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1590A - 고정키 설정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문자메시지 편집방법 - Google Patents

고정키 설정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문자메시지 편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1590A
KR20060121590A KR1020050043842A KR20050043842A KR20060121590A KR 20060121590 A KR20060121590 A KR 20060121590A KR 1020050043842 A KR1020050043842 A KR 1020050043842A KR 20050043842 A KR20050043842 A KR 20050043842A KR 20060121590 A KR20060121590 A KR 200601215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fixed key
setting
ke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3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만하
Original Assignee
브이케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이케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브이케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3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21590A/ko
Publication of KR20060121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15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글,숫자, 영어 및 특수문자등을 포함하는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상태를 쉽게 변환할 수 있도록 하며 아울러 어느 하나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설정키를 고정키로 설정하며 아울러 쉽게 설정/해제시킬 수 있도록 하여 문자입력을 간편하게 할 수 있고 문자입력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정키 설정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문자메시지 편집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키 설정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1)의 문자편집방법은, 입력부(12), 제어부(8), 표시부(24), 및 인터페이스 화면표시 프로그램 저장부(9), 고정키 설정 프로그램 저장부(13), 폰트롬(6)을 포함하는 메모리부(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고정키 설정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편집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12)를 통한 메시지 입력 요구신호 따라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화면(I)을 사용자의 단말기(1)의 표시부(24)를 통해 표시하는 제 1과정; 사용자가 입력부(12)를 통해 메시지를 입력하면, 고정키 설정여부를 판단하고, 만약 고정키가 설정된 경우에는,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I)에 고정키 설정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표시수단과 함께 입력된 내용을 표시하는 제 2과정; 및 사용자에 의해 상기 입력부(12)의 특정키가 길게 눌러진 경우에는,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I)에 표시된 고정키 설정상태 표시수단을 해제시키고 변경된 상태에 해당하는 모드의 문자를 해당문자입력 상태 표시수단과 함께 표시하는 제 3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문자입력, 인터페이스 화면, 고정키, 키 설정상태 표시수단

Description

고정키 설정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문자메시지 편집방법{Mobile Phone Capable Of Setting A Fixing Key And Method For Editting Character Using The Sam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기능키 버튼 및 일반키 버튼 부분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2 및 도 3에 따른 메뉴키 설정 및 설정된 내용 입력단계를 개략적으로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키 설정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따른 고정키 설정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키 설정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메시지 입력표시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고정키가 설정된 상태에서의 문자입력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키 설정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메시지 입력표시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특수문자키가 설정된 상태에서의 문자입력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c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키 설정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메시지 입력표시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한글문자키가 설정된 상태에서의 문자입력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d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키 설정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메시지 입력표시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영문자키가 설정된 상태에서의 문자입력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키 설정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고정키 버튼 설정을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6 : 폰트롬
8 : 제어부
9 : 인터페이스 화면표시 프로그램 저장부
13 : 고정키 설정 프로그램 저장부
24 : 표시부
26 : 메모리부
본 발명은 고정키 설정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문자메시지 편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한글,숫자, 영어 및 특수문자등을 포함하는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상태를 쉽게 변환할 수 있도록 하며 아울러 어느 하나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설정키를 고정키로 설정하며 아울러 쉽게 설정/해제시킬 수 있도록 하여 문자입력을 간편하게 할 수 있고 문자입력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정키 설정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문자메시지 편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개폐 방식에 따라 플립형, 바형, 폴더형 및 슬라이드형이 있다. 도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도시한 것이고, 도 2 및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기능키 버튼 및 일반키 버튼 부분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들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2 및 도 3에 따른 메뉴키 설정 및 설정된 내용 입력단계를 개략적으로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도1 내지 도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제1 본체(110)와, 슬라이딩 장치(미도시)에 의하여 상기 제1 본체(110)에 대하여 슬라 이드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2 본체(120)로 이루어진다.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제2 본체(120)는 스피커(122)와, 표시창(124)과, 기능키버튼(112b)을 구비하고 있으며, 제1 본체(110)는 일반키버튼(112a)과 마이크(11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일반키버튼(112a) 및 기능키버튼(112b)를 포함하여 키버튼부(112)로 칭한다. 상기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사용하여 통화를 하거나 자료를 다운 받거나 하는 때에는 도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본체(110)에 대하여 제2 본체(120)을 밀어 올려 사용한다.
