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5758A - 단백질과 효소 저해물질을 함유하는 미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단백질과 효소 저해물질을 함유하는 미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5758A
KR20060115758A KR1020067013400A KR20067013400A KR20060115758A KR 20060115758 A KR20060115758 A KR 20060115758A KR 1020067013400 A KR1020067013400 A KR 1020067013400A KR 20067013400 A KR20067013400 A KR 20067013400A KR 20060115758 A KR20060115758 A KR 200601157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in
forming agent
film
extract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3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98607B1 (ko
Inventor
파올로 유 지아코모니
아불 엠 마니라즈만
피터 제이 렌티니
할베이 게데온
Original Assignee
이엘씨 매니지먼트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엘씨 매니지먼트 엘엘씨 filed Critical 이엘씨 매니지먼트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060115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57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8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86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45Proteins of vegetable origin;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11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17Rhodophycota or Rhodophyta [red algae], e.g. Porphy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22Chlorophycota or Chlorophyta [green algae], e.g. Chlorell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8Enzyme modulators, e.g. Enzyme agonists
    • A61K2800/782Enzyme inhibitors; Enzyme antagonis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Dermat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래의 성분: 수용성 단백질-기초된 도막-형성제(film-forming agent), 상기 도막-형성제는 나선-코일 전환이 자발적으로 진행될 수 있는 3차 구조를 보유하고; 각질층에서 상기 단백질을 보호할 만큼 충분한 양의 프로테아제 저해물질; 미용학적으로 허용되는 운반제를 함유하는 미용 조성물에 관계하고, 상기 프로테아제 저해물질은 상기 도막-형성제의 견인 효과(pulling effect)를 연장시킨다.
미용 조성물

Description

단백질과 효소 저해물질을 함유하는 미용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 Protein and An Enzyme Inhibitor}
본 발명은 피부 도포용 미용 조성물에 관계한다. 특히, 본 발명은 연장된 견인 효과(pulling effect)/탄력증가 효과(tightening effect)를 제공함으로써 피부의 외관을 향상시키는 미용 조성물에 관계한다.
단백질은 인간 피부 조성의 필수 성분이다. 특히, 단백질은 효소로서 기능하고, 생물 반응을 촉매하고, 수송 단백질로서 기능하고, 다양한 기관에 결합하고 생물분자를 운반하며, 항체로서 작용하고, 구조 실체로서 작용하고, 많은 조직의 주요 골격을 형성하기 때문에, 피부 노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단백질의 역할을 이해하기 위하여, 인간 피부의 조성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인간 피부는 2가지 주요 층으로 구성된다. 상층, 표피(epidermis)와 이의 최외부 각질층은 섬유성 단백질 케라틴을 보유하고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 덮개로서 기능한다. 두 번째 층, 진피(dermis)는 기저막(basal membrane)에 의해 표피에 연결되고, 신경과 혈관을 통하여 피부를 나머지 신체에 연결한다. 진피는 혈관, 신경섬유, 림프관(lymphatic vessel)이 갖추어져 있고, 주로 콜라겐 섬유 및 제한된 양 의 엘라스틴과 레티쿨린(reticulin) 섬유의 섬유성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세포 분화와 박리(desquamation) 과정은 여러 층으로 구성되는 박리성 다층상 상피(desquamative pluristratifed epithelium)인 표피에서 진행된다. 표피 분화는 표피의 외부층에 도달할 때까지 표피의 바닥층에서 형성된 세포의 연속적인 배향된 성숙 과정을 나타낸다. 박리는 상피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세포의 이탈이다.
표피에서, 기저층(basal layer)이라고 하는 최내부 층이 표피 세포를 생산한다. 기저층 상부에, 유극 세포층(prickle cell layer)은 각화세포(keratinocyte) 및 기저층에서 본래 생산된 여러 층의 중복 세포로 구성된다. 과립층(granular layer)은 케라토하알린 과립(keratohyalin granule)이라고 하는 세포질내 봉입체(cytoplasmic inclusion)를 보유하는 평편 세포(flattened cell)를 포함한다. 과립층에서, 죽은 세포 물질을 케라틴으로 전환시키는 다수의 효소가 방출된다. 최종적으로, 각질층으로 알려져 있는 외부 각질층(horny layer)은 층으로 쌓인 각질세포(corneocyte)를 보유하는데, 이들은 분화의 최종 단계에서 각화세포, 다시 말하면, 완전히 각화된 사멸 세포이다. 각질세포는 사이토케라틴(cytokeratin)을 보유하는 섬유성 매트릭스로 주로 구성되고, 각질 외피(horny envelope)라고 하는 고도 내성 구조로 둘러싸여 있다. 각질층은 표피의 장벽 기능을 주도하고 선택적 투과성을 보유하는데, 이는 수증기, 산소, 다른 가스의 교환을 조절함으로써 피부의 생리학적 수화(hydration)를 담보한다.
분화 과정에 진입하는 세포 수 및 박리 과정에서 박리하는 세포 수를 조절함으로써, 일정한 두께를 유지시켜 표피의 항상성(homeostasis)을 담보한다. 표피 분 화는 일정한 두께를 유지시켜 표피의 항상성을 담보하는 완전하게 공조된 현상의 결과이다.
각질세포와 피부간에 형성된 결합은 박리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정상적인 박리 과정동안, 가장 외면의 각질세포만 표피 표면으로부터 이탈된다. 기저층부터 과립층까지, 부착반(desmosome) 및 사이토케라틴의 중간 섬유(intermediate filament)로 정의되는 세포 네트워크(transcellular network)에 의해 부착이 제공된다. 이런 네트워크는 절박부착반(hemidesmosome)에 의해 기저막에 고정된다. 각질층에서, 코르네오솜(corneosome) 또는 코르네오데스모솜(corneodesmosome)이라고 하는 부착반으로부터 유래된 세포간 구조에 의해 부착이 제공되는데, 상기 구조는 각질세포의 각질 외피를 서로 단단하게 연결시킨다. 표피(비-수장족저(non-palmoplantar))에서, 코르네오데스모솜은 각질층의 하위 부분에서 전체 각질세포 표면 위에 존재하는 반면, 상위 부분에는 주변 코르네오데스모솜만 존속한다.
더욱 심부의 생존 층에서 생산된 효소는 순차적으로 상보적인 방식으로 작용하여 피부 표면에서 각질세포의 최종 방출을 유도한다. 박리에 참여하는 것으로 생각되는 주요 효소는 글리코시다아제와 프로테아제이다. 프로테아제는 단독으로 작용할 수 없고, 글리코시다아제를 수반하는 예비 작용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프로테아제는 박리 과정에 더욱 폭넓게 관여한다. 건조증(xerosis), 어린선(ichthyosis), 건선(psoriasis), 특정 양성이나 악성 종양 병소, 반응성 과각화증(reactive hyperkeratosis)과 같은 다수의 피부 장애가 비정상적인 박리에 연계 된다. 한가지 해법으로, 참고문헌에서는 박리를 보조하고, 결과적으로 박탈(exfoliation) 과정을 보조하는 프로테아제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교시한다. 프로테아제 저해물질은 박리 과정을 보조하는 이들 프로테아제에 의한 붕괴를 저해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프로테아제가 박리를 보조하는 것으로 생각되긴 하지만, 프로테아제는 피부와 수용액 모두에서 단백질의 붕괴를 주도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단백질이 피부 노화 과정에서 보조를 비롯하여 피부에 다수의 유익한 이점을 제공하기 때문에, 이들 단백질을 프로테아제로부터 보호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각질층에서, 평균적인 단백질은 파괴되기에 앞서 단지 2일간 생존하고, 이의 화학적 일부가 재활용되거나 폐기물로서 배출된다(참조: Deciphering The Message of Life's Assembly, David Brown, MD, Washington Post, 1999).
