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6936A - 액정상의 치아 미백제 - Google Patents

액정상의 치아 미백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6936A
KR20060116936A KR1020050039552A KR20050039552A KR20060116936A KR 20060116936 A KR20060116936 A KR 20060116936A KR 1020050039552 A KR1020050039552 A KR 1020050039552A KR 20050039552 A KR20050039552 A KR 20050039552A KR 20060116936 A KR20060116936 A KR 200601169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oxide
tooth whitening
whitening agent
weight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9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4935B1 (ko
Inventor
곽상훈
윤세영
김한수
김상년
장석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050039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4935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CA 2601064 priority patent/CA2601064C/en
Priority to PCT/KR2006/000983 priority patent/WO2006098602A1/en
Priority to RU2007138646A priority patent/RU2375040C2/ru
Priority to US11/886,484 priority patent/US20080193392A1/en
Priority to JP2008501818A priority patent/JP4677029B2/ja
Priority to CN2006800087348A priority patent/CN101141945B/zh
Priority to BRPI0611560-8A priority patent/BRPI0611560A2/pt
Priority to EP06716433.5A priority patent/EP1863438B1/en
Priority to MX2007011464A priority patent/MX2007011464A/es
Priority to TW095116366A priority patent/TWI376236B/zh
Publication of KR20060116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6936A/ko
Priority to US13/345,092 priority patent/US20120134936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4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49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4Water-in-oil emulsions, e.g. Water-in-silicone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2Peroxides; Oxygen; Oz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61K8/375Esters of carboxylic acids the alcohol moiety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7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or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Compositions or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g. vinylimidazol, vinylcaprolactame, allylamines (Polyquaternium 6)
    • A61K8/8176Homopolymers of N-vinyl-pyrrolido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6Poly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상 치아 미백제에 관한 것으로, 치아에 도포하여 치아 미백 효과를 얻도록 된 조성물로서,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 폴리올, 과산화물 및 과산화물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액정상 치아 미백제는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를 기본 약제로 하여, 도포 전에는 유동성을 가져 바르기 쉬운 성질을 가지고, 도포된 후에는 타액 등의 수분에 의해 고형화하여 부착, 고정되는 특징을 나타낸다. 또한, 과산화물 안정화제를 첨가하여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폴리올류를 첨가함으로써 온도에 따른 점도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고, 미백성분의 방출 속도 조절이 가능하다.
액정, 치아 미백, 과산화물, 서방성,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

Description

액정상의 치아 미백제{LIQUID-CRYSTAL TYPE TOOTH WHITENER}
본 발명은 액정타입의 치아 미백제에 관한 것으로, 치아에 도포할 때는 액상으로 바르기 쉽고, 구강 타액 등의 수분이 유입되면 제제의 점도가 증가하여 치아에 부착 및 고정될 수 있으며, 치아에 부착된 동안에는 미백 효능을 가진 물질이 치아 표면으로 서서히 방출되어 치아 미백 효과를 발휘하는 제형에 관련된다.
