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1427A - 절전모드로 동작하는 통신 단말기 및 상기 통신 단말기의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절전모드로 동작하는 통신 단말기 및 상기 통신 단말기의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1427A
KR20060121427A KR1020050043603A KR20050043603A KR20060121427A KR 20060121427 A KR20060121427 A KR 20060121427A KR 1020050043603 A KR1020050043603 A KR 1020050043603A KR 20050043603 A KR20050043603 A KR 20050043603A KR 20060121427 A KR20060121427 A KR 200601214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communication
signal
unit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3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미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50043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21427A/ko
Publication of KR20060121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14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의 시간 동안 기지국을 찾지 못할 경우에 절전모드로 동작하는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통신 단말기가 기지국으로 기지국 검색 신호를 송신하고 타이머 수단을 통해 소정의 시간을 계수한 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아무런 응답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절전 모드로 동작하는 기능을 구비한 통신 단말기 및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신 단말기가 기지국과의 통신이 불가능한 상황에서 기지국을 찾기 위한 전력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통신이 불가능한 지역에 장착된 소정의 통신 장치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지역에 위치한 통신 단말기가 기지국을 찾기 위하여 낭비되는 전력을 최소화하며, 통신 단말기의 부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부가 기능 모듈과 통신 모듈의 전원을 구분함으로써 배터리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통신 단말기, 통신 단말기, 배터리, 기지국, 파일럿 채널

Description

절전모드로 동작하는 통신 단말기 및 상기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COMMUNICATION DEVICE OF OPERATING POWER-SAVINGS MODE AND OPERATION METHOD OF THE COMMUNICATION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 기지국, 및 통신사 시스템의 네트워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전 모드 동작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통신 단말기
201: 통신 모듈
202: 기지국 검색부
203: 통신 판단부
204: 타이머 수단
205: 제어부
본 발명은 소정의 시간 동안 기지국을 찾지 못할 경우에 절전모드로 동작하는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통신 단말기가 기지국으로 기지국 검색 신호를 송신하고 타이머 수단을 통해 소정의 시간을 계수한 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아무런 응답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절전 모드로 동작하는 기능을 구비한 통신 단말기 및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통신 단말기는 사용자로 하여금 정보의 신속한 전달을 위하여 공간 및 시간적인 제약을 줄여준다.
이러한 통신 단말기는 기지국 및 통신사 시스템과의 채널 설정을 통해 제2 통신 단말기와의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채널 설정을 위하여 상기 기지국과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통신 신호를 송수신한다. 이러한 통신 단말기의 동작 원리는 도 1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 기지국, 및 통신사 시스템의 네트워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통신 단말기(101)는 수시로 제일 가까운 기지국(102)으로 자신의 현재 위치를 알리게 되고,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에 기지국(102)의 ID를 등록되게 된다.
또한, 통신 단말기(101)의 전원이 ON되는 경우 통신 단말기(101)는 가장 가까운 기지국(102)으로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 와 ESN(Electronic Serial Number)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보내고, 기지국(102)은 상기 메시지를 교환기로 보내게 된다. 이때 상기 교환기는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을 네트워크 안의 모든 MIN과 비교해 해당 통신 단말기(101)가 홈 교환국 위치인지 방문자 교환국 위치 인가를 판별한다. 이때 HLR은 통신 단말기(101)의 정보를 요구하게 된다. 만일 통신 단말기(101)가 상기 홈 교환국 위치에 대한 외부에 위치한 경우에는 교환기가 STP(Signaling Transfer Point-신호 전송 포인트)에 저장된 라우팅 정보를 이용하여 그 가입자가 속해 있는 HLR로 메시지를 보내게 된다. 이때 HLR는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여 MIN과 ESN을 이용해 번호가 유효한지 또는 불법으로 쓰이는지를 확인한 후 위치정보를 HLR에 등록하고 해당 통신 단말기 정보를 외부 방문 교환국으로 보낸다. 외부 방문 교환국에서는 상기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VLR에 저장하고, 이로써, 사용자는 타 지역에 위치한 동안 홈 교환국을 거칠 필요 없이 통화를 받을 준비를 하게 된다.