U.S. Patent No. 6,511,957(Green et al., 이후 “특허 '957”)에서는 피부에 보호층을 제공하는 각질세포 외피 단백질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교시한다. 상기 보호층은 피부에서 각질세포 외피를 모방하고, 따라서 해로운 물체의 피부 침투로부터 보호를 제공한다. 특허 '957에서는 프로테아제에 의한 분해로부터 이런 보호층을 보호하기 위한 프로테아제 저해물질의 용도 역시 교시한다; 하지만, 특허 '957에서는 보호되는 단백질을 각질세포 단백질을 모방하는 단백질과 같은 일군의 자연-발생 불수용성 인간 단백질로 한정한다. 특허 '957에서는 실재하는 것으로 간주되는 자연 단백질인 “피부 구조화 단백질(skin structuring protein)”의 피부 첨가를 또한 교시한다.
공지된 참고문헌에서는 단백질이 유익한 효과를 완전하게 제공할 수 있기 전에 박리 과정이 이들 단백질의 효과를 실질적으로 저해할 수 있다는 문제점을 전혀 인식하지 못하였다. 게다가, 이들 참고문헌에서는 주름진 외관을 감소시키는데 있어 단백질의 유익한 기능을 전혀 교시하지 못하였다. 이런 이유로, 주름진 외관을 감소시키는 신규한 수단을 제공하면서 피부에 대한 단백질-기초된 물질의 효과를 연장시키는 미용 조성물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아래의 성분을 함유하는 미용 조성물에 관계한다: 수용성 단백질-기초된 도막-형성제(film-forming agent), 상기 도막-형성제는 나선-코일 전환(helix-coil transformation)이 자발적으로 진행될 수 있는 3차 구조를 보유한다. 상기 조성물은 각질층에서 상기 단백질을 보호할 만큼 충분한 양의 프로테아제 저해물질 및 미용학적으로 허용되는 운반제를 추가로 함유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아래의 성분을 함유하는 미용 또는 약제 조성물을 도포하여 주름진 외관을 일시적으로 감소시키는 방법에 관계한다: 각질세포에 결합할 수 있는 수용성 단백질-기초된 도막-형성제(film-forming agent), 상기 도막-형성제는 견인 효과(pulling effect)를 유도하는 나선-코일 전환이 자발적으로 진행될 수 있는 3차 구조를 보유하고; 각질층에서 상기 단백질을 보호할 만큼 충분한 양의 프로테아제 저해물질; 미용학적으로 허용되는 운반제, 여기서 상기 프로테아제 저해물질은 상기 도막-형성제의 견인 효과를 연장한다.
각질층 내에서 각질세포를 묶는 결합은 박리 과정의 일부로서 파괴된다. 임의의 이론에 한정됨 없이, 도막-형성제는 각질세포에 결합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런 이유로, 박리동안 결합이 파괴되면, 이들 도막-형성제 역시 파괴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런 결합 파괴가 피부에서 박리의 유익한 과정에 연계되기 때문에, 박리로부터 보호함으로써 이들 결합의 파괴를 예방하려는 시도는 반-직관적이고 전례가 없다. 놀랍게도, 본 발명에서 프로테아제 저해물질이 각질층 내에서 각질세포를 묶는 결합의 파괴로부터 보호하고, 따라서 각질층에 도포된 특정한 종류의 도막-형성제를 보호하기 위하여 각질층에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런 보호를 통하여, 이들 도막-형성제의 미용적 이점 역시 연장된다.
본 발명은 나선-코일 전환(helix-coil transformation)이 자발적으로 진행될 수 있는 3차 구조를 보유하는 수용성 단백질-기초된 도막-형성제(film-forming agent, 이후 “도막-형성제”)를 함유하는 미용 조성물에 관계한다. “3차 구조”는 단백질에서 모든 원자의 3차원 정렬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3차 구조는 이미 형성된 2차 구조와 함께 단백질 골격 사슬의 접힘 과정으로부터 형성된 형태를 지칭한다. 접힘은 단백질의 합성동안 2차 구조에 겹쳐진다. 이런 이유로, 3차 구조는 빈번하게 접힘으로 지칭된다.
“나선-코일 전환이 자발적으로 진행되는”은 변성제(denaturating agent)의 도움 없이 피부와 접촉이후 선형 상태에서 3차 상태 등으로의 자동적 또는 자발적 전환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대부분의 단백질이 일차 선형 상태에서 3차 상태로의 전환이 진행되긴 하지만, 많은 단백질이 풀림(unfloding)될 수 없거나 풀림에 변성제를 필요로 한다(참조: Simple Models for Protein Structure and Folding, Nicholas Donald Socci, 1992). 특정 종류의 단백질은 초기 상태에서 단백질과 유사하고, 따라서 상기 단백질은 이들 단백질을 함유하는 미용 운반제가 예로써 건조 또는 증발에 의해 변화되는 경우와 같은 환경 변화로 인하여, 접힘되고 풀림되는 나선-코일 전환이 진행되고 피부에 견인 효과를 유도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적절하게는, 이런 종류의 단백질에는 식물, 야채, 조류 또는 박테리아 공급원 및 생물공학적으로 합성된 단백질로부터 유래된 단백질이 포함되고, 도막-형성제를 제공하는 동물 공급원 역시 이용될 수 있다. 이들 단백질에는 실크로부터 유래된 단백질(Silk Crystal, Charles B. Chrystal Co. Inc.), 아몬드 단백질(Polylift, Silab), 우유로부터 유래된 단백질(Lactofrm, Barnet Products), 유장으로부터 유래된 단백질(Versapro E, Davisco), 간장 단백질, 담뱃잎 단백질, 박테리아로부터 유래된 단백질, 콩으로부터 유래된 섬유성 단백질, 알부민과 같은 계란 흰자로부터 유래된 단백질이 포함되지만 이들에 국한되지 않는다. 특히 선호되는 단백질은 Silk Crystal과 같은 실크로부터 유래된 단백질이다.
본 명세서에서, “견인 효과”는 특히, 피부의 탄력증가(tightening) 효과를 의미한다. 탄력증가는 예로써 실시예 1에 기술된 Gas Bearing Electrodynamometer(GBE)로 측정된다. 이들 단백질 기초된 도막-형성제는 피부 탄력이 적어도 2%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대략 3% 내지 60%, 가장 바람직하게는 대략 4% 내지 40%의 탄력증가 인자(TF)로 증가하는 경우에 본 발명에 정의된 바와 같은 견인 효과를 나타낸다.
