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0833A - 자동복구기능을 갖춘 홈서버와 이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의 원격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복구기능을 갖춘 홈서버와 이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의 원격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0833A
KR20060120833A KR1020050043023A KR20050043023A KR20060120833A KR 20060120833 A KR20060120833 A KR 20060120833A KR 1020050043023 A KR1020050043023 A KR 1020050043023A KR 20050043023 A KR20050043023 A KR 20050043023A KR 20060120833 A KR20060120833 A KR 200601208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module
server
home
cp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3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예원수
이영석
이종선
Original Assignee
현대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3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20833A/ko
Publication of KR20060120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08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54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 H04L41/0659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by isolating or reconfiguring faulty entities
    • H04L41/0661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by isolating or reconfiguring faulty entities by reconfiguring faulty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9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logs of notifications; Post-processing of notif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대마다 구성되는 홈서버를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홈 오토메이션 기능을 수행하는 HA 보드와, 주거 게이트웨이 기능을 수행하는 RG 보드가 별도로 구성되어, 상기 HA 보드가 상기 RG 보드의 장애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RG 보드의 장애가 감지되면, 상기 RG 보드를 리셋시킴으로서 HA 보드가 RG 보드의 상태를 1차적으로 제어하도록 하며, 또한 상기 각 세대에 구비된 RG 보드와 연결되어, 상기 RG 보드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지서버; 상기 각 세대에 구비된 HA 보드와 연결되어, 상기 HA 보드를 통해 상기 RG 보드를 원격복구하는 주장치; 및 상기 단지서버로부터 특정 RG 보드의 장애가 통보되면, 상기 주장치로 장애발생 RG 보드를 관리하는 HA 보드를 통한 원격복구를 명령하는 A/S 서버를 추가적으로 구비하여, 각 세대에 구성된 RG 보드를 원격복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홈서버의 RG 보드(200)에 장애가 발생하여도 HA 보드(100)는 정상적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HA 보드(100)의 CPU(110)에 의해 행해지는 도어폰, 로비폰, 경비실 통화, 출동경비과 연동된 24시간 세대보안 등의 처리는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자동복구기능을 갖춘 홈서버와 이를 이용한 홈 네크워크의 원격관리시스템{Home Server having automatic recovery function, and remote management system for home network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복구기능을 갖춘 홈서버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의 원격관리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주장치(21)의 세부구성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단지서버(22)의 세부구성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홈서버(70)의 세부구성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HA 보드(100)와 RG 보드(200)의 세부구성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원격리셋모쥴(108, 209)의 회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원격리셋모쥴(108)의 타이밍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서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의 원격관리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본 발명은 자동복구기능을 갖춘 홈서버와 이를 이용한 홈 네크워크의 원격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대마다 구성되는 홈서버를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홈네트워크는 가정에서 인터넷망이나 주변기기를 공유하여 2대 이상의 컴퓨터에서 동시에 인터넷을 이용하도록 지원하는 "데이터 홈네트워크"가 일반화되기 시작하였고, 인터넷 게임 시장이 발전해가면서 초고속 인터넷 망을 이용하여 원격지의 게이머들과 가상의 장소에서 게임정보를 교환하고 아이템을 사고 파는 일련의 네트워크도 제안되었다.
여기에서 진화하여, 현재에는 홈오토메이션에 네트워크의 기능을 접목시켜, 핸드폰이나 인터넷을 통해 집밖에서 집안을 통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홈오토메이션이란, 집안에 가전제품이나 시설(예컨대, 가스밸브, 커텐, 수도꼭지 등)을 전자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한 다음, 집밖 또는 집안에서의 전자적 조작에 의해 가전제품이나 시설을 제어하여 원격으로 가전제품이나 시설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홈네트워크는 궁극적으로 유비쿼터스(Ubiquitous)를 지향한다.
공지된 바와 같이, 유비쿼터스란 마이크로칩 형태로 초소형화된 다양한 기기들이 현실세계의 사물과 환경 속에서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나 어떤 단말기로도 네크워크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 환경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유비쿼터스에 의하면, 다양한 기기들이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연동되고, 주위 사물에 센싱칩이 내장됨으로써 원격모니터링, 원격복구 등이 가능해지며, 원격의료상담과 같은 헬스케어 서비스가 활성화되어 홈네트워크 시스템이 보다 고도화된 형태로 발전될 것이다.
