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5594A - 유니버설 조인트에서의 베어링 부싱을 위한 축 방향리테이닝 장치 - Google Patents

유니버설 조인트에서의 베어링 부싱을 위한 축 방향리테이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5594A
KR20060115594A KR1020060039819A KR20060039819A KR20060115594A KR 20060115594 A KR20060115594 A KR 20060115594A KR 1020060039819 A KR1020060039819 A KR 1020060039819A KR 20060039819 A KR20060039819 A KR 20060039819A KR 20060115594 A KR20060115594 A KR 200601155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bore
longitudinal axis
bushing
r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9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79435B1 (ko
Inventor
한스-위르겐 슐체
에어하르트 뮐러
안드레아스 나이세스
라스 크리스토프 셰퍼
Original Assignee
스파이서 겔렌크벨렌바우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파이서 겔렌크벨렌바우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스파이서 겔렌크벨렌바우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60115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55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9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94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5/00Rigid support of bearing units; Housings, e.g. cap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5/00Rigid support of bearing units; Housings, e.g. caps, covers
    • F16C35/04Rigid support of bearing units; Housings, e.g. caps, covers in the case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5/06Mounting or dismounting of ball or roller bearings; Fixing them onto shaft or in housing
    • F16C35/067Fixing them in a hou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16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 F16D3/26Hooke's joints or other joints with an equivalent intermediate member to which each coupling part is pivotally or slidably connected
    • F16D3/38Hooke's joints or other joints with an equivalent intermediate member to which each coupling part is pivotally or slidably connected with a single intermediate member with trunnions or bearings arranged on two axes perpendicular to one an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16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 F16D3/26Hooke's joints or other joints with an equivalent intermediate member to which each coupling part is pivotally or slidably connected
    • F16D3/38Hooke's joints or other joints with an equivalent intermediate member to which each coupling part is pivotally or slidably connected with a single intermediate member with trunnions or bearings arranged on two axes perpendicular to one another
    • F16D3/382Hooke's joints or other joints with an equivalent intermediate member to which each coupling part is pivotally or slidably connected with a single intermediate member with trunnions or bearings arranged on two axes perpendicular to one another constructional details of other than the intermediate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16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 F16D3/26Hooke's joints or other joints with an equivalent intermediate member to which each coupling part is pivotally or slidably connected
    • F16D3/38Hooke's joints or other joints with an equivalent intermediate member to which each coupling part is pivotally or slidably connected with a single intermediate member with trunnions or bearings arranged on two axes perpendicular to one another
    • F16D3/382Hooke's joints or other joints with an equivalent intermediate member to which each coupling part is pivotally or slidably connected with a single intermediate member with trunnions or bearings arranged on two axes perpendicular to one another constructional details of other than the intermediate member
    • F16D3/385Bearing cup; Bearing construction; Bearing seal; Mounting of bearing on the intermediate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1/00Combinations of sliding-contact bearings with ball or roller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21/005Combinations of sliding-contact bearings with ball or roller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the external zone of a bearing with rolling members, e.g. needles, being cup-shaped, with or without a separate thrust-bearing disc or ring, e.g. for universal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61/00Apparatus or articles in engineering in general
    • F16C2361/41Coupl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16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 F16D3/26Hooke's joints or other joints with an equivalent intermediate member to which each coupling part is pivotally or slidably connected
    • F16D3/38Hooke's joints or other joints with an equivalent intermediate member to which each coupling part is pivotally or slidably connected with a single intermediate member with trunnions or bearings arranged on two axes perpendicular to one another
    • F16D3/40Hooke's joints or other joints with an equivalent intermediate member to which each coupling part is pivotally or slidably connected with a single intermediate member with trunnions or bearings arranged on two axes perpendicular to one another with intermediate member provided with two pairs of outwardly-directed trunnions on intersecting axes
    • F16D3/41Hooke's joints or other joints with an equivalent intermediate member to which each coupling part is pivotally or slidably connected with a single intermediate member with trunnions or bearings arranged on two axes perpendicular to one another with intermediate member provided with two pairs of outwardly-directed trunnions on intersecting axes with ball or roller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nting Of Bearings Or Others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유니버설 조인트(1)에 속하는 조인트 요크(3) 또는 베어링 요소의 요크 아암(5)의, 보어 벽(10)을 형성하며 연장되는 베어링 보어(7) 내에서 리테이닝 링(13)을 통한 베어링 부싱을 위한 축 방향 리테이닝 장치에 있어서,
베어링 부싱(9)은 외측면(11)을 구비하여 베어링 보어(7) 내에 외측면과 접하여 위치하며, 베어링 보어(7)는 종축(8)을 형성하며, 베어링 보어(7)의 보어 벽(10)은 종축(8)을 중심으로 환형 홈(12)을 구비하며, 리테이닝 링(13)은 환형 홈(12) 내에 고정된 제1 링 부분(14)을 구비하며, 반경 방향으로 탄성을 띈, 외측면(11)을 누르는 적어도 하나의 맞물림 모서리(17)를 형성하는, 제1 링 부분(14)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부분(16)을 구비한다.
