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1852A - Wireless charging system, Wireless charging terminal, Terminal to be charged wirelessly and Wireless charging Method - Google Patents
Wireless charging system, Wireless charging terminal, Terminal to be charged wirelessly and Wireless charging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31852A KR20150031852A KR20130111582A KR20130111582A KR20150031852A KR 20150031852 A KR20150031852 A KR 20150031852A KR 20130111582 A KR20130111582 A KR 20130111582A KR 20130111582 A KR20130111582 A KR 20130111582A KR 20150031852 A KR20150031852 A KR 2015003185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vel
- communication module
- period
- wireless charging
- powe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0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1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5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8
- 230000009849 deactiv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abstract 1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1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2779 in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1646 magnetic resonance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17 retai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2—Permanent magnets [PM]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 H02J13/00022—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 H02J13/0002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involving a local wireless network, e.g. Wi-Fi, ZigBee or Bluetooth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34—Charger exchanging data with an electronic device, i.e. telephone, whose internal battery is under charge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9—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data transfer in combination with power transf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무선 충전이 진행되는 동안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감도 저하 방지를 위한 무선충전 시스템, 무선충전 단말기, 무선 피충전 단말기 및 무선충전방법에 관한 것이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wireless charging system, a wireless charging terminal, a wireless charging terminal, and a wireless charging method for preventing a decrease in data communication sensitivity of a wireless terminal during wireless charging.
최근 휴대 단말기(예를 들어, 스마트폰)의 무선 충전 방식에 대한 개발과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BACKGROUND ART [0002] Recently, the development and interest of a wireless charging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for example, a smart phone) is increasing.
무선 충전 기술은 크게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자기 공명 방식이며 다른 하나는 자기 유도 방식이다. 자기 공명 방식은 충전기의 코일에서 공진주파수로 진동하는 자기장을 생성해 동일한 공진 주파수로 설계된 휴대 단말기의 수신 코일에 에너지가 집중적으로 전달하게 함으로써 휴대 단말기에 전류를 공급하는 것을 원리로 한다. 반면, 자기 유도 방식은 충전기가 자기장을 만들면 상기 자기장이 휴대 단말기의 수신 코일의 자기장을 유도하여 유도 전류를 발생시킴으로써 휴대 단말기에 전류를 공급하는 것을 원리로 한다. There are two major wireless charging technologies. One is magnetic resonance and the other is magnetic induction. The magnetic resonance method generates a magnetic field that oscillates at a resonance frequency in a coil of a charger, and transfers energy to a receiving coil of a portable terminal designed with the same resonance frequency, thereby supplying current to the portable terminal. On the other hand, in the magnetic induction type, when the charger makes a magnetic field, the magnetic field induces a magnetic field of the receiving coil of the portable terminal to generate an induced current, thereby supplying current to the portable terminal.
이하, 종래의 자기 유도 방식과 자기 공명 방식의 충전 원리에 대하여 도 1 및 도 2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charging principle of the conventional magnetic induction type and magnetic resonance typ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 and FIG.
도 1은 종래의 자기 유도 방식으로 무선 충전이 이루어지는 무선충전 시스템으로서, 충전 단말기(20)와 피충전 단말기(10)는 특정한 위치에 서로 접촉한 상태에서 무선 충전이 진행된다. 충전 단말기(20)의 자기장이 피충전 단말기(10)의 전력수신코일(13)의 자기장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각 단말기의 코일들(13, 22)이 서로 정합되는 위치에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때, 충전 단말기(20)는 제 1 주파수 채널로 피충전 단말기(10)의 배터리 정보를 수신하며, 배터리(14)가 완충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 2 주파수 채널로 피충전 단말기(10)에 전력을 송신한다.(즉, 전력송신코일(22)을 통해 자기장을 발생시켜 전력수신코일(13)에 유도 전류가 흐르게 한다.) 수신된 전력은 피충전 단말기(10)의 배터리(14)로 공급되어 충전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자기 유도 방식은 충전 단말기(20)와 피충전 단말기(10)가 1 대 1 대응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FIG. 1 is a wireless charging system in which wireless charging is performed by a conventional magnetic induction method, in which the
한편,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자기 공명 방식의 무선충전 시스템을 참고하면, 자기 공명 방식은 충전 단말기(20)와 피충전 단말기(10)가 1 대 다수로 대응되는 경우에도 이루어질 수 있다. 자기 공명 방식의 경우 충전 단말기(20)와 피충전 단말기(10)가 특정 위치에 정합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충전 단말기(20)가 발생시키는 특정한 주파수의 자기장을 수신할 수 있도록 설계가 되어 있다면 어떠한 피충전 단말기(10)이든지 무선 충전이 진행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도, 충전 단말기(20)가 제 1 주파수 채널로 제 1 내지 제 n 피충전 단말기(10a ~ 10n)의 배터리 정보를 수신하여 배터리 충전이 필요한 경우에만 제 2 주파수 채널로 충전 전력을 전송한다.2, the magnetic resonance method can be performed even when the
한편, 충전 단말기(20)와 피충전 단말기(10)는 무선 충전 전력과 배터리 정보를 송수신할 때에 특정한 주파수 채널을 이용하므로, 무선 충전 방식에 따라 수백 kHz 내지 수십 MHz의 노이즈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노이즈는 피충전 단말기(10)가 기지국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거나 전화 통화를 할 때에,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등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때에, 피충전 단말기(10)의 수신감도를 저하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즉, 충전 단말기(20)와 피충전 단말기(10)가 무선 충전을 위해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에서 발생한 신호가, 피충전 단말기(10)가 데이터 통신 또는 전화 통화를 위해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에 노이즈로 유입됨으로써 통신을 방해하는 요인이 되고, 이에 따라 통신/통화 품질이 저하되거나 신호의 유실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피충전 단말기(10)가 무선 충전되고 있는 도중, 상기 피충전 단말기(10)로 전화가 걸려올 경우, 전화가 수신되지 않을 수 있으며, 수신되더라도 늦게 수신하거나 전화통화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Meanwhile, since the
따라서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피충전 단말기 내에서 기지국이나 타 단말기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의 활성화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 모듈의 활성화상태에 따라 무선충전 전력량을 가변적으로 조절함으로써 노이즈에 의한 수신감도 저하를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controll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hich uses an activation information of a communication module that performs data communication with a base station or another terminal in a charging terminal, So as to prevent deterioration of reception sensitivity due to nois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후술되는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 내용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설명될 것이다.Other obj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claims.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무선충전방법은 피충전 단말기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피충전 단말기의 통신 모듈의 활성화 상태와 비활성화 상태에 따라 무선충전 전력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레벨로 상기 피충전 단말기에 전력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ireless charging method including: recognizing a charging terminal; Determining a wireless charging power level according to an activation state and an inactive state of th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terminal to be charged; And transmitting power to the charged terminal at the determined level.
또한, 상기 전력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 모듈이 활성화된 구간 동안 전송할 상기 무선충전 전력 레벨을 제 1 레벨로 결정하고, 상기 통신 모듈이 비활성화된 구간 동안 전송할 상기 무선충전 전력 레벨을 제 2 레벨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etermining of the power level may further include determining the wireless charging power level to be transmitted during a period in which the communication module is activated as a first level and setting the wireless charging power level to be transmitted during the inactivated period as a second level, Level.
또한, 상기 제 2 레벨은 상기 제 1 레벨보다 같거나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level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first level.
또한, 상기 전력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 모듈이 활성화된 구간보다 같거나 긴 시간 동안 전송할 상기 무선충전 전력 레벨을 제 1 레벨로 결정하고, 상기 제 1 레벨로 전송되지 않는 상기 통신 모듈이 비활성화된 구간 동안 전송할 상기 무선충전 전력 레벨을 제 2 레벨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tep of determining the power level may further include determining the wireless charging power level to be transmitted for a time equal to or longer than an interval in which the communication module is activated as a first level, And determines the wireless charging power level to be transmitted during the inactive period as the second level.
또한, 상기 통신 모듈의 활성화 상태와 비활성화 상태는 상기 피충전 단말기의 실행 상태나 상기 피충전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모드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ctivation state and the inactive state of the communication module a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execution state of the terminal to be charged or the data communication mode of the terminal to be charged.
또한, 상기 피충전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모드가, 기지국과의 데이터 통신모드, 와이파이(Wifi) 통신모드, 블루투스(Bluetooth) 통신모드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모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ata communication mode of the terminal to be charged may be a data communication mode with a base station, a Wifi communication mode, a Bluetooth communication mode, or an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communication mode.
또한, 상기 피충전 단말기의 통신 모듈의 활성화 상태와 비활성화 상태에 대한 정보인 통신 모듈 활성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ethod further includes receiving communication module activation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on an activation state and a deactivation state of th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terminal to be charged.
또한, 상기 통신 모듈 활성화 정보는 상기 통신 모듈이 활성화된 구간과 비활성화된 구간의 주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module activation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a period in which the communication module is activated and a period in which the communication module is inactivated.
또한, 상기 피충전 단말기의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receiving information on a state of charge of the battery of the terminal to be charged.
또한, 상기 전력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추가로 고려하여 상기 무선충전 전력 레벨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etermining of the power level may further include determining the wireless charging power level by further considering the charging state of the battery.
또한, 상기 전력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낮을수록 높은 전력 레벨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power level may determine a higher power level as the charging state of the battery is lower.
