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2221A -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2221A
KR20060122221A KR1020050044288A KR20050044288A KR20060122221A KR 20060122221 A KR20060122221 A KR 20060122221A KR 1020050044288 A KR1020050044288 A KR 1020050044288A KR 20050044288 A KR20050044288 A KR 20050044288A KR 20060122221 A KR20060122221 A KR 200601222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earphone
terminal
plug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4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4968B1 (ko
Inventor
이종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4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4968B1/ko
Publication of KR20060122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22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4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49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54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mechanically detachable modules
    • H04M1/0258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mechanically detachable modules for a headse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전기 단자가 형성된 소켓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소켓의 개구를 개폐하도록 돌기부가 형성된 소켓 커버와, 소켓에 삽입되어 전기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 단자가 구비되고 돌기부가 끼워지는 돌기부 수용홈이 형성된 플러그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휴대 단말기에 플러그를 연결한 상태에서도 소켓 커버가 플러그에 밀려 찢어지거나 휴대 단말기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한다.
휴대 단말기, 플러그, 소켓, 소켓 커버

Description

휴대 단말기{MOBILE PHONE}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에 이어폰이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 구비되는 이어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이어폰이 삽입된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도 4의 배면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3 : 이어폰 소켓 130 : 이어폰
131 : 이어폰 몸체 132 : 커넥터 단자
133 : 리드선 134 : 돌기부 수용홈
1400 : 이어폰 소켓 커버 1401 : 이어폰 소켓 커버 몸체
1402 : 돌기부 1403 : 연결부
1404 : 돌출편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켓 커버의 돌기부를 수용하는 돌기부 수용홈이 형성된 플러그를 구비함으로써 휴대 단말기에 플러그를 연결한 상태에서도 소켓 커버가 플러그에 밀려 찢어지거나 휴대 단말기로부터 분리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플러그가 구비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가 실내 또는 실외에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 중에도 사용할 수 있는 무선 이동 통신기기로서, 초기의 음성 송수신에 한정되었던 기능이 게임, MP3 청취, 인터넷 및 TV 시청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기기로 발전되고 있다.
특히, MP3 기능이 급속도로 발전함에 따라, 휴대 단말기에 이어폰을 연결하여 듣는 경우가 잦아지고 있으며, 또한 그에 따라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소모량이 증가하여 배터리 충전 케이블을 통하여 자동차에서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여행 중에 배터리를 충전하는 일이 많아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휴대 단말기의 저장 용량이 크게 늘어남에 따라, PC 등에 저장된 자료를 유에스비(USB) 등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에 저장하거나, 반대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다운로드 받은 자료를 유에스비(USB) 등을 이용하여 PC에 저장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이와 같은 이어폰, 배터리 충전 케이블 또는 유에스비(USB)와 같은 플러그는 휴대 단말기 본체의 소켓에 연결하여 MP3를 청취하거나,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자료를 전송하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기술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구성 및 작용 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에 이어폰이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 단말기(1)는, 전기 단자(미도시)가 구비된 소켓(13)이 형성된 단말기 본체(10)와, 단말기 본체(10)의 전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부(20)와, 단말기 본체(10)의 소켓(13)에 삽입되어 전기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 단자(32)가 구비된 이어폰(3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단말기 본체(10)는, 단말기 본체(10)의 전면에 형성되어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번호 입력부(11)와, 단말기 본체(10)의 배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터리(12)와, 단말기 본체(10)의 측면에 형성되고 전기 단자가 내부에 구비된 소켓(13)과, 소켓(13)의 개구를 개폐하도록 단말기 본체(10)에 연결되는 가요성 재질의 소켓 커버(14)로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소켓 커버(14)는 소켓 커버 몸체(141)와, 소켓 커버 몸체(141)로부터 돌출되어 소켓(13)에 끼워지는 돌기부(142)와, 소켓 커버 몸체(141)를 단말기 본체(10)와 연결하는 연결부(143)와, 소켓 커버 몸체(141)의 일단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잡을 수 있는 돌출편(144)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부(20)는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21)와, 표시부(21)의 하단에 구비되어 전원을 온(ON)-오프(OFF) 시키거나 메뉴를 이동시키는 버튼 입력부(22)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이어폰(30)은 이어폰 몸체(31)와, 이어폰 몸체(31)로부터 돌출되고 소켓(13)의 내부에 삽입되어 소켓(13)의 전기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 단자(32)와, 이어폰 몸체(31)로부터 연장 형성된 리드선(33)과, 리드선(33)의 끝단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는 스피커(미도시)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 단말기(1)의 작용 원리는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1)를 이용하여 MP3를 청취하고자 하는 경우, 단말기 본체(10)의 측면에 형성된 소켓(13)의 개구를 덮고 있는 소켓 커버(14)의 돌출편(144)을 손가락으로 잡아 당기면, 소켓 커버(14)가 개방되면서 소켓(13)의 전기 단자가 노출된다.