이러한 통신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통신 단말기(101)는 기지국(102)과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 단말기(101)는 기지국(102)으로 기지국 검색 신호를 송신하고, 그에 대한 응답 신호로서 파일럿 채널 신호를 수신한다. 그러나, 통신 단말기(101)와 기지국(102) 간 통신이 불가능한 지역에 위치하는 경우 통신 단말기(101)는 계속해서 상기 기지국 검색 신호를 송신하지만 기지국(102)으로부터는 아무런 신호도 전송되지 않게 된다. 이 때, 통신 단말기(101)는 상기 기지국 검색 신호의 강도를 소정의 한계점까지 점차 높여 가면서 기지국(102)으로부터 파일럿 채널 신호의 전송을 기다린다. 이러한 이유로 통신이 불가능하거나 통신 신호의 세기가 미약한 지역에 위치한 통신 단말기(101)는 배터리의 사용 시간이 단축될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통신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통신 회로의 수명이 단축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이에 대한 해결책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통신 단말기가 기지국과의 통신이 단절된 상황에서 기지국을 찾기 위한 전력 소비를 최소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통신이 불가능한 지역에 장착된 소정의 통신 장치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지역에 위치한 통신 단말기가 기지국을 찾기 위하여 낭비되는 전력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통신 단말기의 부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부가 기능 모듈과 통신 모듈의 전원을 구분함으로써 배터리 효율을 증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고,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는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기지국 검색 신호를 송신하는 기지국 검색부, 상기 기 지국 검색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로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소정의 파일럿 채널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 상기 파일럿 채널 신호에 따라 상기 기지국과의 통신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통신 판단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파일럿 채널 신호를 수신하기까지 소정의 시간을 계수하는 타이머 수단, 및 상기 통신 판단부의 판단에 따라서 상기 기지국 검색부의 동작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절전 모드 동작 방법은 기지국 검색부가 통신 모듈을 통해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기지국 검색 신호를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 통신 판단부가 상기 기지국 검색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로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소정의 파일럿 채널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 상기 파일럿 채널 신호에 따라 상기 기지국과의 통신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타이머 수단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파일럿 채널 신호를 수신하기까지 소정의 시간을 계수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통신 판단부의 판단에 따라서 상기 기지국 검색부의 동작 여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절전모드로 동작하는 통신 단말기 및 상기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200)는 통신 모듈(201), 기지국 검색부(202), 통신 판단부(203), 타이머 수단(204), 및 제어부(205)를 포함한다.
먼저, 통신 모듈(201)은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 모듈(201)은 통신 단말기(200)에 제2 통신 단말기와의 통신 능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통신 모듈(201)은 소정의 통신 회로를 포함하며, 종래 기술에 따른 통신 단말기에 포함되는 통신 모듈과 그 구성 및 기능이 동일하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기지국 검색부(202)는 통신 모듈(201)을 통해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기지국 검색 신호를 송신하고, 현재 통신 단말기(200)로부터 가장 가까운 기지국을 검색한다.
통신 단말기(200)는 수시로 현재 자신이 통신할 수 있는 기지국이 어떤 기지국인지를 조사하고, 사용자가 소정의 통신 동작을 수행하려는 경우나 통신사 시스템으로부터 소정의 통신 신호를 수신하려는 경우에 상기 기지국과의 통신 채널을 설정한다. 이러한 통신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기지국 검색부(202)는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상기 기지국에 기지국 검색 신호를 전송하고 그에 대한 응답 신호로서 파일럿 채널 신호를 기다린다. 또한, 타이머 수단(204)은 기지국 검색부(202)가 기지국 검색 신호를 송신한 시점부터 상기 파일럿 채널 신호를 수신하기까지 소정의 시간을 계수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검색부(202)는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모드로서 동작할 수 있다.
통신 판단부(203)는 상기 기지국 검색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로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소정의 파일럿 채널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 상기 파일럿 채널 신호에 따라 상기 기지국과의 통신 가능 여부를 판단한다.