또한,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따라 상기 결정된 전력 레벨로 전력을 전송하는 주기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etermining a period for transmitting power at the determined power level according to the charged state of the battery.
또한, 상기 전력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 모듈이 활성화된 구간 동안 상기 전력 레벨을 제 1 레벨로 결정하고, 상기 통신 모듈이 비활성화된 구간 동안 상기 전력 레벨을 제 2 레벨로 결정하며, 상기 주기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기준값보다 낮은 경우 상기 제 1 레벨로 전력을 전송하는 주기를 제 1 주기로 결정하고,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기준값보다 큰 경우 상기 제 1 레벨로 전력을 전송하는 주기를 제 2 주기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etermining of the power level may include determining the power level as a first level during a period in which the communication module is active and determining the power level as a second level during a period in which the communication module is inactive, Wherein the determining of the period determines a period for transmitting power to the first level as a first period when the charged state of the battery is lower than a reference value, Is determined as the second period.
또한, 상기 제 1 주기는 상기 통신 모듈의 활성화 주기와 대응하며, 상기 제 2 주기는 상기 제 1 주기보다 같거나 긴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period corresponds to the activation period of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second period is equal to or longer than the first period.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무선 피충전 단말기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 상기 통신 모듈의 활성화 상태와 비활성화 상태에 대한 정보인 통신 모듈 활성화 정보를 전송하는 제 1 무선충전 보조 모듈; 및 상기 통신 모듈 활성화 정보에 따라 결정된 레벨의 전력을 수신하여 무선 충전을 수행하는 전력수신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irelessly-charged terminal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for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A first wireless charging assistant module for transmitting communication module activation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on an activation state and an inactive state of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a power receiving coil for receiving the power of a level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module activation information and performing wireless charging.
또한, 상기 전력수신코일은, 상기 통신 모듈이 활성화된 구간 동안 제 1 레벨의 전력으로 무선 충전을 수행하며, 상기 통신 모듈이 비활성화된 구간 동안 제 2 레벨의 전력으로 무선 충전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ower receiving coil performs wireless charging with power of a first level during an active period of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performs wireless charging with power of a second level during an inactive period of the communication module. do.
또한, 상기 제 2 레벨은 상기 제 1 레벨보다 같거나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level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first level.
또한, 상기 전력수신코일은, 상기 통신 모듈이 활성화된 구간보다 같거나 긴 시간 동안 제 1 레벨의 전력으로 무선충전을 수행하고, 상기 제 1 레벨의 전력으로 무선충전되지 않은 상기 통신 모듈이 비활성화된 구간 동안 상기 제 2 레벨의 전력으로 무선충전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ower receiving coil performs wireless charging with power of a first level for a time equal to or longer than a period in which the communication module is activated, and when the communication module that is not wirelessly charged with the first level power is deactivated And performs wireless charging with the power of the second level during the interval.
또한, 상기 통신 모듈의 활성화 상태와 비활성화 상태는 상기 무선 피충전 단말기의 실행 상태나 상기 무선 피충전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모드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ctivation state and the inactive state of the communication module a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execution state of the wirelessly-charged terminal or the data communication mode of the wirelessly-charged terminal.
또한, 상기 무선 피충전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모드는, 기지국과의 데이터 통신모드, 와이파이(Wifi) 통신모드, 블루투스(Bluetooth) 통신모드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모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ata communication mode of the wirelessly-connected charging terminal may be any one of a data communication mode with a base station, a Wifi communication mode, a Bluetooth communication mode, and an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communication mode .
또한, 상기 통신 모듈 활성화 정보는 상기 통신 모듈이 활성화된 구간과 비활성화된 구간의 주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module activation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a period in which the communication module is activated and a period in which the communication module is inactivated.
또한, 상기 제 1 무선충전 보조 모듈은 상기 무선 피충전 단말기의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대한 정보를 추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wireless charging assistant module may further transmit information on a charging state of the battery of the wireless charging terminal.
또한, 상기 전력수신코일은,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낮을수록 높은 전력 레벨로 무선충전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ower receiving coil performs wireless charging at a higher power level as the charging state of the battery is lower.
또한, 상기 전력수신코일은,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따라 다른 주기로 무선충전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ower receiving coil performs wireless charging at different periods according to the charged state of the battery.
또한, 상기 전력수신코일은, 상기 통신 모듈이 활성화된 구간 동안 제 1 레벨의 전력으로 무선충전을 수행하고, 상기 통신 모듈이 비활성화된 구간 동안 제 2 레벨의 전력으로 무선충전을 수행하되,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기준값보다 낮은 경우 제 1 주기마다 상기 제 1 레벨의 전력으로 무선충전하며,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기준값보다 큰 경우 제 2 주기마다 상기 제 1 레벨의 전력으로 무선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ower receiving coil performs wireless charging with a first level of power during a period in which the communication module is activated and performs wireless charging with a second level of power during a period during which the communication module is inactive, When the state of charge of the battery is lower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battery is charged with the power of the first level every first period, and when the state of charge of the battery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do.
또한, 상기 제 1 주기는 상기 통신 모듈의 활성화 주기와 대응하며, 상기 제 2 주기는 상기 제 1 주기보다 같거나 긴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period corresponds to the activation period of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second period is equal to or longer than the first period.
또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무선 충전 단말기는 피충전 단말기의 통신 모듈의 활성화 상태와 비활성화 상태에 대한 정보인 통신 모듈 활성화 정보를 수신하는 제 2 무선충전 보조 모듈; 상기 통신 모듈 활성화 정보에 따라 무선충전 전력 레벨을 결정하는 제어 모듈; 및 상기 결정된 전력 레벨로 상기 피충전 단말기에 전력을 전송하는 전력송신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ireless charging terminal including a second wireless charging auxiliary module for receiving communication module activation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on an activation state and a deactivation state of a communication module of a charging terminal; A control module for determining a wireless charging power level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module activation information; And a power transmission coil for transmitting power to the charged terminal at the determined power level.
또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통신 모듈이 활성화된 구간 동안 전송할 상기 무선충전 전력 레벨을 제 1 레벨로 결정하고, 상기 통신 모듈이 비활성화된 구간 동안 전송할 상기 무선충전 전력 레벨을 제 2 레벨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module may determine the wireless charging power level to be transmitted during a period in which the communication module is activated as a first level, and determine the wireless charging power level to be transmitted during a period in which the communication module is inactivated as a second level .
또한, 상기 제 2 레벨은 상기 제 1 레벨보다 같거나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level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first level.
또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통신 모듈이 활성화된 구간보다 같거나 긴 시간 동안 전송할 상기 무선충전 전력 레벨을 제 1 레벨로 결정하고, 상기 제 1 레벨로 전송되지 않는 상기 통신 모듈이 비활성화된 구간 동안 전송할 상기 무선충전 전력 레벨을 제 2 레벨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module may determine the wireless charging power level to be transmitted for a time equal to or longer than an activated section of the communication module to a first level, and determine, when the communication module is not in the first level, And the wireless charging power level to be transmitted is determined as the second level.
또한, 상기 통신 모듈의 활성화 상태와 비활성화 상태는 상기 피충전 단말기의 실행 상태나 상기 무선 피충전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모드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ctivation state and the inactive state of the communication module a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execution state of the terminal to be charged or the data communication mode of the wirelessly-connected charging terminal.
또한, 상기 무선 피충전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모드는, 기지국과의 데이터 통신모드, 와이파이(Wifi) 통신모드, 블루투스(Bluetooth) 통신모드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모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ata communication mode of the wirelessly-connected charging terminal may be any one of a data communication mode with a base station, a Wifi communication mode, a Bluetooth communication mode, and an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communication mode .
또한, 상기 통신 모듈 활성화 정보는 상기 통신 모듈이 활성화된 구간과 비활성화된 구간의 주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module activation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a period in which the communication module is activated and a period in which the communication module is inactivated.
또한, 상기 제 2 무선충전 보조 모듈은 상기 무선 피충전 단말기의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대한 정보를 추가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second wireless charging auxiliary module further receives information on the charging state of the battery of the wireless charging terminal.
또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수신된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추가로 고려하여 상기 무선충전 전력 레벨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control module may further determine the wireless charging power level by further considering the charging state of the received battery.
또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낮을수록 높은 전력 레벨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control module determines a higher power level as the charging state of the battery is lower.
또한, 상기 제어 모듈은, 추가로,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따라 상기 결정된 전력 레벨로 전력을 전송하는 주기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 module may further determine a period for transmitting power at the determined power level according to the charged state of the battery.
또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통신 모듈이 활성화된 구간 동안 상기 전력 레벨을 제 1 레벨로 결정하고, 상기 통신 모듈이 비활성화된 구간 동안 상기 전력 레벨을 제 2 레벨로 결정하며,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기준값보다 낮은 경우 상기 제 1 레벨로 전력을 전송하는 주기를 제 1 주기로 결정하고,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기준값보다 큰 경우 상기 제 1 레벨로 전력을 전송하는 주기를 제 2 주기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control module may determine the power level as a first level during a period in which the communication module is activated, determine the power level as a second level during a period in which the communication module is inactive, Determining a period for transmitting power to the first level as a first period when the charging state of the battery is lower than a reference value and determining a period for transmitting power to the first level as a second period when the charging state of the battery is greater than a reference value .