이와 같은 홈네트워크의 실현을 위해서는, 세대마다 홈서버가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홈서버는 중앙센터에서 관리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상기 중앙센터는 홈서버에서 장애가 발생할 수 경우 그 장애를 해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선행기술 실용등록번호 20-366642호(명칭: 원격지에서의 재부팅이 가능한 데이터처리장치)에 의하면, 관리장치에 해당하는 통합제어집선장치가 홈서버에 해당하는 홈네트워크로 인가되는 전원을 off 시켰다가 on 시킴으로써, 통합제어집선장치가 홈네트워크를 리셋시킴으로써 상기 홈네트워크를 재구동시키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에 의하면, 홈네트워크에 장애가 발생하고 그 장애가 복구되는 동안(즉, 홈네트워크가 재구동되는 동안) 홈네크워크의 전체 기능이 동작되지 않기 때문에, 홈네트워크의 사용에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홈네크워크에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홈네트워크의 일부 또는 중요 기능은 장애없이 수행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되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은 홈서버를 홈오토메이션 보드(Home Automation Board; 이하 'HA 보드')와 주거 게이트웨이 보드(Residential Gateway Board; 이하 'RG 보드')로 구성하여, 주거 게이트웨이 보드의 상태를 홈오토메이션 보드가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주거 게이트웨이 보드에장애가 발생하더라도 홈오토메이션 보드가 정상동작하여 사용자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는 홈서버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HA 보드를 제어하는 주장치와, 상기 RG 보드를 제어하는 단지서버를 구비하여, 원격지의 A/S 서버가 각 세대에 구비되는 홈서버의 장애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복구기능을 갖춘 홈서버는, 홈네트워크의 구현을 위해 각 세대에 구성되는 홈서버에 있어서, 홈 오토메이션 기능을 수행하는 HA 보드와, 주거 게이트웨이 기능을 수행하는 RG 보드가 별도로 구성되어, 상기 HA 보드가 상기 RG 보드의 장애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RG 보드의 장애가 감지되면, 상기 RG 보드를 리셋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복구기능을 갖춘 홈서버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의 원격관리시스템은, 각 세대에 구성되고, 주거 게이트웨이 기능을 수행하는 RG 보드와 상기 RG 보드를 관리하면서 홈 오토메이션 기능을 수행하는 HA 보드가 별도로 구성된 홈서버; 상기 각 세대에 구비된 RG 보드와 연결되어, 상기 RG 보드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지서버; 상기 각 세대에 구비된 HA 보드와 연결되어, 상기 HA 보드를 통해 상기 RG 보드를 원격복구하는 주장치; 및 상기 단지서버로부터 특정 RG 보드의 장애가 통보되면, 상기 주장치로 장애발 생 RG 보드를 관리하는 HA 보드를 통한 원격복구를 명령하는 A/S 서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되어진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네크워크의 원격관리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네크워크의 원격관리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주택단지(20, 30, 40, 50)가 인터넷(60)을 통해 A/S 센터(10)의 A/S 서버(15)에 연결된다.
제 1 주택단지(20)는 각 세대별로 홈서버(H11, H12, H13, H14, H15)와, 홈서버(H11, H12, H13, H14, H15)에 구성되는 HA 보드와 연결되어 A/S서버(15)의 명령을 근거로 특정 세대의 HA 보드로 RG 보드에 대한 테스트 명령을 전달하는 주장치(21), 홈서버(H11, H12, H13, H14, H15)에 구성된 RG 보드와 연결되어 A/S 서버(15)의 명령을 그거로 특정 세대의 RG 보드에 대한 테스트를 행하는 단지서버(22)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는, 제 2, 3, 4 주택단지(30, 40, 50)에 동일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 1 주택단지(20)를 기준으로 하여 각 구성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단지서버(22)는 홈서버(70)의 RG 보드(200)와 LAN으로 연결된다.
제 1 주택단지(20)에 구성되는 주장치(2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장치 전반에 대한 관리를 수행하며 각 모쥴을 관리하는 MCU 관리모쥴(211), 경비실 과 세대간 통화를 연결하고 제어신호를 송수신하는 경비실 제어모쥴(212), 로비폰과 세대간 통화를 연결하고 제어신호를 송수신하는 로비폰 제어모쥴(213), 세대와 경비실 또는 세대와 로비폰의 통화시 세대관련 제어를 처리하는 세대 3, 2, 1 제어모쥴(214, 215, 216), 및 각 세대에 구성되는 홈서버의 HA 보드와 통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주장치모쥴(217)을 구비한다. 참고로, 세대관련제어는 호연결을 위해 통화로를 제어하는 것을 통칭한다.
또, 제 1 주택단지(20)에 구성되는 단지서버(2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택배시스템과 통신을 하여 택배정보를 해당 세대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택배관리모쥴(221), 주차시스템과 통신을 하여 주차정보를 해당 세대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주차관제모쥴(222), 검침시스템과 통신을 하여 검침정보를 세대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원격검침모쥴(223), 각 세대에 구성되는 홈서버의 RG 보드와 통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단지관리모쥴(224)을 구비한다.
한편, 각 세대에 구비되는 홈서버(H11, H12, H13, H14, H1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HA 보드(100)와 RG 보드(200)를 구비한다.
