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4424A - 다목적 스탠드 - Google Patents

다목적 스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4424A
KR20060124424A KR1020050046349A KR20050046349A KR20060124424A KR 20060124424 A KR20060124424 A KR 20060124424A KR 1020050046349 A KR1020050046349 A KR 1020050046349A KR 20050046349 A KR20050046349 A KR 20050046349A KR 20060124424 A KR20060124424 A KR 200601244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holder
stand
pedestal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6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57400B1 (ko
Inventor
박승부
Original Assignee
박승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승부 filed Critical 박승부
Priority to KR1020050046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7400B1/ko
Publication of KR20060124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44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7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74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10Adjustable or foldable or dismountable display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0081Show stands or display racks with mov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02Rotary display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04Stands with a central pillar, e.g. tree type
    • A47F5/06Stands with a central pillar, e.g. tree type adjus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08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secured to the wall, ceiling, or the like; Wall-bracket display devices
    • A47F5/0807Display panels, grids or rods used for suspending merchandise or cards supporting articles; Movable brackets therefor
    • A47F5/0838Rails or bars; Article supports therefor, e.g. brackets being slidably attached on the outside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7/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A47F7/0021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ong or non-stable articles, e.g. fishing rods, pencils, lipsticks or the like; Compartments or recesses as stabilising means
    • A47F7/0028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ong or non-stable articles, e.g. fishing rods, pencils, lipsticks or the like; Compartments or recesses as stabilising means with one compartment or recess for each arti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splay Ra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목적 스탠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받침대에 지지되는 축에 다수의 걸이공이 형성된 홀더를 다수 적층시켜, 상기 홀더의 걸이공을 통해 다양한 공구 또는 제품의 진열등이 가능하고, 특히 사용자의 임의로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어 사용목적 및 사용위치에 다목적으로 사용 및 변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다목적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받침대(10)의 상면에 하단이 고정되어 세워지는 축(20), 및 상기 축(20)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외주에 다수의 걸이공(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축(2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적층되어 있는 홀더(30)로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스탠드, 공구정리대, 진열대, 옷걸이대

Description

다목적 스탠드{A multipurpose stan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스탠드의 일부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축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홀더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간격유지구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간격유지구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평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홀더의 사용 상태도로써,
a는 홀더에 다수의 걸이패널을 설치한 사시도이고,
b는 홀더에 걸이대 및 수집함을 설치한 사시도이며,
c는 홀더에 의복을 걸 수 있는 옷걸이대를 설치한 사시도.
도 7는 다목적 스탠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다목적 스탠드 10 : 받침대
20 : 축 30 : 홀더
32 : 걸이공 40 : 와셔
50 : 간격유지구 310 : 회전지지체
320 : 앵글 수평 및 수직판 : 322, 324
