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8799A - 휴대 단말기용 전지 팩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용 전지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8799A
KR20060118799A KR1020050041152A KR20050041152A KR20060118799A KR 20060118799 A KR20060118799 A KR 20060118799A KR 1020050041152 A KR1020050041152 A KR 1020050041152A KR 20050041152 A KR20050041152 A KR 20050041152A KR 20060118799 A KR20060118799 A KR 200601187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portable terminal
auxiliary
auxiliary battery
prim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1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6633B1 (ko
Inventor
진병욱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11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6633B1/ko
Publication of KR20060118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87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6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66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전지 팩은 휴대 단말기에 안정적으로 전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휴대 단말기와 결합되어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기를 공급하는 기본 전지, 및 상기 휴대 단말기와 상기 기본 전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보조 전지를 포함한다.
휴대 단말기, 보조 전지, 충전부, 제어부, 힌지 결합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용 전지 팩{BATTERY PACK FOR PORTABLE TERMINAL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전지 팩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전지 팩이 휴대 단말기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조 전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전지 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전지 팩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전지 팩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용 전지 팩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다수의 전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휴대 단말기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용 전지 팩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지의 구조를 개선하여 단말기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여 받침대로 사용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전지에 관한 것이다.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폰(personal digital assistants phone), 스마트폰(smart phone), 이동통신 단말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 휴대 단말기는 기존의 고유의 기능에서 벗어나 각종 멀티미디어의 재생, 게임, 사진촬영 등 다양한 기능을 포함하는 추세이다. 따라서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멀티미디어의 재생 등을 위하여 장시간 구동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지원하는 소형의 대용량 전지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리튬이온전지는 멀티미디어, 게임 등을 연속적으로 장시간 동안 구동하기에는 용량이 부족하며, 이를 위하여 전지의 크기를 증가시킨다면 휴대하기에 불편하여 휴대 단말기로서의 원래의 장점을 제대로 실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별도의 보조 전지를 가지고 있더라도, 전지를 교체하는 동안 휴대 단말기의 구동을 중단하고 전원을 새로이 켜야하는 불편이 있어서, 영화 등을 시청하기에 불편하며, 특히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온라인 게임을 함에 있어서는 상당한 불편이 따른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 등을 이용하여 영화나 TV 등을 시청할 경우, 오랜 시간동안 휴대 단말기를 손으로 들고 있어야하는 불편이 있으며, 바닥에 놓았을 경우 시청하기에 용이한 기울기를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를 위하여 별도의 받침대에 휴대 단말기를 설치하면 용이한 화면 기울기를 얻을 수 있지만 받침대를 항상 휴대 하야여 하는 불편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단말기에 전기의 공급이 중단되지 않도록 기본 전지와 기본전지 또는 휴대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보조 전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용 전지 팩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지의 구조를 개선하여 받침대로서 사용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용 전지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전지 팩은 기본 전지와 이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보조 전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휴대 단말기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폰(personal digital assistants phone), 스마트폰(smart phone), 이동통신 단말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휴대 가능한 정보통신기기를 뜻한다.