나선-코일 전환이 자발적으로 진행될 수 있는 도막-형성제는 피부에 견인 효과를 유도하고, 따라서 피부의 탄력을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도막-형성제가 각질층에서 한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 전환되기 때문에, 이런 전환은 피부를 팽팽하게 유지시키는 견인 효과를 발생시킨다. 임의의 이론에 한정됨 없이, 도막-형성제는 각질세포에 결합하여 견인 효과를 유도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런 이유로, 견인 효과는 주름진 외관을 최소화시킨다. 본 발명은 피부에 대한 견인 효과를 연장시켜 주름살과 잔주름의 최소화를 연장시키는 놀랍고 새로운 조합을 제공한다.
도막-형성제는 피부에 대한 견인 효과를 유도할 만큼 충분한 양으로 제공된다. 조성물은 포유동물 피부, 털 및/또는 손발톱에 국소 투약에 적합하도록 조제된다. 양은 제제 및 요구되는 성능에 좌우된다. 일반적으로, 대략 0.001 내지 90wt%,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80wt%, 더욱 바람직하게는 대략 0.01% 내지 50%, 가장 바람직하게는 대략 0.01% 내지 5%의 양으로 사용된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조성물은 각질층에서 도막-형성제를 보호할 만큼 충분한 양의 프로테아제 저해물질을 추가로 함유한다. 놀랍게도, 프로테아제 저해물질은 각질층에서 박리를 예방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결과적으로, 프로테아제 저해물질은 각질층에서 도막-형성제를 분해시키는 프로테아제로부터 단백질-기초된 도막-형성제를 보호하여 상기 도막-형성제의 견인 효과를 연장시킨다.
선호되는 프로테아제 저해물질에는 식물, 동물, 오일로부터 추출물 및 합성과 천연 분자가 포함되지만 이들에 국한되지 않는다. 가령, 프로테아제 저해물질에는 시계풀(passion flower), 블랙 커런트, 포도 잎 추출물의 혼합물인 A E 복합체(Barnet Products), 덱스트란과 테트라펩티드-1인 A.L.E.(Anti-Leuco elastase)(Vincience), 홉 추출물(Alpha Lupulin, Indena), 가수분해된 갈파래(ulva lactuca) 추출물(Aosaine, Secma), 구장(areca catechu)(Betel Nut) 추출물(Giepl), 청조류 추출물(Collaborative Labs), 계란 추출물(Orew Plus, Inovatech Inc.), 흰자작나무 추출물(Premier Specialties Inc.), 알리신, 아프로티닌, 류펩틴, 베스타틴, 펩스타틴 A, N-알파-p-토실-L-리실-클로로메틸-케톤과 다른 아미노산 유사체, 트립신-키모트립신 저해물질이 포함되지만 이들에 국한되지 않는다.
프로테아제 저해물질은 도막-형성제를 보호할 만큼 충분한 양으로 제공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전체 제제에서 대략 0.01 μM 내지 100 mM, 가장 바람직하게는 대략 0.1 μM 내지 1 μM의 양으로 사용된다. 가공되지 않은 형태로 사용되는 경우에, 도막-형성제는 대략 0.001 내지 90wt%의 양으로 사용된다. 적절하게는, 대략 0.001 내지 60wt%, 가장 적절하게는 대략 0.01 내지 5wt%의 양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중요한 측면은 주름진 외관을 감소시키는 유익한 견인 효과를 피부에 제공하기 위하여 도막-형성제가 각질층에 존속해야 한다는 점이다. 도막-형성제가 피부에 더욱 깊숙하게 침투하게 되면, 이들 유익한 단백질이 급속하게 파괴된다. 더 나아가, 항-침투제(anti-penetrant)가 각질층에서 도막-형성제의 더욱 균일한 분포를 촉진한다. 이런 이유로, 대안적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도막-형성제를 각질층에 유지시키는 항-침투제를 함유한다. 항-침투제의 실례는 피부에 깊숙이 침투할 수 없는 고분자량 대형 중합체이다. 선호적 용해도(preferential solubility)를 제공함으로써, 재료는 피부 조직 성분에서보다 일정한 중합체에서 더욱 용해될 수 있다. 이런 이유로, 물질이 피부 조직 성분에서보다 중합체 시스템에서 더욱 우수한 용해도를 보이고 상기 중합체가 침투하기에 너무 큰 경우에, 문제가 된 재료 역시 침투하지 못한다.
앞선 단락에서 언급된 기준에 기초하여, 다수의 중합성 물질이 본 발명의 항-침투제로서 유용할 것으로 고려된다. 이들 연합 특성을 보이고 이런 감쇠를 보이는 물질의 일반적 범주에는 선형과 가지형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쿼터네리 셀룰로직스(polyquaternary cellulosics) 및 실리콘, 피롤리돈, 아크릴산, 메틸아크릴산 등의 다양한 블록 공중합체, 벌집 모양 공중합체, 탄성 공중합체가 포함되지만 이들에 국한되지 않는다. 자연-발생 물질의 실례는 카라기난(carageenan), 알기네이트(alginate), 펙틴(pectin), 검(gum), 레신(resin), 로에신(roesin), 제인(zein), 만난(mannan), 전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항-침투제는 Barnet, Inc.로부터 상업적으로 구입가능한 폴리우레탄 폴리올 프리폴리머이다.
항-침투제는 도막-형성제가 피부의 최외곽층, 예를 들면, 각질층을 초과하여 침투하지 못하도록 예방하거나 저해할 만큼 충분한 양으로 존재한다. 특히, 항-침투제는 대략 0.2 내지 20.0 wt%의 양으로 존재한다. 적절하게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대략 5.0 내지 15.0 wt%의 항-침투제를 함유한다. 가장 적절하게는, 조성물은 대략 10 wt%의 항-침투제를 함유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박리를 예방하는데 도움을 주고 도막-형성제의 효과를 보호하는 각질 제거제(anti-exfoliant)를 선택적으로 함유한다. 각질 제거제의 실례는 수선화속 비늘줄기(narcissus bulb) 추출물(IBR-DorminTM, Nu Skin International, Inc.)과 같은 튤립 추출물과 콜레스테롤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털 및/또는 손발톱에 대한 국소 투약에 적합한 미용학적으로 허용되는 운반제를 추가로 함유한다. 이런 목적으로, 조성물은 크림, 겔, 에멀젼, 액체, 현탁액, 손발톱 코팅, 피부 오일 또는 로션을 형성하도록 적합된 재료를 함유한다. 조성물에 포함되는 재료에는 예로써 보습제(moisturizing agent), 수렴제(astringent agent), 비-단백질 도막-형성 물질, 계면활성제, 연화제(emollient), 습윤제(humectant), 보습제(moisturizer), 일광차단제, 안료 또는 다른 단백질 및/또는 섬유가 포함된다. 가령,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연화제에는 스테아릴 알코올(stearyl alcohol), 글리세릴 모노리시놀레이트(glyceryl monoricinoleate),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glyceryl monostearate), 프로판-1,2-디올(propane-1,2-diol), 부탄-1,3-디올(butane-1,3-diol), 밍크 오일(mink oil), 세틸 알코올(cetyl alcohol), 이소프로필 이소스테아레이트(isopropyl isostearate), 스테아르산(stearic acid), 이소부틸 팔미테이트(isobutyl palmitate), 이소세틸 스테아레이트(isocetyl stearate), 올레일 알코올(oleyl alcohol), 이소프로필 라우레이트(isopropyl laurate), 헥실 라우레이트(hexyl laurate), 데실 올레이트(decyl oleate), 옥타데칸-2-올(octadecan-2-ol), 이소세틸 알코올(isocetyl alcohol), 세틸 팔미테이트(cetyl palmitate), 디메틸폴리실록산(dimethylpolysiloxane), 디-n-부틸 세바케이트(di-n-butyl sebacate),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isopropyl myristate),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isopropyl palmitate), 이소프로필 스테아레이트(isopropyl stearate), 부틸 스테아레이트(butyl stearate),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e glycol), 트리에틸렌 글리콜(triethylene glycol), 라놀린(lanolin), 참기름(sesame oil), 코코넛 기름(coconut oil), 아라키스 기름(arrachis oil), 피마자 기름(castor oil), 아세틸화된 라놀린(acetylated lanolin), 지방 알코올(fatty alcohol), 석유(petroleum), 광유(mineral oil), 부틸 미리스테이트(butyl myristate), 이소스테아르산(isostearic acid), 팔미트산(palmitic acid), 이소프로필 리놀레이트(isopropyl linoleate), 라우릴 락테이트(lauryl lactate), 미리스틸 락테이트(myristyl lactate), 데실 올레이트(decyl oleate), 미리스틸 미리스테이트(myristyl myristate)가 포함되지만 이들에 국한되지 않는다.
