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2146A - 오디오출력장치를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 Google Patents

오디오출력장치를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2146A
KR20060122146A KR1020050044165A KR20050044165A KR20060122146A KR 20060122146 A KR20060122146 A KR 20060122146A KR 1020050044165 A KR1020050044165 A KR 1020050044165A KR 20050044165 A KR20050044165 A KR 20050044165A KR 20060122146 A KR20060122146 A KR 200601221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
earphone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au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4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승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50044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22146A/ko
Publication of KR20060122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21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2Constructiona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Abstract

본 발명은 오디오출력장치를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단말기본체 일 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피커와; 미디어데이터를 처리하여 생성된 오디오신호를 상기 스피커로 입력하기 위한 스피커 패스와, 상기 생성된 오디오신호를 이어폰 출력으로 제공하기 위한 이어폰 패스를 갖는 미디어데이터 처리부와; 상기 증폭기에서 상기 스피커로 연결된 오디오신호의 출력라인에 개재되어 상기 출력라인의 임피던스를 이어폰신호 출력을 위한 임피던스로 매칭시키는 임피던스 매칭부와; 상기 스피커의 사용용도에 따라, 스피커모드일 경우 상기 미디어데이터 처리부에서 재생된 오디오신호가 상기 스피커 패스를 통해 상기 스피커로 직접 입력되도록 제어하고, 이어폰모드일 경우 상기 미디어데이터 처리부에서 재생된 오디오신호가 상기 이어폰 패스로 출력되어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를 통해 상기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이동통신단말기의 본체에 설치된 스피커를 탈장하여 이어폰용 이어피스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이동통신단말기의 멀티미디어 기능 사용이 편리해 진다.

