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5062B1 - 안정성을 개선시킨 고형의 치아미백제 - Google Patents

안정성을 개선시킨 고형의 치아미백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5062B1
KR100765062B1 KR1020060056177A KR20060056177A KR100765062B1 KR 100765062 B1 KR100765062 B1 KR 100765062B1 KR 1020060056177 A KR1020060056177 A KR 1020060056177A KR 20060056177 A KR20060056177 A KR 20060056177A KR 100765062 B1 KR100765062 B1 KR 100765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dium
dental whitening
whitening
solid
pyrophosph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6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명
남병욱
남호천
정경우
권순재
Original Assignee
(주) 바이오에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바이오에스텍 filed Critical (주) 바이오에스텍
Priority to KR1020060056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50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5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50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61Q11/02Preparations for deodorising, bleaching or disinfecting den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글리세린 모노올레이트을 이용하여 특별한 성형이나 압출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스틱 형태를 갖추는 치아미백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원료들을 액상상태로 고온에서 혼합한 후 이를 용기에 넣어 식혀주면 스틱 형태를 갖추는 고형의 치아미백제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립스틱형 치아미백제는 기존에 개발되어진 치아미백제와는 달리 발림성이 우수하여 사용이 편리하고, 치아미백에 직접적인 효과를 주는 과산화물이 더욱 안정화되어 있고, 특히, 고온의 액상 혼합물을 용기에 담고 식혀주기만 하면 고형으로 자동 응고되어 스틱형의 치아미백제의 형태를 갖추므로 기존의 까다로운 제조방법을 글리세린 모노올레이트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제조 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Figure 112006504983526-pat00001
치아미백, 고형, 구강, 안정화,

Description

안정성을 개선시킨 고형의 치아미백제{Be improved the stability for the dental whitening solid product}
.
본 발명은 기존의 치아미백용 제품의 제조방법을 간단히 하고 사용상 치아에 대한 발림성을 우수하게 하며, 미백성분을 안정화시켜 미백효과를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치아를 미백시켜주는 고형의 치아미백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 이전의 치아미백 제품으로는 미백치약, 액상 미백제, Patch type 치아미백제 등이 있다.
미백치약은 사용이 편리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사용자가 많으나, 접촉시간이 짧아 미백효과가 미흡하다는 단점이 있다.
액상(Gel) 치아 미백제는 미백성분을 액상(Gel) type의 형태에 안정화 시킨 제품으로 사용은 간편하나, 구강내의 침에 희석되어 미백효과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최근에 개발되어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Patch형태의 치아미백 제품들은 사용이 간편하고 효과가 기존의 미백치약들보다는 뛰어나나, 필름형태의 제품으로 보관상에 구겨지거나 접혀 제품을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일부 변색된 치아를 미백하기 위하여 치아 전체에 제품을 붙여야만 하는 단점이 있고 액상으로 제조 후 Film 형태로 변화시켜야 하므로 제조방법이 까다로운 단점이 있다.
이러한 기존 치아미백 제품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특허 제 10-0561211호에선 미백성분을 안정화시키기 위하여 폴리머와 별도의 안정화제를 사용한 고형의 치아미백제를 고안하였다. 그러나 이 특허에 나열된 폴리머와 별도의 안정화제를 사용하여 고형의 치아미백제를 제조하기 위하여 제조방법이 너무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앞에서 언급한 기존 미백제품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미백효과가 뛰어나고 미백성분이 고온에서 안정하며, 사용이 편리하고, 제조 공정을 간단히 할 수 있는 고형의 치아미백제를 발명하게 되었다.
고형의 치아미백제의 제조 방법은 두 단계로 구분할 수 있는데 첫번째 단계는 원료들을 균일하게 하기 위하여, 치아미백 성분을 안정화 시키는 안정화제, 폴리머, 용제, 보습원료 등을 고온으로 용해시킨 후 혼합하고, 두번째 단계로 균일하게 혼합된 액상을 상온으로 식혀 주므로써 고형을 만들 수 있다.