사용될 수 있는 습윤제에는 글리세롤, 폴리알킬렌 글리콜과 알킬렌 폴리올, 이들의 혼합물을 비롯한 다가 알코올, 히알루론산, 요소, 글리세린, 솔비톨, 나트륨 2-피롤리돈-5-카르복실레이트, 가용성 콜라겐, 디부틸프탈레이트, 젤라틴이 포함되지만 이들에 국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운반제는 단백질 또는 폴리펩티드에 대한 희석제, 분산제(dispersant), 또는 용제로서 기능할 수 있는 물질이다. 적절하게는, 운반제는 피부에서 보호층의 형성을 보조할 수 있다. 운반제는 중량으로 조성물의 대략 1 내지 99.9%, 바람직하게는 대략 50 내지 99.5%, 더욱 바람직하게는 대략 70 내지 99.3%, 가장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90%를 구성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본 발명의 심미적 성능을 부가하는 추가의 미용 재료를 함유할 수도 있다. 가령, 안료, 농후제, 분말, 방향제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심미적 매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안료에는 이산화티타늄(titanium dioxide), 미카스(micas), 이산화철(iron oxide), 바륨 레이크(barium lake), 칼슘 레이크(calcium lake), 알루미늄 레이크(aluminum lake), 비스무스 옥시클로라이드(bismuth oxychloride), 지르코늄 레이크(zirconium lake), 이산화칼슘(calcium oxide)이 포함되지만 이들에 국한되지 않는다.
농후제에는 전분, 검 아라빅(gum arabic)과 같은 검, 카올린(kaolin) 또는 다른 점토, 수화된 규산알루미늄, 퓸드 실리카(fumed silica), 카르복시비닐 중합체, 나트륨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또는 다른 셀룰로오스 유도체, 에틸렌 글리콜 모노스테아레이트, 나트륨 알기네이트가 포함된다.
분말에는 백악, 활석, 산성 백토(fullers earth), 콜리이드성 이산화실리콘(colloidal silicon dioxide), 나트륨 폴리아크릴레이트(sodium polyacrylate), 테트라 알킬(tetra alkyl) 및/또는 트리알킬 암모늄 스멕타이트(trialkyl ammonium smectite), 화학적으로 변형된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magnesium aluminum silicate)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조성물을 소비자에게 더욱 매력적으로 보이게 할 만큼 충분한 양으로 방향제를 함유한다. 적절하게는, 방향제는 중량으로 조성물의 대략 0.01 내지 10%의 양으로 존재한다.
상기한 요소들 이외에, 본 발명의 피부 관리 조성물은 피부 관리 활성제(skin care active)를 함유할 수 있다. 활성제는 조성물의 물리적 특성만을 개선하는 재료 및 연화제 이외의 피부 또는 털 도움제(benefit agent)로서 정의된다. 사용될 수 있는 활성제의 실례에는 검버섯(age spot), 각화증(keratosis)과 잔주름의 제거제, 진통제, 마취제, 항-여드름제, 항생제, 항효모제, 항진균제, 항바이러스제, 비듬 방지제(antidandruff agent), 항피부염제(antidermatitis agent), 지양제(antipruritic agent), 구토 방지제(antiemetic), 멀미 방지제(antimotion sickness agent), 소염제(anti-inflammatory agent), 항과각화제(antihyperkeratotic agent), 항-건성 피부 약물(anti-dry skin agent), 지한제(antiperspirant), 항건선제(antipsoriatic agent), 항지루제(antiseborrheic agent), 정발제(hair conditioner)와 헤어 처리제(hair treatment agent), 항노화제(antiaging agent), 항주름제(antiwrinkle agent), 항천식제(antiasthmatic agent)와 기관지 확장제(bronchodilator), 일광차단제(sunscreen agent), 항히스타민제(antihistamine agent), 피부 미백제(skin lightening agent), 탈색소제(depigmenting agent), 비타민,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자가-탄닝제(self-tanning agent), 호르몬, 레티논산과 레티놀과 같은 레티노이드, 국소 심혈관제, 클로트리마졸(clotrimazole), 케토코나졸(ketoconazole), 미코노졸(miconozole), 그리세오풀빈(griseofulvin), 하이드록시진(hydroxyzine), 디펜하이드라민(diphenhydramine), 프라목신(pramoxine), 리도카인(lidocaine), 프로카인(procaine), 메피바카인(mepivacaine), 모노벤젠(monobenzone), 에리트로마이신(erythromycin), 테트라사이클린(tetracycline), 클린다마이신(clindamycin), 메클로사이클린(meclocyline),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 미노사이클린(minocycline), 나프록센(naproxen), 이부프로펜(ibuprofen), 테오필린(theophylline), 크로몰린(cromolyn), 알부테롤(albuterol); 하이드로코르티손(hydrocortisone), 하이드로코르티손 21-아세테이트(hydrocortisone 21-acetate), 하이드로코르티손 17-발레레이트(hydrocortisone 17-valerate), 하이드로코르티손 17-부티레이트(hydrocortisone 17-butyrate)와 같은 국소 스테로이드, 베타메타손 발레레이트(betamethasone valerate), 베타메타손 디프로프리오네이트(betamethasone diproprionate), 트리암시놀론 아세토니드(triamcinolone acetonide), 플루오시노니드(fluocinonide), 클로베타솔(clobetasol), 프로피오네이트(proprionate), 벤조일 퍼옥사이드(benzoyl peroxide), 크로타미톤(crotamiton), 프로프라놀롤(propranolol), 프로메타진(promethazine), 비타민 A 팔미테이트(vitamin A palmitate), 비타민 E 아세테이트(vitamin E acetate),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되지만 이들에 국한되지 않는다. 피부 관리 활성제의 이런 조성물로의 통합은 피부에서 이의 존재를 연장시키고 이의 효능을 강화시킴으로써 활성제의 활성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피부 노화 및 다른 질환을 조절하는 방법