치아는 내측의 상아질과 외측의 에나멜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치아의 색이 누렇게 변색되는 이유는 내인적으로는 음식물 등으로 인하여 이중결합 등의 발색단을 갖는 물질이 치아 외측의 에나멜층에 침착되기 때문이다. 또한, 외인적으로 치석, 연성 침전물이 치아 표면에 부착되어 치아의 변색을 나타내게 된다. 이러한 원인중 외인적인 변색은 칫솔질로 인하여 쉽게 제거될 수 있으나, 내인성 발색은 치약이나 칫솔질로 제거할 수가 없다. 따라서, 치약을 이용한 치아 미백에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개발된 것이 과산화수소수를 이용한 치아 미백이다. 1960년에 미국의 치과의사는 환자의 잇몸 질환을 치료하는 과정에서 과산화수소수가 치아를 희게 한다는 사실을 우연히 발견하여 치아 미백제를 개발하게 되었으며, 이를 계기 로 1980년대에는 가정용 치아 미백 장치가 개발되었다. 이 가정용 치아 미백 장치는 과산화수소나 카바마이드 퍼옥사이드 겔을 트레이(tray)에 담아 사용하는 제품으로, 고농도의 과산물을 사용하여야 하고, 잇몸에 트레이가 닿는 물리적 자극 등 구강내 안전성에 많은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이후, 이러한 치아 미백 장치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저농도의 과산화물을 함유하는 스트립 제형이나, 액체를 직접 치아에 도포하는 액제형 제품이 널리 개발되었다. 이 중에서 액제형 제품은 치아에 바르기 쉬워 사용이 편리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부위에 바를 수 있다는 이점이 있으나, 치아 뿐만 아니라 입술 등 구강내 연조직에 쉽게 달라 붙어 자극을 주고, 타액에 쉽게 희석되므로 치아 내로 과산화수소의 흡수가 어려워져 미백 효과를 나타내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최근에는 이와 같은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제형이 소개되거나 특허로도 출원되어 공개되어 있으며, 국내특허출원 제1999-7011451호 및 제2001-7011679호는 그 대표적인 것이다. 여기에서는 폴리에틸렌 스트립 위에 과산화물이 함유된 젤을 도포한 제제를 제시하고 있는데, 치아에 오랜 시간 동안 과산화물을 접촉시킬 수 있고 치아 미백 스트립을 착용할 때 격렬하지 않는 사회활동도 가능하다는 장점을 제시한다. 이들 제제는 스트립 위에 과산화물이 함유된 젤층을 치아에 부착하여 사용감을 개선시켰으나, 치간, 즉 치아와 치아 사이에 미백 성분이 효율적으로 도달하지 않아 상대적으로 미백 효능이 떨어질 뿐 아니라, 치아에 부착은 가능하지만 타액이 유입되면 혀 또는 입술의 운동으로 스트립이 쉽게 떨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들 제제에서는 스트립 형태가 고정되어 변형이 가능하지 않기 때 문에 원하는 특정 치아에 선택적으로 미백 효과를 얻고자 할 때 효율이 떨어지거나 번거롭다는 단점도 있다.
또한, 대표적인 액상 치아 미백제로서, 콜게이트사(Colgate)사는 미국특허 제6,770,266호에서 폴리에틸렌 옥사이드(Polyethylene oxide)를 이용한 액체형 치아 미백제를 개시하고 있다. 이 제제는 사용하기 편리하고 사용시 이물감이 적다는 특징을 갖는 반면, 수용성 폴리머인 폴리에틸렌 옥사이드를 사용함으로써 치아에 대한 부착력이 낮고 타액에 의해 쉽게 희석되어 치아에 과산화물의 흡수가 충분하지 않아 소비자가 원하는 미백효과를 나타내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피앤지(P&G)사는 미국특허 제6,569,408호에서 유기실리콘(organosiloxane)을 이용한 액체형 치아 미백제를 개발하였다. 이 제제는 사용이 편리하고 치아에 대한 부착력이 좋아 밤새 사용할 수 있으나, 비친수성 폴리머를 사용하여 미백 성분인 과산화물이 치아에 흡수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다.
덴매트(Den-mat)사의 미국특허 제6,555,020호에서는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 acid)을 이용한 액체형 치아미백제를 개발하였다. 그러나, 이 제제 역시 타액에 의해 치아 미백제 겔이 쉽게 희석되어 치아에 대한 부착력이 좋지 않을 뿐 아니라, EDTA나 CDTA 같은 과산화물 안정화제가 첨가되어 치아 표면에서의 미백반응이 지연되어 원하는 치아 미백 효과를 나타내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Singh 등의 미국특허출원 제2003/0152528호에서는 친수성(hydrophilic) 폴리머와 함께, 이 친수성 폴리머와 수소결합을 하는 분자량 1000 달톤 미만의 단량체(oligomer)를 사용하여 치아미백제를 개발하였다. 그러나, 이 제제는 캐스팅이나 압출에 의한 고체상의 제형에는 적합하지만, 액제의 경우 겔 상에서는 분자간의 운동에너지가 강하고 자유도가 증가하므로 분자량이 작은 단량체만을 사용한다면 친수성 폴리머와 강한 수소결합을 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로 인해 제제와 치아와의 선택적인 부착이 불가능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치아 미백 제형에 있어서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치아에 도포하여 치아 미백 효과를 이룰 수 있는 적절한 물성을 갖는 치아 미백 제형을 개발하고자 한 것이다. 즉, 종래의 스트립 형태 및 액상 제제의 단점을 보완하고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의 제제화에 따른 문제를 해결한 제형으로, 구강 내의 원하는 부위에 약제를 쉽게 도포할 수 있으며,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의 상 안정성과 과산화물의 안정성이 향상되도록 한 제형을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치아에 도포하여 치아 미백 효과를 나타내는 조성물로서,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 폴리올, 과산화물, 과산화물 안정화제 및 친수성 용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타입의 치아 미백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치아 미백 효능 물질을 치아 표면에 전달하기 위해 약제를 치아에 도포할 때 쉽게 바를 수 있고, 치아에 도포된 후에는 쉽게 고정되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치아 미백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종래의 치아 미백 제형에 사 용하기 어려운 것으로 알려진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를 액정상으로 제조하여 상 안정성 및 과수 안정성을 향상시킨 제형이다.
