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5837A - 냉장고 저장칸의 냉기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냉장고 저장칸의 냉기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5837A
KR20060115837A KR1020050038234A KR20050038234A KR20060115837A KR 20060115837 A KR20060115837 A KR 20060115837A KR 1020050038234 A KR1020050038234 A KR 1020050038234A KR 20050038234 A KR20050038234 A KR 20050038234A KR 20060115837 A KR20060115837 A KR 200601158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cover
cold air
handle
storage compar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8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8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15837A/ko
Priority to DE102006020827.7A priority patent/DE102006020827B4/de
Priority to US11/418,503 priority patent/US7856844B2/en
Publication of KR20060115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58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5Air flow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2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 F25D17/065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with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1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through special compart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supply
    • F25D2317/0665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supply from the to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7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air 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 저장칸의 냉기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냉동실과 냉장실을 구획하는 배리어에 개구된 연통구를 통해 냉동실에서 냉장실로 유통되는 냉기가 상기 냉장실방향 개구에 연통된 덕트 또는 유입구를 통해 서랍식저장칸의 상면을 덮도록 형성된 커버의 내부로 유입되고, 이 커버의 내부로 유입된 냉기가 상기 커버의 하면에 개구된 다수의 토출구를 통해 상기 서랍식저장칸의 내부로 토출되도록 됨에 따라, 상기 서랍식저장칸 전체에 균일한 온도 및 양의 냉기를 공급하도록 되고, 상기 연통구로 공급되는 냉기가 서랍식저장칸으로만 공급됨에 따라, 상기 서랍식저장칸에 공급되는 냉기의 온도를 보다 폭 넓게 가변하여 적용하도록 되며, 상기 유입구의 개방 면적을 조절하도록 된 유량조절장치가 구비되어 상기 서랍식저장칸의 냉기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냉장고, 서랍식저장칸, 서랍식저장칸

Description

냉장고 저장칸의 냉기공급장치{COLD AIR SUPPLY MECHANISM OF REFRIGERATOR VEGETABLE BOX}
도 1은 일반적인 냉장고 서랍식저장칸의 사시도,
도 2는 일반적인 서랍식저장칸 냉기공급구조의 정면도,
도 3은 일반적인 서랍식저장칸 냉기 공급구조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서랍식저장칸의 냉기공급장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서랍식저장칸의 냉기공급장치 분리 결합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량조절장치의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 - 냉장고 11 - 냉동실
12 - 냉장실 13 - 배리어
20 - 서랍식저장칸 40 - 연통구
50 - 냉기공급장치 60 - 덕트
61 - 입구 62 - 출구
70 - 커버 71 - 유입구
72 - 토출구 73 - 안내대
80 - 상판 90 - 하판
100 - 유량조절장치 110 - 손잡이
111 - 손잡이핀 112 - 이동홀
120 - 회동바 121 - 손잡이홀
122 - 축홀 123 - 회전축
124 - 연결핀 125 - 곡면선단
130 - 직동바 131 - 장공
132 - 지지돌기 140 - 차단판
141 - 레일 150 - 위치고정판
151 - 몸체 152 - 탄성판
153 - 안착부 154 - 배척부
본 발명은 냉장고의 서랍식저장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냉장고에 야채 및 육류 등을 저장하도록 형성된 서랍식저장칸에 보다 효율적으로 냉기를 공급하도록 된 냉장고 저장칸의 냉기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음식물을 비교적 저온에서 보관하여 상기 음식물의 부패를 방지함과 더불어, 신선도를 유지하도록 된 것으로, 상기 음식물을 영상의 저온(통상 0 ~ 8℃)에서 보관하도록 된 냉장실과, 상기 음식물을 영하의 저온(통상 -20 ~ -0℃)에서 냉동하여 보관하도록 된 냉동실이 함께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 근래에는 냉장고의 수납 효용성 등을 높이도록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이 냉장고의 횡방향으로 배열된 냉장고의 개발이 있었으며, 상기 횡방향으로 냉동실과 냉장실이 배열된 냉장고 역시 종래 냉장고와 동일하게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이 분리되는 경계부에 격벽형상을 이루는 배리어가 형성되어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을 구획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보편적이다.
또한, 상기 냉장고에 저장되는 음식물 중에서 야채 또는 과일 등의 음식물은 영상 4℃정도에서 보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야채 및 과일의 특성상 수분의 증발을 방지하도록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상기 냉장고의 일측부에 상기 야채 및 과일 등을 저장하도록 밀폐된 별도 박스형상의 서랍식저장칸이 구비되는 것이 보편적이다.
또, 근래에 정육 등의 육류를 상기 냉장고에서 영하 18℃정도의 저온으로 냉동시켜 보관하도록 된 냉동실에 얼려 보관하는 방법 이외에, 상기 육류를 얼리지 않고 보관하여 그 맛과 영양을 비교적 적게 파괴하면서 보관방법의 개발이 있었다.
상기 육류의 비 냉동보관은, 육류를 영하 1℃정도의 온도에서 보관하여 상기 육류가 부패되거나 변질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그 맛과 영양의 파괴를 최소화하도록 한 것으로, 통상의 냉장고 냉동실의 온도가 영하 18℃정도를 유지하도록 되고, 상기 통상의 냉장고 냉장실의 온도는 영상 4℃ ~ 8℃ 정도를 유지하도록 됨에 따라, 상기 육류를 상기 서랍식저장칸에 수용하고, 상기 서랍식저장칸에 냉동실의 냉기를 공급하여 영하 1℃정도의 온도에서 보관하는 방법이 개발되었다.