또한, 상기 제 1 주기는 상기 통신 모듈의 활성화 주기와 대응하며, 상기 제 2 주기는 상기 제 1 주기보다 같거나 긴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period corresponds to the activation period of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second period is equal to or longer than the first period.
또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무선충전 시스템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상기 통신 모듈; 상기 통신 모듈의 활성화 상태와 비활성화 상태에 대한 정보인 통신 모듈 활성화 정보를 전송하는 제 1 무선충전 보조 모듈; 및 무선충전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전력을 수신하여 무선 충전을 수행하는 전력수신코일;을 포함하는 무선 피충전 단말기; 및 상기 통신 모듈 활성화 정보를 수신하는 제 2 무선충전 보조 모듈; 상기 통신 모듈 활성화 정보에 따라 무선충전 전력 레벨을 결정하는 제어 모듈; 및 상기 결정된 전력 레벨로 상기 무선 피충전 단말기에 전력을 전송하는 전력송신코일;을 포함하는 상기 무선충전 단말기;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ireless charging system including the communication module for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A first wireless charging assistant module for transmitting communication module activation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on an activation state and an inactive state of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a power receiving coil for receiving power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charging terminal and performing wireless charging; And a second wireless charging auxiliary module for receiving the communication module activation information; A control module for determining a wireless charging power level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module activation information; And a power transmission coil for transmitting power to the wirelessly-charged terminal at the determined power level. And a control unit.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들은 피충전 단말기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동안 무선 충전을 진행하지 않거나, 무선 충전 전력 레벨을 낮춤으로써, 무선 충전에 의한 노이즈가 데이터 통신의 수신 감도를 저하시키는 영향을 줄일 수 있다.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llows the charging terminal not to perform wireless charging while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or to reduce the wireless charging power level so that the noise due to wireless charging can be reduced to the receiving sensitivity Can be reduced.
도 1은 종래의 자기 유도 방식에 의한 무선충전 시스템의 구조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자기 공명 방식에 의한 무선충전 시스템의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무선충전 시스템의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피충전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주기와 충전 단말기의 전력전송 주기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는 피충전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주기와 충전 단말기의 전력전송 주기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르는 피충전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주기와 충전 단말기의 전력전송 주기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르는 피충전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주기와 충전 단말기의 전력전송 주기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무선충전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1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conventional wireless charging system using a magnetic induction method.
2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wireless charging system using a conventional magnetic resonance method.
3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wireless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graph illustrating a comparison between a data communication cycle of the charged terminal and a power transmission cycle of the charging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graph illustrating a comparison between a data communication cycle of a charged terminal and a power transmission cycle of a charging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graph illustrating a comparison between a data communication cycle of the charged terminal and a power transmission cycle of the charging terminal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graph illustrating a comparison between a data communication cycle of a charged terminal and a power transmission cycle of a charging terminal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flowchart of a wireless charging metho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무선충전 시스템, 무선충전 단말기, 무선 피충전 단말기 및 무선충전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wireless charging system, a wireless charging terminal, a wireless charging terminal and a wireless charg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 ·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 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의 구성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될 수 있음이 고려되어야 한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different embodiments in the same or similar configurations. In addition,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the components of the drawings attached hereto can be enlarged or reduc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나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므로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refer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Furthermore, terms including ordinals such as first, second, etc.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since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이하에서, “데이터 통신”이라는 용어는 단말기에서 기지국이나 타 단말기 또는 특정 AP(Access Point) 등과 정보를 송수신하거나, 이들을 통하여 정보(음성 데이터 패킷, 영상 데이터 패킷, 일반적인 데이터 패킷 등을 모두 포함한다.)를 송수신하기 위한 모든 통신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통신은 2G ~ 4G 네트워크 망(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을 통한 기지국과의 통신을 포함하며, 일반 데이터 패킷의 송수신 뿐만 아니라 음성 통화를 위한 음성 데이터 패킷의 송수신, 영상 통화를 위한 영상 데이터 패킷의 송수신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통신은 Wifi, 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의 통신 방식을 통한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Hereinafter, the term " data communication " includes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to / from a base station, another terminal, or a specific access point (AP) in a terminal, and includes information (voice data packet, video data packet, general data packet, )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For example, data communication includes communication with a base station via a 2G to 4G network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and includes sending and receiving general data packets, sending and receiving voice data packets for voice calls, Lt; RTI ID = 0.0 > and / or < / RTI > The data communication may include communication through a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Wifi, Bluetooth, and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또한, 이하에서,“활성화”라는 용어는 통신 모듈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상태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주기적/비주기적으로 준비된 상태를 의미하며, “비활성화”라는 용어는 특정한 모듈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있지 않는 상태를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서, “비활성화”라는 용어는 통신 모듈이 송수신 패킷이 일정 시간없이 릴리즈된 상태의 의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이 ?갸뵌?되는 경우, 상기 통신 모듈은 기지국으로부터 RF(Radio Frequency) 신호를 받거나, 무선 Access Point나 타 단말기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Hereinafter, the term " activation " means a state in which the communication module is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and a state in which it is periodically / non-periodically prepared so as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and the term " It means a state in which communication is not being performed. In one embodiment, the term " deactivated " may include the meaning of a state in which a communication module releases a transmit / receive packet for a period of time. For example, when the communication module is turned off, the communication module may receive a radio frequency (RF) signal from the base station or a data signal from a wireless access point or other terminal.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무선충전 시스템은 충전 단말기(200)와 피충전 단말기(100)로 구성된다. 피충전 단말기(100)는 통신 모듈(110), 제 1 무선충전 보조 모듈(120), 전력수신코일(130), 배터리(140)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피충전 단말기(100)는 휴대 단말기(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등)이 될 수 있다. 충전 단말기(200)는 제 2 무선충전 보조 모듈(210), 전력송신코일(220), 제어 모듈(230), 전력공급부(24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무선충전 시스템은 자기 공명 방식 또는 자기 유동 방식의 무선 충전을 이용할 수 있다.Referring first to FIG. 3, a wireless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harging
피충전 단말기(10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통신 모듈(110)은 임의의 개체(300)(예를 들어, 기지국이나 타 단말기 또는 무선 Access Point 등)과 함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110)은 기지국과 RF 신호를 주고 받으며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110)은 와이파이의 Access Point 단말기와 무선 신호를 주고 받으며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그 밖에도 통신 모듈(110)은 블루투스나 NFC와 같은 통신을 통해 타 단말과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The
한편, 통신 모듈(110)은 피충전 단말기(100) 내의 어플리케이션 모듈(미도시)과는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통신 모듈(110)은 어플리케이션 모듈과 연계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어플리케이션 모듈은 피충전 단말기(100) 내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들을 실행하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통신 모듈(110)은 '모뎀 프로세서(Modem Processor)'라고 지칭되기도 하며, 어플리케이션 모듈은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라고 지칭되기도 한다.) Meanwhile, the
