명에 장치된 바디편마모방지장치 부분의 구성도.
도 5 : 도 4의 요부 확대도.
도 6 : 도 4 부분의 사시도.
도 7 : 도 6의 요부 확대도.
도 8 : 종래 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9 : 도 8의 요부 확대도.
도 10 : 종래 장치의 또다른 개략 구성도.
도 11 : 종래 캣치코드사 처리용 스핀들 관련부분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W)-- 경사 (C)-- 직물
(C1)--캣치코드사 (C')-- 직구
(100)-- 워터제트직기 (101)-- 커버
(102)-- 프레임 (110)-- 바디
(111)-- 펠플레이트 (115)--템플바
(120)-- 종광 (130)-- 경사빔
(131)-- 가이드롤러 (132)--텐션롤러
(140)-- 프릭션롤러 (141)-- 캠
(150)-- 톱스테이 (151)-- 선단
(160)-- 받침대 (161)-- 상단
(163)-- 고정핀 (164)-- 마모방지판
(165)-- 후방지지대 (166)-- 전방지지대
(167)-- 작동레버 (168)-- 작동볼
(169)-- 선단부 (170)-- 탈수관
(171)-- 상부 판 (172)-- 하부 판
(173)-- 탈수홈 (180)-- 상부 프레스롤러
(181)-- 하부 프레스롤러 (182)-- 직물권취롤러
(200)-- 스핀들 (210)-- 브라켓
(220)-- 피동풀리 (230)-- 가이드롤러
(240)-- 인출기어 (250)-- 벨트
(251)-- 캣치코드사가이드판 (260)-- 연결대
(261)-- 고정볼트 (262)-- 체결편
(263)-- 볼트
본 발명은 워터제트직기(Water Jet Loom)를 이용한 직물의 제직시 경위사가 교착되어 직물이 형성되는 직구에서 부터 직물이 권취되는 부분에 위치한 프릭션 롤러(Friction Roller)까지의 거리를 가능한 짧게 하여 바디침운동시 직물의 울렁거림(Bumping현상)을 최소화하므로서 고밀도 직물인 경우에도 원활한 제직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워터제트직기를 이용한 직물의 이동경로는 통상적으로 도 8 및 도 10에서와 같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경사빔(15)에서 경사(2)가 송출되면서 종광(3)의 상하운동에 의해 경사(2)가 개구되고 개구된 경사(2) 사이를 분사수에 의한 위사의 위입이 이루어지게 되고, 동시에 바디(1)가 위입된 위사를 직구(8')까지 바디침하여 직물(8)이 제직된다.
상기 제직된 직물(8)은 경위사가 교차되어 직물(8)이 형성되는 직구(8') 하단에 위치한 펠플레이드(Fell plate)(24) 및 템플바(Temple Bar)(5)를 지나게 되고 템플바(5)를 지난 직물(8)은 톱스테이(Top Stay)(12) 상부에 위치하는 탈수관(7)을 지나면서 탈수관(7)에 뚫린 탈수홈(7')에 의해 직물(8)에 잔류하는 물기를 탈수하게 된다.
탈수관(7)을 지난 직물(8)은 상부 프레스롤러(Press Roller)(9)와 프릭션롤러(Friction Roller)(10) 및 하부 프레스롤러(11)를 경유한 다음 직물권취롤러(13) 에 권취된다.
상기한 제직장치는 직물(8)의 밀도가 대체로 낮은 직물의 제직에는 문제가 되지않으나 고밀도 직물의 제직에는 문제가 야기된다.
이유를 간단히 설명하면 직물(8)의 제직은 개구된 경사(2) 사이로 위사가 위입되고, 종광(3)의 상하운동과 위입된 위사를 바디침 운동에 의해 경·위사가 교착하여 직물(8)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때 위사의 밀도가 기본 밀도를초과하게 되면 초과한 만큼 바디(Reed)(1)의 전진운동(바디침) 후, 후진할 때 직구(Cloth fell)(8')가 바디(1) 쪽으로 밀려나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면서 직물의 장력이 팽팽하게 유지되며, 위사의 위입 후 다시 바디(1)가 전진하게 될때에는 바디(1)의 운동에 의해 직물(8)이 후방, 즉 상부 프레스롤러(9)쪽으로 밀리면서 밀린 만큼 장력이 느슨해지게 된다.