상기 전지 팩은 휴대 단말기에 전기를 공급하는 기본 전지, 및 상기 기본전지와 휴대 단말기에 선택적으로 결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는 보조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본 전지는 하나 이상의 홈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 전지는 상기 홈에 끼워지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홈은 기본 전지의 양측단에서 길게 이어져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보조 전지의 양측단에서 길게 이어져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돌출부가 상기 홈에 상하방향으로 끼워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의 본체에도 상기 기본 전지에 형성된 홈의 구조와 동일한 구조의 홈이 형성되어 상기 보조 전지가 기본 전지에 직접 끼워질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기본 전지와 보조 전지는 전면과 후면에 각각 전극단자가 설치되고, 상기 기본 전지의 후면 전극단자와 상기 보조 전지의 전면 전극단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상기 보조 전지는 기본 전지를 통하여 휴대 단말기로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전지는 배면에 볼록부가 형성되고, 상기 볼록부의 하단면은 상기 기본 전지의 하단면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경사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조 전지가 휴대 단말기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경사면을 밑면으로 하여 휴대 단말기를 위치시키면 휴대 단말기가 소정 각도로 기울어져 사용자가 화면을 용이하게 시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본 전지 또는 보조 전지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대하여 회동 가능한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 전지는 상기 기본 전지 또는 휴대 단말기와 결합되는 경사부재, 및 상기 경사부재와 힌지결합되는 베이스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 전지는 상기 경사부재와 상기 경사부재의 일단에 설치되는 축부재를 포함할 수 있는 상기 경사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는 상기 축부재를 매개로 연결된다. 이러한 구조로 상기 베이스부재는 휴대 단말기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고 휴대 단말기를 원하는 경사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전지 팩은 휴대 단말기에 기본 전지와 보조 전지가 모두 설치된 경우, 보조 전지가 우선적으로 방전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기본 전지에 보조 전지가 결합된 것을 인지하면 기본 전지의 방전을 중단시켜서 보조 전지로가 휴대 단말기로 전기를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기본 전지에 보조 전지를 설치하여 휴대 단말기를 구동하여도 기본 전지는 방전되지 않으므로, 일정한 장소에서 기본 전지와 보조 전지를 모두 장착하여 장시간 휴대 단말기를 구동하다가 보조 전지를 제거한 후 기본 전지만을 장착한 채 휴대 단말기를 가지고 이동하여도 충분한 전원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지 팩은 기본 전지를 충전시키는 충전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실외에서 기본 전지에 보조 전지를 장착하여 구동하는 과정에서 기본 전지는 자동으로 충전되고, 이동할 때는 휴대하기 간편하게 충전된 기본 전지만을 장착하여 휴대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전지 팩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전지 팩이 휴대 단말기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한 도면을 참조하여 휴대 단말기용 전지 팩(100)의 구조를 살펴보면, 상기 전지 팩(100)은 휴대 단말기(10)에 직접 설치되는 기본 전지(20), 및 상기 기본 전지(20)와 휴대 단말기에 선택적으로 결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는 보조 전지(30) 를 포함한다.
상기 기본 전지(20)는 휴대 단말기(10)와 결합되는 돌출부(23)와 수납부(29)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휴대 단말기(10)는 상기 돌출부(23)를 삽입하는 홈과 상기 수납부에 결합되는 착탈장치(15)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로 상기 기본 전지(20)의 돌출부(23)가 상기 휴대 단말기(10)의 홈에 끼워지고, 상기 수납부(29)와 착탈장치(15)가 결합되어 상기 기본 전지(20)는 휴대 단말기(10)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기본 전지(20)는 상기 보조 전지(30)와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 홈(25)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전지(30)는 상기 홈(25)에 끼워지는 돌출부(33)를 포함한다. 상기 홈(25)은 기본 전지의 양측단에 형성되며, 상하방향으로 길게 이어진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돌출부(33)는 상기 홈(25)에 끼워질 수 있도록 보조 전지(30)의 양측단에서 돌출 형성되며, 상하방향으로 길게 이어진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돌출부(33)가 상기 홈(25)에 삽입되어 기본 전지(20)와 보조 전지(30)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10)에 형성된 홈 역시 상기 기본 전지(20)에 형성된 홈(25)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본 전지(20)에 형성된 돌출부(23)와 보조 전지에 형성된 돌출부(33)도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보조 전지(30)에도 상기 기본 전지(20)와 동일한 구조의 수납부(39)가 형성되어, 휴대 단말기(10)의 착탈장치(15)와 결합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보조 전지(30)는 상기 기본 전지(20)와 결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휴대 단말기(10) 에 직접 결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기본 전지(20)와 보조 전지(30)의 결합구조 또는 기본 전지(20)와 휴대 단말기(10)의 결합구조는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보조 전지(30)가 기본 전지(20) 및 휴대 단말기(10)와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면, 종래에 널리 알려진 전지와 휴대 단말기의 결합구조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진정한 정신에 포함된다고 볼 것이다.
그리고 상기 기본 전지(20)는 전면과 후면에 전극단자(26)가 설치되고, 상기 보조 전지(30)도 전면과 후면에 각각 전극단자(36)가 설치된다. 또한, 기본 전지(20)와 상기 보조 전지(30)가 결합될 경우, 상기 기본 전지(20)의 후면 전극단자(26)와 상기 보조 전지(30)의 전면 전극단자(36)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보조 전지(30)는 기본 전지(20)를 통하여 휴대 단말기(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휴대 단말기(10)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지 팩(100)은 기본 전지(20)와 결합될 수 있는 별도의 보조 전지(30)를 구비하여 상기 보조 전지(30)로부터 휴대 단말기(10)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의 구동 중에 휴대 단말기의 전지를 교체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도 휴대 단말기(10)의 전원을 끄지 않고 기본 전지(20)에 보조 전지(30)를 설치하여 전기를 공급받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조 전지(3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보조 전지(20)는 기본 전지(20) 또는 휴대 단말기(10)와 결합되는 경사부재(31)와, 상기 경사부재(31)의 일단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휴대 단말기(1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베이스부재(32)를 포함한다.
