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0026A - 암모니아와 에틸렌 옥사이드의 반응에 의해 수득가능한혼합물로부터 트리에탄올아민 분리 방법 - Google Patents

암모니아와 에틸렌 옥사이드의 반응에 의해 수득가능한혼합물로부터 트리에탄올아민 분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0026A
KR20060120026A KR1020067006826A KR20067006826A KR20060120026A KR 20060120026 A KR20060120026 A KR 20060120026A KR 1020067006826 A KR1020067006826 A KR 1020067006826A KR 20067006826 A KR20067006826 A KR 20067006826A KR 20060120026 A KR20060120026 A KR 200601200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umn
tea
mixture
distillation
ethylene ox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6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6382B1 (ko
Inventor
볼프강 라이프
한스 함메르
귄테르 루이데르
안톤 마이에르
필립 부스켄스
마티아스 프라우엔크론
Original Assignee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60120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00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6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63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13/00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hydroxy, amino and etherified hydroxy or amino and esterifie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13/10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15/00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15/02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hydroxy groups and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15/04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hydroxy groups and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saturated
    • C07C215/06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hydroxy groups and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saturated and acyclic
    • C07C215/12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hydroxy groups and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saturated and acyclic the nitrogen atom of the amino group being further bound to hydrocarbon groups substituted by hydroxy grou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발명은 물질 혼합물을 두 단계로 증류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과압 및 승온에서 액상에서의 암모니아와 에틸렌 옥사이드 반응에 의해 수득가능한 에탄올아민-에테르 및 물 모노-, 디- 및 트리에탄올아민으로 이루어진 물질 혼합물로부터 트리에탄올아민의 증류 분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 1 단계에서, 저-비점 분획 및 고-비점 분획은 제거되어 배출되고, 제 2 단계에서 중간-비점 분획은 99.4 중량% 초과의 트리에탄올아민 함량 및 0.2 중량% 미만의 디에탄올아민 함량으로 증류된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물질 혼합물 증류는 제 1 컬럼 및 이에 연결된 제 2 컬럼 또는 분리 막 컬럼 내에서 수행된다.
증류 분리 방법, 트리에탄올아민, 두 단계 증류

Description

암모니아와 에틸렌 옥사이드의 반응에 의해 수득가능한 혼합물로부터 트리에탄올아민 분리 방법{METHOD FOR SEPARATING TRIETHANOLAMIN FROM A MIXTURE OBTAINABLE BY AMMONIA AND ETHYLENE OXIDE REACTION}
본 발명은 과압 및 승온에서 액상에서의 암모니아와 에틸렌 옥사이드의 반응에 의해 수득된 암모니아, 물 및 에탄올아민 에테르와 함께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및 트리에탄올아민의 혼합물로부터 연속 증류로 트리에탄올아민(TEA)을 분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암모니아수를 에틸렌 옥사이드와 반응시키고, 모노에탄올아민(MEA) 및 디에탄올아민(DEA)을 증류하여 제거함으로써 수득된 조 TEA 생성물의 분별 증류 후에 수득되는 순수하고, 초기 무색의 TEA(색 지수: DIN-ISO 6271(=하젠(HAZEN))에 따른 약 0 내지 20 APHA)는 빛을 배제시킨 밀폐 용기에서 조차, 약 4 내지 6주 저장하면 연분홍색으로 점차 변하여, 마침내, 특히 빛에 두도록 하였을 때 황색 내지 갈색으로 변할 수 있다는 것이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작용은 승온에 의해 가속된다. (예를 들어, 문헌[G.G Smirnova et al., J. of Applied Chemistry of the USSR 61, pp. 1508-9(1998), 및 Chemical & Engineering News 1996, Sept. 16 page 42, middle column] 참조).
문헌[Chemical & Engineering News 1996, Sept. 16, page 42]에 따라, 1 몰의 TEA는 승온에서 분해되어 1 몰의 에탄올아민 및 2 몰의 아세트알데히드를 얻는다. 아세트알데히드는 축합되어 크로톤알데히드를 형성하고, 이어서 에탄올아민과 반응하여 쉬프 염기(Shiff base)를 형성한다. 이 불포화 쉬프 염기는 1,4-중합으로 TEA에서 착색 생성물을 생성한다.