유니버설 조인트, 리테이닝 링, 베어링 부싱, 베어링 보어, 요크 아암

Description

유니버설 조인트에서의 베어링 부싱을 위한 축 방향 리테이닝 장치{AXIAL RETAINING ARRANGEMENT FOR A BEARING BUSHING IN A UNIVERSAL JOINT}
도1은 두 개의 유니버설 조인트를 갖는 유니버설 조인트 샤프트를 도시하는 도면.
도2는 리테이닝 링의 제1 실시예의 장치에 관한 도1의 상세도.
도3은 리테이닝 링의 제2 실시예의 장치에 관한 도1의 상세도.
도4는 베어링 보어에 대한 배치에서 도2에 따른 형태로 사용되는 리테이닝 링의 확대도.
도5는 베어링 부싱의 외측면에 홈을 갖는 접촉 영역이 제공되는, 도2에 따른 리테이닝 링의 배치를 위한 도1의 상세도.
도6은 리테이닝 링의 추가 실시예를 위한 도1의 상세도.
도7은 베어링 보어 내에서의 베어링 부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추가적인 축방향 리테이닝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면부호>
1: 유니버설 조인트
2: 길이 보상부
3: 제1 조인트 요크
4: 제2 조인트 요크
5, 305: 요크 아암
6: 십자 저널 유닛
7, 107, 207, 307: 베어링 보어
8: 종축
9, 109, 209, 309: 베어링 부싱
10,110, 210, 310: 보어 벽
11,111, 211,311: 외측면
12, 112: 환형 홈
13, 113, 213: 리테이닝 링
14, 114, 214: 제1 링 부분
15: 슬롯(slot)
16, 116, 216: 제2 링 부분
17, 117, 217: 맞물림 모서리
18: 접촉 영역
19: 원주 홈
20, 320: 삽입 단부
21: 제1 톱니
22: 단부
23: 제2 톱니
X: 회전축
F: 삽입 방향
A: 각
S: 꼭지점
본 발명은 유니버설 조인트에 속하는 조인트 요크 또는 베어링 요소의 요크 아암의, 보어 벽을 형성하며 연장되는 베어링 보어 내에서 리테이닝 링을 통한 베어링 부싱을 위한 축 방향 리테이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축 방향 리테이닝 장치는 예를 들어 특허 공보 US 2005/0037850 A1에 설명된다. 이 경우, 외측면을 구비하는 베어링 부싱이 제공되며, 이 베어링 부싱은 외측면과 함께 유니버설 조인트의 요크 아암의 베어링 보어 내에 수용된다. 베어링 보어는 종축을 형성하며, 이 종축을 따라 요크 아암의 반경 외측으로부터 베어링 보어 쪽으로 베어링 부싱이 삽입된다. 환형 홈은 요크 아암의 반경 외측과 이격되어 베어링 보어 내에 구비되며, 이 홈 내로 리테이닝 링이 삽입되며, 이 리테이닝 링은 베어링 부싱의 바닥에 지지된다. 리테이닝 링은 견고하게 형성되어 단면에서 봤을 때 계단 형태의 층이 진 외측 직경을 구비함으로써, 하나의 축 상에 배열된 두 개의 베어링 부싱을 조인트 요크의 회전 축에 대해 정렬시키고, 또한, 필요한 유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공차를 보상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러한 구조 는, 상이한 강도의 리테이닝 링이 사용되는 공지된 조립 형태와 관련하여, 한가지 형태 또는 적은 수의 형태의 리테이닝 링 형태가 사용되어야 하는 경우에만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동시에, 베어링 보어 내에 상응하는 깊은 환형 홈을 필요로 한다. 베어링 보어의 종축을 따르는 정해진 길이에 대한 회전 모멘트 용량에 따라 베어링 부싱이 지지되어야 하기 때문에, 이러한 유니버설 조인트의 주어진 회전 모멘트 용량에서 큰 회전 직경이 필요하도록, 전체적으로 요크 아암의 반경 외측의 환형 홈의 큰 오프셋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니버설 조인트에서 베어링 부싱을 위한 축 방향 리테이닝 장치를 제안하며, 이때 조립이 간단해지며, 또한 주어진 크기에서 즉, 주어진 회전 직경에서 베어링 수명 연장, 또는 동일한 회전 모멘트 전달 능력에서의 작은 삽입 공간 즉, 작은 회전 직경을 얻을 수 있는 것에 기초를 둔다.