HA 보드(100)는 CPU가 8비트 마이콤으로 내부 디바이스를 컨트롤하고, 도어폰, 로비폰, 경비실 통화를 처리하며, 출동경비와 연동하여 24시간 세대보안을 처리한다. 또, 주장치(21)와 연동하기 위한 세대HA모쥴을 구비하여, 주장치(21)의 명령을 받아 RG 보드(200)에 대한 상태진단 및 장애복구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HA 보드(1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장치 전반에 제공하는 전원부(101), 긴급상황발 생시 출동경비를 호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출동경비모쥴(102), 경비실과의 통화를 처리하는 경비실모쥴(103), 로비폰과의 통화와 영상출력기능을 수행하는 로비폰모쥴(104), 도어폰과의 통화와 영상출력기능을 수행하는 도어폰모쥴(105), 주장치(21)와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세대HA모쥴(106), RG 보드(200)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원격파워모쥴(107), RG 보드(200)의 장애감지시 RG 보드(200)를 리셋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원격리셋모쥴(108), RG 보드(200)와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연동모쥴 RS232(109), 및 상술되어진 각 모쥴(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CPU(110)를 구비한다.
또, RG 보드(200)는 CPU가 32비트로 동작되어, 내부 디바이스를 콘트롤하며, GUI(Graphic User Interface)로 다양한 컨텐츠(원격검침, 주차관제, CCTV, 차량도착, 택배도착 등)를 지원하며, 가전기기(에어콘, 세탁기, 식기세척기, 전자레인지 등)의 연동을 제어한다. 그리고, 휴대폰제어(SMS전송, 방문자영상확인, 가전기기 휴대폰제어 등), 인터넷제어(SMS정송, 방문자영상확인, 가전기기 휴대폰제어 등)를 행하여, 단지서버(22)와 연동하여 원격모니터링을 행하고 HA 보드(100)와 연동하여 원격모니터링을 행한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RG 보드(2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공급수단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장치전반에 제공하는 전원부(201), 컨텐츠에 해당하는 영상을 LCD 화면에 출력하는 LCD 모쥴(202), 인터넷 제어를 처리하는 인터넷제어모쥴(203), 휴대폰제어를 처리하는 휴대폰제어모쥴(204),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기기제어모쥴(205), 사용자가 특정 컨텐츠 제공에 대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GUI를 처리하는 GUI모쥴(206), LAN으로 연결되어 단지서버(22)와 데이터통신하는 세대관리모쥴(207), HA 보드(100)에 의해 전원을 온/오프하는 원격파워모쥴(208), HA 보드(100)에 제어하에 CPU(211)를 리셋시키는 원격리셋모쥴(209), HA 보드(100)와 데이터통신을 처리하는 연동모쥴 RS232(210), 및 상술되어진 각 모쥴(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을 제어하는 CPU(211)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서, HA 보드(100)는 8비트 CPU가 구비되기 때문에, 에러발생률이 극히 낮은 반면, RG 보드(200)는 처리속도의 향상을 위해 32비트 CPU를 구비하기 때문에, 모듈의 크기와 속도면에서 에러가 발생할 확률이 HA 보드(100)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월등히 높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HA 보드(100)와 RG 보드(200)가 서로 분리되어 구성되기 때문에, RG 보드(200)에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HA 보드(100)는 정상적으로 동작한다. 따라서, RG 보드(200)의 장애시, HA 보드(100)에 의해 행해지는 홈 오토메이션의 기본 기능인 도어폰, 로비폰, 경비실 통화, 출동경비 호출 등의 기능은 정상적으로 동작된다.
HA 보드(100)의 CPU(110)에는 주기적으로 RG 보드(200)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RG 보드(200)의 장애감지시 RG 보드(200)를 리셋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있고, 해당 프로그램에 의해 관련 모쥴이 동작된다. 또한, HA 보드(100)는 세대HA모쥴(106)을 통해 주장치(21)로부터 RG 보드(200)의 테스트명령이 전송되면, RG 보드(200)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RG 보드(200)의 장애감지시 RG 보드(200)를 리셋시키고, 리셋이 성공하지 않으면 주장치(21)로 RG 보드(200)의 장애를 통보하는 프로그램이 탑재된다.
RG 보드(200)의 CPU(211)는 연동모듈 RS232C(210)을 통해 HA 보드(100)로부터 상태질의메시지 전송되면 HA 보드(100)로 응답하고, 세대관리모쥴(207)을 통해 단지서버(22)로부터 상태질의메시지가 전송되면 단지서버(22)로 응답하는 프로그램이 탑재된다.
HA 보드(100)의 CPU(110)는 RG 보드(200)가 정상적으로 응답하지 않으면, 원격리셋모쥴(108)을 통해 RG 보드(200)의 CPU(211)를 리셋시킨다.
HA 보드(100)의 원격리셋모쥴(108)과 RG 보드(200)의 원격리셋모듈(209)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HA 보드(100)의 원격리셋모쥴(108)과 RG 보드(200)의 원격리셋모듈(209)의 회로 구성도이다.
HA 보드(100)의 원격리셋모듈(108)은 베이스단이 저항(R1)을 통해 HA_RST단에 연결되고, 이미터단을 통해 RG 보드(200)의 원격리셋모듈(209)에 연결되어 HA_RST단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스위칭기능을 수행하는 트랜지스터(TR)를 구비한다. 여기서, 저항 R1은 4.7㏀가 바람직하다.