순수한 TEA의 색 품질은 TEA의 APHA 색 지수(DIN-ISO 6271에 따름)를 저장 시간의 함수로 측정하는 시간이 걸리는 저장 시험 또는, 유리하게는, 산 중화 시험을 사용하여 평가될 수 있다.
이 산 중화 시험은 새로이 제조된 TEA의 색에 있어서의 저장 안정성을 몇 분 내로 평가할 수 있게 한다.
이 시험은 일본 문헌 JP-A 제62 019 558호(더웬트(Derwent) 초록 번호 제87-067647/10호, 및 JP-A 제62 005 939호(더웬트 초록 번호 제87-047397/07호)에 기재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TEA를 아세트산, 시트르산, 황산, 염산 또는 인산으로 처리(중화)한 후 420 nm 및 530 nm에서 흡수 띠의 흡광도를 측정한다. 시험 동안, TEA의 어떠한 가시적 분홍색 착색도 관찰되지 않고 흡광도의 측정 값이 충분히 낮게 유지된다면, TEA는 색에 있어서 저장 안정성이 있고 따라서 여러 달 동안 무색을 유지한다.
순수하고 무색 내지 단지 조금만 착색된 TEA의 각종 제조 방법이 문헌에 기재되어 있다.
EP-A 제4015호는 에탄올아민의 제조 및(또는) 증류에 의한 워크-업(Work-up) 동안 아인산 또는 차아인산을 첨가함으로써 거의 변색되지 않는 에탄올아민이 수득된다고 기술한다.
EP-A 제36 152호 및 EP-A 제4015호는 공정 생성물의 색 품질에 대한 알칸올아민의 제조 공정에 사용된 구성 물질의 영향을 기재하고 있고 니켈-부재 또는 니켈 저함량 강철을 추천하였다.
US-A 제3 819 710호는 선택된 촉매의 존재 하에 조 에탄올아민을 수소화함으로써 에탄올아민의 색 품질을 개선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하지만, 이 방법은 기술적으로 복잡하고 여러 달에 걸쳐 무색을 유지하는 TEA 생성물을 유도하지 못한다.
US-A 제3 207 790호는 알칼리 금속의 붕수소화물의 첨가에 의해 알칸올아민의 색 품질을 개선하는 방법을 기재한다.
US-A 제3 742 059호 및 DE-A 제22 25 015호는 붕산의 알칸올아민 에스테르 또는 알칼리 금속 붕산염/알칼리 토금속 붕산염 첨가로 생성되는 알칸올아민의 색 품질 개선을 기재한다.
하지만, TEA를 안정화하기 위한 보조제의 존재는 많은 중요한 TEA 적용에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마찬가지로, US-A 제4 673 762호에 의한 새로이 증류된 TEA에 소량의 에틸렌 옥사이드의 후속 첨가는 탈색 및 색 안정화를 유도한다. 하지만, 이 방법은 독성학적 이유로 문제가 있는 것 같다.
GB-A 제1 062 730호는 규산염 또는 알루민산염의 존재 하의 증류에 의한 에탄올아민의 정제 방법을 기재한다.
JP-A 제62 019 558호(더웬트 초록 번호 제87-067647/10호)는 170 내지 250℃에서 무기 산화물로 조 TEA를 처리한 후, 산소 부재 하에 증류함으로써 양호한 품질의 TEA의 제조를 보고한다.
JP-A 제62 005 939호(더웬트 초록 번호 제87-047397/07호)에 따라, 조 TEA 를 1 내지 10시간 동안 공기의 부재 하에 170 내지 250℃에서 가열한 후, 이어서 감압 하에 증류하면 유사한 결과를 달성한다.
SU-A 제326 178호(더웬트 초록 번호 제63384T-AE호)는 무수 모노에탄올아민(MEA) 또는 디에탄올아민(DEA) 또는 이 두개의 혼합물과 에틸렌 옥사이드의 50℃ 미만에서 온화한 상태에서의 반응으로 양호한 색 품질을 가지는 TEA의 제조를 기재한다.
SU-A 제228 693호(Chem. Abstr. 70, 77305f (1969)) 및 GB-A 제1 092 449호에 따라, 암모니아를 35℃ 이하에서 에틸렌 옥사이드와 반응시키고 생성된 에탄올아민 혼합물을 공기의 부재 하에 증류시키면 유사한 결과를 달성한다.