Description

오디오출력장치를 갖는 이동통신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OUDIO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출력장치를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출력장치를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블럭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RF모듈 3 : 키패드
5 : 디스플레이부 31 : 오디오 증폭부
33 : 미디어데이터 처리부 35 : 임피던스 매칭회로
37 : 제어부 100 : 본체
102 : 이어피스 수납구 104 : 케이블
106 : 이어피스
본 발명은 오디오출력장치를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동통신단말기의 본체에 설치 된 스피커를 이어피스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평소에는 스피커의 용도로 사용하고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된 음원데이터 재생 시에는 본체로부터 이어피스를 탈장하여 이어폰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오디오출력장치를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이동통신단말기는 고유한 기능인 전화기능 이외에도 TV, 라디오, 멀티미디어 데이터 재생 등 다양한 부가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디지털 음원파일인 MP3데이터를 재생하는 기능을 지원하는 이동통신단말기도 개발되어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향유하고자 하는 소비자들에게 호응을 얻고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단말기는 메모리에 저장 된 MP3데이터나 무선수신 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스피커내지는 이어폰잭을 통해 멀티미디어사운드를 송출함으로써 사용자가 멀티미디어사운드를 감상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동통신단말기의 멀티미디어 기능은 이동 중이거나 대기 중일 경우 사용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공공장소나 외부에서의 감상을 위해 많은 사용자들이 이어폰을 이용하고 있다. 이에, 사용자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연결하기 위한 이어폰을 항상 휴대하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 된 것으로서, 이동통신단말기의 본체에 설치 된 스피커를 이어피스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평소에는 스피커의 용도로 사용하고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된 음원데이터 재생 시에는 본체로부터 이어피스를 탈장하여 이어폰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오디오출력장치를 갖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출력장치를 갖는 이동통신단말기는, 단말기본체 일 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피커와; 미디어데이터를 처리하여 생성된 오디오신호를 상기 스피커로 입력하기 위한 스피커 패스와, 상기 생성된 오디오신호를 이어폰 출력으로 제공하기 위한 이어폰 패스를 갖는 미디어데이터 처리부와; 상기 증폭기에서 상기 스피커로 연결된 오디오신호의 출력라인에 개재되어 상기 출력라인의 임피던스를 이어폰신호 출력을 위한 임피던스로 매칭시키는 임피던스 매칭부와; 상기 스피커의 사용용도에 따라, 스피커모드일 경우 상기 미디어데이터 처리부에서 재생된 오디오신호가 상기 스피커 패스를 통해 상기 스피커로 직접 입력되도록 제어하고, 이어폰모드일 경우 상기 미디어데이터 처리부에서 재생된 오디오신호가 상기 이어폰 패스로 출력되어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를 통해 상기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미디어데이터 처리부의 상기 이어폰 라인에 개재되어 상기 오디오신호를 증폭한 후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로 인가하는 오디오 증폭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피커모드일 경우 상기 이어폰 패스 및 상기 오디오 증폭부가 오프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어폰모드일 경우 상기 스피커 패스가 오프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스피커의 착탈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단말기본체에 상기 스피커가 장착된 경우 상기 제어부에 스피커모드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스피커거 상기 단말기본체로부터 탈장된 경우 상기 제어부에 이어폰모드신호를 출력하는 착탈감지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출력장치를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출력장치를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이동통신단말기는 본체(100) 일 측에는 이어피스(106)의 수납을 위한 이어피스 수납구(102)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어피스(106)는 케이블(104)을 통해 본체(100) 내 멀티미디어 사운드의 제공을 위한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이어폰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이어피스 수납구(102)에서 이어피스(106)를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이어피스(106)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케이블(104)은 본체(100)의 내부공간으로 수납되고 이어피스(106)는 이어피스 수납구(102)에 삽입 고정된다. 이어피스 수납구(102)에 수납되는 이어피스(106)는 사운드 송출 면이 외측을 향하도록 수납되어 수납된 상태에서는 벨소리나 알람 등을 송출하는 스피커로 동작한다. 여기서, 이어피스(106)의 개수나 형태 및 이어피스 수납구(102)의 형성 위치 등은 다 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출력장치를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 된 바와 같이, 본 이동통신단말기는 데이터의 무선송수신을 위한 RF모듈(1)과, 사용자 선택을 위한 키패드(3)와, 메뉴 및 기능의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부(5)와, 오디오신호를 증폭하여 이어피스(106)의 스피커(SPK L, SPK R)로 송출하는 오디오 증폭부(31)와, 이어피스(106)를 이어폰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임피던스를 조절하는 임피던스 매칭회로(35)와, MP3파일 등의 멀티미디어 오디오데이터를 재생하여 직접 스피커(SPK L, SPK R)로 인가하거나 오디오 증폭부(31)를 통해 스피커(SPK L, SPK R)로 출력하는 미디어데이터 처리부(33)와,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하는 한편 이어피스(106)가 스피커의 용도로 사용될 경우 오디오신호가 스피커 패스(스피커_R, 스피커_L)로 인가되도록 하고 이어폰의 용도로 사용될 경우 오디오신호가 이어폰 패스(이어폰_R, 이어폰_L)로 인가되도록 하는 제어부(37)를 포함한다.
미디어데이터 처리부(33)는 MP3 코덱 등을 포함하여 MP3파일이나 미디어파일 등의 사운드데이터를 재생하여 오디오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미디어데이터 처리부(33)는 제어부(37)의 제어에 따라 재생 된 오디오신호를 스피커 패스(스피커_R, 스피커_L)로 인가하여 직접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이어피스(106)를 스피커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이어피스(106)를 탈장하여 이어폰의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 미디어데이터 처리부(33)는 제어부(37)의 제어에 따라 재생 된 오디오신호를 이어폰 패스(이어폰_R, 이어폰_L)로 인가함으로써 사용자가 이어 피스(106)를 이어폰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오디오 증폭부(31)는 미디어데이터 처리부(33)에서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증폭 출력한다.
임피던스 매칭회로(35)는 오디오 증폭부(31)의 출력라인에 개재되어 이어피스(106)와의 임피던스를 정합시킴으로써 이어피스(106)를 이어폰 및 스피커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통상 스피커의 경우 임피던스가 8??정도인데 반해 이어폰의 경우 임피던스가 16~32??임으로, 이어피스(106)가 이어폰의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 임피던스 매칭회로(35)를 통해 오디오신호를 출력하여 임피던스가 정합되도록 한다. 이에, 임피던스 매칭회로(35)는 저항이나 코일 및 인덕터 등의 저항성분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제어부(37)는 RF모듈(1)을 통해 음성신호를 송수신하는 등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하는 한편, 이어피스(106)의 사용 용도에 따라 미디어데이터 처리부(33)의 오디오신호 출력패스와 임피던스 매칭회로(35)를 제어하여 이어피스(106)를 스피커 또는 이어폰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제어부(37)는 이어피스 설정메뉴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스피커/이어폰 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또는 이어피스(106)의 수납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를 추가함으로써 제어부(37)가 이어피스(106)의 수납상태에 따라 오디오신호의 출력패스를 자동 제어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이어피스(106)를 본체(100)에 수납하여 스피커의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 제어부(37)는 미디어데이터 처리부(33)에서 재생된 오디오신호 가 스피커 패스(스피커_R, 스피커_L)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는 한편, 이어폰 패스(이어폰_R, 이어폰_L)의 오디오 증폭부(31)를 오프시켜 이어피스(106)를 스피커로 구동되도록 한다.
한편, 이어피스(106)를 본체(100)로부터 탈장하여 이어폰의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 제어부(37)는 스피커 패스(스피커_R, 스피커_L)를 오프시키는 한편 미디어데이터 처리부(33)에서 재생된 오디오신호가 이어폰 패스(이어폰_R, 이어폰_L)를 통해 오디오 증폭부(31)로 인가되도록 한다. 이에, 오디오 증폭부(31)는 오디오신호를 증폭하여 임피던스 매칭회로(35)를 통해 스피커(SPK R, SPK L)로 출력함으로써 이어피스가 이어폰으로 구동되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 고정 설치되는 스피커를 탈장 가능하게 설계하는 한편 임피던스 매칭회로를 통해 스피커와의 임피던스를 조절함으로써 이동통신단말기의 본체에 설치된 스피커를 이어피스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오디오출력장치를 갖는 이동통신단말기는, 이동통신단말기에 고정 설치되는 스피커를 탈장 가능하게 설계하는 한편 임피던스 매칭회로를 통해 스피커와의 임피던스를 조절함으로써 이동통신단말기의 본 체에 설치된 스피커를 이어폰용 이어피스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에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이어폰이 필요치 아니함으로 이동통신단말기의 멀티미디어 기능 사용이 편리해 진다.

