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3098B1 - 제직성 평가장치 - Google Patents

제직성 평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3098B1
KR101053098B1 KR1020090011193A KR20090011193A KR101053098B1 KR 101053098 B1 KR101053098 B1 KR 101053098B1 KR 1020090011193 A KR1020090011193 A KR 1020090011193A KR 20090011193 A KR20090011193 A KR 20090011193A KR 101053098 B1 KR101053098 B1 KR 1010530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ld
inclination
end fixing
unit
wea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1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1825A (ko
Inventor
허유
김종성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11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3098B1/ko
Publication of KR20100091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18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3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30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51/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arrangements; Automatic stop motions
    • D03D51/007Loom optimisation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9/00Details or constructional features not specially adapted for looms of a particular type
    • D03D49/04Control of the tension in warp or cloth
    • D03D49/12Controlling warp tension by means other than let-off mechanism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9/00Details or constructional features not specially adapted for looms of a particular type
    • D03D49/04Control of the tension in warp or cloth
    • D03D49/18Devices for indicating warp tension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51/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arrangements; Automatic stop motions
    • D03D51/02General arrangements of driving mechanism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1/00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 D03J1/005Displays or displaying data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1/00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 D03J1/007Fabric inspection on the loom and associated loom control

Abstract

경사(T)가 고정되는 전단고정부(100) 및 후단고정부(200); 개구운동의 구현을 위해 상하로 슬라이딩되는 복수의 종광(320)이 구비되고 각 종광(320)은 바늘귀(324)가 어긋나게 배치되어 인접한 경사(T)들이 각각 꿰어지는 헬드부(300); 바디침운동의 구현을 위해 각각의 경사(T)가 관통하는 복수의 살(420)들이 수직으로 형성되고 일정 각도 내에서 진자운동을 하도록 마련된 리드부(400); 동력부(500) 및 동력전달부(600); 및 경사(T)에 걸리는 장력을 측정하는 장력측정부(700);를 포함하는 제직성 평가장치가 소개된다. 그 제직성 평가장치에 따르면, 실제의 제직공정과 근사한 환경하에서 제직성을 평가함으로써 단순히 실의 물성치만을 파악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한 실에 대한 제직공정 전체의 설계에 필요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제직성 평가, 경사

Description

제직성 평가장치 {APPARATUS FOR TESTING WEAVABILITY}
본 발명은 실제 제직공정을 모사하여 실의 제직성을 평가함으로써 각각의 실마다 제직성에 관한 표준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직성 평가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제직공정에서는 무북직기(shuttless loom)를 이용한 제직이 이루어지고 있다. 무북직기는 기존의 북침 (picking) 운동이 가지는 관성 (inertia) 요소를 제거하고 위입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제직의 고속화뿐만 아니라 소음 및 진동을 억제하고 획기적인 생산성 향상과 작업환경의 개선 등의 다양한 효과를 가져왔다. 그러나 계속되는 직기의 속도증가는 경사 간의 심한 마찰과 엉킴에 의한 실의 손상 및 개구불량, 나아가 경사하중 증가에 따른 사절 현상, 직기정지, 정지단 발생 등으로 이어지는 치명적인 결함을 야기하게 되었다.