본 발명에 따른 이러한 목적은, 유니버설 조인트에 속하는 조인트 요크 또는 베어링 요소의 요크 아암의, 보어 벽을 형성하며 연장되는 베어링 보어 내에서 리테이닝 링을 통한 베어링 부싱을 위한 축 방향 리테이닝 장치를 통해 해결되며, 베어링 부싱은 외측면을 구비하여 베어링 보어 내에 외측면과 접하여 위치하며, 베어링 보어는 종축을 형성하며, 베어링 보어의 보어 벽 또는 베어링 부싱의 외측면은 종축을 중심으로 환형 홈을 구비하며, 리테이닝 링은 환형 홈 내에 고정된 제1 링 부분을 구비하며, 리테이닝 링은 반경 방향으로 탄성을 띈, 환형 홈의 배치에 따라 보어 벽 또는 외측면을 누르는 제1 링 부분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맞물림 모서리 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부분을 구비한다.
이러한 장치의 장점은, 베어링 보어의 종축을 따라 축 방향으로 베어링 부싱에 배치되는 리테이닝 링이 생략되는 것이다. 이로 인해 베어링 부싱의 조립 및 지지를 위해 종축을 따라 베어링 보어의 전체 길이가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유니버설 조인트를 사용할 때 전달 가능한 회전 모멘트의 향상 또는 수명 연장을 유도할 수 있다. 또 다른 장점은, 다수의 리테이닝 링 또는 반복된 조립 대신 오직 한가지 형태의 리테이닝 링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베어링 부싱의 외측면으로, 또는 베어링 부싱으로의 리테이닝 링의 조립 배치에서 베어링 보어의 보어 벽으로 맞물림 모서리가 더 깊이 파고들기 때문에, 유니버설 조인트의 회전시 나타나는 원심력은 지지가 더욱 향상되도록 유도한다. 보어 벽 또는 베어링 부싱의 외측벽의 홈들은, 베어링 보어의 종축을 중심으로 저널 십자부의 베어링 저널의 왕복 회전 운동으로 인한 베어링 부싱의 회전 및 이를 통한 프렛팅 부식이 방지되는 또 다른 장점을 수반한다.
전체적으로, 조립시 하나의 장점이 또한 나타나는데, 이는 오직 베어링 부싱의 밀어넣기를 통해 작은 불균형을 초래하며, 이로써 조립 후 균형을 잡기 위한 약간의 작업 및 균형 중량만이 필요하도록 중심 설정된 조립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는 전체적으로 비용 절감을 초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보어 벽 또는 외측면 영역은 리테이닝 링의 맞물림 모서리를 위한 접촉 영역을 형성하며, 접촉 영역은 거친 면을 갖거나, 오돌도돌하거나, 또는 원주 홈을 구비하는 접촉 영역이 제공된다.
이를 통해, 대응 면 즉, 베어링 보어의 보어 벽 또는 베어링 부싱의 외측면 쪽으로 맞물림 모서리(들)의 맞물림을 향상시켜, 종축을 따라 안전한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접촉 영역은 바람직하게도, 베어링 부싱이 베어링 보어 내로 삽입될 때, 상응하는 대응면이 상하지 않도록, 베어링 부싱의 외측면 또는 보어 벽의 나머지 영역 상에 제공되지 않게 설계될 수 있다. 장치의 또 다른 장점은, 환형 홈이 베어링 보어 자체 또는 베어링 부싱의 외측면에서 베어링 보어의 종축을 따라 실제로 임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는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는, 맞물림 모서리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링 부분은 제1 링 부분 또는 보어 벽에 대해 조립 상태에서 7°보다 크고 90°보다 작은 각으로 진행되는 것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삽입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베어링 부싱에 힘이 작용하는 경우, 상응하는 대응면, 즉 보어 벽 또는 베어링 부싱의 외측면 내로 맞물림 모서리가 안전하며 더 깊이 맞물리는 것이 보장된다.
본 발명은 리테이닝 링의 수용을 위한 환형 홈의 배치에 관한 두 가지 실시예를 제공한다. 제1 실시예의 경우, 베어링 보어의 보어 벽에 환형 홈이 배치될 때, 리테이닝 링의 맞물림 모서리는 베어링 보어의 삽입 단부의 반대 방향을 향하며, 이 베어링 보어를 통해, 베어링 부싱이 베어링 보어 내로 삽입되는 것이 제공된다.
제2 실시예의 경우, 환형 홈이 베어링 부싱의 외측면에 배치될 때, 리테이닝 링의 맞물림 모서리는 베어링 보어의 삽입 단부 쪽을 향하며, 이 베어링 보어를 통 해 베어링 부싱이 베어링 보어 내로 삽입되는 것이 제공된다.