본 발명은 다목적 스탠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받침대에 지지되는 축에 다수의 걸이공이 형성된 홀더를 다수 적층시켜, 상기 홀더의 걸이공을 통해 다양한 공구 또는 제품의 진열등이 가능하고, 특히 사용자의 임의로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어 사용목적 및 사용위치에 다목적으로 사용 및 변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다목적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규모 작업장이나 대규모 작업장 또는 제품을 진열하는 점포등에서는 각종의 공구나 제품의 진열을 편리하게 사용 및 정리할 수 있도록 각종의 공구 및 제품을 보관 및 정리할 수 있는 작업 공구대나 진열대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작업 공구대나 진열대는 공구의 종류 및 제품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지지만, 상기의 작업 공구대나 진열대는 정리하고자 하는 공구나 제품 및 사용 위치에 따라 전용으로 제작된 제품을 구매하거나 별도로 제작하여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작업대나 진열대는 한정적으로 전용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각종 공구나 제품의 진열이 소멸될 경우 폐기처분해야 되는 자원의 낭비와 이에 따른 제반 경비가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받침대에 의해 지지되는 축에 다수의 걸이공이 형성된 홀더를 다수 적층시켜 상기 홀더를 통해 다양한 걸이패널 및 걸이대등을 연장 설치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목적이나 사용위치 및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하나의 스탠드에 다양한 공구 또는 제품등의 진열 및 정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다목적 스탠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나의 다목적 스탠드에 다양한 공구 또는 제품의 진열 및 정리가 됨에 따라 사용목적 및 사용위치에 따라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다는 사용효율이 증폭되도록 하는 다목적 스탠드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나의 다목적 스탠드에 다양한 진열 및 정리가 이루어져 제반설비 절감과 사용의 간편성 및 분해, 조립이 용이하여 운반시 적재 면적을 최소화하여 운반비가 절감되도록 하는 다목적 스탠드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스탠드의 일시예는, 받침대의 상면에 하단이 고정되어 세워지는 축; 및 이 축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외주에 다수의 걸이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적층되어 있는 홀더로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축은 하단에 수나사부기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단에 암나사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수나사부는 상기 받침대에 형성된 체결공에 삽입되어 체결 고정되거나, 또 다른 축의 암나사공에 체결되고, 상기 암나사공은 또 다른 축의 수나사부와 체결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받침대와 축 및 또 다른 축 사이에는 와셔가 구비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축에는 일측에 수평으로 관통되는 조임공이 적어도 하나이상 형성되어, 이 조임공에 별도의 공구를 삽입하여 받침대와 축 및 또 다른 축을 상호 연결할 때 원활한 조임 및 조임력이 강화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홀더는 중앙에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회전지지체; 및 이 회전지지체가 상, 하단에 마련되고 체결수단에 의해 외주면에 체결 고정되며 다수의 걸이공이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앵글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앵글은 수직 및 수평판이 일정 각을 이루며 형성되고, 이를 복수로 상호 맞대응시켜 회전지지체의 외주가 커버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축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적층된 홀더의 하단에는 이 홀더가 축의 길이방향 임의 높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상기 홀더의 하단을 받침하는 간격유지구가 더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간격유지구는 축이 커버되도록 내경을 가지고 일측 또는 양측이 절개되며, 상기 절개된 일측 또는 양측에 조임수단이 구성되어, 이 조임수단의 조임으로 상기 내경에 의해 축이 압박됨에 따라 고정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간격유지구의 내경에는 마찰계수가 높은 연질의 마찰패드가 더 구성됨이 바람직하 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다목적 스탠드의 일부 분리사시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다목적 스탠드(1)는 받침대(10)의 상면에 하단이 고정되어 세워지는 축(20); 및 상기 축(20)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외주에 다수의 걸이공(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축(2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적층되어 있는 홀더(30)로 구성되어, 상기 다수 적층된 홀더(20)들에 형성된 걸이공(32)을 통해 제품 전시와 진열 및 공구들의 정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도 2는 축의 분리 사시도로써, 이를 참조하면, 상기 축(20)은 하단에 수나사부(22)가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단에 암나사공(2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나사부(22)는 상기 받침대(10)에 형성된 체결공(12)에 삽입되어 체결 고정되거나, 다른 축(20)의 암나사공(24)에 체결되고, 상기 암나사공(24)은 또 다른 축(20)의 수나사부(22)와 체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축(20)은 하나 또는 둘이상으로, 상기 축(20)의 상단에 형성된 암나사공(24)에 다른 축(20)의 수나사부(22)를 체결하는 방식으로, 상기 축(20)의 연결 개수에 따라 축(20)의 전체 길이를 가변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다목적 스탠드(1)의 사용 목적 및 사용위치에 따라 사용자의 임의로 변경 가능한 것이다.
아울러, 상기 받침대(10)의 상면에 세워지는 축(20)은 상기 축(20)의 하단에 돌출된 수나사부(22)가 상기 받침대(10)에 체결되도록 상기 받침대(10)에 체결공(12)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12)에 상기 축(20)의 수나사부(22)를 삽입시켜 상기 받침대(10)의 저면에서 너트로 상기 축(20)의 수나사부(22)를 체결하여 상기 받침대(10)에 축(20)이 고정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받침대(10)의 저면에는 체결공(12)을 통해 삽입되는 축(20)의 수나사부(22)가 체결 고정되도록 너트를 고정 설치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체결공(12)에 암나사를 형성하여, 축(20)의 수나사부(22)가 체결되도록 구성할 수 도 있는 것이다.