종래에는 사용되는 실의 종류와 설비에 따라 공정의 필요에 의하여 내부기술로서 자료가 축적되고, 이러한 경험적 자료를 바탕으로 새로운 제품의 개발에 요구되는 공정 최적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대응방식은 새로운 섬유소재의 개발과 직물의 산업적 용도 확대에 따라 축적된 데이터의 사용에 많은 제약이 따르게 되었고, 경우에 따라서는 데이터의 적용이 적합하지 않은 경우도 발생하여 새로운 직물 개발에 필요한 새로운 제직 기초기술 및 제직성 평가기술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최근 이러한 실의 제직성을 평가하기 위한 장치가 더러 개발되었으나, 대부분의 장치에서는 사용되는 실의 최대강도 또는 마모에 대한 경사의 사절만을 고려하였으며, 실제로 4000 ~ 8000 cycle/m에 해당하는 반복적인 개구운동에 기인한 경사의 신장운동과 이웃한 시료 간의 마찰 및 엉킴, 보풀 발생, 장력 이완 등의 요인이 제직성에 미치는 영향을 간과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경사에 부과되는 하중 및 마모도를 경사 한 올에서 측정함으로써 수많은 가닥으로 이루어져 있는 실제 제직공정에서 그 측정결과의 이용은 현실성이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제직공정에서 수천 사이클에 달하는 반복적인 경사운동은 경사의 장력변동과 직기정지를 일으키고 공정효율과 직물의 품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데, 이러한 현상에 대한 정확한 해석은 제직공정의 최적화뿐만 아니라 제직성 평가에 있어서도 필수불가결한 과정이다. 그러나 주어지는 실의 종류에 따라 그 물리적 성질이 현저히 다르고, 제직에 영향을 미치는 공정요인들이 다양할 뿐만 아니라, 상호간의 연관성을 정확히 규명하기 어렵기 때문에 그 해석을 위해서는 오랜 시간과 다량의 섬유재료가 필요하며 재료와 공정조건에 따라 지속적인 자료처리가 이루어져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최대한 실제의 제직공정에 근사한 환경을 조성하면서도 간편하게 실의 제직성을 평가할 수 있는 장치가 절실하였던 것이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될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실제의 제직공정에 근사한 환경을 조성하여 실의 제직성을 평가함으로써 정확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는 제직성 평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직성 평가장치는, 경사의 전단과 후단이 각각 고정되는 전단고정부 및 후단고정부; 상기 전단고정부 및 후단고정부 사이에 설치되며, 개구운동의 구현을 위해 상하로 슬라이딩되는 복수의 종광이 구비되고 각 종광은 바늘귀가 어긋나게 배치되어 인접한 경사들이 각각 꿰어지는 헬드부; 상기 헬드부와 전단고정부 사이에 설치되며, 바디침운동의 구현을 위해 각각의 경사가 관통하는 복수의 살들이 수직으로 형성되고 일정 각도 내에서 진자운동을 하도록 마련된 리드부; 상기 종광의 슬라이딩과 리드부의 진자운동이 연동되도록 종광과 리드부에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 및 동력전달부; 및 상기 전단고정부 또는 후단고정부에 마련되어 경사에 걸리는 장력을 측정하는 장력측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헬드부에는 한 쌍의 종광이 마련되고, 상기 동력전달부는 한 쌍의 종광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되되 양 종광이 가장 멀리 떨어진 위치에서 리드부가 헬드부에 가장 근접하게 되도록, 동력부와 종광 및 리드부를 연결하는 풀리와 타이밍벨트 및 링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헬드부 및 리드부는 전단고정부 측에 근접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장력측정부는 후단고정부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장력측정부는 후단고정부에 연결된 로드셀을 구비하여 후단고정부가 경사 의해 당겨지는 힘을 측정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전단고정부 또는 후단고정부는 전후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마련되고 상단에 회전 및 고정이 가능한 회전대가 마련되며 이 회전대 상에 경사가 고정되어 경사의 길이 및 경사에 걸리는 장력이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직성 평가장치는 상기 장력측정부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아 디스플레이하고, 종광 및 리드부의 왕복 사이클을 조정하기 위해 동력부의 가동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제직성 평가장치에 따르면, 실제의 제직공정과 근사한 환경하에서 제직성을 평가함으로써 단순히 실의 물성치만을 파악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한 실에 대한 제직공정 전체의 설계에 필요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실제 제직공정에서 거치게 되는 모든 과정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제직공정에서 실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만을 대상으로 하여 제직성을 측정함으로써 비교적 간단하고 빠르게 제직성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측정된 제직성을 통하여 각각의 실마다 고유의 제직성을 수치화하는 표준화작업이 가능해진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제직성 평가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직성 평가장치의 구성도이다. 그 제직성 평가장치는, 경사(T)의 전단과 후단이 각각 고정되는 전단고정부(100) 및 후단고정부(200); 상기 전단고정부(100) 및 후단고정부(200) 사이에 설치되며, 개구운동의 구현을 위해 상하로 슬라이딩되는 복수의 종광(320)이 구비되고 각 종광(320)은 바늘귀(324)가 어긋나게 배치되어 인접한 경사(T)들이 각각 꿰어지는 헬드부(heald portion,300); 상기 헬드부(300)와 전단고정부(100) 사이에 설치되며, 바디침운동의 구현을 위해 각각의 경사(T)가 관통하는 복수의 살들이 수직으로 형성되고 일정 각도 내에서 진자운동을 하도록 마련된 리드부(reed portion,400); 상기 종광(320)의 슬라이딩과 리드부(400)의 진자운동이 연동되도록 종광(320)과 리드부(400)에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500) 및 동력전달부(600); 및 상기 전단고정부(100) 또는 후단고정부(200)에 마련되어 경사(T)에 걸리는 장력을 측정하는 장력측정부(700);를 포함한다.