예를 들어, 피충전 단말기(100)가 스마트폰인 경우를 가정해보자. 사용자의 조작(예를 들어, 전원 버튼을 누름)이 있거나 일정 시간 동안 사용자 입력 또는 이벤트가 없는 경우 스마트폰의 화면이 오프된다. 이후, 어플리케이션 모듈은 실행되고 있는 프로세스들을 순차적으로 종료 또는 중단시킨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전화, 문자 메시지, 푸시 메시지 및 기타 이벤트의 수신이 필요하므로 통신 모듈은 주기적으로 웨이크업(wake up)하여 동작한다. 따라서, 스마트폰의 화면이 오프된 상태에서 언제라도 전화나 메시지가 수신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통신 모듈(110)은 한정된 주파수 대역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항상 기지국과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지 않는다. 이 경우, 통신 모듈(110)은 주기적으로 활성화 상태와 비활성화 상태를 반복하며, 활성화되어 있는 시간 동안만 주기적으로 기지국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이러한 통신 주기(또는 사이클)를 CDMA 방식을 이용하는 단말기의 경우 SCI(Slot Cycle Index)라고 지칭되며, LTE, WCDMA 방식을 이용하는 단말기의 경우 DRX(Discontinuous Reception)이라고 지칭된다. 다만, 어플리케이션 모듈에 의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이 기지국과의 지속적인 데이터 교환을 요구하는 경우(예를 들어, 전화통화, 메신저, 게임 등), 통신 모듈(110)은 항상 활성화된 상태로 머물며 기지국과 통신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와이파이, 블루투스, NFC와 같은 통신이 스마트폰의 통신모드로 적용되어 있는 경우,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 모듈이 상기 와이파이, 블루투스, NFC 등의 통신 중 하나를 이용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있다면, 통신 모듈(110) 역시 상기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되어 있는 동안에는 활성화된 상태로 머물게 된다. 즉, 통신 모듈(110)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상태는 피충전 단말기(100)의 응용 프로그램 실행 상태나 데이터 통신모드의 종류에 따라 달라진다. For example, assume that the charging
제 1 무선충전 보조 모듈(120)은 배터리(140)의 충전상태에 대한 정보와 통신 모듈 활성화 정보를 충전 단말기(200)로 송신할 수 있다. 통신 모듈 활성화 정보란 통신 모듈(110)이 활성화되어 있는지 비활성화되어 있는지에 대한 상태를 포함한 정보로서, 통신 모듈의 활성화/비활성화 주기에 대한 정보(SCI 정보 또는 DRX 주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통신 모듈이 활성화/비활성화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10)이 활성화되어 있는 시간을 “활성화 시간”이라 하고, 비활성화되어 있는 시간을“비활성화 시간”이라고 한다면, 통신 모듈 활성화 정보는 활성화 시간과 비활성화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종래의 피충전 단말기(100)의 경우 피충전 단말기(100)의 배터리 정보만을 송신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제 1 무선충전 보조 모듈(120)은 노이즈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해 통신 모듈 활성화 정보도 추가로 송신한다. 이때에, 제 1 무선충전 보조 모듈(120)은 제 1 주파수 채널로 상기 정보들을 충전 단말기(200) 측으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 1 주파수 채널은 후술하는 제 2 주파수 채널과 별개의 채널일 수 있으며(무선충전 채널과 무선충전을 위한 통신 채널이 별도로 구성되는 경우), 제 1 주파수 채널은 제 2 주파수 채널과 동일한 채널일 수 있다(무선충전 채널과 무선충전을 위한 통신 채널이 하나로 구성되는 경우).The first wireless charging
전력수신코일(130)은 충전 단말기(200)로부터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전력수신코일(130)은 제 1 주파수 채널과 상이한 주파수를 가진 제 2 주파수 채널을 통해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충전 단말기(200)의 전력송신코일(220)에서 발생된 자기장에 따라 전력수신코일(130)에 유도 자기장이 발생될 경우, 전력수신코일(130)은 유도 전류를 발생시켜 배터리(140)로 공급한다. 충전 단말기(200)와 피충전 단말기(100) 간의 전력 송수신의 원리는 자기 유도 방식 또는 자기 공명 방식에 따라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배터리(140)는 전력수신코일(130)로부터 전달된 유도 전류를 전달받아 피충전 단말기(100)의 전력을 충전할 수 있다. 배터리(140)의 충전 상태에 대한 정보는 제 1 무선충전 보조 모듈(120)에 의해 모니터링될 수 있으며, 별도의 모듈에 의해 모니터링되고 모니터링된 정보가 제 1 무선충전 보조 모듈(120)로 제공되어 충전 단말기(200)로 전송될 수 있다.The
충전 단말기(20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 2 무선충전 보조 모듈(210)은 제 1 주파수 채널을 통해 제 2 무선충전 보조 모듈(210)로부터 통신 모듈 활성화 정보와 배터리 충전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 모듈 활성화 정보와 배터리 충전 상태 정보는 피충전 단말기(100)가 통신 모듈(110)의 활성화/비활성화 주기 마다 수신될 수 있다. 추가 실시예에서, 제 2 무선충전 보조 모듈(210)이 수신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모듈(미도시)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특히, 충전 개시 시점에 통신 모듈(110)이 상기 정보들을 보내오는 경우, 충전 단말기(200)에서는 이를 저장할 필요가 있으므로, 저장 모듈은 그러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second wireless charging
전력송신코일(220)은 제 2 주파수 채널을 통해 피충전 단말기(100)로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전력 송신 방법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자기 공명 방식 또는 자기 유도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The
제어 모듈(230)은 제 2 무선충전 보조 모듈(210)로부터 전달된 배터리 정보와 통신 모듈 활성화 정보에 따라 전력송신코일(220)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240)를 제어한다. The
구체적으로, 제어 모듈(230)은 배터리 정보에 포함된 배터리(140)의 충전 상태에 따라 전력을 송신할지 여부를 판단한다. 배터리(140)가 미완충 상태인 경우 전력을 송신해야 할 것으로 판단하며, 배터리(140)가 완충상태인 경우 전력을 더 이상 송신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한다. 이어서, 전력을 송신할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 모듈(230)은 전력공급부(240)을 제어하여 송신할 전력 레벨을 결정한다. 전력공급부(240)는 결정된 전력에 따라 전력송신코일(220)이 자기장 통신을 통해 상기 전력을 전송하도록 한다. 특정한 실시예에서, 배터리(140)의 충전 상태에 따라 제어 모듈(230)은 충전 단말기(200)의 LED(미도시)가 발하는 빛의 색을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Specifically, the
또한, 제어 모듈(230)이 전력을 송신해야 할 것으로 판단한 경우, 제어 모듈(230)은 통신 모듈 활성화 상태에 따라 송신해야 할 전력의 주기나 크기(magnitude) 등을 조절한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 모듈(230)은 통신 모듈(110)이 활성화 상태일 때 전력을 송신하지 않거나 낮은 레벨의 전력을 송신하고, 비활성화 상태일 때 높은 레벨로 전력을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 기술의 경우, 통신 모듈(110)이 기지국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도록 활성화되어 있을 때 무선 충전에 의한 노이즈가 데이터 통신의 수신감도에 영향을 주게 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통신 모듈(110)이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에는 무선 충전을 진행하지 않음으로써 노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어 모듈(230)과 전력송신코일(220)에 의해 전송되는 전력의 주기나 크기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Also, when the
먼저, 도 4를 통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는 무선 충전 전력을 전송할 때, 피충전 단말기의 통신 모듈이 활성화되어 있는 구간을 포함하는 시간 동안은 무선 충전 전력을 전송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irst,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ransmitting the wireless charging power, the wireless charging power is not transmitted during a period including a period in which th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charging terminal is activated.
도 4의 (A) 그래프는 통신 모듈의 활성화/비활성화 상태 주기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T1은 통신 모듈의 활성화 구간이며, T2는 통신 모듈의 비활성화 구간이다. 피충전 단말기에 지속적인 데이터 통신을 요구하는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되어 있지 않을 경우, 통신 모듈은 첫번째 그래프와 같이 주기적으로 활성화/비활성화를 반복하며 동작할 수 있다. 이때, 충전 단말기의 전력송신코일은 도 4의 (B) 그래프와 같은 형태로 주기적으로 V2레벨의 전력과 V1레벨의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V2 레벨의 전력 전송 구간은 통신 모듈의 비활성화 구간(T2) 에 대응하며, V1레벨의 전력 전송 구간은 통신 모듈의 활성화 구간(T1) 에 대응한다. 여기서 V1은 V2보다 낮은 전력 레벨이며, 바람직하게는 통신 모듈의 데이터 통신에 지장을 주지 않는 수준으로 조정된 전력 레벨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V1은 0 V가 될 수도 있다.(즉, 통신 모듈의 활성화 구간(T1)에 전력이 전송되지 않을 수도 있다.)4 (A) is a graph showing the activation / deactivation period of the communication module. T1 is the activation period of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T2 is the inactivation period of the communication module. If an application program that requires continuous data communication is not executed in the terminal to be charged, the communication module can operate repeatedly to activate / deactivate periodically as shown in the first graph. At this time, the power transmission coil of the charging terminal can periodically transmit the power of the V2 level and the power of the V1 level as shown in the graph of FIG. 4 (B). At this time, the power transmission period of the V2 level corresponds to the inactivation period T2 of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power transmission interval of the V1 level corresponds to the active period T1 of the communication module. Where V1 may be a power level lower than V2 and preferably a power level adjusted to a level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data communication of the communication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V1 may be 0 V (that is, power may not be transmitted in the activation period T1 of the communication module).
또한, 도 4의 (C) 그래프를 참조하면, 충전 단말기가 V1의 레벨로 전력을 전송하는 구간을 통신 모듈의 활성화 구간(T1)의 전후로 오프셋을 두는 것으로, 충전 단말기가 V1의 레벨로 전력을 전송하는 시간(T3)은 통신 모듈의 활성화 구간(T1)보다 적어도 더 넓게 될 수 있다. 충전 단말기(200)에서 송신 전력 레벨을 조정하는 경우 제어 모듈(230)이 제어 신호를 발생한 시점과 동일하게 송신 전력 레벨이 조정되기 보다는 신호 처리 및 스위칭 등을 위해 약간의 시간차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V1 레벨로 전력을 전송하는 구간을 통신 모듈의 활성화 구간(T1)과 동일하게 할 경우 통신 모듈이 활성화된 순간에는 V2 레벨로 전력이 전송되어 노이즈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V1 레벨로 전력을 전송하다가 V2 레벨로 송신 전력 레벨을 조정할 경우 이와 동시에 송신 전력 레벨이 조정되지 않고 약간의 시간차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B)의 경우와 같이 낮은 레벨의 전력 전송 구간을 통신 모듈의 활성화 구간(T1)과 동일하게 대응시키는 것보다, (C)의 경우와 같이 통신 모듈의 활성화 구간(T1)보다 더욱 넓게 대응함으로써, 피충전 단말기의 수신감도에 영향을 미치는 노이즈를 더욱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Referring to the graph of FIG. 4 (C), the charging terminal is offset before and after the activation period T1 of the communication module to transmit power at the level of V1, The transmission time T3 may be at least wider than the activation period T1 of the communication module. When adjusting the transmission power level in the charging
이어서, 도 5를 통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는 통신 모듈 동작의 1 주기(활성화 구간과 비활성화 구간을 포함)는 충전 단말기의 전력 전송의 1 주기(V1레벨 전력 전송 구간과 V2레벨 전력 전송 구간을 포함)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통신 모듈 동작의 n 주기(n ≥ 2, n = 정수)가 충전 단말기의 전력 전송의 1 주기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Next,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cycle (including the activation period and the inactivation period) of the communication module operation is one period (including the V1 level power transmission period and the V2 level power transmission period) of the power transmission of the charging terminal . However,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n cycles (n? 2, n = integer) of the communication module operation correspond to one cycle of power transmission of the charging terminal.