여기서, 상기 일반적인 냉장고의 서랍식저장칸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동실(11)과 냉장실(12)이 횡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냉장실(12)과 냉동실(11)의 경계부에 격벽 형상의 배리어(13)가 형성된 냉장고(10)의 상기 냉장실(12) 하부에 그 상면이 개방된 박스형상을 이루고 형성된다.
또, 상기 서랍식저장칸(20)은 서랍식저장칸(20) 내의 음식물 수납이 용이하도록 상기 냉장고(10)의 내부에서 외측으로 돌출 및 퇴몰이 가능한 함체로 형성되며, 상기 함체의 상면 개구는 상기 냉장실(12)을 다수로 구획하는 선반 중 어느 한 선반이 덮어 막도록 형성되어 상기 서랍식저장칸(20)의 밀폐를 이루도록 된다.
따라서, 상기 냉장고(10)의 냉장실(12) 내부가 적정온도인 영상 4℃로 유지되고, 상기 냉장실(12)이 적정온도로 유지됨과 더불어 상기 냉장실(12)의 내부에 수용된 서랍식저장칸(20)의 온도 역시 영상 4℃정도의 온도로 유지되면서 상기 서랍식저장칸(20)의 내부에 수용된 야채 및 과일의 신선도 저하를 방지하면서 보관하게 된다.
또, 상기 서랍식저장칸(20)이 냉장실(12)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그 상면 개구가 다수의 선반 중 어느 한 선반, 본 예시에서는 냉장실(12)의 하부에 설치된 선반(300)에 의해 덮여 막혀져 상기 서랍식저장칸(20)이 밀폐됨에 따라, 상기 야채 등의 음식물에서 수분이 증발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야채 등 음식물의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하도록 된다.
이에 따라, 종래에 상기 냉장실(12)의 하부에 설치된 서랍식저장칸(20)에 냉 동실(11)의 냉기를 공급하여 상기 서랍식저장칸(20)에 야채의 보관은 물론, 선택적으로 상기 냉동실(11)의 냉기를 공급하여 육류를 비냉동 보관하도록 하는 방안이 모색되었다.
상기 서랍식저장칸(20)에 육류를 보관하도록 하는 종래의 방법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동실(11)과 냉장실(12)을 구획하도록 형성된 배리어(13)에 연통구(40)를 관통되도록 형성하고, 이 연통구(40)를 통해 상기 냉동실(11)의 냉기를 상기 냉장실(12)에 설치된 서랍식저장칸(20)으로 공급하여 상기 서랍식저장칸(20) 및 서랍식저장칸(20) 내부에 수용된 육류의 온도를 냉장실(12) 전체의 온도에 비해 낮은 영하 1℃정도로 낮추어 보관하는 방안이 있었다.
여기서, 상기 연통구(40)로 유통되는 냉기는 상기 냉장실(12)의 온도조절장치 등에 의해 온도가 조절되어 공급되도록 됨은 물론, 상기 연통구(40)의 개방면적을 조절하여 상기 연통구(40)를 통해 유통되는 냉기의 양을 제어하여 상기 서랍식저장칸(20) 및 서랍식저장칸(20) 내부의 온도를 제어하는 방법으로 사용하여 왔다.
따라서, 상기 서랍식저장칸(20)에 육류를 비냉동 보관하기 위해 상기 서랍식저장칸(20)의 일측 배리어(13)에 형성된 연통구(40)를 선택적으로 개방하여 상기 냉장고(10) 냉동실(11)의 내부에 충진된 냉기를 상기 연통구(40)를 통해 상기 냉장실(12)의 내부에 설치된 서랍식저장칸(20)으로 공급한다.
이때, 상기 냉동실(11)의 냉기는 상기 냉동실(11)의 온도제어장치에 의해 적정온도로 제어되어 상기 연통구(40)를 통해 공급되거나, 상기 연통구(40)의 개방면적을 확/축하면서 상기 연통구(40)를 통한 냉기의 공급량을 제어하여 상기 서랍식 저장칸(20) 및 서랍식저장칸(20)내부의 온도를 영하 1℃정도가 되도록 제어하여 공급한다.
상기 연통구(40)를 통해 공급된 냉기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통구(40)의 냉장실(12)측 개구를 통해 토출됨과 더불어 상기 연통구(40)의 일측에 위치된 서랍식저장칸(20)의 일측면으로 유통되고, 상기 서랍식저장칸(20)의 일측면으로 유통된 냉기는 상기 서랍식저장칸(20)의 일측면에서 차단되어 상기 서랍식저장칸(20)의 일측면과 냉장실(12)의 일측 내벽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해 상기 서랍식저장칸(20)의 상/하면 및 전/후면으로 유통되면서 상기 서랍식저장칸(20)의 외측부를 냉각시키고, 상기 서랍식저장칸(20)의 외부가 냉각됨과 더불어, 상기 서랍식저장칸(20)의 내부가 냉각되어 상기 서랍식저장칸(20)의 내부에 수용된 육류 등의 음식물을 영하 1℃정도의 적정온도에서 비냉동상태로 보관하게 된다.