즉, 통신 단말기(200)가 현재 위치한 셀의 기지국을 검색하기 위하여 소정의 기지국 검색 신호를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송신하고, 상기 기지국 검색 신호를 송신한 시점부터 타이머 수단(204)이 동작하여 소정의 시간을 계수한다.
타이머 수단(204)이 소정의 시간을 계수하고, 타임 아웃 조건을 만족하기 이전에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기지국 검색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로서 파일럿 채널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 통신 판단부(203)는 현재 기지국과의 통신이 가능하다고 판단한다. 이에 상기 기지국이 이전의 기지국과 다른 기지국이거나 HLR의 등록 정보를 갱신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에 종래 통신 단말기(200)의 동작 절차에 따라 현재 위치 등록 등의 절차를 수행하고 통신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통신 대기 상태라 함은 사용자가 통신 동작을 수행하려는 경우 통신 채널을 설정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통신 채널은 소정의 서버 또는 제2 통신 단말기와의 음성 및 데이터 채널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다.
또한, 타이머 수단(204)이 소정의 시간을 계수하여 상기 타임 아웃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통신 판단부(203)는 상기 타임 아웃 조건이 만족되었음을 인식하여 현재 기지국과의 통신이 불가능 하다고 판단한다.
즉, 통신 단말기(200)가 음영 지역, 산간 지역 등 기지국과의 통신이 불가능한 지역에 위치한 경우에 통해 통신 판단부(203)는 타이머 수단(204)을 통해 현재 기지국과의 통신이 불가능한 지역에 위치하였음을 인식한다.
제어부(205)는 통신 판단부(203)의 판단에 따라서 기지국 검색부(202)의 동 작 여부를 제어한다.
종래 통신 단말기는 기지국으로 소정의 기지국 검색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기지국 검색 신호의 전력을 소정치까지 증가시켰다. 결국, 종래의 통신 단말기는 기지국과의 통신이 불가능 한 경우에도 기지국을 검색하기 위해 불필요한 통신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전류의 소비가 증가하게 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205)는 기지국과의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에 통신 판단부(203)의 상술한 판단에 따라서, 기지국 검색부(202)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200)는 기지국 검색에 따른 불필요한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소비되는 전류를 최소화하며 이로 인해 배터리의 사용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이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05)는 통신 판단부(203)의 판단 결과에 따라 기지국 검색부(202)에서 상기 기지국 검색 신호를 송신하는 시간 간격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킨다. 일례로, 기지국 검색부(202)에서 기지국 검색 신호를 송신하는 시간 간격이 '1분'으로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통신 판단부(203)가 현재 기지국과의 통신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하면 제어부(205)는 상기 시간 간격을 '5분'으로 늘리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05)는 통신 판단부(203)가 상기 기지국과의 통신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통신 모듈(201)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또한, 통신 판단부(203)가 상기 기지국과의 통신이 가능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제어부(205)는 통신 모듈(201)로 전원을 인가한다. 즉, 통신 판단부(203)는 통 신 단말기(200)가 현재 기지국과의 통신이 불가능한 지역에 위치하였다고 판단하는 경우 통신 모듈(201)로 인가되는 전원의 공급을 중단한다. 이 때, 통신 단말기(200)에 포함된 mp3 모듈, 카메라 모듈, 및 게임 모듈 등의 부가 기능 모듈의 전원은 변함없이 공급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05)는 소정의 시스템으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 기지국 검색부(202)의 동작을 비활성화 시킨다. 즉, 공연장, 영화관, 강의실, 병원, 및 도서관 등 공공 장소에 설치된 소정의 시스템이 상기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에 제어부(205)는 기지국 검색부(202)의 동작을 비활성화 시킨다. 이로써 통신 단말기(200)의 사용이 금지되는 장소에서의 통신 단말기(200) 사용을 원천적으로 봉쇄할 수 있다.