이때 고온에서 미백성분이 분해되어 최종제품의 미백효과가 떨어지므로 본 발명에서는 고온에서 혼합시 미백성분의 분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온에서 글리세 릴 모노올레이트와 미백성분, 알코올을 1차 혼합한 후 고온으로 올려 기존의 안정화제, 폴리머, 보습성분등을 혼합하므로써 미백성분의 분해를 억제하고 최종제품의 미백성분의 안정성을 얻을 수 있는 치아미백제를 만들기 위함이다.
글리세릴 모노올레이트는 미백성분과 혼합시 미백성분의 안정성이 개선되나 상온에서는 고체이므로 글리세릴 모노올레이트를 에탄올에 용해시킨 후 미백성분을 혼합한다. 이 혼합된 액상을 고온(약 80℃)으로 가열하여 여기에 폴리머와, 안정화제, 보습성분을 혼합하여 균일하게 한 후 가열된 물을 혼합하고, 이때 점도가 20,000~50,000cps 이상 형성 되게한다. 이를 용기에 충진하여 25℃이하로 서서히 식혀준다. 그러면, 액상이었던 혼합물이 용기 모양으로 굳어진다.
이때, 형성된 고형의 경도는 50~200 의 범위를 말한다. 경도값은 Physica 사(U.S.A)의 USD-200이라는 Rheometer 로 측정한 값을 말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조 방법으로 글리세린 모노올레이트을 이용하여 쉽게 고형화를 시킬 수 있고, 필요한 부분만 미백을 시킬 수 있는 치아미백제를 만들기 위함이다.
본 발명은 간단히 고형을 형성할 수 있고, 미백효과가 뛰어나며, 미백성분의 안정성이 우수한 치아미백제의 제조방법을 개발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구성은 글리세린 모노올레이트와 미백성분, 미백성분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원료, 사용시 발림성을 우수하게 하기 위한 원료, 그리고 이들 원료를 혼합시켜주기 위한 용제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간단히 고형을 형성할 수 있는 방법이란, 글리세린 모노올레이트을 이용하여 손쉽게 고형을 얻는 것을 말한다. 글리세린 모노올레이트은 고온에선 액체상태이며, 저온에선 고체상태로 유지되는 것과, 물과 반응하여 굳어버리는 특성이 있다. 이를 이용하여 고온에서 혼합후 최종으로 물을 첨가하여 서서히 식혀 고형을 만들어 낸다.
미백효과를 주는 미백성분으로는 과산화수소, 치아염소산나트륨, 피로인산칼륨, 피로인산나트륨, 산성피로인산나트륨, 메타인산나트륨, 폴리인산나트륨, 피로인산나트륨칼륨, 과붕산나트륨, 과산화칼슘, 과산화피로인산나트륨 등이 있다.
미백성분을 안정화시키기 위해 사용는된 원료로는 셀룰로오즈검, 벤토나이트, 카보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펙틴, 전분, 잔탄검, 폴리알킬 비닐 에테르-말레인산공중합체(PVM/MA copolymer, Gantrez AN 149, AN 139, S-97), 폴리아크릴산, Poloxamer 407(Pluronic), 폴리비닐 피롤리돈-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PVP/VA copolymer ; Luviskol VA, Plasdone S PVP/VA), 폴리 비닐 피롤리돈(PVP, K-15 ∼ K-120), Polyquaterium-11(Gafquat 755N), Polyquaterium-39(Merquat plus 3330),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즈, 젤라틴(Gelatin), 알긴 산(Sodium Alginate), 폴리 비닐 아세테이트, 에틸 셀룰로오즈, 폴리메틸 메타 크릴레이트, 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메타 아크릴 공중합체, 아미노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셀룰로오즈 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PEG 400∼6,000, 스테알린 알코올 등이 있다.
그리고, 발림성이 개선시키는 원료로는 글리세린, 소르비톨,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세라마이드, Castor oil, hydrogenated castor oil 등이 있다.
이 들 원료를 혼합하기 위한 용제로는 알코올을 사용하며, 고형을 형성하기 위하여 물을 사용한다.
상기 원료들 중 각 효과를 내는 원료중 1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며, 글리세린 모노올레이트는 1~30%, 미백성분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원료는 1~25%, 발림성이 개선시키는 원료는 1~10%, 용제는 1~ 50% 이상을 혼합 사용할 수 있다.
