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2298A - 축사용 분무 및 살수장치 - Google Patents

축사용 분무 및 살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2298A
KR20060122298A KR1020050044643A KR20050044643A KR20060122298A KR 20060122298 A KR20060122298 A KR 20060122298A KR 1020050044643 A KR1020050044643 A KR 1020050044643A KR 20050044643 A KR20050044643 A KR 20050044643A KR 20060122298 A KR20060122298 A KR 200601222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frame
spray
vertical bar
spray liquid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4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56407B1 (ko
Inventor
현효근
이종민
Original Assignee
현효근
이종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효근, 이종민 filed Critical 현효근
Priority to KR1020050044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6407B1/ko
Publication of KR20060122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22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6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64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00Watering equipment for stock or game
    • A01K7/02Automatic devices ; Medication dispensers
    • A01K7/025Water tan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82Water misting or cool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2Phase substances, e.g. smokes, aerosols or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18Roses; Shower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3/0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 B05B3/18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elements moving in a straight line, e.g. along a track; Mobile sprinkl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7Combination with washing or cleaning mea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Zo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사용 분무 및 살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축사의 천장에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10); 상기 양 가이드레일(10)의 내측부에 각각 한 쌍씩 인접 배치되는 동시에 이 한 쌍이 서로 가이드레일(10) 연장 방향을 따라 일정거리 이격된 네 개의 수직바(21)와, 이들 수직바(21)들의 상, 하단부를 연결하는 상, 하횡바(22a,22b) 및 이 상, 하횡바(22a,22b)를 연결하는 상, 하종바(23a,23b)로 이루어진 메인프레임(20); 상기 메인프레임(20)의 수직바(21) 상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상종바(23a) 상의 구동모터(12)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24a,24b) 양단부에 축착되어 상기 가이드레일(10)을 따라 회동되는 바퀴(25a,25b)가 구비된 회동부(25); 상기 메인프레임(20)의 수직바(21) 소정부위에 설치되는 분무노즐(30); 상기 메인프레임(20)의 하횡바(22b) 상에 배치되는 분무액수용통(40); 상기 분무액수용통(40) 인접부인 하종바(23b) 상에 배치되고, 분무노즐(30) 및 분무액수용통(40)을 호스(52)로 연결시켜 분무액수용통(40)의 분무액을 분무노즐(30)로 공급하는 분무펌프(50); 및 상기 메인프레임(20)의 배면에 부착되어 이 메인프레임(20)과 일체로 이동되도록 상단부에 가이드레일(10)을 따라 이동되는 보조바퀴(64)가 구비되고, 이 보조바퀴(64) 하단에 상기 메인프레임의 폭 방향 양측을 향해 각각 연장된 연장암(61)이 구비되며, 이 연장암(61)에 복수의 살수노즐(62)이 설치된 보조프레임(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축사용 분무 및 살수장치, 메인프레임, 가이드레일, 구동모터, 분무노즐

Description