이러한 직물의 울렁거림현상을 범핑(Bumping)현상이라고 한다.
상기에서와 같이 바디침 때마다 장력이 느슨해진 상태의 직물(8)을 프릭션롤러(10)에서 직물(8)을 얼마나 신속히 권취하느냐에 따라 고밀도 직물의 제직 원활성을 결정하게 된다.
그러나 도 8에서와 같은 제직장치의 경우에는 직구(8')로 부터 프릭션롤러(10)까지의 거리가 길기 때문에 바디침 운동시 길어진 거리만큼 직물에 부여되는 장력의 느슨함과 긴장력 정도 차이가 심하게 나타나게 되므로 결국 바디침 운동시에는 직물의 울렁거림현상이 심하게 나타나게 되어 고밀도 직물의 제직이 원활하게 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와는 달리 워터제트직기를 이용한 직물 이동경로를 달리 구성한 것도 있다.
즉 도 10에서와 같이 경사빔(15)에서 송출된 경사(2)가 경사가이드롤러(17), 텐션롤로(4)를 지나 종광(3)과 바디(1)를 차례로 지나면서, 종광(3)에 의해 경사(2)가 개구되고, 개구된 경사(2) 사이를 분사수에 의해 위사가 위입되게 한 다음 바디(1)가 전진하여 바디침 운동 하므로서 직물(8)이 제직되게 한 것이다.
상기에서 제직된 직물(8)은 직구(8') 하단에 위치한 펠플레이트(24)와 템플바(5) 그리고 톱스테이(12) 상부에 위치한 탈수관(7)을 지나면서 직물(8)에 함유된 물기가 탈수되게 하고, 탈수된 직물은 상부 프레스롤러(9)를 지나지 않고 바로 프릭션롤러(10)로 통과되게 한 다음 상부 프레스롤러(9)와 하부 프레스롤러(11)를 경유하여직물권취롤러(Cloth Roller)(13)에 권취된다.
이러한 제직장치의 경우 탈수통(7)을 지난 직물(8)이 상부 프레스롤러(9)를 경유하지 않고 바로 프릭션롤러(10)로 연결되게 하므로서 직구(8')로 부터 프릭션롤러(10)까지의 길이를 줄일 수 있어, 도 8의 제직장치보다는 고밀도 직물의 제직에 유리한 점이 있지만 다음과 같은 문제가 야기된다.
즉 탈수관(7)을 지난 직물(8)이 곧바로 프릭션롤러(10)로 급격히 굴곡되면서 직물(8)에 걸려있는 모든 장력이 탈수관(7)에 집중되므로 직물의 장력에 탈수관(7)이 휘어지지않도록 해주어야 하므로 탈수관(7)의 두께를 두껍게 구성하여야 하고, 따라서 탈수홈(7')의 깊이가 깊어지게 되므로 탈수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직물(8)이 탈수관(7)과 접하는 표면적이 그만큼 넓어지게 되므로 위입 을 위한 분사수 온도와 작업장 내의 온도 편차가 심할 경우에는 탈수관(7)의 외면에 결로현상이 심하게 나타나면서 탈수효과가 떨어지게 되는 단점도 있는 것이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8 및 도 10에서와 같은 제직장치에서 직구(8')로 부터 프릭션롤러(10) 사이의 이동경로, 즉 거리를 줄일 수 없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즉 도 11에서와 같이 위사의 단부절단사를 파지하여 외부로 인출시키기 위한 수단은 캣치코드사(Catch cord yarn)(2')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캣치코드사(2')가 컷팅기에 의해 절단된 위사의 단부를 파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는 톱스테이(12) 상부에 위치하는 스핀들 구동 샤프트(6)나 구동풀리(23), 밸트(18), 스핀들 구동풀리(19), 스핀들 본체(20) 및 스핀들(Spindle)(21)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캣치코드사(2') 작동을 위한 관련부품들이 탈수관(7) 아래쪽에 위치하는 톱스테이(12) 상에 설치되어 있어 직구(8')와 프릭션롤러(10) 사이에 위치하는 직물(8)의 이동경로 거리를 단축시키기 위하여서는 캣치코드사(2') 관련부품들이 간섭받지 않는 위치로 변경해야하는 절대조건이지만 현재의 기존설비로는 불가능한 것이었다.