상기의 구성들을 설치하기 위하여 하나의 하우징(H)을 마련할 수 있고, 각각의 구성들은 그 하우징(H)에 고정 또는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제직공정에 필요한 실은 경사와 위사가 있는데, 경사는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나아가는 실의 무리를 말하고, 위사란 그 경사의 사이를 가로질러 통과하여 경사와 함께 직물로 짜여지는 실의 무리를 말한다. 위사의 경우는 실제 실의 제직성에서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아니므로 본 평가장치에서는 위사의 관통과정을 생략함이 가능하다.
경사의 경우 제직공정에서 두 가지 중요 운동을 하게 된다. 두 가지 운동은 개구운동과 바디침운동이다. 이 중 개구운동은 경사가 종광(320)에 의해 상하로 신장과 수축을 반복하는 것이고, 바디침운동은 리드(바디,reed,400)에 의해 위사를 전방으로 밀어내는 운동을 말한다. 이하 본 발명의 각 구성을 살펴보며 각각의 운동과 경사의 관계를 상세히 살펴본다.
하우징(H)에는 양 단에 전단고정부(100)와 후단고정부(200)가 마련된다. 전단고정부(100)와 후단고정부(200)는 그 상단에 각각 경사의 전단과 후단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한 전단고정부(100) 또는 후단고정부(200)는 그 상단에 회전대가 설치될 수 있고, 그 회전대는 힌지를 매개로 설치되어 회전 또는 고정되도록 한다. 그 회전대에는 고정대를 통하여 회전대와 고정대 사이에 실의 단부를 고정하도록 한다. 실이 회전대와 고정대 사이에서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대를 회전시킨 후 회전대를 고정하여 실에 걸리는 초기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그러한 전단고정부(100)와 후단고정부(200)는 하우징(H)에서 전후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하여 측정되는 전체 경사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실의 제직성에서 중요한 요소는 경사(T)의 길이와 개구운동 또는 바디침운동의 속도이기 때문에 전단고정부(100) 또는 후단고정부(200)의 이동을 통한 경사(T)의 길이조절은 매우 중요한 사항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전단고정부(100)의 경우 그 상단에 회전대(120)를 설치하여 경사에 걸리는 초기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후단고정부(200)의 경 우 하우징(H)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마련하여 경사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한 전단고정부(100)와 후단고정부(200) 사이에는 헬드부(300)와 리드부(400)가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헬드부(300)가 전단고정부(100)에 치우치도록 설치하고, 리드부(400)는 그 헬드부(300)와 전단고정부(100) 사이에 설치하도록 한다. 헬드부(300)는 경사(T)의 개구운동을, 리드부(400)는 경사(T)의 바디침운동을 수행하는데, 헬드부(300)가 경사(T)의 중앙에서 전방으로 치우쳐 설치되어야 경사(T)에 걸리는 실제 공정에서의 장력을 정확히 예측할 수 있기 때문이다.
헬드부(300)에는 종광(320)이 구비된다. 종광(320)은 사각의 프레임이 구비되고 그 프레임 내부에 바늘귀가 형성된 복수의 바늘이 마련된다. 종광(320)은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되는데 하우징(H)에는 종광(320)의 슬라이딩을 위하여 슬라이딩 가이드를 마련한다. 종광(320)은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종광(320,320')이 마련된 경우를 살펴본다.
한 쌍의 종광(320,320')에는 모두 각각 복수의 바늘이 구비되고, 경사(T,T')는 그 인접한 실들이 각각 따로따로 별개의 종광(320,320')에 연결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종광(320,320')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되기 때문에 경사(T,T')는 당겨짐과 이완됨을 반복하며 장력이 걸리게 되는 것이다. 이에 관하여는 도 4에서 상세히 알아본다.
경사(T,T')는 각각의 종광(320,320')에 어긋나게 관통되고, 양 종광(320,320')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상하 슬라이딩이 이루어져 일측 종광(320)의 경 사(T)와 타측 종광(320')의 경사(T')는 서로 일 평면상에 위치하였다가 서로 멀어지는 것을 반복하는 주기운동을 하게 된다. 경사(T,T')가 서로 벌어져 멀어진 경우를 "개구"라 하고, 경사가 서로 모아져 닫힌 경우를 "폐구"라 하며 이러한 경사의 운동을 개구운동이라고 하는 것이다.