축사용 분무 및 살수장치{Linkage shaft unit of windshield wiper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축사용 분무 및 살수장치 중 연장암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축사용 분무 및 살수장치 중 연장암에 대해서 절첩암이 접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축사용 분무 및 살수장치 중 메인프레임과 보조프레임을 결합시키는 걸쇠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축사용 분무 및 살수장치 중 케이블안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축사용 분무 및 살수장치 중 메인프레임과 보조프레임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축사용 분무 및 살수장치를 나타낸 개략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가이드레일 12 : 구동모터
12a : 구동축풀리 14 : 회전축풀리
16 : 제1스프로켓 18 : 제2스프로켓
20 : 메인프레임 21 : 수직바
21a : 연장바 21b : 가이드링
22a : 상횡바 22b : 하횡바
23a : 상종바 23b : 하종바
24a : 제1회전축 24b : 제2회전축
25 : 회동부 25a, 25b : 바퀴
26 : 축지지대 26a, 26b : 축수부
27 : 케이블보관함 28 : 걸쇠
28a : 나사산 28b : 몸통부
29 : 조임너트 30 : 분무노즐
40 : 분무액수용통 42 : 급수관
43 : 급수밸브 50 : 분무펌프
60 : 보조프레임 61 : 연장암
62 : 살수노즐 63 : 보조수직바
64 : 보조바퀴 65 : 지지편
65a : 걸림홈부 66 : 연결판
66a : 고정홀 67 : 절첩암
67a : 관통공 68 : 고정핀
70 : 케이블가이드 72 : 전원케이블
74 : 케이블안내부 75 : 안내활차
80 : 보조회전축
본 발명은 축사용 분무 및 살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양계장 등 축사의 천정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분무 및 살수장치가 자동으로 이동하면서 소독과 가습을 위한 분무 및 세척을 위한 살수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축사용 분무 및 살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계장 등의 축사 내부는 가축들의 분뇨 등으로 인해 오염이 쉽게 되기 때문에 수시로 물청소 등을 통해 청결하게 하여 가축들이 위생적으로 서식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축사 내부에 소독과 가습 등의 분무와 세척을 위한 살수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직접 장비를 들고 분무 및 살수 작업을 하였기 때문에 분무 및 세척작업이 무척 힘들게 되고, 또한, 대형 축사인 경우에는 천정이 높고 내부 공간도 상당히 넓기 때문에 인력으로 분무 및 살수를 수행하기는 거의 불가능하여 결과적으로 소독, 가습 및 세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양계장 등 축사의 천정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분무 및 살수장치가 자동으로 이동하면서 소독과 가습을 위한 분무 및 세척을 위한 살수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축사용 분 무 및 살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축사용 분무장치는 축사의 천장에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 상기 양 가이드레일의 내측부에 각각 한 쌍씩 인접 배치되는 동시에 이 한 쌍이 서로 가이드레일 연장 방향을 따라 일정거리 이격된 네 개의 수직바와, 이들 수직바들의 상, 하단부를 연결하는 상, 하횡바 및 이 상, 하횡바를 연결하는 상, 하종바로 이루어진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수직바 상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상종바 상의 구동모터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 양단부에 축착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회동되는 바퀴가 구비된 회동부; 상기 메인프레임의 수직바 소정부위에 설치되는 분무노즐; 상기 메인프레임의 하횡바 상에 배치되는 분무액수용통; 및 상기 분무액수용통 인접부인 하종바 상에 배치되고, 분무노즐 및 분무액수용통을 호스로 연결시켜 분무액수용통의 분무액을 분무노즐로 공급하는 분무펌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축사용 분무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횡바에 설치되고, 그 상면에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한 쌍의 축수부를 갖는 축지지대의 후방 축수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착되며, 구동모터의 구동축풀리와 벨트 연결되는 회전축풀리 및 이 회전축풀리 인접부에 제1스프로켓이 마련되고, 양단부에 각각 바퀴가 축착되는 제1회전축; 및 상기 축지지대의 전방 축수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착되고, 상기 제1회전축의 제1스프로켓과 체인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2스프로켓이 구비되며, 그 양단부에 각각 바퀴가 축착되는 제2회전축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축사용 