한편,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100)를 사용하여 한글(기타 영문, 특수문자포함)과 숫자가 포함된 메시지, 예를 들어, '빵 10개'의 메시지를 입력시키려고 하는 경우에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능키버튼(112b) 중의 메뉴버튼을 눌러 한글, 영어 또는 숫자중 한글 모드를 선택하고 난 후에 일반키버튼(112a)에서 입력하고자 하는 내용의 문자, 즉, '빵'의 'ㅃ'이 위치한 부분의 버튼을 누르고 기타 'ㅏ' 모음과 'ㅇ' 받침에 해당하는 버튼을 추가로 누른다. 이후 숫자를 입력하려면 메뉴버튼을 숫자 모드를 변환시킨 후에 해당 숫자 버튼을 눌러야 한다.
즉, 한글입력모드에서 숫자모드로 변환할 때 시프트키(방향키, 메뉴선택하고 방향키로 숫자모드 선택함, 도 4참조)를 누르거나 또는 버튼을 길게 입력하여 숫자모드로 변환하고(도 5참조) 다시 시프트키(방향키, 메뉴를 한글입력메뉴로 다시 재설정해야 한글입력이 가능함)를 눌러야 한다. 이와 같은 입력방식은 도 2 및 도 3의 일반키버튼 및 기능키버튼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일반적이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문자입력방법은 사용자가 문자입력중에 현재 상태가 숫자입력상태인지, 한글입력상태인지, 기타 영문자 혹은 특수문자의 입력상태인지 파악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문자입력도중에 다른 형태의 문자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별도로 구비된 시프트키를 눌러야만 하므로 여러가지 형태의 문자가 혼합된 문자메시지를 입력하는 경우에는 시프트키를 누르는 횟수가 많아지므로 문자입력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문자입력시간도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문자편집과 관련한 종래기술로서는 문자편집 선택키의 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측부위에 일련의 아라비아 숫자가 표시되고 그 숫자위에 자모 문자열이 배치되게 하고 시프트키로 그 자모문자열을 변형시켜가면서 특정 자모를 선택하여 문자를 편집하는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국내특허출원번호 제1997-35062호).
그러나 상기 기술은 문자자판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에게는 쉬울지 모르나 자판에 익숙한 사용자는 오히려 문자편집시간이 느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또한 기존의 문자입력 키패드를 문자입력에 사용하지 않게되는 불필요한 구조변경이 가해지므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가격이 상승하는 요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문자입력형태의 변환방식을 개선함으로써 문자입력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고정키 설정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문자메시지 편집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부, 제어부, 표시부, 및 인터페이스 화면표시 프로그램 저장부, 고정키 설정 프로그램 저장부, 폰트롬을 포함하는 메모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고정키 설정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편집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를 통한 메시지 입력 요구신호에 따라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사용자의 단말기의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제 1과정; 사용자가 입력부를 통해 메시지를 입력하면, 고정키 설정여부를 판단하고, 만약 고정키가 설정된 경우에는,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에 고정키 설정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표시수단과 함께 입력된 내용을 표시하는 제 2과정; 및 사용자에 의해 상기 입력부의 특정키가 길게 눌러진 경우에는,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된 고정키 설정상태 표시수단을 해제시키고 변경된 상태에 해당하는 모드의 문자를 해당문자입력 상태 표시수단과 함께 표시하는 제 3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키 설정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편집방 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과정에서, 만약 고정키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에 현재 상태에 해당하는 모드의 문자입력 상태 표시수단이 표시되도록 함과 동시에 입력된 내용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3과정에서 해제되는 고정키 설정 상태표시수단에는 상기 입력부에 갖추어진 다수개의 버튼들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해당 버튼의 숫자가 함께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력부에 갖추어진 다수개의 버튼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고정키로 설정된 버튼은 사용자에 의해 눌러질 때마다 설정 또는 해제 상태가 설정될 수 있도록 하는 토글키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키는 상기 입력부에 갖추어진 숫자입력 버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력부, 제어부 및 표시부, 폰트롬을 포함하는 메모리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고정키 설정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메시지 입력요구신호에 따라 사용자의 단말기의 표시부상에 메시지 입력을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는 인터페이스 화면표시 프로그램 저장부; 및 상기 입력부에 갖추어진 특정버튼 중 하나를 고정키로 설정할 수 있도록 고정키 설정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부상에 표시하는 고정키 설정 프로그램 저장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부를 