따라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워터제트직기로서는 직구(8')로 부터 프릭션롤러(10)까지의 직물(8) 이동거리를 단축시킬 수 없기 때문에 고밀도 직물 제직시 바디침 운동시마다 울렁거림이 발생하게 되므로 고밀도 직물의 제직에 가장 큰 방해요인이 된다.
뿐만 아니라 종래 캣치코드사(2') 역활을 위한 관련부품, 즉 스핀들 구동사프트(6)에 끼워진 구동풀리(23)와 스핀들 피구동풀리(19)를 연결하는 벨트(18)가 직구(8') 직후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위사 위입을 위한 분사수가 벨트(18)와 구동풀리(23)를 적시게 된다.
따라서 물에 의한 벨트(18)의 미끄러짐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서는 벨트(18)의 장력을 높여주어야 하므로 벨트(18)와 베어링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면서 사용수명이 짧아지게 되고, 베어링의 수명연장을 위하여 윤활유를 주입하게 되면 이로 인한 직물의 오염과 벨트(18)의 미끄러짐 현상을 초래하게 되는 등의 문제가 야기된다.
또한 캣치코드사 작동을 위한 스핀들(21)이 위치하는 곳에는 위사감지기, 위사커팅기, 템플(Temple) 등이 위치하고 있고, 또한 상기 장치들은 상태를 자주 점검, 조정하여 주어야 하나 많은 장치들이 위치하고 있어 공간이 협소하므로 작업에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제반문제를 시정하고자 워터제트직기를 이용한 직물의 제직시 직구로 부터 프릭션롤러까지의 거리를 최대로 단축시켜 바디침 운동시 직물의 울렁거림(Bumping현상)을 최소화하므로서 고밀도 직물이나 이중직 직물인 경우에도 보다 원활하게 제직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직물이동경로 상에 간섭, 방해가 되 는 캣치코드사 처리용 스핀들 관련 부품들의 위치를 직기 의 우측프레임 전방 상면에 이동시키고, 톱스테이(Top stay) 상에는 받침대를 설치하여 직물을 지지할 수 있게 하되, 받침대 전방에 상부 탈수판과 하부 탈수판으로 된 탈수관을 구성하여 직물에 함유된 물기를 탈수할 수 있게 하고, 경우에 따라 프릭션롤러 양측단부에 편심캠을 설치하고, 편심캠에 받침대와 연결되는 작동레버를 설치하여 받침대가 승강되게 하므로서 직구의 위치가 승강되게 하여 바디의 편마모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워터제트직기(100)를 이용한 직물제직장치의 개략구성도로서 경사빔(130)에서 송출된 경사(W)가 가이드롤러(131) 및 텐션롤러(132)를 경유하여 전방으로 인출되면서 종광(120)과 바디(110)를 차례로 통과되게 하므로서 종광(120)의 개구운동에 의해 경사(W)가 개구되고, 개구된 경사(W) 사이로 위사가 위입되게 한 다음 바디(110)가 전진하여 위사를 직물이 시작되는 시점인 직구(Cloth fell)(C') 까지 바디침하여 직물(C)이 제직되게 한다는 것은 종래와 같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기술 요지는 직구(C') 전방으로 부터 프릭션롤러(Friction Roller)(140) 사이의 직물(C) 이동경로를 최대한 짧게 하여 바디침 운동시 직물(C)의 울렁거림을 최소화하고자 하는 것이다.
먼저 톱스테이(Top stay)(150) 상부에 위치하는 캣치코드사(Catch cord yarn)(C1) 작동을 위한 스핀들(200) 관련부품들을 도 3에서와 같이 워터제트직기(100)의 우측 프레임 전방 일측커버(101) 부면에 설치되게 위치를 이동시킨다.
워터제트직기(100)의 양측 프레임(102) 사이를 연결하는 톱스테이(150) 상부에 도 2에서와 같이 받침대(160)을 고정 설치하여, 제직된 직물(C)이 받침대(160) 상단을 경유하여 지나게 하되, 상기 받침대(160) 상단(161)은 라운드지게 구성하여 직물(C)의 손상이 없도록 한다.