분무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측면에는 케이블가이드 상에 배치되어 있는 전원케이블이 메인프레임의 이동에 따라 인출 및 수납되도록 하는 케이블보관함; 및 상기 케이블보관함의 수직 상부인 메인프레임 상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그 타단부에 전원케이블이 케이블보관함으로 수납 및 인출되는 것을 안내하는 안내활차를 갖는 케이블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축사용 분무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보관함은 메인프레임의 일측 수직바에서 하방으로 길게 연장된 연장바의 하단부에 부착되고, 이 연장바 상에는 전원케이블을 둘러싸서 이 전원케이블이 연장바에 인접된 상태로 케이블보관함으로 인출 및 수납되도록 하는 가이드링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축사용 분무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무액수용통의 저면에 이 분무액수용통 내로 외부의 분무액을 급수하기 위한 급수관이 마련되고, 이 급수관 소정부위에 분무액의 공급 및 차단을 단속하는 급수밸브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축사용 분무 및 살수장치는 축사의 천장에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 상기 양 가이드레일의 내측부에 각각 한 쌍씩 인접 배치되는 동시에 이 한 쌍이 서로 가이드레일 연장 방향을 따라 일정거리 이격된 네 개의 수직바와, 이들 수직바들의 상, 하 단부를 연결하는 상, 하횡바 및 이 상, 하횡바를 연결하는 상, 하종바로 이루어진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수직바 상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상종바 상의 구동모터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 양단부에 축착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회동되는 바퀴가 구비된 회동부; 상기 메인프레임의 수직바 소정부위에 설치되는 분무노즐; 상기 메인프레임의 하횡바 상에 배치되는 분무액수용통; 상기 분무액수용통 인접부인 하종바 상에 배치되고, 분무노즐 및 분무액수용통을 호스로 연결시켜 분무액수용통의 분무액을 분무노즐로 공급하는 분무펌프; 및 상기 메인프레임의 배면에 부착되어 이 메인프레임과 일체로 이동되도록 상단부에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보조바퀴가 구비되고, 이 보조바퀴의 하단에 상기 메인프레임의 폭 방향 양측을 향해 각각 연장된 연장암이 구비되며, 이 연장암에 복수의 살수노즐이 설치된 보조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축사용 분무 및 살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조프레임에는 메인프레임의 수직바와 밀착되는 보조수직바가 구비되고, 이 보조수직바와 상기 수직바에 각각 보조프레임을 메인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축사용 분무 및 살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메인프레임의 수직바에 힌지 결합되고 그 몸통부 외주면의 나사산에 조임너트가 나사 결합되어 있는 걸쇠와, 이 걸쇠에 대응되는 보조프레임의 보조수직바에 상기 걸쇠의 몸통부를 삽입시키고 조임너트로 조여 상기 메인프레임과 보조프레임이 결합되도록 하는 걸림홈부가 형성된 지지편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축사용 분무 및 살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조프레임의 연장암 양단부에는 연결판 상에서 접히고 펴지도록 힌지 결합되고 그 외주면에 관통공을 갖는 절첩암이 구비되며, 상기 연결판 상에 절첩암이 접히고 펴지는 회전 방향을 따라 복수의 고정홀이 형성되고 이 고정홀과 절첩암의 관통공에 동시에 삽입되어 접히고 펴진 상태의 절첩암을 지지하는 고정핀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축사용 분무 및 살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은 연장암의 전후면과 바깥측면을 감싸는 디귿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고, 그 전후면에 고정핀을 삽입시키는 고정홀이 동일선상에 각각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6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축사용 분무 및 살수장치는 축사의 천장에 설치된 가이드레일(10)과, 이 가이드레일(10)을 따라 회동되는 메인프레임(20)과, 이 메인프레임(20)을 회동시키는 회동부(25)와, 상기 메인프레임(20)의 수직바(21) 소정부위에 설치되는 분무노즐(30)과, 상기 메인프레임(20)의 하횡바(22b) 상에 배치되는 분무액수용통(40)과, 상기 분무노즐(30) 및 분무액수용통(40)에 호스(52)로 연결되는 분무펌프(50) 및 상기 메인프레임(20)의 배면에 부착되며 복수의 살수노즐(62)이 구비된 보조프레임(6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10)은 축사의 천장에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고 회동부(25)의 회전축(24a,24b) 양단 바퀴(25a,25b)가 상기 가이드레일(10)의 상부 외주를 감싸는 형상으로 