포함한 장치 전반을 제어하며, 상기 메시지 입력을 위한 인 터페이스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입력부를 통한 메시지를 입력신호가 있는 경우에는, 고정키 설정여부를 판단하고, 만약 고정키가 설정된 경우에는, 상기 메시지 입력 인터페이스 화면에 고정키 설정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표시수단과 함께 입력된 내용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이후 사용자에 의해 상기 입력부의 특정키가 길게 눌러진 경우에는, 상기 메시지 입력 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된 고정키 설정상태 표시수단을 해제시키고 변경된 상태에 해당하는 모드의 문자를 해당문자입력 상태 표시수단과 함께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키 설정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공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정키 설정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문자메시지 편집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형은 도 1의 슬라이드 형 또는 기타 폴더형등에 제한없이 적용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키 설정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는 일반키버튼 및 기능키버튼들을 포함하는 입력부(12), 제어부(8), 마이크 장치(14), 스피커(22), 표시부(24), 조명부(25), 메모리부(26), 전원부(5) 및 송수신부(7)를 포함하 여 구성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는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1)를 작동시키기 위한 명령신호를 입력하는 수단인 입력부(12)와, 통화 시 사용자의 음성이 입력되는 마이크장치(14)와, PC 등으로부터 자료를 입력받거나 이동통신 단말기(1)에 저장된 자료를 PC 등으로 출력하거나 외부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외부 단자 포트(도시안됨)와, 안테나(도시안됨)를 통하여 무선 송수신 자료를 전송받거나 전송하기 위한 송수신부(7)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8)의 제어에 따라 각종 정보를 표시하며 입력부(12)로부터 입력된 키 데이터 및 제어부의 각종 신호를 입력 받아 디스플레이 하는 표시부(24)와, 상대방의 음성이나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동영상 자료, 녹음 자료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22)를 구비한다.
상기 메모리부(26)는 이동통신 단말기(1)를 제어하는데 필요한 프로그램 데이터와 제어부의 동작 제어 시 또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동작 수행 중 발생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며, 이동통신 단말기(1)를 제어하는데 필요한 소정의 프로그램이나 사용자의 입력 자료를 저장하기 위한 비휘발성 메모리와 프로그램 실행 시 프로그램을 적재하기 위한 휘발성 메모리가 사용된다. 비휘발성 메모리는 비휘발성이면서도 데이터의 읽기와 쓰기가 가능한 플래쉬 메모리가 주로 사용된다. 상기 제어부(8)는 이동통신 단말기(1) 각 구성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참조부호 6 및 9는 상기 메모리부(26)에 포함된 인터페이스 화면표시 프로그램 저장부 및 문자(한글,영문자,숫자, 특수문자등)관련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폰트롬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특히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표시 프로그램 저장부는 본 발명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문자메시지 편집화면과 관련한 인터페이스 화면의 표시를 담당한다.
또한 참조부호 13은 고정키를 설정할 수 있는 고정키설정 프로그램 저장부를 나타낸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메모리부(26)는 단말기(1)의 사용시 발생되는 데이터의 저장 및 독취를 위한 작업용(working) 메모리를 구비한다.
도 7은 도 6에 따른 고정키 설정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문자메시지 편집을 위하여 메뉴화면을 선택하면(메뉴화면 선택은 단말기상에 메뉴선택키를 눌러 선택할 수 있다. 이 부분은 종래와 거의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는 메시지 입력메뉴 화면(메시지 입력을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I), 도 8a 내지 도 8d참조)이 사용자의 단말기(1)의 표시부(24)상에 표시된다(ST-2).
이후, 사용자가 메시지를 입력부(12)를 통해 입력하면, 이후 제어부(8)는 고정키가 설정되었는지를 판단한다(ST-6). 상기 단계 ST-6에서, 만약 고정키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인터페이스 화면(I)에 상태 표시수단으로서 아이콘(F1)(설정된 해당버튼의 숫자가 표시됨)이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아울러 입력된 숫자가 표시되도록 한다(ST-8)(도 8a 참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고정키는 숫자키로 미리 설정된 것으로 가정한다. 물론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편의상 메시지 입력시 문자입력을 많이 하기 때문에 숫자키를 고정키로 설정가능하도록 한 것이며 고정키는 해제와 설정이 가능하도록 토글키(누를때 마다 전환됨) 타입으로 구성된다.
상기 단계 ST-8이후에, 제어부(8)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부(12)를 통해 특정한 입력키가 길게 눌러졌는지를 판단한다(ST-10). 만약 상기 단계 ST-10에서, 특정한 입력키가 길게 눌러진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8)는 다른 기능을 선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인터페이스 화면(I)에 표시된 아이콘(F1)을 해제시키고(화면에서 사라지게 함) 변경 설정된 상태를 나타내는(예를 들면 한글, 영문자 혹은 특수문자등으로 설정됨) 표시수단인 다른 아이콘을 표시한다(ST-12).
