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1852A - 무선충전 시스템, 무선충전 단말기, 무선 피충전 단말기 및 무선충전방법 - Google Patents

무선충전 시스템, 무선충전 단말기, 무선 피충전 단말기 및 무선충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1852A
KR20150031852A KR20130111582A KR20130111582A KR20150031852A KR 20150031852 A KR20150031852 A KR 20150031852A KR 20130111582 A KR20130111582 A KR 20130111582A KR 20130111582 A KR20130111582 A KR 20130111582A KR 20150031852 A KR20150031852 A KR 201500318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l
communication module
period
wireless charging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1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진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20130111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31852A/ko
Publication of KR20150031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18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2Permanent magnets [P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 H02J13/00022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 H02J13/0002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involving a local wireless network, e.g. Wi-Fi, ZigBee or Bluetooth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34Charger exchanging data with an electronic device, i.e. telephone, whose internal battery is under char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9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data transfer in combination with power transf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들은 피충전 단말기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동안 무선 충전을 진행하지 않거나, 무선 충전 전력 레벨을 낮춤으로써, 무선 충전에 의한 노이즈가 데이터 통신의 수신 감도를 저하시키는 영향을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무선충전방법은 피충전 단말기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피충전 단말기의 통신 모듈의 활성화 상태와 비활성화 상태에 따라 무선충전 전력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레벨로 상기 피충전 단말기에 전력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선충전 시스템, 무선충전 단말기, 무선 피충전 단말기 및 무선충전방법{Wireless charging system, Wireless charging terminal, Terminal to be charged wirelessly and Wireless charging Method}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무선 충전이 진행되는 동안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감도 저하 방지를 위한 무선충전 시스템, 무선충전 단말기, 무선 피충전 단말기 및 무선충전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단말기(예를 들어, 스마트폰)의 무선 충전 방식에 대한 개발과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무선 충전 기술은 크게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자기 공명 방식이며 다른 하나는 자기 유도 방식이다. 자기 공명 방식은 충전기의 코일에서 공진주파수로 진동하는 자기장을 생성해 동일한 공진 주파수로 설계된 휴대 단말기의 수신 코일에 에너지가 집중적으로 전달하게 함으로써 휴대 단말기에 전류를 공급하는 것을 원리로 한다. 반면, 자기 유도 방식은 충전기가 자기장을 만들면 상기 자기장이 휴대 단말기의 수신 코일의 자기장을 유도하여 유도 전류를 발생시킴으로써 휴대 단말기에 전류를 공급하는 것을 원리로 한다.
이하, 종래의 자기 유도 방식과 자기 공명 방식의 충전 원리에 대하여 도 1 및 도 2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종래의 자기 유도 방식으로 무선 충전이 이루어지는 무선충전 시스템으로서, 충전 단말기(20)와 피충전 단말기(10)는 특정한 위치에 서로 접촉한 상태에서 무선 충전이 진행된다. 충전 단말기(20)의 자기장이 피충전 단말기(10)의 전력수신코일(13)의 자기장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각 단말기의 코일들(13, 22)이 서로 정합되는 위치에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때, 충전 단말기(20)는 제 1 주파수 채널로 피충전 단말기(10)의 배터리 정보를 수신하며, 배터리(14)가 완충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 2 주파수 채널로 피충전 단말기(10)에 전력을 송신한다.(즉, 전력송신코일(22)을 통해 자기장을 발생시켜 전력수신코일(13)에 유도 전류가 흐르게 한다.) 수신된 전력은 피충전 단말기(10)의 배터리(14)로 공급되어 충전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자기 유도 방식은 충전 단말기(20)와 피충전 단말기(10)가 1 대 1 대응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자기 공명 방식의 무선충전 시스템을 참고하면, 자기 공명 방식은 충전 단말기(20)와 피충전 단말기(10)가 1 대 다수로 대응되는 경우에도 이루어질 수 있다. 자기 공명 방식의 경우 충전 단말기(20)와 피충전 단말기(10)가 특정 위치에 정합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충전 단말기(20)가 발생시키는 특정한 주파수의 자기장을 수신할 수 있도록 설계가 되어 있다면 어떠한 피충전 단말기(10)이든지 무선 충전이 진행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도, 충전 단말기(20)가 제 1 주파수 채널로 제 1 내지 제 n 피충전 단말기(10a ~ 10n)의 배터리 정보를 수신하여 배터리 충전이 필요한 경우에만 제 2 주파수 채널로 충전 전력을 전송한다.
한편, 충전 단말기(20)와 피충전 단말기(10)는 무선 충전 전력과 배터리 정보를 송수신할 때에 특정한 주파수 채널을 이용하므로, 무선 충전 방식에 따라 수백 kHz 내지 수십 MHz의 노이즈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노이즈는 피충전 단말기(10)가 기지국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거나 전화 통화를 할 때에,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등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때에, 피충전 단말기(10)의 수신감도를 저하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즉, 충전 단말기(20)와 피충전 단말기(10)가 무선 충전을 위해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에서 발생한 신호가, 피충전 단말기(10)가 데이터 통신 또는 전화 통화를 위해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에 노이즈로 유입됨으로써 통신을 방해하는 요인이 되고, 이에 따라 통신/통화 품질이 저하되거나 신호의 유실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피충전 단말기(10)가 무선 충전되고 있는 도중, 상기 피충전 단말기(10)로 전화가 걸려올 경우, 전화가 수신되지 않을 수 있으며, 수신되더라도 늦게 수신하거나 전화통화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피충전 단말기 내에서 기지국이나 타 단말기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의 활성화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 모듈의 활성화상태에 따라 무선충전 전력량을 가변적으로 조절함으로써 노이즈에 의한 수신감도 저하를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후술되는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 내용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설명될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무선충전방법은 피충전 단말기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피충전 단말기의 통신 모듈의 활성화 상태와 비활성화 상태에 따라 무선충전 전력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레벨로 상기 피충전 단말기에 전력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력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 모듈이 활성화된 구간 동안 전송할 상기 무선충전 전력 레벨을 제 1 레벨로 결정하고, 상기 통신 모듈이 비활성화된 구간 동안 전송할 상기 무선충전 전력 레벨을 제 2 레벨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2 레벨은 상기 제 1 레벨보다 같거나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력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 모듈이 활성화된 구간보다 같거나 긴 시간 동안 전송할 상기 무선충전 전력 레벨을 제 1 레벨로 결정하고, 상기 제 1 레벨로 전송되지 않는 상기 통신 모듈이 비활성화된 구간 동안 전송할 상기 무선충전 전력 레벨을 제 2 레벨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신 모듈의 활성화 