리드부(400)는 헬드부(300)와 전단고정부(100) 사이에 설치된다. 리드부(400)는 위사의 이동을 위하여 마련되는 것이나, 실제 제직공정에서는 위사 자체보다는 리드부의 움직임에 의한 경사손상이 문제되는 것이므로 리드부(400)는 경사(T)의 경로에서 바디침운동 만을 하도록 한다. 리드부(400)의 바디침운동은 힌지를 중심으로 한 진자운동의 형상을 띄는데, 이를 위하여 리드부(400)는 하우징(H)에 힌지핀(430)을 매개로 설치되도록 한다. 리드부(400)에는 각각의 경사(T)가 관통하는 복수의 살들이 수직으로 형성되고, 헬드부(300)와 전단고정부(100) 사이에서 힌지핀(430)을 중심으로 진자운동을 하며 실제 공정에서의 바디침운동을 모사한다.
상기의 헬드부(300)와 리드부(400)는 상호 연동되도록 하며 그 연동을 위해 하우징(H)에는 동력부(500)와 동력전달부(600)가 마련된다. 동력부(500)는 서보모터로 구현하고 동력전달부(600)는 동력부(500)와 종광(320) 및 리드부(400)를 연결하는 풀리와 타이밍벨트 및 링크로 구성된다. 종광(320)과 리드부(400)는 상호 연동되도록 연결되는데, 구체적으로 한 쌍의 종광(320)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되되 양 종광(320)이 가장 멀리 떨어진 위치에서 리드부(400)가 헬드부(300)에 가장 근접하게 되도록 한다.
전단고정부(100) 또는 후단고정부(200)에는 경사에 걸리는 장력을 측정할 수 있는 장력측정부(700)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장력측정부(700)는 후단고정부(200)에 설치된 로드셀(load cell,720)로 구성될 수 있다. 로드셀(720)은 후단고정부(200)가 경사의 장력에 의해 전방으로 당겨지는 힘을 측정하여 경사에 걸리는 장력을 측정하게 된다.
경사(T)에 걸리는 장력 데이터를 통하여 경사(T)의 제직성을 도출하기 위해 장력측정부(700)는 제어부(도면 미도시)에 연결된다. 제어부는 장력측정부(700)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아 디스플레이하고, 종광(320) 및 리드부(400)의 왕복 사이클을 조정하기 위해 동력부(500)의 가동력을 제어한다. 제어부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는 후술할 도 10에서 살펴본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직성 평가장치를 나타낸 전방 사시도이다. 도 2의 사시도는 제직성 평가장치를 전방에서 바라본 것으로써, 하우징(H)의 전방에는 전단고정부(100)가 마련되고 그 전단고정부(100)의 회전대(120)에 경사(도면 미도시)의 전단이 고정된다. 회전대(120)의 상단에는 일정 평면(122)이 형성되고 그 평면(122)과 고정대(도면 미도시)의 사이에 경사의 전단이 고정되는 것이다. 하우징(H)에는 헬드부(300)와 리드부(400)가 설치되고, 헬드부(300)에는 슬라이딩 가이드에서 상하로 슬라이딩되는 한 쌍의 종광(320)이 마련된다. 헬드부(300)와 전단고정부(100)의 사이에는 리드부(400)가 바디침운동을 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헬드부(300)의 후방으로는 경사의 후단이 고정되는 후단고정부(200)와 장력측정부(700)가 설치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직성 평가장치를 나타낸 후방 사시도이다. 하우징(H)의 후방에는 후단고정부(200)가 마련된다. 후단고정부(200)의 상단에는 경사의 후단이 얹혀지고 그 경사는 고정대(도면 미도시)에 의해 후단고정부(200)에 고정된다. 그러한 후단고정부(200)의 후방에는 장력의 측정을 위해 로드셀(720)이 구비되고 로드셀(720)은 후단고정부(200)가 경사에 의해 당겨지는 힘을 측정한다. 그러한 후단고정부(200)는 하우징(H)에서 전후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평가의 대상이 되는 전체 경사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헬드부(300)의 종광(320)은 슬라이딩 가이드(340)를 통하여 슬라이딩되고, 전단고정부(100) 측 하우징(H)에는 동력부(500)로써 서보모터가 마련되고, 서보모터의 동력은 타이밍벨트(660)를 통하여 풀리(640)에 전달되며 풀리(640)에 전달된 동력은 하우징(H) 내부에서 링크를 통하여 종광(320) 및 리드부(400)에 동력을 전달한다.
