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4522A - 방송 프로그램 저장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방송 프로그램 저장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4522A
KR20060124522A KR1020050052545A KR20050052545A KR20060124522A KR 20060124522 A KR20060124522 A KR 20060124522A KR 1020050052545 A KR1020050052545 A KR 1020050052545A KR 20050052545 A KR20050052545 A KR 20050052545A KR 20060124522 A KR20060124522 A KR 200601245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epg
audio
information
appl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2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4127B1 (ko
Inventor
안진용
배수강
강정민
김두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EP06768695A priority Critical patent/EP1886493B1/en
Priority to CN2006800033136A priority patent/CN101112089B/zh
Priority to PCT/KR2006/002067 priority patent/WO2006129949A1/en
Priority to US11/443,172 priority patent/US8091104B2/en
Publication of KR20060124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45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4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4127B1/ko
Priority to US13/292,936 priority patent/US8739211B2/en
Priority to US14/263,021 priority patent/US20140233922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7PVR [Personal Video Recor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7Table of contents
    • G11B27/329Table of contents on a disc [VTO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04N21/4307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 H04N21/43074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of additional data with content streams on the same device, e.g. of EPG data or interactive icon with a TV progr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7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rolling playback functions for recorded or on-demand content, e.g. using progress bars, mode or play-point indicators or bookma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20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1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disks or dr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07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static stores, e.g. storage tubes or semiconductor 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송 프로그램 저장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방송 프로그램 저장 장치는, 입력 받은 방송 프로그램 전송 스트림의 오디오/비디오 신호, 어플리케이션 정보 및 EPG 정보를 각각 소정 방식으로 처리하여 오디오/비디오 파일, 어플리케이션 파일 및 EPG 파일을 생성하는 신호 처리부와, 오디오/비디오 파일, 어플리케이션 파일 및 EPG 파일을 입력 받아 상기 오디오/비디오 파일과 어플리케이션 파일에 대한 각각의 저장 정보를 설정하고, 설정된 각각의 저장 정보가 포함되도록 EPG 파일을 변환하는 동기화부 및 오디오/비디오 파일, 어플리케이션 파일 및 변환된 EPG 파일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여, 실제 방송 프로그램에서 제공하였던 서비스를 모두 이용할 수 있고 저장 용량을 줄이며 기 저장된 다른 방송 프로그램과의 활용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방송 프로그램 저장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restoring of broadcasting program}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프로그램 저장 장치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프로그램 저장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2의 단계S200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3의 단계S220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3의 단계S240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3의 단계S260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프로그램 저장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방송 프로그램 저장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디오/비디오 신호와 함께 수신되는 EPG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활용하 여 방송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하드 디스크와 같은 대용량의 기록매체가 구비된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가 개발 출시되어 상용화되고 있는데,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에서는 사용자가 선택 지정하는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하드 디스크에 기록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는 디지털 방송이 본격화와 함께 종래의 VCR(Video Cassette Recoder) 제품을 급속히 대체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등에서의 방송 프로그램 저장 방식은 단지 EPG 정보만을 이용한 오디오/비디오 신호만을 저장할 수 있고, 방송 프로그램에 오디오/비디오 신호에 연관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가 있는 경우에도 오디오/비디오 신호만 저장되기 때문에 방송에서 제공하는 모든 서비스를 시청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입력되는 방송 프로그램 신호 전체를 저장하는 방식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불필요한 오디오/비디오 신호와 이에 해당하는 EPG 정보를 저장하게 되고 또한 중복하여 전송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모두 저장하게 되는 바 저장 용량에 대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송 스트림 형태로 전송되는 방송 프로그램 신호 전체를 저장하는 방식은 기 저장된 다른 콘텐츠와 연계하는 경우 오디오/비디오 신호, 어플리케이션 정보 및 EPG 정보를 분리하고 이를 재구성하여야 하는 바 불필요한 추가처리가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디지털 방송 수신 환경하에서 방송 프로그램 신호에 포함된 오디오/비디오 신호, 어플리케이션 정보 및 EPG 정보를 상호 연관시켜 저장되도록 하는 방송 프로그램 저장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디지털 방송 수신 환경하에서 방송 프로그램 신호에 포함된 오디오/비디오 신호, 어플리케이션 정보 및 EPG 정보를 각각 소정 방식으로 신호 처리한 후 파일 형태로 저장되도록 하는 방송 프로그램 저장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송 프로그램 저장 장치는, 입력 받은 방송 프로그램 전송 스트림의 오디오/비디오 신호, 어플리케이션 정보 및 EPG 정보를 각각 소정 방식으로 처리하여 오디오/비디오 파일, 어플리케이션 파일 및 EPG 파일로 생성하는 신호 처리부; 상기 오디오/비디오 파일, 어플리케이션 파일 및 EPG 파일을 입력 받아 상기 오디오/비디오 파일과 어플리케이션 파일에 대한 각각의 저장 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각각의 저장 정보가 포함되도록 상기 EPG 파일을 변환하는 동기화부; 및 상기 오디오/비디오 파일, 어플리케이션 파일 및 변환된 EPG 파일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가진다.