상태와 비활성화 상태는 상기 피충전 단말기의 실행 상태나 상기 피충전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모드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피충전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모드가, 기지국과의 데이터 통신모드, 와이파이(Wifi) 통신모드, 블루투스(Bluetooth) 통신모드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모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피충전 단말기의 통신 모듈의 활성화 상태와 비활성화 상태에 대한 정보인 통신 모듈 활성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신 모듈 활성화 정보는 상기 통신 모듈이 활성화된 구간과 비활성화된 구간의 주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피충전 단말기의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력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추가로 고려하여 상기 무선충전 전력 레벨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력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낮을수록 높은 전력 레벨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따라 상기 결정된 전력 레벨로 전력을 전송하는 주기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력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 모듈이 활성화된 구간 동안 상기 전력 레벨을 제 1 레벨로 결정하고, 상기 통신 모듈이 비활성화된 구간 동안 상기 전력 레벨을 제 2 레벨로 결정하며, 상기 주기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기준값보다 낮은 경우 상기 제 1 레벨로 전력을 전송하는 주기를 제 1 주기로 결정하고,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기준값보다 큰 경우 상기 제 1 레벨로 전력을 전송하는 주기를 제 2 주기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주기는 상기 통신 모듈의 활성화 주기와 대응하며, 상기 제 2 주기는 상기 제 1 주기보다 같거나 긴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무선 피충전 단말기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 상기 통신 모듈의 활성화 상태와 비활성화 상태에 대한 정보인 통신 모듈 활성화 정보를 전송하는 제 1 무선충전 보조 모듈; 및 상기 통신 모듈 활성화 정보에 따라 결정된 레벨의 전력을 수신하여 무선 충전을 수행하는 전력수신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력수신코일은, 상기 통신 모듈이 활성화된 구간 동안 제 1 레벨의 전력으로 무선 충전을 수행하며, 상기 통신 모듈이 비활성화된 구간 동안 제 2 레벨의 전력으로 무선 충전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2 레벨은 상기 제 1 레벨보다 같거나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력수신코일은, 상기 통신 모듈이 활성화된 구간보다 같거나 긴 시간 동안 제 1 레벨의 전력으로 무선충전을 수행하고, 상기 제 1 레벨의 전력으로 무선충전되지 않은 상기 통신 모듈이 비활성화된 구간 동안 상기 제 2 레벨의 전력으로 무선충전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신 모듈의 활성화 상태와 비활성화 상태는 상기 무선 피충전 단말기의 실행 상태나 상기 무선 피충전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모드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무선 피충전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모드는, 기지국과의 데이터 통신모드, 와이파이(Wifi) 통신모드, 블루투스(Bluetooth) 통신모드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모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신 모듈 활성화 정보는 상기 통신 모듈이 활성화된 구간과 비활성화된 구간의 주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무선충전 보조 모듈은 상기 무선 피충전 단말기의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대한 정보를 추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력수신코일은,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낮을수록 높은 전력 레벨로 무선충전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력수신코일은,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따라 다른 주기로 무선충전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력수신코일은, 상기 통신 모듈이 활성화된 구간 동안 제 1 레벨의 전력으로 무선충전을 수행하고, 상기 통신 모듈이 비활성화된 구간 동안 제 2 레벨의 전력으로 무선충전을 수행하되,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기준값보다 낮은 경우 제 1 주기마다 상기 제 1 레벨의 전력으로 무선충전하며,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기준값보다 큰 경우 제 2 주기마다 상기 제 1 레벨의 전력으로 무선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주기는 상기 통신 모듈의 활성화 주기와 대응하며, 상기 제 2 주기는 상기 제 1 주기보다 같거나 긴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무선 충전 단말기는 피충전 단말기의 통신 모듈의 활성화 상태와 비활성화 상태에 대한 정보인 통신 모듈 활성화 정보를 수신하는 제 2 무선충전 보조 모듈; 상기 통신 모듈 활성화 정보에 따라 무선충전 전력 레벨을 결정하는 제어 모듈; 및 상기 결정된 전력 레벨로 상기 피충전 단말기에 전력을 전송하는 전력송신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통신 모듈이 활성화된 구간 동안 전송할 상기 무선충전 전력 레벨을 제 1 레벨로 결정하고, 상기 통신 모듈이 비활성화된 구간 동안 전송할 상기 무선충전 전력 레벨을 제 2 레벨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2 레벨은 상기 제 1 레벨보다 같거나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통신 모듈이 활성화된 구간보다 같거나 긴 시간 동안 전송할 상기 무선충전 전력 레벨을 제 1 레벨로 결정하고, 상기 제 1 레벨로 전송되지 않는 상기 통신 모듈이 비활성화된 구간 동안 전송할 상기 무선충전 전력 레벨을 제 2 레벨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신 모듈의 활성화 상태와 비활성화 상태는 상기 피충전 단말기의 실행 상태나 상기 무선 피충전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모드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무선 피충전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모드는, 기지국과의 데이터 통신모드, 와이파이(Wifi) 통신모드, 블루투스(Bluetooth) 통신모드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모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신 모듈 활성화 정보는 상기 통신 모듈이 활성화된 구간과 비활성화된 구간의 주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2 무선충전 보조 모듈은 상기 무선 피충전 단말기의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대한 정보를 추가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수신된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추가로 고려하여 상기 무선충전 전력 레벨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낮을수록 높은 전력 레벨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 모듈은, 추가로,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따라 상기 결정된 전력 레벨로 전력을 전송하는 주기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통신 모듈이 활성화된 구간 동안 상기 전력 레벨을 제 1 레벨로 결정하고, 상기 통신 모듈이 비활성화된 구간 동안 상기 전력 레벨을 제 2 레벨로 결정하며,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기준값보다 낮은 경우 상기 제 1 레벨로 전력을 전송하는 주기를 제 1 주기로 결정하고,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기준값보다 큰 경우 상기 제 1 레벨로 전력을 전송하는 주기를 제 2 주기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주기는 상기 통신 모듈의 활성화 주기와 대응하며, 상기 제 2 주기는 상기 제 1 주기보다 같거나 긴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무선충전 시스템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상기 통신 모듈; 상기 통신 모듈의 활성화 상태와 비활성화 상태에 대한 정보인 통신 모듈 활성화 정보를 전송하는 제 1 무선충전 보조 모듈; 및 무선충전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전력을 수신하여 무선 충전을 수행하는 전력수신코일;을 포함하는 무선 피충전 단말기; 및 상기 통신 모듈 활성화 정보를 수신하는 제 2 무선충전 보조 모듈; 상기 통신 모듈 활성화 정보에 따라 무선충전 전력 레벨을 결정하는 제어 모듈; 및 상기 결정된 전력 레벨로 상기 무선 피충전 단말기에 전력을 전송하는 전력송신코일;을 포함하는 상기 무선충전 단말기;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들은 피충전 단말기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동안 무선 충전을 진행하지 않거나, 무선 충전 전력 레벨을 낮춤으로써, 무선 충전에 의한 노이즈가 