톱스테이(150) 상면에 고정 설치되는 받침대(160)의 위치는 가능한 직구(C')쪽으로 근접되게 설치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상기 받침대(160) 일측과 톱스테이(150) 상면 일측에는 상부 판(171)과 하부 판(172)을 각각 고정 설치하여, 그 사이에 탈수홈(173)이 형성되게 하므로서 사각형상의 탈수관(170)이 구성되게 한다.
이때 상부 판(171)과 하부 판(172) 사이에 형성되는 탈수홈(173)의 위치는 받침대(160)의 상단(161)과 톱스테이(150)의 선단(151)을 연장 선상에 위치되게 하여 받침대(160) 상단(161)을 경유하에 톱스테이(150) 선단(151)으로 이동하는 직물(C)의 표면이 탈수홈(173)과 접하게 하므로서 직물에 함유된 물기의 탈수가 탈수관(170)에 의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한다.
탈수관(170) 전면에는 통상의 프릭션롤러(140)와 상부 프레스롤러(Press Roller)(180) 및 하부 프레스롤러(181)를 설치하고, 하부 프레스롤러(181) 아래쪽에는 직물권취롤러(Cloth Roller)(182)를 설치한다.
이때 톱스테이(150)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받침대(160) 상단(161)의 높이를 도 2에서와 같이 직구(C1) 하단을 지지하는 펠플레이트(Fell Plate)(111)의 높이보다 조금 낮게 구성하여 제직된 직물(C)이 경사라인(Warp Line)(K)보다 약 7~10° 정도 경사진 상태로 안내되게 하고, 톱스테이(150) 선단(151)을 지난 직물(C)은 프릭션롤러(140)와 상부 프레스롤러(180) 및 하부 프레스롤러(181)를 지나 직물 권취롤러(182)에 권취되게 하여 이중직물의 제직을 원활하게 한다.
워터제트직기(100)의 우측 프레임 전방 일측커버(101) 상면에 위치하는 스핀들(200)의 설치는 다음과 같다.
도 3에서와 같이 커버(101) 상에 브라켓(210)을 설치하고 상기 브라켓(210) 상에 스핀들(200)을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하되, 일측에는 피동풀리(22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피동풀리(220)는 종래 스핀들 구동풀리(도시않됨)로 부터 벨트(250)에 의해 스핀들(200)이 회전한다. 단 종래 스핀들 구동샤프트의 길이는 축소시켜 우측 프레임 내부에 설치토록 한다.
따라서 캣치코드사 가이드판(251)을 경유한 캣치코드사(C1)가 스핀들(200)에 의해 꼬이면서 위사커팅기에 의해 절단된 위사를 파지하여 스핀들(200)로 안내되게 하고, 동시에 가이드롤러(230)와 인출기어(240)를 통하여 외부로 인출, 수집된다.
본 발명은 실시함에 있어서 도 4에서와 같이 프릭션롤러(140) 양측에 캠(141)을 설치하고, 캠(141)에 의해 받침대(160)가 승강되게 하므로서 직구(C1)의 위치가 승강되게 하여 바디(110)의 편마모 현상을 방지케 할 수도 있다.
즉 톱스테이(150) 상에 전방지지대(165)와 후방 지지대(166)를 고정 설치하 여 그 사이에 일정한 간격의 공간이 형성되게 하고, 상기 공간에 받침대(160)를 끼워 설치하되, 받침대(160)와 전후방 지지대(165)(166) 사이에는 마모방지판(164)을 설치하여 받침대(160)의 승강시 마찰을 줄여 마모를 방지케 한다.
또한 프릭션롤러(140) 양측에 설치된 캠(141)에는 작동레버(167) 중앙하단에 설치된 작동볼(168)이 접지되게 하되, 작동레바(167) 일측은 고정핀(163)를 통하여 워터제트직기(100)의 프레임(102) 상에 고정 설치되게 하고, 타측 선단부(169)는 전후방 지지대(165)(166) 사이에 끼워진 받침대(160)와 연결되게 한다.
따라서 프릭션롤러(140)가 회전하여 일체로 구성된 캠(141)이 회전하면 캠(141)에 접한 작동볼(168)이 승강하여 작동레버(167)를 승강케 하고, 작동레버(167)의 승강에 의해 선단부(169)에 연결된 받침대(160)가 승강되게 하므로서 받침대(160) 상부에 위치한 직물(C)도 승강하게 되므로 바디침 운동시 직구(C1)의 위치가 바디(110) 한 곳에만 접하지 않게되어 바디(110)의 편마모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받침대(160) 전면에 위치한 템플바(Temple Bar)(115)와 직구(C1) 하단에 위치한 펠플레이트(Fell Plate)(111)도 함께 승강되게 하며 템플바(115)와 펠플레이트(111)가 함께 승강되게 하기 위한 수단은 받침대(160)에 고정 설치된 연결대(260)에 의해 이루어지게 한다.
