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4142A - 3차원 디스플레이 장치용 위상차 기판 및 그 제조방법과,상기 위상차 기판이 구비된 3차원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3차원 디스플레이 장치용 위상차 기판 및 그 제조방법과,상기 위상차 기판이 구비된 3차원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4142A
KR20060124142A KR1020050045917A KR20050045917A KR20060124142A KR 20060124142 A KR20060124142 A KR 20060124142A KR 1020050045917 A KR1020050045917 A KR 1020050045917A KR 20050045917 A KR20050045917 A KR 20050045917A KR 20060124142 A KR20060124142 A KR 200601241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se difference
display device
substrate
retardation
polariz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5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희
신현호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5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24142A/ko
Publication of KR20060124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41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3차원 디스플레이 장치용 위상차 기판 제조방법은, 투명 베이스 기판이 준비되는 단계와; 상기 투명 베이스 기판 상에 제 1배향방향 및 제 2배향방향으로 배향되는 멀티 도메인 배향막이 형성되는 단계와; 상기 배향막 전체에 위상차 기판용 물질이 도포되는 단계와; 상기 제 1배향방향을 갖는 배향막 상에 형성된 위상차 기판용 물질이 경화되어 제 1배향방향으로 배향된 제 1위상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배향방향을 갖는 배향막 상에 형성된 위상차 기판용 물질이 경화되어 제 2배향방향으로 배향된 제 2위상차부가 형성되는 단계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3차원 디스플레이 장치용 위상차 기판 및 그 제조방법과, 상기 위상차 기판이 구비된 3차원 디스플레이 장치{3 dimension display apparatus and Retardation board for 3 dimension display apparatus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도 1a 및 도 1b는 편광안경 방식의 3차원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이용된 패턴드 편광판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3차원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4a 내지 도 4d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위상차 기판을 제조하는 공정을 설명하는 공정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0 : 편광안경 312 : 상부 편광판(analyzer)
350 : 위상차 기판 352 : 제 1위상차부
354 : 제 2위상차부
본 발명은 편광안경 방식의 3차원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3차원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에 구비되는 위상차 기판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평판 디스플레이는 무게가 가볍고 얇으며, 대면적화가 가능한 특징이 있기 때문에 기존의 브라운관을 점차 대체해 나가고 있다.
이러한 평판 디스플레이 가운데, 특히 액정표시장치는 휴대가 간편하고 전력소모가 적다는 이점으로 시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계산기나 노트북 컴퓨터 등의 용도에서 벽걸이 텔레비전 및 고선명 텔레비전 등으로 그 응용 범위가 확장되고 있으며, 근래에 들어 액정표시장치는 3차원 입체 영상 표시장치로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실감통신, 가상 현실 및 내시경에 의한 작업 수요의 증가, 컴퓨터, 방송 및 통신 등을 다매체 기술의 가시화를 위주로 한 하나의 매체로 통합하는 것에 대한 요구, 진단 및 측정 결과의 3차원 영상화 등 인간 생활 환경의 급격한 변화에 따라, 영상을 3차원으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요구가 날로 증가하고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3차원 디스플레이 기술의 적용이 요망되는 분야로는, 광고분야의 신매체로서 3차원 디스플레이, 가정용 3차원 멀티미디어 영상 디스플레이 단말기, 시뮬레이터 및 교육 훈련용 영상 디스플레이 단말기, 각종 정밀 측정 및 진단용 가시화 영상 디스플레이 단말기, 의료용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단말기, 각종 감시 및 관제 등을 위한 영상 디스플레이 단말기, 화상 회의 및 광고용 3차원 영상 모니터, 방송용 3차원 텔레비전, 교육/오락을 위한 영상 디스플레이 단말기 및 각종특수환경 제작용 부품, 3차원 게임용 영상장치, 등이 있다.