즉, 본 발명의 치아 미백제는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를 기본 약제로 사용하는데,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는 식물유에서 유래하는 지방산의 일종으로, 온도와 수분의 함량에 따라 액정을 형성하며, 그 환경에 따라 형태 및 물성을 달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여기에서,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의 결정형은 수분의 비율에 의하여 변화하는데, 수분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순수한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 W/O 이멀젼(역상 미셀), 라멜라(lamellar) 상의 액정, 큐빅상의 액정으로 변화하며, 이후 수분 함량이 더 증가하면 큐빅상의 결정들이 단리되어 약물의 용출을 일으킨다. 이 때, 결정 구조의 변화에 따라 제제의 점도, 부착력 등이 변화하게 된다. 즉, 라멜라 상 또는 W/O 이멀젼(역상 미셀) 상, 역상 육각형(hexagonal) 상에서는 유동성이 있어서 치아의 표면 등에 도포하거나 적용하기 쉬운 형태를 가지나, 온도의 변화나 수분의 함량이 높아짐에 따라 구조가 입방체(cubic) 상으로 변화하면서 고형화되어 유동성이 없어진다. 이러한 변화는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의 글리세롤기에 위치한 1,2-다이올이 액체 결정의 구조를 이루는 데 영향을 주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 계면활성제에서도 같은 현상이 나타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액정의 물성 변화를 제형으로 발전시킨 것이다. 본 발명의 제형에서는 약제가 치아에 부착된 동안 미백 효능을 가진 물질이 치아 표면에 서서히 방출되는데, 타액 등에 의해 흡수가 된 후 점도가 상승하여 미백성분이 치아와 접촉하는 시간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치아 미백제는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를 기본 약제로 하여, 구강 내 조건에 의해 액정의 상 중에서 입방체(cubic) 상으로의 변화를 유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구강에서의 체온과 구강 타액 등의 수분 유입에 의해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 기본 약제가 고형화되고 점도가 증가되어 치아에 도포된 약제가 부착 및 고정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치아에 도포할 때는 유동성이 적절하여 치아에 도포하기 편하도록 하고, 치아에 도포된 후에는 타액의 유입에 의해서 점도가 빨리 상승하여 치아에 고정이 되어 부착이 잘 되도록 한 것으로, 구강 조건에서 쉽게 희석되거나 소실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라 액상 제제를 도포하여 고형화에 의해 치아에 부착되는 제제는,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가 라멜라상에서 큐빅상으로 결정형이 변화하며 구강 내 타액의 양이 증가할수록 큐빅상이 단리되어 과산화수소가 용출된다. 그러므로, 고형화된 제제는 특별히 제거하지 않아도 구강 내 타액에 의하여 소실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타입 치아 미백제에서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는 제제 내에 약 25 내지 90 중량%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고, 제형의 형태를 갖추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85 중량%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의 양이 25 중량% 미만이면 제제상에서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의 상이 큐빅상으로 생성되어 치아에 바르기 힘들며, 과산화수소의 안정성이 저해된다. 반면,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의 양이 전체 중량 대비 90 중량% 보다 많으면 온도에 따라 점도 변화가 심해 제제의 상 안정성에 영향을 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의 올레이트기에 존재하는 이중 결합은 과산화수소와 같은 산화제에 의하여 쉽게 공격받아 분해되어버리므로,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는 과산화물과 배합금기로 알려져 있다(Handbook of Pharmaceutical Excipients, 4th edition, p 262).
일반적으로 과산화물은 카르복시 혹은 에테르, 아미드, 케톤, 설파이드기 등의 비공유 전자쌍을 갖는 고분자와 결합하여 수소결합이나 전기음성도 차에 따른 쌍극자 결합이 생성되어 안정성이 증가된다. 또한, 과산화물은 비공유 전자쌍을 가진 고분자와 수소결합을 이루어 결합체(complex)처럼 행동하므로 고분자의 분자량을 조절하여 매트릭스 내의 원하는 위치에 과산화물을 존재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보통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를 사용한 라멜라 액정 제형에서는 과산화물 안정화제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과산화물의 경시 안정성이 저하되나, 과산화물과 수소결합을 할 수 있는 고분자를 첨가하면 상기한 이유로 안정성이 증진된다. 라멜라 액정 제형은 수분과 접촉시에 겔화시간(gelling time)이 빠르다는 장점을 갖는다.