즉 도 6에서와 같이 받침대(160) 일측에 연결대(260)를 고정볼트(261)로 체결고정되게 하고, 상기 연결대(260) 중앙부에는 템플바(115)를 위치시킨 다음 체결편(262)으로 체결고정되게 하고, 선단부에는 펠플레이트(111)를 끼운 다음 볼트(263)로 체결고정되게 하므로서 받침대(160)가 승강하면 연결대(260) 상에 고정 설치된 템플바(115) 및 펠플레이트(111)가 함께 승강되게 하여서 된 것이다.
미설명부호.
(300)은 로킹샤프트(Roking shaft), (310)은 캣치코드사 절단감지기.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워터제트직기(100)를 이용한 제직과정은 다음과 같이 된다.
즉 경사빔(130)에서 경사(W)를 송출하여 가이드롤러(131) 및 텐션롤러(132), 종광(120), 바디(110)를 경유하게 하고, 바디(110)를 지난 경사는 종광(120)의 운동에 의해 경사(W)가 개구되고, 개구된 경사(W) 사이에 위사가 위입되게 한 다음 바디(110)가 전진하여 바디침 운동되게 하므로서 직물(C)이 제직되고, 제직된 직물(C)이 이동하여 직물권취롤러(182)에 권취되게 한다는 것은 종래와 같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기술 요지는 제직된 직물(C)이 이동하면서 프릭션롤러(140)까지의 이동거리를 최소화하므로서 바디침 운동시 직물(C)의 울렁거림이 대폭 감소되게 하므로서 고밀도 직물이나 이중직 직물의 경우에도 원활하게 제직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의 직물(C) 이동 경로를 살펴보면 제직된 직물(C)이 펠플레이트(110)와 템플바(111)를 지난 다음 받침대(160)로 이동하고, 상기 받침대(160)에서 직물은 다시 하향 절곡되어 톱스테이(150) 선단(151)로 이동된다.
이때 직물(C)의 바닥면은 탈수관(170)의 상부 판(171)과 하부 판(172) 사이에 형성된 탈수홈(173)을 접하면서 지나게 되므로 탈수관(170)의 공기흡입작용으로 직물(C)에 함유된 물기를 탈수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탈수관(170)은 직물의 장력부하가 거의 없기때문에 종래와 같이 탈수관 고정용 브라켓이 필요없게 될 뿐 아니라, 종래와 같은 원형탈수관을 사용할 경우 탈수관을 얇은 파이프로 제작 사용이 가능하고, 프레임 좌우에 설치되는 탈수관 고정용 브라켓이 필요없게 되므로 제작 경비를 줄일 수 있게 된다.
톱스테이(150)의 선단부(151)를 지난 직물(C)은 곧바로 프릭션롤러(140)로 이동하여 선회한 다음 상부 프레스롤러(180)및 하부 프레스롤러(181)를 지나 직물권취롤러(182)에 권취된다.
이때 종래와 같이 톱스테이(150) 상에 위치하던 캣치코드사(C1) 처리용 스핀들(200) 관련부품의 위치를 톱스테이(150)로 부터 완전히 벗어나 간섭을 받지 않는 워터제트직기(100)의 커버(101) 상부면에 고정설치되게 하므로서 간섭을 완전히 피할 수 있어 직물(C)이 프릭션롤러(140)까지 이동하는 거리를 대폭 줄일 수 있다.
고밀도직물(C)을 제직하는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제직된 직물(C)이 프릭션롤러(140)까지의 이동 거리를 최대한 짧게 하는 것이며 거리가 짧으면 짧을수록 고밀도 직물 및 이중직 직물 제직에 유리하다.
