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4843A - Osd 편집 기능을 갖는 텔레비전 수상기 및 이를 이용한osd 편집 방법 - Google Patents

Osd 편집 기능을 갖는 텔레비전 수상기 및 이를 이용한osd 편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4843A
KR20060124843A KR1020050044395A KR20050044395A KR20060124843A KR 20060124843 A KR20060124843 A KR 20060124843A KR 1020050044395 A KR1020050044395 A KR 1020050044395A KR 20050044395 A KR20050044395 A KR 20050044395A KR 20060124843 A KR20060124843 A KR 200601248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item
osd
screen
command
television rece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4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4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24843A/ko
Publication of KR20060124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48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5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e.g. interacting with MPEG-4 objects, editing local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8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screen layout parameters, e.g. fonts, size of the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사용자 명령에 따라 OSD 화면에 포함된 메뉴항목에 대한 편집을 수행하는 텔레비전 수상기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텔레비전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프로그램과 OSD 화면에 포함된 메뉴항목을 편집하기 위한 실행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리모컨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OSD 화면을 스크린 상에 출력시키고, 출력된 OSD 화면에 포함된 메뉴항목을 소정 형태로 편집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됨에 따라, 저장부에 저장된 실행프로그램을 실행시켜 OSD 화면에 포함된 각각의 메뉴항목에 대한 편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텔레비전 수상기, OSD 화면, 메뉴항목, 편집.

Description

OSD 편집 기능을 갖는 텔레비전 수상기 및 이를 이용한 OSD 편집 방법{Television receiver having function of editing OSD display and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OSD 편집 기능을 갖는 텔레비전 수상기의 내부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전 수상기를 이용한 OSD 편집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전 수상기를 이용한 OSD 편집모드를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전 수상기를 이용한 OSD 화면에 포함된 메뉴항목의 편집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전 수상기에서 제공하는 소정의 메뉴항목이 포함된 OSD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전 수상기가 메뉴항목을 OSD 화면의 소정 영역으로 이동시킨 편집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전 수상기가 메뉴항목을 OSD 화면에서 삭제한 편집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6c에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전 수상기가 메뉴항목에 링크된 하위 메뉴항목을 스크린 상에 출력시킨 도면.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전 수상기가 메뉴항목에 링크된 하위 메뉴항목을 OSD 화면의 소정 영역으로 이동시킨 편집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6e는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전 수상기가 메뉴항목에 링크된 하위 메뉴항목을 OSD 화면에서 삭제한 편집화면을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텔레비전 수상기 101 : 튜너
102 : 스크린 103 : 스피커
104 : A/D 컨버터 105 : 비디오 처리부
106 : 오디오 처리부 107 : 영상 처리부
108 : 증폭부 109 : 저장부
110 : 제어부 200 : OSD 화면
본 발명은 OSD 화면에 대한 편집 기능을 갖는 텔레비전 수상기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 명령에 따라 OSD 화면에 포함된 메뉴항목을 개별적으로 편집할 수 있는 텔레비전 수상기 및 이를 이용한 OSD 편집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과학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과 더불어 영상이나 오디오 등 여러 형태의 정보 를 결합하는 멀티미디어 분야까지 정보통신의 급속한 발전 속에서 디지털 혁명이라고도 불리는 요즘은, 그 정보의 저장 및 존재 형태가 아날로그에서 디지털화 되어가고 있다. 비교적 많은 양의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압축하기 위한 동영상데이터의 압축 표준인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기술의 발달로 인해 디지털 영상데이터의 크기가 점차적으로 작아지고 있어 컴퓨터, 방송, 가전, 통신 등 점차적으로 거의 모든 분야에 적용되어 디지털 비디오 및 오디오 서비스가 제공되고, 그러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디지털 기기들이 등장하게 되었다.
