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8831A -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8831A
KR20060118831A KR1020050041216A KR20050041216A KR20060118831A KR 20060118831 A KR20060118831 A KR 20060118831A KR 1020050041216 A KR1020050041216 A KR 1020050041216A KR 20050041216 A KR20050041216 A KR 20050041216A KR 20060118831 A KR20060118831 A KR 200601188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alignment layer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driving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1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연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1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18831A/ko
Publication of KR20060118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88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9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상부기판과 하부기판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조를 갖는 액정표시장치가 개시된다. 액정표시장치는 제1 배향막이 형성된 제1 기판, 제2 배향막이 형성된 제2 기판, 제1 기판과 제2 기판을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배향막은 모따기된 형상의 모서리를 갖는다. 따라서, 배향막의 모서리가 모따기된 형상을 가지므로, 배향막과 결합부재의 들뜸이 발생하는 코너영역에서 배향막과 실런트가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아 제1 기판과 제2 기판간의 결합력이 향상된다.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액정표시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배향막을 형성하기 위한 배향막 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배향막의 다른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표시패널 200 : 게이트 구동 회로부
300 : 데이터 구동 회로부 500 : 어레이 기판
550 : 제1 배향막 600 : 컬러필터 기판
650 : 제2 배향막 700 : 액정층
800 : 실런트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기판과 하부기판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조를 갖는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는 TFT 기판, 상기 TFT 기판에 대향하는 컬러필터 기판, 그리고 양 기판 사이에 개재되어 전기적인 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광의 투과 여부를 결정하는 액정을 갖는 액정표시패널을 구비한다. 또한, 액정표시장치는 상기 액정표시패널의 하부에 구성되어 상기 액정표시패널에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상기 TFT 기판 또는 상기 컬러필터 기판 중 어느 하나의 가장 자리 영역에 형성된 실라인(Seal Line)에 의해 상기 TFT 기판과 상기 컬러필터 기판은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실라인은 상기 TFT 기판 또는 컬러필터 기판의 중앙영역에 형성된 배향막에서 소정의 이격거리를 가지고서, 상기 배향막을 외곽에서 둘러싸도록 실런트(Sealant)가 도포되어 형성된다.
그러나, 최근들어 액정표시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회로가 패널상에 직접 형성되는 구조에서는 상기 구동회로가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배향막 상에 실라인이 일부 오버랩되는 형상을 가지는 경우도 있다.
여기서, 상기 실라인이 상기 배향막 상에 오버랩되는 경우, 상기 실라인과 상기 배향막과의 접착력이 약하여 상기 실라인이 들뜨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상기 TFT 기판과 상기 컬러필터 기판이 견고하게 결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라인과 배향막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조를 갖는 액정표시장치를 제 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제1 배향막이 형성된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에 대향하고, 제2 배향막이 형성된 제2 기판, 상기 제1 및 제2 기판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을 결합시키는 실런트 및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또는 제2 배향막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따기된 형상의 모서리를 갖는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에 따르면, 배향막의 모서리가 모따기된 형상을 가지므로, 배향막과 결합부재의 들뜸이 발생하는 코너영역에서 배향막과 실런트가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아 제1 기판과 제2 기판간의 결합력이 향상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액정표시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제1 및 제2 구동신호에 응답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표시패널(100), 액정표시패널(100)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및 제2 구동신호를 액정표시패널(100)로 각각 출력하는 게이트 구동 회로부(200) 및 데이터 구동 회로부(30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표시패널(100) 하부에 구성되어, 액정표시패널(100)에 광을 제공하 는 광 발생장치(4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액정표시패널(100)은 어레이 기판(500), 어레이 기판(500)과 마주하는 컬러필터 기판(600), 어레이 기판(500)과 컬러필터 기판(600)과의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700) 및 어레이 기판(500)과 컬러필터 기판(600)을 결합시키는 실런트(800)로 이루어진다.
또한, 액정표시패널(100)은 상기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영역(DA), 표시영역(DA)을 감싸는 실라인 영역(SA), 실라인 영역(SA)의 외측에 구비된 제1 주변영역(PA1) 및 제1 주변영역(PA1)에 수직한 제2 주변영역(PA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주변영역(PA1)은 게이트 구동 회로부(200)에 인접한 영역이고, 제2 주변영역(PA2)은 데이터 구동 회로부(300)가 형성된 영역이다. 이때, 제1 및 제2 주변영역(PA1,PA2)은 어레이 기판(500)이 컬러필터 기판(600) 보다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 영역이다.
상기 표시영역(DA)에 대응하여 어레이 기판(500)의 제1 기판(510) 상에는 다수의 박막 트랜지스터(미도시)가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층(520), 박막 트랜지스터층(520) 상에 형성된 유기 절연막(530), 박막 트랜지스터층(5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유기 절연막(530) 상에 형성된 화소전극(540) 및 화소전극(540) 상에 형성된 제1 배향막(550)을 포함한다.