상기 경사부재(31)는 돌출부(33)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33)는 상기 기본 전지(20)뿐만 아니라 휴대 단말기(10)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경사부재(31)의 일단에는 상기 경사부재(31)와 상기 베이스부재(32)를 연결하는 축부재(37)가 설치되며, 상기 축부재(37)는 상기 경사부재(31)와 베이스부재(32)의 단부에 끼워진다.
또한, 상기 축부재(37)는 상기 휴대 단말기(10)가 지면에 대하여 일정한 경사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구조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종래에 널리 알려진 힌지결합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상기 베이스부재(32)와 상기 경사부재(31)는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도록 위치되고, 상기 경사부재(31)가 휴대 단말기(10)와 결합되면 상기 휴대 단말기(10)와 상기 베이스부재(32)가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재(32)를 바닥에 설치하여 받침대로 사용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10)는 바닥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를 유지할 수 있게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전지 팩(200)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전지 팩(200)은 휴대 단말기(10)에 직접 설치되는 기본 전지(20)와 상기 기본 전지(20)에 설치되는 보조 전지(40)를 포함한 다. 그리고 상기 보조 전지(40)는 배면에 볼록부(45)가 형성되고, 상기 볼록부(45)의 하단면은 상기 기본 전지의 하단면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경사면(45a)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보조 전지(30)가 휴대 단말기(10) 또는 기본 전지(20)와 결합되고 상기 경사면(45a)을 밑면으로 하여 휴대 단말기(10)를 위치시키면, 휴대 단말기(10)는 소정 각도로 기울어져 사용자가 시청하기에 유리한 화면의 각도를 확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전지 팩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상기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전지 팩은 휴대 단말기(10)에 직접 설치되는 기본 전지(20)와 상기 기본 전지(20)에 설치되는 보조 전지(3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보조 전지(30)는 전기를 공급하는 보조 전지 셀(35)과 상기 보조 전지 셀(35)을 제어하는 보조 전지 제어부(38)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기본 전지(20)는 전기를 공급하는 기본 전지 셀(21)과 상기 보조 전지(30)의 설치여부를 인식하는 감지부(24), 및 상기 기본 전지 셀(21)을 제어하는 기본 전지 제어부(22)를 포함한다.
상기 기본 전지(20)에 설치된 감지부(24)가 보조 전지(30)에서 입력되는 전류를 감지하면 상기 감지부(24)는 기본 전지 제어부(22)로 보조 전지(30)가 설치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기본 전지 제어부(22)는 기본 전지 셀(21)이 방전하는 것을 차단한다. 다만 이 경우에도 기본 전지(20)를 통하여 보조 전지(30)는 휴대 단말기(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에 따라 보조 전지(30)로부터 휴대 단말기(10)로 전류가 흐르고, 보조 전지(30)만 방전하게 된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10)에 기본 전지(20)와 보조 전지(30)가 모두 설치된 상태에서는 보조 전지(30)만이 방전하게되고, 휴대 단말기(10)를 장시간 사용하여도 기본전지(20)는 일정한 전기 용량이 유지되므로 휴대 단말기(10)의 사용을 종료한 후 기본 전지(10)만을 설치하여 휴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전지 팩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상기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지 팩은 휴대 단말기(10)에 직접 설치되는 기본 전지(20)와 상기 기본 전지(20)에 설치되는 보조 전지(3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보조 전지(30)는 전기를 공급하는 보조 전지 셀(35)과 상기 보조 전지 셀(35)을 제어하는 보조 전지 제어부(36), 및 기본 전지(20)를 충전시키는 충전부(3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기본 전지(20)는 전기를 공급하는 기본 전지 셀(21)과 상기 기본 전지 셀(21)을 제어하는 기본 전지 제어부(22)를 포함한다.
상기 보조 전지(30)가 기본 전지(20)에 장착되면, 상기 보조 전지 제어부(36)가 상기 충전부(34)에 작동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충전부(34)가 작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기본 전지(20)가 충전된다.