따라서, 이어폰(30)의 커넥터 단자(32)를 소켓(13) 내부로 삽입하면 소켓(13)의 전기 단자와 이어폰(30)의 커넥터 단자(32)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러면, 사용자는 이어폰(30)의 스피커를 귀에 삽입하여 휴대 단말기(1)를 이용하여 MP3를 청취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 단말기(1)는 소켓 커버(14)를 개방하고 이어폰(30)의 커넥터 단자(32)를 소켓(13)의 내부로 삽입한 경우 소켓 커버(14)의 돌기부(142)가 이어폰 몸체(31)에 밀려나게 되어 소켓 커버(14)의 연결부(143)에 힘이 가해지게 되므로, 연결부(143)가 끊어져서 휴대 단말기(1)로부터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가요성 재질로 구성된 소켓 커버(14)에 변형이 발생하여 이어 폰(30)의 커넥터 단자(32)를 소켓(13)으로부터 인출하고, 소켓 커버(14)의 돌기부(142)를 소켓(13)에 삽입하고자 하는 경우 제대로 끼워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소켓 커버의 돌기부를 수용하는 돌기부 수용홈이 형성된 플러그를 구비함으로써 휴대 단말기에 플러그를 연결한 상태에서도 소켓 커버가 플러그에 밀려 찢어지거나 휴대 단말기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기 단자가 형성된 소켓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소켓의 개구를 개폐하도록 돌기부가 형성된 소켓 커버와, 소켓에 삽입되어 전기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 단자가 구비되고 돌기부가 끼워지는 돌기부 수용홈이 형성된 플러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한다.
이는, 플러그의 커넥터 단자를 소켓에 삽입한 경우에 소켓 커버의 돌기부가 플러그에 형성된 돌기부 수용홈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소켓 커버를 휴대 단말기로부터 연결하는 연결부가 끊어지거나, 소켓 커버의 돌기부에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소켓은 이어폰 소켓으로 구성하고, 상기 플러그는 이어폰으로 구성함으로써, 이어폰의 커넥터 단자를 이어폰 소켓에 삽입한 경우 이어폰 소켓 커버를 휴대 단말기로부터 연결하는 연결부가 끊어지거나, 이어폰 소켓 커버의 돌기 부에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소켓은 유에스비(USB) 소켓 또는 배터리 소켓으로 구성하고, 상기 플러그는 유에스비(USB) 또는 배터리 충전 커넥터로 구성함으로써, 유에스비 또는 배터리 충전 커넥터의 커넥터 단자를 유에스비 소켓 또는 배터리 소켓에 삽입한 경우, 유에스비 소켓 커버 또는 배터리 소켓 커버를 휴대 단말기로부터 연결하는 연결부가 끊어지거나, 유에스비 소켓 커버 또는 배터리 소켓 커버의 돌기부에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 및 작용 원리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 구비되는 이어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이어폰이 삽입된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전기 단자(미도시)가 구비된 이어폰 소켓(113)이 형성된 단말기 본체(110)와, 단말기 본체(110)의 전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부(120)와, 단말기 본체(110)의 이어폰 소켓(113)에 삽입되어 전기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 단자(132)가 구비된 이어폰(13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단말기 본체(110)는, 단말기 본체(110)의 배면에 착탈 가능하 게 결합되는 배터리(112)와, 단말기 본체(112)의 측면에 형성되고 전기 단자가 내부에 구비된 이어폰 소켓(113)과, 이어폰 소켓(113)의 개구를 개폐하도록 단말기 본체(110)에 연결되는 가요성 재질의 이어폰 소켓 커버(1400)로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이어폰 소켓 커버(1400)는 이어폰 소켓 커버 몸체(1401)와, 이어폰 소켓 커버 몸체(1401)로부터 돌출되어 이어폰 소켓(113)에 끼워지는 돌기부(1402)와, 이어폰 소켓 커버 몸체(1401)를 단말기 본체(110)와 연결하는 연결부(1403)와, 이어폰 소켓 커버 몸체(1401)의 일단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잡을 수 있는 돌출편(1404)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이어폰(130)은 이어폰 몸체(131)와, 이어폰 몸체(131)로부터 돌출되고 이어폰 소켓(113)의 내부에 삽입되어 이어폰 소켓(113)의 전기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 단자(132)와, 이어폰 몸체(131)로부터 연장 형성된 리드선(133)과, 리드선(133)의 끝단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는 스피커(미도시)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이어폰 몸체(131)의 측면에는 상기 이어폰 소켓 커버(1400)의 돌기부(1402)가 삽입되도록 돌기부(1402)의 외경과 같은 내경으로 형성된 돌기부 수용홈(134)이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작용 원리는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MP3를 청취하고자 하는 경우, 단말기 본체(110)의 측면에 형성된 이어폰 소켓(113)의 개구를 덮고 있는 이어폰 소켓 커 버(1400)의 돌출편(1404)을 손가락으로 잡아 당기면, 이어폰 소켓 커버(1400)가 개방되면서 이어폰 소켓(113)의 전기 단자가 노출된다.
따라서, 이어폰(130)의 커넥터 단자(132)를 이어폰 소켓(113) 내부로 삽입하면 이어폰 소켓(113)의 전기 단자와 이어폰(130)의 커넥터 단자(132)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러면, 사용자는 이어폰(130)의 스피커를 귀에 삽입하여 휴대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MP3를 청취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이어폰 소켓 커버(1400)의 돌기부(1402)를 이어폰 몸체(131)의 측면에 형성된 돌기부 수용홈(134)에 삽입하면, 이어폰 소켓 커버(1400)가 이어폰 몸체(131)에 의하여 밀리는 현상이 방지됨으로써 이어폰 소켓 커버(1400)의 연결부(1403)가 끊어지거나, 이어폰 소켓 커버(1400)의 돌기부(1402)에 변형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해결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이어폰과 이어폰 소켓의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유에스비(USB)와 유에스비 소켓의 경우 또는 배터리 충전 커넥터와 배터리 소켓의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소켓 커버의 돌기부를 수용하는 돌기부 수용홈이 형성된 플러그를 구비함으로써 휴대 단말기에 플러그를 연결한 상태에서도 소켓 커버가 플러그에 밀려 찢어지거나 휴대 단말기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한다.