한편 상기 단계 ST-6에서 만약 고정키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입력된 문자를 그대로 표시한다(ST-14).
상기 실시예에서는 고정키가 숫자고정키로 설정된 것으로 가정하였으나, 기타 다른 키를 고정키로 설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키 설정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메시지 입력표시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고정키가 설정된 상태에서의 문자입력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시지 입력메뉴 선택시 이와 같은 형태의 인터페이스 화면(I)이 사용자 단말기(1)의 표시부(24)에 표시된다.
메시지 입력내용은 특정한 파일명(예를 들면, 0000으로 가정함)으로 하여 메 모리부(26)에 저장된다.
참조부호 C1은 메모리부(26)에 저장된 자료중 특정한 자료파일을 메시지에 첨부시켜 발송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첨부버튼을 나타낸 것으로서, 입력부(12)에 표시된 버튼 중에서 메뉴버튼을 누르면 이 기능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파일첨부 기능은 일반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에 해당되지 않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인터페이스 화면(I)에는 메뉴메시지의 저장, 발송, 수정을 위한 기능 표시수단들인 아이콘들이 추가로 표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아이콘들을 작동시키는 버튼들은 기존에 입력부(12)에 갖추어져 있는 메뉴,수정,확인등의 버튼을 통해 해당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참조부호 F1은 고정키가 설정되었음을 나타내는 상태 표시수단인 고정키 설정아이콘이다. 이 아이콘을 통해 현재 고정키가 입력부(12)의 숫자버튼 1로 설정되었음을 알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부(12)의 숫자버튼 1을 눌러 고정키 설정을 해제시킬 수도 있다.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키 설정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메시지 입력표시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특수문자키가 설정된 상태에서의 문자입력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입력부(12)의 특정버튼을 길게 누른 경우 변경된 화면의 일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특수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상태를 나 타낸 인터페이스 화면(I)이다. 참조부호 F2는 특수문자 설정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표시수단인 특수문자 아이콘을 나타낸다.
도 8c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키 설정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메시지 입력표시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한글문자키가 설정된 상태에서의 문자입력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d는 영문자키가 설정된 상태에서의 문자입력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c 및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인터페이스 화면(I)상에 표시된 상태 표시수단들인 한글설정 표시아이콘(F3) 및 영문설정 표시아이콘(F4)을 통해 현재 상태를 알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키 설정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고정키 버튼 설정을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키 버튼은 입력부(12)에 갖추어진 버튼중에서 특정한 버튼을 설정하여 확인기능 표시수단중 하나인 아이콘(C2)을 실제 입력부(12)에 갖추어진 확인버튼을 누름으로써 설정가능하다.
상기에 기재한 본 발명에 따른 고정키 설정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문자편집방법에 의하면, 사용자는 문자메시지 입력시에 특정한 입력키를 고정키로 설정하거나 해제할 수 있으므로 문자입력이 편리하고 이로인해 문자입력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 변형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0)

  1. 입력부(12), 제어부(8), 표시부(24), 및 인터페이스 화면표시 프로그램 저장부(9), 고정키 설정 프로그램 저장부(13), 폰트롬(6)을 포함하는 메모리부(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고정키 설정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편집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12)를 통한 메시지 입력 요구신호에 따라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화면(I)을 사용자의 단말기(1)의 표시부(24)를 통해 표시하는 제 1과정;
    사용자가 입력부(12)를 통해 메시지를 입력하면, 고정키 설정여부를 판단하고, 만약 고정키가 설정된 경우에는,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I)에 고정키 설정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표시수단과 함께 입력된 내용을 표시하는 제 2과정; 및
    사용자에 의해 상기 입력부(12)의 특정키가 길게 눌러진 경우에는,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I)에 표시된 고정키 설정상태 표시수단을 해제시키고 변경된 상태에 해당하는 모드의 문자를 해당문자입력 상태 표시수단과 함께 표시하는 제 3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키 설정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1)의 문자편집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과정에서, 만약 고정키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I)에 현재 상태에 해당하는 모드의 문자입력 상태 표시수단이 표시되도록 함과 동시에 입력된 내용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키 설정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1)의 문자편집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과정에서 해제되는 고정키 설정 상태표시수단에는 상기 입력부(12)에 갖추어진 다수개의 버튼들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해당 버튼의 숫자가 함께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키 설정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1)의 문자편집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12)에 갖추어진 다수개의 버튼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고정키로 설정된 버튼은 사용자에 의해 눌러질 때마다 설정 또는 해제 상태가 설정될 수 있도록 하는 토글키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키 설정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1)의 문자편집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키는 상기 입력부(12)에 갖추어진 숫자입력 버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키 설정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1)의 문자편집방법.