그 중에 TV는 일상 생활에서 쉽고, 효과적인 정보 전달 매체로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데, 상기와 같은 디지털 기술에 힘입어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MPEG 기술로 압축하여 전송함으로써, 많은 양의 정보를 더욱 빠르고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디지털 TV의 등장으로 더욱 많은 방송을 더욱 선명한 화질, 더욱 생생한 음향으로 가정에서도 손쉽게 감상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텔레비젼 수상기(TV)를 통해서도 디지털 방송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아날로그 변조방식에 의한 데이터 전송의 한계로 영상과 음향 품질에 제한 요소가 있었던 것과 비교하여 디지털 방송 시대에는 고화질, 고음질의 비디오, 오디오 방송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비디오, 오디오 방송만이 아니라 데이터 방송을 통해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부수적인 정보, 가령 등장인물의 프로필이나 지난 줄거리 등등의 정보를 손쉽게 그 자리에서 알 수 있는가 하면 날씨, 교통, 홈쇼핑 등의 또 다른 독립적인 데이터 방송을 통해 보다 유익하고 편리한 방송이 가능하게 되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델레비전 수상기(TV)는 이러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각각의 메뉴항목, 예를 들면 채널, 영상, 음성, 시간, 일반 및 환경설정 등을 포함하는 각각의 메뉴항목을 을 포함하는 OSD 화면을 스크린상에 출력시킨 후, 출력된 OSD 화면에 포함된 메뉴항목에 대한 사용자 명령에 따라 해당 메뉴항목에서 제공되는 각각의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이에 따라 텔레비전 수상기가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각종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OSD 화면을 스크린 상에 출력하는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었는데, 일예로 특허출원번호 제 2002-0085804호에서는 OSD 맵을 통해 사용자가 선택하고자 하는 메뉴의 위치를 확인하고 직접 전근하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표시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상기 특허출원에서 제안하고 있는 기술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OSD 맵을 통해 트리 구조로 나열되는 메뉴를 소정의 영역으로 분할된 OSD 메뉴를 한 화면으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OSD 메뉴 구조를 한 눈에 확인하고 원하는 메뉴로 직접 접근하는 것을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서, OSD 맵을 구동시키기 위한 사용자의 키 선택에 따라 해당되는 키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선택 입력부와, 주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미리 저장된 OSD 데이터를 검출하여 상기 표시부로 표시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OSD 처리부와, OSD 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OSD 데이터를 다양한 영상 소스와 함께 상기 표시부로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영상 신호 처리부와, 주 제어부의 OSD 구동 및 화면 설정을 위한 동작 알고리즘 및 동작운용 과정에서 발생되는 정보 신호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OSD 화면을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는, OSD 화면을 포함하는 각각의 메뉴항목이 디폴트로 설정되어 있고,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메뉴항목으로 구성된 OSD 화면을 편집할 수 없었다.
따라서, 사용자가 소정의 메뉴항목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OSD 화면에서 제공되는 메뉴항목을 모두 검색한 후 자신이 원하는 메뉴항목을 선택 및 실행시켜야 하기 때문에 검색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OSD 화면을 제공할 수 없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OSD 화면에 포함된 소정의 메뉴항목을 개별적으로 편집할 수 있는 텔레비전 수상기 및 이를 이용한 OSD 편집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OSD 화면에 포함된 메뉴항목에 설정된 컬러, 폰트, 비트맵 등의 등록환경을 각각의 메뉴항목별로 설정할 수 있는 텔레비전 수상기 및 이를 이용한 OSD 편집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리모콘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소정의 메뉴항목이 포함된 OSD 화면을 편집하여 스크린상에 출력시키는 텔레비전 수상기에 있어서, 텔레비전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프로그램과 OSD 화면에 포함된 메뉴항목을 편집하기 위한 실행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리모컨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OSD 화면을 스크린 상에 출력시키고, 출력 된 OSD 화면에 포함된 메뉴항목을 소정 형태로 편집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됨에 따라, 저장부에 저장된 실행프로그램을 실행시켜 해당 메뉴항목에 대한 편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리모콘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텔레비전 수상기가 OSD 화면에 포함된 메뉴항목을 편집하여 스크린상에 출력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텔레비전 수상기가 OSD 화면에 포함된 메뉴항목을 사용자 명령에 따라 편집하기 OSD 편집모드를 설정하는 제 1 단계; OSD 편집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텔레비전 수상기가 사용자 명령에 따라 OSD 화면에 포함된 소정의 메뉴항목에 대한 편집을 수행하는 제 2 단계; 