RG 보드(200)의 원격리셋모듈(209)은 저항(R2)과 콘덴서(C1)가 직렬로 연결되고, 저항(R2)과 콘텐서(C1)의 중간노드로 HA(100)의 원격리셋모듈(108)의 입력전압이 전송되고, 상기 중간노드가 저항(R3)을 통해 RG_CPU단자에 연결된다. 여기서, 저항(R2)는 4,7㏀, 저항(R3)는 33Ω, 콘덴서(C1)는 1㎌가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원격리셋모듈(108, 209)의 동작을 설명한다.
RG 보드(200)가 정상일 경우, HA_RST 단자는 High(5V) 전압을 원격리셋모듈(108)로 인가하는데, 상기 전압에 의해 트랜지스터(TR)가 오프되어 상기 전압은 RG 보드(200)의 원격리셋모듈(209)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V3_3_CPU에서 인가되는 3.3V의 전압이 콘덴서(C1)와 저항(R3)에 의해 RG_CPU 단으로 그대로 출력된다.
그러나, RG 보드(200)가 상태질의메시지에 대해 정상적으로 응답하지 않아 HA 보드(100)가 RG 보드(200)를 장애로 인식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에 입력되는 클럭인 FCLK의 6사이클동안 LOW(0V) 전압을 입력하는데, 도 7에서 @nREST에 해당하는 FCLK 2싸이클동안 LOW 전압을 입력하여, 6사이클동안 LOW 전압을 입력하는 이유는 통상적으로 CPU의 리셋주기인 4 싸이클에, 안정화를 위해 2사이클을 더 설정한 것이다.
이와 같이, LOW 전압이 입력되면 HA 보드(100)의 원격리셋회로(108)의 트랜지스터(TR)가 온 되어, 전원부(201)로부터 인가되는 3.3V가 트랜지스터(TR)에 의해 접지로 바이패스된다. 따라서, FCLK 6사이클동안 RG_CPU 단자로 리셋을 위한 OV의 전압이 출력되다가, FLCK 7번째 펄스가 인가되는 시점에서 RG_CPU 단자로 3.3V의 전압이 출력됨으로써, RG 보드(100)의 CPU(211)가 리셋되어진다. 참고로, RG_CPU 단자는 CPU(211)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자가 아니고, 정상상태에서는 High(3.3V)를 유지하고 있으며, 리셋시 수밀리초 Low(0V)로 입력함으로써 리셋을 수행하는 단자이다.
이하, 도 8에 도시된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서 버의 자동복구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A보드(100)의 CPU(110)는 내장된 타이머(도시 생략)를 구동하여(S2), 일정 테스트주기(예컨대, 1분)를 계시한 후, 기설정된 테스트주기에 도달하면(S4에서 Yes), HA 보드(100)는 연동모쥴 RS232(109)를 통해 RG보드(200)의 연동모쥴 RS232(210)로 RG 보드(70)에 대한 상태질의메시지를 전송한다(S6).
RG 보드(200)의 연동모쥴 RS232(210)는 전송받은 상태질의메시지를 CPU(211)로 전송하고, CPU(211)는 정상상태인 경우(S7에서 Yes) 상태질의메시지에 대한 응답메시지를 연동모쥴 RS232(210)로 전송한다. 연동모줄 RS232(210)은 상기 응답메시지를 HA 보드(100)의 연동모쥴 RS232(109)로 전송한다(S8).
연동모쥴 RS232(109)를 통해 응답메시지가 수신되면(S8에서 Yes), HA 보드(100)의 CPU(110)는 RG 보드(200)가 정상상태인 것으로 판단하여, 초기단계로 진행한 후, 타이머에 의한 테스트 주기 도달을 대기한다.
그러나 이와 달리, 연동모쥴 RS232(109)를 통해 응답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S8에서 No) 상태질의메시지를 전송한 회수를 카운팅하여, 그 회수가 기설정회수(n)에 도달하였는가를 판단한다(S12).
상기 판단결과, 상태질의메시지를 전송한 회수가 기설정회수(n)에 도달하지 않았으면(S12에서 No) CPU(110)는 S6으로 진행하여 RG 보드(200)의 연동모쥴 RS232(210)로 상태질의메시지를 전송하고, 상태질의메시지 전송회수를 1증가시킨다.
한편, S12의 판단결과 상태질의메시지를 전송한 회수가 기설정회수(n)에 도 달하였으면(S12에서 Yes), HA 보드(100)의 CPU(110)는 원격리셋모쥴(109)로 리셋신호(즉, Low 전압)를 전송한다. 원격리셋모쥴(109)의 트랜지스터(TR)이 온 됨에 따라 RG 보드(109)의 원격리셋모쥴(209)의 RG_CPU 단자로 0V가 출력되어 CPU(211)가 리셋되면(S14), RG 보드(200)의 CPU(211)는 연동모쥴 RS232(210)를 통해 HA 보드(100)의 연동모쥴 RS232(109)로 자동복구메시지를 전송한다(S18).