글리세린 모노올레이트는 알코올과 상온에서 혼합하고 여기에 미백성분을 균일하게 혼합시킨 후 80℃로 온도를 높혀 미백성분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원료와 발림성을 개선시키는 원료를 혼합하여 준다. 그리고, 물을 넣고 1시간 가량 600rpm으로 혼합한 후, 액체 충진기를 사용하여 용기에 충진한다. 혼합물이 충진된 용기들을 실온에서 서서히 식혀주면 고형이 형성이 된다. 이 와 같은 방법으로 고형인 치아미백제를 제조한다.
본 발명의 작용 효과 및 구성에 대해 아래 실시예와 비교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아래 실시예와 비교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므로, 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표 1〉원료조성표
Figure 112006504983526-pat00002
각각의 제조방법은 위의 원료를 성분비대로 상온에서 글리세린 모노올레이트와 에탄올과 미백성분을 혼합한 후 고온으로 올려 나머지 성분을 혼합한 후 용기에 충진하여 서서히 식혀서 고형의 치아 미백제를 만들었다.
[비교예 1]
치약 제조
셀룰로오즈검 2%, 과산화수소(35% 용액)10%, 실리카 20%, 글리세린 30 %, 물 to 100을 배합후 탈포한다.
[비교예 2]
코팅제형
PVP 10%, 과산화수소(35% 용액)10%, 글리세린 5%, castor oil 4%, 물:에탄올 1:1 혼합액 to 100을 배합하여 만든다.
[비교예 3]
치아미백 패치
카보폴 10%, 과산화수소(35%)10%, 글리세린 5%, pH조정제, 물:에탄올 1:1 혼합액 to 100을 혼합하여 젤을 만든 후에 얇은 필름(poly ethylene film)에 도포하여 만든다.
[비교예 4]
특허 제 10-0561211호 - 고형의 치아미백제
폴리비닐알코올 5%, 폴리비닐피롤리돈 5%, Polyquaternium-39 5%, 에틸 셀룰로오즈 5%, 폴리알킬 비닐 에테르 말레인산 공중합체 5%, 알킬아릴설포네이트 5%, 칸데릴라납 3%, Castor oil 2%, 글리세린 4%, 과산화피로인산 나트륨 4%, 과산화수소 10%, 물 32%, 에탄올 15%을 혼합한후 얇게도포하여 건조터널을 통과하게 하여 건조한 후 건조된 반제품을 압출 성형기를 이용하여 압출성형하여 고형의 치아 미백제를 만든다.
[치아미백 효과 평가]
Vita shade guide1) 를 참조하여 8단계보다 어두운 치아를 갖춘 자만을 추렸다. 초기 색상에서 변화된 수치를 기록하였다. 또한 사용 후 설문조사를 하여 본인이 느끼는 미백정도 및 사용감 평가를 하게 하였다.
〈표 2〉치아미백 효과 평가표
Figure 112006504983526-pat00006
Figure 112006504983526-pat00004
각 군은 각각 남녀 20명의 시험자를 배당하여, 각 군의 용법·용량은 제품의 특성에 맞게 사용 되었으며 아래 방법으로 2주간 사용 하였다.
실시예 1~5 : 1일 3회 치아에 발라준다.
비교예 1 : 1일 3회 칫솔을 이용하여 양치한다.
비교예 2 : 1일 2회 치아에 도포한다.
비교예 3 : 1일 2회 치아에 부착한다.
비교예 4 : 1일 2회 치아에 도포한다.
1) Vita Shade Guide : 치아 색상 변화의 정도를 16단계로 표현해 놓은 치아 모델로서 국제적으로 공인되어 대학, 평가기관 및 치과병원 의사들이 미백효과 평가시 이용하고 있다.
2) 자신이 치아미백이 되었는지 5점 단계로 평가하도록 함
1: 미백효과 없음, 2: 그저그렇다. 3: 미약한 미백 효과,
4: 미백효과 충분히 인지, 5: 미백효과 우수.
3) 임상 대상자에게 제품의 사용감 및 편리성을 5점 단계로 평가하도록 하였다.