및 메뉴항목에 대한 편집을 수행한 후, 텔레비전 수상기가 편집된 메뉴항목이 포함된 OSD 화면을 스크린 상에 출력시키는 제 3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SD 편집 기능을 갖는 텔레비전 수상기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텔레비젼 수상기(100)는, 방송국으로부터 송출된 복합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아날로그 영상신호와 소리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튜너(101)와,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스크린(102)과, 소리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103)와, 튜너(101)로부터 출력된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A/D 컨버터(104)와, A/D 컨버터(104)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영 상신호를 스크린(102)에 적합한 신호형태로 만들어 주는 비디오 처리부(105)와, 튜너(101)로부터 출력되는 소리신호를 스피커(103)에 적합한 신호로 만들어 주는 오디오 처리부(106)와, 비디오 처리부(105)로부터 출력된 영상신호를 스크린(102)에 출력시키기 위한 영상 처리부(107)와, 오디오 처리부(106)로부터 출력되는 소리신호를 증폭시켜 스피커(103)로 출력하는 증폭기(108)를 구비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텔레비젼 수상기(100)는, 녹화 영상물 등의 각종 정보와 텔레비전 수상기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프로그램 및 OSD 화면에 포함된 메뉴항목을 편집하기 위한 실행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부(109); 및 소정의 메뉴항목이 포함된 OSD 화면을 스크린(102) 상에 출력시키고, 해당 OSD 화면에 포함된 메뉴항목을 소정 형태로 편집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저장부(109)에 저장된 편집용 실행프로그램을 실행시켜 해당 메뉴항목에 대한 편집을 수행하는 제어부(110)를 구비한다.
튜너(101)는 다수의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방송물을 수신하고, 수신한 채널들의 방송물 중에 제어부(110)가 출력을 지시하는 채널을 튜닝하되, 방송물의 복합영상신호를 이루는 아날로그 영상신호와 소리신호를 각각 A/D 컨버터(104)와 오디오 처리부(106)로 분리시켜 출력한다.
스크린(102)은 영상 처리부(107)에 의해 처린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고, 또한 영상이 출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영상 처리부(107)를 통해 OSD(On Screen Display) 정보나 PIP(Picture In Picture) 화면 또는 팝업(Pop Up) 화면이 전달되면 이를 영상이 출력되는 정화면의 일측면에 출력한다.
또한, 스크린(102)은 제어부를 통해 전달되는 소정의 메뉴항목, 예를 들면 채널, 영상, 음성, 시간 및 일반 등의 최상위 메뉴항목과 해당 매뉴항목에 링크된 소정의 하위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OSD 화면을 출력한다.
A/D 컨버터(104)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튜너(101)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샘플링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디지털 영상신호를 비디오 처리부(105)로 출력한다.
비디오 처리부(105)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A/D 컨버터(104)에 의해 변환된 디지털 영상신호를 스크린(102)에 적합한 신호로 변환하여 영상 처리부(407)로 출력한다.
오디오 처리부(106)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튜너(101)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스피커(103)에 적합한 전기적 음성신호로 변환시켜 증폭부(108)로 출력한다. 이때, 증폭부(108)에 의해 소정 크기로 증폭된 음성신호는 스피커(103)를 통해 외부로 출력된다.
영상 처리부(107)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튜너(101)를 통해 튜닝되는 채널의 영상신호를 정화면 또는 부화면으로 처리하여 스크린(102)상에 출력시킨다.
저장부(109)는 각종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매체로서, 램(RAM)이나 이이프롬(EEPROM) 등과 같은 메모리 소자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버(HDD : Hard Disc Driver)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저장부(109)에는 텔레비전 수상기를 구성하는 각 부분을 구동시키기 위한 각종 구동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109)는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소정의 실행프로그램, 보다 구 체적으로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OSD 화면에 포함된 소정의 메뉴항목에 대한 이동, 삭제, 환경설정 등을 실행시키기 위한 각종 실행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이때, 저장부(109)에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소정 형태로 편집된 메뉴항목이 포함된 OSD 화면을 저장한다.
제어부(110)는 리모컨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OSD 화면에 포함된 메뉴항목 또는 메뉴항목에 링크된 하위 메뉴항목에 대한 편집을 수행하는데, 이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OSD 화면에 포함된 각각의 메뉴항목과 해당 메뉴항목에 포함된 하위 메뉴항목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개별적으로 이동 및 삭제될 수 있는 독립된 형태의 아이콘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리모콘으로부터 입력된 메뉴키 신호에 따라 메뉴항목이 포함된 OSD 화면을 스크린상에 출력시킨 후, 제어부(110)는 OSD 화면에 포함된 메뉴항목에 대한 제어명령에 따라 해당 메뉴항목에 대한 편집을 수행하고, 편집된 메뉴항목이 포함된 OSD 화면을 스크린상에 출력시킨다.