기지국 검색부(202)가 비활성화 된 경우에 사용자는 키패드 입력 또는 소정의 메뉴 선택 등으로 기지국 검색부(202)를 활성화 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5)는 통신 단말기(200)가 동작 대기상태로 전환되는 경우에 기지국 검색부(202)가 상기 기지국 검색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폴더 형의 통신 단말기(200)에서 사용자가 상기 폴더를 여는 경우, 제어부(205)는 기지국 검색부(202)의 동작을 활성화시킨다. 슬라이드 형의 통신 단말기에서는 상기 슬라이드를 일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경우 제어부(205)는 기지국 검색부(202)의 동작을 활성화시킨다. 상기 동작 대기상태는 통신 단말기(200)에 포함된 소정의 하드웨어 장치의 상태가 사용자로 하여금 소정의 상태로 변경된 상태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 검색부(202)의 동작은 mp3 플레이어 모듈, 카메라 모듈, 및 게임 모듈 등의 부가 기능 모듈과는 독립적으로 수행되므로 통신 단말기(200)가 본 발명에 따른 절전 모드로 전환되어도 상기 부가 기능 모듈의 동작에는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단말기(300)는 도 2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200)에 메뉴 제공부(301), 사용자 인터페이스(302), 및 알람부(303)를 더 포함한다.
메뉴 제공부(301)는 사용자에게 소정의 메뉴를 제공하고, 통신 단말기(300)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메뉴 선택 신호를 수신한다.
메뉴 제공부(301)에서 제공되는 메뉴의 일례로서, 기지국 검색부(202)의 동작 여부를 설정하는 메뉴가 제공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메뉴 제공부(301)로부터 제공되는 메뉴를 통하여 기지국 검색부(202)의 동작 여부를 설정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기지국 검색부(202)의 동작이 해제되는 경우 기지국 검색부(202)는 통신 판단부(203)의 판단 결과에 상관없이 상기 기지국으로 소정의 기지국 검색 신호를 전송하지 않는다.
기지국 검색부(202)의 동작을 설정하는 경우에는 도 2의 통신 단말기(200)에서 설명하였듯이, 기지국 검색부(202)에서 기지국으로 소정의 기지국 검색 신호를 송신하고, 타이머 수단(204)이 동작하여 타임 아웃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통신 판 단부(203)가 기지국 검색부(202)의 동작을 비활성화 시킨다.
메뉴 제공부(301)에서 제공되는 메뉴의 다른 일례로서, 사용자는 기지국 검색부(202)에서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기지국 검색 신호의 시간 간격을 설정할 수 있다. 일례로, 기지국으로부터 제공되는 통신 신호의 강도가 미약한 지역에 진입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통신 단말기(300)의 사용자는 통신 단말기(300)의 배터리 사용 시간의 단축을 예방하기 위하여, 기지국 검색 신호를 전송하는 시간 간격을 보다 증가 시킬 수 있다. 이로써, 통신 단말기(300)는 통신 신호가 미약한 지역에 위치하는 경우에 보다 적은 횟수의 기지국 검색 동작을 수행한다.
메뉴 제공부(301)에서 제공되는 메뉴의 또 다른 일례로서, 알람 신호를 설정할 수 있다.
알람 신호는 알람부(303)에서 생성되며, 알람부(303)는 통신 판단부(203)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기지국과의 통신 가능 여부가 이전의 통신 가능 여부와 상이한 경우에 생성된다. 즉, 통신 단말기(300)가 기지국과의 통신이 가능한 지역에서 기지국과의 통신이 불가능한 지역으로 이동한 경우 알람부(303)는 알람 신호를 발생한다. 이 때, 사용자가 상기 알람 신호를 멜로디 형태로 설정한 경우 알람부(303)는 알람 신호를 소정의 멜로디로 생성한다. 알람 신호는 통신 단말기(300)의 스피커 수단 등을 통해 사용자로 상기 기지국과의 통신 가능 여부를 알린다.