놓여 회동되도록 하는 한 쌍의 장 방형 막대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메인프레임(20)은 상기 양 가이드레일(10)의 내측부에 각각 한 쌍씩 인접 배치되는 동시에 이 한 쌍이 서로 가이드레일(10) 연장 방향을 따라 일정거리 이격된 네 개의 수직바(21)와, 이들 수직바(21)들의 상, 하단부를 각각 연결하는 상, 하횡바(22a,22b) 및 이 상, 하횡바(22a,22b)를 연결하는 복수의 상, 하종바(23a,23b)로 이루어진 사각틀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회동부(25)는 메인프레임(20)의 수직바(21) 상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상종바(23a) 상의 구동모터(12)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24a,24b) 양단부에 각각 축착되어 상기 가이드레일(10)을 따라 회동되는 바퀴(25a,25b)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축(24a,24b)은 메인프레임(20)의 전후 균형을 맞추기 위해서 상기 메인프레임(20)의 상횡바(22a) 상면에 길이방향(즉, 메인프레임(20)의 진행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축지지대(26)의 상면에 다시 메인프레임(20)의 진행방향을 따라 그 전후방향에 일정간격 이격된 한 쌍의 축수부(26a,26b)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2회전축(24a,24b)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1회전축(24a)은 상기 축지지대(26)의 후방 축수부(26a)에 회전 가능하게 축착되고, 구동모터(12)의 구동축풀리(12a)와 벨트 연결되는 회전축풀리(14)와 이 회전축풀리(14) 인접부에 제1스프로켓(16)이 마련되며, 양단부에 각각 바퀴(25a)가 축착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회전축(24b)은 상기 축지지대(26)의 전방 축수부(26b)에 회 전 가능하게 축착되고, 상기 제1회전축(24a)의 제1스프로켓(16)과 체인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2스프로켓(18)이 구비되며, 그 양단부에 각각 바퀴(25b)가 축착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2회전축(24a,24b)의 바퀴(25a,25b)는 가이드레일(10)의 상면과 양측면을 덮어씌우는 형상이 되도록 바퀴(25a,25b) 외주면 중앙부가 오목하게 패이고 이 오목하게 패인 부분으로 가이드레일(10)이 삽입되도록 하여 바퀴(25a,25b)가 가이드레일(1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메인프레임(20)의 일측면에는 가이드레일(10)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진행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설치된 케이블가이드(70) 상에 놓여 있는 전원케이블(72)이 메인프레임(20)의 이동에 따라 인출 및 수납되도록 하는 상면이 개방된 사각박스 형상의 케이블보관함(27)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케이블보관함(27)은 메인프레임(20)의 일측 수직바(21)에서 하방으로 길게 연장된 연장바(21a)의 하단부에 부착되고, 이 연장바(21a) 상에는 전원케이블(72)을 둘러싸서 이 전원케이블(72)이 연장바(21a)에 인접된 상태로 케이블보관함(27)으로 인출 및 수납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링(21b)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보관함(27)의 수직 상부인 메인프레임(20) 상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그 타단부에 전원케이블(72)이 케이블보관함(27)으로 수납 및 인출되는 것을 안내하는 안내활차(75)를 갖는 케이블안내부(74)가 더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분무노즐(30)은 메인프레임(20)의 수직바(21) 소정부위에 각각 복수개가 설치되어 호스(52)를 통해 분무액수용통(40)과 연결되어 있는 분무펌프 (50)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분무액수용통(40)은 메인프레임(20)의 하횡바(22b) 상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는 사각통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분무액수용통(40)의 저면에는 이 분무액수용통(40) 내로 외부의 분무액을 급수하기 위한 급수관(42)이 마련되고, 이 급수관(42) 소정부위에 분무액의 공급 및 차단을 단속하는 급수밸브(4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분무펌프(50)는 상기 분무액수용통(40)의 인접부인 하종바(23b) 상에 배치되고, 분무노즐(30) 및 분무액수용통(40)에 호스(52)로 연결되어 분무액수용통(40)의 분무액을 분무노즐(30)로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보조프레임(60)은 메인프레임(20)의 배면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이 메인프레임(20)과 일체로 이동되도록 그 상단부에 메인프레임(20)의 가이드레일(10)을 따라 이동되는 보조바퀴(64)가 