또한,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송 프로그램 저장 장치는, 입력 받은 방송 프로그램 전송 스트림의 오디오/비디오 신호, 어플리케이션 정보 및 EPG 정보를 각각 처리하여 오디오/비디오 파일, 어플리케이션 파일 및 EPG 파일을 생성하는 신호 처리부; 상기 신호 처리부로부터 입력 받은 오디오/비디오 파일, 어플리케이션 파일 및 EPG 파일을 상호 연관시켜 동기화시키는 동기화 파일을 생성하는 동기화부; 및 상기 오디오/비디오 파일, 어플리케이션 파일, EPG 파일 및 동기화 파일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가진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송 프로그램 저장 방법은, (a) 입력 받은 방송 프로그램 전송 스트림의 오디오/비디오 신호, 어플리케이션 정보 및 EPG 정보를 각각 소정 방식으로 처리하여 오디오/비디오 파일, 어플리케이션 파일 및 EPG 파일로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오디오/비디오 파일, 어플리케이션 파일 및 EPG 파일을 입력 받아 상기 오디오/비디오 파일과 어플리케이션 파일에 대한 각각의 저장 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각각의 저장 정보가 포함되도록 상기 EPG 파일을 변환하는 단계; 및 (c) 상기 오디오/비디오 파일, 어플리케이션 파일 및 변환된 EPG 파일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가진다.
또한,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송 프로그램 저장 방법은, (a) 입력 받은 방송 프로그램 전송 스트림의 오디오/비디오 신호, 어플리케이션 정보 및 EPG 정보를 각각 처리하여 오디오/비디오 파일, 어플리케이션 파일 및 EPG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에서 입력 받은 오디오/비디오 파일, 어플리케이션 파일 및 EPG 파일을 상호 연관시켜 동기화시키는 동기화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오디오/비디오 파일, 어플리케이션 파일, EPG 파일 및 상기 (b)단계에서 생성된 동기화 파일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가진다.
그리고, 상기 기재된 방송 프로그램 저장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 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가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송 프로그램 저장 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프로그램 저장 장치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살펴보면, 방송 프로그램 저장 장치는 튜너 및 복조부(100), 디멀티플렉서(110), 신호 처리부(120), 동기화부(130), 저장부(14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신호 처리부(120)는 오디오/비디오(AV) 신호 처리부(122), 어플리케이션 정보 처리부(124), EPG 정보 처리부(1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방송 프로그램 저장 장치로 수신되는 전송 스트림은 방송 프로그램 규격에 따라 인코딩된 방송 프로그램 전송 스트림이다. 방송 프로그램 전송 스트림은 한 채널대역에 여러 방송국에서 생성하는 전송 스트림을 멀티플렉싱하여 수신된다.
여기에서, 방송 프로그램 전송 스트림은 실제 방송국 등에서 제작되어 제공되는 오디오/비디오 신호, 상기 오디오/비디오 신호와 연관되어 사용자에게 각종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응용 프로그램인 어플리케이션 정보 및 사용자가 쉽게 방송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EPG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어플리케이션 정보와 EPG 정보는 방송 프로그램 전송 스트림 중에서 데이터 스트림 소정 위치에 포함되어 있다.
튜너 및 복조부(100)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안테나(ANT)를 통해 수신 되는 방송 프로그램 전송 스트림을 입력 받아 복조한 후 디멀티플렉서(110)로 전송한다.
디멀티플렉서(110)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상기 튜너 및 복조부(100)로부터 입력 받은 복조된 방송 프로그램 전송 스트림을 오디오/비디오 신호, 어플리케이션 정보 및 EPG 정보로 분리하여 각각 신호 처리부(120)의 오디오/비디오 신호 처리부(122), 어플리케이션 정보 처리부(124) 및 EPG 정보 처리부(126)로 전송한다.
오디오/비디오 신호 처리부(122)는 디멀티플렉서(110)를 통하여 입력되는 분리된 전송 스트림 형태의 오디오/비디오 신호를 패키지로 이루어진 오디오/비디오 파일이 되도록 처리한다.
오디오/비디오 신호 처리부(122)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 전송 스트림의 오디오/비디오 신호중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사용자가 저장되지 않도록 설정한 오디오/비디오 신호를 삭제하고, 삭제되지 않은 오디오/비디오 신호만을 패키지로 이루어진 오디오/비디오 파일을 생성한다. 여기에서, 오디오/비디오 파일을 생성한다는 것은 방송 프로그램 규격으로 매핑되어 있는 전송 스트림 형태의 오디오 신호와 비디오 신호를 일반적인 파일 포맷 형태의 오디오/비디오 파일로 생성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오디오/비디오 신호 처리부(122)와 관련되어 상기에서는 사용자가 저장되지 않도록 설정한 오디오/비디오 신호를 삭제하고, 삭제되지 않은 오디오/비디오 신호만을 패키지로 이루어진 오디오/비디오 파일로 생성한다고 설명하였으나,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저장되도록 설정한 오디오/비디오 신호만을 패키지로 이루어진 오디오/비디오 파일로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정보 처리부(124)는 디멀티플렉서(110)를 통하여 입력되는 분리된 전송 스트림 형태의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파일 형태의 패키지로 이루어진 어플리케이션 파일이 되도록 처리한다. 여기에서, 어플리케이션 파일을 생성한다는 것은 방송 프로그램 규격으로 매핑되어 있는 전송 스트림 형태의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일반적인 파일 포맷 형태의 어플리케이션 파일로 생성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어플리케이션 정보 처리부(124)에서는 방송 프로그램 전송 스트림의 어플리케이션 정보중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어플리케이션 정보만을 어플리케이션 파일로 생성되도록 한다.