데이터 통신의 수신 감도를 저하시키는 영향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기 유도 방식에 의한 무선충전 시스템의 구조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자기 공명 방식에 의한 무선충전 시스템의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무선충전 시스템의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피충전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주기와 충전 단말기의 전력전송 주기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는 피충전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주기와 충전 단말기의 전력전송 주기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르는 피충전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주기와 충전 단말기의 전력전송 주기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르는 피충전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주기와 충전 단말기의 전력전송 주기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무선충전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무선충전 시스템, 무선충전 단말기, 무선 피충전 단말기 및 무선충전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 ·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 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의 구성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될 수 있음이 고려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나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므로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데이터 통신”이라는 용어는 단말기에서 기지국이나 타 단말기 또는 특정 AP(Access Point) 등과 정보를 송수신하거나, 이들을 통하여 정보(음성 데이터 패킷, 영상 데이터 패킷, 일반적인 데이터 패킷 등을 모두 포함한다.)를 송수신하기 위한 모든 통신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통신은 2G ~ 4G 네트워크 망(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을 통한 기지국과의 통신을 포함하며, 일반 데이터 패킷의 송수신 뿐만 아니라 음성 통화를 위한 음성 데이터 패킷의 송수신, 영상 통화를 위한 영상 데이터 패킷의 송수신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통신은 Wifi, 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의 통신 방식을 통한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활성화”라는 용어는 통신 모듈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상태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주기적/비주기적으로 준비된 상태를 의미하며, “비활성화”라는 용어는 특정한 모듈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있지 않는 상태를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서, “비활성화”라는 용어는 통신 모듈이 송수신 패킷이 일정 시간없이 릴리즈된 상태의 의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이 ?갸뵌?되는 경우, 상기 통신 모듈은 기지국으로부터 RF(Radio Frequency) 신호를 받거나, 무선 Access Point나 타 단말기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무선충전 시스템은 충전 단말기(200)와 피충전 단말기(100)로 구성된다. 피충전 단말기(100)는 통신 모듈(110), 제 1 무선충전 보조 모듈(120), 전력수신코일(130), 배터리(140)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피충전 단말기(100)는 휴대 단말기(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등)이 될 수 있다. 충전 단말기(200)는 제 2 무선충전 보조 모듈(210), 전력송신코일(220), 제어 모듈(230), 전력공급부(24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무선충전 시스템은 자기 공명 방식 또는 자기 유동 방식의 무선 충전을 이용할 수 있다.
피충전 단말기(10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통신 모듈(110)은 임의의 개체(300)(예를 들어, 기지국이나 타 단말기 또는 무선 Access Point 등)과 함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110)은 기지국과 RF 신호를 주고 받으며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110)은 와이파이의 Access Point 단말기와 무선 신호를 주고 받으며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그 밖에도 통신 모듈(110)은 블루투스나 NFC와 같은 통신을 통해 타 단말과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한편, 통신 모듈(110)은 피충전 단말기(100) 내의 어플리케이션 모듈(미도시)과는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통신 모듈(110)은 어플리케이션 모듈과 연계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어플리케이션 모듈은 피충전 단말기(100) 내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들을 실행하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통신 모듈(110)은 '모뎀 프로세서(Modem Processor)'라고 지칭되기도 하며, 어플리케이션 모듈은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라고 지칭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피충전 단말기(100)가 스마트폰인 경우를 가정해보자. 사용자의 조작(예를 들어, 전원 버튼을 누름)이 있거나 일정 시간 동안 사용자 입력 또는 이벤트가 없는 경우 스마트폰의 화면이 오프된다. 이후, 어플리케이션 모듈은 실행되고 있는 프로세스들을 순차적으로 종료 또는 중단시킨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전화, 문자 메시지, 푸시 메시지 및 기타 이벤트의 수신이 필요하므로 통신 모듈은 주기적으로 웨이크업(wake up)하여 동작한다. 따라서, 스마트폰의 화면이 오프된 상태에서 언제라도 전화나 메시지가 수신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통신 모듈(110)은 한정된 주파수 대역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항상 기지국과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지 않는다. 이 경우, 통신 모듈(110)은 주기적으로 활성화 상태와 비활성화 상태를 반복하며, 활성화되어 있는 시간 동안만 주기적으로 기지국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이러한 통신 주기(또는 사이클)를 CDMA 방식을 이용하는 단말기의 경우 SCI(Slot Cycle Index)라고 지칭되며, LTE, WCDMA 방식을 이용하는 단말기의 경우 DRX(Discontinuous Reception)이라고 지칭된다. 다만, 어플리케이션 모듈에 의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이 기지국과의 지속적인 데이터 교환을 요구하는 경우(예를 들어, 전화통화, 메신저, 게임 등), 통신 모듈(110)은 항상 활성화된 상태로 머물며 기지국과 통신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와이파이, 블루투스, NFC와 같은 통신이 스마트폰의 통신모드로 적용되어 있는 경우,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 모듈이 상기 와이파이, 블루투스, NFC 등의 통신 중 하나를 이용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있다면, 통신 모듈(110) 역시 상기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되어 있는 동안에는 활성화된 상태로 머물게 된다. 즉, 통신 모듈(110)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상태는 피충전 단말기(100)의 응용 프로그램 실행 상태나 데이터 통신모드의 종류에 따라 달라진다.
제 1 무선충전 보조 모듈(120)은 배터리(140)의 충전상태에 대한 정보와 통신 모듈 활성화 정보를 충전 단말기(200)로 송신할 수 있다. 통신 모듈 활성화 정보란 통신 모듈(110)이 활성화되어 있는지 비활성화되어 있는지에 대한 상태를 포함한 정보로서, 통신 모듈의 활성화/비활성화 주기에 대한 정보(SCI 정보 또는 DRX 주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통신 모듈이 활성화/비활성화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10)이 활성화되어 있는 시간을 “활성화 시간”이라 하고, 비활성화되어 있는 시간을“비활성화 시간”이라고 한다면, 통신 모듈 활성화 정보는 활성화 시간과 비활성화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종래의 피충전 단말기(100)의 경우 피충전 단말기(100)의 배터리 정보만을 송신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제 1 무선충전 보조 모듈(120)은 노이즈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해 통신 모듈 활성화 정보도 추가로 송신한다. 이때에, 제 1 무선충전 보조 모듈(120)은 제 1 주파수 채널로 상기 정보들을 충전 단말기(200) 측으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 1 주파수 채널은 후술하는 제 2 주파수 채널과 별개의 채널일 수 있으며(무선충전 채널과 무선충전을 위한 통신 채널이 별도로 구성되는 경우), 제 1 주파수 채널은 제 2 주파수 채널과 동일한 채널일 수 있다(무선충전 채널과 무선충전을 위한 통신 채널이 하나로 구성되는 경우).