도 4는 헬드부의 종광을 나타낸 도면이다. 두 개의 종광(320,320')이 실시된 예를 살펴보면, 각각의 종광(320,320')에는 바늘귀(324)가 형성된 복수의 바늘(322)이 마련되고, 각 종광(320,320')의 바늘(322)은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경사(T,T')는 평행하게 나란히 나아가다가 인접한 경사들이 각각의 종광(320,320')의 바늘귀(324)를 관통하도록 한다. 따라서 경사(T)는 하나씩 건너뛰는 배치로 동일한 종광(320)을 관통하는 것이고 종광(320,320')의 개수만큼 무리지어 이동되는 경사(T,T')의 다발 수가 정해진다. 또한 각 종광(320,320')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되므로 두 무리의 경사(T,T') 역시 각각 반대방향으로 움직여 서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게 되는 것이다. 두 무리의 경사(T,T')는 서로 인접하는 경사끼리 서로 반대방향으로 움직이며 상호 마찰에 의해 잔털이 떨어지고 엉킴이 발생되며 마모가 일어나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이고, 본 발명의 제직성 평가장치를 통하여 개구운동으로 인한 경사의 내구성 저하를 제직성 평가시에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제직성에 포함되는 평가요소로는 경사의 개구운동으로 인한 경사의 이완이 포함된다. 경사가 당겨져 이완될 경우 장력측정부를 통하여 측정된 장력을 통하여 경사의 이완정도를 알 수 있게 된다.
도 5는 리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리드부(400)에는 종광을 관통한 각각의 경사(T,T')가 관통하는 복수의 살(420)들이 수직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각각의 인접한 살(420)들에는 서로 다른 무리의 경사(T,T')가 관통하여 지그재그 형상을 이룬다. 리드부(400)는 힌지핀(430)을 중심으로 왕복 회전하며 바디침운동을 하게 되는 것인데, 각 살(420)을 통과하는 경사(T,T')와 살(420)간의 마찰에 의해 경사(T,T')가 이완, 엉킴, 풀림 등을 통하여 내구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이 역시 바디침운동으로 인한 경사의 내구성 저하로써 제직성 평가시에 포함하는 것이다.
도 6은 하우징 내부의 동력전달부를 도시한 것이다. 우측에는 동력부로부터 동력이 전달되는 풀리축(642)이 설치되고, 그 풀리축(642)으로부터 제1링크(643)에 회전력이 가해진다. 제1링크(643)에 연결된 제2링크(644) 역시 회전하고, 제1링크(643)와 제2링크(644) 사이의 제1종광링크(623)가 원운동을 하게 된다. 제1종광링크(623)의 원운동에 의해 종광은 상하로 슬라이딩하게 된다. 제2링크(644)의 회전에 의해 제3링크(645)가 회전하고 제2링크(644)와 제3링크(645) 사이의 제2종광링크(624)가 원운동한다. 제2종광링크(624)의 원운동에 의해 종광이 상하 슬라이딩 된다. 제3링크(645)의 회전은 타이밍밸트(660)를 통하여 전달되고, 전달된 동력은 리드부링크(622)를 원운동시키며 리드부가 바디침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제1종광링크(623), 제2종광링크(624) 및 바디침링크(622)는 모두 그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며 링크와 연결되는 연결부의 고정위치가 변경가능하여 종광과 리드부의 연동 타이밍 및 슬라이딩 또는 바디침운동의 각도의 변화가 가능해진다. 이러한 변화를 통하여 여러 종류의 실제 제직공정에 대응되는 모사가 가능해지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직성 평가장치를 이용한 평가의 일 예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평가에 사용된 경사는 비교적 제직공정에서 많이 취급하고 있는 폴리에스터 DTY 75를 선택하였으며 50가닥을 사용하여 30 ends/cm의 밀도를 유지하였다. 종광에 의한 개구 폭 30 mm에 대하여 제직구간의 길이를 475 mm로, 제직속도를 520 rpm으로 하였고, 초기 경사에 작용하는 장력에 의한 하중을 바꾸어가며 실험을 진행하였다. 테스트 사이클 수는 실제공정에서의 제직구간 대비 제직속도를 고려하여 10,000 cycle로 고정하였다.