경제적인 관점에서, 에틸렌 옥사이드와의 반응이 저온에서 일어나는 방법은 긴 체류 시간 및 관련된 낮은 공간-시간 수율로 인해 실익이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트리에탄올아민의 고순도를 달성할 수 있는, 암모니아와 에틸렌 옥사이드의 반응에 의해 수득된 혼합물로부터 트리에탄올아민을 분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나아가, 판매가능한 순수한 트리에탄올아민의 제조는 특히 간단하고 경제적이어야 할 것이다.
우리는 이 목적이 청구항 1에 기재된 조치에 의해 달성된다는 것을 알았다.
추가적 조치는 종속 청구항 2 내지 4에 나타낸다.
본 발명의 방법은 다음과 같이 수득되는 혼합물을 사용한다. 먼저, 예를 들어, EP-A 제673 920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주성분인 모노에탄올아민(MEA), 디에탄올아민(DEA) 및 트리에탄올아민(TEA)를 포함하는 에탄올아민 혼합물은 적합한 반응기에서 과압 및 승온 하에 액상에서의 암모니아수와 에틸렌 옥사이드의 반응에 의해 제조된다.
이때 반응 온도는 일반적으로 100 내지 180℃, 바람직하게는 120 내지 150℃이고, 압력은 50 내지 150 bar(5 내지 15 MPa), 바람직하게는 75 내지 120 bar(7.5 내지 12 MPa)이다. 암모니아 대 에틸렌 옥사이드의 몰비는 1:1 내지 100:1, 바람직하게는 3:1 내지 50:1, 특히 바람직하게는 4:1 내지 15:1이고, 암모니아는 60 내지 99.99% 농도, 바람직하게는 70-95% 농도의 수용액으로 사용된다. 사용된 에틸렌 옥사이드는 한번에 모두 또는 두번 내지 열번, 바람직하게는 두번 내지 여섯번에 걸쳐 각각 총량의 10 내지 70 중량%에 해당하는 비율로 첨가될 수 있다.
1:1 초과의 암모니아 대 에틸렌 옥사이드의 몰비가 사용된다면, 이어서, 일부분의 물과 함께 과량의 암모니아는 과압 하에 생성하는 생성 혼합물로부터 그 자체로 공지된 방식으로 증류하여 제거한 후, 나머지 물은 감압 또는 대기압 하에 증류하여 제거한다. 이때 MEA, DEA 및 TEA를 대부분 포함하고 물 함량이 0.3 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미만을 가지는 조 생성물이 남게 된다.
이어서, 모노에탄올아민(MEA)이 감압 하에 증류되어 분리된 후에, DEA, TEA 및 (2-(2-히드록시에톡시)에틸)디-(2-히드록시에틸)아민, (2-(2-히드록시에톡시)에틸)(2-히드록시에틸)아민 및 N',N'-디-(2-히드록시에틸)-피페라진과 같은 소량의 부성분을 포함하는 조 생성물이 남는다. 통상적인 조 혼합물은 약 70 중량%의 DEA 및 약 30 중량%의 TEA를 포함한다.
상기 조 생성물의 조성은 처음 사용된 암모니아 대 에틸렌 옥사이드의 몰비에 따라 변동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 방법으로 수득된 에탄올아민 혼합물은 직접 분별 증류를 거쳐, 순수한 DEA 및 TEA를 차례로 수득할 수 있다. 하지만, 별법으로 본질적으로 DEA 및 TEA로 이루어지고 0.3 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미만의 물 함량 및 0.1 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0.01 중량% 미만의 암모니아 함량을 가진 상기 조 생성물은 110 내지 180℃, 바람직하게는 120℃ 내지 180℃에서 조 생성물의 질소 결합 수소의 그램 원자 당 0.6 내지 1.2 몰,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1.1 몰의 에틸렌 옥사이드와 액상에서 반응하는 절차가 있다. 상기 반응은 일반적으로 GB-A 제1 453 762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수행된다. 반응은 바람직하게는 관형 반응기에서 여러 단계로 수행된다. 예를 들면, 사용된 50 내지 80 중량%의 에틸렌 옥사이드는 제 1 반응 단계에서 바람직하게는 125 내지 165℃에서 반응하고, 사용된 에틸렌 옥사이드의 나머지는 제 2 반응 단계에서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180℃에서 반응하며, 반응은 제 3 반응 단계에서 120 내지 150℃에서 완성된다.