구비되어 있고, 이 보조바퀴(64)의 하단부에 메인프레임(20)의 폭 방향 양측을 향해 각각 연장된 연장암(61)이 구비되며, 이 연장암(61)에 복수의 살수노즐(62)이 구비되는 전체적인 형상이 폭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날개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프레임(60)에는 그 중앙부분에 메인프레임(20)의 수직바(21)와 밀착되는 보조수직바(63)가 구비되고, 이 보조수직바(63)와 상기 수직바(21)에 각각 보조프레임(60)을 메인프레임(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수단은 메인프레임(20)의 수직바(21)에 힌지 결합되고 그 몸통부(28b) 외주면의 나사산(28a)에 조임너트(29)가 나사 결합되어 있는 걸쇠(28)와, 이 걸쇠(28)에 대응되는 보조프레임(60)의 보조수직바(63)에 상기 걸쇠(28)의 몸통부(28b)를 삽입시킨 후 조임너트(28b)로 조여 상기 메인프레임(20)과 보조프레임(60)이 결합되도록 하는 걸림홈부(65a)가 형성된 지지편(65)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외에도 걸쇠(미도시)와 걸고리(미도시)를 이용하는 등 다양한 수단으로 메인프레임(20)과 보조프레임(60)을 결합시킬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메인프레임(20)과 보조프레임(60)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걸쇠(28)를 힌지 회전시켜 그 몸통부(28b)가 보조프레임(60)의 지지편(65)의 걸림홈부(65a)로 삽입되도록 한 후 조임너트(29)를 조여서 걸쇠(28)가 걸림홈부(65a)에 결합 고정되도록 하여 상기 메인프레임(20)과 보조프레임(60)을 일체형으로 결합시키고, 이들을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다시 걸쇠(28)의 조임너트(29)를 풀어 걸쇠(28)를 지지편(65)의 걸림홈부(65a)에서 이탈시키면 상기 메인프레임(20)과 보조프레임(60)이 분리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보조프레임(60)의 연장암(61) 양단부는 연결판(66) 상에서 접히고 펴지도록 힌지 결합되며 그 외주면에 관통공(67a)을 갖는 절첩암(67)으로 되어 있고, 상기 연결판(66) 상에 절첩암(67)이 접히고 펴지는 회전 방향을 따라 복수의 고정홀(66a)이 형성되며 이 고정홀(66a)과 절첩암(67)의 관통공(67a)에 동시에 삽입되어 접히고 펴진 상태 그대로의 절첩암(67)을 지지하는 고정핀(68)이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절첩암(67)이 펼쳐진 상태에서는 동일선상에 일치되어 있는 절첩암 (67)의 관통공(67a)과 연결판(66)의 고정홀(66a)로 고정핀(68)이 삽입된 상태이고, 절첩암(67)을 접을 경우에는 이 절첩암(67)을 지지하고 있는 고정핀(68)을 절첩암(67)의 관통공(67a)과 연결판(66)의 고정홀(66a)로부터 이탈시켜 연장암(61)의 안쪽으로 절첩암(67)을 힌지 회전시켜 접은 후 다시 고정핀(68)을 연결판(66)의 고정홀(66a)에 삽입시켜 놓으면 절첩암(67)이 접힌 상태로 그 외주면이 고정핀(68) 외주면에 걸려 지지되도록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절첩암(67)을 선택적으로 접고 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연결판(66)은 연장암(61)과 절첩암(67)의 전후면과 바깥측면을 감싸는 디귿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고, 그 전후면에 각각 고정핀(68)을 삽입시키는 고정홀(66a)이 동일선상에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미 설명 부호 80은 그 양단부에 보조바퀴(64)가 각각 축착되는 보조회전축(80)을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축사용 분무 및 살수장치는 구동모터(12a)를 작동시켜 제1, 2회전축(24a,24b)이 연동 회전되면서 각각의 바퀴(25,25b)가 가이드레일(10)을 따라 축사 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분무를 위한 분무펌프(50) 및 살수를 위한 살수펌프(미도시)가 각각 작동되어 분무노즐(30)을 통해서는 분무가 이루어지며 살수노즐(62)을 통해서는 살수가 이루어지면서 축사 내부의 분무 및 살수작업이 수행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살수작업은 살수노즐(62)이 좌우로 일정각도만큼 반복 회전되도록 하여 세척수가 축사 내의 폭 방향을 향해 부채살처럼 회전되면서 살수가 이루 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소독과 가습을 위한 분무작업만 수행할 경우에는 메인프레임(20)의 걸쇠(28)의 조임너트(29)를 풀어 보조프레임(60)의 지지편(65)의 걸림홈부(65a)로부터 걸쇠(28)를 분리시켜 메인프레임(20)에서 보조프레임(60)이 이탈되도록 한 후 이 보조프레임(60)은 축사의 일단부로 밀어내어 메인프레임(20)만 구동모터(12)에 의해 자동으로 가이드레일(10)을 따라 왕복 이동되면서 분무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다시 살수작업도 동시에 수행하고자 하면 상기 메인프레임(20)의 걸쇠(28)를 보조프레임(60)의 걸림홈부(65a)에 걸어서 조임너트(29)로 조여 메인프레임(20)과 보조프레임(60)이 결합되도록 한 후 이들이 일체로 이동되면서 각각의 노즐(30,62)을 통해 분무 및 