이와 반대로 통신 단말기(300)가 기지국과의 통신이 불가능한 지역에서 기지국과의 통신이 가능한 지역으로 이동한 경우에 알람부(303)는 알람 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302)를 통해 메뉴 제공부(301)로부터 제공되는 소정의 항목을 선택 입력한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302)는 하나 이상의 키패드, 터치 스크린, 및 음성 인식 모듈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검색부(202)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발생하는 소정의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하는 인터럽트 수신부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기지국은 복수의 통신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통신 단말기(300) 이외에 제2 통신 단말기가 상기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인터럽트 수신부는 기지국과 상기 제2 통신 단말기 간에 송수신되는 제2 통신 신호를 소정의 인터럽트 신호로서 수신한다. 상기 인터럽트 수신부가 상기 제2 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 통신 판단부(203)는 기지국과의 통신이 가능한 지역에 위치하였음을 인식하고 기지국 검색부(202)의 동작을 개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전 모드 동작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단계(401)에서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는 통신 모듈을 통해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기지국 검색 신호를 기지국으로 송신하고, 단계(402)에서 타이머 수단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파일럿 채널 신호를 수신하기까지 소정의 시간을 계수한다.
기지국이 상기 통신 단말기로부터 기지국 검색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단계(403)에서 상기 통신 단말기로 상기 기지국 검색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로서 소정의 파일럿 채널 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파일럿 채널 신호는 상기 통신 단말기의 고유 식별 정보를 포함하여 브로드캐스팅된다.
단계(404)에서, 통신 단말기는 상기 파일럿 채널 신호의 수신여부 및 타이머 수단이 타임 아웃 조건을 만족 하였는지를 판단함으로써 상기 기지국과의 통신 가능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파일럿 채널 신호의 수신을 기다리는 도중에 상기 통신 단말기가 소정의 타임 아웃 조건을 만족하여 시간 계수가 완료된 경우에는 상기 통신 단말기는 상기 파일럿 채널 신호의 수신여부에 상관없이 기지국과의 통신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한다. 또한, 이와는 반대로, 타이머 수단이 시간 계수를 수행하는 도중 상기 파일럿 채널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 상기 통신 단말기는 상기 시간 계수 및 상기 타임 아웃 조건을 리셋한다.
단계(405)에서, 상기 통신 단말기가 현재 기지국과의 통신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상기 통신 단말기는 상기 기지국 검색부의 동작 여부를 제어한다. 상기 통신 단말기의 통신 판단부가 상기 기지국과 현재 통신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하는 경우에 상기 기지국 검색부의 기지국 검색 신호 송신 동작을 비활성화 시킬 수 있다. 또한, 비활성화 된 기지국 검색부는 사용자의 키패드 입력 및 폴더의 개폐 등을 통해 기지국 검색부의 동작을 재개할 수 있다.
단계(404)에서, 상기 통신 판단부가 현재 기지국과의 통신이 가능하다고 판단하는 경우에 통신 단말기는 통신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통신 대기한다(단계405). 이는 종래 통신 단말기에 따른 통신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대기와 그 개념이 동일하다.
통신 대기 중 통신 단말기는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상기 기지국으로 기지국 검색 신호를 송신하여 정상 동작을 유지한다.
이로써, 기지국과의 통신이 불가능한 지역이나 상기 기지국과 송수신하는 통신신호의 강도가 미약한 지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통신 단말기의 전류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절전 모드 동작 방법은 mp3 플레이어 모듈, 카메라 모듈, 및 게임 모듈 등의 부가 기능 모듈과는 독립적으로 수행되므로 상기 통신 단말기가 본 발명에 따른 절전 모드로 전환하여도 상기 부가 기능 모듈의 동작에는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신 단말기가 기지국과의 통신이 단절된 상황에서 기지국을 찾기 위한 전력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신이 불가능한 지역에 장착된 소정의 통신 장치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지역에 위치한 통신 단말기가 기지국을 찾기 위하여 낭비되는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신 단말기의 부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부가 기능 모듈과 통신 모듈의 전원을 구분함으로써 배터리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Claims (11)

  1. 절전모드로 동작하는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기지국 검색 신호를 송신하는 기지국 검색부;
    상기 기지국 검색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로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소정의 파일럿 채널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파일럿 채널 신호에 따라 상기 기지국과의 통신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통신 판단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파일럿 채널 신호를 수신하기까지 소정의 시간을 계수하는 타이머 수단; 및
    상기 통신 판단부의 판단에 따라서 상기 기지국 검색부의 동작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소정의 메뉴를 제공하는 메뉴 제공부;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메뉴에 포함된 소정의 항목을 선택 입력 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뉴는 상기 기지국 검색부가 기지국을 검색하는 시간 간격 및 상기 기지국 검색부의 동작 여부 중에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검색부의 동작 여부는 활성화 및 비활성화 중에서 어느 하나의 동작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검색부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발생하는 소정의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하는 인터럽트 수신부