1: 불량 2: 약간 불량 3: 보통 4: 양호 5: 우수
실시예가 비교예보다 치아미백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글리세린 모노올레이트가 입속 침에 수분과 반응하여 치아에 밀착 응고하여 과속화물이 치아에 접착 시간을 오래 지속할 수 있도록 했기 때문이다.
[ 제품의 안정성 평가 ]
상기 제조된 실시예와 비교예의 샘플을 항온항습기 (고온(50℃)) 에서 보관하면서 주기적으로 과산화물의 잔존량을 평가하였다.
〈표 3〉안정성 평가표
Figure 112006504983526-pat00005
비교예 보다 실시예의 과산화물 잔류량이 높게 나왔으며, 이는 제품의 안정화가 잘 되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Claims (1)

  1. 치아미백을 목적으로 미백성분을 안정화시키고 제조를 쉽게하기 위하여 글리세린 모노올레이트를 함유하는 고형 치아미백제 조성물.
KR1020060056177A 2006-06-22 2006-06-22 안정성을 개선시킨 고형의 치아미백제 KR1007650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6177A KR100765062B1 (ko) 2006-06-22 2006-06-22 안정성을 개선시킨 고형의 치아미백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6177A KR100765062B1 (ko) 2006-06-22 2006-06-22 안정성을 개선시킨 고형의 치아미백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5062B1 true KR100765062B1 (ko) 2007-10-09

Family

ID=39419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6177A KR100765062B1 (ko) 2006-06-22 2006-06-22 안정성을 개선시킨 고형의 치아미백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506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7718A (ko) * 2013-11-20 2015-05-2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고형 치아 미백용 도포제
KR20210107939A (ko) 2020-02-24 2021-09-02 주식회사 셀온 치아 미백 증진용 칫솔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6936A (ko) * 2005-05-12 2006-11-1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액정상의 치아 미백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6936A (ko) * 2005-05-12 2006-11-1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액정상의 치아 미백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06-0116936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7718A (ko) * 2013-11-20 2015-05-2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고형 치아 미백용 도포제
KR102012409B1 (ko) 2013-11-20 2019-10-2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고형 치아 미백용 도포제
KR20210107939A (ko) 2020-02-24 2021-09-02 주식회사 셀온 치아 미백 증진용 칫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59707C2 (ru) Гидрогелевые композиции, проявляющие разделение фаз при контакте с водной средой
RU2384326C2 (ru) Композиции гидрогеля с эродируемой подложкой
JP5502263B2 (ja) 歯を白化するためのヒドロゲル組成物
RU2688685C2 (ru)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отбеливания зубов
JP2007008931A (ja) オーラルケア組成物、用具、および、同組成物および用具の使用法
US20040101496A1 (en) Bleaching device comprising a barrier layer and a bleaching composition comprising polyvinylpyrrolidone
CA2601064C (en) Tooth whitener
CN101027101A (zh) 含有成膜聚合物的口腔护理组合物
US11872310B2 (en) Preparation for oral cavity
EP2841045A1 (en) Hydrophilic pressure sensitive bioadhesives with targeted adhesion towards teeth and tooth care compositions based thereon
JP2008504334A (ja) 歯のホワイトニング組成物
CN108366954A (zh) 包含过氧化物复合物和过碳酸盐的牙齿美白组合物
KR100662203B1 (ko) 용시 겔화를 이용한 치아 미백 성분 전달 시스템
JP2017519776A (ja) 非晶質リン酸カルシウムを供給する口腔ケア処方システム
KR100623859B1 (ko) 용시 겔화를 이용한 치아 미백 성분 전달 시스템
KR100633682B1 (ko) W/o 에멀젼 타입의 치아 미백제
KR101154935B1 (ko) 액정상의 치아 미백제
KR100765062B1 (ko) 안정성을 개선시킨 고형의 치아미백제
KR102241995B1 (ko) 치아용 패치의 부착성이 향상된 겔 조성물
KR102025751B1 (ko) 치아 부착용 패치
KR100561211B1 (ko) 미백성분을 안정화 시킨 고형의 치아미백제
KR101812291B1 (ko) 패치형 치아 미백 제품
KR100471920B1 (ko) 드라이 타입의 치아 미백 패취
KR100782709B1 (ko) 액정상 치아 미백제
CN114630656A (zh) 黏膜黏附剂组合物及其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