이 방법으로 수득된 에탄올아민 에테르 및 물과 함께 MEA, DEA 및 TEA의 혼합물은, 본 발명에 따라, 두 단계로 증류된다. 종래의 증류 장치는 이 목적에 적합하다. 이러한 장치는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단 또는 분리 벽, 규칙적 패킹 또는 무작위 패킹으로 구성된 최소 하나의 횡방향 또는 종방향 분리를 가지는 증류 컬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컬럼은 바닥의 온도가 160℃ 내지 210℃에서 유리하게 작동한다. 선택된 압력은 0.5 mbar 내지 5 mbar 범위이다. 컬럼은 0.05 내지 0.5,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4 환류 비가 생성되도록 작동된다. 분별되는 혼합물은 바람직하게는 컬럼의 상반부로 공급된다.
트리에탄올아민(TEA)을 효과적으로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제 1 증류 단계에서 저-비점 분획은 컬럼의 꼭대기에서 제거되고 고-비점 분획은 컬럼의 바닥에서 제거되며 이 분획들은 배출된다. 98.5 중량% 초과의 트리에탄올아민 및 0.2 중량% 미만의 디에탄올아민을 포함하는 남아있는 중간-비점 분획은 제 2 단계에서 증류된다.
혼합물의 열에의 민감성 때문에, 낮은 벽 온도 및 적은 액체 용량을 가지는 증발기를 사용하는 컬럼을 작동하는 것이 유리하다. 전반적으로, 강하막 증발기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유용하다는 것이 알려져 있었다. 이 경우, 컬럼의 바닥 및 증발기의 바닥은 컬럼의 바닥의 고-비점 분획의 잔류 시간이 1분 내지 60분이 되도록 구성된다. 이 잔류 시간에서, 중간-비점 분획의 분리와 바람직하지 않은 부산물 형성의 회피의 최적의 절충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혼합물의 증류는 두개의 연결된 증류 컬럼에서 수행된다(도 1 참조). 이 때, 분별되어야 하는 조 TEA 혼합물은 일반적으로 제 1 컬럼 (1)의 상부로 공급된다. 이 컬럼의 꼭대기에서, 저-비점 분획이 제거되고 에탄올아민 워크-업으로 재순환된다. 컬럼 (1)의 바닥에서, 고-비점 성분을 필요하다면 배출한다. 제 1 증류 단계에서 수득된 중간-비점 분획은 컬럼 (1)의 측면 배출구로 제거되고, 제 2 증류 단계의 끝부분, 즉 컬럼 (8)로 공급되어, 증류된다. 컬럼 (8)은 또한 단, 분리 벽, 규칙적 패킹 또는 무작위 패킹의 형태로 최소 하나의 횡방향 또는 종방향 분리를 제공하는 것이 유리하다. 컬럼 (8)에서 수득된 고 비등물은 컬럼 (1)의 중간 부분으로 재순환된다. 제 2 칼럼 (8)의 꼭대기에서, 순수한 TEA가 수득된다. 컬럼 (8)의 환류 비는 0.2 내지 0.7이다. 제 1 컬럼 및 제 2 컬럼은 바람직하게는 거의 동일한 온도 프로파일을 사용하여 작동된다.
특히 유리한 방법 변형으로, 혼합물의 증류는 분리 벽 컬럼에서 수행된다. 분리 벽 컬럼은 원칙적으로 두개의 열적으로 연결된 증류 컬럼의 단순화된 형태이다. 이것은 공급점 위 및 아래로 연장되고 컬럼을 유입구 구획 및 배출구 구획으로 분리하는 수직 분리 벽을 일반적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분리 벽 컬럼은 무작위 또는 규칙적 패킹을 포함하는 패킹된 컬럼 또는 단 컬럼으로 구성될 수 있다. 혼합물은 분리 벽 (13)의 중간 부분에서 컬럼 (12) 내로 도입된다(도 2). 제 1 증류 단계는 컬럼의 유입구 구획 (14)에서 수행되고 저-비점 분획이 컬럼의 꼭대기에서 제거되고 고-비점 분획이 컬럼의 바닥에서 제거된 후 남아있는 중간-비점 분획이 컬럼의 배출구 구획 (15)에서 증류됨과 동시에, 순수한 트리에탄올아민(TEA)은 분리 벽 중간 부분의 측면 배출구 (20)을 통해 제거되고 마찬가지로 제 2 증류 단계에서 형성된 고 비등물은 컬럼의 바닥에서 배출된다.