이유를 간단히 설명하면 경위사가 교차하여 직물이 제직되며 제직과정에서 위사의 기본밀도(기초밀도)가 초과하면 초과한 만큼 바디(110)의 전진운동(바디침 운동) 후 후진할 때 직구(C1)가 바디(110) 쪽으로 밀려나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다시 바디(110)가 전진하게 되면 직구(C1)는 바디(110)에 의해 밀림현상이 발 생하게 된다.
즉 바디(110)가 후진하여있을 때에는 직물(C)의 장력이 팽팽하게 유지하게 되고, 위와는 반대로 바디(110)가 최전진하게 되면 직구(C1)가 바디(110)에 의해 밀리면서 밀린 만큼 직물(C)의 장력이 느슨해진다.
상기에서와 같이 직물(C)의 장력이 느슨해진 상태에서 프릭션롤러(140)가 이를 얼마나 신속히 흡수하여 권취하느냐에 따라 고밀도 직물의 제직성이 좌우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직물이 프릭션롤러(140)까지 이동하는 거리를 최대한 짧게 하는 구조로서 직물의 이동경로를 짧게 할 수 있어, 바디(110)의 최전진시 장력이 느슨해진 부분을 거리가 짧아진 만큼 민감하게 대응하여 권취가능케 하므로서 고밀도 직물이나 이중직 직물의 제직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 템플바(115)를 지난 직물(C)이 톱스테이(150) 상부에 고정 설치된 받침대(160)를 지나면서 급격히 하강 절곡하고, 다시 톱스테이(150)의 선단부(151)에서 한번 더 절곡되어 프릭션롤러(140)로 안내된다.
따라서 직물(C)이 이동하면서 직물(C)에 가해진 장력부하가 받침대(160)와 톱스테이(150)에 집중적으로 작용되며, 상기 두 곳에서 직물 이동방향이 급격히 전환되므로 인해서 직물 이동시 장력에 의한 힘의 방향이 분산되어 바디(110)의 최전진시 느슨해진 직물을 프릭션롤러(140) 신속하게 흡수하여 권취할 수 있게 된다.
톱스테이(150) 상부에 설치되는 탈수관(170)은 사각형상으로 하지 않고, 종래 사용되고 있는 원형 탈수관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워터제트직기(100)를 구성함에 있어서, 캣치코드사(C1) 처리를 위 한 스핀들(200) 관련부품들의 위치를 워터제트직기(100)의 우측 프레임 전방 일측커버(101) 상면으로 이동설치하여 제직된 직물(C)이 프릭션롤러(140)까지의 이동거리를 최대한 짧게 하였다.
상기 캣치코드사(C1)처리를 위한 스핀들(200)의 역활은 종래와 같다.
간략히 설명하면 캣치코드사(C1)에 의해 위입된 위사의 단부 절단사가 파지되고, 파지된 절단사는 캣치코드사 가이드판(251)을 지나 스핀들(200) 쪽으로 이동하고, 스핀들(200)을 통과한 캣치코드사(C1)는 가이드롤러(230)를 경유한 다음 인출기어(240)에 의해 당겨지면서 외부로 인출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캣치코드사(C1) 처리를 위한 스핀들(200)의 관련부품들을 워터제트직기(100)의 전방커버(101) 상면에 설치되게 하므로서 종래와 같이 위사위입을 위한 분사수로 부터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게 되므로 스핀들(200) 내구성이 연장되고, 또한 벨트(250)에 의한 스핀들(200)의 구동시 미끄러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스핀들(200) 관련부품들을 커버(101) 상면으로 이동시킴으로서 위사감지기나 위사 커팅기, 템플(temple) 등이 위치하는 부분에 공간이 확보되므로 수리 및 취급이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의 워터제트직기(100)를 구성함에 있어서 도 4에서와 같이 프릭션롤러(140) 양측에 캠(141)을 설치하여 직구(C')의 위치가 상하 승강되게 하므로서 바디(110)의 편마모 현상을 방지케 할 수 있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프릭션롤러(140)가 회전하면 캠(141)도 함께 회전하게 되고, 캠(141)의 회전에 의해 작동레버(167)는 고정핀(163)를 축으로 승강하게 된다.
이때 작동레바(167)가 고정핀(163)를 축으로 승강하게 되는 것은 작동레바(167)에 연결된 작동볼(168)이 캠(141) 외주면과 접하여 있기 때문에 프릭션롤러(140)에 대한 캠(141)의 편심정도에 따라 작동레버(161)가 승강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작동레버(167)가 승강하게 되면 작동레버(167)의 선단부(169)에 연결된 받침대(160)가 전후방지지대(165)(166)에 안내되어 승강하게 되므로 받침대(160)의 상단(161)을 지나는 직물(C)의 위치도 승강하게 된다.