    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 상기 통신 판단부는 상기 기지국과의 통신이 가능하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럽트 신호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제2 통신 단말기로 제공되는 통신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기지국과의 통신 가능 여부가 이전의 통신 가능 여부와 상이한 경우에 소정의 알람 신호를 발생하는 알람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지국 검색부에서 상기 기지국 검색 신호를 송신하는 시간 간격을 증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판단부가 상기 기지국과의 통신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 모듈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통신 판단부가 상기 기지국과의 통신이 가능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 모듈로 전원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9. 제1항에 있어서,
    통신 단말기가 동작 대기상태로 전환하는 경우 상기 기지국 검색부는 상기 기지국 검색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10. 제1항에 있어서,
    소정의 시스템으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지국 검색부의 동작을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11. 절전모드로 동작하는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 검색부가 통신 모듈을 통해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기지국 검색 신호를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
    통신 판단부가 상기 기지국 검색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로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소정의 파일럿 채널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파일럿 채널 신호에 따라 상기 기지국과의 통신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타이머 수단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파일럿 채널 신호를 수신하기까지 소정의 시간을 계수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통신 판단부의 판단에 따라서 상기 기지국 검색부의 동작 여부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절전 모드 동작 방법.
KR1020050043603A 2005-05-24 2005-05-24 절전모드로 동작하는 통신 단말기 및 상기 통신 단말기의동작 방법 KR200601214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3603A KR20060121427A (ko) 2005-05-24 2005-05-24 절전모드로 동작하는 통신 단말기 및 상기 통신 단말기의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3603A KR20060121427A (ko) 2005-05-24 2005-05-24 절전모드로 동작하는 통신 단말기 및 상기 통신 단말기의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1427A true KR20060121427A (ko) 2006-11-29

Family

ID=37707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3603A KR20060121427A (ko) 2005-05-24 2005-05-24 절전모드로 동작하는 통신 단말기 및 상기 통신 단말기의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2142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5461B1 (ko) * 2009-09-25 2014-06-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력소비 감소를 위한 통신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5461B1 (ko) * 2009-09-25 2014-06-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력소비 감소를 위한 통신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01275B1 (en)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for use in the communication system
US6442407B1 (en) Mobile radio telephone set
US7366131B2 (en) Power saving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P1630680B1 (en) External device detec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3050181B2 (ja) 移動体通信装置
CN102301761A (zh) 无线网络中设备功能通告和发现的方法
JP2002261879A (ja) 自動リンク連結可能の無線ヘッドセット及びその制御方法
CN101138264A (zh) 用于便携式通信装置的深度休眠模式
CN109379773B (zh) 一种切换方法、第一输出设备及第二输出设备
EP3131348B1 (en) Power consumption control method for wearable device, and wearable device
JP2008160303A (ja) 無線通信端末およびその基地局サーチ方法
KR20150031852A (ko) 무선충전 시스템, 무선충전 단말기, 무선 피충전 단말기 및 무선충전방법
JPH02256331A (ja) 無線通信システム
JP2006093869A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制御装置、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CN110824946A (zh) 基于WiFi自组网的智能设备控制系统及方法
KR20050091221A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20060121427A (ko) 절전모드로 동작하는 통신 단말기 및 상기 통신 단말기의동작 방법
KR20020059452A (ko) 무선 통신 장비, 무선 원격통신 시스템 및 원격통신 장비
US20050118997A1 (en) Radio communication method, radio communication system, wide area radio communication base station, and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CN101317468A (zh) 无线通信网络中将移动站呼叫指向频带类别的方法和系统
KR100372867B1 (ko) 블루투스 칩 내장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전환 방법 및장치
JPH05153043A (ja) 無線電話装置
KR101094224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이동통신단말기
JPH06311101A (ja) 携帯無線電話装置
KR20060079768A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