전력수신코일(130)은 충전 단말기(200)로부터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전력수신코일(130)은 제 1 주파수 채널과 상이한 주파수를 가진 제 2 주파수 채널을 통해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충전 단말기(200)의 전력송신코일(220)에서 발생된 자기장에 따라 전력수신코일(130)에 유도 자기장이 발생될 경우, 전력수신코일(130)은 유도 전류를 발생시켜 배터리(140)로 공급한다. 충전 단말기(200)와 피충전 단말기(100) 간의 전력 송수신의 원리는 자기 유도 방식 또는 자기 공명 방식에 따라 이루어질 수도 있다.
배터리(140)는 전력수신코일(130)로부터 전달된 유도 전류를 전달받아 피충전 단말기(100)의 전력을 충전할 수 있다. 배터리(140)의 충전 상태에 대한 정보는 제 1 무선충전 보조 모듈(120)에 의해 모니터링될 수 있으며, 별도의 모듈에 의해 모니터링되고 모니터링된 정보가 제 1 무선충전 보조 모듈(120)로 제공되어 충전 단말기(200)로 전송될 수 있다.
충전 단말기(20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 2 무선충전 보조 모듈(210)은 제 1 주파수 채널을 통해 제 2 무선충전 보조 모듈(210)로부터 통신 모듈 활성화 정보와 배터리 충전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 모듈 활성화 정보와 배터리 충전 상태 정보는 피충전 단말기(100)가 통신 모듈(110)의 활성화/비활성화 주기 마다 수신될 수 있다. 추가 실시예에서, 제 2 무선충전 보조 모듈(210)이 수신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모듈(미도시)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특히, 충전 개시 시점에 통신 모듈(110)이 상기 정보들을 보내오는 경우, 충전 단말기(200)에서는 이를 저장할 필요가 있으므로, 저장 모듈은 그러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전력송신코일(220)은 제 2 주파수 채널을 통해 피충전 단말기(100)로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전력 송신 방법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자기 공명 방식 또는 자기 유도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제어 모듈(230)은 제 2 무선충전 보조 모듈(210)로부터 전달된 배터리 정보와 통신 모듈 활성화 정보에 따라 전력송신코일(220)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240)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 모듈(230)은 배터리 정보에 포함된 배터리(140)의 충전 상태에 따라 전력을 송신할지 여부를 판단한다. 배터리(140)가 미완충 상태인 경우 전력을 송신해야 할 것으로 판단하며, 배터리(140)가 완충상태인 경우 전력을 더 이상 송신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한다. 이어서, 전력을 송신할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 모듈(230)은 전력공급부(240)을 제어하여 송신할 전력 레벨을 결정한다. 전력공급부(240)는 결정된 전력에 따라 전력송신코일(220)이 자기장 통신을 통해 상기 전력을 전송하도록 한다. 특정한 실시예에서, 배터리(140)의 충전 상태에 따라 제어 모듈(230)은 충전 단말기(200)의 LED(미도시)가 발하는 빛의 색을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 모듈(230)이 전력을 송신해야 할 것으로 판단한 경우, 제어 모듈(230)은 통신 모듈 활성화 상태에 따라 송신해야 할 전력의 주기나 크기(magnitude) 등을 조절한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 모듈(230)은 통신 모듈(110)이 활성화 상태일 때 전력을 송신하지 않거나 낮은 레벨의 전력을 송신하고, 비활성화 상태일 때 높은 레벨로 전력을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 기술의 경우, 통신 모듈(110)이 기지국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도록 활성화되어 있을 때 무선 충전에 의한 노이즈가 데이터 통신의 수신감도에 영향을 주게 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통신 모듈(110)이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에는 무선 충전을 진행하지 않음으로써 노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어 모듈(230)과 전력송신코일(220)에 의해 전송되는 전력의 주기나 크기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도 4를 통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는 무선 충전 전력을 전송할 때, 피충전 단말기의 통신 모듈이 활성화되어 있는 구간을 포함하는 시간 동안은 무선 충전 전력을 전송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의 (A) 그래프는 통신 모듈의 활성화/비활성화 상태 주기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T1은 통신 모듈의 활성화 구간이며, T2는 통신 모듈의 비활성화 구간이다. 피충전 단말기에 지속적인 데이터 통신을 요구하는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되어 있지 않을 경우, 통신 모듈은 첫번째 그래프와 같이 주기적으로 활성화/비활성화를 반복하며 동작할 수 있다. 이때, 충전 단말기의 전력송신코일은 도 4의 (B) 그래프와 같은 형태로 주기적으로 V2레벨의 전력과 V1레벨의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V2 레벨의 전력 전송 구간은 통신 모듈의 비활성화 구간(T2) 에 대응하며, V1레벨의 전력 전송 구간은 통신 모듈의 활성화 구간(T1) 에 대응한다. 여기서 V1은 V2보다 낮은 전력 레벨이며, 바람직하게는 통신 모듈의 데이터 통신에 지장을 주지 않는 수준으로 조정된 전력 레벨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V1은 0 V가 될 수도 있다.(즉, 통신 모듈의 활성화 구간(T1)에 전력이 전송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도 4의 (C) 그래프를 참조하면, 충전 단말기가 V1의 레벨로 전력을 전송하는 구간을 통신 모듈의 활성화 구간(T1)의 전후로 오프셋을 두는 것으로, 충전 단말기가 V1의 레벨로 전력을 전송하는 시간(T3)은 통신 모듈의 활성화 구간(T1)보다 적어도 더 넓게 될 수 있다. 충전 단말기(200)에서 송신 전력 레벨을 조정하는 경우 제어 모듈(230)이 제어 신호를 발생한 시점과 동일하게 송신 전력 레벨이 조정되기 보다는 신호 처리 및 스위칭 등을 위해 약간의 시간차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V1 레벨로 전력을 전송하는 구간을 통신 모듈의 활성화 구간(T1)과 동일하게 할 경우 통신 모듈이 활성화된 순간에는 V2 레벨로 전력이 전송되어 노이즈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V1 레벨로 전력을 전송하다가 V2 레벨로 송신 전력 레벨을 조정할 경우 이와 동시에 송신 전력 레벨이 조정되지 않고 약간의 시간차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B)의 경우와 같이 낮은 레벨의 전력 전송 구간을 통신 모듈의 활성화 구간(T1)과 동일하게 대응시키는 것보다, (C)의 경우와 같이 통신 모듈의 활성화 구간(T1)보다 더욱 넓게 대응함으로써, 피충전 단말기의 수신감도에 영향을 미치는 노이즈를 더욱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이어서, 도 5를 통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는 통신 모듈 동작의 1 주기(활성화 구간과 비활성화 구간을 포함)는 충전 단말기의 전력 전송의 1 주기(V1레벨 전력 전송 구간과 V2레벨 전력 전송 구간을 포함)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통신 모듈 동작의 n 주기(n ≥ 2, n = 정수)가 충전 단말기의 전력 전송의 1 주기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의 (A) 그래프는 도 4의 (A) 그래프와 동일한 통신 모듈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도면 상으로 5개의 주기(P1~ P5)만이 도시되었으나, 실제로는 통신 모듈이 그 이상의 주기를 가지며 동작한다.
