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1221A -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1221A
KR20050091221A KR1020040016547A KR20040016547A KR20050091221A KR 20050091221 A KR20050091221 A KR 20050091221A KR 1020040016547 A KR1020040016547 A KR 1020040016547A KR 20040016547 A KR20040016547 A KR 20040016547A KR 20050091221 A KR20050091221 A KR 200500912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an coordinator
zigbe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6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5781B1 (ko
Inventor
손성철
Original Assignee
손성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성철 filed Critical 손성철
Priority to KR1020040016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5781B1/ko
Publication of KR20050091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12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5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57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2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based on user interaction within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dium used
    • H04L2012/2841Wirel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근거리 저전력 무선 네트워크 전송 기술인 지그비(ZigBee:IEEE 802.15.4)를 사용하여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가 CDMA 망을 통하지 않고,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지그비 칩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리모콘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와; 집안의 적소에 설치되어 자신의 접속 영역에 진입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인 MIN 정보를 확보하는 PAN 코디네이터와; 상기 PAN 코디네이터를 통해 확보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인 MIN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리모콘 기능을 제어하고, 상기 PAN 코디네이터를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제어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PAN 코디네이터를 통해 제어 대상 장치로 동작 제어를 지시하는 게이트웨이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제어 방법{HOME NETWORK SYSTEM AND CONTROL METHOD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망을 통하지 않고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홈 네트워크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이라 함은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네트워크 가전 기기(TV, 세탁기, 전자레인지, 가스레인지, 오디오, 에어컨, 보일러 등)와 조명, 가스벨브, 현관문 등을 집 안에서는 리모콘 패드를 통해, 집 밖에서는 인터넷 및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원격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집 안에서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리모콘 패드를 이용하게 되는 데, 종래 대부분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는 리모콘 패드의 개수가 1~2개로 한정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가전 기기 등의 동작을 제어하고자 할 때, 리모콘 패드를 찾아 헤매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통신 산업의 급속한 발달 및 이동 통신 서비스의 급속한 성장으로 인하여 많은 사람들이 이동 통신 단말기를 휴대하고 있고, 사용자들의 다양한 기능 향상의 요구에 부응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는 단순한 음성 통신 수단이라는 차원에서 벗어나 이동 통신 가입자들에게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매체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이에 따라, 가족의 대부분이 가지고 있으며, 항상 휴대하고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요구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근거리 저전력 무선 네트워크 전송 기술인 지그비(ZigBee:IEEE 802.15.4)를 사용하여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가 CDMA 망을 통하지 않고,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지그비 칩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리모콘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와; 집안의 적소에 설치되어 자신의 접속 영역에 진입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인 MIN 정보를 확보하는 PAN 코디네이터와; 상기 PAN 코디네이터를 통해 확보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인 MIN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리모콘 기능을 제어하고, 상기 PAN 코디네이터를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제어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PAN 코디네이터를 통해 제어 대상 장치로 동작 제어를 지시하는 게이트웨이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는, 상기 PAN 코디네이터가 주기적으로 송출하는 비컨 신호의 수신에 따라 상기 PAN 코디네이터의 접속 영역 내로의 진입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지그비 칩을 활성화 모드로 전환하고, 자신의 MIN 정보를 지그비 신호에 실어 상기 PAN 코디네이터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는, 상기 PAN 코디네이터가 주기적으로 송출하는 비컨 신호를 수신하는 지그비 신호 송수신부와;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비컨 신호의 수신에 따라 자신의 MIN 정보를 지그비 신호에 실어 상기 지그비 신호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PAN 코디네이터로 전송하는 지그비 신호 처리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PAN 코디네이터는, 자신의 접속 영역에 주기적으로 비컨 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비컨 신호를 감지한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지그비 신호에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인 MIN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MIN 정보를 자신의 식별 정보와 함께 지그비 신호에 실어 상기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PAN 코디네이터는, 주기적으로 자신의 접속 영역에 비컨 신호를 송출하고, 자신의 접속 영역에 진입한 이동 통신 단말기가 전송하는 지그비 신호를 수신하는 지그비 신호 송수신부와; 상기 수신 지그비 신호로부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인 MIN 정보를 추출하고,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인 MIN 정보와 자신의 식별 정보를 지그비 신호에 실어 상기 지그비 신호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지그비 신호 처리부와; 자신의 식별 정보 및 자신에게 속해 있는 제어 대상 장치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게이트웨이는, CDMA 시스템과 CDMA 신호를 송수신하는 CDMA 신호 송수신부와; 상기 CDMA 신호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받은 CDMA 신호를 처리하는 CDMA 신호 처리부와; 상기 PAN 코디네이터와 지그비 신호를 송수신하는 지그비 신호 송수신부와; 상기 지그비 신호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받은 지그비 신호로부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인 MIN 정보와 상기 PAN 코디네이터의 식별 정보를 추출하는 지그비 신호 처리부와; 상기 지그비 신호 처리부에서 추출된 MIN 정보와 PAN 코디네이터의 식별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상기 PAN 코디네이터에 등록되어 