즉, 사용자가 리모콘을 통해 OSD 화면에 포함된 소정의 메뉴항목을 선택한 후 OSD 화면의 소정 영역으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삭제시키기 위한 제어명령이 입력하면, 제어부(110)는 입력된 제어명령에 따라 선택된 메뉴항목을 OSD 화면상의 소정 위치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삭제하여 OSD 화면에 대한 편집을 수행한다.
이때, 사용자가 리모컨을 사용하여 선택된 메뉴항목에 설정된 등록정보, 예를 들면 컬러, 폰트, 비트맵 등의 등록정보를 재설정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입력하 면, 제어부는 입력된 제어명령에 따라 선택된 메뉴항목에 설정된 컬러, 폰트, 비트맵 등의 등록정보에 대한 재설정을 수행한다.
또한, 사용자가 리모콘을 통해 메뉴항목에 링크된 소정의 하위 메뉴항목을 선택한 후 상술한 바와 같은 제어명령을 입력하면, 제어부(110)는 입력된 제어명령에 따라 선택된 하위 메뉴항목을 OSD 화면상의 소정 위치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삭제한다.
이때, 사용자가 리모콘을 사용하여 선택된 메뉴항목에 링크된 하위 메뉴항목에 설정된 등록정보를 재설정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입력하면, 제어부(1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입력된 제어명령에 따라 선택된 메뉴항목에 링크된 하위 메뉴항목에 설정된 컬러, 폰트, 비트맵 등의 등록정보에 대한 재설정을 또한 수행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 및 기능을 갖는 본 발명의 텔레비젼 수상기가 소정의 메뉴항목이 포함된 OSD 화면을 편집하는 과정에 대해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전 수상기를 이용한 OSD 편집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전 수상기를 이용한 OSD 편집모드를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전 수상기를 이용한 OSD 화면에 포함된 메뉴항목의 편집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먼저, 텔레비전 수상기(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콘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OSD 화면을 편집하기 위한 OSD 편집모드를 설정한다(S100).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가 리모콘을 통해 메뉴키 를 선택하면(S101), 텔레비전 수상기(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메뉴항목, 예를 들면 채널, 영상, 음성, 시간, 일반 등의 메뉴항목이 포함된 OSD 화면(200)을 스크린(102) 상에 출력시킨다(S102).
이후, 텔레비전 수상기(102)는 리모콘으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OSD 화면(200)에 포함된 메뉴항목(201, 202,...20n)의 편집을 수행하기 위한 OSD 편집모드를 설정한다(S103).
여기서, OSD 화면(200)에 포함된 메뉴항목(201, 202,...20n)은 상술한 항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종류의 메뉴항목이 포함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는 점에 고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OSD 편집모드를 설정한 후, 텔레비전 수상기(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명령에 따라 OSD 화면(200)에 포함된 메뉴항목에 대한 편집을 수행한다(S200).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가 리모컨을 통해 OSD 화면(200)에 포함된 메뉴항목(201, 202,...20n)을 선택하여 소정의 제어명령을 입력하면(S201), 텔레비전 수상기(100)는 입력된 제어명령이 선택된 메뉴항목을 편집하기 위한 제어명령인지 또는 선택된 메뉴항목에 설정된 등록정보를 재설정하기 위한 제어명령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02).
단계(S202)의 판단 결과 선택된 메뉴항목에 설정된 컬러, 폰트, 비트맵 등의 등록정보를 재설정하기 위한 제어명령인 경우(S203), 텔레비전 수상기(100)는 입력된 제어명령에 따라 선택된 메뉴항목에 설정된 등록정보를 재설정한다(S204).
이때, 단계(S202)의 판단 결과 선택된 메뉴항목을 편집하기 위한 제어명령인 경우, 텔레비전 수상기(100)는 선택된 메뉴항목에 링크된 하위 메뉴항목에 대한 선택신호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05).
단계(S205)의 판단 결과 하위 메뉴항목에 대한 선택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상태에서 선택된 메뉴항목을 이동 또는 삭제시키기 위한 편집명령이 입력되면, 텔레비전 수상기(100)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된 편집명령에 따라 선택된 메뉴항목을 OSD 화면(200)의 소정 영역으로 이동 또는 삭제시킨다(S206).