도 5의 (A) 그래프는 도 4의 (A) 그래프와 동일한 통신 모듈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도면 상으로 5개의 주기(P1~ P5)만이 도시되었으나, 실제로는 통신 모듈이 그 이상의 주기를 가지며 동작한다.5A shows an operation state of the same communication module as the graph of FIG. 4A. Only five periods P1 to P5 are shown in the figure, but in actuality, And operates.
도 5에서 (D) 그래프의 경우를 참조하면, 충전 단말기의 전력 전송의 1 주기는 통신 모듈 동작의 2주기와 대응한다. 충전 단말기는 P1, P3, P5 주기의 비활성화 구간에서만 V2 레벨의 전력을 전송하며, 나머지 구간에서는 V1 레벨의 전력을 전송한다. 또한, (E) 그래프의 경우를 참조하면, 충전 단말기의 전력 전송의 1 주기는 통신 모듈 동작의 3주기와 대응한다. 이와 같이, 통신 모듈의 활성화 구간 동안에는 낮은 전력을 전송한다는 특징은 유지하되, 높은 전력을 전송할 구간은 통신 모듈 동작의 주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graph of FIG. 5 (D), one cycle of the power transmission of the charging terminal corresponds to two cycles of the communication module operation. The charging terminal transmits the power of the V2 level only in the inactive period of the P1, P3 and P5 periods, and transmits the power of the V1 level in the remaining intervals. Also, referring to the case of the graph (E), one cycle of the power transmission of the charging terminal corresponds to three cycles of the communication module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characteristic of transmitting low power during the active period of the communication module is retained, but the period for transmitting high power can be selectively applied according to the period of the communication module operation.
이어서, 도 6을 통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는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낮은 경우와 높은 경우에 전력 전송 방식을 상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낮은 경우에는 충전에 우선순위를 두어 전력 전송을 제어하고,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높은 경우에는 통신 모듈의 수신감도에 우선순위를 두어 전력 전송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Next,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ower transmission system is made different when the state of charge of the battery is low or high. That is, when the state of charge of the battery is low, the electric power transmission is controlled by prioritizing the charge, and when the state of charge of the battery is high, priority is given to the reception sensitivity of the communication module to control the electric power transmission.
도 6에서 (F) 그래프의 경우를 참조하면, 피충전 단말기의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따라, 통신 모듈의 활성화 구간에서 송신 전력의 레벨을 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충전 단말기의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판단하여, 피충전 단말기의 충전 상태가 낮은 경우에는 피충전 단말기의 통신 모듈의 활성화 구간에서 V2 레벨로 전력을 전송할 수 있으며, 이후 피충전 단말기의 배터리가 충전되면서 충전 상태가 높아진 경우에는 피충전 단말기의 통신 모듈의 활성화 구간에서 V2 레벨보다 낮은 V1 레벨로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피충전 단말기의 충전 상태(레벨)에 따라 충전 단말기의 전력 레벨을 순차적으로 조정할 수도 있다. 즉, 피충전 단말기의 충전 상태가 낮은 경우에는 충전에 우선순위를 두어 보다 높은 전력을 전송하고, 피충전 단말기의 충전 상태가 높은 경우에는 통신 모듈의 수신감도에 우선순위를 두어 무선충전으로 인한 간섭을 최소화하도록 보다 낮은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한편, 피충전 단말기의 통신 모듈의 비활성화 구간에서는 배터리의 충전 상태와 무관하게 V3 레벨의 전력을 일정하게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피충전 단말기의 통신 모듈의 비활성화 구간에서도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높아지면 송신 전력 레벨을 낮출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6 (F), the level of the transmission power can be adjusted in the active period of the communication module according to the charged state of the battery of the charged terminal. In particular, when the charging state of the charging terminal is low, the charging state of the battery of the charging terminal is determined. In the activation period of th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charging terminal, power can be transmitted to the V2 level. The power can be transmitted to the V1 level lower than the V2 level in the active period of th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charging terminal. Further, the power level of the charging terminal may be adjusted in accordance with the charging state (level) of the charging terminal. That is, when the charging state of the charging terminal is low, the charging is prioritized and higher power is transmitted. When the charging state of the charging terminal is high, priority is given to the reception sensitivity of the communication module, Lt; RTI ID = 0.0 > less. ≪ / RTI > On the other hand, in the inactivation period of th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charging terminal, the power of the V3 level can be constantly transmitted regardless of the charging state of the batter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transmission power level may be lowered when the charging state of the battery is increased even during the inactivation period of th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charging terminal.
또한, 도 6의 (G) 그래프의 경우를 참조하면, 피충전 단말기의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따라, 통신 모듈의 활성화 구간에서 전력 전송 주기가 변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충전 단말기의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판단하여, 피충전 단말기의 충전 상태가 낮은 경우에는, 피충전 단말기의 통신 모듈의 활성화 구간과 충전 단말기가 낮은 전력 레벨로 전력을 전송하는 구간을 거의 동일하게 운용할 수 있다. 또한, 피충전 단말기의 충전 상태가 높아진 경우에는, 피충전 단말기의 통신 모듈의 활성화 구간 대비 충전 단말기가 낮은 전력 레벨로 전력을 전송하는 구간을 길게 운용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낮은 경우에는 피충전 단말기의 통신 모듈의 동작 주기(활성화 주기)와 충전 단말기가 낮은 레벨로 전력을 전송하는 주기를 1 대 1로 대응시키고, 배터리 충전 상태가 높은 경우에는 피충전 단말기의 통신 모듈의 동작 주기와 충전 단말기가 낮은 레벨로 전력을 전송하는 주기를 1 대 2로 대응시키는 실시예를 도시하였다. 그러나, 이는 단지 예시에 불과하며 배터리의 충전상태가 낮은 경우 통신 모듈의 동작 주기와 충전 단말기의 낮은 레벨의 전력 전송 주기를 1 대 1로 대응시키고,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높은 경우 통신 모듈의 동작 주기와 충전 단말기의 낮은 레벨의 전력 전송 주기를 1 대 3으로 대응시킬 수도 있다. 또한, 피충전 단말기의 충전 상태(레벨)에 따라 충전 단말기가 낮은 레벨의 전력을 전송하는 주기를 순차적으로 조정할 수도 있다. 따라서, 피충전 단말기의 충전 상태에 따라 충전과 통신 모듈의 수신감도에 우선순위를 두어 충전 주기를 조정함으로써 무선충전으로 인한 간섭을 최소화하도록 보다 낮은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이와 같이, 피충전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상태가 낮을 때에는 배터리 충전 상태가 높을 때보다 전력 전송 레벨을 상승시키거나 전력 전송 주기를 높임으로써, 노이즈 감소의 효과를 유도함과 동시에 충전 효율 상승이라는 효과도 도모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graph of FIG. 6 (G), the power transmission period may be changed in the active period of the communication module according to the charged state of the battery of the charged terminal. Specifically, when the charged state of the charged terminal is low, the charging state of the battery of the charged terminal is determined. In the active period of th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charged terminal and the charging terminal transmits power at a low power level, The same operation can be performed. In addition, when the charged state of the charged terminal is high, the charging terminal can operate the section for transmitting power at a low power level for a longer period of time than the active section of th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charged terminal. 6, when the charging state of the battery is low, the operation cycle (activation cycle) of th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charging terminal is made to correspond one-to-one with the cycle in which the charging terminal transmits power at a low level, The operation cycle of th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terminal to be charged and the cycle in which the charging terminal transmits power to the low level are corresponded one to two. However,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operation cycle of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low-level power transmission cycle of the charging terminal are corresponded one by one when the battery charging state is low, and when the battery charging state is high, And the low-level power transmission period of the charging terminal may correspond to one to three. In addition, the charging terminal may sequentially adjust the period in which the charging terminal transmits the low level power according to the charging state (level) of the charging terminal.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transmit lower power so as to minimize the interference due to the wireless charging by adjusting the charging period by prioritizing the charging sensitivity and the receiving sensitivity of the communication module according to the charging state of the charging terminal. When the battery charging state is low, the power transmission level is raised or the power transmission period is increased than when the battery charging state is high, thereby inducing the noise reduction effect and increasing the charging efficiency.
이어서, 도 7을 통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전술한 제 1 실시예 내지 제 3 실시예는 피충전 단말기의 통신 모듈이 기지국과의 간헐적인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경우의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제 4 실시예는 통신 모듈이 기지국과의 지속적인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때나 통신 모듈이 와이파이, 블루투스, NFC 등 기지국 이외의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의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Next,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The above-described first to third embodiments relate to an embodiment in which th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terminal to be charged performs intermittent data communication with the base station. The fourth embodiment relates to an embodiment when the communication module performs continuous data communication with the base station or when the communication module performs communication other than the base station such as Wi-Fi, Bluetooth, and NFC.