있는 지를 판단하고, 상기 PAN 코디네이터를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제어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PAN 코디네이터에 속해 있는 제어 대상 장치들의 동작 제어를 지시하는 제어부와; 각 PAN 코디네이터에 등록되어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인 MIN 정보를 MIN 정보 테이블에 저장하여 관리하고, 각 PAN 코디네이터에 속해 있는 제어 대상 장치들의 현재 상태 데이터를 상태 정보 테이블에 저장하여 관리하는 메모리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지그비 칩을 내장하고 있지 않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포트 연결되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리모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외장형 지그비 장치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외장형 지그비 장치는, 상기 PAN 코디네이터가 주기적으로 송출하는 비컨 신호를 수신하는 지그비 신호 송수신부와;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비컨 신호의 수신에 따라 포트 연결되어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인 MIN 정보를 지그비 신호에 실어 상기 지그비 신호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PAN 코디네이터로 전송하는 지그비 신호 처리부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와 포트 연결되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공급하고,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담당하는 포트 연결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PAN 코디네이터에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인 MIN 정보 대신에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 중의 하나인 ESN 정보 또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구비되어 있는 지그비 칩의 MAC 주소를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은, 게이트웨이에서 PAN 코디네이터를 통해 확보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인 MIN 정보/ESN 정보 또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구비되어 있는 지그비 칩의 MAC 주소에 의거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상기 PAN 코디네이터에 등록되어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이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를 허용하는 과정과; 상기 PAN 코디네이터를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제어 신호에 의거하여 제어 대상 장치의 동작 제어를 지시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 허용 과정은, PAN 코디네이터에서 자신의 접속 영역에 진입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인 MIN 정보/ESN 정보 또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구비되어 있는 지그비 칩의 MAC 주소를 확보하는 과정과; 상기 확보한 MIN 정보/ESN 정보/MAC 주소와 상기 PAN 코디네이터 자신의 식별 정보를 지그비 신호에 실어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게이트웨이에서 상기 MIN 정보/ESN 정보/MAC 주소와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상기 PAN 코디네이터에 등록되어 있는 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결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상기 PAN 코디네이터에 등록되어 있으면,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를 허용하는 긍정 응답 메시지를 상기 PAN 코디네이터를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긍정 응답 메시지 수신에 따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 기능의 동작을 허용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MIN 정보 확보 과정은, 주기적으로 자신의 접속 영역에 비컨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와; 상기 비컨 신호를 감지한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인 MIN 정보/ESN 정보 또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구비되어 있는 지그비 칩의 MAC 주소를 포함하는 지그비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지그비 신호로부터 상기 MIN 정보/ESN 정보/MAC 주소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상기 PAN 코디네이터에 등록되어 있는 지를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PAN 코디네이터로부터 전송받은 지그비 신호로부터 상기 MIN 정보/ESN 정보/MAC 주소와 식별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MIN 정보/ESN 정보/MAC 주소와 식별 정보로 MIN 정보 테이블을 검색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상기 PAN 코디네이터에 등록되어 있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동작 제어 지시 과정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단말기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제어 대상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데이터를 지그비 신호에 실어 상기 PAN 코디네이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PAN 코디네이터에서 상기 지그비 신호로부터 추출한 제어 데이터와 자신의 식별 정보를 지그비 신호에 실어 상기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게이트웨이에서 상기 지그비 신호에서 추출한 식별 정보와 제어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PAN 코디네이터에 속해 있는 상기 제어 대상 장치의 현재 상태 데이터를 상기 추출한 제어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상태 데이터로 갱신시키는 과정과; 상기 추출된 식별 정보와 제어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제어 대상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지그비 신호에 실어 상기 PAN 코디네이터를 통해 상기 제어 대상 장치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PAN 코디네이터를 통해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전송받은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 대상 장치에서 자신의 현재 상태를 제어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자신의 현재 상태를 제어한 상기 제어 대상 장치로부터 기설정된 시간 내에 제어 결과가 수신되는 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결과 기설정된 시간 내에 제어 결과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 신호를 지그비 신호에 실어 상기 PAN 코디네이터를 통해 상기 제어 대상 장치로 재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제어 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보인 도로, 이동 통신 단말기(100)와, PAN(Personal Area Network) 코디네이터(200)와, 게이트웨이(30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각종 이동 통신 서비스 사업자(예를 들어, SK 텔레콤, KTF, LG 텔레콤, …)가 제공하는 이동 통신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이동국으로,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폰 등으로 구현되며,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별도의 리모콘 패드와 함께 리모콘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있다.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지그비(ZigBee:IEEE 802.15.4) 칩을 구비하여 이루어져, PAN 코디네이터(200)가 주기적으로 송출하는 비컨 신호의 수신에 따라 PAN 코디네이터(200)의 접속 영역 내로의 진입 여부를 확인하여 지그비 칩을 활성화 모드로 전환하고, 이동 통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인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 정보/ESN(Electronic Serial Number) 정보 또는 지그비 칩의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를 지그비 신호에 실어 PAN 코디네이터(200)로 전송한다.