이와 같은 3차원 입체 영상의 원리는 왼쪽 눈과 오른쪽 눈에 서로 다른 별도의 영상이 전달되면, 망막을 통하여 뇌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서로 융합되어 3차원 영상으로 인식되는 양안 시차를 이용하는 것인데, 편광 안경(polarizer glasses)이나 액정 셔터 안경 착용 여부, 입체표시방식, 시점(view point), 시스템의 구성 및 관찰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편광안경 방식의 3차원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평면디스플레이 장치 상측면에 구비된 편광판(analyzer)의 편광축과 동일한 광축을 갖는 위상차막과, 상기 편광판의 편광축과 45도 차이가 나는 광축을 갖는 위상차막을 일정하게 배열하도록 구성된 위상차 기판을 상기 평면디스플레이 장치 상부에 구비하여 3차원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3차원 디스플레이 장치 구성과, 상기 두 다른 광축의 반파장판(λ/2) 위상차 막을 멀티 도메인 배향막을 이용하여 형성함으로써, 기존의 포로리소그래피 공정을 제거하여 서로 다른 두 광축의 위상차 기판을 보다 쉽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위상차 기판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3차원 디스플레이 장치용 위상차 기판은, 평판디스플레이장치 상부면에 구비된 편광판의 편광축과 동일한 광축을 갖는 제 1 위상차부와; 상기 편광판의 편광축과 45도 차이가 나는 광축을 갖는 제 2위상차부가 일정하게 배열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및 제 2위상차부는 반파장(λ/2)판이 될 수 있고, 상기 위상차 기판을 투과한 2차원 영상은 상기 제 1위상차부 및 제 2위상차 부에 의해 서로 다른 편광을 가지게 되어 각각 편광과 동일한 편광축의 편광안경에 입력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편광안경의 좌, 우측은 각각 편광축이 서로 수직 으로 구성되며, 상기 평판표시장치는 상하 편광판을 가지는 액정표시장치 또는 상기 위상차 기판과 평판표시장치 사이에 1매의 편광판을 포함한 PDP, OLED, FED와 같은 평판표시장치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3차원 디스플레이 장치용 위상차 기판 제조방법은, 투명 베이스 기판이 준비되는 단계와; 상기 투명 베이스 기판상에 제 1배향방향 및 제 2배향방향으로 배향되는 멀티 도메인 배향막이 형성되는 단계와; 상기 배향막 전체에 위상차 기판용 물질이 도포되는 단계와; 상기 제 1배향방향을 갖는 배향막 상에 형성된 위상차 기판용 물질이 경화되어 제 1배향방향의 제 1위상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배향방향을 갖는 배향막 상에 형성된 위상차 기판용 물질이 경화되어 제 2배향방향의 제 2위상차부가 형성되는 단계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위상차부 및 제 2위상차부는 스트라이프 혹은 바둑판 모양으로 일정하게 교대로 배열되어 형성하고, 상기 제 1위상차부의 광축은 액정표시장치의 상부 편광판(analyzer)의 편광축과 동일한 방향이고, 상기 제 2위상차부의 광축은 상기 상부 편광판의 편광축과 45도 차이가 나는 방향이 됨을 특징으로 하는 3차 원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배향막은 러빙 방식 또는 자외선(UV) 배향 방식 또는 이온빔 배향 방식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위상차 기판용 물질은 광경화성 폴리머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편광안경 방식의 3차원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a 및 도 1b는 편광안경 방식의 3차원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광안경 방식의 3차원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는, 편광축(polarizer axis)이 좌, 우 서로 90도를 이루는 편광판이 구비된 편광 안경(100)에 대해, 액정표시장치(110) 상에 패턴된 편광판(120)을 구성함으로써, 상기 편광안경에 입력될 때, 상기 편광안경(100)의 각 편광축에 각각 평행한 편광을 제공함으로써 이루어 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평판디스플레이장치 상의 패턴된 편광판(120)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편광안경에 구비된 좌, 우 편광판과 각각 동일한 편광축을 갖는 편광소자(122, 124)가 모자이크 형태로 배열되거나, 스트라이프 형태로 배열되어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편광안경 방식의 3차원 영상표시는, 좌안 시야(left view) 및 우안 시야(right view) 이미지 정보를 편광축이 각기 다른 편광소자를 통해 출사되게 하고, 상기 정보가 편광안경에 의해 각각 좌안, 우안 정보로서 양안에 각각 읽혀지어 상기 각 정보가 뇌에서 복합됨으로써 입체 영상으로 받아들여지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액정표시장치에서 나오는 정보를 편광축(polarizer axis)이 서로 90도를 이루는 편광 안경의 양안에 상기 편광축에 각각 평행한 편광을 제공하기 위한 상기 각각 수직의 편광축을 갖는 패턴화된 편광판(120)이 반드시 구비되어야 하며, 상기 패턴화된 편광판(120)에 의해 액정표시 장치에서 출사되는 편광은 서로 수직으로 분리되고 각각 좌안용 영상 표시, 우안용 영상 표시를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패턴된 편광판 실시예에 의한 단면도이다.