겔화시간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폴리올을 사용할 수 있다. 이는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에서 글리세릴기의 1,2-다이올이 수분 혹은 분자내 수소결합을 이루어 액정을 이루는데, 결정의 생성 속도를 느리게 하기 위하여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에서 글리세릴기의 1.2-다이올과 경쟁적으로 경합할 수 있는 저분자량의 -OH 기를 갖는 고분자, 보다 바람직하게는 -OH 기를 갖는 폴리올을 첨가하는 것이다. 또한, 폴리올을 첨가하면 어는 점을 강하시키고 굳는 점을 높일 수 있으므로,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의 상품화에 가장 문제를 줄 수 있는 온도에 따른 점도 변화를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즉, 본 발명의 액정 타입의 치아 미백제에서는 액정상 치아 미백제의 물성, 특히 치아 도포 전후의 점도 변화 속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폴리올이 중요하며, 그 함량을 조절함으로써 점도가 변화하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폴리올을 사용할 경우, 바람직하게는 분자량 8000 이하의 폴리올은 그 자체로도 상기 기능이 존재하고 온도가 낮아짐에 따라 분자간의 결정 배열을 방해하므로, 제조 유통 과정중의 온도 변화에 의해 상이 변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폴리올은 액정이 생성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의 1,2-다이올과 분자내 결합하거나, 또는 물과의 결합을 방해하므로,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와 결합하여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의 액정간 결합을 느슨하게 함으로 약물의 방출속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정상 치아미백제에서 사용할 수 있는 폴리올로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스테아릴 알코올, 자일리톨, 솔비톨, 만니톨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폴리프로필렌 글리콜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아 미백제에서 폴리올의 사용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5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 중량%의 범위이다. 그 양이 20 중량% 보다 많으면 폴리올의 -OH 기가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의 액정 형성에 방해 를 하여 본 발명에서 원하는 액정상에서 큐빅상으로 변화하는 효과를 주지 못한다.
또한, 본 발명의 치아 미백제에 있어서 수분 혹은 에탄올과 같은 친수성 용매는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의 여러 가지 상을 결정하는 데 중요하다. 본 발명에서 이용하고자 하는 액정상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수분 함량을 조절해야 용이하게 제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정 타입 치아 미백제에서 용매의 함량은 약 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0 중량%의 범위에 있다. 친수성 용매의 비율이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1 중량% 미만이면 제제의 점도가 높아 치아에 바르기 쉽지 않으며, 50 중량% 보다 높은 경우에는 제제상에서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의 상이 큐빅상을 형성하므로 치아에 부착력이 없고 과산화수소의 안정성이 저해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타입 치아 미백제에서 치아 미백 성분으로는 과산화수소, 과산화물 염으로서 과탄산염, 과붕산염, 그리고 과산화요소, 과인산피로인산나트륨, 그리고 폴리머류로 폴리비닐피롤리돈-과산화수소 복합체, 그리고 무기 금속 과산화물염으로서 고체로서는 과산화칼슘(CaO2), 과산화바륨(BaO2), 과산화마그네슘 (MgO2), 과산화나트륨(Na2O2), 과산화칼륨(Ka2O2)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미백제 성분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우월한 효과를 거둘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타입 치아 미백제에서는 치아 미백 성분을 조성물의 0.5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 중량%의 농도로 첨가할 수 있다. 위 과산화물이 고체 또는 분말일 경우 수분에 미리 용해 또는 분산시켜 조제하면 더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액정 타입 치아 미백제에서는 과산화물을 안정화시킬 수 있는 과산화물 안정화제를 첨가할 수 있다. 과산화물 안정화제는 과산화물과 수소결합을 이루거나, 또는 전기음성도 차이에 의한 쌍극자 결합을 이루는 물질을, 예를 들어, 케톤, 에테르, 아마이드, 설파이드, 카르복시기를 갖는 물질을 첨가하여 과산화수소의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케톤, 에테르, 아마이드, 설파이드, 카르복시기를 갖는 폴리머를 첨가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액정 타입 치아 미백제에서 과산화물 안정화제는 3 내지 40 중량% 범위 내에서 사용할 수 있고, 제형을 유지하기 위해서 바람직하게는 3 내지 30 중량%의 범위 내에서 사용한다.