물론, 상기 받침대(10)의 상면에 축(20)의 하단을 용접등에 의한 융착으로 고정할 수 도 있으며, 상기 받침대(10)의 저면에는 이동의 용이성을 위해 다수의 캐스터(14)를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받침대(10)와 축(20) 및 다른 축(20) 사이에는 받침력이 증폭되도록 하는 와셔(40)가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와셔(40)는 평판 형태 또는 상기 축(20)의 내경에 삽입되는 돌기가 일측 또는 양측에 돌출되어, 결합력 및 받침력이 증폭되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받침대(10)와 축(20) 및 다른 축(20)의 연결 부위에 마련된 와셔(40)는 상기 축(20)의 외주를 커버하도록 삽입된 홀더(30)를 받침 지지 하게되어, 상기 홀더(30)가 상기 와셔(40)에 받침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축(20)에는 일측에 수평으로 관통되는 조임공(26)이 적어도 하나이상 형성되어, 상기 조임공(26)에 별도의 공구를 삽입하여 받침대(10)와 축(20) 및 또 다른 축(20)을 상호 체결할 때 원활한 조임 및 조임력이 강화되도록 함이 바 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받침대(10)의 상면 세워진 축(20)의 상면 또는 다수의 축(20)이 체결된 최상단의 축(20) 상면에는 마감캡(210)을 설치하여, 상기 축(20)의 상단에 형성된 암나사공(24)을 통해 이물질등이 침투됨이 방지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마감캡(210)은 상기 축(20)의 암나사공(24)에 체결되는 볼트가 하단에 돌출되고, 상단에 캡이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축(20)의 상단 내경으로 삽입되는 돌기가 하단에 돌출되고 상면에 캡이 형성된 형상등 다양한 모양이 사용 가능하다.
도 3은 홀더의 분해 사시도로써, 이를 참조하면 상기 홀더(30)는 중앙에 삽입공(312)이 형성되어 있는 회전지지체(310), 및 상기 회전지지체(310)가 상, 하단에 마련되고 체결수단(330)에 의해 상기 회전지지체(310) 외주면에 체결 고정되는 다수의 걸이공(32)이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앵글(320)로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회전지지체(310)의 삽입공(312)에는 부싱 또는 베어링등을 더 구성하여, 상기 부싱 또는 베어링의 내경으로 축(20)이 삽입되어, 상기 축(20)을 중심으로 상기 홀더(30)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형성할 수 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앵글(320)은 수직 및 수평판(322)(324)이 일정 각을 이루며 형성되고, 이를 복수로 상호 맞대응시켜 회전지지체(310)의 외주가 커버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앵글(320)의 수직 및 수평판(322)(324)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수직 및 수평판(322)(324)이 이루는 각도에 따라 다양한 형상의 평면이 형성되 는 것으로, 가령, 각도가 90°일 경우, 2개의 수직 및 수평판(322)(324)을 상호 맞대응시키면 사각의 평단면을 이루고, 상기 각도를 예각 또는 둔각을 상호 맞대응시키면, 마름모 형태의 평단면을 이루게 되며, 또는 둘이상을 상호 맞대응시키면, 팔각형등의 다각 및 복수의 각도를 달리하는 수직 및 수평판(322)(324)을 상호 맞대응시키면, 육각형등 다양한 평면을 가진 홀더(30)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상기 앵글(320)의 평단면과 일치되는 평단면을 가진 회전지지체(310)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홀더(30)는 회전지지체(310)와 상기 회전지지체(310)가 내부에 삽입되어 상, 하단에 마련되고 체결수단(330)에 의해 체결 고정되며, 외주에 다수의 걸이공이 형성된 속이 빈 파이프형상의 관체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홀더(30)는 회전지지체(310)와 상기 회전지지체(310)가 상, 하단에 마련되고, 상기 회전지지체(310)의 외주면에 각각 형성되는 판상체가 체결 고정되도록 형성할 수 있는 것이고, 물론 상기 판상체에는 다수의 걸이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언급된 홀더(30)의 걸이공(32)의 형상은 도시된 바와 같이 '
Figure 112005028996216-PAT00001
'형상에 한정 하는 것은 아니며, 가령 사각 또는 원형 및 다각형 형태 또는 '
Figure 112005028996216-PAT00002
' 및 '
Figure 112005028996216-PAT00003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것이 사용 가능하고, 이러한 홀더(30)의 걸이공은 공구 또는 사물등을 용이하게 걸거나 또는 걸이패널 및 걸이대등을 걸 수 있 는 형상이면 어떠한 형상이든 변형 가능한 것이다.