먼저 도 2a에 도시된 패턴된 편광판(120)은, 2매의 편광막을 제작하고 포토레지스트를 코팅하여 각각 다른 방향의 축으로 상기 포토레지스트를 현상해낸 후, 상기 포토레지스트가 제거된 부분의 편광막을 에칭하여 포토레지스트를 스트립한 뒤, 이렇게 제조된 각각 다른 편광축의 편광판(122, 124)을 조합하는 방식으로 제조된 것이다.
또한, 도 2b에 도시된 패턴된 편광판(120)은, 2매의 편광막을 제작하고 포토레지스트를 도포/ 노광/ 현상한 다음 상기 포토레지스트가 없는 부분의 편광 성분을 블리칭(bleaching) 함으로써 편광특성을 없앤 다음 포토레지스트를 스트립하여 스트라이프 혹은 모자이크 형태의 일부 편광 일부 비편광 기판을 만든 후, 각각 서로 직각 편광축을 갖도록 블리칭한 2매를 붙여서로 수직인 두 방향의 편광판(122, 124)을 조합하는 방식으로 제조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제조된 편광판(120)은 패턴화된 포토레지스트 의 도포 후, 상기와 같은 포토리소그라피 등의 복잡한 공정을 거쳐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평판디스플레이장치의 상측면에 구비된 비패턴화된 일반 편광판(analyzer)의 편광축과 동일한 광축을 갖는 제 1위상차부와, 상기 편광판의 편광축과 45도 차이가 나는 광축을 갖는 제 2위상차부 가 일정하게 배열된 위상차 기판을 상기 평판디스플레이장치의 상측에 위치시킴으로써 편광판을 통해 나온 한쪽 방향의 편광축이, 위상차 기판을 통과함에 따라 제1위상차부와 제2위상차부에서 서로 수직으로 패턴되어 나오게 한다.
상기 위상차 기판을 멀티 도메인 배향막을 이용하여 형성함으로써, 기존의 포토레지스트 등을 이용한 포로리소그래피 공정을 제거하여, 보다 쉽게 3차원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를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3차원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2차원 영상을 출력하는 평판디스플레이장치로 액정표시장치를 그 예로 설명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편광안경 방식의 3차원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는, 편광축(polarizer axis)이 좌, 우 서로 90도를 이루는 편광 안경(300)과; 2차원 영상을 출력하는 액정표시장치(340)와; 상기 액정표시장치(340)의 상부면의 편광판(analyzer)(312)의 편광축과 동일한 광축을 갖는 제 1위상 차부(352)와, 상기 편광판의 편광축과 45도 차이가 나는 광축을 갖는 제 2위상차부(354)를 일정하게 배열하도록 구성된 위상차 기판(350)이 포함되어 구성되며,
상기 위상차 기판(350)을 투과한 액정표시장치의 2차원 영상은 각 좌안용 영상과 우안용 영상이 상기 제 1위상차부(352) 및 제 2위상차부(354)에 의해 서로 수직의 편광을 가지고 분리되어 상기 편광안경(300)에 입력되며, 이에 상기 편광안경(300)의 양안의 서로 수직한 편광축에 각각 평행한 편광만이 투과하여 각 좌안용. 우안용 영상을 분리하여 봄으로써, 3차원 입체 영상이 구현되는 것이다.