방송 프로그램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 정보는 일반적으로 반복적으로 전송되는데, 이는 사용자가 방송 프로그램을 언제 시청 또는 저장(녹화)할 지 예측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어플리케이션 정보 처리부(124)에서는 디멀티플렉서(110)를 통하여 입력되는 분리된 전송 스트림 형태의 어플리케이션 정보중에서 중복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대하여는 이를 삭제하도록 처리한다. 중복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삭제하는 이유는 불필요한 정보가 저장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중복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삭제함으로써 저장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고 또한 불필요한 동작이 반복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방지하여 속도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EPG 정보 처리부(126)는 디멀티플렉서(110)를 통하여 입력되는 분리된 전송 스트림 형태의 EPG 정보를 파일 형태의 패키지로 이루어진 EPG 파일이 되도록 처리한다. 여기에서, EPG 파일을 생성한다는 것은 방송 프로그램 규격으로 매핑되어 있는 전송 스트림 형태의 EPG 정보를 일반적인 파일 포맷 형태의 EPG 파일로 생성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전송 스트림 형태의 EPG 정보를 파일 형태의 패키지로 이루어진 EPG 파일이 되도록 처리함에 있어 EPG 정보를 XML 형태의 파일 또는 메타데이터 형태의 파일(MPV 표준)이 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EPG 정보 처리부(126)는 디멀티플렉서(110)를 통하여 입력되는 전송 스트림 형태의 EPG 정보중에서 필요한 EPG 정보는 남기고, 불필요한 EPG 정보는 삭제하며 새롭게 추가할 정보가 있는 경우에는 소정 위치에 상기 추가 정보가 삽입되도록 처리한다.
그리고, EPG 정보 처리부(126)는 방송 프로그램 전송 스트림의 EPG 정보중에서 시간 정보와 관련된 부분에 시간 정보를 무효화 시키는 무효화 플래그가 삽입되도록 처리한다. 여기에서, EPG 정보중에서 시간 정보와 관련된 부분에 무효화 플래그를 삽입한다는 것은 방송 프로그램 신호를 저장하고 나중에 이를 시청하는 경우 시간과 연관되어 사용자에게 오해를 일으킬 소지가 있는 부분에 대하여 EPG 정보 소정 위치에 무효화 플래그를 삽입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불필요한 EPG 정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사용자가 저장되어지지 않도록 설정된 오디오/비디오 신호와 연관되는 EPG 정보를 말한다. 저장되어지지 않도록 설정된 오디오/비디오 신호는 입력되는 방송 프로그램 전송 스트림의 오디오/비디오 신호중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사용자 로부터 불필요한 오디오/비디오 신호라고 설정되어 오디오/비디오 신호 처리부(122)에서 삭제된 오디오/비디오 신호를 말한다.
상기에서 불필요한 EPG 정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불필요한 오디오/비디오 신호라고 설정되는 것을 예로 들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EPG 정보 처리부(126)에 기 설정된 방식에 따라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EPG 정보를 예로 들 수 있다.
그리고, 추가할 정보와 관련되어서는 저장 일시, 저장 장치에 대한 정보 및 방송 프로그램 사용자 부가서술 정보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추가할 정보로 저장 일시와 관련되어서는, 제어부(160)와 접속된 타이머(170)로부터 입력되는 시간정보를 통하여 저장 일시가 EPG 정보 소정 위치에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추가할 정보로 저장 장치에 대한 정보와 관련되어서는, 저장부(140)에 기 저장되어 있는 방송 프로그램 저장 장치에 대한 정보가 EPG 정보 소정 위치에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추가할 정보로 방송 프로그램 사용자 부가서술 정보와 관련되어서는,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사용자 부가서술 정보가 EPG 정보 소정 위치에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EPG 정보의 소정 위치는 EPG 정보 중에서 불필요한 EPG 정보로 판단되어 삭제된 위치로 함이 바람직 할 것이다.
동기화부(130)는 신호 처리부(120)의 오디오/비디오 신호 처리부(122), 어플 리케이션 정보 처리부(124), EPG 정보 처리부(126)로부터 각각 소정 방식으로 신호 처리된 오디오/비디오 파일, 어플리케이션 파일 및 EPG 파일을 입력받는다. 그리고, 동기화부(130)는 입력 받은 오디오/비디오 파일, 어플리케이션 파일 및 EPG 파일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이를 동기화하도록 한다.