연동모쥴 RS232(109)를 통해 자동복구메시지가 수신되면, HA 보드(100)의 CPU(110)는 RG 보드(200)의 장애가 복구된 것으로 판단하여, 초기단계로 진행한 후, 타이머에 의한 테스트 주기 도달을 대기한다.
그러나, 상술되어진 경우와 달리 HA 보드(100)의 CPU(110)가 원격리셋모쥴(109)로 원격리셋신호를 전송했음에도 불구하고, RG 보드(200)에 장애가 발생하여 원격리셋모쥴(209)에 의해 CPU(211)가 리셋되지 못하여(S16에서 No), HA 보드(100)로 자동복구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 CPU(110)는 리셋신호를 전송한 회수를 카운팅하여, 그 회수가 기설정회수(m)에 도달하였는가를 판단한다(S22).
상기 판단결과, CPU(110)는 리셋신호를 전송한 회수가 기설정회수(m)에 도달하지 않았으면(S22에서 No) CPU(110)는 S14로 진행하여 원격리셋모쥴(109)로 리셋신호를 전송하고, 리셋신호의 전송회수를 1증가시킨다.
한편, S22의 판단결과, CPU(110)는 리셋신호를 전송한 회수가 기설정회수(m)에 도달하였으면(S22에서 Yes) RG 보드(200)를 장애로 인식하고(S24), 상술되어진 일련의 절차를 종료한다.
상술되어진 절차를 통해 HA 보드(100)의 CPU(110)는 주기적으로 RG 보드 (200)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RG 보드(200)에 장애가 감지되면 CPU(211)를 리셋시킴으로서, 1차적으로 RG 보드(200)의 장애상태를 복구한다. 통계적으로, CPU(211)의 리셋만으로 RG 보드(70)의 장애상태를 복구시킬 수 있는 확률은 90% 정도가 된다.
이어, 첨부되어진 도 9에 도시된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자동복구기능을 갖춘 홈서버를 이용한 홈 네크워크의 원격관리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 1 주택단지의 각 세대(H11, H12, H13, H14, H15)의 홈서버의 RG 보드와 연결된 단지서버(22)가 각 RG 보드로 주기적으로 상태질의메시지를 전송하여, 각 세대(H11, H12, H13, H14, H15)의 RG 보드의 상태를 테스트한다(S30). 이때, 단지서버(22)는 단지관리모쥴(224)을 통해 각 RG 보드로 상태질의메시지를 전송하고, RG 보드는 세대관리모쥴을 통해 상태질의메시지를 전송받는다. 참고로, 단지서버(22)는 각 세대(H11, H12, H13, H14, H15)에 구성된 각 RG 보드와 통신하지만, 설명의 편의상 세대(H11)에 구성된 RG 보드(200)와의 통신절차를 설명함으로써, 단지서버(22)와 다른 세대(H12, H13, H14, H15)의 RG 보드간의 동작설명을 대신한다.
RG 보드(200)의 CPU(211)는 세대관리모듈(207)을 통해 상태질의메시지가 전송되면, 정상상태에서는 세대관리모듈(207)을 통해 단지서버(22)로 응답메시지를 전송하고, 장애가 발생한 비정상상태에서는 응답메시지를 전송하지 못한다.
이후, 단지서버(22)는 각 RG 보드로부터의 응답메시지 전송여부를 근거로 RG 보드의 장애를 감지하는데, 장애 RG 보드가 감지되면(S32에서 Yes), 인터넷(60)을 통해 A/S 서버(15)로 장애가 발생된 세대를 통보한다. 이때, 장애세대는 장애 RG 보드가 설치된 세대가 된다.
A/S 서버(15)는 GUI를 통해 장애세대를 표시한다. 제 1 주택단지의 첫번째 세대가 장애세대로 표시되며, 이때 경고음이 출력되게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장애세대가 통보되면, A/S 서버(15)의 A/S 요원은 원격으로 인터넷(60)을 통해 주장치(21)로 장애세대의 RG 보드(200)에 대한 상태테스트를 명령하고(S36), 주장치(21)는 장애세대의 HA 보드(100)로 RG 보드(200)에 대한 상태테스트를 명령한다(S38).
상태테스트를 명령받은 HA 보드(100)는 연동모쥴 RS232(109)를 통해 RG 보드(200)의 연동모쥴 RS232(210)로 상태질의메시지를 전송한다(S40).
이때, RG 보드(200)의 CPU(211)가 정상상태이면 상기 상태질의메시지에 대한 응답메시지를 연동모쥴 RS232(210)을 통해 HA 보드(100)의 연동모쥴 RS232(109)로 전송하고, CPU(211)가 장애가 발생된 비정상상태이면 상기 상태질의메시지에 대한 응답메시지를 전송하지 못한다.