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과산화물 안정화제의 비율이 3 중량% 미만이면 과산화물과 당량 결합을 할 수 없으므로 기대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없으며, 40 중량% 보다 높으면 안정화제가 석출되어 상 안정성이 낮아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타입 치아 미백제에 사용할 수 있는 폴리머는 다음과 같다: 비이온성 폴리머 계열로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 폴록사머(poloxamer),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 pyrrolidone), 폴리비닐피롤리돈-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polyvinyl pyrrolidone/vinyl acetate copolymer),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오스(hydroxypropyl cellulose),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hydroxypropylmethyl cellulose),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hydroxyethyl cellulose), 하이드록시프로필에틸 셀룰로오스(hydroxypropylethyl cellulose), 폴리옥스(polyox) 등, 음이온성 폴리머로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카르복시프로필 셀룰로오스(carboxypropyl cellulose)와 이의 염으로 된 폴리머, 잔탄 검(xanthan gum), 카라게난 검(carrageenan gum), 알지네이트 검(alginate gum) 등, 기타 폴리머류로 카라얀 검(karayan gum), 아라비아 검(arabic gum)과 이의 염 유도체, 및 젤라틴(gelatin), 합성 폴리머로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 acid), 카보폴(carbopol), 폴리쿼터니움-11(polyquaternium-11), 폴리쿼터니움-39(polyquaternium-39) 폴리알킬비닐에테르-말레인산 공중합체 (PVM/MA copolymer: Gantrez AN 119, AN 139, S-97) 등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타입 치아 미백제는 과산화물 안정성에 유리하면서, 구강용품, 특히 치아 미백제에 적합하도록 pH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pH 조절 기능이 있는 안정화제를 첨가할 수 있다. 이들 안정화제는 보존시 pH 변화를 억제하고 구강에 자극을 주지 않도록 유지할 수 있는 pH 조절 기능이 있는 물질로, 과산화물과 상용성이 뛰어난 금속-콤플렉스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과산화물 상용성이 좋은 안정화제는 축합인산염(polyphosphate)으로 피로인산나트륨 (tetrasodium pyrophosphate, TSPP), 산성 피로인산나트륨(sodium acid pyrophosphate, SAPP), 메타인산나트륨(sodium hexametaphosphate, SHMP), 폴리인산나트륨(sodium tripolyphosphate, STP), 피로인산나트륨칼륨(sodium potassium tripolyphosphate, SKTP), 피로인산칼륨(tetrapotassium pyrophosphate, TKPP), 울트라메타인산염(acidic sodium meta-polyphosphate), 산성폴리인산나트륨(acidic sodium polyphosphate), 또는 금속-킬레이트제로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테이트, 아미노트리메틸렌포스페이트 및 이의 염, 하이드록시에틸렌디포스포네이트 및 이의 염, 에틸렌디아민테트라메틸렌포스포네이트 및 이의 염, 디에틸렌트리아민펜타메틸렌포스포네이트 및 이의 염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pH 조절 기능이 있는 안정화제의 사용량은 과산화물에 대하여 중량 대비 0.1∼10 %의 양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축합인산염은 치석 생성 억제나 치석 제거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미백 효과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실제로도 이들을 함유한 경우 치아 표면이나 치아 사이사이가 깨끗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밖에 본 발명에 따른 액정 치아 미백제는 앞서 언급된 성분 외에 향, 표백활성화제 또는 치아우식증 억제제, 잇몸질환 개선제를 첨가하는 것에 의해, 제형의 형상 유지 및 과산화물의 안정성에 변화를 주는 일 없이 사용감을 개선할 수 있다. 향은 대표적으로 페퍼민트, 스페어민트, 멘톨, 시트러스, 허브 등, 표백활성화제는 산화티탄, 전이금속-콤플렉스, TAED(tetraacetyl ethylene diamine) 등, 치아우식증 억제제로는 불화나트륨(NaF), 불화칼슘(CaF2) 등, 잇몸 질환 개선제로는 죽염, 초산토코페롤, 비타민 D, 알란토인클로로히드록시알루미늄(alantoin chlorohydroxy aluminum), 트리클로산(triclosan), 자일리톨(xylitol), 칼슘글리세롤포스페이트, 아미노카프론산, 트로닉아민, KNO3, 모노플루오로포스페이트(monoflurophosphate), 효소(enzyme) 등이 사용 가능하다.
이상 언급된 성분들을 사용함으로써 사용감을 개선하고 부가 기능이 부여된 새로운 제형의 치아 미백 전달 시스템이 완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아 미백제의 특징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로, 사용 전에는 액정상으로 존재하여 바르기 편리하며, 치아 부착시 수분과 반응하여 큐빅상 액정 구조를 이루어 치아 미백 성분이 치간 사이에 전달이 잘 되도록 한다.
둘째로,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에 -OH 기를 갖는 폴리올을 첨가하여 온도에 따른 점도 변화를 최소화하였으며, 약물의 방출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셋째로, 과산화물 안정화제를 첨가하여 액정 타입 치아 미백제의 과산화수소 안정성 및 상 안정성을 증진시킨 치아 미백 제형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 이들만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는 중량%를 의미한다.