첫 번째 방식으로는, 동기화부(130)는 입력 받은 오디오/비디오 파일, 어플리케이션 파일 및 EPG 파일이 상호 연관되도록 동기화시키는 별도의 동기화 파일을 생성한다. 여기에서, 동기화 파일은 오디오/비디오 파일, 어플리케이션 파일 및 EPG 파일이 저장될 디렉토리 및/또는 파일명을 상호 연관시킨 XML 파일 또는 메타데이터 파일로 이루어진다.
두 번째 방식으로는, 동기화부(130)는 오디오/비디오 파일, 어플리케이션 파일 및 EPG 파일을 입력 받아 오디오/비디오 파일과 어플리케이션 파일에 대한 각각의 저장 정보를 설정하고, EPG 파일에 오디오/비디오 파일과 어플리케이션 파일에 대한 각각의 저장 정보가 포함되도록 변환한다. 여기에서, 오디오/비디오 파일과 어플리케이션 파일에 대한 저장 정보는 저장부(140)에 저장되어질 디렉토리 위치에 대한 정보 및/또는 파일명에 대한 정보이다.
상기에서는 동기화부(130)에서 두 가지 방식에 대하여 살펴보았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저장부(140)는 MPEG 메모리, 하드디스크(HDD), EEPROM, RAM, ROM 과 같은 저장매체를 통칭하여 말한다.
저장부(140)는 동기화부(130)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비디오 파일, 어플리케 이션 파일, EPG 파일 및 동기화 파일을 저장한다.
또는, 저장부(140)는 동기화부(130)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비디오 파일, 어플리케이션 파일 및 오디오/비디오 파일과 어플리케이션 파일에 대한 각각의 저장 정보가 포함되도록 변환된 EPG 정보를 입력 받아 이를 저장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는 제어부(160)와 연결되어 방송 프로그램 저장 장치를 제어하는 명령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는 키패드(152) 또는 IR 리모트(156)로부터 입력되는 명령에 따르는 IR 수신부(154)를 통하여 구성할 수 있다. IR 리모트(156)는 에어 마우스(mouse)와 같은 무선 마우스나 리모콘(REMOCN: Remote Controller)이 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프로그램 저장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살펴보면, 먼저, 입력 받은 방송 프로그램 전송 스트림에 포함되어 있는 전송 스트림 형태의 오디오/비디오 신호, 어플리케이션 정보 및 EPG 정보를 소정 방식으로 처리하여 파일 형태의 오디오/비디오 파일, 어플리케이션 파일 및 EPG 파일로 생성한다(S200). 여기에서, 단계S200과 관련되어서는 도 3에서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다음으로, 오디오/비디오 파일과 어플리케이션 파일에 대한 각각의 저장 정보를 설정한다(S300). 여기에서, 오디오/비디오 파일과 어플리케이션 파일에 대한 각각의 저장 정보는 저장되어질 디렉토리 위치에 대한 정보 및/또는 파일명에 대한 정보이다.
다음으로, 상기 단계S200에서 입력 받은 EPG 파일에 상기 단계S300에서 오디오/비디오 파일과 어플리케이션 파일에 대한 각각의 저장 정보가 포함되도록 상기 EPG 파일을 변환한다(S400).
다음으로, 오디오/비디오 파일, 어플리케이션 파일 및 오디오/비디오 파일과 어플리케이션 파일에 대한 각각의 저장 정보가 포함되도록 변환된 EPG 정보를 입력 받아 이를 저장한다(S500).
도 2에서 미 설명된 부분은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도 2의 단계S200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을 살펴보면, 입력 받은 방송 프로그램 전송 스트림의 오디오/비디오 신호를 소정 방식으로 처리하여 오디오/비디오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S220), 입력 받은 방송 프로그램 전송 스트림의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소정 방식으로 처리하여 오디오/비디오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S240) 및 입력 받은 방송 프로그램 전송 스트림의 EPG 정보를 소정 방식으로 처리하여 EPG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S260)로 이루어진다.
상기 단계S220에 대하여는 도 4에서, 단계S240에 대하여는 도 5에서 및 단계S260에 대하여는 도 6에서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도 3의 단계S220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를 살펴보면, 먼저, 오디오/비디오 신호 처리단계(S220)와 관련되어 입력 받은 방송 프로그램 전송 스트림의 오디오/비디오 신호 중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사용자가 저장되지 않도록 설정한 오디오/비디오 신호를 삭제하고, 삭제되지 않은 오디오/비디오 신호만을 선택한다(S222).
다음으로, 단계S222에서 삭제되지 않고 선택된 전송 스트림 형태의 오디오/비디오 신호만을 파일 형태의 패키지로 이루어진 오디오/비디오 파일로 생성한다(S224). 여기에서, 오디오/비디오 파일을 생성한다는 것은 방송 프로그램 규격으로 매핑되어 있는 전송 스트림 형태의 오디오 신호와 비디오 신호를 일반적인 파일 포맷 형태의 오디오/비디오 파일로 생성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에서는 사용자가 저장되지 않도록 설정한 오디오/비디오 신호를 삭제하고, 삭제되지 않은 오디오/비디오 신호만을 패키지로 이루어진 오디오/비디오 파일로 생성한다고 설명하였으나, 다른 일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저장되도록 설정한 오디오/비디오 신호만을 패키지로 이루어진 오디오/비디오 파일로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단계S222 및 단계S224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단계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고, 상기 단계중 일부 단계만을 수행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도 4에서 미 설명된 부분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5는 도 3의 단계S240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를 살펴보면, 먼저, 어플리케이션 정보 처리단계(S240)와 관련되어 입력 받은 방송 프로그램 전송 스트림의 어플리케이션 정보중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어플리케이션 정보만을 선택하게 된다(S242).