살수가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보조프레임(60)의 연장암(61)은 미사용시 절첩암(67)을 접어서 보관할 수도 있고 다시 사용시에는 펼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인데, 여기서, 상기 절첩암(67)을 접을 경우에는 절첩암(67)을 지지하고 있는 고정핀(68)을 절첩암(67)의 관통공(67a)으로부터 이탈시켜 연장암(61)의 안쪽으로 절첩암(67)을 힌지 회전시킨 후 다시 고정핀(68)을 연결판(66)의 고정홀(66a)에 삽입시킴으로써 절첩암(67)이 접힌 상태로 그 외주면이 고정핀(68)에 걸려 지지되도록 하며, 다시 절첩암(67)을 원상태로 복귀시킬 경우에는 절첩암(67)을 펼친 다음 이렇게 펼쳐진 상태의 절첩암(67)의 관통공(67a)과 연결판(66)의 고정홀(66a)을 일치시켜 고정핀(68)을 일치된 관통공(미도시)과 고정홀(66a)로 삽입시켜 절첩암(67)이 펼쳐진 상태로 유지되도록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축사용 분무 및 살수장치는 양계장 등 축사의 천정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분무 및 살수장치가 자동으로 이동하면서 소독과 가습을 위한 분무 및 세척을 위한 살수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독, 가습 및 세척 작업이 신속하고 수월하게 이루어져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작업비용이 절감되는 동시에 작업능률이 향상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Claims (10)

  1. 축사의 천장에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10);
    상기 양 가이드레일(10)의 내측부에 각각 한 쌍씩 인접 배치되는 동시에 이 한 쌍이 서로 가이드레일(10) 연장 방향을 따라 일정거리 이격된 네 개의 수직바(21)와, 이들 수직바(21)들의 상, 하단부를 연결하는 상, 하횡바(22a,22b) 및 이 상, 하횡바(22a,22b)를 연결하는 상, 하종바(23a,23b)로 이루어진 메인프레임(20);
    상기 메인프레임(20)의 수직바(21) 상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상종바(23a) 상의 구동모터(12)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24a,24b) 양단부에 축착되어 상기 가이드레일(10)을 따라 회동되는 바퀴(25a,25b)가 구비된 회동부(25);
    상기 메인프레임(20)의 수직바(21) 소정부위에 설치되는 분무노즐(30);
    상기 메인프레임(20)의 하횡바(22b) 상에 배치되는 분무액수용통(40); 및
    상기 분무액수용통(40) 인접부인 하종바(23b) 상에 배치되고, 분무노즐(30) 및 분무액수용통(40)을 호스(52)로 연결시켜 분무액수용통(40)의 분무액을 분무노즐(30)로 공급하는 분무펌프(5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축사용 분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24a,24b)은,
    상기 메인프레임(20)의 상횡바(22a)에 설치되고, 그 상면에 전후방향으로 일 정간격 이격된 한 쌍의 축수부(26a,26b)를 갖는 축지지대(26)의 후방 축수부(26a)에 회전 가능하게 축착되며, 구동모터(12)의 구동축풀리(12a)와 벨트 연결되는 회전축풀리(14) 및 이 회전축풀리(14) 인접부에 제1스프로켓(16)이 마련되고, 양단부에 각각 바퀴(25a)가 축착되는 제1회전축(24a); 및
    상기 축지지대(26)의 전방 축수부(26b)에 회전 가능하게 축착되고, 상기 제1회전축(24a)의 제1스프로켓(16)과 체인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2스프로켓(18)이 구비되며, 그 양단부에 각각 바퀴(25b)가 축착되는 제2회전축(24b);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분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20)의 일측면에는 케이블가이드(70) 상에 배치되어 있는 전원케이블(72)이 메인프레임(20)의 이동에 따라 인출 및 수납되도록 하는 케이블보관함(27); 및
    상기 케이블보관함(27)의 수직 상부인 메인프레임(20) 상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그 타단부에 전원케이블(72)이 케이블보관함(27)으로 수납 및 인출되는 것을 안내하는 안내활차(75)를 갖는 케이블안내부(74);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축사용 분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보관함(27)은 메인프레임(20)의 일측 수직바(21)에서 하방으로 길게 연장된 연장바(21a)의 하단부에 부착되고, 이 연장바(21a) 상에는 전원케이블(72)을 둘러싸서 이 전원케이블(72)이 연장바(21a)에 인접된 상태로 케이블보관함(27)으로 인출 및 수납되도록 하는 가이드링(21b)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분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무액수용통(40)의 저면에 이 분무액수용통(40) 내로 외부의 분무액을 급수하기 위한 급수관(42)이 마련되고, 이 급수관(42) 소정부위에 분무액의 공급 및 차단을 단속하는 급수밸브(43)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분무장치.