실시예 1
과산화수소 3%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 77%
피로인산나트륨 0.1%
향료(flavor) 0.9%
폴리비닐피롤리돈 6%
정제수 11.5%
폴리에틸렌글리콜 1.5%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를 약 50 ℃ 근방에서 액화시키면서 나머지 성분을 혼 합한 다음, 과산화수소와 정제수를 마지막에 넣고 균질화시켜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타입 치아 미백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과탄산나트륨 10%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 67%
카보머 8%
폴리에틸렌글리콜 8000 1%
정제수 10%
향 1%
산성피로인산나트륨 3%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를 약 50 ℃ 근방에서 액화시키면서, 산성피로인산나트륨을 제외한 나머지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마지막에 넣고 균질화시켜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타입 치아 미백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과산화요소 15%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 70%
하이드록시프로필 4%
피로인산나트륨 2%
향료 0.5%
산화티탄 0.1%
정제수 3%
에탄올 0.4%
프로필렌글리콜 5%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폴리비닐 피롤리돈을 빼고 나머지를 정제수로 대체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에서 폴리비닐 피롤리돈의 양을 반으로 줄이고 나머지를 정제수로 대체하였다.
비교예 3
유기실록산 레진 25%
실리콘 검 4.2%
에틸아세테이트, 프로필아세테이트 혼합물 17%
벤톤 클레이 1%
과탄산나트륨 17%
위 처방을 갖는 유기실록산 레진을 이용한 반고형 제제.
비교예 4
실시예 1에서 폴리에틸렌 글리콜 40을 빼고 나머지를 정제수로 대체하였다.
효과 실험예 1: 과산화물 안정성 시험
실시예 1, 비교예 1 내지 3을 대한약전 수재 과산화물 정량법에 의해 적정하여 상온에서 1, 2 및 6 개월 간의 경시안정성을 측정하였다. 다음 표 1은 측정 시 기에 따른 과산화물 함량을 나타낸다.
측정기간 1 개월 2 개월 6 개월
실시예 1 97±2% 96±1% 94±3%
비교예 1 91±4% 85±2% 67±5%
비교예 2 93±5% 87±2% 80±3%
비교예 3 95±4% 91±5% 88±3%
위 표 1에서 보듯이 실시예 1의 제제는 비교예 1 내지 3의 제제와 비교할 때 경시안정성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효과 실험예 2: 미백 효능에 관한 시험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제제의 미백 효과는 실험실적(in vitro) 평가법으로, 착색된 수산화인회석(hydroxyapatite) 태블릿 시편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즉, 착색된 시편 위에 실시예와 비교예의 제제를 각각 도포한 후 1 분간 상온 방치하고, 다시 1 분간 물에 dipping한 후 꺼내서 티슈로 3 회 가볍게 닦아준 다음, 온도 37 ℃, 습도 95 %로 세팅한 항온 항습기에 방치하고, 6 시간 후에 제제를 제거하고 실온에서 건조 시킨 후 L 값을 측정하였다. 도포 전후의 L 값의 차이인 ΔL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를 아래의 표 2에 나타낸다.
ΔL (1회 사용)
실시예 1 37.50±4.50
실시예 2 37.96±1.98
비교예 3 15.08±0.55
표 2에서 보듯이, 실시예 1 및 2에서 제조한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를 이용한 본 발명의 액정 타입 치아 미백제가 비교예 3의 유기실록산 레진을 이용한 제제 보다 미백 효과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효과 실험예 3: 방출 시험
인산염을 이용하여 완충액을 제조한 후, 미국 약전에 수재된 방출 시험법에 따라 방출 시험을 시행하였다. 즉, 500 ㎖ 완충액을 35 ℃로 유지하고, 패들을 25 rpm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실시예 1 및 비교예 3과 4의 제제에 대하여 각각 방출 시험을 실시하였다. 완충액 중의 과산화수소를 측정하여 각 제제마다 시간에 따른 방출률을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 표 3에 나타낸다.
측정시간 5분 30분 1시간
실시예 1 21±8% 47±18% 69±13%
비교예 3 10±5% 15±7% 39±13
비교예 4 16±5% 33±7% 55±10%
위 표 3에서 보듯이 실시예 1의 제제는 비교예 3 및 4의 제제와 비교할 때 방출되는 속도가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제제중 폴리올의 비율을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약물의 방출 속도를 조절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액정상 치아 미백제는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를 기본 약제로 제조되어 도포 전에는 유동성을 가져 바르기 쉬운 성질을 가지고 도포된 후에는 타액 등의 수분에 의해 고형화하여 부착, 고정되는 특징을 나타내며, 과산화물 안정화제를 첨가하여 과산화물의 경시안정성을 증진하고, 폴리올류를 첨가하여 온도에 따른 점도 변화를 최소화하면서 미백성분의 방출 속도 조절이 가능하다.