도 5에서 (D) 그래프의 경우를 참조하면, 충전 단말기의 전력 전송의 1 주기는 통신 모듈 동작의 2주기와 대응한다. 충전 단말기는 P1, P3, P5 주기의 비활성화 구간에서만 V2 레벨의 전력을 전송하며, 나머지 구간에서는 V1 레벨의 전력을 전송한다. 또한, (E) 그래프의 경우를 참조하면, 충전 단말기의 전력 전송의 1 주기는 통신 모듈 동작의 3주기와 대응한다. 이와 같이, 통신 모듈의 활성화 구간 동안에는 낮은 전력을 전송한다는 특징은 유지하되, 높은 전력을 전송할 구간은 통신 모듈 동작의 주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이어서, 도 6을 통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는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낮은 경우와 높은 경우에 전력 전송 방식을 상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낮은 경우에는 충전에 우선순위를 두어 전력 전송을 제어하고,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높은 경우에는 통신 모듈의 수신감도에 우선순위를 두어 전력 전송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에서 (F) 그래프의 경우를 참조하면, 피충전 단말기의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따라, 통신 모듈의 활성화 구간에서 송신 전력의 레벨을 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충전 단말기의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판단하여, 피충전 단말기의 충전 상태가 낮은 경우에는 피충전 단말기의 통신 모듈의 활성화 구간에서 V2 레벨로 전력을 전송할 수 있으며, 이후 피충전 단말기의 배터리가 충전되면서 충전 상태가 높아진 경우에는 피충전 단말기의 통신 모듈의 활성화 구간에서 V2 레벨보다 낮은 V1 레벨로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피충전 단말기의 충전 상태(레벨)에 따라 충전 단말기의 전력 레벨을 순차적으로 조정할 수도 있다. 즉, 피충전 단말기의 충전 상태가 낮은 경우에는 충전에 우선순위를 두어 보다 높은 전력을 전송하고, 피충전 단말기의 충전 상태가 높은 경우에는 통신 모듈의 수신감도에 우선순위를 두어 무선충전으로 인한 간섭을 최소화하도록 보다 낮은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한편, 피충전 단말기의 통신 모듈의 비활성화 구간에서는 배터리의 충전 상태와 무관하게 V3 레벨의 전력을 일정하게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피충전 단말기의 통신 모듈의 비활성화 구간에서도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높아지면 송신 전력 레벨을 낮출 수도 있다.
또한, 도 6의 (G) 그래프의 경우를 참조하면, 피충전 단말기의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따라, 통신 모듈의 활성화 구간에서 전력 전송 주기가 변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충전 단말기의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판단하여, 피충전 단말기의 충전 상태가 낮은 경우에는, 피충전 단말기의 통신 모듈의 활성화 구간과 충전 단말기가 낮은 전력 레벨로 전력을 전송하는 구간을 거의 동일하게 운용할 수 있다. 또한, 피충전 단말기의 충전 상태가 높아진 경우에는, 피충전 단말기의 통신 모듈의 활성화 구간 대비 충전 단말기가 낮은 전력 레벨로 전력을 전송하는 구간을 길게 운용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낮은 경우에는 피충전 단말기의 통신 모듈의 동작 주기(활성화 주기)와 충전 단말기가 낮은 레벨로 전력을 전송하는 주기를 1 대 1로 대응시키고, 배터리 충전 상태가 높은 경우에는 피충전 단말기의 통신 모듈의 동작 주기와 충전 단말기가 낮은 레벨로 전력을 전송하는 주기를 1 대 2로 대응시키는 실시예를 도시하였다. 그러나, 이는 단지 예시에 불과하며 배터리의 충전상태가 낮은 경우 통신 모듈의 동작 주기와 충전 단말기의 낮은 레벨의 전력 전송 주기를 1 대 1로 대응시키고,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높은 경우 통신 모듈의 동작 주기와 충전 단말기의 낮은 레벨의 전력 전송 주기를 1 대 3으로 대응시킬 수도 있다. 또한, 피충전 단말기의 충전 상태(레벨)에 따라 충전 단말기가 낮은 레벨의 전력을 전송하는 주기를 순차적으로 조정할 수도 있다. 따라서, 피충전 단말기의 충전 상태에 따라 충전과 통신 모듈의 수신감도에 우선순위를 두어 충전 주기를 조정함으로써 무선충전으로 인한 간섭을 최소화하도록 보다 낮은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이와 같이, 피충전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상태가 낮을 때에는 배터리 충전 상태가 높을 때보다 전력 전송 레벨을 상승시키거나 전력 전송 주기를 높임으로써, 노이즈 감소의 효과를 유도함과 동시에 충전 효율 상승이라는 효과도 도모할 수 있다.