리테이닝 링이 용이하게 조립되도록, 환형 홈 내에 리테이닝 링을 수용하는 환형 홈은 리테이닝 링이 종축 방향으로 하나의 위치에서 분리되는 것이 제공된다. 리테이닝 링은 금속 박판으로 형상되며, 적어도 하나의 제2 링 부분은 제1 링 부분에 대해 종단면에서 V자 모양으로 구부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링 부분은 견고하게 형성되며 맞물림 모서리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링 부분에 일체로 연결되도록, 리테이닝 링은 대안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베어링 부싱의 삽입 방향에 대해 반대로, 베어링 보어 쪽으로 작용하는 힘이 대응면 쪽으로 파고들도록 유도됨으로써, 리테이닝이 더욱 강해지도록, 맞물림 모서리가 예리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기초를 둔 이러한 목적은, 유니버설 조인트에 속하는 조인트 요크 또는 베어링 요소의 요크 아암의, 보어 벽을 형성하며 연장되는 베어링 보어를 갖는 베어링 부싱을 위한 축 방향 리테이닝 장치를 통해 해결되며, 베어링 부싱은 외측면을 구비하여 베어링 보어 내에서 이 외측면과 접하여 위치하며, 베어링 보어는 종축을 형성하며, 베어링 보어는 베어링 부싱을 위한 삽입 단부를 형성하며, 베어링 보어의 보어 벽은 삽입 단부 쪽을 향하는 방향에서 원주 상에 종축을 따라 축 방향으로 오프셋된 제1 톱니를 구비하며, 이러한 톱니의 첨부는 종축 방향으로 보어 벽의 나머지 면 상에 분포되지 않으며, 베어링 부싱은 베어링 보어 내로의 삽입 방향에서 뒤쪽 단부에서 제1 톱니와 상호 작용하는 제2 톱니(23)를 외측면(311) 상에 구비하며, 제2 톱니는 제1 톱니 사이로 맞물리며 종축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베 어링 부싱의 외측면 상에 상응하게 제공된다. 이는 이미 언급된 본 발명에 따른 해결방법에서 주어진 것과 유사한 장점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톱니는 톱날같은 형태를 갖는다. 가파른 톱니 측면이 지지용으로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면에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도1은 단부에 두 개의 유니버설 조인트(1) 및 두 개의 유니버설 조인트 사이에 배치된 길이 보상부(2)로 구성된 유니버설 조인트 샤프트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두 개의 유니버설 조인트(1)는 기본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단지, 길이 보상부(2)로의 연결만이 상이하다. 모든 부재들은 회전축(X)에 정렬되어 되시된다. 지금부터는 도1의 좌측에 도시된 유니버설 조인트(1)가 상세히 설명된다.
유니버설 조인트(1)는 플랜지가 제공되는 제1 조인트 요크(3)를 포함하며, 이는 구동 또는 피동 부재에 연결하기 위해 제공된다. 그 외에, 이 유니버설 조인트는 저널을 구비하는, 길이 보상부(2)의 구성 부재를 형성하는 제2 조인트 요크(4)를 포함한다.
두 개의 조인트 요크(3, 4)는 각각 베어링 보어(7)를 갖는, 각각 두 개의 요크 아암(5)을 구비한다. 각각 하나의 조인트 요크(3, 4)의 두 개의 요크 아암(5)의 베어링 보어(7)는 공통의 종축(8)에 중심 설정된다. 두 개의 조인트 요크(3, 4)의 요크 아암은 축(X)을 중심으로 90°오프셋되어 배치된다.
두 개의 조인트 요크(3, 4)는 서로 직각으로 놓이며 저널 상에 각각 하나의 베어링 부싱(9)이 배치되며, 롤링체 및 밀봉의 중간 연결부를 갖는, 네 개의 저널을 갖는 십자 저널을 포함하는, 십자 저널 유닛(6)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각각의 베어링 부싱(9)은 베어링 보어(7) 내에 수용되며 도면에 자세히 도시되지 않은 리테이닝 링을 통해 베어링 보어(7) 내에 유지된다.
베어링 부싱(9)들 중 한 개의 베어링 부싱에 대한 리테이닝이 다음에서 추가 도면을 통해 설명되며, 이는 두 개의 유니버설 조인트(1)의 베어링 부싱을 위한 대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축 방향 리테이닝 장치를 위한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경우, 조인트 요크의 요크 아암(5) 영역이 도시된다. 요크 아암(5)에는 종축(8)에 중심 설정된, 보어 벽(10)을 구비하며, 요크 아암(5)을 지나 완전 관통하며, 베어링 보어 사이의 회전축(X) 쪽에 위치한 요크 아암(5)의 내측면 및 그 사이의 회전축(X) 반대쪽에 위치한 요크 아암(5)의 외측면을 갖는 베어링 보어(7)가 존재한다. 이 영역에서 베어링 보어(8)의 개구는 베어링 부싱(9)을 위한 삽입 단부(20)을 형성한다. 베어링 부싱(9)은 이 삽입 단부(20)로부터 삽입 방향(F)인 베어링 보어(7) 내로 삽입된다. 베어링 부싱은 외측면(11)을 구비하며, 이 외측면과 베어링 보어(7) 내의 보어 벽(10)에 접하여 위치한다.