Claims (15)

  1. 치아에 도포하여 치아 미백 효과를 나타내는 조성물로서,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 폴리올, 과산화물, 과산화물 안정화제 및 친수성 용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타입의 치아 미백제.
  2. 제 1 항에 있어서, 폴리올이 분자량 80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은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스테아릴 알코올, 자일리톨, 솔비톨, 만니톨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과산화물 안정화제는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 폴록사머(poloxamer),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 pyrrolidone), 폴리비닐피롤리돈-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polyvinyl pyrrolidone/vinyl acetate copolymer),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오스(hydroxypropyl cellulose),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hydroxypropylmethyl cellulose),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hydroxyethyl cellulose), 하이드록시프로필에틸 셀룰로오스(hydroxypropylethyl cellulose), 폴리옥스(polyox),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카르복시프로필 셀룰로오스(carboxypropyl cellulose)와 이의 염으로 된 폴리머, 잔탄 검(xanthan gum), 카라게난 검(carrageenan gum), 알지네이트 검(alginate gum), 카라얀 검(karayan gum), 아라비아 검(arabic gum)과 이의 염 유도체, 젤라틴(gelatin),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 acid), 카보폴(carbopol), 폴리쿼터니움-11(polyquaternium-11), 폴리쿼터니움-39(polyquaternium-39), 폴리알킬비닐에테르-말레인산 공중합체(PVM/MA copolymer)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과산화물이 과산화수소, 과탄산염, 과붕산염, 과산화요소, 과인산피로인산나트륨, 폴리비닐피롤리돈-과산화수소 복합체, 과산화칼슘(CaO2), 과산화바륨(BaO2), 과산화마그네슘(MgO2), 과산화나트륨(Na2O2), 과산화칼륨(Ka2O2),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제.
  6. 제 1 항에 있어서,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의 양이 조성물 전체의 25 내지 9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제.
  7. 제 6 항에 있어서,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의 양이 조성물 전체의 30 내지 8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제.
  8. 제 1 항 내지 제 3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올의 양이 조성물 전체의 0.05 내지 2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제.
  9. 제 8 항에 있어서, 폴리올의 양이 조성물 전체의 2 내지 1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제.
  10.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과산화물 안정화제의 양이 조성물 전체의 3 내지 40 중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제.
  11. 제 10 항에 있어서, 과산화물 안정화제의 양이 조성물 전체의 3 내지 3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제.
  12. 제 1 항에 있어서, 친수성 용매가 물 또는 에탄올이고, 조성물 전체의 1 내지 5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용매의 양이 조성물 전체의 2 내지 2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제.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과산화물 안정화제가 pH 조절기능이 있는 것으로, 피로인산나트륨(tetrasodium pyrophosphate, TSPP), 산성 피로인산나트륨 (sodium acid pyrophosphate, SAPP), 메타인산나트륨(sodium hexametaphosphate, SHMP), 폴리인산나트륨(sodium tripolyphosphate, STP), 피로인산나트륨칼륨(sodium potassium tripolyphosphate, SKTP), 피로인산칼륨(tetrapotassium pyrophosphate, TKPP), 울트라메타인산염(acidic sodium meta-polyphosphate), 산성폴리인산나트륨(acidic sodium polyphosphate),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테이트, 아미노트리메틸렌포스페이트 및 이의 염, 하이드록시에틸렌디포스포네이트 및 이의 염, 에틸렌디아민테트라메틸렌포스포네이트 및 이의 염, 디에틸렌트리아민펜타메틸렌포스포네이트 및 이의 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과산화물 안정화제를 과산화물에 대하여 0.1∼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제.
KR1020050039552A 2005-03-18 2005-05-12 액정상의 치아 미백제 KR1011549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9552A KR101154935B1 (ko) 2005-05-12 2005-05-12 액정상의 치아 미백제
EP06716433.5A EP1863438B1 (en) 2005-03-18 2006-03-17 Tooth whitener
RU2007138646A RU2375040C2 (ru) 2005-03-18 2006-03-17 Отбеливатель для зубов
US11/886,484 US20080193392A1 (en) 2005-03-18 2006-03-17 Tooth Whitener
JP2008501818A JP4677029B2 (ja) 2005-03-18 2006-03-17 歯牙美白剤
CN2006800087348A CN101141945B (zh) 2005-03-18 2006-03-17 牙齿美白剂
CA 2601064 CA2601064C (en) 2005-03-18 2006-03-17 Tooth whitener
PCT/KR2006/000983 WO2006098602A1 (en) 2005-03-18 2006-03-17 Tooth whitener
MX2007011464A MX2007011464A (es) 2005-03-18 2006-03-17 Blanqueador dental.