이어서, 도 7을 통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전술한 제 1 실시예 내지 제 3 실시예는 피충전 단말기의 통신 모듈이 기지국과의 간헐적인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경우의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제 4 실시예는 통신 모듈이 기지국과의 지속적인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때나 통신 모듈이 와이파이, 블루투스, NFC 등 기지국 이외의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의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도 7의 (A′) 그래프는 통신 모듈의 활성화/비활성화 상태에 관한 그래프로서, 도 4 내지 도 6과 다르게 주기성이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스마트폰(피충전 단말기)으로 전화통화를 하는 경우, 사용자가 와이파이에 접속하여 스마트폰 상에서 메신저를 실행시키는 경우, 사용자가 타 단말기와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음악 파일을 자신의 스마트폰으로 전송받는 경우 및 사용자가 NFC를 통해 스마트폰으로 결제를 진행하는 경우 등에서 통신 모듈은 지속적인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므로 도 7의 (A′) 그래프와 같은 형태의 동작특성이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전력 전송 주기는 통신 단말기의 활성화 구간 동안 전력을 전송하지 않고 비활성화 구간에만 전력을 전송하게 되므로, (B′)와 같이 주기성이 없는 형태로 나타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내지 제 4 실시예는 수신감도 저하를 유발하는 노이즈를 감소시키기 위해 통신 모듈의 활성화 구간 동안에는 충전 전력 레벨을 감소시킨다는 개념을 모두 포함한다. 다만, 배터리 충전 효율성이나, 노이즈 감소 효율, 통신 모듈의 데이터 통신 상태 등에 따라 전력을 충전하는 양태는 다소 상이하게 진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무선충전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충전 단말기(200)는 피충전 단말기(100)가 존재하는지 검색하고, 인식한다(S100). 자기 유도 방식의 무선 충전 시스템의 경우, 예를 들어 충전 단말기(200)와 피충전 단말기(100)의 영구자석을 통해 서로 인식될 수 있고, 별도의 센서(예를 들어 피충전 단말기의 거치를 감지하는 압력 감지 센서)를 통해 인식될 수 있다. 자기 공명 방식의 무선 충전 시스템의 경우는 이와 상이한 양태를 가질 수 있다. 충전 단말기(200)가 피충전 단말기(100)를 인식한 후, 양 단말기 간에 무선충전을 위한 통신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어서, 피충전 단말기(100)는 배터리 충전상태 정보와 통신 모듈 활성화 정보를 제 1 주파수 채널을 통해 충전 단말기(200)로 전송한다(S110). 상기한 바와 같이, 제 1 주파수 채널은 전력 전송을 위한 제 2 주파수 채널과 별개로 형성된 주파수 채널일 수도 있고, 제 2 주파수 채널과 동일한 주파수 채널일 수도 있다. 통신 모듈 활성화 정보는 피충전 단말기(100)의 통신 모듈(110)이 데이터 통신을 위해 활성화되어 있는 시간 및 주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라, 충전 단말기(200)로부터 피충전 단말기(100)로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 및 통신 모듈 활성화 정보의 요청 신호가 전송되고, 피충전 단말기는 이에 응답하여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 및 통신 모듈 활성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는 무선충전이 이루어지는 중에 주기적/비주기적으로 여러 차례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피충전 단말기(100)는 통신 모듈의 활성화/비활성화 상태가 변경된 경우 상태 정보를 충전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즉, 무선충전을 개시할 때 피충전 단말기의 통신 모듈의 활성화 정보를 한번만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피충전 단말기의 통신 모듈의 상태가 변화가 있을 때 그 상태에 대한 정보를 충전 단말기로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피충전 단말기가 전화 통화 등으로 인해 통신 모듈의 활성화 주기와는 달리 계속해서 활성화 상태가 지속되거나, 전화 통화 종료로 인해 다시 활성화 주기에 따라 통신 모듈이 동작하는 경우, 충전 단말기가 이미 전송받은(무선충전 개시 시점에 전송받은) 통신 모듈 활성화 정보를 피충전 단말기의 상태와 동기화하여야 한다. 따라서, 이 경우 피충전 단말기는 충전 단말기가 가지고 있는 통신 모듈의 현재 상태 정보를 충전 단말기에 전송해 줌으로써, 충전 단말기는 피충전 단말기의 통신 모듈의 활성화/비활성화 상태에 맞게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무선충전을 진행할 수 있다.
충전 단말기(200)는 수신한 배터리 충전상태 정보를 통해, 피충전 단말기(100)의 배터리(140)가 완전히 충전되었는지 판단한다(S120).
배터리(140)가 완전히 충전된 경우, 충전 단말기(200)는 충전완료표시를 수행하고 전력 전송을 종료할 수 있다(S125). 충전완료표시는 충전 단말기(200)에 탑재된 LED에 소정의 색상의 불빛을 발하게 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배터리(140)가 완전히 충전된 이후 피충전 단말기(100)와 충전 단말기(200)가 상호 연계되어 있는 상태에서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줄어든 경우(피충전 단말기의 전력 소모가 발생한 경우) 충전 단말기는 다시 전력 전송을 개시할 수도 있다.
배터리(140)가 완전히 충전되지 않은 경우, 충전 단말기(200)는 피충전 단말기(100)의 통신 모듈(110)의 활성화 상태를 판단한다(S130). 피충전 단말기의 통신 모듈의 활성화 상태의 판단은, S110에서 수신한 통신 모듈 활성화 정보를 참조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고, 피충전 단말기로부터 지속적으로 전송되는 통신 모듈의 활성화/비활성화 상태에 대한 정보를 참조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피충전 단말기(100)의 통신 모듈(110)이 활성화되어 기지국이나 타 단말기 등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경우, 충전 단말기(200)는 제 1 레벨의 전력을 제 2 주파수 채널을 통해 전송한다(S140). 제 1 레벨은 후술하는 제 2 레벨보다 낮은 전력 레벨이며, 제 1 레벨이 O V 일 경우 충전 단말기(200)는 전력을 전송하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통신 모듈(110)이 비활성화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있지 않은 경우, 충전 단말기(200)는 제 1 레벨보다 높은 제 2 레벨의 전력을 제 2 주파수 채널을 통해 전송한다(S150).