리테이닝은 다음과 같은 배치를 통해서 가능하다. 베어링 보어(7) 내에 삽입 단부(20) 쪽으로 환형 홈(12)이 배치된다. 이러한 환형 홈(12) 내에 제1 링 부분(14)을 구비하며, 대략 중공 형태를 가지며, 환형 홈(12) 내에 축 방향 즉, 종축 방향(8)으로 고정 위치되는 리테이닝 링(13)이 위치한다. 이러한 제1 링 부분(14) 에 바람직하게는 원주 상에 분포되는 자신의 자유 단부에 각각의 맞물림 모서리(17)를 형성하며, 베어링 부싱(9)의 대면하여 놓이는 외측면(11)으로 맞물리며, 삽입 방향(F)으로 원심력 또는 그 외의 힘이 작용하는 경우 베어링 부싱(9)의 이탈을 방지하는 다수의 제2 링 부분(16)이 연결된다.
제2 링 부분(16)은, 제1 링 부분(14)에 대하여 삽입 단부(20)의 반대 방향으로 개방된 각(A)으로 배치된다. 리테이닝 링(12)은 도4를 통한 상세도에 다시 한번 자세히 설명된다.
리테이닝 링(13)은, 제2 링 부분(16)의 맞물림 모서리(17)가 삽입 단부(20)의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환형 홈은 종축(8)을 따라 베어링 보어(7)의 임의의 위치에 배치된다. 이러한 것을 나타내기 위해 도2에, 삽입 단부로부터 회전 축(X) 쪽으로 더 멀리 떨어져 위치하는 또 다른 환형 홈(12)이 도신된다.
도3에 따른 실시예에서 도2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상이한 것은, 환형 링(112)이 요크 아암(5)의 베어링 보어(107)의 보어 벽(110) 내에 배치되지 않고, 베어링 부싱(109)의 외측면(111)에 배치되는 것이다. 환형 링(112)은 제1 링 부분(114)을 구비하며, 환형 홈(112) 내에 위치하며, 제1 링 부분(114)의 둘레에 오프셋되어 분포되는 제2 링 부분(116)을 갖는, 제2 링 영역의 자유 단부에 각각 하나의 맞물림 모서리(117)가 제공되는 테이닝 링(113)을 수용한다. 맞물림 모서리(117)는 베어링 보어(107)의 보어 벽(110)으로 맞물린다. 베어링 보어(107) 자체는 환형 홈을 구비하지 않는다. 리테이닝 링(113)은, 제2 링 부분(116)에 배치되는 맞물림 모서 리(117)가 삽입 단부(20) 쪽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이 경우, 제2 링 부분(116)은 보어 벽(110)에 관하여 삽입 단부(20) 방향으로 개방된 7°이상의 각(A)으로 배치된다. 맞물림 모서리(117)는 삽입 단부 쪽을 향한다.
도4에는 도2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것처럼, 리테이닝 링(13)이 더 상세히 도시된다. 종축(8)을 중심으로 둘레에 펼쳐지며, 환형 홈(12)과 맞물리는 제1 링 부분(14) 및 여기에 오프셋되고 이 둘레에 분포되어 배치된, 자유 단부에 각각의 맞물림 모서리(17)를 형성하는 제2 링 부분(16)을 볼 수 있다. 또한 보어 벽(10)에 대한 제2 링 부분(16)의 V-자 형태의 기울어짐 및 이를 통해 꼭지점(S)으로부터 제1 링 부분(14) 쪽으로 각(A)을 볼 수 있다. 또한, 리테이닝 링(13)은 축 방향으로 홈이 파여 있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즉 리테이닝 링은 환형 홈(12) 내에 조립하기 위해 서로 눌려질 수 있도록 홈을 구비하며, 리테이닝 링이 환형 홈(12) 영역에 배치된 후에 다시 원래 형태로 되돌아간다.
제2 링 부분(16)의 배치 방향을 통해, 맞물림 모서리는 리테이닝 링(13)의 탄성적 설계로 인해 환형 홈(12)으로 탄성적으로 되돌아 가며, 이를 통해 압축력이 발생되기 때문에, 제2 링 부분(16)의 맞물림 모서리(17)는 이러한 삽입의 반대 방향으로 근본적인 저항이 발생되지 않도록, 삽입 단부(20)로부터 베어링 보어(7) 쪽으로 베어링 부싱(9)을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2의 삽입 방향(F)의 반대 방향으로 힘이 작용한다면, 맞물림 모서리(17)는 베어링 부싱(9)의 외측면(11)에 더욱 강하게 맞물리며, 반경 방향의 이동에 대응하여 회전축(X)의 반대 방향으로 베어링 부싱을 유지한다.
도4의 리테이닝 링(13)과 도3의 리테이닝 링(113)의 차이점은, 단지 제2 링 부분(116)이 제1 링 부분의 내측이 아닌 외측에 즉, 종축(8)에 관하여 배치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높은 탄성적 특성을 갖는 금속 박판 재료로 구성된 리테이닝 링(13, 113)이 제작되며, 링의 종 단면도에서 제1 링 부분과 제2 링 부분은 함께 V자를 형성한다.