여기서, 도 6a는 소정의 메뉴항목인 "영상" 메뉴가 사용자 명령에 따라 소정 영역으로 이동된 OSD의 편집화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b는 소정의 메뉴항목인 "영상" 메뉴가 사용자 명령에 따라 삭제된 OSD의 편집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때, 단계(S205)의 판단 결과 선택된 메뉴항목에 링크된 하위 메뉴항목에 대한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텔레비전 수상기(100)는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메뉴항목에 링크된 하위 메뉴항목을 스크린 상에 출력시킨다(S207).
상술한 바와 같이 하위 메뉴항목을 스크린 상에 출력시킨 상태에서 소정의 하위 메뉴항목에 대한 선택 및 제어명령이 입력되면(S208), 텔레비전 수상기(100)는 입력된 제어명령이 선택된 하위 메뉴항목을 편집하기 위한 제어명령인지 또는 설정된 등록정보를 재설정하기 위한 제어명령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09).
단계(S209)의 판단 결과 상기 제어명령이 선택된 하위 메뉴항목을 이동 또는 삭제시키기 위한 편집명령인 경우, 텔레비전 수상기(100)는 도 6d 및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된 편집명령에 따라 선택된 하위 메뉴항목을 OSD 화면(200)의 소 정 영역으로 이동 또는 삭제시킨다(S210).
여기서, 도 6d는 소정의 메뉴항목인 "영상" 메뉴에 링크된 하위 메뉴항목인 "밝기" 메뉴가 사용자 명령에 따라 소정 영역으로 이동된 OSD의 편집화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b는 소정의 메뉴항목인 "영상" 메뉴에 링크된 하위 메뉴항목인 "밝기" 메뉴가 사용자 명령에 따라 삭제된 OSD의 편집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때, 단계(S209)의 판단 결과 상기 제어명령이 선택된 하위 메뉴항목에 설정된 컬러, 폰트, 비트맵 등의 등록정보에 대한 재설정 명령인 경우, 텔레비전 수상기(100)는 입력된 재설정 명령에 따라 선택된 하위 메뉴항목에 설정된 등록정보를 재설정한다(S211).
상술한 바와 같이 OSD 화면(200)에 포함된 메뉴항목에 대한 편집 및 등록정보를 재설정 한 후, 텔레비전 수상기(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형태로 편집 및 등록정보가 재설정된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OSD 화면(200)을 스크린(102) 상에 출력시킨다.
즉, 텔레비전 수상기(100)는 리모콘을 통행 입력되는 제어명령에 따라 소정 형태로 편집된 메뉴항목이 포함된 OSD 화면(200)을 저장부(109)에 저장시킨 후, 리모콘을 통해 OSD 메뉴항목에 대한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소정 형태로 편집된 OSD 화면(200)을 스크린(102) 상에 출력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OSD 화면에 포함된 소정의 메뉴항목을 개별적으로 편집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에게 필요한 메뉴항목으로만 구성된 OSD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OSD 화면에 포함된 소정의 메뉴항목에 설정된 등록환경을 개별적으로 재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컬러, 폰트, 비트맵 등의 등록환경을 메뉴항목별로 설정할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2)

  1. 리모콘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소정의 메뉴항목이 포함된 OSD 화면을 편집하여 스크린상에 출력시키는 텔레비전 수상기에 있어서,
    상기 텔레비전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프로그램과 상기 OSD 화면에 포함된 메뉴항목을 편집하기 위한 실행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리모컨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OSD 화면을 스크린 상에 출력시키고, 상기 출력된 OSD 화면에 포함된 메뉴항목을 소정 형태로 편집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실행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상기 OSD 화면에 포함된 각각의 메뉴항목에 대한 편집을 수행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수상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OSD 화면에 포함된 메뉴항목을 소정 위치로 이동 또는 삭제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는 해당 메뉴항목을 상기 OSD 화면의 소정 위치로 이동 또는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수상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항목에 링크된 하위 메뉴항목을 소정 위치로 이동 또는 삭제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위 메뉴항목을 상기 OSD 화면 의 소정 위치로 이동 또는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수상기.