또, 상기 서랍식저장칸(20)의 측면 또는 후면 등에 공급구(500)가 개방되어 상기 냉동실(11)에서 냉장실(12)의 서랍식저장칸(20) 설치위치로 이동된 냉기가 상기 공급구(500)를 통해 상기 서랍식저장칸(20)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육류 등의 음식물을 적정온도에서 보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냉동실(11)과 냉장실(12)을 구획하는 배리어(13)에 관통 개구된 연통구(40)로 유통되는 냉기로 상기 서랍식저장칸(20) 및 서랍식저장칸(20)의 내부를 냉각함에 있어서, 상기 연통구(40)를 통해 유통되는 냉기가 상기 연통구(40)와 근접된 서랍식저장칸(20)의 일측면에 우선 유통되고, 상기 서랍식저장칸(20)의 일측면에 공급된 냉기 중 일부가 상기 서랍식저장칸(20)의 상/하면 및 전 /후면으로 유통되도록 됨에 따라, 상기 서랍식저장칸(20)의 일측면에 우선 공급된 냉기가 상기 서랍식저장칸(20)이 설치된 냉장실(12)의 실내온도와 열교환작용되어 상기 냉기의 온도가 더 상승된 상태로 상기 서랍식저장칸(20)의 다른 부분으로 유통됨은 물론, 상기 연통구(40)를 통해 유통된 냉기가 서랍식저장칸(20)의 일측면에 부딪혀 비산되면서 상기 서랍식저장칸(20)의 다른 부분으로 유통되는 냉기의 양이 저감되면서 유통되고, 이 저감된 냉기로 상기 서랍식저장칸(20)의 다른 부분이 냉각되도록 됨에 따라, 상기 연통구(40)를 통해 냉기가 우선 유통되는 서랍식저장칸(20)의 일측면과 상기 서랍식저장칸(20)의 상/하면 및 전/후면의 온도가 상이하게 됨은 물론, 상기 서랍식저장칸(20)의 일측면 내부의 온도와 상기 서랍식저장칸(20)의 다른 부분 내부의 온도가 상이하게 되어 상기 서랍식저장칸(20)의 내부에 수용된 육류 등 음식물의 균일한 냉각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상기 육류의 장기간 보관을 위한 적정온도(영하 3℃)나, 상기 육류의 외표면에 표출된 수분을 영하 7℃로 얼려 이 얼음으로 상기 육류 내부의 수분이 증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냉각방법을 적용함에 있어서, 상기 연통구(40)를 통해 공급되는 영하 7℃정도의 저온 냉기가 상기 서랍식저장칸(20)의 일측면은 냉각을 시키고, 다른 부분으로 가면서 그 온도가 상승되거나, 공급되는 냉기가 저감되어 상기 서랍식저장칸(20)의 일측면 주변 이외의 다른 부분에 수용된 육류는 냉각이 되지 않아 상기 육류의 보관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음은 물론, 상기 영하 7℃정도의 냉기가 상기 서랍식저장칸(20) 일측면에서 비산되어 상기 서랍식저장칸(20)의 전방에 위치되는 도어 내측면의 도어 포켓에 수용된 음료수를 냉각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냉장고 서랍식저장칸의 내부에 수용된 육류 등의 음식물 전체에 균일하게 냉기를 공급하도록 된 냉장고용 서랍식저장칸의 냉기공급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냉장실의 냉기를 서랍식저장칸의 내부로만 유통시키도록 되어 상기 서랍식저장칸 이외 냉장실에 수용된 다른 음식물 등이 상기 냉장실에서 유통된 냉기로 인해 이상 냉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냉장고용 서랍식저장칸의 냉기공급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냉동실에서 공급되는 냉기를 서랍식저장칸의 내부로만 유통시키도록 되어 영하 7℃등 다양한 온도의 냉기를 자유로이 서랍식저장칸의 내부로 유통시켜 육류의 장기보관 및 수분 증발을 방지하는 보관을 실현하도록 된 냉장고용 서랍식저장칸의 냉기공급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냉장고 냉동실에서 냉장실로 이동된 냉기가 보다 원활하게 서랍식저장칸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된 냉장고 저장칸의 냉기공급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서랍식저장칸으로 공급되는 냉기의 양을 조절하도록 된 냉장고 저장칸의 냉기공급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서랍식저장칸으로 냉기를 유입시키는 유입구의 의 개방정도를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상기 서랍식저장칸에 보다 정확한 양의 냉기를 공급하도록 된 냉장고 저장칸의 냉기공급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냉장고 냉장실에 수용됨과 더불어, 그 상면이 개방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된 서랍식저장칸과, 이 서랍식저장칸의 상면을 덮어 막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그 내부가 중공된 판형상의 커버와, 상기 커버의 일측에 연통구와 연통되도록 개구된 유입구와, 상기 커버의 하면에 상기 서랍식저장칸의 내측 방향으로 개구된 다수의 토출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연통구와 유입구를 연통시키도록 입구와 출구가 형성된 관형상의 덕트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커버는 냉장고 저장실 선반의 역할을 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유입구를 개/폐하는 유량조절장치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량조절장치는 손잡이와, 회동바와, 직동바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잡이는 상기 커버의 상판 전면에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사용자가 파지하여 조작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동바는 그 중앙부가 상기 상판 또는 하판에 형성된 회전축에 끼워져 회전되는 막대로 구성되며, 그 일단이 상기 손잡이와 연결되고, 그 타단이 상기 직동바와 수직방향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직동바는 상기 회동바의 타단에 형성된 연결핀을 매개로 수직방향으로 끼워져 연결되며 상기 회동바의 회동에 의해 상기 손잡이와 동일한 횡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직동바는 그 선단에 상기 유입구를 막도록 판형상으로 형성된 차단판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직동바는 상기 상판 또는 하판에서 돌출된 지지돌기에 의해 그 이동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사용자의 손잡이 조작으로 회동되는 회동바의 선단이 소정위치에서 고정되도록 위치고정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위치고정판은, 몸체와 탄성판과 안착부 및 배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몸체는 상기 커버의 내측면에 스크루 등의 고정부재를 매개로 체결되는 판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판은 상기 몸체의 상기 회동바 방향 일단이 상기 몸체와 소정간격이격됨과 더불어 그 일측단 부분이 연결되어 상기 몸체에 대해 탄력적으로 몸체 및 회동바의 방향으로 탄성 이동되며, 상기 회동바의 선단이 접하도록 된 판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착부는 상기 회동바의 선단이 삽입되어 안착되도록 상기 탄성판의 회 동바 접촉일단의 소정부가 상기 회동바 선단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척부는 상기 탄성판의 일단에 다수 형성된 안착부들의 사이 부분이 상기 회동바의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착부와 배척부에 접해 이동되는 회동바의 선단에 그 선단면이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된 곡면선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종래 구조를 도시한 도 1 내지 도 3과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표기하면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기공급장치(50)의 덕트(60)가 연통구(40) 및 유입구(71)에 결합되어 상호 연통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냉기공급장치(50)의 덕트(60)와 커버(70)와 서랍식저장칸(20)을 각각 분리하여 나타낸 것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량조절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서랍식저장칸(20)의 개방된 상면을 덮어 막음과 더불어 선반 역할을 하도록 된 커버(70)를 포함하는 냉기공급장치(50)가 형성되어 상기 냉장고 배리어에 개구된 연통구(40)를 통해 유통되는 냉기를 상기 서랍식저장칸(20)의 내부로 균일하게 공급하도록 된다.