도5는, 도2와 비교 가능하며, 추가로 베어링 부싱(9)의 외측면(11) 상에 베어링 부싱(9)의 둘레로 펼쳐져 있는 원주 홈(19)이 배치되며, 원주 홈으로 리테이닝 링(13)의 제2 링 부분(16)의 맞물림 모서리(17)가 맞물릴 수 있는 변형된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를 통해 리테이닝 힘은 축 방향으로 즉, 베어링 부싱(9)의 삽입 반대 방향인 종축(8)을 따라 증가된다. 종축(8)을 따라 분포된 리테이닝 링(13)을 위해 함께 접촉 영역(18)을 형성하는, 이러한 다수의 환형 홈(19)이 배열된다. 원주 홈(19) 대신 오돌도돌하거나 변형된, 즉 거친 표면이 제공될 수 있다. 원주 홈(19) 또는 변형된 표면은 베어링 부싱(8)의 표면(11)의 나머지 영역 상에는 제공되지 않는다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 즉, 베어링 부싱(9)이 보어 벽(10)의 베어링 보어(7) 내로 삽입될 때, 접촉 영역(18)의 손상이 방지되어야 한다.
선택적으로, 도3에 따른, 베어링 부싱 내에서의 리테이닝 링 및 환형 홈의 설계 또는 배치를 위해 원주 홈 또는 오돌도돌한 또는 변형된 베어링 보어(107) 즉, 보어 벽(10)의 표면 거칠기를 갖는 접촉 영역을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6은 리테이닝 링을 위한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여기에 도시된 리테 이닝 링(213)은 해당되는 환형 홈에 배치되며, 여기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원주 둘레에 놓여있는 또는 다수의 개별적인, 뾰족한 맞물림 모서리(217)의 자유 단부에서 끝나는 제2 링 부분(216)과 연결된 제1 링 부분(214)을 포함한다. 도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리테이닝 링(213)은 또한 홈이 파여 있으며, 이를 통해, 해당되는 환형 홈 내에서 조립을 위해 서로 눌려질 수 있거나, 또는 조립시 베어링 부싱(209)의 환형 홈이 배치되는 경우를 위해 제공되는 것처럼, 환형 홈 상으로 밀려 들어갈 수 있도록, 환형 홈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리테이닝 링은 확장될 수 있다. 도2에 따라 배치가 수행되거난 또는 제1 링 부분(214)의 외측 둘레에 배치될 때, 도3에 따른 배치 및 환형 홈의 배치가 베어링 부싱 내에서 요구될 때, 리테이닝 링(213)의 제1 링 부분(214)의 내측 둘레에 제2 링 부분(216)이 배치되는 설계도 가능하다. 추가 구성 요소 및 배치에 관해서는 도2의 설명으로 참조되며, 도6에서는 비교될 수 있도록 도2의 도면 부호보다 200 더 큰 도면 부소가 선택된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추가 해법을 도시하며, 베어링 보어(307)의 삽입 단부(320) 근처의 요크 아암(305)에 종축(8)을 중심으로 원주상에 놓여진, 삽입 단부(320) 쪽으로 가파른 날을 구비한 다수의 톱날 모양의 제1 톱니(21)가 제공된다. 상응하게도, 베어링 부싱(309)은 외측면 상에 둘러쌓인, 베어링 부싱(309)의 단부(22)의 반경 방향 외측 근처에 배치되며, 제1 톱니(21)와 서로 보완되어 형상된는 제2 톱니(23)를 구비하며, 제2 톱니(23)는 종축(8) 방향으로, 반경 외측으로 베어링 부싱(309)의 외측면(311)의 나머지 영역 상에 베어링 보어(307)의 보어 벽(310)의 제1 톱니(21)와 맞물리기 위해 제공된다. 제1 톱니(21)는 베어링 부 싱(309)의 외측면(311)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톱니가 보어 벽(310)의 나머지 영역 상에 종축(8)에 대해 반경 내측 방향으로는 구비되지 않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니버설 조인트에서 베어링 부싱을 위한 축 방향 리테이닝 장치를 제안하며, 이때 조립이 간단해지며, 또한 주어진 크기에서 즉, 주어진 회전 직경에서 베어링 수명 연장, 또는 동일한 회전 모멘트 전달 능력에서의 작은 삽입 공간 즉, 작은 회전 직경을 얻을 수 있다.