본 발명이 조성물은 항-노화 산물로서 특히 유용하다. 구체적으로, 도막-형성제가 표피에서 한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 전환됨에 따라, 도막-형성제의 형태 변화가 피부를 팽팽하게 유지시키고 주름진 외관을 감소시키는 견인 효과를 유도한다. 본 발명의 신규한 조성물과 방법은 피부의 내부층으로 도막-형성제 자체의 침투를 예방하면서 도막-형성제를 보호함으로써 피부에 대한 견인 효과를 연장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피부의 외관을 개선하고 견인 효과를 연장시키는 방법에 관계한다. 피부의 외관은 예로써 피부 노화의 외관을 조절하고 감소시킴으로써 향상된다. 본 명세서에서, “피부 노화”는 피부 위축을 포괄하고, 콜라겐 및/또는 엘라스틴의 변형과 변성으로 빈번하게 특성화되는 유리 라디칼 손상에 의해 유발된 진피의 얇아짐 및/또는 전반적인 파괴를 의미한다. 피부 노화는 내생적 또는 외생적 인자, 예를 들면, 자연적 노화(chronoaging), 광 손상, 화상, 또는 화학적 손상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피부 노화 조절”은 포유동물 피부에서 피부 노화 과정을 예방, 지체, 정지, 치료, 또는 반전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피부 노화 조절의 실례에는 주름진 외관의 감소, 피부 위축 효과의 감소, 얇아진 외관의 감소가 포함되지만 이들에 국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활성제(펩티드성 또는 폴리펩티드성 활성제 포함)의 첨가로 다른 피부 질환을 조절하는 방법에 관계하는데, 여기에는 건성 피부, 심각한 건성 피부, 건조증, 비듬, 각화증, 건선, 습진, 검버섯, 흑색점(lentigines), 흑피종( melasmas), 손상된 피부(blemished skin), 과색소침착 피부(hyperpigmented skin), 과각화성 피부(hyperkeratotic skin), 염증성 피부병(inflammatory dermatosis), 노화-관련된 피부 변화가 포함되지만 이들에 국한되지 않는다. 이런 방법은 활성 성분을 추가로 함유하는 본 발명의 조합의 안전하고 효과적인 양을 피부에 투여하거나 국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조성물에서 이들 성분의 양은 개체에서 현재하는 피부 노화 수준(존재하는 경우), 추가적인 노화 속도, 원하는 조절 수준에 따라 광범위하게 변한다.
투약 섭생은 조성물의 궁극적 용도에 좌우된다. 가령, 조성물은 잔주름, 주름살 또는 피부 노화의 다른 증상을 감추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투약될 수 있다. 대안으로, 특히 피부 노화를 조절하고 상기한 다른 피부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활성제를 함유하는 조성물의 경우 장기적인 투약이 바람직하다. 피부를 치료하기 위한 선호되는 경로는 피부 노화를 조절하고 상기한 다른 피부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신규한 조성물의 안전하고 효과적인 양의 국소 투여이다.
장기적인 국소 투여의 경우, 조성물의 양 및 피부에 대한 국소 투약 빈도는 특정 피부 질환 및 이의 심각도에 따라 광범위하게 달라질 수 있다. 예로써, 국소 투약은 주 1회 내지 일일 4-5회, 바람직하게는 주 3회 내지 일일 3회, 가장 바람직하게는 일일 1-2회이다. 조성물은 대략 0.01 내지 90%, 바람직하게는 대략 1 내지 20%, 가장 바람직하게는 대략 1 내지 5%의 활성 성분을 함유한다. 하지만, 환자 필요에 따라 약제 용량을 조절하는 것은 당업자, 예를 들면, 피부과 의사 또는 다른 의료 제공자의 능력 범위에 속한다.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신규한 조성물과 방법을 더욱 예시하긴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피부의 탄력증가(tightening)는 Gas Bearing Electrodynamometer(GBE)로 사정한다. GBE는 피부에 작용하는 힘 및 이런 힘에 기인한 피부의 이동(displacement)을 측정한다. 이동은 GBE 프로브의 움직임에 의해 유발된 자기이력곡선(hysteresis loop)의 변형을 나타내고, 가해진 힘은 자기이력곡선의 응력(stress)이다. 자기이력곡선의 평균 기울기는 피부 연화(skin softness)의 척도인 1/DSR(Dynamic Spring Rate)에 비례한다. 피부 탄력증가 "t"는 산물 처리 이전(DB)과 이후(DA)의 이동을 비교함으로써 사정하고, t = (DB-DA)/DB로 표시한다. 잔여 탄력증가(residual tightening, RT)는 RT = [t(3 시간)] / [t(0 시간)]으로 표시된다.
도막-형성제에 의한 피부 탄력증가 및 프로테아제 저해물질, 계란 추출물(Orew Plus, Inovatech Inc.)의 효과를 사정하기 위하여 검사된 구조물(formula)은 하기 표 1에 제시하고, 결과는 표 2와 3에서 보고한다. 구체적으로, 프로테아제 저해물질과 도막-형성제의 조합은 원하는 피부 견인/탄력증가를 제공한다. 하기 표 1에서 구조물은 표 2에 도시된 결과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도막-형성제를 보호하여 피부 견인 효과를 연장시키고 더욱 장기간동안 피부를 팽팽하게 유지시키는 독특한 조합을 제공한다. 이의 결과는 더욱 장기간동안 노화 현상의 감소이다.
크림
글리세린 1%
마그네슘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Ascorbyl PM) 1%
Q/s
메틸 글루세트 20(Glucam E-20) 2%
카페인 0.2%
카프릴릴 글리콜(Lexgard O) 0.8%
에탈렌디아민 디소디움아세테이트(EDTA-Na2) 0.1%
수크로오스 1%
부틸렌 글리콜 1%
디메티콘 코폴리올(BiowaxTM 754) 5%
5%
베타-수산화물 1.5%
부틸렌 글리콜 1%
산탄 검(Ketrol 1000) 0.3%
리놀레산(Emersol 315) 0.1%
이소프렌 글리콜 2%
부틸화된 하이드록시아니솔(BET) 0.1%
PEG-60 수소화된 피마자 기름(Emalex-HC 60) 2%
비타민 E 1%
페녹시에탄올(Emeressence 1160) 0.5%
녹차 2%
삭시프라가 사르멘토사(Saxifraga Sarmentosa) 추출물/포도 추출물/부틸렌 글리콜/물 (PHYTOCLARTM II) 1%
NaOH 용액 Q/s
우유로부터 유래된 단백질, Lactofirm 2%
유장 단백질(MPC II) 0.2%
피러스 말라스(Pyrus Mallas)(사과) 추출물(Micromel) 1%
비타민 A 팔미테이트 0.1%
밀가루 지질(Cennimides cerp 50) 0.1%
콩(Glycerine Soja) 스테롤(Generol 122) 0.1%
계란 추출물(Orew Plus) 0.5%
탄력증가 시점
구조물(formula) 0 1 시간 2 시간 3 시간 4 시간
0.5% 프로테아제 저해물질 17% 17% 13% 9% 7%
대조(프로테아제 저해물질 없음) 14% 11% 11% 5% 0%
표 2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프로테아제 저해물질, 계란 추출물(Orew Plus), 우유로부터 유래된 단백질(Lactofirm), 나선-코일 전환이 자발적으로 진행될 수 있는 3차 구조를 보유하는 수용성 단백질-기초된 도막-형성제의 존재는 상기 도막-형성제의 탄력증가 효과를 연장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조물의 투약이후 4시 시점에, 피부 탄력은 7%의 탄력증가 인자 TF로 증가한다.