또, 본 발명은 서랍식저장칸(20)의 내부로 공급되는 냉기의 양을 조절하도록 유량조절장치(100)가 구비된다.
상기 냉기공급장치(50)는 덕트(60)와, 커버(70)와, 유입구(71)와, 토출구(7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통구(40)는 상기 냉장고 냉동실(11)과 냉장실(12)을 구획하는 격벽형상의 배리어(13)의 일부가 개구되어 형성되며, 상기 서랍식저장칸(20) 설치위치 일측에 형성된 배리어(13)의 일부가 개구되어 상기 연통구(40)가 형성된다.
상기 덕트(60)는 상기 연통구(40)의 냉장실(12) 방향 개구와 상기 유입구(71)에 연통되도록 관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통구(40)의 냉장실(12) 방향 개구에 접하는 부분에 상기 연통구(40)의 개구 형상과 동일한 입구(61)가 개구되어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71)와 접하는 부분에 상기 유입구(71)의 형상과 동일한 출구(62)가 개구되어 형성된다.
상기 커버(70)는 냉장고(10)의 냉장실(12) 하부 등 일측에 설치된 서랍식저장칸(20)의 상면 개구를 덮어 막도록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상면에 다른 음식물을 올려놓을 수 있는 선반의 역할을 하도록 형성된다.
또, 상기 커버(70)는 그 내부가 중공되도록 형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평판 형상을 이루는 하판(90)과, 상기 하판(90)과 동일한 판형상을 이룸과 더불어 그 외주에 상기 하판(90)의 방향으로 측면을 이루는 판이 더 돌출되어 그 하면이 개방된 박스형상으로 형성된 상판(80)으로 구성된 것으로 하며, 상기 상판(80)과 하판(90)은 상호 분리/결합이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상판(80)과 하판(90)이 이루는 공간에 별도의 구성품이 조립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커버(70)는 상기 냉장고(10)의 냉동실(11)과 냉장실(12)을 구획하도록 격벽형상으로 형성된 배리어(13)에 개구된 연통구(40)의 부근에 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서랍식저장칸(20)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입구(71)는 상기 커버(70)의 상판(80) 일부가 개구되어 형성되며, 상기 연통구(40)를 통해 유동되는 냉기가 상기 커버(7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연통구(40)의 근방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유입구(71)는 상기 연통구(40)에 접합된 덕트(60)의 출구(62)와 연통 결합되도록 상기 덕트(60)의 하부 상기 상판(80)이 개구되어 형성된다.
상기 토출구(72)는 상기 유입구(71)를 통해 상기 커버(70)의 내부로 충진된 냉기가 상기 서랍식저장칸(20)의 내부로 이동되도록 상기 커버(70)의 하면을 이루는 하판(90)의 일부가 개구되어 형성된다.
또, 상기 토출구(72)는 상기 서랍식저장칸(20)의 내부 전체에 균일하게 상기 냉기를 공급하도록 상기 하판(90)의 전체면에 걸쳐 다수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유입구(71)로 유입된 냉기가 유동압에 의해 유동되는 방향, 즉 상기 유입구(71)의 형성위치에서 상기 커버(70)의 횡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된 것으로 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토출구(72)가 1 ~ 2열로 배열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유입구(71)는 상기 커버(70)에 선택적으로 설치된 스위치 등에 의해 그 개방면이 개/폐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유입구(71)를 통해 서랍식저장칸(20)의 내부로 충진되는 냉기의 양을 조절하도록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유량조절장치(100)는 손잡이(110)와, 회동바(120)와, 직동바(130) 및 차단판(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110)는 사용자의 조작이 가능한 판재로 구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판(80)의 전면 굴곡면에 밀착되도록 굽혀진 판재의 중앙부에 수직방향으로 판재가 더 부착된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한다.
또, 상기 손잡이(110)의 상면에는 상기 손잡이(110)의 조작에 따른 냉기공급 양을 표시하는 표기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손잡이(110)의 밑면에서 하방향으로 손잡이핀(111)이 돌출 형성되며, 이 손잡이핀(111)은 후술하는 회동바(120)의 손잡이홀(121)에 끼워지도록 봉형상으로 돌출 형성된다.