전술한,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지그비 칩 대신에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칩, 블르트스(Bluetooth) 칩,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칩 중에서 어느 하나를 구비하여 이루어져, MIN 정보/ENS 정보 또는 지그비 칩의 MAC 주소를 WLAN 주파수 신호, 블르트스 신호, RFID 신호에 실어 PAN 코디네이터(2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PAN 코디네이터(200)는 집 안의 적정 위치(예를 들어, 거실)에 설치되어 집 안에 주기적으로 비컨 신호를 송출하여 해당 지역이 자신의 접속 영역임을 나타내고, 비컨 신호 수신에 따라 특정 PAN 코디네이터의 접속 영역 내로의 진입을 감지한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송출하는 지그비 신호를 수신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인 MIN 정보/ESN 정보 또는 MAC 주소를 추출하고, 추출된 MIN 정보/ESN 정보 또는 MAC 주소를 게이트웨이(300)로 전송하여 해당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대한 인증 처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비컨 신호로는 ISM(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밴드 중에서 2.4㎓ 대역의 지그비 주파수가 사용될 수 있다.
게이트웨이(300)는 PAN 코디네이터(200)를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받은 MIN 정보/ESN 정보 또는 MAC 주소에 의거하여 해당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해당 PAN 코디네이터(200)에 등록되어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인 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따라 해당 이동 통신 단말기가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리모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그리고, 각각의 PAN 코디네이터(200)에 속해 있는 가전 제품, 기계 및 장비들의 현재 상태 데이터를 보관하고 있으며, PAN 코디네이터(200)를 통해 리모콘 패드나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의거하여 PAN 코디네이터(200)에 속해 있는 가전 제품, 기계 및 장비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PAN 코디네이터(200)에 속해 있는 각각의 가전 제품, 기계 및 장비들은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지그비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지그비 칩이 내장되어 이루어진다.
도 2는 도 1에서의 이동 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보인 도로, 키입력부(110)와, 무선 처리부(115)와, 송수화기부(120)와, 지그비 신호 송수신부(125)와, 지그비 신호 처리부(130)와, 디스플레이부(135)와, 메모리부(140)와, 디지털 카메라부(145)와, 제어부(155)와, 전원부(15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키입력부(110)는 다이얼링에 필요한 전화 번호 및 각종 설정 값 입력을 위한 각종 키코드를 발생시킨다.
무선 처리부(115)는 기지국(미도시)과 무선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송수화기부(120)는 사용자가 응답하고 들을 수 있도록 한다.
지그비 신호 송수신부(125)는 PAN 코디네이터(200)가 주기적으로 송출하고 있는 비컨 신호를 수신하고, 비컨 신호 수신에 따라 지그비 신호 처리부(130)의 동작 모드를 제어한다.
지그비 신호 처리부(130)는 제어부(155)의 제어하에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MIN 정보/ESN 정보 또는 지그비 칩의 MAC 주소를 지그비 신호에 실어 지그비 신호 송수신부(125)를 통해 PAN 코디네이터(200)로 전송한다.
디스플레이부(135)는 사용자의 필요시 볼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각종 상태 및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서 제공하는 정보 등을 표시한다.
메모리부(140)는 시스템 동작 프로그램,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디지털 카메라부(145)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구비되어 있는 디지털 카메라를 통해 각종 이미지를 획득한다.
제어부(155)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고, 전원부(150)는 시스템 전체에 전원을 공급한다.
도 3은 도 1에서의 PAN 코디네이터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보인 도로, 지그비 신호 수신부(210)와, 신호 세기 감지부(220)와, 지그비 신호 처리부(230)와, 지그비 신호 송신부(240)와, 제어부(250)와, 메모리부(260)와, 전원부(27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지그비 신호 수신부(210)는 특정 PAN 코디네이터의 접속 영역 내에 진입한 이동 통신 단말기가 전송하는 지그비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수신한다.
신호 세기 감지부(220)는 지그비 신호 수신부(210)에서 수신한 지그비 신호의 세기를 감지하여, 수신된 신호의 세기가 기설정되어 있는 값보다 약하면, 수신된 신호의 세기를 증폭시킨다.
지그비 신호 처리부(230)는 지그비 신호 수신부(210)를 통해 수신한 지그비 신호로부터 이동 통신 단말기의 MIN 정보/ESN 정보 또는 지그비 칩의 MAC 주소를 추출하여 제어부(250)로 전달하고, 제어부(250)의 제어하에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MIN 정보/ESN 정보 또는 MAC 주소와 PAN 코디네이터(200)의 식별 정보를 지그비 신호에 실어 지그비 신호 송신부(240)로 전달하고, 주기적으로 비컨 신호로 사용되는 지그비 신호를 생성하여 지그비 신호 송신부(240)로 전달한다.
지그비 신호 송신부(240)는 지그비 신호 처리부(230)로부터 전달받은 지그비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게이트웨이(300)로 전송하고, 지그비 신호 처리부(230)로부터 주기적으로 전달받은 지그비 신호를 자신의 접속 영역에 송출한다.
제어부(250)는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며, 지그비 신호 처리부(230)로부터 전달받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MIN 정보/ESN 정보 또는 지그비 칩의 MAC 주소와 자신의 식별 정보를 지그비 신호에 실어 게이트웨이(300)에 전송할 수 있도록 지그비 신호 처리부(230)를 제어한다.