즉, 상기 편광안경 방식의 3차원 영상표시는, 좌안 시야(left view) 및 우안 시야(right view) 이미지 정보를 광축이 각기 다른 위상차부가 구비된 위상차 기판을 통해 분리하여 출사되게 하고, 상기 정보가 편광안경에 의해 각각 좌안, 우안 정보로서 양안에 각각 읽혀지어 상기 각 정보가 뇌에서 복합됨으로써 입체 영상으로 받아들여지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 1 및 제 2위상차부(352, 354)는 반파장(??/2)판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일반적인 편광방식 3차원 디스플레이 장치와는 달리 액정표시장치(340)를 2차원 영상 출력장치로서 패턴된 편광판이 없이 그대로 채용할 수 있으며, 상기 액정표시장치 제 1기판(310) 상부면의 편광판(analyzer)(312)과 동일한 광축을 갖는 제 1위상차부(352) 및 상기 편광판(312)의 편광축과 45도 차이가 나는 광축을 갖는 제 2위상차부(354)를 일정하게 배열하도록 구성된 위상차 기판(350)을 상기 액정표시장치 상부에 배치함으로써, 3차원 입체 영상을 제공함에 그 특징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 의한 위상차 기판(350)이 상기 상부 편광판(312)의 상부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상부 편광판(312)의 편광축과 동일한 광축을 갖는 제 1 위상차 부(352)는 상기 액정패널(340)에서 입사되어 들어오는 편광을 그대로 통과시켜, 이는 상기 편광안경(300)의 좌안(혹은 우안)으로 입력되고, 상기 상부 편광판(312)의 편광축과 45도 각도를 이루는 광축을 갖는 제 2위상차부(354)는 상기 액정패널(340)에서 입사되어 들어오는 편광축을 90도 수직 편광축으로 바꾸어 주어 상기 편광안경(300)의 우안(혹은 좌안)의 편광축과 동일한 편광방향으로 입력됨으로써, 이를 통해 상기 편광안경을 착용한 사용자는 3차원 입체 영상을 느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위상차 기판을 제조하는 공정을 설명하는 공정단면도이다.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베이스 기판(400)이 준비된다.
다음으로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투명 베이스 기판(400) 상에 제 1배향방향 및 제 2배향방향으로 나뉘어진 멀티 도메인 배향막(410)이 형성된다.
도 4b의 경우 상기 제 1배향방향 및 제 2배향방향을 갖는 배향막(412, 414)이 서로 엇갈리게 스트라이프 형태로 배열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 모자이크 형태(도 1b 참조)로 멀티 도메인 배향막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제 1배향방향은 상부 편광판(analyzer)의 편광축과 동일한 방 향이고, 상기 제 2배향방향은 상기 상부 편광판의 편광축과 45도 차이가 나는 방향이 된다.
또한, 상기 배향막(410)은 러빙 방식 또는 자외선(UV) 배향 방식 등의 여러 방식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투명 베이스 기판(400)에 제 1배향방향 및 제 2배향방향을 갖는 배향막(410)이 형성되면,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향막 전체에 위상차 기판용 물질(420)이 일정 두께로 도포된다.