BRPI0611560-8A BRPI0611560A2 (pt) 2005-03-18 2006-03-17 branqueador dental
TW095116366A TWI376236B (en) 2005-05-12 2006-05-09 Tooth whitener
US13/345,092 US20120134936A1 (en) 2005-03-18 2012-01-06 Tooth White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9552A KR101154935B1 (ko) 2005-05-12 2005-05-12 액정상의 치아 미백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6936A true KR20060116936A (ko) 2006-11-16
KR101154935B1 KR101154935B1 (ko) 2012-06-13

Family

ID=37704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9552A KR101154935B1 (ko) 2005-03-18 2005-05-12 액정상의 치아 미백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54935B1 (ko)
TW (1) TWI376236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5062B1 (ko) * 2006-06-22 2007-10-09 (주) 바이오에스텍 안정성을 개선시킨 고형의 치아미백제
KR101537309B1 (ko) * 2010-09-23 2015-07-22 리젠티스 가부시키가이샤 치아의 오염을 제거하기 위한 구강용 조성물
KR20160112919A (ko) * 2015-03-20 2016-09-28 (주)아모레퍼시픽 치석 형성 억제에 효과적인 구강용 조성물
KR20180021877A (ko) * 2015-07-31 2018-03-05 가부시키가이샤 지씨 치아 표백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1259B1 (ko) * 2016-01-04 2018-02-23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안정성이 향상된 치아 미백제 조성물
KR102136810B1 (ko) 2019-02-01 2020-07-23 주식회사 가르텐 치아 미백 처리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0009855A (pt) * 1999-04-19 2002-01-15 Unilever Nv Composição de cuidado oral, e, uso de um metal alcalino, amÈnio ou alquilsulfato c10 de amÈnio substituìdo
US8840918B2 (en) 2001-05-01 2014-09-23 A. V. Topchiev Institute of Petrochemical Synthesis, Russian Academy of Sciences Hydrogel compositions for tooth whitening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5062B1 (ko) * 2006-06-22 2007-10-09 (주) 바이오에스텍 안정성을 개선시킨 고형의 치아미백제
KR101537309B1 (ko) * 2010-09-23 2015-07-22 리젠티스 가부시키가이샤 치아의 오염을 제거하기 위한 구강용 조성물
US9138387B2 (en) 2010-09-23 2015-09-22 Regenetiss, Inc. Oral composition for removing tooth stain
KR20160112919A (ko) * 2015-03-20 2016-09-28 (주)아모레퍼시픽 치석 형성 억제에 효과적인 구강용 조성물
KR20180021877A (ko) * 2015-07-31 2018-03-05 가부시키가이샤 지씨 치아 표백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4935B1 (ko) 2012-06-13
TWI376236B (en) 2012-11-11
TW200638948A (en) 2006-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77029B2 (ja) 歯牙美白剤
AU2002240115B2 (en) Topical oral care compositions
US9138386B2 (en) Dental whitening compositions
TWI507211B (zh) 含四鹼基鋅-胺基酸鹵化物錯合物及半胱胺酸之二成分組成物
AU2001296802B2 (en) Anhydrous dentifrice formulations for the delivery of incompatible ingredients
ES2343631T3 (es) Composicion de blanqueamiento de dientes, liquida, no acuosa.
RU2440809C2 (ru) Управляемое поверхностное гелеобразование мукоадгезивных полимеров в слизистой оболочке полости рта
WO2007066837A1 (en) Delivery system for tooth whitening component using in situ gelling
AU2002240115A1 (en) Topical oral care compositions
RU2314090C2 (ru) Двухкомпонентное средство для отбеливания зубов
CN106413668A (zh) 口腔护理组合物和方法
KR100633682B1 (ko) W/o 에멀젼 타입의 치아 미백제
KR101154935B1 (ko) 액정상의 치아 미백제
KR100662203B1 (ko) 용시 겔화를 이용한 치아 미백 성분 전달 시스템
AU2003290923A1 (en) Controlled-dissolving polymeric device for the oral cavity
US20120134936A1 (en) Tooth Whitener
KR100623859B1 (ko) 용시 겔화를 이용한 치아 미백 성분 전달 시스템
AU2933300A (en) Compositions containing stannous fluoride for the treatment of hypersensitive teeth
CN106413669A (zh) 口腔护理组合物和方法
KR100782709B1 (ko) 액정상 치아 미백제
US20230120190A1 (en) Oral composition with synergistic association of organic and inorganic components for full maintenance of oral health, process for obtaining and uses thereof
RU2147222C1 (ru) Средство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RU2457824C2 (ru) Лечебно-профилактическая зубная паста "stomatol"
KR20060081532A (ko) 점착성이 강화된 액체형 치아미백제
KR20240030235A (ko) 하이드로 수소 치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