또, 상기 손잡이(110)의 손잡이핀(111) 또는 손잡이(110)를 지지하도록 밑면에서 돌출된 돌기가 삽입되도록 상기 상판(80)이 개구되어 이동홀(112)이 형성된다.
상기 이동홀(112)은 상기 손잡이(110)가 상기 커버(70)의 전면에서 횡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커버(70)의 전면에 횡방향으로 길게 개구되어 형성된다.
상기 회동바(120)는 상기 손잡이(110)의 하부에서 후술하는 직동바(130)의 일단에 이르도록 뻗어 형성된 막대형상으로 형성되며, 손잡이홀(121)과, 축홀(122)와, 회전축(123)과, 연결핀(124) 및 곡면선단(12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홀(121)은 상기 회동바(120)의 일단, 도 5 및 도 6에서 보아 전방 끝단에 상기 손잡이핀(111)이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개구되어 형성된다.
상기 축홀(122)은 상기 회동바(120)의 중앙부에 개구되며 후술하는 회전축(123)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개구된다.
상기 회전축(123)은 상기 축홀(122)에 대응되는 상기 상판(80) 또는 하판(90)의 위치에서 커버(70)의 내부 방향으로 봉형상을 이루고 돌출 형성된다.
상기 연결핀(124)은 상기 회동바(120)의 손잡이홀(121) 형성 반대방향 끝단에서 후술하는 직동바(130)의 방향으로 봉형상을 이루고 돌출 형성된다.
상기 곡면선단(125)은 상기 회동바(120)의 손잡이(110) 연결부 반대방향 선단이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후술하는 탄성판(152)의 안착부(153)에 그 선단이 안착되어 삽입되도록 상기 안착부(153)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이루면서 상기 안착부(153) 및 후술하는 배척부(154)로 미끄럼 이동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직동바(130)는 상기 회동바(120)의 연결핀(124) 형성위치에서 후술하는 차단판(140)의 형성위치에 이르도록 막대형상을 이루고 형성되며,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동바(120)가 커버(70)의 전면에서 중앙부에 이르도록 커버(70)의 전면에서 보아 종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71) 및 차단판(140)이 상기 커버(70)의 좌측에 형성됨에 따라 상기 직동바(130)는 상기 커버(70)의 중앙에서 좌측에 이르도록 뻗어 형성된 막대형상으로 형성되며, 장공(131)과 지지돌기(1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장공(131)은 상기 회동바(120)의 연결핀(124)이 삽입되어 상기 회동바(120)의 회동에 따라 축홀(122)과의 거리가 확/축되면서 이동되는 것을 지지하도록 상기 연결핀(124)의 이동방향 및 이동폭과 동일한 이동방향 및 이동폭을 이루도록 일방향으로 길게 개구된다.
상기 지지돌기(132)는 상기 회동바(120)의 회동에 의해 직선 이동되는 직동바(130)의 직선운동을 지지하도록 상기 직동바(130)의 양측단을 지지하도록 상기 상판(80)의 내측면에서 중앙방향으로 박스 또는 막대형상을 이루고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차단판(140)은 상기 유입구(71) 전면을 덮어 막도록 상기 유입구(71)와 동일한 판 형상을 이루고 형성되고, 상기 직동바(130)의 선단에 부착되거나 일체로 형성된다.
또, 상기 차단판(140)은 레일(141)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레일(141)은 상기 차단판(140)이 접합되는 유입구(71)의 양단에 한 쌍의 막대형상을 이루고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레일(141)은 그 내측면에 상기 차단판(140)의 양단이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유입구(71)의 전면은 물론 외측으로 이동되는 차단판(140)을 모두 지지하도록 상기 차단판(140)의 이동폭과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유량조절장치(100)는 위치고정판(150)을 더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위치고정판(150)은 몸체(151)와, 탄성판(152)과, 안착부(153)와, 배척부(15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151)는 판형상을 이루고 형성되어 상기 커버(70)의 상판(80) 또는 하판(90)의 내측면에 스크루 등의 고정부재를 매개로 체결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판(80)의 내측면에 체결되는 판재로 구성된다.
상기 탄성판(152)은 상기 몸체(151)와 상기 회동바(120)의 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판재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151)의 일측단과 일체로 연결되면서 형성되어 상기 몸체(151) 및 회동바(120)의 방향으로 탄성 이동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안착부(153)는 상기 탄성판(152)의 회동바(120)방향 일단에 함몰되어 형성되며, 상기 회동바(120)의 곡면선단(125)이 삽입되도록 상기 곡면선단(125)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또, 상기 안착부(153)는 상기 탄성판(152)의 일단에 다수가 형성되며, 상기 회동바(120)가 고정되어야 할 부분, 즉 상기 유입구(71)를 개/폐시키는 차단판(140)이 이동 후 고정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가 함몰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안착부(153)는 상기 탄성판(152)의 양측단 부분에 각각 1개씩 2개가 함몰 형성되어 상기 차단판(140)이 상기 유입구(71)를 완전히 개방하는 위치와, 상기 유입구(71)를 완전히 차단하는 위치의 2지점에 함몰된 것으로 하였으나, 상기 탄성판(152)의 중앙 부분에 다수가 더 함몰 형성되어 상기 유입구(71)를 보다 다양한 면적으로 개방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배척부(154)는 상기 안착부(153)들의 사이 부분이 상기 회동바(120)의 방향으로 완곡면을 이루면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 상기 배척부(154)는 상기 인접된 2개의 안착부(153) 사이에 형성되므로, 상기 안착부(153)의 형성 개수에 따라 다수가 형성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냉장고용 서랍식저장칸의 냉기공급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서랍식저장칸(20)에 수용된 육류 등 비교적 냉장실(12)의 온도에 비해 낮은 온도로 보관할 필요가 있는 음식물을 냉각시키기 위해 냉동실(11)의 온도제어장치를 제어하여 연통구(40)로 유통될 냉기의 온도를 조절하고, 상기 연통구(40)를 개방하여 상기 냉동실(11)의 냉기를 냉장실(12)의 내부로 유통시킨다.