표 3에서는 프로테아제 저해물질의 효과를 더욱 입증하고, 시간에 따른 잔여 탄력증가를 보고한다.
잔여 탄력증가 시점
구조물(formula) 0 1 시간 2 시간 3 시간 4 시간
0.5% 프로테아제 저해물질 100 100 76 53 41
대조(프로테아제 저해물질 없음) 100 78 78 35 0
표 3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4시 시점에서 잔여 탄력증가는 프로테아제 저해물질의 부재에서 0에 비하여 41로 유지되었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겔 조성물로서 조제될 수도 있다. 표 4에서는 이런 조성물의 실례를 제공한다.
탈이온수 Q/s
아몬드 씨앗 추출물(Polylift) 20%
글리세린 2%
메틸클로로이소티아졸리논(KathonTM CG) 0.1%
에틸렌디아민 디이소디움아세테이트(EDTA-Na2) 0.1%
흰자작나무 추출물 0.5%
폴리올프리폴리머 2 10%
튤립 추출물(IBR Dormin) 1%
본 명세서에 예시되고 기술된 본 발명의 특정 형태는 대표적인 실례일 뿐이다. 본 명세서에 예시된 구체예에서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다양한 개변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체 범위는 아래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된다.

Claims (42)

  1. 아래의 성분을 함유하는 미용 조성물:
    수용성 단백질-기초된 도막-형성제(film-forming agent), 상기 도막-형성제는 나선-코일 전환(helix-coil transformation)이 자발적으로 진행될 수 있는 3차 구조를 보유하고;
    각질층에서 상기 단백질을 보호할 만큼 충분한 양의 프로테아제 저해물질;
    각질층에 상기 도막-형성제를 유지할 만큼 충분한 양의 항-침투제(anti-penetrant);
    미용학적으로 허용되는 운반제.
  2. 제 1항에 있어서, 도막-형성제는 식물, 야채, 조류, 박테리아, 동물-유래되거나, 또는 생물공학적으로 합성된 단백질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수용성 단백질-기초된 도막-형성제는 실크 단백질, 아몬드 단백질, 우유 단백질, 유장 단백질, 간장 단백질, 담뱃잎 단백질, 박테리아 단백질, 계란 흰자 단백질, 콩으로부터 유래된 섬유성 단백질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프로테아제 저해물질은 홉 추출물, 시계풀(passion flower), 블랙 커런트(black current)와 포도 잎 추출물, 가수분해된 갈파래(ulva lactuca) 추출물, 빈낭(betel nut) 추출물, 청조류(blue algae) 추출물, 계란 추출물, 흰자작나무 추출물, 알리신(allicin), 아프로티닌(aprotinin), 류펩틴(leupeptin), 베스타틴(bestatin), 펩스타틴(pepstatin) A, N-알파-p-토실-L-리실-클로로메틸-케톤, 트립신-키모트립신 저해물질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피부 관리 활성제(skin care active)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피부 관리 활성제는 항-노화제, 항-여드름제, 일광차단제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각질 제거제(anti-exfoliant)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조성물.
  8. 아래의 성분을 함유하는 미용 조성물:
    수용성 단백질-기초된 도막-형성제(film-forming agent), 상기 도막-형성제는 나선-코일 전환이 자발적으로 진행될 수 있는 3차 구조를 보유하고;
    각질층에서 상기 단백질을 보호할 만큼 충분한 양의 프로테아제 저해물질;
    미용학적으로 허용되는 운반제.
  9. 제 8항에 있어서, 도막-형성제는 식물, 야채, 조류, 박테리아, 동물-유래되거나, 또는 생물공학적으로 합성된 단백질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조성물.
  10. 제 9항에 있어서, 도막-형성제는 실크 단백질, 아몬드 단백질, 우유 단백질, 유장 단백질, 간장 단백질, 담뱃잎 단백질, 박테리아 단백질, 계란 흰자 단백질, 콩으로부터 유래된 섬유성 단백질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조성물.
  11. 제 8항에 있어서, 프로테아제 저해물질은 홉 추출물, 시계풀, 블랙 커런트와 포도 잎 추출물, 가수분해된 갈파래 추출물, 빈낭 추출물, 청조류 추출물, 계란 추출물, 흰자작나무 추출물, 알리신, 아프로티닌, 류펩틴, 베스타틴, 펩스타틴 A, N-알파-p-토실-L-리실-클로로메틸-케톤, 트립신-키모트립신 저해물질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조성물.
  12. 제 8항에 있어서, 피부 관리 활성제(skin care active)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조성물.
  13. 제 8항에 있어서, 피부 관리 활성제는 항-노화제, 항-여드름제, 일광차단제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조성물.
  14. 제 8항에 있어서, 항-침투제(anti-penetrant)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조성물.
  15. 제 8항에 있어서, 각질 제거제(anti-exfoliant)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조성물.
  16. 아래의 성분을 함유하는 미용 또는 약제 조성물을 도포하여 피부 외관을 개선하는 방법:
    수용성 단백질-기초된 도막-형성제(film-forming agent), 상기 도막-형성제는 견인 효과(pulling effect)를 유도하는 나선-코일 전환이 자발적으로 진행될 수 있는 3차 구조를 보유하고;
    각질층에서 상기 단백질을 보호할 만큼 충분한 양의 프로테아제 저해물질;
    미용학적으로 허용되는 운반제.
  17. 제 16항에 있어서, 도막-형성제는 식물, 야채, 조류, 박테리아, 동물-유래되거나, 또는 생물공학적으로 합성된 단백질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 16항에 있어서, 도막-형성제는 실크 단백질, 아몬드 단백질, 우유 단백질, 유장 단백질, 간장 단백질, 담뱃잎 단백질, 박테리아 단백질, 계란 흰자 단백질, 콩으로부터 유래된 섬유성 단백질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 16항에 있어서, 프로테아제 저해물질은 홉 추출물, 시계풀, 블랙 커런트와 포도 잎 추출물, 가수분해된 갈파래 추출물, 빈낭 추출물, 청조류 추출물, 계란 추출물, 흰자작나무 추출물, 알리신, 아프로티닌, 류펩틴, 베스타틴, 펩스타틴 A, N-알파-p-토실-L-리실-클로로메틸-케톤, 트립신-키모트립신 저해물질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 16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피부 관리 활성제(skin care active)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 20항에 있어서, 피부 관리 활성제는 항-노화제, 항-여드름제, 일광차단제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 16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각질 제거제(anti-exfoliant)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아래의 성분을 함유하는 미용 또는 약제 조성물을 도포하여 피부 상태를 개 선하는 방법:
    수용성 단백질-기초된 도막-형성제(film-forming agent), 상기 도막-형성제는 견인 효과(pulling effect)를 유도하는 나선-코일 전환이 자발적으로 진행될 수 있는 3차 구조를 보유하고;
    각질층에서 상기 단백질을 보호할 만큼 충분한 양의 프로테아제 저해물질;
    피부 관리 활성제(skin care active);
    미용학적으로 허용되는 운반제.