이때, 통신 모듈(110)의 데이터 통신 종류에 따라 도 4의 (B) 그래프나 도 7의 (B′) 그래프 와 같은 형태의 전력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 1 레벨의 전력을 전송하는 구간이 통신 모듈(110)의 활성화 구간보다 넓은 경우, 도 4의 (C) 그래프 와 같은 형태의 전력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주기의 비활성화 구간에만 선택적으로 제 2 레벨의 전력을 전송하는 경우 도 5의 (D) 그래프, (E) 그래프와 같은 형태의 전력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충전 상태에 따라 충전 효율을 높이고자 하는 경우 도 6의 (F), (E) 그래프 와 같은 형태의 전력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어서, 전력을 전송받은 피충전 단말기(100)는 수신한 전력으로 배터리 충전을 진행하게 된다(S160).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피충전 단말기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동안 무선 충전을 진행하지 않거나, 무선 충전 전력 레벨을 낮춤으로써, 무선 충전에 의한 노이즈가 데이터 통신의 수신 감도를 저하시키는 영향을 줄일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피충전 단말기가 수행하는 다양한 데이터 통신에 대하여 범용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자기 유도 방식 또는 자기 공명 방식 등의 다양한 무선 충전 방식에 대해서도 범용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 피충전 단말기 110 : 통신 모듈
120 : 제 1 무선충전 보조 모듈 130 : 전력수신코일
140 : 배터리 200 : 충전 단말기
210 : 제 2 무선충전 보조 모듈 220 : 전력송신코일
230 : 제어 모듈

Claims (40)

  1. 피충전 단말기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피충전 단말기의 통신 모듈의 활성화 상태와 비활성화 상태에 따라 무선충전 전력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레벨로 상기 피충전 단말기에 전력을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 모듈이 활성화된 구간 동안 전송할 상기 무선충전 전력 레벨을 제 1 레벨로 결정하고, 상기 통신 모듈이 비활성화된 구간 동안 전송할 상기 무선충전 전력 레벨을 제 2 레벨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레벨은 상기 제 1 레벨보다 같거나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 모듈이 활성화된 구간보다 같거나 긴 시간 동안 전송할 상기 무선충전 전력 레벨을 제 1 레벨로 결정하고, 상기 제 1 레벨로 전송되지 않는 상기 통신 모듈이 비활성화된 구간 동안 전송할 상기 무선충전 전력 레벨을 제 2 레벨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의 활성화 상태와 비활성화 상태는 상기 피충전 단말기의 실행 상태나 상기 피충전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모드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피충전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모드가, 기지국과의 데이터 통신모드, 와이파이(Wifi) 통신모드, 블루투스(Bluetooth) 통신모드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모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충전 단말기의 통신 모듈의 활성화 상태와 비활성화 상태에 대한 정보인 통신 모듈 활성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 활성화 정보는 상기 통신 모듈이 활성화된 구간과 비활성화된 구간의 주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피충전 단말기의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추가로 고려하여 상기 무선충전 전력 레벨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낮을수록 높은 전력 레벨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따라 상기 결정된 전력 레벨로 전력을 전송하는 주기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 모듈이 활성화된 구간 동안 상기 전력 레벨을 제 1 레벨로 결정하고, 상기 통신 모듈이 비활성화된 구간 동안 상기 전력 레벨을 제 2 레벨로 결정하며,
    상기 주기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기준값보다 낮은 경우 상기 제 1 레벨로 전력을 전송하는 주기를 제 1 주기로 결정하고,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기준값보다 큰 경우 상기 제 1 레벨로 전력을 전송하는 주기를 제 2 주기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주기는 상기 통신 모듈의 활성화 주기와 대응하며,
    상기 제 2 주기는 상기 제 1 주기보다 같거나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방법.
  15.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
    상기 통신 모듈의 활성화 상태와 비활성화 상태에 대한 정보인 통신 모듈 활성화 정보를 전송하는 제 1 무선충전 보조 모듈; 및
    상기 통신 모듈 활성화 정보에 따라 결정된 레벨의 전력을 수신하여 무선 충전을 수행하는 전력수신코일;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피충전 단말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수신코일은,
    상기 통신 모듈이 활성화된 구간 동안 제 1 레벨의 전력으로 무선 충전을 수행하며, 상기 통신 모듈이 비활성화된 구간 동안 제 2 레벨의 전력으로 무선 충전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피충전 단말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레벨은 상기 제 1 레벨보다 같거나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피충전 단말기.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수신코일은,
    상기 통신 모듈이 활성화된 구간보다 같거나 긴 시간 동안 제 1 레벨의 전력으로 무선충전을 수행하고, 상기 제 1 레벨의 전력으로 무선충전되지 않은 상기 통신 모듈이 비활성화된 구간 동안 상기 제 2 레벨의 전력으로 무선충전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피충전 단말기.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의 활성화 상태와 비활성화 상태는 상기 무선 피충전 단말기의 실행 상태나 상기 무선 피충전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모드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피충전 단말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피충전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모드는, 기지국과의 데이터 통신모드, 와이파이(Wifi) 통신모드, 블루투스(Bluetooth) 통신모드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모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피충전 단말기.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 활성화 정보는 상기 통신 모듈이 활성화된 구간과 비활성화된 구간의 주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피충전 단말기.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무선충전 보조 모듈은 상기 무선 피충전 단말기의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대한 정보를 추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피충전 단말기.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수신코일은,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낮을수록 높은 전력 레벨로 무선충전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피충전 단말기.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수신코일은,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따라 다른 주기로 무선충전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피충전 단말기.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수신코일은,
    상기 통신 모듈이 활성화된 구간 동안 제 1 레벨의 전력으로 무선충전을 수행하고, 상기 통신 모듈이 비활성화된 구간 동안 제 2 레벨의 전력으로 무선충전을 수행하되,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기준값보다 낮은 경우 제 1 주기마다 상기 제 1 레벨의 전력으로 무선충전하며,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기준값보다 큰 경우 제 2 주기마다 상기 제 1 레벨의 전력으로 무선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피충전 단말기.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주기는 상기 통신 모듈의 활성화 주기와 대응하며,
    상기 제 2 주기는 상기 제 1 주기보다 같거나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피충전 단말기.
  27. 피충전 단말기의 통신 모듈의 활성화 상태와 비활성화 상태에 대한 정보인 통신 모듈 활성화 정보를 수신하는 제 2 무선충전 보조 모듈;
    상기 통신 모듈 활성화 정보에 따라 무선충전 전력 레벨을 결정하는 제어 모듈; 및
    상기 결정된 전력 레벨로 상기 피충전 단말기에 전력을 전송하는 전력송신코일;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 단말기.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통신 모듈이 활성화된 구간 동안 전송할 상기 무선충전 전력 레벨을 제 1 레벨로 결정하고, 상기 통신 모듈이 비활성화된 구간 동안 전송할 상기 무선충전 전력 레벨을 제 2 레벨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 단말기.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레벨은 상기 제 1 레벨보다 같거나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 단말기.
  30.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통신 모듈이 활성화된 구간보다 같거나 긴 시간 동안 전송할 상기 무선충전 전력 레벨을 제 1 레벨로 결정하고, 상기 제 1 레벨로 전송되지 않는 상기 통신 모듈이 비활성화된 구간 동안 전송할 상기 무선충전 전력 레벨을 제 2 레벨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 단말기.
  31.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의 활성화 상태와 비활성화 상태는 상기 피충전 단말기의 실행 상태나 상기 무선 피충전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모드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 단말기.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피충전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모드는, 기지국과의 데이터 통신모드, 와이파이(Wifi) 통신모드, 블루투스(Bluetooth) 통신모드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모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 단말기.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 활성화 정보는 상기 통신 모듈이 활성화된 구간과 비활성화된 구간의 주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 단말기.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무선충전 보조 모듈은 상기 무선 피충전 단말기의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대한 정보를 추가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 단말기.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수신된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추가로 고려하여 상기 무선충전 전력 레벨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 단말기.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낮을수록 높은 전력 레벨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 단말기.