상기 연통구(40)가 개방됨과 더불어 상기 냉동실(11)의 냉기가 상기 연통구(40)를 통해 냉장실(12)의 방향으로 유통되고, 상기 연통구(40)로 유통된 냉기는 상기 연통구(40)의 냉장실(12) 방향 개구에서 상기 냉장실(12)의 내부로 토출된다.
이때, 상기 연통구(40)의 냉장실(12) 방향 개구에 접해 연통된 덕트(60)의 입구(61)로 상기 냉기가 유입되고, 상기 입구(61)로 유입된 냉기가 상기 입구(61)와 연통된 덕트(60)의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덕트(60)의 내부로 유입된 냉기는 상기 덕트(60)의 형상을 따라 서랍식저장칸(20)의 상면에 위치된 커버(70)의 방향으로 유통된다.
상기 덕트(60)에서 커버(70)방향으로 유통된 냉기는 상기 덕트(60)의 타측 끝단에 형성된 출구(62)를 통해 상기 덕트(60)의 외부로 토출된다.
여기서, 상기 덕트(60)의 출구(62)와 커버(70)의 유입구(71)가 상호 연통되어 결합됨에 따라 상기 덕트(60)의 출구(62)로 토출된 냉기는 상기 커버(70)의 유입구(71)를 통해 상기 커버(70)의 중공된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커버(70)의 내부로 유입된 냉기는 상기 커버(70)의 하판에 개구된 토출 구(72)를 통해 커버(70)의 외부로 토출됨과 더불어, 상기 하판(90)의 하부에 형성된 서랍식저장칸(20)의 내부로 충진된다.
여기서, 상기 토출구(72)는 상기 서랍식저장칸(20)의 전체에 걸쳐 냉기가 유통되도록 상호 등간격을 이루고 형성되어 상기 서랍식저장칸(20) 전체에 걸쳐 균일한 양의 냉기가 토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토출구(72)를 통해 상기 서랍식저장칸(20) 내부의 전체로 비산된 냉기는 상기 서랍식저장칸(20)의 내부에 수용된 육류 등의 음식물을 적정 온도로 냉각시켜 보관하게 된다.
또, 상기 서랍식저장칸(20)의 내부 온도를 조절하거나, 상기 서랍식저장칸(20)에 수용된 음식물의 특성에 따라 상기 서랍식저장칸(20)으로 공급되는 냉기의 양을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가 손잡이(110)를 파지한 상태에서 일방향으로 가압하면, 상기 손잡이(110)가 상기 커버(70)의 횡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손잡이(110)는 상기 커버(70)의 상판(80) 전면에 일방향으로 길게 개구된 이동홀(112)을 따라 이동되며, 상기 손잡이(110)의 밑면에 형성된 손잡이핀(111)이 상기 손잡이(110)와 동시에 상기 사용자의 가압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손잡이핀(111)이 커버(70)의 일측 방향으로 이동됨과 더불어, 상기 손잡이핀(111)에 결합된 회동바(120)의 손잡이홀(121) 부분이 상기 손잡이(110)의 이동방향으로 가압되면서 상기 회동바(120)가 회전축(123)을 중심으로 상기 손잡이홀(121)측 부분이 손잡이(110)의 이동방향으로 회동되고, 상기 회동바(120)의 연결핀(124)측 부분이 손잡이(110)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동된다.
상기 회동바(120)의 연결핀(124)측 부분이 손잡이(110)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동됨과 더불어, 상기 연결핀(124)에 결합된 직동바(130)의 장공(131)이 가압되면서 상기 직동바(130)가 손잡이(110)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동된다.
이때, 상기 직동바(130)는 다수의 지지돌기(132)에 의해 그 이동이 지지되고, 상기 회동바(120)는 회동 작동되면서 상기 연결핀(124)은 상기 직동바(130)에 상대적으로 수직방향 이동되지만, 상기 직동바(130)의 장공(131)이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연결핀(124)의 직동바(130)에 대한 수직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직동바(130)의 장공(131)이 가압되면서 상기 직동바(130)가 상기 손잡이(110)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며, 이때 상기 직동바(130)의 양측단이 다수의 지지돌기(132)에 의해 지지됨에 따라 상기 직동바(130)는 상기 커버(70)의 횡방향으로 직선 운동된다.
상기 직동바(130)가 이동됨과 더불어, 상기 직동바(130)의 선단에 형성된 차단판(140)이 상기 직동바(130)와 동시에 이동된다.
이때, 상기 차단판(140)의 양단은 상기 유입구(71)의 양단에 형성된 레일(141)에 지지되면서 상기 직동바(130)와 같이 직선 운동된다.
상기 차단판(140)이 상기 직동바(130)와 함께 이동되면서 상기 차단판(140)이 폐쇄하고 있던 유입구(71)가 개방되고, 상기 개방된 유입구(71)를 통해 상기 냉기의 유통이 이루어진다.