  24. 제 23항에 있어서, 도막-형성제는 식물, 야채, 조류, 박테리아, 동물-유래되거나, 또는 생물공학적으로 합성된 단백질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제 23항에 있어서, 도막-형성제는 실크 단백질, 아몬드 단백질, 우유 단백질, 유장 단백질, 간장 단백질, 담뱃잎 단백질, 박테리아 단백질, 계란 흰자 단백질, 콩으로부터 유래된 섬유성 단백질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6. 제 23항에 있어서, 프로테아제 저해물질은 홉 추출물, 시계풀, 블랙 커런트와 포도 잎 추출물, 가수분해된 갈파래 추출물, 빈낭 추출물, 청조류 추출물, 계란 추출물, 흰자작나무 추출물, 알리신, 아프로티닌, 류펩틴, 베스타틴, 펩스타틴 A, N-알파-p-토실-L-리실-클로로메틸-케톤, 트립신-키모트립신 저해물질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7. 제 23항에 있어서, 피부 관리 활성제는 항-노화제, 항-여드름제, 일광차단제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8. 제 23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각질 제거제(anti-exfoliant)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9. 주름진 외관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수용성 단백질-기초된 도막-형성제에 기인한 피부 표면에 대한 견인 효과(pulling effect)를 연장하는 방법에 있어서, 각질층에서 상기 단백질을 보호할 만큼 충분한 양의 프로테아제 저해물질 및 미용학적으로 허용되는 운반제과 함께 상기 도막-형성제를 함유하는 미용 또는 약제 조성물을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0. 제 29항에 있어서, 도막-형성제는 식물, 야채, 조류, 박테리아, 동물-유래되거나, 또는 생물공학적으로 합성된 단백질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1. 제 29항에 있어서, 도막-형성제는 실크 단백질, 아몬드 단백질, 우유 단백질, 유장 단백질, 간장 단백질, 담뱃잎 단백질, 박테리아 단백질, 계란 흰자 단백질, 콩으로부터 유래된 섬유성 단백질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2. 제 29항에 있어서, 프로테아제 저해물질은 홉 추출물, 시계풀, 블랙 커런트와 포도 잎 추출물, 가수분해된 갈파래 추출물, 빈낭 추출물, 청조류 추출물, 계란 추출물, 흰자작나무 추출물, 알리신, 아프로티닌, 류펩틴, 베스타틴, 펩스타틴 A, N-알파-p-토실-L-리실-클로로메틸-케톤, 트립신-키모트립신 저해물질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3. 제 29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피부 관리 활성제(skin care active)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4. 제 33항에 있어서, 피부 관리 활성제는 항-노화제, 항-여드름제, 일광차단제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5. 제 29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각질 제거제(anti-exfoliant)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6. 피부 노화 증상을 감소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이런 감소가 필요한 피부에 아래의 성분을 함유하는 미용 또는 약제 조성물을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수용성 단백질-기초된 도막-형성제(film-forming agent), 상기 도막-형성제는 견인 효과(pulling effect)를 유도하는 나선-코일 전환이 자발적으로 진행될 수 있는 3차 구조를 보유하고;
    각질층에서 상기 단백질을 보호할 만큼 충분한 양의 프로테아제 저해물질;
    미용학적으로 허용되는 운반제.
  37. 제 36항에 있어서, 도막-형성제는 식물, 야채, 조류, 박테리아, 동물-유래되거나, 또는 생물공학적으로 합성된 단백질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8. 제 36항에 있어서, 도막-형성제는 실크 단백질, 아몬드 단백질, 우유 단백질, 유장 단백질, 간장 단백질, 담뱃잎 단백질, 박테리아 단백질, 계란 흰자 단백질, 콩으로부터 유래된 섬유성 단백질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9. 제 36항에 있어서, 프로테아제 저해물질은 홉 추출물, 시계풀, 블랙 커런트와 포도 잎 추출물, 가수분해된 갈파래 추출물, 빈낭 추출물, 청조류 추출물, 계란 추출물, 흰자작나무 추출물, 알리신, 아프로티닌, 류펩틴, 베스타틴, 펩스타틴 A, N-알파-p-토실-L-리실-클로로메틸-케톤, 트립신-키모트립신 저해물질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0. 제 36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피부 관리 활성제(skin care active)를 추가로 함유하고, 상기 피부 관리 활성제는 항-노화제와 일광차단제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1. 제 36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각질 제거제(anti-exfoliant)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2. 제 36항에 있어서, 피부 노화 증상은 주름살, 잔주름, 피부 위축(skin atrophy), 피부 얇아짐(skin thinning), 이들의 조합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67013400A 2004-01-07 2005-01-04 단백질과 효소 저해물질을 함유하는 미용 조성물 KR1007986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3519804P 2004-01-07 2004-01-07
US60/535,198 2004-01-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5758A true KR20060115758A (ko) 2006-11-09
KR100798607B1 KR100798607B1 (ko) 2008-01-28

Family

ID=34794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3400A KR100798607B1 (ko) 2004-01-07 2005-01-04 단백질과 효소 저해물질을 함유하는 미용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20050147572A1 (ko)
EP (1) EP1708677A4 (ko)
JP (1) JP2007517883A (ko)
KR (1) KR100798607B1 (ko)
AU (1) AU2005204621B2 (ko)
CA (1) CA2552242C (ko)
WO (1) WO200506769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27918A2 (en) * 2005-05-24 2006-11-30 Ott David M Personal care and medicinal products incorporating bound organosulfur groups
JP5039314B2 (ja) * 2006-03-28 2012-10-03 株式会社ナリス化粧品 アクロレイン付加体形成阻害剤、及びそ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及び飲食品
US7758901B2 (en) 2007-02-16 2010-07-20 Betty Bellma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alleviating skin disorders
WO2008101239A1 (en) * 2007-02-16 2008-08-21 Betty Bellma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alleviating skin disorders
US7488500B2 (en) 2007-02-16 2009-02-10 Betty Bellma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alleviating skin disorders
US9011943B2 (en) 2007-02-16 2015-04-21 Skin Evolution LL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alleviating skin disorders
US20080233075A1 (en) * 2007-03-22 2008-09-25 Marina Sokolinsky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tightening
US8440237B2 (en) 2009-04-27 2013-05-14 Mary Kay Inc. Botanical anti-acne formulations
WO2011109809A2 (en) * 2010-03-05 2011-09-09 New Agriculture, Inc A novel composition of matter for delivering lipid-soluble materials, and a method for producing it
JP2012041318A (ja) * 2010-08-23 2012-03-01 Mikimoto Pharmaceut Co Ltd シワ形成抑制用基剤
KR102245069B1 (ko) 2011-12-19 2021-04-26 마리 케이 인코포레이티드 피부톤 향상을 위한 식물 추출물의 조합물
CN102908479B (zh) * 2012-09-01 2014-06-18 韩乃巍 治疗肺风血热型痤疮的中药
CN103351629B (zh) * 2013-07-25 2015-11-18 中国烟草总公司郑州烟草研究院 一种烟叶蛋白/普鲁兰多糖可食用复合膜及其制备方法
US9849077B2 (en) 2014-03-10 2017-12-26 Mary Kay Inc. Skin lightening compositions
CN103898406B (zh) * 2014-03-25 2016-08-24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屈服强度890MPa级低焊接裂纹敏感性钢板及其制造方法
US9687442B2 (en) 2015-07-27 2017-06-27 Mary Kay Inc. Topical skin formulations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67054C (de) * 1955-08-26 1957-09-26 Jelka Steil Geb Nadarevice Verfahren zur Entfernung von Gesichtsfalten
BE754278A (fr) * 1969-08-02 1971-02-01 Bayer Ag Procede d'utilisation d'inhibiteurs biologiques de proteases comme desodorisants
US5093109A (en) * 1990-04-04 1992-03-03 Chanel, Inc. Cosmetic composition
DK0485663T3 (da) * 1990-11-12 1994-03-14 Quest Int Spiselig sammensætning af denaturerede valleproteiner
ES2101263T3 (es) * 1993-02-19 1997-07-01 Howard Green Composiciones que contienen proteinas de corneocitos.