  6. 축사의 천장에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10);
    상기 양 가이드레일(10)의 내측부에 각각 한 쌍씩 인접 배치되는 동시에 이 한 쌍이 서로 가이드레일(10) 연장 방향을 따라 일정거리 이격된 네 개의 수직바(21)와, 이들 수직바(21)들의 상, 하단부를 연결하는 상, 하횡바(22a,22b) 및 이 상, 하횡바(22a,22b)를 연결하는 상, 하종바(23a,23b)로 이루어진 메인프레임(20);
    상기 메인프레임(20)의 수직바(21) 상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상종바(23a) 상의 구동모터(12)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24a,24b) 양단부에 축착되어 상기 가이드레일(10)을 따라 회동되는 바퀴(25a,25b)가 구비된 회동부(25);
    상기 메인프레임(20)의 수직바(21) 소정부위에 설치되는 분무노즐(30);
    상기 메인프레임(20)의 하횡바(22b) 상에 배치되는 분무액수용통(40);
    상기 분무액수용통(40) 인접부인 하종바(23b) 상에 배치되고, 분무노즐(30) 및 분무액수용통(40)을 호스(52)로 연결시켜 분무액수용통(40)의 분무액을 분무노즐(30)로 공급하는 분무펌프(50);및
    상기 메인프레임(20)의 배면에 부착되어 이 메인프레임(20)과 일체로 이동되도록 상단부에 가이드레일(10)을 따라 이동되는 보조바퀴(64)가 구비되고, 이 보조바퀴(64) 하단에 상기 메인프레임의 폭 방향 양측을 향해 각각 연장된 연장암(61)이 구비되며, 이 연장암(61)에 복수의 살수노즐(62)이 설치된 보조프레임(6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축사용 분무 및 살수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프레임(60)에는 메인프레임(20)의 수직바(22)와 밀착되는 보조수직바(63)가 구비되고, 이 보조수직바(63)와 상기 수직바(22)에 각각 보조프레임(60)을 메인프레임(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분무 및 살수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메인프레임(20)의 수직바(21)에 힌지 결합되고 그 몸통부(28b) 외주면의 나사산(28a)에 조임너트(29)가 나사 결합되어 있는 걸쇠(28)와, 이 걸쇠(28)에 대응되는 보조프레임(60)의 보조수직바(63)에 상기 걸쇠(28)의 몸통부 (28b)를 삽입시키고 조임너트(29)로 조여 상기 메인프레임(20)과 보조프레임(60)이 결합되도록 하는 걸림홈부(65a)가 형성된 지지편(65)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분무 및 살수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프레임(60)의 연장암(61) 양단부에는 연결판(66) 상에서 접히고 펴지도록 힌지 결합되고 그 외주면에 관통공(67a)을 갖는 절첩암(67)이 구비되며, 상기 연결판(66) 상에 절첩암(67)이 접히고 펴지는 회전 방향을 따라 복수의 고정홀(66a)이 형성되고 이 고정홀(66a)과 절첩암(67)의 관통공(67a)에 동시에 삽입되어 접히고 펴진 상태의 절첩암(67)을 지지하는 고정핀(68)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분무 및 살수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66)은 연장암(61)의 전후면과 바깥측면을 감싸는 디귿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고, 그 전후면에 고정핀(68)을 삽입시키는 고정홀(66a)이 동일선상에 각각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분무 및 살수장치.