받침대(160) 상단(161)에 위치한 직물(C)이 승강하게 되면 직구(C')의 위치도 승강하게 되고, 따라서 직구(C')가 바디(110)와 접하는 위치가 상하로 이동하게 되므로 바디(110)의 편마모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받침대(160)가 승강하게 되면 직물(C) 저면을 지지하고 있는 템플바(115)와 펠플레이트(111)의 위치도 함께 승강하게 된다.
즉 템플바(115) 및 펠플레이트(111)는 받침대(160) 전면에 고정 설치된 연결대(262)에 고정 설치되어 있어 받침대(160)가 승강하면 연결대(260)도 승강하게 되고, 따라서 연결대(260) 상에 고정 설치된 템플바(115) 및 펠플레이트(111) 역시 직물(C)과 함께 승강하게 되므로 직구(C')의 승강에 따른 제직에는 별문제가 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워터제트직기를 이용한 직물제직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캣치코드사처리를 위한 스핀들의 위치를 워터제트직기의 전방 우측 프레임 일측커버상에 이동설치하여 위입용 분사수로 부터의 간섭을 없게 함과 동시에 제직된 직물이 프릭션롤러까지 이동하는 거리를 최단거리로 하여 바디침 운동시 직물의 울렁거림 현상(Bumping현상)이 최소화되게 하므로서 고밀도 직물이나 이중직 직물의 제직에도 문제가 없도록 하고, 또한 직물에 함유된 물기의 탈수를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5)

  1. 경사빔(130)에 권취된 경사(W)가 가이드롤러(131), 텐션롤러(132), 종광(120) 및 바디(100)를 지나면서 종광(120)에 의해 경사(W)가 개구되고, 개구된 경사(W) 사이를 위사가 위입되고, 바디(110)가 전진하여 위사를 직구(C')까지 밀어넣어 직물(C)이 제직되게 하고, 제직된 직물(C)이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탈수관에 의해 직물에 함유된 물기를 탈수하고, 탈수된 직물(C)이 직물 권취롤러(182)에 권취되게 한 통상의 워터제트직기의 직물제직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워터제트직기(100)의 양측 프레임(102) 연결용인 톱스테이(150) 상면에 받침대(160)를 설치하여 제직된 직물(C)이 템플바(115)를 지난 다음 받침대(160) 상단(161)을 지나게 하고 받침대(160) 상단(161)을 지난 직물(C)은 하향 절곡되면서 톱스테이(150) 선단(151)을 지나게 하고, 톱스테이(150) 선단(151)을 지난 직물(C)은 다시 방향을 전환하여 프릭션롤러(140) 외주면을 선회한 다음 상부 프레스롤러(180)와 하부 프레스롤러(181)를 경유하여 직물권취롤러(182)에 권취되게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제트직기의 직물제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받침대(160) 선단(161)과 톱스테이(150) 선단(151) 사이에 탈수홈(173)이 형성된 탈수관(170)이 구성되게 하되, 상기 탈수홈(173)이 직물(C)과 접하게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제트직기의 직물제직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톱스테이(150) 상에 설치된 받침대(160)는 톱스테이(150) 상에 고정설치된 전방 지지대(166)와 후방 지지대(165) 사이에 위치되어 승강 가능케 구성되게 하고, 받침대(160)에는 연결대(260)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연결대(260) 상에 템플바(115)와 펠플레이트(111)가 고정 설치되게 하여 받침대(160)가 승강하면 템플바(115) 및 펠플레이트(111)도 함께 승강되게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제트직기의 직물제직장치.