상기 위상차 기판용 물질(420)은 상기 배향막의 각 두 배향방향으로 배향된 각 위상차 층(retardation layer)을 이루게 되는 것으로, 노광 공정 또는 가열 공정 등을 통해 경화되어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위상차부(432) 및 제 2 위상차부(434)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위상차 기판용 물질(420)은 액정 폴리머가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상기 액정 폴리머가 UV 경화성 액정물질인 경우 상기 위상차 기판용 물질이 도포된 후 이에 대해 UV를 조사하면 상기 위상차 기판용 물질 하부에 형성된 배향막의 배향방향으로 각각 배향된 리타더 층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제 1배향방향을 갖는 배향막(412) 상에 형성된 위상차 기판용 물질은 경화되어 제 1위상차부(432)를 형성하고, 상기 제 2배향방향을 갖는 배향막(414) 상에 형성된 위상차 기판용 물질은 경화되어 제 2위상차부(434)를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제 1 위상차부(432)는 상기 액정표시장치 상부면에 구비된 상부 편 광판(analyzer)의 편광축과 동일한 광축을 갖게 되고, 상기 제 2 위상차부(434)는 상기 상부 편광판의 편광축과 45도 차이가 나는 광축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및 제 2위상차부(432, 434)가 일정하게 배열된 위상차 기판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액정표시장치 상부에 배치함으로써, 상기 상부 편광판의 편광축과 동일한 광축을 갖는 제 1 위상차부(423)는 상기 액정패널에서 출력되는 편광을 그대로 통과시켜, 이는 상기 편광안경의 좌안으로 입력되고, 상기 상부 편광판과 45도 각도를 이루는 광축을 갖는 제 2위상차부(434)는 상기 액정패널에서 출력되는 편광을 상기 편광안경의 우안의 편광축과 동일한 편광방향으로 편광시켜 결과적으로 상기 편광안경의 우안으로 입력됨으로써, 이를 통해 상기 편광안경을 착용한 사용자는 3차원 입체 영상을 느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평판디스플레이장치와 그 디스플레이의 상측면에 구비된 편광판(analyzer)의 편광축과 동일한 광축을 갖는 위상차부와, 상기 편광판의 편광축과 45도 차이가 나는 광축을 갖는 위상차부를 일정하게 배열하도록 멀티 도메인 배향막을 이용하여 형성함으로써, 기존의 포로리소그래피 공정 없이 제작한 위상차 기판으로 구성된 3차원 디스플레이 구성 및 보다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15)

  1. 평판디스플레이장치 상부면에 구비된 편광판의 편광축과 동일한 광축을 갖는 제 1 위상차부와;
    상기 편광판의 편광축과 45도 차이가 나는 광축을 갖는 제 2위상차부가 일정하게 배열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되는 위상차 기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위상차부는 반파장(λ/2)판임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되는 위상차 기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차 기판을 투과한 2차원 영상은 상기 제 1위상차부 및 제 2위상차 부에 의해 서로 다른 편광을 가지게 되어 각각 편광과 동일한 편광축의 편광안경에 입력됨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되는 위상차 기판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안경의 좌, 우측은 각각 편광축이 서로 수직인 편광필름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되는 위상차 기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표시장치는 상하 편광판을 가지는 액정표시장치 또는 상기 위상차 기판과 평판표시장치 사이에 1매의 편광판을 포함한 PDP, OLED, FED와 같은 평판표시장치임을 특징으로 3차원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되는 위상차 기판
  6. 투명 베이스 기판이 준비되는 단계와;
    상기 투명 베이스 기판상에 제 1배향방향 및 제 2배향방향으로 배향되는 멀티 도메인 배향막이 형성되는 단계와;
    상기 배향막 전체에 위상차 기판용 물질이 도포되는 단계와;
    상기 제 1배향방향을 갖는 배향막 상에 형성된 위상차 기판용 물질이 경화되어 제 1배향방향의 제 1위상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배향방향을 갖는 배향막 상에 형성된 위상차 기판용 물질이 경화되어 제 2배향방향의 제 2위상차부가 형성되는 단계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되는 위상차 기판 제조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위상차부 및 제 2위상차부는 스트라이프 혹은 바둑판 모양으로 일정하게 교대로 배열되어 형성함을 특징으로 3차원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되는 위상차 기판 제조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위상차부의 광축은 액정표시장치의 상부 편광판(analyzer)의 편광축과 동일한 방향이고, 상기 제 2위상차부의 광축은 상기 상부 편광판의 편광축과 45도 차이가 나는 방향이 됨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되는 위상차 기판 제조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배향막은 러빙 방식 또는 자외선(UV) 배향 방식 또는 이온빔 배향 방식에 의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되는 위상차 기판 제조방법.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차 기판용 물질은 광경화성 폴리머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3차원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되는 위상차 기판 제조방법.