EP0734371B1 (en) * 1993-12-15 2000-04-05 Avon Products, Inc. Novel retinoid conjugate compounds and methods for treating skin aging
US5885974A (en) * 1994-12-06 1999-03-23 Michael M. Danielov Therapeutic methods utilizing naturally derived bio-active complexes and delivery systems therefor
US5653970A (en) * 1994-12-08 1997-08-05 Lever Brothers Company, Division Of Conopco, Inc. Personal product compositions comprising heteroatom containing alkyl aldonamide compounds
US5885557A (en) * 1996-02-08 1999-03-23 Estee Lauder Inc. Compositions useful in the phototherapeutic treatment of proliferative skin disorders
FR2746316B1 (fr) * 1996-03-19 1998-06-12 Guerlain Nouvelles compositions cosmetologiques ou dermatologiques
US5811083A (en) * 1996-03-26 1998-09-22 Estee Lauder, Inc. Tocopherol derivatives for use in cosmetic compositions
US6338855B1 (en) * 1996-10-25 2002-01-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sing articles for skin and/or hair which also deposit skin care actives
FR2758083B1 (fr) * 1997-01-03 1999-02-05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et/ou dermatologique contenant une dispersion d'un systeme polymerique et utilisation de ce systeme comme tenseur
US5762947A (en) * 1997-05-09 1998-06-09 Elizabeth Arden Co., Division Of Conopco, Inc. Cosmetic skin conditioning compositions containing a salicyloxy α-carboxy acid
FR2763843B1 (fr) * 1997-05-30 1999-08-20 Marie Pratt Composition ayant notamment une action anti-vieillissement de la peau
US6022548A (en) * 1998-03-26 2000-02-08 Elizabeth Arden Co. Cosmetic skin conditioning compositions containing methoxycinnamyloxy salicylate
US8093293B2 (en) * 1998-07-06 2012-01-10 Johnson & Johnson Consumer Companies, Inc. Methods for treating skin conditions
US6251878B1 (en) * 1998-07-10 2001-06-26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Inhibition of UV-induced immune suppression and interleukin-10 production by cytoprotective tamarind oligosaccharides
FR2783418B1 (fr) * 1998-09-17 2000-11-10 Oreal Composition anti-rides comprenant une association de polymeres tenseurs d'origine synthetique et/ou naturelle et de polyesters dendritiques
CA2312075A1 (en) * 1998-11-05 2001-12-22 Protease Sciences, Incorporated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human type serine protease inhibitors
US6203805B1 (en) * 1998-11-10 2001-03-20 Color Access, Inc. Topical compositions containing whey proteins
FR2792203B1 (fr) * 1999-04-19 2003-05-16 Mu Laboratoire Nouvelle composition a base d'extraits vegetaux naturels, et son utilisation, notamment dans les domaines pharmaceutiques ou cosmetiques
US6309663B1 (en) * 1999-08-17 2001-10-30 Lipocine Inc. Triglyceride-free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enhanced absorption of hydrophilic therapeutic agents
DE19950020A1 (de) * 1999-10-16 2001-04-19 Henkel Kgaa Verwendung von Zusammensetzungen zur pflegenden Behandlung der Haut
MXPA02004933A (es) * 1999-11-16 2004-08-12 Unilever Nv Composiciones cosmeticas conteniendo extracto de garbanzo y retinoides.
FR2808190B1 (fr) * 2000-04-28 2002-06-21 Oreal Extrait de vegetal de l'espece vitis vinifera comme inhibiteur de no-synthase et utilisations
US20030091665A1 (en) * 2001-11-09 2003-05-15 Avon Products, Inc Topical cosmetic composition with skin rejuvenation benefits
FR2834211B1 (fr) * 2002-01-03 2004-06-04 Clarins Lab Composition cosmetique pour lutter contre le vieillissement cutane
US20030147830A1 (en) * 2002-01-30 2003-08-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opical skin and/or hair compositions containing protein
FR2837700B1 (fr) * 2002-03-28 2004-05-28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ou dermatologique contenant l'association d'un tetrahydrocurcuminoide et d'une huile amidee
US20030215476A1 (en) * 2002-04-12 2003-11-20 L'oreal Multiple emulsion containing a tensioning agent
CA2484736A1 (en) * 2002-05-10 2003-11-20 Suntory Limited Gallocatechin gallate-containing com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8607B1 (ko) 2008-01-28
AU2005204621B2 (en) 2007-03-08
EP1708677A4 (en) 2010-12-22
US20100003206A1 (en) 2010-01-07
WO2005067691A3 (en) 2006-06-22
US20050147572A1 (en) 2005-07-07
CA2552242A1 (en) 2005-07-28
AU2005204621A1 (en) 2005-07-28
EP1708677A2 (en) 2006-10-11
WO2005067691A2 (en) 2005-07-28
JP2007517883A (ja) 2007-07-05
CA2552242C (en) 2010-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003206A1 (e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 Protein And An Enzyme Inhibitor
US11752168B2 (en) Methods of using cosmetic compositions comprising exopolysaccharides derived from microbial mats
JP5296984B2 (ja) 皮膚の老化現象抑制のための化粧品用又は皮膚薬用組成物
JP6219166B2 (ja) 皮膚、粘膜、毛髪及び/又は爪の処置及び/又はケアのためのエキソ多糖
US8460721B2 (en) Active ingredient that stimulates the proliferation and/or activity of fibroblasts
CA2597640A1 (en) Cosmetic and cosmeceutical compositions for restoration of skin barrier function
ES2605162T3 (es) Nuevos compuestos, uso de los mismos en aplicaciones cosméticas y cosmocéuticas, y composiciones que los comprenden
FR2956818A1 (fr) Utilisation d'un hydrolysat peptidique de lin dans une composition pour apaiser la peau
US20030152597A1 (en) Use of at least one sapogenin for prevening the skin or ageing symptoms
ES2693261T3 (es) Uso de derivados de C-glicósido como agentes activos pro-descamantes
US6056944A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oral use including an NSAID and ceramides
US20020102285A1 (en) Combination of acid protease enzymes and acidic buffers and uses thereof
US6984391B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delivery of skin cosmeceuticals
AU2022379566A1 (en) Biosurfactant formulations for use in skincare and wound treatment
CN100536820C (zh) 含至少一马来酸酐共聚物稳定的至少一氧化敏感亲水活性成分组合物的化妆和/或皮肤应用
AU2009238172B2 (en) Cosmetic compositions comprising exopolysaccharides derived from microbial mats, and use thereof
EP2153815A1 (en) Use of urea containing compositions
DE10047204A1 (de) Topische Hautbehandlungsmittel mit Argin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