  4. 제 1 항에 있어,
    상기 OSD 화면에 포함된 메뉴항목에 설정된 등록정보를 재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는 해당 메뉴항목에 설정된 컬러, 폰트 또는 비트맵 등의 등록정보를 재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수상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OSD 화면에 포함된 메뉴항목에 링크된 하위 메뉴항목에 설정된 등록정보를 재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위 메뉴항목에 설정된 컬러, 폰트 또는 비트맵 등의 등록정보를 재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수상기.
  6. 제 1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OSD 화면에 포함된 메뉴항목은 사용자 명령에 따라 소정 위치로 이동 또는 삭제되는 독립된 형태의 아이콘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수상기.
  7. 리모콘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텔레비전 수상기가 OSD 화면에 포함된 메뉴항목을 편집하여 스크린상에 출력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텔레비전 수상기가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메뉴항목을 편집하기 위한 OSD 편집모드를 설정하는 제 1 단계;
    상기 OSD 편집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텔레비전 수상기가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OSD 화면에 포함된 소정의 메뉴항목에 대한 편집을 수행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메뉴항목에 대한 편집을 수행한 후, 상기 텔레비전 수상기가 편집된 메뉴항목이 포함된 OSD 화면을 스크린 상에 출력시키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수상기의 OSD 편집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OSD 화면에 포함된 소정의 메뉴항목에 설정된 등록정보를 재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텔레비전 수상기가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해당 메뉴항목에 설정된 등록정보를 재설정하는 제 4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수상기의 OSD 편집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사용자가 리모콘을 통해 메뉴키를 선택하면, 상기 텔레비전 수상기가 OSD 화면을 편집하기 위한 OSD 메뉴항목이 포함된 메뉴화면을 스크린상에 출력하는 제 1-1 단계; 및
    사용자가 상기 메뉴화면에 포함된 상기 OSD 메뉴항목을 선택하면, 상기 텔레비전 수상기가 소정의 메뉴항목이 포함된 OSD 화면을 스크린 상에 출력시켜 편집모드를 설정하는 제1-2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수상기의 OSD 편집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사용자가 OSD 화면에 포함된 메뉴항목을 선택하여 소정의 제어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텔레비전 수상기가 상기 제어명령이 해당 메뉴항목에 대한 편집명령인지 또는 하위 메뉴항목에 대한 선택명령인지를 판단하는 제 2-1 단계;
    상기 제 2-1 단계의 판단 결과 선택된 메뉴항목에 대한 편집명령인 경우, 상기 텔레비전 수상기가 해당 편집명령이 선택된 메뉴항목에 대한 이동명령인지 또는 삭제명령인지를 판단하는 제 2-2 단계;
    상기 제 2-2 단계의 판단 결과 선택된 메뉴항목에 대한 이동명령인 경우 , 상기 텔레비전 수상기가 선택된 메뉴항목을 상기 OSD 화면의 소정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 2-3 단계;
    상기 제 2-2 단계의 판단 결과 선택된 메뉴항목에 대한 삭제명령인 경우, 상기 텔레비전 수상기가 선택된 메뉴항목을 상기 OSD 화면에서 삭제시키는 제 2-4 단계;
    상기 제 2-2 단계의 판단 결과 선택된 메뉴항목에 링크된 하위 메뉴항목에 대한 선택명령인 경우, 상기 텔레비전 수상기가 선택된 메뉴항목에 링크된 하위 메 뉴항목을 스크린상에 출력시키는 제 2-5 단계;
    사용자가 해당 메뉴항목에 링크된 하위 메뉴항목을 선택하여 소정의 편집명령을 입력되면, 상기 텔레비전 수상기가 해당 편집명령이 선택된 하위 메뉴항목에 대한 이동명령인지 또는 삭제명령인지를 판단하는 제 2-6 단계;
    상기 제 2-6 단계의 판단 결과 선택된 하위 메뉴항목에 대한 이동명령인 경우, 상기 텔레비전 수상기가 선택된 하위 메뉴항목을 상기 OSD 화면의 소정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 2-7 단계; 및
    상기 제 2-6 단계의 판단 결과 선택된 하위 메뉴항목에 대한 삭제명령인 경우, 상기 텔레비전 수상기가 선택된 하위 메뉴항목을 상기 OSD 화면에서 삭제 시키는 제 2-8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수상기의 OSD 편집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는,
    사용자가 상기 OSD 화면에 포함된 메뉴항목을 선택하여 소정의 제어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텔레비전 수상기가 입력된 제어명령이 메뉴항목에 설정된 등록정보에 대한 재설정 명령인지 또는 링크된 하위 메뉴항목에 대한 선택명령인지를 판단하는 제 4-1 단계;
    상기 제 4-1 단계의 판단 결과 선택된 메뉴항목에 설정된 등록정보에 대한 재설정 명령인 경우, 상기 텔레비전 수상기가 해당 메뉴항목에 설정된 컬러, 폰트 또는 비트맵 등의 등록정보를 재설정하는 제 4-2 단계;
    상기 제 4-1 단계의 판단 결과 선택된 메뉴항목에 링크된 하위 메뉴항목에 대한 선택명령인 경우, 상기 텔레비전 수상기가 선택된 메뉴항목에 링크된 하위 메뉴항목을 스크린상에 출력시키는 제 4-3 단계; 및