메모리부(260)는 자신의 식별 정보, 자신에게 속해 있는 가전 제품, 기계 및 장비들에 대한 정보와 동작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전원부(270)는 시스템 전체에 전원을 공급한다.
도 4는 도 1에서의 게이트웨이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보인 도로, CDMA 신호 송수신부(310)와, CDMA 신호 처리부(320)와, 지그비 신호 송수신부(330)와, 지그비 신호 처리부(340)와, 제어부(350)와, 메모리부(360)와, 전원부(37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CDMA 신호 송수신부(310)는 CDMA 시스템과 CDMA 신호를 송수신하고, CDMA 신호 처리부(320)는 CDMA 신호 송수신부(310)를 통해 수신받은 CDMA 신호를 처리한다.
지그비 신호 송수신부(330)는 PAN 코디네이터(200)와 지그비 신호를 송수신하고, 지그비 신호 처리부(340)는 PAN 코디네이터(200)로부터 수신받은 지그비 신호로부터 이동 통신 단말기의 MIN 정보/ESN 정보 또는 지그비 칩의 MAC 주소와 PAN 코디네이터(200)의 식별 정보를 추출한다.
제어부(350)는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며, 지그비 신호 처리부(340)로부터 전달받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MIN 정보/ESN 정보 또는 지그비 칩의 MAC 주소와 PAN 코디네이터의 식별 정보로 MIN 정보 테이블을 검색하여 해당 이동 통신 단말기가 해당 PAN 코디네이터의 접속 영역에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어할 자격이 있는 지를 판단하고, PAN 코디네이터(200)를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 또는 리모콘 패널로부터 전송받은 제어 신호에 의거하여 PAN 코디네이터(200)에 속해 있는 가전 제품, 기계 및 장비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메모리부(360)는 제어부(350)의 제어하에 각 PAN 코디네이터에 등록되어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MIN 정보/ESN 정보 또는 지그비 칩의 MAC 정보를 MIN 정보 테이블에 저장하여 관리하고 있으며, 각 PAN 코디네이터에 속해 있는 가전 제품, 기계 및 장비들의 현재 상태 데이터를 상태 정보 테이블에 저장하여 관리하고 있고, 동작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전원부(370)는 시스템 전체에 전원을 공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보인 도로, 이동 통신 단말기(400)와, 외장형 지그비 장치(500)와, PAN 코디네이터(200)와, 게이트웨이(30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PAN 코디네이터(200), 게이트웨이(3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과 그 구성 및 동작이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단, 이동 통신 단말기(400)는 일 실시예에서의 이동 통신 단말기(100)와는 달리 지그비 칩이 내장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외장형 지그비 장치(500)는 전력 효율이 좋은 지그비 칩을 구비하여 이루어져, PAN 코디네이터(200)에 등록된 이동 통신 단말기들 중에서 지그비 칩을 내장하고 있지 않은 이동 통신 단말기들이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별도의 리모콘 패드와 함께 리모콘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지그비(ZigBee) 칩이 내장되어 있지 않은 이동 통신 단말기(400)의 DM 포트(셀룰러폰이나 PCS폰의 경우)나 PCMCIA 포트(PDA폰의 경우)에 연결되며, 연결된 이동 통신 단말기(400)에서 공급하는 전원을 인가받아 동작을 수행한다.
즉, 외장형 지그비 장치(500)는 이동 통신 단말기(400)에 연결되어 해당 이동 통신 단말기(4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면, 초기화를 수행한 후, PAN 코디네이터(200)가 주기적으로 송출하는 비컨(Beacon) 신호의 수신에 따라 PAN 코디네이터(200)의 접속 영역 내로의 진입 여부를 확인하여 지그비 칩을 활성화 모드로 전환하고, 연결된 이동 통신 단말기(400)의 MIN 정보/ESN 정보 또는 지그비 칩의 MAC 주소를 지그비 신호에 실어 PAN 코디네이터(200)로 전송한다.
도 6은 도 5에서의 외장형 지그비 장치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보인 도로, 지그비 신호 송수신부(510)와, 지그비 신호 처리부(520)와,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530)와, 제어부(540)와, 메모리부(550)와, 포트 연결부(56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지그비 신호 송수신부(510)는 PAN 코디네이터(200)가 주기적으로 송출하는 비컨 신호인 지그비 신호를 수신하여 지그비 신호 처리부(520)로 인가하고, 지그비 신호 처리부(520)로부터 인가받은 지그비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PAN 코디네이터(200)로 전송한다.
지그비 신호 처리부(520)는 지그비 신호 송수신부(510)를 통해 PAN 코디네이터(200)의 비컨 신호인 지그비 신호를 수신하면, 지그비 신호의 수신을 제어부(540)로 알리고,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530)로부터 인가받은 아날로그 신호를 지그비 신호로 변환하여 지그비 신호 송수신부(510)로 전달한다.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530)는 제어부(540)로부터 전달받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MIN 정보/ESN 정보 또는 지그비 칩의 MAC 주소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지그비 신호 처리부(520)로 전달한다.