도 7의(a)는 초기장력이 30 N인 경우이고, (b)는 초기장력이 50 N인 경우이다. 초기 60초 동안은 공정이 시작되기 전 폐구된 상태에서의 장력 신호로서, 이미 경사 이완에 의하여 장력 감소가 서서히 일어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공정이 진행됨에 따라 개구운동에 의하여 장력의 변동 폭이 넓게 분포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7의(a)와 (b)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경사의 초기하중에 따라 신호의 형태가 현저히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즉, 초기 경사장력이 30 N으로 주어진 경우 (a)에는 초기에 장력이 급격하게 감소 한 후, 약 200 초 이후에는 장력 변화가 크게 나타나지 않는 반면, (b)에서와 같이 초기 장력이 50 N으로 크게 주어진 경우에는 공정이 진행됨에 따라 장력의 크기가 지속적으로 감소하며 약 500 초와 800 초, 그리고 1050 초에서 경사의 사절로 보이는 장력의 급격한 감소가 관찰되었다.
도 8의 경우는 하중이 30 N으로 주어진 경우의 결과이고, 도 9는 50 N으로 주어진 경우의 결과이다. 도 7의(a) 장력측정 결과에서 예상할 수 있듯이 초기 경사의 하중이 30 N으로 주어진 경우(도 8) 경사에는 약간의 보풀만 발생하였을 뿐 실의 마모가 크게 발생하지 않은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초기 경사장력 50 N에 대하여는 도 9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경사의 보풀과 함께 실 엉킴으로 인한 불완전한 개구, 그리고 사절 현상이 뚜렷이 나타났다.
실제 제직공정에서는 경사의 길이, 속도 및 바디침운동의 각도 등 경사에 영향을 불 수 있는 여러가지 인자가 존재한다. 본 발명의 제직성 평가장치는 이러한 경사의 길이, 속도, 초기장력, 바디침운동의 각도, 종광과 리드부의 위상차, 종광 슬라이딩의 길이 등을 상황별로 조절할 수 있고, 이의 조절을 통하여 실제 공정의 정확한 모사가 가능해지는 것이다. 또한, 평가 종료 후 잔털 및 실의 마모 정도, 실의 엉킴, 실의 사절, 실의 이완, 테스트 사이클 수 등을 통하여 몇 가지의 인자를 생성할 경우 제직성의 표준화까지도 가능해지는 것이다.
도 10은 제어부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정보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제어부에 의해 표현되는 정보는 리드부의 운동속도(4), 테스트 사이클 수(5), 데이터의 샘플링 간격(6), 데이터의 비율(7)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직성 평가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직성 평가장치의 전방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직성 평가장치의 후방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직성 평가장치의 종광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직성 평가장치의 리드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제직성 평가장치의 동력전달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제직성 평가장치의 평가결과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a)는 초기장력이 30 N인 경우.
(b)는 초기장력이 50 N인 경우.
도 8은 도 7의(a)에 따른 평가결과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도 7의(b)에 따른 평가결과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제직성 평가장치의 제어부가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화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전단고정부 200 : 후단고정부
300 : 헬드부 320 : 종광
400 : 리드부 500 : 동력부
600 : 동력전달부 700 : 장력측정부
720 : 로드셀 T : 경사

Claims (6)

  1. 경사(T)의 전단과 후단이 각각 고정되는 전단고정부(100) 및 후단고정부(200);
    상기 전단고정부(100) 및 후단고정부(200) 사이에 설치되며, 개구운동의 구현을 위해 상하로 슬라이딩되는 복수의 종광(320)이 구비되고 각 종광(320)은 바늘귀(324)가 어긋나게 배치되어 인접한 경사(T)들이 각각 꿰어지는 헬드부(300);
    상기 헬드부(300)와 전단고정부(100) 사이에 설치되며, 바디침운동의 구현을 위해 각각의 경사(T)가 관통하는 복수의 살(420)들이 수직으로 형성되고 일정 각도 내에서 진자운동을 하도록 마련된 리드부(400);
    상기 종광(320)의 슬라이딩과 리드부(400)의 진자운동이 연동되도록 종광(320)과 리드부(400)에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500) 및 동력전달부(600); 및
    상기 전단고정부(100) 또는 후단고정부(200)에 마련되어 경사(T)에 걸리는 장력을 측정하는 장력측정부(700);를 포함하는 제직성 평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헬드부에는 한 쌍의 종광이 마련되고, 상기 동력전달부(600)는 한 쌍의 종광(320)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되되 양 종광(320)이 가장 멀리 떨어진 위치에서 리드부(400)가 헬드부(300)에 가장 근접하게 되도록, 동력부(500)와 종광(320) 및 리드부(400)를 연결하는 풀리와 타이밍벨트 및 링크로 구성된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제직성 평가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헬드부(300) 및 리드부(400)는 전단고정부(100) 측에 근접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장력측정부(700)는 후단고정부(200)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직성 평가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장력측정부(700)는 후단고정부에 연결된 로드셀(720)을 구비하여 후단고정부(200)가 경사(T)에 의해 당겨지는 힘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직성 평가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단고정부(100) 또는 후단고정부(200)는 전후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마련되고 상단에 회전 및 고정이 가능한 회전대(120)가 마련되며 이 회전대(120) 상에 경사(T)가 고정되어 경사(T)의 길이 및 경사(T)에 걸리는 장력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직성 평가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력측정부(700)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아 디스플레이하고, 종광(320) 및 리드부(400)의 왕복 사이클을 조정하기 위해 동력부(500)의 가동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직성 평가장치.