또한, 표시영역(DA)에 대응하는 어레이 기판(500)의 제1 기판(510) 상에는 복수의 게이트 라인(미도시)과 복수의 데이터 라인(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게이트 라인과 상기 복수의 데이터 라인은 서로 절연되어 교차한다.
상기 제1 주변영역(PA1)에 인접하는 실라인 영역(SA)의 제1 기판(510) 상에는 게이트 구동 회로부(200)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와 동일한 공정을 통해 동일한 물질로 형성된다. 상기 게이트 구동 회로부(200)는 표시영역(DA)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게이트 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게이트 구동 회로부(200)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1 구동신호는 상기 복수의 게이트 라인으로 인가된다. 이때, 게이트 구동 회로부(200)는 실런트(800)에 의해 완전하게 커버됨에 따라 부식이 방지된다.
또한, 제2 주변영역(PA2)에 대응하는 제1 기판(510) 상에는 칩 형태의 데이터 구동 회로부(300)가 실장된다. 상기 데이터 구동 회로부(300)는 표시영역(DA)에 형성된 복수의 데이터 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데이터 구동 회로부(300)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3 구동신호는 상기 복수의 데이터 라인으로 인가된다.
상기 실라인 영역(SA)에는 어레이 기판(500)과 컬러필터 기판(600)을 결합시키는 실런트(800)가 형성된다. 상기 실런트(800)는 광 경화성 물질을 포함하고, 어레이 기판(500)과 컬러필터 기판(600)과의 사이에 개재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제공된 광을 입력받아 견고하게 경화되어 어레이 기판(500)과 컬러필터 기판(600)을 결합시킨다.
한편, 컬러필터 기판(600)은 제2 기판(610) 상의 표시영역(DA)에 형성된 컬러필터(620), 컬러필터(620) 상에 형성된 평탄화막(630), 평탄화막(630) 상에 형성된 공통전극(640) 및 공통전극(640) 상에 형성된 제2 배향막(650)을 포함한다.
상기 컬러필터(620)는 상기 광에 의해 소정의 색으로 발현되는 R(Red), G(Green), B(Blue) 색화소들로 이루어진다.
상기 컬러필터 기판(600)은 컬러필터(650)의 R,G,B 색화소들을 외곽에서 둘러싸는 블랙 매트릭스(66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블랙 매트릭스(660)는 R,G,B 색화소들로부터 누설되는 광을 차단하기 위하여 R,G,B 색화소들 사이에서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평탄화막(630)은 컬러필터(620)의 R,G,B 색화소들과 블랙 매트릭스(660)와의 사이에 형성된 단차를 제거하기 위하여 컬러필터(620) 및 블랙 매트릭스(660) 상에 일정두께로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어레이 기판(500)과 컬러필터 기판(600)은 실라인 영역(SA)에 형성되는 실런트(800)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어레이 기판(500) 상에 형성된 제1 배향막(550) 및 컬러필터 기판(600) 상에 형성된 제2 배향막(650)은 데이터 구동 회로부(300)가 형성된 제2 주변영역(PA2)에 인접한 제1 모서리(555a) 및 제2 모서리(555b)가 모따기된 형상을 갖는다. 또한, 제1 및 제2 배향막(550,650)은 소정의 인쇄방식에 의해 표시영역(DA) 및 실라인 영역(SA)에 일부 오버랩되도록 형성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배향막을 형성하기 위한 배향막 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배향막 형성장치는 수지판(910)이 장착된 배향 롤러(920)를 포함한다. 상기 수지판(910) 상에는 배향막 형성물질(550a)이 소정 두께로 도포된다. 이때, 상기 배향막 형성물질은 폴리이미드(Polyimide) 또는 폴리머(Polymer) 등의 수지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수지판(910)이 장착된 배향 롤러(92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제1 기판(510)이 위치하는 이송장치(930)를 배향 롤러(920)의 접선 방향을 이송시킨다. 이로 인해, 수지판(910)과 제1 기판(510)이 맞닿으면서, 수지판(910)에 도포된 배향막 형성물질(550a)이 제1 기판(510)에 전사되면서, 제1 기판(510) 상에 제1 배향막(550)이 형성된다.
상기에서는 제1 기판(510) 상에 제1 배향막(550)이 형성되는 과정을 예로 들었으나, 제2 배향막(650)도 이와 동일한 과정을 통해 형성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의 과정에서 수지판(910)을 배향 롤러(920)에 장착할 때, 복수의 데이터 라인(DL)에 평행한 방향으로 수지판(910)이 연신되어, 제1 및 제2 배향막(550,650)은 제2 주변영역(PA2)에 인접한 실런트(800)에 일부가 오버랩될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배향막(550,650)은 표시영역(DA) 뿐만 아니라 제1 주변영역(PA1)에 인접한 실런트(800)와 일부가 오버랩된다. 또한, 제1 및 제2 배향막(550,650)은 게이트 구동 회로부(200)를 커버하기 위하여 게이트 구동 회로부(200)가 형성된 영역의 실런트(800)와 오버랩된다.