Claims (5)

  1. 단말기본체 일 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피커와;
    미디어데이터를 처리하여 생성된 오디오신호를 상기 스피커로 입력하기 위한 스피커 패스와, 상기 생성된 오디오신호를 이어폰 출력으로 제공하기 위한 이어폰 패스를 갖는 미디어데이터 처리부와;
    상기 증폭기에서 상기 스피커로 연결된 오디오신호의 출력라인에 개재되어 상기 출력라인의 임피던스를 이어폰신호 출력을 위한 임피던스로 매칭시키는 임피던스 매칭부와;
    상기 스피커의 사용용도에 따라, 스피커모드일 경우 상기 미디어데이터 처리부에서 재생된 오디오신호가 상기 스피커 패스를 통해 상기 스피커로 직접 입력되도록 제어하고, 이어폰모드일 경우 상기 미디어데이터 처리부에서 재생된 오디오신호가 상기 이어폰 패스로 출력되어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를 통해 상기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출력장치를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데이터 처리부의 상기 이어폰 라인에 개재되어 상기 오디오신호를 증폭한 후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로 인가하는 오디오 증폭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출력장치를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피커모드일 경우 상기 이어폰 패스 및 상기 오디오 증폭부가 오프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출력장치를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어폰모드일 경우 상기 스피커 패스가 오프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출력장치를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의 착탈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단말기본체에 상기 스피커가 장착된 경우 상기 제어부에 스피커모드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스피커거 상기 단말기본체로부터 탈장된 경우 상기 제어부에 이어폰모드신호를 출력하는 착탈감지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출력장치를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KR1020050044165A 2005-05-25 2005-05-25 오디오출력장치를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KR200601221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4165A KR20060122146A (ko) 2005-05-25 2005-05-25 오디오출력장치를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4165A KR20060122146A (ko) 2005-05-25 2005-05-25 오디오출력장치를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2146A true KR20060122146A (ko) 2006-11-30

Family

ID=37707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4165A KR20060122146A (ko) 2005-05-25 2005-05-25 오디오출력장치를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2214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3067B1 (ko) * 2006-07-25 2008-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어폰의 기능키 구현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3067B1 (ko) * 2006-07-25 2008-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어폰의 기능키 구현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86802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personal hands-free accessory with audio disable
US7903826B2 (en) Headset with ambient sound
US8290537B2 (en) Sidetone adjustment based on headset or earphone type
EP2109989B1 (en) Microphone techniques
US20080165988A1 (en) Audio blending
JP2007110427A (ja) 音響システム
JP2010527541A (ja) 周囲雑音減少機能を備えた通信装置
JP2007336511A (ja) 携帯用電磁機器用外装型スピーカーシステム及びこのための無線受信パック
JP4569414B2 (ja) 音声出力装置
KR20060122146A (ko) 오디오출력장치를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KR101808253B1 (ko) 무선 헤드폰 및 이를 이용한 음향 증폭 시스템
KR100469847B1 (ko) 다기능 오디오폰
KR100441671B1 (ko) 다기능 음성신호 제어장치
JP3155879U (ja) 携帯用音声制御システム及びその音声制御装置
KR100632112B1 (ko) 이동통신단말기용 배터리팩 및 그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0684519B1 (ko) 카오디오용 음성 인식 핸즈프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카오디오
CN108540903B (zh) 一种音量放大配件、终端、音量放大配件识别方法
KR20000056051A (ko) 휴대용 디지털오디오데이터 재생기 겸용 휴대폰
KR101114123B1 (ko) 오디오 입력장치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200262156Y1 (ko) 다기능 음성신호 제어장치
KR101126614B1 (ko) 음향신호 출력 장치
KR100683279B1 (ko) 음성변조기능을 구비한 리모컨
US20070280488A1 (en) Electronic apparatus with earphones also capable of serving as speakers
JPH10200990A (ja) 携帯音響機器用イヤホン装置
KR20020092641A (ko) 다기능 음성신호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