제어부(540)는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며, 비컨 신호인 지그비 신호의 수신을 감지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의 MIN 정보/ESN 정보 또는 지그비 칩의 MAC 주소를 지그비 신호에 실어 PAN 코디네이터(200)에 전송할 수 있도록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530), 지그비 신호 처리부(520)를 제어한다.
메모리부(550)는 외장형 지그비 장치(5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포트 연결부(560)는 이동 통신 단말기(400)와 포트 연결되며, 연결되어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400)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공급하고, 연결되어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40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담당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을 진행한다.
우선,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PAN 코디네이터(200)는 주기적으로 자신의 접속 영역으로 비컨 신호를 송출하는 데(S10), PAN 코디네이터(200)가 송출하는 비컨 신호를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수신하게 되면,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지그비 칩의 동작 모드를 활성화시키고,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MIN 정보/ESN 정보 또는 지그비 칩의 MAC 주소를 지그비 신호에 실어 PAN 코디네이터(200)로 전송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송출하는 지그비 신호는 PAN 코디네이터(200)가 수신하게 되는 데(S12), PAN 코디네이터(200)는 수신한 지그비 신호로부터 MIN 정보/ESN 정보/MAC 주소를 추출하고(S14), 추출된 MIN 정보/ESN 정보/MAC 주소를 다시 PAN 코디네이터(200) 자신의 식별 정보와 함께 지그비 신호에 실어 게이트웨이(300)로 전송한다(S16).
전술한 바와 같이, PAN 코디네이터(200)가 송출하는 지그비 신호는 게이트웨이(300)가 수신하게 되는 데, 게이트웨이(300)는 수신한 지그비 신호로부터 MIN 정보/ESN 정보/MAC 주소와 PAN 코디네이터(200)의 식별 정보를 추출하고(S18), 추출된 PAN 코디네이터(200)의 식별 정보와 MIN 정보/ESN 정보/MAC 주소로 MIN 정보 테이블을 검색하여(S20), 이동 통신 단말기의 MIN 정보/ESN 정보/지그비 칩의 MAC 주소가 해당 PAN 코디네이터(200)에 등록되어 있는 지를 판단한다(S22).
상기한 과정 S22의 판단결과 이동 통신 단말기의 MIN 정보/ESN 정보/지그비 칩의 MAC 주소가 해당 PAN 코디네이터(200)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를 허용한다는 긍정 응답 메시지를 PAN 코디네이터(200)를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100)로 전송하고(S24), 이동 통신 단말기의 MIN 정보/ESN 정보/지그비 칩의 MAC 주소가 해당 PAN 코디네이터(200)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를 허용하지 않는다는 부정 응답 메시지를 PAN 코디네이터(200)를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100)로 전송한다(S26).
상기한 과정 S24를 통해 게이트웨이(300)로부터 긍정 응답 메시지를 전송받은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 기능의 동작을 허용하고, 상기한 과정 S26을 통해 게이트웨이(300)로부터 부정 응답 메시지를 전송받은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 기능의 동작을 허용하지 않는다.
이후, 단말기 사용자는 상기한 과정 S24를 통해 긍정 응답 메시지를 수신받아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도록 허용받은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키 조작을 통해 PAN 코디네이터(200)에 속해 있는 가전 제품, 기계 및 장비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데,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단말기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제어 대상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데이터를 지그비 신호에 실어 PAN 코디네이터(200)로 전송한다(S30).
예를 들어, 대문의 잠금/열림을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 대문의 잠금/열림을 제어하는 제어 데이터를 지그비 신호에 실어 PAN 코디네이터(200)로 전송한다.
상기한 과정 S30에서의 제어 데이터는 제어 대상 장치를 나타내는 값과, 제어 대상 장치의 상태(on/off) 제어를 나타내는 값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한 과정 S30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제어 데이터를 지그비 신호에 실어 PAN 코디네이터(200)로 전송할 때, 이동 통신 단말기의 MIN 정보/ESN 정보 또는 지그비 칩의 MAC 주소가 함께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과정 S30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가 전송한 지그비 신호를 수신한 PAN 코디네이터(200)는, 수신한 지그비 신호에서 제어 데이터를 추출하고(S32), 추출한 제어 데이터를 다시 자신의 식별 정보와 함께 지그비 신호에 실어 게이트웨이(300)로 전송한다(S34).
상기한 과정 S34를 통해 PAN 코디네이터(200)로부터 지그비 신호를 전송받은 게이트웨이(300)는, 전송받은 지그비 신호에서 제어 데이터와 식별 정보를 추출하고(S36), 추출한 식별 정보와 제어 데이터(제어 대상 장치, 상태)로 상태 정보 테이블을 검색하여(S38), 해당 PAN 코디네이터(200)에 속해 있는 제어 대상 장치의 현재 상태 데이터를 상기한 과정 S36에서 추출한 제어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상태 데이터로 갱신시킨다(S40).
이후에는, 상기한 과정 S36에서 추출된 식별 정보와 제어 데이터에 의거하여 해당 제어 대상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지그비 신호에 실어, 해당 PAN 코디네이터(200)를 통해 해당 제어 대상 장치로 전송한다(S42).