  11. 평판디스플레이장치와;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상부면에 구비된 편광판과;
    상기 편광판의 편광축과 동일한 광축을 갖는 제 1 위상차부와, 상기 편광판의 편광축과 45도 차이가 나는 광축을 갖는 제 2위상차부가 일정하게 배열하고 있 는 위상차 기판과;
    상기 제1위상차부와 제2위상차부를 통해 분리된 서로 직각인 두 편광과 각각 같은 편광축을 가진 편광안경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위상차부는 반파장(λ/2)판임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출력된 2차원 영상은, 상기 편광판과 상기 제 1위상차부 및 제 2위상차부에 의해 서로 다른 편광을 가지게 되어 각각 편광과 동일한 편광축의 편광안경에 입력됨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디스플레이장치가 액정 표시 장치인 경우 상기 액정표시장치의 편광판(Analyzer)과, 상기 위상차 기판이 부착되어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디스플레이장치가 액정표시장치가 아닌 경우, 상기 평판디스플레 이장치 상에 구비된 편광판과 패턴드된 상기 위상차 기판을 일체화시킨 기판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50045917A 2005-05-31 2005-05-31 3차원 디스플레이 장치용 위상차 기판 및 그 제조방법과,상기 위상차 기판이 구비된 3차원 디스플레이 장치 KR200601241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5917A KR20060124142A (ko) 2005-05-31 2005-05-31 3차원 디스플레이 장치용 위상차 기판 및 그 제조방법과,상기 위상차 기판이 구비된 3차원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5917A KR20060124142A (ko) 2005-05-31 2005-05-31 3차원 디스플레이 장치용 위상차 기판 및 그 제조방법과,상기 위상차 기판이 구비된 3차원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4142A true KR20060124142A (ko) 2006-12-05

Family

ID=37728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5917A KR20060124142A (ko) 2005-05-31 2005-05-31 3차원 디스플레이 장치용 위상차 기판 및 그 제조방법과,상기 위상차 기판이 구비된 3차원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2414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6115B1 (ko) * 2008-11-12 2010-10-07 (주) 디바이스이엔지 3차원 입체 영상장치
KR20120000706A (ko) * 2010-06-28 2012-01-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3디 영상 구현 시스템
KR20150000621A (ko) * 2013-06-25 2015-01-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영상표시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6115B1 (ko) * 2008-11-12 2010-10-07 (주) 디바이스이엔지 3차원 입체 영상장치
KR20120000706A (ko) * 2010-06-28 2012-01-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3디 영상 구현 시스템
KR20150000621A (ko) * 2013-06-25 2015-01-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영상표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99099B2 (ja) ディスプレイデバイス
US7821583B2 (en) Three-dimension display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JP3865762B2 (ja) パララックスバリア素子、その製造方法および表示装置
KR101115700B1 (ko) 2차원 및 3차원 영상의 선택적 디스플레이가 가능한디스플레이 장치
KR100784080B1 (ko) 2차원 영상 및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장치
JP2003185991A (ja) 2d/3d兼用ディスプレイ
TW200410565A (e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WI431341B (zh) 微相位差膜
KR20060023392A (ko) 3차원 영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결합장치
JP2001188127A (ja) マイクロリターダ
TWI424197B (zh) 具有立體顯示功能之觸控面板
TWI417584B (zh) 微相位差膜之製造方法
CN101609174B (zh) 用于消除叠纹干涉并控制视角的光学膜片
KR20080027559A (ko) 렌티큘러방식 입체영상표시장치의 제조방법.
JP5881328B2 (ja) 光学板及びその製造方法と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207861B1 (ko) 입체 엘씨디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JP2012137762A (ja) 偏光板、表示装置及び偏光板の製造方法
KR20060124142A (ko) 3차원 디스플레이 장치용 위상차 기판 및 그 제조방법과,상기 위상차 기판이 구비된 3차원 디스플레이 장치
JP2005266438A (ja)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258222A (ja) パララックスバリア素子および表示装置
KR20110112558A (ko) 이미징 시스템
KR20140006457A (ko) 광학필름, 이를 포함하는 서브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입체영상 표시장치
KR101974961B1 (ko) 3차원 영상 표시장치
US20130227830A1 (en) Manufacturing method of optical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tereoscopic display
KR101702078B1 (ko) 3디 영상 구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0329

Effective date: 20131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