본 발명의 방법은 99.4% 초과의 순도 및 30 이하의 APHA 색 지수를 가지는 트리에탄올아민(TEA)를 얻는다.
EP 제4015호에서 기재한 바와 같이, 에틸렌 옥사이드 및 암모니아로부터 에탄올아민이 합성되기 전 또는 합성되는 동안 또는 증류에 의해 생성된 에탄올아민 혼합물의 워크-업 동안 아인산 또는 차아인산 또는 이들의 유도체의 효과적인 양이 첨가된다면, 20 이하의 색 지수 및 높은 색 안정성을 가지는 특히 양호한 색 품질의 TEA가 수득된다. 첨가는 바람직하게는 TEA의 최종 증류 직전에 행한다. 첨가물이 에틸렌 옥사이드와 암모니아의 반응 후 생성된 에탄올아민의 증류시에 첨가된다면, 첨가된 양은 에탄올아민의 합을 기준으로, 0.005 내지 2 중량%이다.
발명은 실시예 및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면에서,
도 1은,
스트리핑 구획 (2) 및
농축 구획 (3),
강하막 증발기 (4),
컬럼 내부 공급선 (5),
위쪽 배출구 (6),
바닥 배출구 (7)
를 포함하는 제 1 컬럼 (1) 및
제 1 연결 선 (9)및
제 2 연결 선 (10)을 통해 제 1 컬럼과 연결되고
(11) 순수한 TEA를 제거하는 위쪽 배출구
를 포함하는 제 2 컬럼 (8)
을 포함하는 설비를 도식적으로 보여주고
도 2는
유입구 구획 (14) 및
배출구 구획 (15)
를 형성하는 중앙 분리 벽 (13) ,
강하막 증발기 (16),
컬럼 내부 공급선 (17),
위쪽 배출구 (18),
바닥 배출구 (19),
순수한 TEA를 제거하기 위한 측면 배출구 (20) 및
DEA가 풍부한 저-비점 스트림을 제거하기 위한 측면 배출구 (21)
이 제공된 분리 벽 컬럼 (12)
을 보여준다.
실시예 1
76.4%의 TEA, 22.4%의 DEA, 1.1%의 에탄올아민 에테르, 0.02%의 물 및 0.1%의 아인산을 포함하는 340 kg/h의 공급 혼합물을 제 1 컬럼 (1)의 지점(5)로 180℃ 의 유입구 온도에서 액체 상태로 공급한다. 컬럼은 최고 2 mbar 압력으로 작동한다. 컬럼의 바닥 배출구 (7)에서, 93% TEA 및 6.9% 에탄올아민 에테르의 50kg/h의 혼합물을 190℃ 온도에서 배출한다. 컬럼 바닥의 액체 잔류 시간은 약 45분이다. 컬럼의 위쪽 배출구 (6)에서 67%의 DEA, 32.4%의 TEA 및 0.4%의 에탄올아민 에테르의 120 kg/h의 혼합물은 배출되어 출발 혼합물로 다시 공급된다. 스트림의 온도는 99℃이고, 환류 비는 0.2이다. 240 kg/h의 TEA가 풍부한 스트림은 제 1 연결 선(9)를 통해 기체 상태로 제거되고 제 2 컬럼 (8)로 공급된다.
메쉬 패킹이 장착된 컬럼 (8)은 최고 3.5 mbar 압력으로 작동한다. 컬럼 내로 흐르는 공급 혼합물은 183℃이다. 컬럼의 환류 비는 0.4이다. 제 2 연결 선 (10)을 통해 제거된 70 kg/h의 스트림은 제 1 컬럼 (1)로 되돌아온다. 스트림은 179℃의 온도를 가지고 98.9%의 TEA, 0.4%의 DEA 및 0.7%의 에탄올아민 에테르를 포함한다. 상기 컬럼의 꼭대기 (11)에서, 99.6%의 순도를 가지는 170 kg/h의 TEA는 171℃ 온도에서 수득된다. 이 생성물의 색 지수는 2 APHA이다.