다음으로, 단계S242에서 중복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삭제한다(S244). 방송 프로그램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 정보는 일반적으로 반복적으로 전 송되는데, 이는 사용자가 방송 프로그램을 언제 시청 또는 저장(녹화)할 지 예측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단계S244에서는 전송 스트림 형태의 어플리케이션 정보중에서 중복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대하여는 이를 삭제하도록 처리한다.
다음으로, 단계S244에서 삭제되지 않은 전송 스트림 형태의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파일 형태의 패키지로 이루어진 어플리케이션 파일로 생성한다(S246). 여기에서, 어플리케이션 파일을 생성한다는 것은 방송 프로그램 규격으로 매핑되어 있는 전송 스트림 형태의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일반적인 파일 포맷 형태의 어플리케이션 파일로 생성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에서는 사용자가 설정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선택하고,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정보만을 패키지로 이루어진 오디오/비디오 파일로 생성한다고 설명하였으나, 다른 일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저장되지 않도록 설정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삭제하고, 삭제되지 않은 어플리케이션 정보만을 패키지로 이루어진 어플리케이션 파일로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단계S242, 단계S244 및 단계S246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단계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고, 상기 단계중에서 일부 단계만을 수행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도 5에서 미 설명된 부분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6은 도 3의 단계S260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을 살펴보면, 먼저, 도 3의 EPG 정보 처리단계(S260)와 관련되어 입력 받은 방송 프로그램 전송 스트림의 EPG 정보중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사용자가 저장되지 않 도록 설정된 오디오/비디오 신호에 해당하는 EPG 정보를 삭제한다(S262).
다음으로, 입력 받은 방송 프로그램 전송 스트림의 EPG 정보중에서 시간 정보와 관련된 부분에 무효화 플래그를 삽입한다(S264). 여기에서, EPG 정보중에서 시간 정보와 관련된 부분에 무효화 플래그를 삽입한다는 것은 방송 프로그램 신호를 저장하고 나중에 이를 시청하는 경우 시간과 연관되어 사용자 오해를 일으킬 소지가 있는 부분에 대하여 EPG 정보 소정 위치에 무효화 플래그를 삽입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EPG 정보에 추가 정보가 삽입되도록 한다(S266). 추가할 정보와 관련되어서는 저장 일시, 저장 장치에 대한 정보 및 방송 프로그램 사용자 부가서술 정보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다음으로, 전송 스트림 형태의 EPG 정보를 파일 형태의 패키지로 이루어진 EPG 파일로 생성한다(S268). 여기에서, EPG 파일로 생성한다는 것은 방송 프로그램 규격으로 매핑되어 있는 전송 스트림 형태의 EPG 정보를 일반적인 파일 포맷 형태의 EPG 파일로 생성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에서 단계S262, 단계S264, 단계S266 및 단계S268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단계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고, 상기 단계중에서 일부 단계만을 수행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특히, 단계S266과 단계S268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즉, 단계S264를 진행한 이후에 단계S268을 진행하고 그 다음에 새로운 추가 정보에 대하여 단계S268에서 생성된 EPG 파일에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에서 미 설명된 부분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프로그램 저장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살펴보면, 먼저, 입력 받은 방송 프로그램 전송 스트림의 오디오/비디오 신호, 어플리케이션 정보 및 EPG 정보를 각각 소정 방식으로 처리하여 오디오/비디오 파일, 어플리케이션 파일 및 EPG 파일을 생성한다(S700). 여기에서, 단계S700과 관련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도 2내지 도 6을 참조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단계S700에서 입력 받은 오디오/비디오 파일, 어플리케이션 파일 및 EPG 파일을 상호 연관시켜 동기화시키는 별도의 동기화 파일을 생성한다(S720). 여기에서, 동기화 파일은 오디오/비디오 파일, 어플리케이션 파일 및 EPG 파일이 저장될 디렉토리 및/또는 파일명을 상호 연관시킨 XML 파일 또는 메타데이터 파일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상기 오디오/비디오 파일, 어플리케이션 파일, EPG 파일 및 단계S720에서 생성된 동기화 파일을 저장한다(S740).