    사용자가 해당 메뉴항목에 링크된 하위 메뉴항목을 선택하여 소정의 등록정보 재설정 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텔레비전 수상기가 선택된 하위 메뉴항목에 설정된 컬러, 폰트 또는 비트맵 등의 등록정보를 재설정하는 제 4-4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수상기의 OSD 편집 방법.
  12.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OSD 화면에 포함된 메뉴항목은 사용자 명령에 따라 소정 위치로 이동 또는 삭제되는 독립된 형태의 아이콘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수상기의 OSD 편집 방법.
KR1020050044395A 2005-05-26 2005-05-26 Osd 편집 기능을 갖는 텔레비전 수상기 및 이를 이용한osd 편집 방법 KR200601248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4395A KR20060124843A (ko) 2005-05-26 2005-05-26 Osd 편집 기능을 갖는 텔레비전 수상기 및 이를 이용한osd 편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4395A KR20060124843A (ko) 2005-05-26 2005-05-26 Osd 편집 기능을 갖는 텔레비전 수상기 및 이를 이용한osd 편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4843A true KR20060124843A (ko) 2006-12-06

Family

ID=37729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4395A KR20060124843A (ko) 2005-05-26 2005-05-26 Osd 편집 기능을 갖는 텔레비전 수상기 및 이를 이용한osd 편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2484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52656A (zh) * 2012-07-06 2012-10-24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数字电视用户自定义菜单的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52656A (zh) * 2012-07-06 2012-10-24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数字电视用户自定义菜单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77267B2 (en) Content output system,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content output apparatus, and content information display method
US20090089675A1 (en) Method for providing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video apparatus using the same
US9015462B2 (en) Display device and booting method thereof
EP2180697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widget
US2009005870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remote control,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US20050149973A1 (en) Television with application/stream-specifiable language selection
US20090083789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video inputs to a computer
KR100710304B1 (ko) 어플리케이션 검색 기능을 갖는 텔레비전 수상기 및 방법
KR100747858B1 (ko) 디스플레이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060124843A (ko) Osd 편집 기능을 갖는 텔레비전 수상기 및 이를 이용한osd 편집 방법
JP5182289B2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KR100869008B1 (ko) 디스플레이 기기 및 이의 제어 방법
US20060087593A1 (en) Direct channel entry for tuner and satellite or cable receiver both enabled from a menu offering visual feedback
KR20100028718A (ko) 외부 전자기기의 제어 기능을 갖는 dtv 및 그 방법
KR100720556B1 (ko) 녹화물에 채널번호 설정 기능을 갖는 텔레비전 수상기 및채널번호 설정 방법
JP4973737B2 (ja) 放送の表示装置,放送の表示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102394B1 (ko) 선호채널 저장을 위한 텔레비젼 수상기 및 방법
US20090031378A1 (en) Media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broadcast program
KR20060128179A (ko) 사용자의 선호채널 목록 및 프로그램 목록이 포함된시작화면을 제공하는 텔레비전 수상기 및 방법
JP2008066863A (ja) 映像記録装置
US10728632B2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EP2809066A1 (en)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JPH11112901A (ja) 対話インタフェースを備えた機器,及びそれに用いる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4456993B2 (ja) データ処理装置、その方法、そ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20060072033A (ko) 영상표시기기 및 타임 시프트 처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