실시예 2
1800 kg의 TEA, 490 kg의 DEA, 20 kg의 에탄올아민 에테르, 500 ppm의 물 및 500 ppm의 아인산의 2300 kg/h의 혼합물은 도 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공급 선 (17)을 통하여 분리 벽 컬럼(12)로 공급된다. 컬럼은 최고 3 mbar 압력으로 작동한다. 유입구 온도는 약 100℃이다. 약 2400 kg/h의 DEA가 풍부한 스트림은 위쪽 배출구 (18)을 통하여 제거된다. 제거된 것의 약 800 kg/h은 DEA 워크-업으로 재순환된다. 남아있는 1600 kg/h는 뒤쪽으로 분리 벽 컬럼으로 되돌아가서 반은 유 입구 분획 (14)으로 가고 반은 배출구 분획 (15)으로 간다. 약 450 kg/h의 고 비등물은 컬럼의 바닥에 축적되고 바닥 배출구 (19)를 통해 190℃의 온도에서 배출된다. TEA는 분리 벽 컬럼 (12)의 배출구 분획 (15)에서 농축되고 측면 배출구 (20)을 통해 1050 kh/g의 속도로 액체 상태로 제거된다. 99.5%의 순도를 가지는 TEA가 수득된다. DEA 함량은 0.1%이다.

Claims (4)

  1. 제 1 단계에서 저-비점 분획 및 고-비점 분획은 제거되어 배출되고 제 2 단계에서 99.4 중량% 초과의 트리에탄올아민 및 0.2 중량% 미만의 디에탄올아민을 포함하는 중간-비점 분획이 증류되는, 혼합물을 두 단계로 증류하는 것을 포함하는, 과압 및 승온에서 액상에서의 암모니아와 에틸렌 옥사이드의 반응에 의해 수득된 에탄올아민 에테르 및 물과 함께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및 트리에탄올아민의 혼합물로부터 연속 증류로 트리에탈올아민을 분리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혼합물의 증류가 제 1 컬럼 및 이와 연결된 제 2 컬럼에서 수행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혼합물의 증류가 분리 벽 컬럼에서 수행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혼합물이 분리 벽의 중간 부분에서 컬럼 내로 공급되고 트리에탄올아민이 컬럼으로부터 배출되는 방법.
KR1020067006826A 2003-10-08 2004-10-02 암모니아와 에틸렌 옥사이드의 반응에 의해 수득가능한혼합물로부터 트리에탄올아민 분리 방법 KR1010363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346779.3 2003-10-08
DE10346779A DE10346779A1 (de) 2003-10-08 2003-10-08 Verfahren zur Abtrennung von Triethanolamin aus einem durch die Umsetzung von Ammoniak mit Ethylenoxid erhaltenen Stoffgemisc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0026A true KR20060120026A (ko) 2006-11-24
KR101036382B1 KR101036382B1 (ko) 2011-05-23

Family

ID=34428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6826A KR101036382B1 (ko) 2003-10-08 2004-10-02 암모니아와 에틸렌 옥사이드의 반응에 의해 수득가능한혼합물로부터 트리에탄올아민 분리 방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7279602B2 (ko)
EP (1) EP1675816B1 (ko)
JP (1) JP4471976B2 (ko)
KR (1) KR101036382B1 (ko)
CN (1) CN100364960C (ko)
AT (1) ATE365153T1 (ko)
CA (1) CA2540246C (ko)
DE (2) DE10346779A1 (ko)
ES (1) ES2286669T3 (ko)
MX (1) MXPA06003484A (ko)
MY (1) MY138351A (ko)
TW (1) TWI331989B (ko)
WO (1) WO200503548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139296B (zh) * 2007-09-29 2010-05-26 吴兆立 增设气提拔头段的乙醇胺蒸馏的方法
RU2525306C9 (ru) 2008-09-17 2014-11-20 Басф Се Устройства и способ непрерывного дистилляционного разделения смеси, содержащей один или несколько алканоламинов
JP2012512826A (ja) * 2008-12-19 2012-06-07 ビーエーエスエフ ソシエタス・ヨーロピア 純粋なトリエタノールアミン(teoa)の製造法
WO2013095810A1 (en) 2011-12-22 2013-06-27 Dow Global Technologies Llc Reductive amination of diethanolamine and resulting product mixture
CN103271238B (zh) * 2013-05-10 2014-04-02 中国科学院亚热带农业生态研究所 一种饲料添加剂一乙醇胺的制备方法及应用
EP3126323B1 (en) * 2014-04-04 2021-12-15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Minimizing water content in ethanolamine product streams
CN106164043A (zh) * 2014-04-08 2016-11-23 沙特基础工业全球技术有限公司 最小化乙醇胺产物流股中的水含量
EP3148965A1 (en) 2014-05-27 2017-04-05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Production of tea 85% directly without blending with pure cut of dea 99%