도 7에서 미 설명된 부분은 도 2내지 도 6을 참조하기로 한다.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_ROM, 자기테이프, 플로피디스크 및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송 프로그램 저장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방송 프로그램에 오디오/비디오 신호에 연관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가 있는 경우 이를 함께 저장함으로써 사용자가 저장되어 있는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경우에도 실제 방송 프로그램에서 제공하였던 모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실제 방송 프로그램에서 제공하였던 모든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입력되는 방송 프로그램 신호 전체를 저장하는 방식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불필요한 오디오/비디오 신호와 이에 해당하는 EPG 정보 및 중복 전송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삭제하고 저장하는 바 저장 용량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입력되는 방송 프로그램 신호를 저장함에 있어 XML 형태의 파일 또는 메타데이터 형태의 파일로 저장함으로써 사용자로부터 저장된 방송 프로그램을 앨범등의 형식으로 다른 콘텐츠와 연계하는 것이 용이해지고, 저장된 방송 프로그램 신호를 시청시 오디오/비디오 파일, 어플리케이션 파일 및 EPG 파일을 분리하고 이를 재구성해야 하는 추가적인 처리과정이 불필요하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1)

  1. 입력 받은 방송 프로그램 전송 스트림의 오디오/비디오 신호, 어플리케이션 정보 및 EPG 정보를 각각 소정 방식으로 처리하여 오디오/비디오 파일, 어플리케이션 파일 및 EPG 파일로 생성하는 신호 처리부;
    상기 오디오/비디오 파일, 어플리케이션 파일 및 EPG 파일을 입력 받아 상기 오디오/비디오 파일과 어플리케이션 파일에 대한 각각의 저장 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각각의 저장 정보가 포함되도록 상기 EPG 파일을 변환하는 동기화부; 및
    상기 오디오/비디오 파일, 어플리케이션 파일 및 변환된 EPG 파일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프로그램 저장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부에서 상기 오디오/비디오 파일과 어플리케이션 파일에 대한 각각의 저장 정보는 저장되어질 디렉토리 위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프로그램 저장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부에서 상기 오디오/비디오 파일과 어플리케이션 파일에 대한 각각의 저장 정보는 저장되어질 디렉토리 위치 정보와 파일명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프로그램 저장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EPG 파일은 상기 EPG 정보를 XML 파일로 변환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프로그램 저장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EPG 파일은 상기 EPG 정보를 메타데이터 파일로 변환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프로그램 저장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 전송 스트림의 오디오/비디오 신호를 소정 방식으로 처리하여 상기 오디오/비디오 파일을 생성하는 오디오/비디오 신호 처리부;
    상기 방송 프로그램 전송 스트림의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소정 방식으로 처리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파일을 생성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 처리부; 및
    상기 방송 프로그램 전송 스트림의 EPG 정보를 소정 방식으로 처리하여 상기 EPG 파일을 생성하는 EPG 정보 처리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프로그램 저장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비디오 신호 처리부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 전송 스트림의 오디 오/비디오 신호중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저장되지 않도록 설정된 오디오/비디오 신호가 삭제되도록 처리한 후 상기 오디오/비디오 파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프로그램 저장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 처리부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 전송 스트림의 어플리케이션 정보 중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설정된 어플리케이션 정보만이 선택되도록 처리한 후 상기 어플리케이션 파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프로그램 저장 장치.
  9. 제 6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 처리부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 전송 스트림의 어플리케이션 정보 중에서 중복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는 삭제되도록 처리한 후 상기 어플리케이션 파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프로그램 저장 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EPG 정보 처리부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 전송 스트림의 EPG 정보중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저장되지 않도록 설정된 오디오/비디오 신호에 해당하는 EPG 정보가 삭제되도록 처리한 후 상기 EPG 파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프로그램 저장 장치.
  11. 제 6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EPG 정보 처리부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 전송 스트림의 EPG 정보중에서 시간 정보와 관련된 부분에 상기 시간 정보를 무효화 시키는 무효화 플래그가 삽입되도록 처리한 후 상기 EPG 파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프로그램 저장 장치.
  12. 제 6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EPG 정보 처리부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 전송 스트림의 EPG 정보에 대한 추가 정보가 삽입되도록 처리한 후 상기 EPG 파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프로그램 저장 장치.
  13. 입력 받은 방송 프로그램 전송 스트림의 오디오/비디오 신호, 어플리케이션 정보 및 EPG 정보를 각각 처리하여 오디오/비디오 파일, 어플리케이션 파일 및 EPG 파일을 생성하는 신호 처리부;
    상기 신호 처리부로부터 입력 받은 오디오/비디오 파일, 어플리케이션 파일 및 EPG 파일을 상호 연관시켜 동기화시키는 동기화 파일을 생성하는 동기화부; 및
    상기 오디오/비디오 파일, 어플리케이션 파일, EPG 파일 및 동기화 파일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프로그램 저장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파일은 상기 오디오/비디오 파일, 어플리케이션 파일 및 EPG 파일을 상호 연관시켜 동기화시키는 XML 파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프로그램 저장 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파일은 상기 오디오/비디오 파일, 어플리케이션 파일 및 EPG 파일을 상호 연관시켜 동기화시키는 메타데이터 파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프로그램 저장 장치.