특히, 상기 축(2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적층된 홀더(30)의 하단에는 상기 홀더(30)가 축(20)의 길이방향 임의 높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상기 홀더(30)의 하단을 받침하는 간격유지구(40)가 더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축(20)의 길이방향을 따라 홀더(30)를 임의 위치에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홀더(30)에 걸림되거나, 별도의 패널에 의해 지지되는 공구 또는 사물의 크기 및 제품의 전시 및 진열을 사용 목적 및 사용위치에 따라 사용자 임의로 변형 가능하여 사용 적용범위가 확대되도록 한다.
도 4는 간격유지구의 분해 사시도로써, 이를 참조하면, 상기 간격유지구(50)는 상기 축(20)이 커버되도록 내경(52)을 가지고 일측 또는 양측이 절개되며, 상기 절개된 일측 또는 양측에 조임수단(510)이 구성되어, 상기 조임수단(510)의 조임으로 상기 내경(52)에 의해 축(20)이 압박됨에 따라 고정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간격유지구(50)의 내경(52)에는 마찰계수가 높은 연질의 마찰패드(520)를 더 구성하여, 상기 마찰패드(520)에 의해 상기 축(20)과 간격유지구(50)의 내경(52)사이에서 발생될 수 있는 미끄럼이 억제되도록 함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 상기 마찰패드(520)는 통상 고무재 또는 실리콘등이 주로 사용됨은 주지된 사실이다.
도 5는 간격유지구의 다른 실시 예로써, 이를 참조하면, 간격유지구(50a)는 내경(52a)을 가지고, 일측은 절개되고 타측은 연결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연결된 부분을 중심으로 절개부를 개방시켜 상기 개방된 공간으로 축(20)을 삽입한 후 폐쇄시켜, 조임수단(510)으로 상기 폐쇄된 부위를 조임하면, 상기 조임력에 의해 내경(52a)이 축(20)을 압박하여 간격유지구(50a)가 상기 축(20)에 고정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다목적 스탠드의 조립 및 사용상태를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받침대(10)의 중앙에 형성된 체결공(12)에 축(20)의 하단에 돌출된 수나사부(22)를 삽입하고, 상기 수나사부(22)는 받침대(10)의 체결공(12)에 마련된 너트에 의해 체결됨에 따라 상기 받침대(10)의 상면에 하나의 축(20)이 세워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받침대(20)의 축(20)에는 홀더(30)가 구성되는 바, 상기 홀더(30)의 회전지지체(310)에 형성된 삽입공(312)을 통해 상기 축(20)이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홀더(30)는 상기 받침대(10)의 상면에 위치되고, 상기 축(20)을 회전 가능하게 된다.
물론, 상기 홀더(30)의 하단에는 간격유지구(50)를 더 구성하여, 상기 축(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임의의 위치에 상기 홀더(30)를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홀더(30)가 마련된 축(20)의 상면에는 다른 축(20)이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축(20)의 상면에 와셔(40)를 위치시킨 후 다른 축(20)의 하단에 마련된 수나사부(22)가 상기 축(20)의 상단 암나사공(24)에 나사 체결되어 연결된다.
이 경우, 상기 축(20)과 다른 축(20)의 일측에 마련된 조임공(26)을 통해 별도의 공구를 삽입시켜, 상기 조임공(26)에 삽입된 공구를 통해 축(20)과 다른 축 (20)의 조임할 때, 조임력이 증폭되도록 한다. 가령, 상기 축(20)에 삽입된 공구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다른 축(20)의 공구를 회전시킬 때 상기 축(20)이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됨에 따라 조임이 용이하게 된다.