또, 상기 사용자의 손잡이(110) 조작에 의해 회동되는 회동바(120)의 선단이 위치고정판(150)의 탄성판(152) 일단에 접해 있으므로, 상기 회동바(120)의 선단은 최초 상기 안착부(153)의 내부로 삽입되어 안착된 상태를 이루게 되고, 상기 사용자의 손잡이(110)조작에 의해 상기 회동바(120)가 회전축(123)을 중심으로 일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회동바(120)의 선단이 가압되어 상기 안착부(153)의 내부에서 미끄럼 이동되면서 이탈된다.
여기서, 상기 회동바(120)의 선단은 본 실시예에서 안착부(153)에 삽입되고 곡면을 이루도록 원형으로 형성된 곡면선단(125)으로 구성된 것으로 한다.
상기 안착부(153)에서 이탈된 곡면선단(125)은 상기 안착부(153)들의 사이 부분에 형성된 배척부(154)로 이동되며, 이 배척부(154)가 상기 곡면선단(125)의 방향으로 돌출 형성됨에 따라, 상기 곡면선단(125)과 배척부(154)가 상호 가압된다.
상기 가압된 배척부(154)는 상기 몸체(151)의 일측단에 탄발적으로 연결되어 형성된 탄성판(152)의 상기 곡면선단(125)방향 탄력에 의해 상기 몸체(151)의 방향으로 소정폭 이동됨과 더불어, 상기 곡면선단(125)에 탄발력을 가하게된다.
또, 상기 곡면선단(125)과 배척부(154)는 모두 곡면을 이루고 형성됨에 따라, 상기 고정된 배척부(154)에 대해 상기 곡면선단(125)이 배척부(154)의 곡면을 따라 미끄럼 이동되면서 최초 안착부(153)에 인접된 다른 안착부(153)로 삽입되어 안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손잡이(110) 조작에 의해 회동되는 회동바(120)은 상기 회동바(120)의 곡면선단(125)이 최초 안착부(153)에서 가압되고 배척부(154)에서 지속적으로 가압되면서 미끄럼 이동되어 다른 안착부(153)로 삽입 고정되므 로, 상기 회동바(120)와 직동바(130)에 연결된 차단판(140)이 상기 안착부(153)의 각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만큼 각각 이동되어 상기 유입구(71)를 개방하면서 해당 위치에서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안착부(153)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판(152)의 양측단 부분에 함몰 형성됨에 따라 상기 사용자이 손잡이(110) 조작에 의해 상기 차단판(140)이 최초 유입구(71)를 폐쇄하는 위치에서 완전히 개방하는 위치로 이동되어 고정되면서 상기 유량조절장치(100)가 작동된다.
이에 따라, 상기 손잡이(110)의 이동 및 안착부(153)의 형성 위치에 따라 상기 차단판(140)이 상기 유입구(71)를 소정폭으로 개/폐하면서 상기 유입구(71)를 통해 커버(70)의 내부 및 서랍식저장칸(20)의 내부로 공급되는 냉기의 공급 및 중단을 제어하도록 되고, 상기 손잡이(110)의 이동정도에 따라 상기 차단판(140)의 상기 유입구(71) 개/폐정도가 변경되면서 상기 냉기의 공급정도를 변경하면서 상기 서랍식저장칸(20)의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의 냉각을 이루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냉장고 냉동실에서 연통구를 통해 서랍식저장칸이 설치된 냉장실로 유입된 냉기가 상기 서랍식저장칸 이외의 지점으로 이동되어 상기 냉장실에 수용된 다른 음식물을 지나치게 냉각시키는 것이 방지됨과 더불어, 상기 냉기 전부가 서랍식저장칸의 내부로 충진되도록 되어 상기 서랍식저장칸의 냉각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서랍식저장칸 내부 전체에 걸쳐 균일한 온도의 냉기와 균일한 양의 냉기를 공급하여 상기 서랍식저장칸에 수용된 음식물의 균일한 냉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서랍식저장칸의 상부에 선반 역할을 하는 커버가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서랍식저장칸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공급장치를 이루도록 되어 상기 냉기공급장치의 제작 및 조립이 용이함은 물론, 사용자의 활용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냉기공급장치의 커버로 유입된 냉기가 안내대의 안내에 의해 상기 커버에 형성된 다수의 토출구 전체를 통해 토출되도록 됨에 따라, 서랍식저장칸의 전부분에 대한 균일한 냉기 공급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냉기공급장치의 커버에 형성된 손잡이를 이동시킴으로서, 상기 손잡이와 함께 유입구를 막는 차단판이 이동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공급되는 냉기의 공급 및 차단과 공급정도를 제어하도록 됨에 따라, 서랍식저장칸에 수용된 음식물에 따라 보다 적절한 냉기 공급을 이루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유입구를 막는 차단판이 소정위치에서 고정되도록 되어 상기 유입구의 면적이 정확하게 개방되면서 서랍식저장칸의 정확한 냉각조절 이 가능하도록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냉장고에 설치되는 서랍식저장칸의 개구된 상면을 덮어 막도록 그 내부가 중공된 판형상으로 형성된 커버와,
    상기 커버의 상면 일측에 개구된 유입구와,
    상기 커버의 하면에 개구된 토출구와,
    사용자가 이동 조작하도록 커버 외측에 형성된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이동에 의해 상기 유입구가 개/폐되도록 상기 손잡이에 연결됨과 더불어 상기 유입구를 막도록 설치된 차단판과, 상기 차단판에 연결되고 상기 차단판의 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직동바와, 상기 커버 내부의 회전축에 그 중앙부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일단이 상기 손잡이와 연결되며 그 타단이 직동바와 연결된 회동바와, 상기 회동바의 선단이 소정위치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회동바의 선단에 접하도록 커버의 내측면에 체결된 위치고정판으로 이루어진 유량조절장치와,
    상기 냉장고 냉동실과 냉장실 사이의 배리어에 개구된 연통구에 그 일단이 연통되고 상기 유입구에 그 타단이 연통되도록 결합된 덕트를 포함하여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서랍식저장칸의 냉기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밑면에 커버의 내부로 관통되도록 돌출 형성된 손잡이핀과,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커버의 전면에 대해 상기 손잡이가 횡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손잡이핀이 관통되도록 개구됨과 더불어 상기 커버의 전면에 대해 횡방향으로 길게 개구된 이동홀과,