  16. (a) 입력 받은 방송 프로그램 전송 스트림의 오디오/비디오 신호, 어플리케이션 정보 및 EPG 정보를 각각 소정 방식으로 처리하여 오디오/비디오 파일, 어플리케이션 파일 및 EPG 파일로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오디오/비디오 파일, 어플리케이션 파일 및 EPG 파일을 입력 받아 상기 오디오/비디오 파일과 어플리케이션 파일에 대한 각각의 저장 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각각의 저장 정보가 포함되도록 상기 EPG 파일을 변환하는 단계; 및
    (c) 상기 오디오/비디오 파일, 어플리케이션 파일 및 변환된 EPG 파일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프로그램 저장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상기 오디오/비디오 파일과 어플리케이션 파일에 대한 각각의 저장 정보는 저장되어질 디렉토리 위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프로그램 저장 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상기 오디오/비디오 파일과 어플리케이션 파일에 대한 각각의 저장 정보는 저장되어질 디렉토리 위치 정보와 파일명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프로그램 저장 방법.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EPG 파일은 상기 EPG 정보를 XML 파일로 변환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프로그램 저장 방법.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EPG 파일은 상기 EPG 정보를 메타데이터 파일로 변환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프로그램 저장 방법.
  21.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a1) 상기 방송 프로그램 전송 스트림의 오디오/비디오 신호를 소정 방식으 로 처리하여 상기 오디오/비디오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a2) 상기 방송 프로그램 전송 스트림의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소정 방식으로 처리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및
    (a3) 상기 방송 프로그램 전송 스트림의 EPG 정보를 소정 방식으로 처리하여 상기 EPG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프로그램 저장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a1)단계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 전송 스트림의 오디오/비디오 신호중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저장되지 않도록 설정된 오디오/비디오 신호가 삭제되도록 처리한 후 상기 오디오/비디오 파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프로그램 저장 방법.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a1)단계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 전송 스트림의 어플리케이션 정보 중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설정된 어플리케이션 정보만이 선택되도록 처리한 후 상기 어플리케이션 파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프로그램 저장 방법.
  24. 제 21 항 또는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a2)단계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 전송 스트림의 어플리케이션 정보 중에서 중복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는 삭제되도록 처리한 후 상기 어플리케이션 파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프로그램 저장 방법.
  25.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a3)단계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 전송 스트림의 EPG 정보중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저장되지 않도록 설정된 오디오/비디오 신호에 해당하는 EPG 정보가 삭제되도록 처리한 후 상기 EPG 파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프로그램 저장 방법.
  26. 제 21 항 또는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a3)단계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 전송 스트림의 EPG 정보중에서 시간 정보와 관련된 부분에 상기 시간 정보를 무효화 시키는 무효화 플래그가 삽입되도록 처리한 후 상기 EPG 파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프로그램 저장 방법.
  27. 제 21 항 또는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a3)단계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 전송 스트림의 EPG 정보에 추가 정보가 삽입되도록 처리한 후 상기 EPG 파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프로그램 저장 방법.
  28. (a) 입력 받은 방송 프로그램 전송 스트림의 오디오/비디오 신호, 어플리케이션 정보 및 EPG 정보를 각각 처리하여 오디오/비디오 파일, 어플리케이션 파일 및 EPG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에서 입력 받은 오디오/비디오 파일, 어플리케이션 파일 및 EPG 파일을 상호 연관시켜 동기화시키는 동기화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오디오/비디오 파일, 어플리케이션 파일, EPG 파일 및 상기 (b)단계에서 생성된 동기화 파일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프로그램 저장 방법.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파일은 상기 오디오/비디오 파일, 어플리케이션 파일 및 EPG 파일을 상호 연관시켜 동기화시키는 XML 파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프로그램 저장 방법.
  30.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파일은 상기 오디오/비디오 파일, 어플리케이션 파일 및 EPG 파일을 상호 연관시켜 동기화시키는 메타데이터 파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프로그램 저장 방법.
  31. 제 16 항 내지 제 3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50052545A 2005-05-31 2005-06-17 방송 프로그램 저장 방법 및 장치 KR1006941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6768695A EP1886493B1 (en) 2005-05-31 2006-05-30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broadcast program
CN2006800033136A CN101112089B (zh) 2005-05-31 2006-05-30 用于存储广播节目的方法和设备
PCT/KR2006/002067 WO2006129949A1 (en) 2005-05-31 2006-05-30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broadcast program
US11/443,172 US8091104B2 (en) 2005-05-31 2006-05-31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broadcast program
US13/292,936 US8739211B2 (en) 2005-05-31 2011-11-09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broadcast program
US14/263,021 US20140233922A1 (en) 2005-05-31 2014-04-28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broadcast progra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8541305P 2005-05-31 2005-05-31
US60/685,413 2005-05-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4522A true KR20060124522A (ko) 2006-12-05
KR100694127B1 KR100694127B1 (ko) 2007-03-12

Family

ID=37729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2545A KR100694127B1 (ko) 2005-05-31 2005-06-17 방송 프로그램 저장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3) US8091104B2 (ko)
KR (1) KR100694127B1 (ko)