  6. 입력부(12), 제어부(8) 및 표시부(24), 폰트롬(6)을 포함하는 메모리부(26)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고정키 설정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1)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26)는 상기 입력부(12)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메시지 입력요구신호에 따라 사용자의 단말기(1)의 표시부(24)상에 메시지 입력을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I)을 표시하는 인터페이스 화면표시 프로그램 저장부(9); 및
    상기 입력부(12)에 갖추어진 특정버튼 중 하나를 고정키로 설정할 수 있도록 고정키 설정 인터페이스 화면(I2)을 표시부(24)상에 표시하는 고정키 설정 프로그램 저장부(13);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8)는 상기 메모리부(26)를 포함한 장치전반을 제어하며, 상기 메시지 입력 인터페이스 화면(I)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입력부(12)를 통한 메시지를 입력신호가 있는 경우에는, 고정키 설정여부를 판단하고, 고정키가 설정된 경우에는, 상기 메시지 입력 인터페이스 화면(I)에 고정키 설정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표시수단과 함께 입력된 내용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이후 사용자에 의해 상기 입력부(12)의 특정키가 길게 눌러진 경우에는, 상기 메시지 입력 인터페이스 화면(I)에 표시된 고정키 설정상태 표시수단을 해제시키고 변경된 상태에 해당하는 모드의 문자를 해당문자입력 상태 표시수단과 함께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키 설정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1).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8)는 고정키 설정여부 판단결과 만약 고정키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I)에 현재 상태에 해당하는 모드의 문자입력 상태 표시수단이 표시되도록 함과 동시에 입력된 내용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키 설정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1).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키 설정 상태표시수단에는 상기 입력부(12)에 갖추어진 다수개의 버튼들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해당 버튼의 숫자가 함께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키 설정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1).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12)에 갖추어진 다수개의 버튼들중에 사용자에 의해 고정키로 설정된 버튼은 사용자에 의해 눌러질 때마다 설정 또는 해제 상태가 설정될 수 있도록 하는 토글키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키 설정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1).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키는 상기 입력부(12)에 갖추어진 숫자입력 버 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키 설정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1).
KR1020050043842A 2005-05-24 2005-05-24 고정키 설정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문자메시지 편집방법 KR200601215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3842A KR20060121590A (ko) 2005-05-24 2005-05-24 고정키 설정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문자메시지 편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3842A KR20060121590A (ko) 2005-05-24 2005-05-24 고정키 설정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문자메시지 편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1590A true KR20060121590A (ko) 2006-11-29

Family

ID=37707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3842A KR20060121590A (ko) 2005-05-24 2005-05-24 고정키 설정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문자메시지 편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2159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5528B1 (ko) * 2007-08-10 2010-03-10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고정키갱신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5528B1 (ko) * 2007-08-10 2010-03-10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고정키갱신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2177B1 (ko) 무선 전화 동작 방법
JP4191386B2 (ja) 無線通信装置における大文字/小文字を制御するシステムとその方法
KR20070010226A (ko) 다기능 단축키 설정 장치, 그 방법 및 그 기능을 가지는이동통신단말기
JP4146461B2 (ja) 携帯用端末機のキー入力方法及び装置
EP1791332A1 (en) Selection menu for electronic device with both text entry characters and operands
US7605801B1 (en) Portable device
US7061470B1 (en) Portable telecommunication device
JP3931166B2 (ja) 携帯型端末装置
KR20000010379A (ko) 통신단말기용 문자입력장치
KR20060121590A (ko) 고정키 설정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문자메시지 편집방법
JP5563534B2 (ja) 無線通信デバイス
JP2007226712A (ja) 携帯端末装置及びその言語選択方法
KR100584136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단축키 설정장치
JP4930136B2 (ja) 携帯端末装置のメニュー表示方法および携帯端末装置
KR100728677B1 (ko) 메모입력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0469491B1 (ko) 단축다이얼방법 및 그 방법을 구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0580066B1 (ko) 휴대 단말기의 문자입력방법
KR100808413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KR100701946B1 (ko) 사용자 설정이 가능한 전화번호 입력기능을 구비하는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설정방법
KR10068819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모드 전환방법
KR100689547B1 (ko) 이동무선단말기의 메뉴항목 선택적 표시 방법
KR20090012577A (ko)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KR20200041589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모하는 방법
KR101153183B1 (ko) 이동통신단말기 및 메시지의 간편열람방법
KR101346889B1 (ko) 조이스틱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입력 처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