도 7의 (A′) 그래프는 통신 모듈의 활성화/비활성화 상태에 관한 그래프로서, 도 4 내지 도 6과 다르게 주기성이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스마트폰(피충전 단말기)으로 전화통화를 하는 경우, 사용자가 와이파이에 접속하여 스마트폰 상에서 메신저를 실행시키는 경우, 사용자가 타 단말기와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음악 파일을 자신의 스마트폰으로 전송받는 경우 및 사용자가 NFC를 통해 스마트폰으로 결제를 진행하는 경우 등에서 통신 모듈은 지속적인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므로 도 7의 (A′) 그래프와 같은 형태의 동작특성이 나타날 수 있다. A graph of FIG. 7 (A ') is a graph relating to the activation / deactivation state of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it can be confirmed that there is no periodicity differently from FIG. 4 to FIG. For example, when a user makes a phone call to a smart phone (a chargeable terminal), when a user connects to a Wi-Fi and launches a messenger on a smart phone, a user transmits a music file via his or her Bluetoo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erforms continuous data communication in the case of receiving data from the mobile phone or transmitting data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NFC,
이러한 경우에도, 전력 전송 주기는 통신 단말기의 활성화 구간 동안 전력을 전송하지 않고 비활성화 구간에만 전력을 전송하게 되므로, (B′)와 같이 주기성이 없는 형태로 나타난다. Even in this case, since the power transmission period transmits power only during the inactive period without transmitting power during the active period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the power transmission period appears to have no periodicity like (B ').
전술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내지 제 4 실시예는 수신감도 저하를 유발하는 노이즈를 감소시키기 위해 통신 모듈의 활성화 구간 동안에는 충전 전력 레벨을 감소시킨다는 개념을 모두 포함한다. 다만, 배터리 충전 효율성이나, 노이즈 감소 효율, 통신 모듈의 데이터 통신 상태 등에 따라 전력을 충전하는 양태는 다소 상이하게 진행될 수 있다.The first to four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include the concept of reducing the charging power level during the active period of the communication module in order to reduce the noise causing the reception sensitivity deterioration. However, the manner of charging the electric power in accordance with the battery charging efficiency, the noise reduction efficiency, the data communication state of the communication module, etc., can be slightly different.
이하에서,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무선충전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wireless charg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먼저, 충전 단말기(200)는 피충전 단말기(100)가 존재하는지 검색하고, 인식한다(S100). 자기 유도 방식의 무선 충전 시스템의 경우, 예를 들어 충전 단말기(200)와 피충전 단말기(100)의 영구자석을 통해 서로 인식될 수 있고, 별도의 센서(예를 들어 피충전 단말기의 거치를 감지하는 압력 감지 센서)를 통해 인식될 수 있다. 자기 공명 방식의 무선 충전 시스템의 경우는 이와 상이한 양태를 가질 수 있다. 충전 단말기(200)가 피충전 단말기(100)를 인식한 후, 양 단말기 간에 무선충전을 위한 통신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First, the charging terminal 200 searches for and recognizes whether the charging
이어서, 피충전 단말기(100)는 배터리 충전상태 정보와 통신 모듈 활성화 정보를 제 1 주파수 채널을 통해 충전 단말기(200)로 전송한다(S110). 상기한 바와 같이, 제 1 주파수 채널은 전력 전송을 위한 제 2 주파수 채널과 별개로 형성된 주파수 채널일 수도 있고, 제 2 주파수 채널과 동일한 주파수 채널일 수도 있다. 통신 모듈 활성화 정보는 피충전 단말기(100)의 통신 모듈(110)이 데이터 통신을 위해 활성화되어 있는 시간 및 주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라, 충전 단말기(200)로부터 피충전 단말기(100)로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 및 통신 모듈 활성화 정보의 요청 신호가 전송되고, 피충전 단말기는 이에 응답하여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 및 통신 모듈 활성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는 무선충전이 이루어지는 중에 주기적/비주기적으로 여러 차례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피충전 단말기(100)는 통신 모듈의 활성화/비활성화 상태가 변경된 경우 상태 정보를 충전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즉, 무선충전을 개시할 때 피충전 단말기의 통신 모듈의 활성화 정보를 한번만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피충전 단말기의 통신 모듈의 상태가 변화가 있을 때 그 상태에 대한 정보를 충전 단말기로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피충전 단말기가 전화 통화 등으로 인해 통신 모듈의 활성화 주기와는 달리 계속해서 활성화 상태가 지속되거나, 전화 통화 종료로 인해 다시 활성화 주기에 따라 통신 모듈이 동작하는 경우, 충전 단말기가 이미 전송받은(무선충전 개시 시점에 전송받은) 통신 모듈 활성화 정보를 피충전 단말기의 상태와 동기화하여야 한다. 따라서, 이 경우 피충전 단말기는 충전 단말기가 가지고 있는 통신 모듈의 현재 상태 정보를 충전 단말기에 전송해 줌으로써, 충전 단말기는 피충전 단말기의 통신 모듈의 활성화/비활성화 상태에 맞게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무선충전을 진행할 수 있다.Then, the charging
충전 단말기(200)는 수신한 배터리 충전상태 정보를 통해, 피충전 단말기(100)의 배터리(140)가 완전히 충전되었는지 판단한다(S120).The charging
배터리(140)가 완전히 충전된 경우, 충전 단말기(200)는 충전완료표시를 수행하고 전력 전송을 종료할 수 있다(S125). 충전완료표시는 충전 단말기(200)에 탑재된 LED에 소정의 색상의 불빛을 발하게 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배터리(140)가 완전히 충전된 이후 피충전 단말기(100)와 충전 단말기(200)가 상호 연계되어 있는 상태에서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줄어든 경우(피충전 단말기의 전력 소모가 발생한 경우) 충전 단말기는 다시 전력 전송을 개시할 수도 있다.When the
배터리(140)가 완전히 충전되지 않은 경우, 충전 단말기(200)는 피충전 단말기(100)의 통신 모듈(110)의 활성화 상태를 판단한다(S130). 피충전 단말기의 통신 모듈의 활성화 상태의 판단은, S110에서 수신한 통신 모듈 활성화 정보를 참조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고, 피충전 단말기로부터 지속적으로 전송되는 통신 모듈의 활성화/비활성화 상태에 대한 정보를 참조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If the
피충전 단말기(100)의 통신 모듈(110)이 활성화되어 기지국이나 타 단말기 등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경우, 충전 단말기(200)는 제 1 레벨의 전력을 제 2 주파수 채널을 통해 전송한다(S140). 제 1 레벨은 후술하는 제 2 레벨보다 낮은 전력 레벨이며, 제 1 레벨이 O V 일 경우 충전 단말기(200)는 전력을 전송하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When the
통신 모듈(110)이 비활성화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있지 않은 경우, 충전 단말기(200)는 제 1 레벨보다 높은 제 2 레벨의 전력을 제 2 주파수 채널을 통해 전송한다(S150).When the
이때, 통신 모듈(110)의 데이터 통신 종류에 따라 도 4의 (B) 그래프나 도 7의 (B′) 그래프 와 같은 형태의 전력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 1 레벨의 전력을 전송하는 구간이 통신 모듈(110)의 활성화 구간보다 넓은 경우, 도 4의 (C) 그래프 와 같은 형태의 전력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주기의 비활성화 구간에만 선택적으로 제 2 레벨의 전력을 전송하는 경우 도 5의 (D) 그래프, (E) 그래프와 같은 형태의 전력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충전 상태에 따라 충전 효율을 높이고자 하는 경우 도 6의 (F), (E) 그래프 와 같은 형태의 전력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according to the data communication type of the
이어서, 전력을 전송받은 피충전 단말기(100)는 수신한 전력으로 배터리 충전을 진행하게 된다(S160). Subsequently, the charged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피충전 단말기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동안 무선 충전을 진행하지 않거나, 무선 충전 전력 레벨을 낮춤으로써, 무선 충전에 의한 노이즈가 데이터 통신의 수신 감도를 저하시키는 영향을 줄일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피충전 단말기가 수행하는 다양한 데이터 통신에 대하여 범용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자기 유도 방식 또는 자기 공명 방식 등의 다양한 무선 충전 방식에 대해서도 범용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harging terminal does not perform wireless charging while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or when the wireless charging power level is lowered, noise due to wireless charging lowers the reception sensitivity of data communication The effect can be reduced. Thes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data communication performed by a charging terminal in a general manner. Further, various wireless charging methods such as a magnetic induction method and a magnetic resonance method can also be widely appli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피충전 단말기 110 : 통신 모듈
120 : 제 1 무선충전 보조 모듈 130 : 전력수신코일
140 : 배터리 200 : 충전 단말기
210 : 제 2 무선충전 보조 모듈 220 : 전력송신코일
230 : 제어 모듈100: Charging terminal 110: Communication module
120: first wireless charging auxiliary module 130: power receiving coil
140: Battery 200: Charging terminal
210: second wireless charging auxiliary module 220: power transmission coil
230: control module
Claims (40)
상기 피충전 단말기의 통신 모듈의 활성화 상태와 비활성화 상태에 따라 무선충전 전력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레벨로 상기 피충전 단말기에 전력을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방법.Recognizing a terminal to be charged;
Determining a wireless charging power level according to an activation state and an inactive state of th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terminal to be charged; And
Transmitting power to the charged terminal at the determined level;
Wherein the wireless charging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상기 전력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 모듈이 활성화된 구간 동안 전송할 상기 무선충전 전력 레벨을 제 1 레벨로 결정하고, 상기 통신 모듈이 비활성화된 구간 동안 전송할 상기 무선충전 전력 레벨을 제 2 레벨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determining the power level comprises:
Determines the wireless charging power level to be transmitted during a period in which the communication module is activated as a first level and determines the wireless charging power level to be transmitted during a period in which the communication module is inactivated as a second level .