이처럼, 제1 및 제2 배향막(550,650)과 실런트(800)가 오버랩되는 경우, 데이터 구동 회로부(300)가 형성된 액정표시패널(100)의 좌측 상단영역(A) 및 우측 상단영역(B)에서 실런트(800)가 들뜨는 현상이 발생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제1 및 제2 배향막(550,650)은 액정표시패널(100)의 좌측 상단영역(A) 및 우측 상단영역(B)에 대응하는 제1 및 제2 모서리(555a,555b)가 모따기된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액정표시패널(100)의 좌측 상단영역(A) 및 우측 상단영역(B)에서 제1 및 제2 배향막(550,650)과 실런트(800)가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으므로, 액정표시패널(100)의 상하판 결합력이 향상된다.
상기에서는 제1 및 제2 배향막(550,650)이 액정표시패널(100)의 상단에 대응하는 제1 및 제2 모서리(555a,555b)가 모따기된 경우를 예로 들었으나, 이 외의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배향막의 다른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향막(1000)은 액정표시패널(100;도 2 참조)의 상단에 대응하는 제1 및 제2 모서리(1100,1200)가 모따기된 형상을 갖는다.
또한, 배향막(1000)은 액정표시패널(100)의 하단에 대응하는 제3 및 제4 모서리(1300,1400)도 모따기된 형상을 갖는다. 이로 인해, 배향막(1000)과 실런트(800;도 2 참조)와 접촉면적을 더 줄일 수 있어, 어레이 기판(500)과 컬러필터 기판(600)과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모서리가 모따기된 형상을 갖는 제1 및 제2 배향막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배향막과 실런트의 오버랩되는 영역 중 들뜸이 발생하는 액정표시패널의 코너 영역에서 배향막과 실런트가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실런트의 들뜸이 발생하는 액정표시패널의 코너 영역에서 배향막과 실런트가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아, 어레이 기판과 컬러필터 기판간의 결합력이 향상된다. 이로 인해, 액정표시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제1 배향막이 형성된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에 대향하고, 제2 배향막이 형성된 제2 기판;
    상기 제1 및 제2 기판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을 결합시키는 실런트; 및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또는 제2 배향막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따기된 형상의 모서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런트의 일부분은 상기 제1 또는 제2 배향막의 모따기된 영역에서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을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3. 제1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은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영역에 형성되는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실런트와 결합하는 제1 영역에 상기 스위칭 소자를 이루는 물질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되는 제1 구동 회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제1 구동 회로부는 상기 제1 배향막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 기판은 상기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제1 구동 회로부와 상기 제1 배향막 사이에 형성되는 절연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은 상기 제1 영역에 수직한 제2 영역에 형성된 제2 구동 회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또는 제2 배향막은 상기 제2 구동 회로부에 인접한 모서리가 모따기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0050041216A 2005-05-17 2005-05-17 액정표시장치 KR200601188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1216A KR20060118831A (ko) 2005-05-17 2005-05-17 액정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1216A KR20060118831A (ko) 2005-05-17 2005-05-17 액정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8831A true KR20060118831A (ko) 2006-11-24

Family

ID=37705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1216A KR20060118831A (ko) 2005-05-17 2005-05-17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1883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63889A (zh) * 2022-03-11 2022-05-31 业成科技(成都)有限公司 显示模组及其制备方法和电子设备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63889A (zh) * 2022-03-11 2022-05-31 业成科技(成都)有限公司 显示模组及其制备方法和电子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25601B2 (en) Upper substr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690677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142997B1 (ko) 색필터 표시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US7898635B2 (en) Display panel with a conductive spacer that connects a common voltage line and a common electrode
US8228479B2 (en) Liquid crystal display with spacers arranged corresponding to metal electrode pedestals
JP5259163B2 (ja) 半透過型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6982779B2 (e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JP2008176237A (ja) 液晶表示装置
US20090015779A1 (e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20110222015A1 (en) Liquid crystal display
KR20070003165A (ko)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7006178B2 (en) One drop fill LCD panel having light-shielding pattern with first and second metal patterns
WO2023231652A1 (zh) 显示基板和显示装置
JP2007240811A (ja) 電気光学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子機器
JP2009128473A (ja) 基板装置
JP2003084292A (ja) 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US7619709B2 (e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US20120229750A1 (en) Display device
KR20060118831A (ko) 액정표시장치
JP2007248832A (ja) 液晶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子機器
JP2010175727A (ja) 液晶表示装置
KR101232337B1 (ko) 액정표시장치
JP2007072016A (ja) 液晶表示装置
KR100816302B1 (ko) 액정표시장치
JP2010072110A (ja) 液晶表示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