상기한 과정 S42를 통해 게이트웨이(300)로부터 지그비 신호를 전송받은 PAN 코디네이터(200)는 게이트웨이(300)로부터 전송받은 지그비 신호를 분석하여 해당 제어 대상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지그비 신호에 실어 해당 제어 대상 장치로 전송하고, PAN 코디네이터(200)를 통해 지그비 신호를 전송받은 제어 대상 장치는, 전송받은 지그비 신호에 의거하여 자신의 현재 상태를 제어하고, 제어 결과를 지그비 신호에 실어 PAN 코디네이터(200)를 거쳐 게이트웨이(300)로 전송한다.
한편, 상기한 과정 S42에서 PAN 코디네이터(200)를 통해 제어 대상 장치로 제어 신호를 전송한 게이트웨이(300)는 기설정 시간 내에 제어 대상 장치로부터 제어 결과가 수신되는 지를 판단하여(S44), 기설정된 시간 내에 제어 결과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 제어 대상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지그비 신호에 실어 재전송한다(S46).
본 발명의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제어 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4㎓ 대역의 지그비 주파수 신호 대신에 앞서 언급한 바 있는 2.4㎓대의 WLAN 주파수 신호, 블르트스 신호, RFID 신호 중에서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를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리모콘처럼 사용할 수도 있는 데, 이 경우 이동 통신 단말기는 지그비 칩 대신에 WLAN 칩, 블르트스 칩, RFID 칩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PAN 코디네이터 및 게이트웨이에 구비되는 신호 처리부도 해당 사용 주파수 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처리부로 대체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제어 방법에 따르면, 지그비(ZigBee:IEEE 802.15.4)를 사용하여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가 CDMA 망을 통하지 않고, 리모콘처럼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각 PAN 코디네이터에 속해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각 PAN 코디네이터에 속해 있는 제어 대상 장치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보인 도면.
도 2는 도 1에서의 이동 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보인 도면.
도 3은 도 1에서의 PAN 코디네이터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보인 도면.
도 4는 도 1에서의 게이트웨이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보인 도면.
도 6은 도 5에서의 외장형 지그비 장치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보인 도면.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 9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화면을 예시적으로 보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400. 이동 통신 단말기, 110. 키입력부,
115. 무선 처리부, 120. 송수화기부,
125, 330, 510. 지그비 신호 송수신부,
130, 230, 340, 520. 지그비 신호 처리부,
135. 디스플레이부, 140, 260, 360, 550. 메모리부,
145. 디지털 카메라부, 150, 270, 370. 전원부,
155, 250, 350, 540. 제어부, 200. PAN 코디네이터,
210. 지그비 신호 수신부, 220. 신호 세기 감지부,
240. 지그비 신호 송신부, 300. 게이트웨이,
310. CDMA 신호 송수신부, 320. CDMA 신호 처리부,
500. 외장형 지그비 장치, 530.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
560. 포트 연결부

Claims (16)

  1. 지그비 칩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리모콘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와;
    집안의 적소에 설치되어 자신의 접속 영역에 진입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인 MIN 정보를 확보하는 PAN 코디네이터와;
    상기 PAN 코디네이터를 통해 확보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인 MIN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리모콘 기능을 제어하고, 상기 PAN 코디네이터를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제어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PAN 코디네이터를 통해 제어 대상 장치로 동작 제어를 지시하는 게이트웨이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는,
    상기 PAN 코디네이터가 주기적으로 송출하는 비컨 신호의 수신에 따라 상기 PAN 코디네이터의 접속 영역 내로의 진입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지그비 칩을 활성화 모드로 전환하고, 자신의 MIN 정보를 지그비 신호에 실어 상기 PAN 코디네이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는,
    상기 PAN 코디네이터가 주기적으로 송출하는 비컨 신호를 수신하는 지그비 신호 송수신부와;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비컨 신호의 수신에 따라 자신의 MIN 정보를 지그비 신호에 실어 상기 지그비 신호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PAN 코디네이터로 전송하는 지그비 신호 처리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AN 코디네이터는,
    자신의 접속 영역에 주기적으로 비컨 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비컨 신호를 감지한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지그비 신호에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인 MIN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MIN 정보를 자신의 식별 정보와 함께 지그비 신호에 실어 상기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PAN 코디네이터는,
    주기적으로 자신의 접속 영역에 비컨 신호를 송출하고, 자신의 접속 영역에 진입한 이동 통신 단말기가 전송하는 지그비 신호를 수신하는 지그비 신호 송수신부와;
    상기 수신 지그비 신호로부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인 MIN 정보를 추출하고,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인 MIN 정보와 자신의 식별 정보를 지그비 신호에 실어 상기 지그비 신호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지그비 신호 처리부와;
    자신의 식별 정보 및 자신에게 속해 있는 제어 대상 장치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는,
    CDMA 시스템과 CDMA 신호를 송수신하는 CDMA 신호 송수신부와;
    상기 CDMA 신호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받은 CDMA 신호를 처리하는 CDMA 신호 처리부와;
    상기 PAN 코디네이터와 지그비 신호를 송수신하는 지그비 신호 송수신부와;
    상기 지그비 신호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받은 지그비 신호로부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인 MIN 정보와 상기 PAN 코디네이터의 식별 정보를 추출하는 지그비 신호 처리부와;
    상기 지그비 신호 처리부에서 추출된 MIN 정보와 PAN 코디네이터의 식별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상기 PAN 코디네이터에 등록되어 있는 지를 판단하고, 상기 PAN 코디네이터를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제어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PAN 코디네이터에 속해 있는 제어 대상 장치들의 동작 제어를 지시하는 제어부와;
    각 PAN 코디네이터에 등록되어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인 MIN 정보를 MIN 정보 테이블에 저장하여 관리하고, 각 PAN 코디네이터에 속해 있는 제어 대상 장치들의 현재 상태 데이터를 상태 정보 테이블에 저장하여 관리하는 메모리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지그비 칩을 내장하고 있지 않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포트 연결되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리모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외장형 지그비 장치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형 지그비 장치는,