상기 제 2 레벨은 상기 제 1 레벨보다 같거나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방법.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econd level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first level.
상기 전력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 모듈이 활성화된 구간보다 같거나 긴 시간 동안 전송할 상기 무선충전 전력 레벨을 제 1 레벨로 결정하고, 상기 제 1 레벨로 전송되지 않는 상기 통신 모듈이 비활성화된 구간 동안 전송할 상기 무선충전 전력 레벨을 제 2 레벨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determining the power level comprises:
Determining the wireless charging power level to be transmitted for a time equal to or longer than the active period of the communication module as a first level and setting the wireless charging power level to be transmitted during a period in which the communication module not being transmitted to the first level is inactivated The second level is determined as the second level.
상기 통신 모듈의 활성화 상태와 비활성화 상태는 상기 피충전 단말기의 실행 상태나 상기 피충전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모드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ctivation state and the inactive state of the communication module a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execution state of the terminal to be charged or the data communication mode of the terminal to be charged.
상기 피충전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모드가, 기지국과의 데이터 통신모드, 와이파이(Wifi) 통신모드, 블루투스(Bluetooth) 통신모드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모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방법.6. The method of claim 5,
Characterized in that the data communication mode of the terminal to be charged is any one of a data communication mode with a base station, a Wifi communication mode, a Bluetooth communication mode and an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communication mode .
상기 피충전 단말기의 통신 모듈의 활성화 상태와 비활성화 상태에 대한 정보인 통신 모듈 활성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receiving communication module activation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on an activation state and an inactive state of th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terminal to be charged.
상기 통신 모듈 활성화 정보는 상기 통신 모듈이 활성화된 구간과 비활성화된 구간의 주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방법.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mmunication module activation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a period in which the communication module is activated and a period in which the communication module is inactivated.
상기 피충전 단말기의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방법.8. The method of claim 7,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receiving information on a state of charge of the battery of the terminal to be charged.
상기 전력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추가로 고려하여 상기 무선충전 전력 레벨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방법.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determining the power level comprises:
Wherein the wireless charging power level is determined by further considering the charging state of the battery.
상기 전력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낮을수록 높은 전력 레벨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방법.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determining the power level comprises:
Wherein a higher power level is determined as the charge state of the battery is lower.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따라 상기 결정된 전력 레벨로 전력을 전송하는 주기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 방법10. The method of claim 9,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etermining a period for transmitting power at the determined power level in accordance with the charged state of the battery
상기 전력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 모듈이 활성화된 구간 동안 상기 전력 레벨을 제 1 레벨로 결정하고, 상기 통신 모듈이 비활성화된 구간 동안 상기 전력 레벨을 제 2 레벨로 결정하며,
상기 주기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기준값보다 낮은 경우 상기 제 1 레벨로 전력을 전송하는 주기를 제 1 주기로 결정하고,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기준값보다 큰 경우 상기 제 1 레벨로 전력을 전송하는 주기를 제 2 주기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방법.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determining the power level comprises:
Determining the power level as a first level during a period in which the communication module is active and determining the power level as a second level during a period in which the communication module is inactive,
Wherein the determining the period comprises:
A period for transmitting power to the first level is determined as a first period when the state of charge of the battery is lower than a reference value and a period for transmitting power to the first level when the state of charge of the battery is greater than a reference value, And determining a period of the wireless charging.
상기 제 1 주기는 상기 통신 모듈의 활성화 주기와 대응하며,
상기 제 2 주기는 상기 제 1 주기보다 같거나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방법.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first period corresponds to an activation period of the communication module,
Wherein the second period is equal to or longer than the first period.
상기 통신 모듈의 활성화 상태와 비활성화 상태에 대한 정보인 통신 모듈 활성화 정보를 전송하는 제 1 무선충전 보조 모듈; 및
상기 통신 모듈 활성화 정보에 따라 결정된 레벨의 전력을 수신하여 무선 충전을 수행하는 전력수신코일;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피충전 단말기.A communication module for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A first wireless charging assistant module for transmitting communication module activation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on an activation state and an inactive state of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A power receiving coil for receiving power of a level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module activation information and performing wireless charging;
To-charge terminal.
상기 전력수신코일은,
상기 통신 모듈이 활성화된 구간 동안 제 1 레벨의 전력으로 무선 충전을 수행하며, 상기 통신 모듈이 비활성화된 구간 동안 제 2 레벨의 전력으로 무선 충전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피충전 단말기.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power receiving coil includes:
Wherein the communication module performs wireless charging with a first level of power during a period in which the communication module is active and performs wireless charging with a second level of power during a period in which the communication module is inactive.
상기 제 2 레벨은 상기 제 1 레벨보다 같거나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피충전 단말기.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second level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first level.
상기 전력수신코일은,
상기 통신 모듈이 활성화된 구간보다 같거나 긴 시간 동안 제 1 레벨의 전력으로 무선충전을 수행하고, 상기 제 1 레벨의 전력으로 무선충전되지 않은 상기 통신 모듈이 비활성화된 구간 동안 상기 제 2 레벨의 전력으로 무선충전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피충전 단말기.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power receiving coil includes:
Wherein the communication module performs wireless charging with a first level of power for a time equal to or longer than an active period of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transmits power of the second level during a period in which the communication module that is not wirelessly charged with the first level of power is inactivated And the wireless charging terminal performs wireless charging with the wireless charging terminal.
상기 통신 모듈의 활성화 상태와 비활성화 상태는 상기 무선 피충전 단말기의 실행 상태나 상기 무선 피충전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모드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피충전 단말기.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activation state and the inactive state of the communication module a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execution state of the wirelessly-charged terminal or the data communication mode of the wirelessly-charged terminal.
상기 무선 피충전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모드는, 기지국과의 데이터 통신모드, 와이파이(Wifi) 통신모드, 블루투스(Bluetooth) 통신모드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모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피충전 단말기.20. 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the data communication mode of the wirelessly-charged terminal is any one of a data communication mode with a base station, a Wifi communication mode, a Bluetooth communication mode, and an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communication mode. Charging terminal.
상기 통신 모듈 활성화 정보는 상기 통신 모듈이 활성화된 구간과 비활성화된 구간의 주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피충전 단말기.21. The method of claim 20,
Wherein the communication module activation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a period in which the communication module is activated and a period in which the communication module is inactivated.
상기 제 1 무선충전 보조 모듈은 상기 무선 피충전 단말기의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대한 정보를 추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피충전 단말기.22. The method of claim 21,
Wherein the first wireless charging auxiliary module further transmits information on a charging state of the battery of the wireless charging terminal.
상기 전력수신코일은,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낮을수록 높은 전력 레벨로 무선충전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피충전 단말기.23. The method of claim 22,
Wherein the power receiving coil performs wireless charging at a higher power level as the charging state of the battery is lower.
상기 전력수신코일은,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따라 다른 주기로 무선충전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피충전 단말기.23. The method of claim 22,
Wherein the power receiving coil performs wireless charging at a different cycle according to a charged state of the battery.
상기 전력수신코일은,
상기 통신 모듈이 활성화된 구간 동안 제 1 레벨의 전력으로 무선충전을 수행하고, 상기 통신 모듈이 비활성화된 구간 동안 제 2 레벨의 전력으로 무선충전을 수행하되,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기준값보다 낮은 경우 제 1 주기마다 상기 제 1 레벨의 전력으로 무선충전하며,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기준값보다 큰 경우 제 2 주기마다 상기 제 1 레벨의 전력으로 무선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피충전 단말기.25. The method of claim 24,
The power receiving coil includes:
Performing wireless charging with power of a first level during a period in which the communication module is activated and performing wireless charging with power of a second level during a period in which the communication module is inactivated,
When the state of charge of the battery is lower than a reference value, the battery is charged with the first level power every first period, and when the state of charge of the battery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cordless charging terminal is characterized by.
상기 제 1 주기는 상기 통신 모듈의 활성화 주기와 대응하며,
상기 제 2 주기는 상기 제 1 주기보다 같거나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피충전 단말기.26. The method of claim 25,
Wherein the first period corresponds to an activation period of the communication module,
Wherein the second period is equal to or longer than the first period.
상기 통신 모듈 활성화 정보에 따라 무선충전 전력 레벨을 결정하는 제어 모듈; 및
상기 결정된 전력 레벨로 상기 피충전 단말기에 전력을 전송하는 전력송신코일;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 단말기.A second wireless charging auxiliary module for receiving communication module activation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on an activation state and a deactivation state of th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charging terminal;
A control module for determining a wireless charging power level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module activation information; And
A power transmitting coil for transmitting power to the charged terminal at the determined power level;
Wherein the wireless charging terminal comprises: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통신 모듈이 활성화된 구간 동안 전송할 상기 무선충전 전력 레벨을 제 1 레벨로 결정하고, 상기 통신 모듈이 비활성화된 구간 동안 전송할 상기 무선충전 전력 레벨을 제 2 레벨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 단말기.28. The method of claim 27,
The control module includes:
Determines the wireless charging power level to be transmitted during a period in which the communication module is activated as a first level and determines the wireless charging power level to be transmitted during a period in which the communication module is inactivated as a second level, .