KR1020050044643A 2005-05-26 2005-05-26 축사용 분무 및 살수장치 KR1006564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4643A KR100656407B1 (ko) 2005-05-26 2005-05-26 축사용 분무 및 살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4643A KR100656407B1 (ko) 2005-05-26 2005-05-26 축사용 분무 및 살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2298A true KR20060122298A (ko) 2006-11-30
KR100656407B1 KR100656407B1 (ko) 2006-12-11

Family

ID=37707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4643A KR100656407B1 (ko) 2005-05-26 2005-05-26 축사용 분무 및 살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640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15234A (zh) * 2016-05-13 2016-08-03 河南天成鸽业有限公司 养殖场综合管理装置
CN106567423A (zh) * 2016-10-26 2017-04-19 左招霞 供水装置
CN110463619A (zh) * 2019-08-08 2019-11-19 塔里木大学 一种动物皮毛寄生虫快速清洗去除装置
CN111013893A (zh) * 2019-12-06 2020-04-17 沈阳建筑大学 树干涂白机
CN114348573A (zh) * 2022-03-16 2022-04-15 江苏环亚医用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吊轨消毒用输送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9670B1 (ko) * 2019-11-04 2020-10-23 (주)비오지노키 분말 살포 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15234A (zh) * 2016-05-13 2016-08-03 河南天成鸽业有限公司 养殖场综合管理装置
CN106567423A (zh) * 2016-10-26 2017-04-19 左招霞 供水装置
CN106567423B (zh) * 2016-10-26 2019-04-23 新昌县佳良制冷配件厂 供水装置
CN110463619A (zh) * 2019-08-08 2019-11-19 塔里木大学 一种动物皮毛寄生虫快速清洗去除装置
CN110463619B (zh) * 2019-08-08 2022-02-25 塔里木大学 一种动物皮毛寄生虫快速清洗去除装置
CN111013893A (zh) * 2019-12-06 2020-04-17 沈阳建筑大学 树干涂白机
CN114348573A (zh) * 2022-03-16 2022-04-15 江苏环亚医用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吊轨消毒用输送装置
CN114348573B (zh) * 2022-03-16 2022-05-24 江苏环亚医用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吊轨消毒用输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6407B1 (ko) 2006-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6407B1 (ko) 축사용 분무 및 살수장치
KR102108101B1 (ko) 농약 살포 장치
US8505562B2 (en) Hands-free cleaning apparatus for roller pads and/or paintbrushes
WO2023011055A1 (zh) 一种医疗科室地面自动消毒机器人
CN214546390U (zh) 一种畜牧养殖用消毒清洗装置
KR20060122299A (ko) 세척용 살수장치
CN215269961U (zh) 养殖场的清洗机器人
KR20100009674A (ko) 실험기구 세척장치
CN214049889U (zh) 一种养鸡场新型喷雾降温消毒装置
DE4027613A1 (de) Verfahren zum buerstenlosen reinigen von fahrzeugen und portalwaschanlage
CN213588184U (zh) 一种养殖厂用消毒冲洗设备
CN114287359B (zh) 多功能宠物消毒杀菌洗浴机及其工作方法
CN216601246U (zh) 多功能宠物消毒杀菌洗浴机
KR200416105Y1 (ko) 살수차용 후방 브러쉬
CN214802130U (zh) 一种冷冻食品消杀用便于移动使用的臭氧消毒机
CN220714430U (zh) 一种土壤消毒车
CN216574408U (zh) 一种农用机械用维护保养装置
KR200497664Y1 (ko) 장화 세척기
JP2579282Y2 (ja) 揺動ノズル装置
CN218607479U (zh) 一种养鸡厂鸡舍快速消毒装置
CN214413895U (zh) 一种可调节喷洒角度的农机装置
CN219415117U (zh) 一种自动补充的消毒用过氧化氢消毒机
CN211863403U (zh) 规模化鸡场用舍内雾化设备
CN212545253U (zh) 一种太阳能打药机
CN210934590U (zh) 一种兽医用药液雾化喷洒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