KR1020090011193A 2009-02-11 2009-02-11 제직성 평가장치 KR1010530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1193A KR101053098B1 (ko) 2009-02-11 2009-02-11 제직성 평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1193A KR101053098B1 (ko) 2009-02-11 2009-02-11 제직성 평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1825A KR20100091825A (ko) 2010-08-19
KR101053098B1 true KR101053098B1 (ko) 2011-08-02

Family

ID=42756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1193A KR101053098B1 (ko) 2009-02-11 2009-02-11 제직성 평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30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26078B (zh) * 2012-11-26 2014-02-19 江苏万工科技集团有限公司 应用于织斜纹缎纹的开口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0458B1 (ko) * 1994-12-30 2003-03-19 제일모직주식회사 Cad/cam시스템을이용한샘플제직용직기
KR20060125026A (ko) * 2005-06-01 2006-12-06 젯트기연 주식회사 워터제트직기의 직물제직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0458B1 (ko) * 1994-12-30 2003-03-19 제일모직주식회사 Cad/cam시스템을이용한샘플제직용직기
KR20060125026A (ko) * 2005-06-01 2006-12-06 젯트기연 주식회사 워터제트직기의 직물제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1825A (ko) 2010-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60855B (zh) 用于从线层将线分离的装置、操作所述装置的方法及所述装置的使用
CA122664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automatic monitoring of textile fabrics, especially woven fabrics
US6130746A (en)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ally evaluating predicted fabric qualities
CN112345347B (zh) 一种丝束可织造性表征设备及方法
KR101053098B1 (ko) 제직성 평가장치
CN103472209A (zh) 纱线表观起毛起球及磨损量的测量装置与方法
Yildirim Predicting seam opening behavior of woven seat fabrics
CN206788174U (zh) 一种浆纱检测设备
IE912043A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measuring the degree of filament¹intermingling of a multifilament yarn
CN110608959A (zh) 基于动态载荷条件下的纱线疲劳寿命检测装置
CN109764996B (zh) 一种检测浆纱增强率和减伸率的方法
CN105177965A (zh) 一种织造过程中经纱可织性变化测试方法研究
CN212932272U (zh) 一种高性能纤维束耐磨性测试装置
JP4064212B2 (ja) 糸の磨耗試験方法及び糸磨耗試験機
Jeddi et al. Relations between fabric structure and friction. Part III: Warp knitted fabrics
Islam et al. Yarn spacing measurement in woven fabrics with specific reference to start-up marks
RU2516894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ценки повреждаемости нитей текстильных материалов при шитье
Carvalho et al. Problems relating to sewing
CN1558206A (zh) 一种生丝抱合性能检测方法及其装置
Bruns et al. Experimental Investigations on the Effect of Yarn Speed and Wrap Angle on Yarn-Solid and Yarn-Yarn Friction using Warp Knitting Machines
CN109443621A (zh) 纱线张力峰值检测仪
Macrory et al.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the biaxial load-extension properties of plain, weft-knitted fabrics
Seyam et al. Warp break detection in jacquard weaving using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effect of yarn type
Mirjalili Computer simulation of warp tension on a weaving machine
Das et al. Prediction of weavability of warp yarns: a critical revie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