상기 제 2 레벨은 상기 제 1 레벨보다 같거나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 단말기.29. The method of claim 28,
And the second level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first level.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통신 모듈이 활성화된 구간보다 같거나 긴 시간 동안 전송할 상기 무선충전 전력 레벨을 제 1 레벨로 결정하고, 상기 제 1 레벨로 전송되지 않는 상기 통신 모듈이 비활성화된 구간 동안 전송할 상기 무선충전 전력 레벨을 제 2 레벨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 단말기.28. The method of claim 27,
The control module includes:
Determining the wireless charging power level to be transmitted for a time equal to or longer than the active period of the communication module as a first level and setting the wireless charging power level to be transmitted during a period in which the communication module not being transmitted to the first level is inactivated And the second level is determined as the second level.
상기 통신 모듈의 활성화 상태와 비활성화 상태는 상기 피충전 단말기의 실행 상태나 상기 무선 피충전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모드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 단말기.28. The method of claim 27,
Wherein the activation state and the inactive state of the communication module a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execution state of the terminal to be charged or the data communication mode of the wirelessly-charged terminal.
상기 무선 피충전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모드는, 기지국과의 데이터 통신모드, 와이파이(Wifi) 통신모드, 블루투스(Bluetooth) 통신모드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모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 단말기.32. The method of claim 31,
Characterized in that the data communication mode of the wirelessly-connected charging terminal is any one of a data communication mode with a base station, a Wifi communication mode, a Bluetooth communication mode and an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communication mode. terminal.
상기 통신 모듈 활성화 정보는 상기 통신 모듈이 활성화된 구간과 비활성화된 구간의 주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 단말기.33. The method of claim 32,
Wherein the communication module activation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a period in which the communication module is activated and a period in which the communication module is inactivated.
상기 제 2 무선충전 보조 모듈은 상기 무선 피충전 단말기의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대한 정보를 추가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 단말기.34. The method of claim 33,
Wherein the second wireless charging auxiliary module further receives information on a charging state of the battery of the wireless charging terminal.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수신된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추가로 고려하여 상기 무선충전 전력 레벨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 단말기.35. The method of claim 34,
Wherein the control module determines the wireless charging power level by further considering the charging state of the received battery.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낮을수록 높은 전력 레벨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 단말기.36. The method of claim 35,
The control module includes:
And determines a higher power level as the charged state of the battery is lower.
상기 제어 모듈은, 추가로,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따라 상기 결정된 전력 레벨로 전력을 전송하는 주기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 단말기.35. The method of claim 34,
Wherein the control module further determines a period for transmitting power at the determined power level according to a charged state of the battery.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통신 모듈이 활성화된 구간 동안 상기 전력 레벨을 제 1 레벨로 결정하고, 상기 통신 모듈이 비활성화된 구간 동안 상기 전력 레벨을 제 2 레벨로 결정하며,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기준값보다 낮은 경우 상기 제 1 레벨로 전력을 전송하는 주기를 제 1 주기로 결정하고,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기준값보다 큰 경우 상기 제 1 레벨로 전력을 전송하는 주기를 제 2 주기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 단말기.39. The method of claim 37,
The control module includes:
Determining the power level as a first level during a period in which the communication module is active and determining the power level as a second level during a period in which the communication module is inactive,
A period for transmitting power to the first level is determined as a first period when the state of charge of the battery is lower than a reference value and a period for transmitting power to the first level when the state of charge of the battery is greater than a reference value, Wherein the wireless charging terminal determines the wireless charging terminal.
상기 제 1 주기는 상기 통신 모듈의 활성화 주기와 대응하며,
상기 제 2 주기는 상기 제 1 주기보다 같거나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 단말기.39. The method of claim 38,
Wherein the first period corresponds to an activation period of the communication module,
Wherein the second period is equal to or longer than the first period.
상기 통신 모듈 활성화 정보를 수신하는 제 2 무선충전 보조 모듈; 상기 통신 모듈 활성화 정보에 따라 무선충전 전력 레벨을 결정하는 제어 모듈; 및 상기 결정된 전력 레벨로 상기 무선 피충전 단말기에 전력을 전송하는 전력송신코일;을 포함하는 상기 무선충전 단말기;
을 포함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The communication module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A first wireless charging assistant module for transmitting communication module activation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on an activation state and an inactive state of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a power receiving coil for receiving power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charging terminal and performing wireless charging; And
A second wireless charging auxiliary module for receiving the communication module activation information; A control module for determining a wireless charging power level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module activation information; And a power transmission coil for transmitting power to the wirelessly-charged terminal at the determined power level.
/ RTI >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111582A KR20150031852A (en) | 2013-09-17 | 2013-09-17 | Wireless charging system, Wireless charging terminal, Terminal to be charged wirelessly and Wireless charging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111582A KR20150031852A (en) | 2013-09-17 | 2013-09-17 | Wireless charging system, Wireless charging terminal, Terminal to be charged wirelessly and Wireless charging Method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31852A true KR20150031852A (en) | 2015-03-25 |
Family
ID=53025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111582A KR20150031852A (en) | 2013-09-17 | 2013-09-17 | Wireless charging system, Wireless charging terminal, Terminal to be charged wirelessly and Wireless charging Metho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50031852A (en) |
Cited B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02377B1 (en) | 2015-10-01 | 2017-02-03 |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 Wireless charging device |
KR101708418B1 (en) | 2015-10-01 | 2017-02-20 |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 Wireless charging device |
KR101708419B1 (en) | 2015-10-01 | 2017-02-20 |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 Wireless charging device |
WO2017160006A1 (en) * | 2016-03-15 | 2017-09-21 | 엘지이노텍(주) |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
US10256658B2 (en) | 2015-07-23 | 2019-04-0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Operating method of an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
WO2019135611A1 (en) * | 2018-01-04 | 2019-07-11 | 엘지이노텍(주) | Noise-reduce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
WO2019208902A1 (en) * | 2018-04-27 | 2019-10-31 | 삼성전자 주식회사 |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for wirelessly receiving power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
WO2021080208A1 (en) * | 2019-10-23 | 2021-04-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Small home appliance, and method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in small home appliance |
US11056904B2 (en) | 2016-10-10 | 2021-07-0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for charging battery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WO2022055114A1 (en) * | 2020-09-14 | 2022-03-17 | 삼성전자주식회사 | Wireless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control method of wireless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and wireless power system |
US11355970B2 (en) | 2018-04-27 | 2022-06-07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for wirelessly receiving power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
-
2013
- 2013-09-17 KR KR20130111582A patent/KR20150031852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256658B2 (en) | 2015-07-23 | 2019-04-0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Operating method of an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
KR101702377B1 (en) | 2015-10-01 | 2017-02-03 |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 Wireless charging device |
KR101708418B1 (en) | 2015-10-01 | 2017-02-20 |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 Wireless charging device |
KR101708419B1 (en) | 2015-10-01 | 2017-02-20 |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 Wireless charging device |
WO2017160006A1 (en) * | 2016-03-15 | 2017-09-21 | 엘지이노텍(주) |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
US11056904B2 (en) | 2016-10-10 | 2021-07-0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for charging battery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WO2019135611A1 (en) * | 2018-01-04 | 2019-07-11 | 엘지이노텍(주) | Noise-reduce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
WO2019208902A1 (en) * | 2018-04-27 | 2019-10-31 | 삼성전자 주식회사 |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for wirelessly receiving power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
US11355970B2 (en) | 2018-04-27 | 2022-06-07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for wirelessly receiving power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
WO2021080208A1 (en) * | 2019-10-23 | 2021-04-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Small home appliance, and method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in small home appliance |
WO2022055114A1 (en) * | 2020-09-14 | 2022-03-17 | 삼성전자주식회사 | Wireless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control method of wireless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and wireless power system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50031852A (en) | Wireless charging system, Wireless charging terminal, Terminal to be charged wirelessly and Wireless charging Method | |
US10673487B2 (en) | Method, system and apparatus to optimize A4WP wireless charging and NFC co-existence | |
US10141785B2 (en) |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ethod | |
US8213862B2 (en) | Headset charge via short-range RF communication | |
US9002414B2 (en) | Power management of a radio data transceiver | |
CN110958674A (en) | Low power activation of accessories in sleep state | |
KR20160025314A (en) | Wireless charging system for variable charging mode | |
JP7247374B2 (en) | Monitoring method, signaling downlink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communication device and storage medium | |
WO2021168664A1 (en) |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computer storage medium | |
CN102474817A (en) | Updating method and apparatus of sleep mode operation | |
WO2013052874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advanced motion detec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 |
CN102457949A (en) | Transitioning from MIMO to SISO to save power | |
US9344967B2 (en) | Deep sleep in 1x M2M devices | |
CN110545499B (en) |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device, chip of communication device, equipment to be charged and system | |
CN108475932A (en) | The method of wireless charge and discharge and wireless charging/discharging apparatus | |
US10375756B2 (en) |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of a communication device, transceiver operating accordingly, and computer program | |
US8019281B2 (en) | Transmission method and transmission system | |
EP3131348B1 (en) | Power consumption control method for wearable device, and wearable device | |
KR20090024286A (en) | Method and system to support fast connection set-up in communication networks | |
WO2014146538A1 (en) | Method and device for mobile terminal parameter configuration | |
TW201206102A (en) |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user equipment radio frequency assistant system | |
US9370030B2 (en) |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 |
WO2016033874A1 (en) | Wireless charging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and wireless charger | |
CN110544965B (en) |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device, chip of communication device, equipment to be charged and system | |
CN113093895A (en) | Wearable device, control method of wearable device, and storage mediu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