CN (1) CN101112089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7350B1 (ko) * 2009-06-24 2011-07-07 (주)엠케스트비젼 Pdr 미들웨어의 pdr 기능 지원 및 pdr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US8619763B2 (en) 2006-08-07 2013-12-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and reproducing interactive service of digital broadcas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I2022108T1 (sl) * 2006-05-01 2009-10-31 Univ Wake Forest Organske optoelektronske naprave in uporabe le-teh
JP4501086B2 (ja) * 2007-12-10 2010-07-14 ソニー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20304224A1 (en) * 2011-05-25 2012-11-29 Steven Keith Hines Mechanism for Embedding Metadata in Video and Broadcast Television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39528B2 (en) * 1995-04-17 2013-09-17 Starsight Telecast, Inc. Multi-source switching in a television system
US6025837A (en) * 1996-03-29 2000-02-15 Micrsoft Corporation Electronic program guide with hyperlinks to target resources
JPH10210378A (ja) * 1997-01-17 1998-08-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番組ガイドシステム
US5963264A (en) * 1997-10-30 1999-10-05 Echostar Engineering Corporation Selecting a digital television program and the control of a non-attached recording device
US6483548B1 (en) 1998-12-28 2002-11-19 Research Investment Network, Inc. Method of data display for electronic program guides (EPGs)
US20020054752A1 (en) * 1998-08-07 2002-05-09 Anthony Wood Video data recorder with personal channels
US6324338B1 (en) * 1998-08-07 2001-11-27 Replaytv, Inc. Video data recorder with integrated channel guides
TW465235B (en) 1998-09-17 2001-11-21 United Video Properties Inc Electronic program guide with digital storage
KR100590185B1 (ko) * 1999-11-20 2006-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부가정보를 포함하는 오디오/비디오데이터의 저장 및검색장치
KR100317303B1 (ko) * 2000-01-10 2001-12-22 구자홍 방송 프로그램 녹화 및 재생시 a/v와 데이터간 동기화장치
US20020009285A1 (en) * 2000-03-08 2002-01-24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Personal versatile recorder: enhanced features, and methods for its use
US20020040475A1 (en) * 2000-03-23 2002-04-04 Adrian Yap DVR system
US8087051B2 (en) 2000-06-30 2011-12-27 Thomson Licensing Databas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 program guide and television channel lineup organization
US7206497B1 (en) 2000-08-31 2007-04-17 Keen Personal Media, Inc. Electronic program guide subsystem for receiving and processing electronic program guide information from a set-top box
AU2002213071A1 (en) 2000-10-11 2002-04-22 United Video Propert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upplementing on-demand media
US20030088420A1 (en) * 2001-07-10 2003-05-0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Electronic program guide for processing content-related information configured using a reference information model
KR100447298B1 (ko) * 2002-06-29 2004-09-07 주식회사 휴맥스 디지털 방송수신기에서의 전자 프로그램 안내 관리방법
KR20050021118A (ko) * 2003-08-26 2005-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의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KR100703716B1 (ko) * 2004-12-02 2007-04-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녹화/재생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19763B2 (en) 2006-08-07 2013-12-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and reproducing interactive service of digital broadcast
KR101047350B1 (ko) * 2009-06-24 2011-07-07 (주)엠케스트비젼 Pdr 미들웨어의 pdr 기능 지원 및 pdr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12089A (zh) 2008-01-23
US20120060192A1 (en) 2012-03-08
US8091104B2 (en) 2012-01-03
CN101112089B (zh) 2010-05-26
US8739211B2 (en) 2014-05-27
US20060282853A1 (en) 2006-12-14
US20140233922A1 (en) 2014-08-21
KR100694127B1 (ko) 2007-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9961B1 (ko) 멀티미디어전송방법및멀티미디어플레이어
CN100382498C (zh) 数据发送控制方法、数据发送方法和设备以及接收设备
JP5307315B2 (ja) 前に放送された内容を番組の録画に組み込む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060230322A1 (en) Content processing device
CN1988646B (zh) 显示关于广播内容的信息的方法和设备
DK1367828T3 (da) Fremgangsmåde og system til optagelse og afspilning af audiovisuel information
MXPA02002212A (es) Grabacion eficiente de un carrusel de objetos.
KR100694127B1 (ko) 방송 프로그램 저장 방법 및 장치
JPH1145512A (ja) ディジタルディスクレコーダ
CN100379291C (zh) 用于对广播/备用内容编码/解码的装置和方法
KR100708159B1 (ko) 방송 파일 백업 장치 및 방법
US20060197880A1 (en)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stream processing method
US20080232782A1 (en) Recording apparatus, image reproducing apparatus, and special reproduction method therefor
US8406612B2 (en) Broadcast recording apparatus and broadcast recording method
EP188649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broadcast program
CN1905640B (zh) 记录信号处理装置及其控制方法
JP2008118496A (ja) 情報記録装置、及び情報再生装置
KR100376578B1 (ko)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 기록방법 및 그에 따른 표현제어정보 제공방법
JP4521336B2 (ja) ビデオサーバシステム
WO2008136608A1 (en) Method of processing media data and receiver, broadcasting system
CN100438550C (zh) 信号处理装置以及图像显示方法
CN101295530B (zh) 数字内容重放记录装置及方法
JP2002290905A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及び情報記録再生装置
KR100713783B1 (ko) 디지털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시간편성과 위치지정이가능한 트랜스포트 스트림 송출 시스템 및 그 방법
JP3742026B2 (ja) データ放送蓄積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