Claims (5)

  1. 전기 단자가 형성된 소켓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소켓의 개구를 개폐하도록 돌기부가 형성된 소켓 커버와;
    상기 소켓에 삽입되어 상기 전기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 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돌기부가 끼워지는 돌기부 수용홈이 형성된 플러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은 이어폰 소켓이고,
    상기 플러그는 이어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은 유에스비(USB) 리셉터클이고,
    상기 플러그는 유에스비(US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은 배터리 리셉터클이고,
    상기 플러그는 배터리 충전 커넥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 커버는 가요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050044288A 2005-05-25 2005-05-25 휴대 단말기 KR1010549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4288A KR101054968B1 (ko) 2005-05-25 2005-05-25 휴대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4288A KR101054968B1 (ko) 2005-05-25 2005-05-25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2221A true KR20060122221A (ko) 2006-11-30
KR101054968B1 KR101054968B1 (ko) 2011-08-05

Family

ID=37707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4288A KR101054968B1 (ko) 2005-05-25 2005-05-25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4968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4294B1 (ko) * 2002-07-26 2005-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이어폰잭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4968B1 (ko) 2011-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51095B2 (en) Charging case with a built-in USB cable
US20210368253A1 (en) Neck-strap type earphone
AU2008201390B2 (en) A multifunctional connection cord
JP2017500761A (ja) 統合型入出力インタフェース付きのパワーアダプタ装置、及び多機能パワーアダプタ用保管凹所付き携帯用電子機器
US20120172090A1 (en) Protective Case with Speaker and Microphone
US20150037618A1 (en) Protecting case
US7278877B2 (en) Connector assembly for connecting mobile phone to peripheral device
TWM459668U (zh) 電子裝置之保護裝置
KR102241395B1 (ko) 무선 이어폰 및 이를 수납할 수 있는 전자기기
KR100963886B1 (ko) 멀티형 유에스비 젠더 조립체
CN111726726A (zh) 一种可切换用作对讲机的蓝牙耳机充电收纳盒
US20190006791A1 (en) Cable Strain Relief Device With Grip Member
JP4972697B2 (ja) 電子装置
CN111095945B (zh) 用于将耳机耦接至移动装置的附接模块
KR101054968B1 (ko) 휴대 단말기
KR20070020789A (ko) 데이터케이블을 내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0802617B1 (ko) 커넥팅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WO2016050167A1 (zh) 蓝牙耳机
CN112770304B (zh) 配对方法、无线适配器和无线耳机
CN214481160U (zh) 耳机盒和电子组件
CN212305625U (zh) 一种可切换用作对讲机的蓝牙耳机充电收纳盒
CN213990979U (zh) 耳机盒和电子组件
EP3713248B1 (en) Device having a power adaptor and speaker devices
CN212345646U (zh) 用于无线耳机的收纳盒及无线耳机产品组件
GB2562237A (en) An audio kit with earphones or headpho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