더불어, 상기 축(20)과 다른 축(20) 사이에 위치된 와셔(40)에 의해 상기 축(20)과 다른 축(20)사이의 받침력이 증폭되어 안정적으로 수직으로 세워지게 되고, 상기 다른 축(20)에 홀더(30)가 끼워지는 것으로, 상술된 축(20)에 홀더(30)가 끼움되는 방식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축(20)에 끼움되는 홀더(30)는 상기 축(20)과 동일한 길이를 가지거나 보다 작은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축(20)에 끼움되고, 특히, 상기 축(20)에 끼움된 홀더(30)가 상기 축(20)을 중심으로 회전될 때, 회전력에 의해 상기 축(20)의 축방향으로 홀더(30)가 상승됨에 따른 진동을 억제하기 위해 상기 홀더(30)의 상면에 간격유지구(50)를 더 구성할 수 도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다수의 축(20)을 연결하는 방식으로 받침대(10)의 상면에 일정 길이를 가진 축(20)이 형성되고, 상기 축(20)에는 다수의 홀더(30)가 적층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임의로 상기 축(20)의 개수에 따라 홀더(30)의 개수가 정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다목적 스탠드의 사용상태를 보면, 도 6은 홀더의 사용 상태도로써, 6a는 홀더에 다수의 걸이패널을 설치한 사시도이고, 6b는 홀더에 걸이대 및 수집함을 설치한 사시도이며, 6c는 홀더에 의복을 걸 수 있는 옷걸이대를 설치한 사시도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a는 홀더(30)의 걸이공(32)을 통해 다수의 걸림공이 형성된 걸이패널을 각 면에 장착한 사시도로써, 상기 걸이패널(610)은 다수의 걸림공(612)이 형성된 판상체의 일측에 걸림돌기(614)가 일정 간격으로 적어도 하나이상이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걸이패널(610)의 걸림돌기(614)는 상기 축(20)이 삽입된 홀더(30)의 걸이공(32)에 걸림되어 상기 홀더(30)의 일면에 상기 걸이패널(610)이 걸림 형성되는 바, 상기 홀더(30)의 각각 면에 다수의 걸이패널(610)이 걸림 형성되어 상기 홀더(30)에 형성된 걸이패널(610)을 통해 걸림면적을 확대되도록 하는 형상으로, 이는 상기 걸이공(32)이 형성된 홀더(30)의 면적 한계성을 극복하고, 다양한 공구 및 사물의 정리 및 진열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걸림공(612)의 형상은 상술된 홀더(30)의 걸이공과 동일 또는 기타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 가능한 것으로, 공구 및 사물을 정리 및 진열이 가능하도록 하는 형상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도 6b는 홀더의 걸이공에 걸이대 및 수납함을 걸림한 상태의 사시도로, 이 경우 상기 걸이대(6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나 벨트풀리 및 기타 중공축 형상을 가진 공구나 열쇠고리와 같은 고리를 가진 사물의 정리 및 진열이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수납함(630)은 부피가 작은 부품 및 부속품 또는 악세서리등과 같은 사물을 보관함이 바람직하도록 홀더(30)의 걸이공에 별도의 거치대(632)를 마련하고, 상기 마련된 거치대(632)를 통해 상기 수납함(630)을 거치시켜 사용되는 실시예를 도시하였다.
도 6c를 참조하면, 상기 홀더(30)의 걸이공에 옷걸이대(640)를 걸림시켜, 상기 옷걸이대(640)를 통해 작업복 및 의복의 진열이 가능하다는 실시 예를 도시하였다.
상술된 홀더의 사용상태는 사용자의 임의로 변화 가능한 것으로 도 6에 도시된 사용상태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형 방법이 사용가능한 것으로, 다목적 스탠드(1)는 축에 다수의 홀더를 삽입시켜 상기 홀더 각각이 축에 의해 회전됨에 따라 작업 공구 및 사물등의 정리 및 진열이 용이하다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도 7는 다목적 스탠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상기 다수의 축(20)들 사이를 구획하는 와셔(40a)의 직경을 상기 축(20)의 외경과 동일한 크기로 할 경우, 상기 축(20)에 삽입된 홀더(30)는 사용자의 임의로 축(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높이 설정이 가능하게 되고, 이 경우 홀더(30)에 걸림되는 공구 및 사물의 크기에 따라 정리 및 진열이 자유롭다는 장점을 가진다.