한편, HA 보드(100)의 CPU(110)는 연동모쥴 RS232(109)를 통한 응답메시지의 수신여부를 근거로 RG 보드(200)의 정상여부를 판단한다(S42). 본 발명에서, 특정 RG 보드가 단지서버(22)를 통해서는 장애상태로 인식되었으나, HA 보드(21)를 통해 해당 RG 보드를 테스트한 결과, 상기 RG 보드가 정상으로 판단되는 경우는 단지서버(22)와 RG 보드간을 연결하는 LAN 장애 등이 원인일 수 있다.
연동모쥴 RS232(109)로 응답메시지가 수신되어 RG 보드(200)가 정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HA 보드(100)의 CPU(110)는 세대HA모듈(106)을 통해 주장치(21)로 해당 RG 보드(200)가 정상임을 통보한다(S50).
주장치(21)는 주장치모쥴(217)을 통해 RG 보드(200)의 정상상태가 통보되면, 인터넷(60)을 통해 A/S 서버(15)로 테스트 세대의 정상을 통보하고(S52), 상술되어진 일련의 장치를 종료한다.
반면, S42의 판단결과, 연동모쥴 RS232(109)로 일정시간 내에 응답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S42에서 No), HA 보드(100)의 CPU(110)는 세대HA모듈(106)을 통해 주장치(21)로 해당 RG 보드(200)가 장애임을 통보한다(S44).
주장치(21)는 주장치모쥴(217)을 통해 RG 보드(200)의 정상상태가 통보되지 않으면(S42에서 No), 인터넷(60)을 통해 AS 서버(15)로 테스트 세대의 장애를 통보한다(S46).
이어, A/S 서버(15)의 A/S 요원은 원격으로 해당 RG 보드를 리셋시키는 동작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A/S 요원은 인터넷(60)을 통해 주장치(21)로 장애세대의 RG 보드(200)에 대한 원격복구를 명령하고(S54), 주장치(21)는 장애세대의 HA 보드(100)로 RG 보드(200)에 대한 원격복구를 명령한다(S56).
원격복구를 명령받은 HA 보드(100)는 HA-RST 단자에 LOW(0V)를 인가함으로써, RG 보드를 리셋시키고, 일정시간(예컨대, 약 1분)동안 RG보드의 상태를 체크한다(S58).
이때, RG 보드(200)의 CPU(211)가 정상상태로 복구되어, 정상상태메시지를 연동모쥴 RS232(210)을 통해 HA 보드(100)의 연동모쥴 RS232(109)로 전송하면(S60 에서 Yes), HA 보드(100)의 CPU(110)는 세대HA모듈(106)을 통해 주장치(21)로 해당 RG 보드(200)가 정상임을 통보한다(S50).
그러나, 상술되어진 경우와는 달리 연동모쥴 RS232(109)로 일정시간 내에 응답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S60에서 No), HA 보드(100)의 CPU(110)는 세대HA모듈(106)을 통해 주장치(21)로 해당 RG 보드(200)가 장애임을 통보하고, 주장치(21)는 인터넷(60)을 통해 AS 서버(15)로 테스트 세대의 장애를 통보한다.
이 경우에는, A/S 요원이 직접 RG 보드(200)에 장애가 발생한 세대로 출동하여 해당 장애를 처리한다.
본 발명에서는, 홈서버의 RG 보드(200)에 장애가 발생하여도 HA 보드(100)는 정상적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HA 보드(100)의 CPU(110)에 의해 행해지는 도어폰, 로비폰, 경비실 통화, 출동경비과 연동된 24시간 세대보안 등의 처리는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복구기능을 갖춘 홈서버와 이를 이용한 홈 네크워크의 원격관리시스템에 의하면, 홈서버를 홈오토메이션 보드와 주거 게이트웨이 보드로 분리시켜 구성함으로써, 주거 게이트웨이 보드의 장애시 이용불편을 최소화하였다는 효과가 있다.