    상기 PAN 코디네이터가 주기적으로 송출하는 비컨 신호를 수신하는 지그비 신호 송수신부와;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비컨 신호의 수신에 따라 포트 연결되어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인 MIN 정보를 지그비 신호에 실어 상기 지그비 신호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PAN 코디네이터로 전송하는 지그비 신호 처리부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와 포트 연결되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공급하고,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담당하는 포트 연결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AN 코디네이터에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인 MIN 정보 대신에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 중의 하나인 ESN 정보 또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구비되어 있는 지그비 칩의 MAC 주소를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10. 게이트웨이에서 PAN 코디네이터를 통해 확보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인 MIN 정보/ESN 정보 또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구비되어 있는 지그비 칩의 MAC 주소에 의거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상기 PAN 코디네이터에 등록되어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이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를 허용하는 과정과;
    상기 PAN 코디네이터를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제어 신호에 의거하여 제어 대상 장치의 동작 제어를 지시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 허용 과정은,
    PAN 코디네이터에서 자신의 접속 영역에 진입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인 MIN 정보/ESN 정보 또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구비되어 있는 지그비 칩의 MAC 주소를 확보하는 과정과;
    상기 확보한 MIN 정보/ESN 정보/MAC 주소와 상기 PAN 코디네이터 자신의 식별 정보를 지그비 신호에 실어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게이트웨이에서 상기 MIN 정보/ESN 정보/MAC 주소와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상기 PAN 코디네이터에 등록되어 있는 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결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상기 PAN 코디네이터에 등록되어 있으면,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를 허용하는 긍정 응답 메시지를 상기 PAN 코디네이터를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긍정 응답 메시지 수신에 따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 기능의 동작을 허용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MIN 정보 확보 과정은,
    주기적으로 자신의 접속 영역에 비컨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와;
    상기 비컨 신호를 감지한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인 MIN 정보/ESN 정보 또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구비되어 있는 지그비 칩의 MAC 주소를 포함하는 지그비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지그비 신호로부터 상기 MIN 정보/ESN 정보/MAC 주소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상기 PAN 코디네이터에 등록되어 있는 지를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PAN 코디네이터로부터 전송받은 지그비 신호로부터 상기 MIN 정보/ESN 정보/MAC 주소와 식별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MIN 정보/ESN 정보/MAC 주소와 식별 정보로 MIN 정보 테이블을 검색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상기 PAN 코디네이터에 등록되어 있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제어 지시 과정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단말기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제어 대상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데이터를 지그비 신호에 실어 상기 PAN 코디네이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PAN 코디네이터에서 상기 지그비 신호로부터 추출한 제어 데이터와 자신의 식별 정보를 지그비 신호에 실어 상기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게이트웨이에서 상기 지그비 신호에서 추출한 식별 정보와 제어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PAN 코디네이터에 속해 있는 상기 제어 대상 장치의 현재 상태 데이터를 상기 추출한 제어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상태 데이터로 갱신시키는 과정과;
    상기 추출된 식별 정보와 제어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제어 대상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지그비 신호에 실어 상기 PAN 코디네이터를 통해 상기 제어 대상 장치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PAN 코디네이터를 통해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전송받은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 대상 장치에서 자신의 현재 상태를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자신의 현재 상태를 제어한 상기 제어 대상 장치로부터 기설정된 시간 내에 제어 결과가 수신되는 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결과 기설정된 시간 내에 제어 결과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 신호를 지그비 신호에 실어 상기 PAN 코디네이터를 통해 상기 제어 대상 장치로 재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데이터는,
    제어 대상 장치를 나타내는 값과;
    상기 제어 대상 장치의 상태(on/off) 제어를 나타내는 값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
KR1020040016547A 2004-03-11 2004-03-11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1006257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6547A KR100625781B1 (ko) 2004-03-11 2004-03-11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6547A KR100625781B1 (ko) 2004-03-11 2004-03-11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제어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5189A Division KR20060079768A (ko) 2006-05-19 2006-05-19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1221A true KR20050091221A (ko) 2005-09-15
KR100625781B1 KR100625781B1 (ko) 2006-09-20

Family

ID=37272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6547A KR100625781B1 (ko) 2004-03-11 2004-03-11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5781B1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7951B1 (ko) * 2005-05-13 2007-02-05 주식회사 아이웨어 지그비 구조를 이용한 대기전력 저감 방법
KR100684613B1 (ko) * 2006-03-07 2007-02-2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데이터 전송 방법
KR100737693B1 (ko) * 2005-06-24 2007-07-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에서의 지그비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