    상기 손잡이핀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회동바의 일단에 개구된 손잡이홀이 더 구비된 유량조절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저장칸의 냉기공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바의 직동바 결합부분에 상기 직동바의 방향으로 돌출된 연결핀과,
    상기 회동바의 회동에 의해 일방향으로 이동됨과 더불어 상기 이동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이동되는 연결핀이 삽입 수용되도록 상기 직동바의 회동바 결합부분에 일방향으로 길게 개구된 장공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유량조절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저장칸의 냉기공급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바의 회동에 따라 직동바가 직선 이동되도록 상기 직동바의 양단을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돌기가 상기 커버의 내측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진 유량 조절정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저장칸의 냉기공급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이 직선 이동되도록 상기 유입구의 양단에 상기 차단판의 양단이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레일이 구비되어 이루어진 유량조절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저장칸의 냉기공급장치.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판은,
    상기 커버의 내측면에 체결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단부가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몸체와 회동바 선단의 방향으로 소정폭 이격되어 상기 회동바 선단과 탄발적으로 접촉되는 탄성판과,
    상기 탄성판의 회동바 선단방향 일단에 상기 회동바 선단에 대응되는 형상을 이루고 다수지점에 함몰 형성된 안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저장칸의 냉기공급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판의 회동바 선단방향 일단의 상기 안착부들의 사이부분이 상기 회동바 선단방향으로 곡면을 이루도록 돌출 형성된 배척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저장칸의 냉기공급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바의 선단이 상기 안착부 및 배척부에서 미끄럼 이동되도록 곡면을 이루고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저장칸의 냉기공급장치.
KR1020050038234A 2005-05-07 2005-05-07 냉장고 저장칸의 냉기공급장치 KR20060115837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8234A KR20060115837A (ko) 2005-05-07 2005-05-07 냉장고 저장칸의 냉기공급장치
DE102006020827.7A DE102006020827B4 (de) 2005-05-07 2006-05-04 Kühlschrank-Kühlluftzuführvorrichtung
US11/418,503 US7856844B2 (en) 2005-05-07 2006-05-05 Cooling air supply apparatus of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8234A KR20060115837A (ko) 2005-05-07 2005-05-07 냉장고 저장칸의 냉기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5837A true KR20060115837A (ko) 2006-11-10

Family

ID=37653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8234A KR20060115837A (ko) 2005-05-07 2005-05-07 냉장고 저장칸의 냉기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1583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27493A (ja) * 2018-08-14 2020-02-20 株式会社Rinn 仮想通貨積立管理システム、仮想通貨積立管理端末装置、仮想通貨積立管理生成方法及び仮想通貨積立管理プログラム
WO2022239936A1 (ko) * 2021-05-14 2022-11-1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27493A (ja) * 2018-08-14 2020-02-20 株式会社Rinn 仮想通貨積立管理システム、仮想通貨積立管理端末装置、仮想通貨積立管理生成方法及び仮想通貨積立管理プログラム
WO2022239936A1 (ko) * 2021-05-14 2022-11-1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56844B2 (en) Cooling air supply apparatus of refrigerator
KR100660700B1 (ko) 냉장고 저장칸의 냉기공급장치
CN101131276A (zh) 一种冰箱储藏室冷气的供给装置
KR101496679B1 (ko) 냉장고
KR20060115837A (ko) 냉장고 저장칸의 냉기공급장치
JP5230990B2 (ja) 貯蔵庫
KR100570531B1 (ko) 냉장고
CN101131277B (zh) 电冰箱用抽屉式冷藏箱的冷气供给机构
JP2007187362A (ja) 冷蔵庫
KR100690149B1 (ko) 냉장고 저장칸의 냉기공급장치
JP2004061084A (ja) 冷気通路制御装置
KR100508477B1 (ko) 냉장고
KR101615373B1 (ko) 가변 가이드를 갖는 냉장고 멀티 덕트
KR100484660B1 (ko) 용량 가변형 냉장고
JP4820787B2 (ja) 冷蔵庫
KR101461961B1 (ko) 냉장고
KR20060128420A (ko) 냉장고 저장칸의 냉기공급장치
KR0133008Y1 (ko) 냉장고용 선반의 높이조절장치
KR100358771B1 (ko) 냉장고용 신선실 겸용 야채박스의 냉기공급구조
KR20060128427A (ko) 냉기유량조절장치가 포함된 냉장고용 서랍식 저장칸커버
KR100245570B1 (ko) 냉장고의 냉기 순환구조
KR0159709B1 (ko) 용량가변형 냉장고
KR0113426Y1 (ko) 냉장고의 냉기공급 조절장치
US11674734B2 (en) Thermal mass for preserving food in functional compartments
CN101131275A (zh) 冰箱储藏室冷气的供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