또, 주거 게이트웨이 보드의 상태를 홈서버의 홈오토메이션 보드 또는 원격지의 A/S 서버가 리셋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주거 게이트웨이 보드의 장애시 주거 게이트웨이 보드를 리셋시켜 주거 게이트웨이 보드를 신속하게 재구동시켜, 안 정적으로 홈 네트워크를 관리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이러한 수정 및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14)

  1. 홈네트워크의 구현을 위해 각 세대에 구성되는 홈서버에 있어서,
    홈 오토메이션 기능을 수행하는 HA 보드와,
    주거 게이트웨이 기능을 수행하는 RG 보드가 별도로 구성되어,
    상기 HA 보드가 상기 RG 보드의 장애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RG 보드의 장애가 감지되면, 상기 RG 보드를 리셋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복구기능을 갖춘 홈서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HA 보드는
    긴급상황발생시 출동경비를 호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출동경비모쥴;
    경비실과의 통화를 처리하는 경비실모쥴;
    로비폰과의 통화와 영상출력기능을 수행하는 로비폰모쥴;
    도어폰과의 통화와 영상출력기능을 수행하는 도어폰모쥴;
    상기 RG 보드와 데이터통신을 지원하는 연동모쥴;
    상기 RG 보드의 장애시 상기 RG 보드를 리셋시키는 제 1 원격리셋모쥴; 및
    상기 모쥴들을 제어함과 더불어, 상기 연동모쥴을 통해 상기 RG 보드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RG 보드의 장애가 감지되면 상기 원격리셋모쥴을 제어하여 상기 RG 보드를 리셋시키는 제 1 CPU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복구기능을 갖춘 홈서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CPU는
    8비트 마이콤 또는 16비트 마이콤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복구기능을 갖춘 홈서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RG 보드는
    컨텐츠에 해당하는 영상을 LCD 화면에 출력하는 LCD 모쥴;
    인터넷 제어를 처리하는 인터넷제어모쥴;
    휴대폰 제어를 처리하는 휴대폰제어모쥴;
    가전기기 제어를 처리하는 기기제어모쥴;
    사용자가 특정 컨텐츠 제공에 대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처리하는 GUI 모쥴;
    상기 HA 모드와의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는 제 2 연동모쥴;
    상기 모쥴 전반을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HA 모드의 요청시 상기 HA 모드로 상태를 보고하는 제 2 CPU; 및
    상기 HA 모드의 제어하에, 상기 제 2 CPU를 리셋시키는 제 2 원격리셋모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복구기능을 갖춘 홈서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CPU는
    32비트 마이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복구기능을 갖춘 홈서버.
  6. 제 2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원격리셋모쥴은 상기 제 1 CPU로부터 리셋신호가 전송되면, 스위칭 온되어 루프를 형성하는 스위칭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원격리셋모듈은 상기 스위칭수단에 의해 형성된 루프에 통해 상기 제 2 CPU로 리셋신호를 인가하는 리셋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복구기능을 갖춘 홈서버.
  7. 각 세대에 구성되고, 주거 게이트웨이 기능을 수행하는 RG 보드와 상기 RG 보드를 관리하면서 홈 오토메이션 기능을 수행하는 HA 보드가 별도로 구성된 홈서버;
    상기 각 세대에 구비된 RG 보드와 연결되어, 상기 RG 보드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지서버;
    상기 각 세대에 구비된 HA 보드와 연결되어, 상기 HA 보드를 통해 상기 RG 보드를 원격복구하는 주장치; 및
    상기 단지서버로부터 특정 RG 보드의 장애가 통보되면, 상기 주장치로 장애발생 RG 보드를 관리하는 HA 보드를 통해, 상기 장애발생 RG 보드를 원격복구시키는 A/S 서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복구기능을 갖춘 홈서버를 이용한 홈 네크워크의 원격관리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HA 보드는
    긴급상황발생시 출동경비를 호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출동경비모쥴;
    경비실과의 통화를 처리하는 경비실모쥴;
    로비폰과의 통화와 영상출력기능을 수행하는 로비폰모쥴;
    도어폰과의 통화와 연상출력기능을 수행하는 도어폰모쥴;
    상기 RG 보드와 데이터통신을 지원하는 제 1 연동모쥴;
    상기 주장치와 데이터통신을 지원하는 제 2 연동모쥴;
    상기 RG 보드의 장애시 상기 RG 보드를 리셋시키는 제 1 원격리셋모쥴; 및
    상기 모쥴들을 제어함과 더불어, 상기 연동모쥴을 통해 상기 RG 보드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RG 보드의 장애가 감지되면 상기 원격리셋모쥴을 제어하여 상기 RG 보드를 리셋시키는 제 1 CPU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복구기능을 갖춘 홈서버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의 원격관리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CPU는
    상기 제 2 연동모쥴을 통해 상기 주장치로부터 상기 RG 보드에 대한 테스트명령이 전송되면, 상기 RG 보드를 리셋시킨 후, 상기 RG 보드의 리셋결과를 상기 주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복구기능을 갖춘 홈서버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의 원격관리시스템.
  10.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RG 보드는
    컨텐츠에 해당하는 영상을 LCD 화면에 출력하는 LCD 모쥴;
    인터넷 제어를 처리하는 인터넷제어모쥴;
    휴대폰 제어를 처리하는 휴대폰제어모쥴;
    가전기기 제어를 처리하는 기기제어모쥴;
    사용자가 특정 컨텐츠 제공에 대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처리하는 GUI 모쥴;
    상기 HA 보드와의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는 제 3 연동모쥴;
    상기 단지서버와의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는 제 4 연동모쥴;
    상기 모쥴 전반을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HA 보드 또는 상기 단지서버의 요청시 상기 HA 보드 또는 상기 단지서버로 보고하는 제 2 CPU; 및
    상기 HA 보드의 제어하에, 상기 제 2 CPU를 리셋시키는 제 2 원격리셋모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복구기능을 갖춘 홈서버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의 원격복구시스템.