Claims (10)

  1. 유니버설 조인트(1)에 속하는 조인트 요크(3) 또는 베어링 요소의 요크 아암(5, 305)의, 보어 벽(10, 110, 210, 310)을 형성하며 연장되는 베어링 보어(7, 107, 207, 307) 내에서 리테이닝 링(13, 113, 213)을 통한 베어링 부싱(9, 109, 209, 309)을 위한 축 방향 리테이닝 장치에 있어서,
    베어링 부싱(9, 109, 209, 309)은 외측면(11, 111, 211, 311)을 구비하여 베어링 보어(7, 107, 207, 307) 내에 외측면과 접하여 위치하며, 베어링 보어(7, 107, 207, 307)는 종축(8)을 형성하며, 베어링 보어(7, 107, 207, 307)의 보어 벽(10, 110, 210, 310) 또는 베어링 부싱(9, 109, 209, 309)의 외측면(11, 111, 211, 311)은 종축(8)을 중심으로 환형 홈(12, 112)을 구비하며, 리테이닝 링(13, 113, 213)은 환형 홈(12, 112) 내에 고정된 제1 링 부분(14, 114, 214)을 구비하며, 리테이닝 링은 반경 방향으로 탄성을 띈, 환형 홈(12, 112)의 배치에 따라 보어 벽(10, 110, 210, 310) 또는 외측면(11, 111, 211, 311)을 누르는 적어도 하나의 맞물림 모서리(17, 117, 217)를 형성하는, 제1 링 부분(14, 114, 214)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부분(16, 116, 216)을 구비하는 축 방향 리테이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보어 벽(10) 또는 외측면(11)의 영역은 리테이닝 링(13)의 맞물림 모서리(17)를 위한 접촉 영역(18)을 형성하며, 접촉 영역(18)은 거친 면을 갖거나 오돌도돌하거나 원주 홈(19)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 방향 리테이닝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접촉 영역(18)은 베어링 부싱(9)의 외측면(11) 또는 보어 벽(10)의 나머지 영역 상에 제공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 방향 리테이닝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맞물림 모서리(17, 117)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링 부분(16, 116)은 보어 벽(10, 110)에 대해 조립 상태에서 7°보다 크고 90°보다 작은 각(A)으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 방향 리테이닝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환형 홈(12)이 베어링 보어(7, 207)의 보어 벽(10, 210)에 배치될 때, 리테이닝 링(13, 213)의 맞물림 모서리(17, 217)는 베어링 보어(7, 207)의 삽입 단부(20)에 대해 반대 방향을 향하며, 상기 삽입 단부를 통해 베어링 부싱(9, 209)이 베어링 보어(7, 207) 내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 방향 리테이닝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환형 홈(112)이 베어링 부싱(109)의 외측면(111)에 배치될 때, 리테이닝 링(113)의 맞물림 모서리(들)(117)는 베어링 보어(107)의 삽입 단부(20) 쪽을 향하며, 상기 삽입 단부를 통해 베어링 부싱(109)이 베어링 보어(107) 내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 방향 리테이닝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리테이닝 링(13, 113, 213)은 종축(8) 방향으로 하나의 위치(15)에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 방향 리테이닝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리테이닝 링(13, 113)은 금속 박판으로 형상되며, 적어도 하나의 제2 링 부분(16, 116)은 제1 링 부분(14, 114)에 대해 종단면에서 V자 모양으로 구부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 방향 리테이닝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제1 링 부분(214)은 견고하게 형성되며, 여기에 적어도 하나의 제2 링 부분(216)이 일체되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 방향 리테이닝 장치.
  10. 유니버설 조인트에 속하는 조인트 요크 또는 베어링 요소의 요크 아암(305)의, 보어 벽(310)을 형성하며 연장되는 베어링 보어(307)를 갖는 베어링 부싱(309)을 위한 축 방향 리테이닝 장치에 있어서,
    베어링 부싱(309)은 외측면(311)을 구비하여 베어링 보어(307) 내에 외측면과 접하여 위치하며, 베어링 보어(307)는 종축(8)을 형성하며, 베어링 보어(307)는 베어링 부싱(309)을 위한 삽입 단부(320)를 형성하며, 베어링 보어(307)의 보어 벽(310)은 삽입 단부(320) 쪽을 향하는 방향에서, 원주 상에 종축(309)을 따라 축 방향으로 오프셋된 제1 톱니(21)를 구비하며, 톱니의 첨부는 종축(8) 방향으로 보 어 벽(310)의 나머지 면 상에 분포되지 않으며, 베어링 부싱(309)은 베어링 보어(307) 내로의 삽입 방향에서 뒤쪽 단부(22)에서 제1 톱니(21)와 상호 작용하는 제2 톱니(23)를 외측면(311) 상에 구비하며, 제2 톱니는 제1 톱니(21) 사이로 맞물리며 종축(8)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베어링 부싱(309)의 외측면(311) 상에 상응하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 방향 리테이닝 장치.