  4. 경사빔(130)에 권취된 경사(W)가 가이드롤러(131), 텐션롤러(132), 종광(120) 및 바디(100) 지나면서 종광(120)에 의해 경사(W)가 개구되고, 개구된 경사(W) 사이를 위사가 위입되고, 바디(110)가 전진하여 위사를 직구(C')까지 밀어넣어 직물(C)이 제직되게 하고, 제직된 직물(C)이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직물에 함유된 물기를 탈수하고, 탈수된 직물(C)이 직물권취롤러(182) 권취되게 한 통상의 워터제트직기의 직물제직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워터제트직기(100)의 캣치코드사가이드판(251) 전면에 위치한 스핀들(200) 관련부품들을 워터제트직기(100)의 우측 프레임 전방 일측 커버(101) 상에 설치되게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제트직기의 직물제직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커버(101) 상면에 브라켓(210)을 고정설치하고, 상기 브라켓(210)에 스핀들(200)을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하되, 상기 스핀들(200)은 구동풀리와 벨트(250)로 연결된 피동풀리(220)에 의해 회전되게 하므로서, 캣치코드사가이 드판(251)을 지난 캣치코드사(C1)가 대각선산으로 이동, 스핀들(200)을 통하여 꼬여지면서 가이드롤러(230) 및 인출기어(240)를 통하여 외부로 인출되게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제트직기의 직물제직장치.
KR1020050046801A 2005-06-01 2005-06-01 워터제트직기의 직물제직장치 KR2006012502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6801A KR20060125026A (ko) 2005-06-01 2005-06-01 워터제트직기의 직물제직장치
JP2006152686A JP2006336183A (ja) 2005-06-01 2006-05-31 ウォータージェット織機の織物製織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6801A KR20060125026A (ko) 2005-06-01 2005-06-01 워터제트직기의 직물제직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5705U Division KR200392859Y1 (ko) 2005-06-01 2005-06-01 워터제트직기의 직물제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5026A true KR20060125026A (ko) 2006-12-06

Family

ID=37556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6801A KR20060125026A (ko) 2005-06-01 2005-06-01 워터제트직기의 직물제직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6336183A (ko)
KR (1) KR2006012502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3098B1 (ko) * 2009-02-11 2011-08-0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제직성 평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95253A (zh) * 2012-12-27 2013-03-27 苏州弘贸纺织有限公司 一种边纱紧缩收集结构
CN114808246B (zh) * 2020-10-26 2023-06-02 绍兴市柯桥区西纺纺织产业创新研究院 带伺服电机的筒子架直供经无轴齿形开口圆盘织造装置
CN113652792B (zh) * 2021-06-28 2024-02-06 杭州维涛纺织机械有限公司 一种喷水纺织机
CN117906351B (zh) * 2024-03-18 2024-05-28 福建锦宇纺织科技实业有限公司 一种喷水织机用脱水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3098B1 (ko) * 2009-02-11 2011-08-0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제직성 평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336183A (ja) 2006-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2859Y1 (ko) 워터제트직기의 직물제직장치
KR20060125026A (ko) 워터제트직기의 직물제직장치
EP2184390A1 (en) Let-off device of loom using positive easing mechanism
CN101194059B (zh) 毛圈织机
EP1783254B1 (en) Warp yarn weaving device for selvedge formation in weaving looms
CN210596565U (zh) 一种电脑盘绣机针杆压脚装置
CN212223236U (zh) 一种调节织带机经纱的张力装置
US3424205A (en) Guide for detachably mounting on a stave or a heddle frame for a loom
KR100924677B1 (ko) 벨벳직기의 파일용 종광 구동장치
KR102169292B1 (ko) 직기용 종광장치
CN216639822U (zh) 一种便于安装的穿综扒筘架
CN114775145B (zh) 一种阻燃提花布生产用提花织布机纱线张紧机构
CN216765173U (zh) 一种用于加工高耐磨阻燃涤纶布用整经机
KR200344477Y1 (ko) 워터제트직기용 석션튜브의 지지장치
CN214328028U (zh) 一种防止崩绞的纺织整经机
CN218491922U (zh) 一种纺织用双喷储纬器
CN210368114U (zh) 一种便于升降的织布机塔台
CN217298158U (zh) 一种便于穿综的综框支架
CN218203265U (zh) 一种整经机伸缩筘装置
KR100987109B1 (ko) 압력식 바디 탈착 시스템을 구비한 직기
KR100381796B1 (ko) 장방형 염색기
KR101913663B1 (ko) 자카드직기용 레노종광의 하부경사 복귀장치
KR940008284Y1 (ko) 환편기원사용 롤러텐션 장치
CN221192486U (zh) 一种可稳定引纬的织带机
CN219342458U (zh) 一种圆织机的整梭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