  11. 제 8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원격리셋모쥴은 상기 제 1 CPU로부터 리셋신호가 전송되면, 스위칭 온되어 루프를 형성하는 스위칭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원격리셋모쥴은 상기 스위칭수단에 의해 형성된 루프를 통해 상기 제 2 CPU로 리셋신호를 인가하는 리셋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복구기능을 갖춘 홈서버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의 원격복구시스템.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A/S 서버는
    상기 단지서버로부터 특정 세대의 RG 보드의 장애가 통보되면, 상기 장애세대를 그래픽처리하여 표시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복구기능을 갖춘 홈서버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의 원격복구시스템.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장치는
    경비실과 세대간 통화를 연결하고 제어신호를 송수신하는 경비실 제어모쥴;
    로비폰과 세대간 통화를 연결하고 제어신호를 송수신하는 로비폰 제어모쥴;
    세대와 경비실 또는 세대와 로비폰 통화시 세대관련 제어를 처리하는 세대제어모쥴;
    상기 각 세대에 구성되는 홈 서버의 HA 보드와의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는 주장치모쥴; 및
    장치전반을 관리하고, 상기 A/S 서버의 특정 RG 보드의 테스트 명령시 상기 주장치모쥴을 통해 상기 RG 보드로 상태질의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상태질의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메시지의 수신여부를 근거로 상기 RG 보드의 상태를 판단하여 그 결과를 상기 A/S 서버로 전송하는 MCU 관리모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복구기능을 갖춘 홈서버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의 원격복구시스템.
  14.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단지서버는
    택배시스템과 통신을 하여 택배정보를 해당 세대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택배관리모쥴;
    주차시스템과 통신을 하여 주차정보를 해당 세대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주차관제모쥴;
    검침시스템과 통신을 하여 검침정보를 세대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원격검침모쥴; 및
    상기 각 세대에 구성되는 상기 홈서버의 상기 RG 보드와의 통신을 통해, 주기적으로 상기 RG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지관리모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복구기능을 갖춘 홈서버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의 원격복구시스템.
KR1020050043023A 2005-05-23 2005-05-23 자동복구기능을 갖춘 홈서버와 이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의 원격관리시스템 KR200601208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3023A KR20060120833A (ko) 2005-05-23 2005-05-23 자동복구기능을 갖춘 홈서버와 이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의 원격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3023A KR20060120833A (ko) 2005-05-23 2005-05-23 자동복구기능을 갖춘 홈서버와 이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의 원격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0833A true KR20060120833A (ko) 2006-11-28

Family

ID=37706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3023A KR20060120833A (ko) 2005-05-23 2005-05-23 자동복구기능을 갖춘 홈서버와 이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의 원격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2083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1168B1 (ko) * 2007-01-03 2008-08-08 주식회사 케이티 이더넷 스위치 고장복구 장치
KR100921681B1 (ko) * 2007-10-04 2009-10-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유비쿼터스 장애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31248A (ko) * 2015-05-06 2016-11-16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인터넷 기반 홈 서비스의 장애 처리 방법 및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1168B1 (ko) * 2007-01-03 2008-08-08 주식회사 케이티 이더넷 스위치 고장복구 장치
KR100921681B1 (ko) * 2007-10-04 2009-10-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유비쿼터스 장애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31248A (ko) * 2015-05-06 2016-11-16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인터넷 기반 홈 서비스의 장애 처리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73514B2 (en) Network device management technology
US11223998B2 (en) Security, monitoring and automation controller access and use of legacy security control panel information
US20230362029A1 (en) Bidirectional security sensor communication for a premises security system
US8117362B2 (en) Programmable multi-function Z-wave adapter for Z-wave wireless networks
Kumar et al. IoT based monitoring and control of appliances for smart home
US7844699B1 (en) Web-based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US20100145479A1 (en) Wireless Portable Sensor Monitoring System
US20060271695A1 (en) System for remote secured operation, monitoring and control of security and other types of events
US2016002620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electrical devices
US20190139390A1 (en) Watching system and management server
US9742506B2 (en) Terminal device, control device, fault diagnosis system, and fault diagnosis method
KR20170115648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JP2018055293A (ja) 見守りシステム、見守り方法、及び見守り用プログラム
KR20060120833A (ko) 자동복구기능을 갖춘 홈서버와 이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의 원격관리시스템
KR20040078288A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네트워크 정보 복원장치 및 방법
US2017016394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mart home monitoring and smart home system
JP2006121169A (ja) 情報端末装置、通信可否確認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745479B2 (ja) 情報端末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アプリケーションシステム
JP2018056730A (ja) 機器管理システム、機器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90190740A1 (en) Home automation system including cloud server based maintenance operation communication and related methods
Begum et al. Design and development of activation and monitoring of home automation system via SMS through microcontroller
KR101740236B1 (ko) 엠큐티티(mqtt) 및 디디에스(dds) 클라이언트 모듈을 갖는 장치를 위한 원격관리시스템
CN110611595B (zh) 输出异常信息的方法、装置及存储介质
JP2004200755A (ja) 家電機器用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200401936Y1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리부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