KR100739206B1 (ko) * 2006-04-17 2007-07-13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의 리모컨 등록 방법 및 그 장치
KR100768893B1 (ko) * 2006-06-14 2007-10-24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력 제어 시스템
KR100797399B1 (ko) * 2005-12-01 2008-01-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모바일 rfid 무선인터페이스 감시시스템 및 방법
KR100822706B1 (ko) * 2006-12-08 2008-04-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가전기기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0856871B1 (ko) * 2006-12-27 2008-09-04 주식회사 맥스포 유비쿼터스 홈 네트워크 시스템
WO2009014297A1 (en) * 2007-07-26 2009-01-2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mobility of sensor node in ip-based sensor networks
KR101237830B1 (ko) * 2006-01-13 2013-02-28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에서 제어모드가 자동 변환되는이동통신단말기와 그 방법
KR101239526B1 (ko) * 2006-07-27 2013-03-05 삼성전자주식회사 지그비와 rfid를 이용한 가전기기 제어 방법 및 장치와그 시스템
KR101314432B1 (ko) * 2011-10-26 2013-10-04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Se를 탑재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네트워크 제어방법 및 시스템
CN107222378A (zh) * 2017-06-29 2017-09-29 芜湖拓达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ZigBee的智能家居控制系统
US10075530B2 (en) 2016-02-04 2018-09-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establishing connection with external electronic device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7951B1 (ko) * 2005-05-13 2007-02-05 주식회사 아이웨어 지그비 구조를 이용한 대기전력 저감 방법
KR100737693B1 (ko) * 2005-06-24 2007-07-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에서의 지그비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
KR100797399B1 (ko) * 2005-12-01 2008-01-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모바일 rfid 무선인터페이스 감시시스템 및 방법
KR101237830B1 (ko) * 2006-01-13 2013-02-28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에서 제어모드가 자동 변환되는이동통신단말기와 그 방법
KR100684613B1 (ko) * 2006-03-07 2007-02-2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데이터 전송 방법
KR100739206B1 (ko) * 2006-04-17 2007-07-13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의 리모컨 등록 방법 및 그 장치
KR100768893B1 (ko) * 2006-06-14 2007-10-24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력 제어 시스템
KR101239526B1 (ko) * 2006-07-27 2013-03-05 삼성전자주식회사 지그비와 rfid를 이용한 가전기기 제어 방법 및 장치와그 시스템
US7957697B2 (en) 2006-12-08 2011-06-0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home appliances using zigbee wireless communication
KR100822706B1 (ko) * 2006-12-08 2008-04-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가전기기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0856871B1 (ko) * 2006-12-27 2008-09-04 주식회사 맥스포 유비쿼터스 홈 네트워크 시스템
WO2009014297A1 (en) * 2007-07-26 2009-01-2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mobility of sensor node in ip-based sensor networks
KR100897175B1 (ko) * 2007-07-26 2009-05-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Ip 기반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센서 노드의 이동성을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314432B1 (ko) * 2011-10-26 2013-10-04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Se를 탑재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네트워크 제어방법 및 시스템
US10075530B2 (en) 2016-02-04 2018-09-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establishing connection with external electronic device
CN107222378A (zh) * 2017-06-29 2017-09-29 芜湖拓达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ZigBee的智能家居控制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5781B1 (ko) 2006-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1032B1 (ko) Nfc 칩 모듈과 외부 rf 리더기를 통한 휴대폰 단말기의 벨소리·카메라·통신기능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62578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제어방법
US7046961B2 (en) Link connection method between communication terminals equipped with bluetooth wireless devices
KR100703511B1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이동통신단말기의 자동 진입 방법과 그 이동통신 단말기
US20080085732A1 (en)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server, and radio communication system
KR20100042048A (ko) 블루투스 연결 방법 및 장치
KR101337105B1 (ko) Cdma 무선 통신 장치 간의 사용자 아이덴티티의 이동방법
US8554143B2 (en) Method for establishing a wireless communication link
KR100980581B1 (ko) 휴대폰을 이용한 사용자 인지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방법
KR20070041858A (ko) 구역별 개인화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2007001960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function of a mobile phon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060079768A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EP1234473B1 (en) Method and apparatus in a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KR20110034254A (ko) 전원 절약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KR200368067Y1 (ko) 무선 홈 네트워크용 전원 제어 장치
US20100176915A1 (en) Remote control communication system
KR20100055741A (ko) 전자 기기들을 무선으로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991747B1 (ko) 연결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JP2004088299A (ja) 通信装置
KR20040082892A (ko) 사설 이동통신망에서 매너모드 전환 장치 및 그 방법
KR20010076024A (ko) 가상기지국을 이용하여 휴대폰의 사용을 제한하는 방법 및장치
KR200211756Y1 (ko) 코드일치 부가서비스를 위한 단말 장치
JP4321255B2 (ja) 無線装置、通信規制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2044723A (ja) 携帯無線端末の発信/着信規制システム
KR20020093363A (ko) 무선 랜 카드가 장착된 스마트폰의 통신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