따라서 기본 전지(20)에 보조 전지(30)가 설치되어 휴대 단말기(10)가 구동될 때에도 상기 기본 전지(20)는 충전되고, 이동할 때에는 휴대하기 간편하게 충전된 기본 전지(20)만을 장착하여 휴대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본 전지에 별도의 보조 전지를 설치할 수 있어서, 휴대 단말기의 전원을 끄지 않고도 새로운 전원을 확보하여 휴대 단말기를 지속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그리고 보조 전지가 휴대 단말기 또는 기본 전지와 선택적으로 결합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휴대 단말기에 더욱 안정적으로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본 전지 또는 보조 전지가 받침대 역할을 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를 소정의 각도로 위치시킬 수 있어서, 사용자의 시청하기 용이한 화면의 각도를 확보할 수 있다.

Claims (9)

  1. 휴대 단말기와 결합되어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기를 공급하는 기본 전지; 및
    상기 휴대 단말기와 상기 기본 전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보조 전지;
    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용 전지 팩.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전지는 하나 이상의 홈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 전지는 상기 홈에 끼워지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용 전지 팩.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하나 이상의 홈을 포함하고, 상기 기본 전지 및 상기 보조 전지는 상기 홈에 끼워지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용 전지 팩.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전지와 상기 보조 전지는 전면과 후면에 각각 전극단자가 설치되고, 상기 기본 전지의 후면 전극단자와 상기 보조 전지의 전면 전극단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휴대 단말기용 전지 팩.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전지 또는 상기 보조 전지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대하여 회동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휴대 단말기용 전지 팩.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전지는 상기 기본 전지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와 결합되는 경사부재와, 상기 경사부재의 일단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휴대 단말기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베이스부재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용 전지.
  7. 제1 항 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전지는 배면에 볼록부가 형성되고, 상기 볼록부의 밑면은 상기 기본 전지의 하단면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 경사면을 형성하는 휴대 단말기용 전지 팩.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 팩은 상기 보조 전지가 우선적으로 방전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용 전지 팩.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전지는 상기 기본 전지를 충전시키는 충전장치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용 전지 팩.
KR1020050041152A 2005-05-17 2005-05-17 휴대 단말기용 전지 팩 KR1006966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1152A KR100696633B1 (ko) 2005-05-17 2005-05-17 휴대 단말기용 전지 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1152A KR100696633B1 (ko) 2005-05-17 2005-05-17 휴대 단말기용 전지 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8799A true KR20060118799A (ko) 2006-11-24
KR100696633B1 KR100696633B1 (ko) 2007-03-19

Family

ID=37705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1152A KR100696633B1 (ko) 2005-05-17 2005-05-17 휴대 단말기용 전지 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6633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5776A (ja) 1996-08-14 1998-03-06 Saitama Nippon Denki Kk 携帯電話装置
KR100585743B1 (ko) 2003-10-23 2006-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착탈식 덮개를 구비한 휴대폰
KR100582361B1 (ko) * 2003-10-27 2006-05-22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적층형 배터리 및 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6633B1 (ko) 2007-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79759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handheld electronic device with dual battery configuration, and associated method
US20050255895A1 (en) Adaptable charging cradle with speaker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US20120319487A1 (en) Integrated Battery Backup and Charging for Mobile Devices
CA2498080C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handheld electronic device with dual battery configuration, and associated method
CN1351723A (zh) 娱乐系统、电池充电系统、娱乐设备、便携式信息终端以及外部电池充电器
US8055312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2005512355A (ja) 電力充電panアーキテクチャ
CN103855763B (zh) 底座和平板电脑
KR200488549Y1 (ko) 무선충전 보조배터리용 거치대
EP1236335B1 (en) Convertible desk-to-wall support for handheld radiotelephones
US20130210501A1 (en) Battery external connection device for use with mobile phone and flip cover having the device
KR100696633B1 (ko) 휴대 단말기용 전지 팩
KR101162362B1 (ko) 휴대단말기용 태양전지 충전 타입의 배터리 팩 장치
US20060244417A1 (en) Battery
CN215860854U (zh) 一种可拆卸移动电源的手持风扇
KR20140047826A (ko) 무정전 배터리 교체가 가능한 휴대단말기
JPH08204601A (ja) 太陽電池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移動電話機
WO2008007965A1 (en) Battery recharging and supporting device
KR200274609Y1 (ko) 태양전지를 이용한 충전장치가 구비된 핸드폰 배터리
KR101394378B1 (ko) 틸팅형 유무선 겸용 충전기
CN210687515U (zh) 无线充电智能手持装置的置放座
CN220798473U (zh) 一种具有移动wifi及充电宝的多功能音箱
CN218102679U (zh) 一种适用性广的充电装置
CN209948735U (zh) 无线充电器
CN213638092U (zh) 一种蓝牙音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4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