KR1020060039819A 2005-05-04 2006-05-03 유니버설 조인트에서의 베어링 부싱을 위한 축 방향리테이닝 장치 KR1008794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5021376.6 2005-05-04
DE102005021376A DE102005021376A1 (de) 2005-05-04 2005-05-04 Axialsicherungsanordnung für eine Lagerbüchse bei einem Kreuzgelen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5594A true KR20060115594A (ko) 2006-11-09
KR100879435B1 KR100879435B1 (ko) 2009-01-20

Family

ID=36763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9819A KR100879435B1 (ko) 2005-05-04 2006-05-03 유니버설 조인트에서의 베어링 부싱을 위한 축 방향리테이닝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60252557A1 (ko)
EP (1) EP1719928B1 (ko)
KR (1) KR100879435B1 (ko)
CN (1) CN100455836C (ko)
DE (2) DE1020050213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03789B4 (de) * 2007-01-19 2009-05-20 Elbe Holding Gmbh & Co. Kg Kreuzgelenk mit einem Sicherungselement
CN103132926B (zh) * 2013-01-30 2014-09-17 天津大学 旋转导向钻井用中空万向节
CN103452498B (zh) * 2013-09-17 2015-06-03 天津大学 旋转导向钻井用万向节
US11300162B2 (en) * 2016-07-06 2022-04-12 Dana Automotive Systems Group, Llc Axle and propeller shaft quick-connect joint attachment assembly
US11401968B2 (en) 2017-01-23 2022-08-02 Dana Automotive Systems Group, Llc Snap-in bearing cup
CN111656024A (zh) * 2018-01-16 2020-09-11 舍弗勒技术股份两合公司 轴承固定装置及包括该轴承固定装置的混合动力模块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37382A (en) * 1953-02-17 1958-06-03 Edward J Schaefer Bearing mounting
US3352127A (en) * 1965-06-17 1967-11-14 Renniks Corp Seals
SE331008B (ko) * 1968-02-19 1970-12-07 Metallverken Essem Plast Ab
US3798926A (en) * 1972-07-21 1974-03-26 Zeller Corp Universal joint construction
DE2933505C2 (de) * 1979-08-18 1983-11-10 Uni-Cardan Ag, 5200 Siegburg Kreuzgelenk
GB2184200B (en) * 1985-12-16 1989-07-12 Torrington Co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yokes for universal joints
EP0239556B1 (en) * 1986-03-25 1990-10-31 AB Sandvik Coromant Coupling device between two elements
GB2286026B (en) * 1994-01-19 1997-08-06 Guest John 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grab rings
US5797800A (en) * 1996-05-02 1998-08-25 Dan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taining a bearing cup in a universal joint assembly
US5813705A (en) * 1996-06-18 1998-09-29 Victaulic Company Of America Snap-action pipe coupling retainer
DE19651176B4 (de) * 1996-12-10 2004-02-12 Skf Gmbh Lösbare axiale Sicherung
US6280335B1 (en) * 2000-02-01 2001-08-28 American Axle & Manufacturing, Inc. Universal joint
EP1270974B1 (en) * 2001-06-27 2006-08-23 JTEKT Corporation Mounting structure for rolling bearing
DE10223848C1 (de) * 2002-05-28 2003-07-31 Spicer Gelenkwellenbau Gmbh Kreuzgelenk mit einer Wuchtanordnung und Wuchtgewicht für diese
DE10261114B4 (de) * 2002-12-20 2012-04-05 Spicer Gelenkwellenbau Gmbh Kreuzgelenk mit einem Sicherungselement
US6821207B2 (en) * 2003-02-24 2004-11-23 American Axle & Manufacturing, Inc. Driveshaft assembly with retention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252557A1 (en) 2006-11-09
CN100455836C (zh) 2009-01-28
KR100879435B1 (ko) 2009-01-20
DE102005021376A1 (de) 2006-11-09
CN1858456A (zh) 2006-11-08
EP1719928A2 (de) 2006-11-08
DE502006002986D1 (de) 2009-04-16
EP1719928A3 (de) 2008-02-20
EP1719928B1 (de) 2009-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9435B1 (ko) 유니버설 조인트에서의 베어링 부싱을 위한 축 방향리테이닝 장치
US7025679B2 (en) Universal joint with bearing cup retention thrust washer
EP1045159A2 (en) Universal joint
JP6521552B1 (ja) サーボ及びそれを有するロボット
US20140314356A1 (en) Flanged half-bearing
US6814668B2 (en) Universal joint with venting seal assembly
CN107407386B (zh) 用于流体动力止推轴承的轴向保持和防转动结构
US6994627B2 (en) Universal joint
EP1597489B1 (en) Universal joint with retention mechanism
US10662998B2 (en) Sleeve for deep groove ball bearing
GB2090373A (en) Universal joint
CN105276017B (zh) 具有轴向的支承装置的万向节以及用于装配万向节的方法
JP6049935B1 (ja) 自在継手用の継手ヨーク及び自在継手
JP2004526107A (ja) 先細りころ軸受組立体を形成する方法
US6837795B2 (en) Universal joint with bearing cup retention seal assembly
CN117203441A (zh) 车辆等速万向节的润滑脂密封结构和包括其的等速万向节
CN112165203B (zh) 一种电机结构
JP2013090384A (ja) トルク伝達装置
KR940018575A (ko) 높은 토오크의 전달에 적합한 카아던 축의 유니버어설 조인트
US11193538B2 (en) Bearing cage assembly including stiffening ring
JP4391322B2 (ja) 自在継手
JP6875356B2 (ja) 等速ジョイントの組立方法
EP1413788B1 (en) Universal joint
GB2249156A (en) A bearing assembly for a universal joint
CN115507116A (zh) 轴承套和轴颈轴承组合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