  37.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추가로,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따라 상기 결정된 전력 레벨로 전력을 전송하는 주기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 단말기.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통신 모듈이 활성화된 구간 동안 상기 전력 레벨을 제 1 레벨로 결정하고, 상기 통신 모듈이 비활성화된 구간 동안 상기 전력 레벨을 제 2 레벨로 결정하며,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기준값보다 낮은 경우 상기 제 1 레벨로 전력을 전송하는 주기를 제 1 주기로 결정하고,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기준값보다 큰 경우 상기 제 1 레벨로 전력을 전송하는 주기를 제 2 주기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 단말기.
  39.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주기는 상기 통신 모듈의 활성화 주기와 대응하며,
    상기 제 2 주기는 상기 제 1 주기보다 같거나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 단말기.
  40.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상기 통신 모듈; 상기 통신 모듈의 활성화 상태와 비활성화 상태에 대한 정보인 통신 모듈 활성화 정보를 전송하는 제 1 무선충전 보조 모듈; 및 무선충전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전력을 수신하여 무선 충전을 수행하는 전력수신코일;을 포함하는 무선 피충전 단말기; 및
    상기 통신 모듈 활성화 정보를 수신하는 제 2 무선충전 보조 모듈; 상기 통신 모듈 활성화 정보에 따라 무선충전 전력 레벨을 결정하는 제어 모듈; 및 상기 결정된 전력 레벨로 상기 무선 피충전 단말기에 전력을 전송하는 전력송신코일;을 포함하는 상기 무선충전 단말기;
    을 포함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
KR20130111582A 2013-09-17 2013-09-17 무선충전 시스템, 무선충전 단말기, 무선 피충전 단말기 및 무선충전방법 KR201500318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1582A KR20150031852A (ko) 2013-09-17 2013-09-17 무선충전 시스템, 무선충전 단말기, 무선 피충전 단말기 및 무선충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1582A KR20150031852A (ko) 2013-09-17 2013-09-17 무선충전 시스템, 무선충전 단말기, 무선 피충전 단말기 및 무선충전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1852A true KR20150031852A (ko) 2015-03-25

Family

ID=53025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1582A KR20150031852A (ko) 2013-09-17 2013-09-17 무선충전 시스템, 무선충전 단말기, 무선 피충전 단말기 및 무선충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31852A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2377B1 (ko) 2015-10-01 2017-02-03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우스 패드 겸용 무선 충전 장치
KR101708419B1 (ko) 2015-10-01 2017-02-20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
KR101708418B1 (ko) 2015-10-01 2017-02-20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피커 겸용 무선 충전 장치
WO2017160006A1 (ko) * 2016-03-15 2017-09-21 엘지이노텍(주) 무선 전력 송신 제어 방법 및 장치
US10256658B2 (en) 2015-07-23 2019-04-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Operating method of an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WO2019135611A1 (ko) * 2018-01-04 2019-07-11 엘지이노텍(주) 노이즈 저감 무선 전력 전송 방법 및 장치
WO2019208902A1 (ko) * 2018-04-27 2019-10-31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전력을 무선으로 수신하는 전자 장치와 그 동작 방법
WO2021080208A1 (ko) * 2019-10-23 2021-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소물 가전 및 소물 가전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US11056904B2 (en) 2016-10-10 2021-07-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charging battery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WO2022055114A1 (ko) * 2020-09-14 2022-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제어 방법 및 무선 전력 시스템
US11355970B2 (en) 2018-04-27 2022-06-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for wirelessly receiving power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56658B2 (en) 2015-07-23 2019-04-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Operating method of an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KR101702377B1 (ko) 2015-10-01 2017-02-03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우스 패드 겸용 무선 충전 장치
KR101708419B1 (ko) 2015-10-01 2017-02-20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
KR101708418B1 (ko) 2015-10-01 2017-02-20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피커 겸용 무선 충전 장치
WO2017160006A1 (ko) * 2016-03-15 2017-09-21 엘지이노텍(주) 무선 전력 송신 제어 방법 및 장치
US11056904B2 (en) 2016-10-10 2021-07-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charging battery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WO2019135611A1 (ko) * 2018-01-04 2019-07-11 엘지이노텍(주) 노이즈 저감 무선 전력 전송 방법 및 장치
WO2019208902A1 (ko) * 2018-04-27 2019-10-31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전력을 무선으로 수신하는 전자 장치와 그 동작 방법
US11355970B2 (en) 2018-04-27 2022-06-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for wirelessly receiving power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WO2021080208A1 (ko) * 2019-10-23 2021-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소물 가전 및 소물 가전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WO2022055114A1 (ko) * 2020-09-14 2022-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제어 방법 및 무선 전력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31852A (ko) 무선충전 시스템, 무선충전 단말기, 무선 피충전 단말기 및 무선충전방법
US10141785B2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ethod
US10673487B2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to optimize A4WP wireless charging and NFC co-existence
US8213862B2 (en) Headset charge via short-range RF communication
US9002414B2 (en) Power management of a radio data transceiver
KR20160025314A (ko) 충전 방식 가변형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CN110958674A (zh) 睡眠状态中的附件的低功率激活
WO2021168664A1 (zh) 通信方法、装置及计算机存储介质
CN102474817A (zh) 休眠模式操作的更新方法和装置
WO201305287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vanced motion detec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CN102457949A (zh) 从多输入多输出向单输入单输出转变以省电的装置
US9344967B2 (en) Deep sleep in 1x M2M devices
CN110545499B (zh) 通信方法、装置及其芯片、待充电设备和系统
US10375756B2 (en)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of a communication device, transceiver operating accordingly, and computer program
US8019281B2 (en) Transmission method and transmission system
CN108475932A (zh) 无线充放电的方法和无线充放电设备
JP7247374B2 (ja) モニタリング方法、シグナリング下り送信方法及び装置、通信機器及び記憶媒体
EP3131348B1 (en) Power consumption control method for wearable device, and wearable device
KR20090024286A (ko)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고속 접속 셋업을 지원하는 방법 및 시스템
WO2014146538A1 (zh) 移动终端参数配置方法及参数配置装置
TW201206102A (en)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user equipment radio frequency assistant system
US9370030B2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WO2016033874A1 (zh) 无线充电处理方法、装置及无线充电器
CN110544965B (zh) 通信方法、装置及其芯片、待充电设备和系统
CN113093895A (zh) 穿戴设备以及穿戴设备的控制方法和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