그러므로, 상기 다수의 축에 다수의 홀더를 삽입시켜 형성된 다목적 스탠드는 사용목적과 사용위치 및 사용자 임의로 길이를 가변시키거나 또는 홀더의 높이 설정이 자유롭게되어 공구나 사물의 정리 및 진열의 효율을 극대화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스탠드에 의하면, 받침대에 의해 지지되는 축에 다수의 걸이공이 형성된 홀더를 다수 적층시켜 상기 홀더를 통해 다 양한 걸이패널 및 걸이대등을 연장 설치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목적이나 사용위치 및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하나의 스탠드에 다양한 공구 또는 제품등의 진열 및 정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하나의 다목적 스탠드에 다양한 공구 또는 제품의 진열 및 정리가 됨에 따라 사용목적 및 사용위치에 따라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다는 사용효율이 증폭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나의 다목적 스탠드에 다양한 진열 및 정리가 이루어져 제반설비 절감과 사용의 간편성 및 분해, 조립이 용이하여 운반시 적재 면적을 최소화하여 운반비가 절감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스탠드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9)

  1. 받침대(10)의 상면에 하단이 고정되어 세워지는 축(20); 및
    상기 축(20)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외주에 다수의 걸이공(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축(2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적층되어 있는 홀더(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스탠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20)은
    하단에 수나사부(22)가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단에 암나사공(2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나사부(22)는 상기 받침대(10)에 형성된 체결공(12)에 삽입되어 체결 고정되거나, 또 다른 축(20)의 암나사공(24)에 체결되고,
    상기 암나사공(24)은 또 다른 축(20)의 수나사부(22)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스탠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10)와 축(20) 및 또 다른 축(20) 사이에는 와셔(40)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스탠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축(20)에는
    일측에 수평으로 관통되는 조임공(26)이 적어도 하나이상 형성되어,
    상기 조임공(26)에 별도의 공구를 삽입하여 받침대(10)와 축(20) 및 또 다른 축(20)을 상호 연결할 때 원활한 조임 및 조임력이 강화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스탠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30)는
    중앙에 삽입공(312)이 형성되어 있는 회전지지체(310); 및
    상기 회전지지체(310)가 상, 하단에 마련되고 체결수단(330)에 의해 외주면에 체결 고정되며 다수의 걸이공(32)이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앵글(32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스탠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앵글(320)은
    수직 및 수평판(322)(324)이 일정 각을 이루며 형성되고, 이를 복수로 상호 맞대응시켜 회전지지체(310)의 외주가 커버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스탠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2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적층된 홀더(30)의 하단에는 상기 홀더(30)가 축(20)의 길이방향 임의 높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상기 홀더(30)의 하단을 받침하는 간격유지구(40)가 더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스탠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구(40)는
    상기 축(20)이 커버되도록 내경(42)을 가지고 일측 또는 양측이 절개되며, 상기 절개된 일측 또는 양측에 조임수단(410)이 구성되어, 상기 조임수단(410)의 조임으로 상기 내경(42)에 의해 축(20)이 압박됨에 따라 고정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스탠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구(40)의 내경(42)에는
    마찰계수가 높은 연질의 마찰패드(420)가 더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스탠드.
KR1020050046349A 2005-05-31 2005-05-31 다목적 스탠드 KR1006574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6349A KR100657400B1 (ko) 2005-05-31 2005-05-31 다목적 스탠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6349A KR100657400B1 (ko) 2005-05-31 2005-05-31 다목적 스탠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4424A true KR20060124424A (ko) 2006-12-05
KR100657400B1 KR100657400B1 (ko) 2006-12-14

Family

ID=37729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6349A KR100657400B1 (ko) 2005-05-31 2005-05-31 다목적 스탠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74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1562B1 (ko) * 2012-09-28 2014-05-0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구 수납 겸용 옷걸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7400B1 (ko) 2006-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245129C (zh) 储存系统
CN100457402C (zh) 物品存储系统及装置
US5228582A (en) Holder for screws, bolts, nuts and washers
US6079675A (en) Hose carrier
CA2526979A1 (en) Tool rack
US20080257840A1 (en) Storage and organization system for articles
US20090236482A1 (en) Bracket Release Mechanism
US8640889B2 (en) Utility storage rack
US20090084739A1 (en) Gas cylinder containment system
US7204372B2 (en) Rug display system
US20050193530A1 (en) Mounting clip and related modular storage system
US6964085B2 (en) Mounting clip and related modular storage system
KR100657400B1 (ko) 다목적 스탠드
US9550292B1 (en) Wall mounted tool rack
US20080264883A1 (en) Lally Column Sotage Device
US20100032390A1 (en) Rug display system
KR200401934Y1 (ko) 회전선반
US4452361A (en) Pneumatic tool rack
KR101379281B1 (ko) 칸막이 설치용 클립
US11167406B2 (en) Apparatus for storing and organizing utility tools
KR101959163B1 (ko) 농기구 정리 걸이대
KR102184685B1 (ko) 회전형 조립식 철제 행거
KR850001576Y1 (ko) 다단식 공구 및 부품보관용 이동재치대
KR200359634Y1 (ko) 부품 거치대
JP4102678B2 (ja) 物品収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