US10308590B2 (en) 2014-05-30 2019-06-04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Quality and color of ethanolamine product streams by reduced temperature at the triethanolamine column
CN114181099A (zh) 2015-12-11 2022-03-15 沙特基础工业全球技术有限公司 烷醇胺组合物中减色的方法和由此制得的组合物
WO2017115256A1 (en) 2015-12-29 2017-07-06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Methods of reducing color in alkanolamine compositions and compositions produced thereby
CN114276255A (zh) * 2021-12-17 2022-04-05 湖北仙粼化工有限公司 一种乙醇胺多段管式反应节能生产系统及生产工艺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68512A (en) * 1931-12-07 1934-07-31 Carbide & Carbon Chem Corp Process for purifying liquids
US3453183A (en) * 1964-12-29 1969-07-01 Nippon Catalytic Chem Ind Method of purifying ethanolamines
US3742059A (en) * 1971-05-24 1973-06-26 Dow Chemical Co Color-stabilized alkanolamines
IT967651B (it) * 1972-09-20 1974-03-11 Sir Soc Italiana Resine Spa Perfezionamenti nei procedimenti per la preparazione di etanolam mine
US4381223A (en) * 1981-09-30 1983-04-26 Union Carbide Corporation Process for the treatment of organic amine compositions
JPS6219558A (ja) * 1985-07-19 1987-01-28 Mitsui Toatsu Chem Inc 安定化高品質トリエタノ−ルアミンの製造方法
US4673762A (en) * 1986-05-27 1987-06-16 Texaco Inc. Decolorizing ethanolamines with alkylene oxides
FR2804109B1 (fr) * 2000-01-24 2002-08-16 Bp Chemicals Snc Procede de fabrication en continu de triethanolamine, et produit obtenu
DE10011942A1 (de) * 2000-03-11 2001-09-13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Alkanolaminen mit verbesserter Farbqualität
TWI303242B (en) * 2003-02-03 2008-11-21 Nippon Catalytic Chem Ind Process for producing high purity trialkanolam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279602B2 (en) 2007-10-09
DE502004004156D1 (de) 2007-08-02
TW200523233A (en) 2005-07-16
KR101036382B1 (ko) 2011-05-23
JP4471976B2 (ja) 2010-06-02
TWI331989B (en) 2010-10-21
CN1863761A (zh) 2006-11-15
CN100364960C (zh) 2008-01-30
CA2540246A1 (en) 2005-04-21
MY138351A (en) 2009-05-29
WO2005035481A3 (de) 2005-06-02
WO2005035481A2 (de) 2005-04-21
JP2007508257A (ja) 2007-04-05
MXPA06003484A (es) 2006-06-08
ATE365153T1 (de) 2007-07-15
EP1675816B1 (de) 2007-06-20
DE10346779A1 (de) 2005-05-12
EP1675816A2 (de) 2006-07-05
US20060293541A1 (en) 2006-12-28
CA2540246C (en) 2011-06-07
ES2286669T3 (es) 2007-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53181B (zh) 製備純三乙醇胺(teoa)之方法
US7164044B2 (en) Process for producing high purity trialkanolamine
KR101036382B1 (ko) 암모니아와 에틸렌 옥사이드의 반응에 의해 수득가능한혼합물로부터 트리에탄올아민 분리 방법
JP4294875B2 (ja) トリエタノールアミンを精製する方法
JP2001294562A (ja) 改良された色質を有するアルカノールアミンの製法
JP2004238290A (ja) 色相の優れた高純度トリエタノールアミンの製造方法
US20070270615A1 (en) Method for Producing Triethanolamine
EP0477593B1 (en) Purification and decolorization of off-color alkyl alkanolamines
US8734617B2 (en) Process for preparing N,N-dimethylaminoethoxyethanol
US5208377A (en) Purification and decolorization of off-color alkyl alkanolamines
US5424482A (en) Process for preparing color-stable tertiary butyldiethanolamine
KR101905257B1 (ko) 트리에탄올아민의 착색 방지를 위한 보관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