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4534A - 발사장치 - Google Patents

발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4534A
KR20060114534A KR1020050036699A KR20050036699A KR20060114534A KR 20060114534 A KR20060114534 A KR 20060114534A KR 1020050036699 A KR1020050036699 A KR 1020050036699A KR 20050036699 A KR20050036699 A KR 20050036699A KR 20060114534 A KR20060114534 A KR 200601145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here
sleeve
baseball
ball
compressed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6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2227B1 (ko
Inventor
박시우
김성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퓨처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퓨처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퓨처웍스
Priority to KR1020050036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2227B1/ko
Publication of KR20060114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45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2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2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40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 A63B69/409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with pneumatic ball- or body-propell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02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02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 A63B2069/0004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raining aspects
    • A63B2069/0008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raining aspects for bat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발사장치는 공형상으로 이루어진 구체(球體)를 일방향으로 발사하는 발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공간부와, 상기 공간부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구체(球體)가 투입되는 투입구와, 상기 공간부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공간부에 투입된 구체(球體)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가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배출구 부근의 내측면에 부착되며, 그 내경이 상기 구체(球體)보다 작게 형성된 중공형상의 슬리브와, 상기 구체(球體)가 상기 본체의 공간부로 투입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의 투입구를 개방하는 제1위치와, 상기 투입구를 폐쇄함과 동시에 그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구체(球體)와 슬리브 중 적어도 하나가 변형된 상태로 상기 구체(球體)를 상기 슬리브내로 밀어 넣는 제2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의 공간부에 수용되는 압압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압압부재에는 압축공기가 유동 가능한 유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로의 일단은 상기 압축공기가 공급되는 압축공기공급원과 연결되어 있으며, 타단은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압축공기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상기 압축공기가 상기 구체(球體)를 상기 일방향으로 가압하여 그 구체(球體)가 상기 본체의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발사되도록 상기 구체(球體)와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발사장치{Apparatus for shooting a ball}
도 1은 종래의 일례에 따른 피칭머신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발사장치에 있어서 야구공이 슬리브에 끼워지는 순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발사장치에 있어서 압압부재가 제2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야구공 20...본체
21...공간부 22...투입구
23...배출구 24...슬롯
30...슬리브 31...테이퍼부
40...압압부재 41...유로
42...경사부 43...접촉부
50...연장부재 51...통로부
60...흡음부재 70...압축공기공급원
71...공기저장탱크 72...조절기
73...밸브 74...커플링
75...공압호스 80...공압실린더
81...로드 100...발사장치
본 발명은 발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압축공기를 사용하여 구체(球體)를 발사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발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형상으로 이루어진 구체(球體)는 야구, 테니스, 축구, 탁구, 배구 등과 같은 각종 스포츠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스포츠에서 선수가 실력 향상을 위한 연습을 하는 경우에는 다른 선수의 도움을 필요로 하게 된다. 예컨대, 야구에서 타자가 타격연습을 하기 위해서는 야구공을 던져주는 투수가 필요하게 되며, 테니스 또는 탁구에서 서브에 대한 리시브를 연습하기 위해서는 서브를 넣어주는 선수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축구에서 골키퍼가 페널티 킥을 막는 연습을 하기 위해서는 페널티 킥을 차는 선수가 필요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타자의 타격연습을 위한 피칭머신만이 있었을 뿐 탁구, 축구, 테니스, 배구 등과 같은 스포츠에 있어서 축구공, 테니스공, 배구공 등과 같은 구체를 일방향으로 발사시키는 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았다. 따라서, 탁구, 축구, 테니스, 배구 등과 같은 스포츠에서 연습하고자 하는 선수가 다른 선수의 도움 을 받을 수 밖에 없게 되므로, 그 연습하고자 하는 선수가 자신이 편한 시간에 마음껏 연습하는 데에 많은 제약이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선수를 고용하는 경우에는 연습시 필요한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한편, 상기 피칭머신은 타석에 서 있는 선수에게 야구공을 발사시켜 타격연습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서, 야구팀에서 선수들의 타격연습용으로 또는 일반인이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놀이기구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피칭머신의 일례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피칭머신(200)은 야구공(10)들이 수용되어 있는 원통형 부재(210)와, 상기 원통형부재(210)에 설치되어 있는 제1솔레노이드(220) 및 제2솔레노이드(230)와, 상기 원통형부재(210)의 배출구(211)에 배치되어 있으며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며 검정색 타이어로 이루어진 한 쌍의 회전부재(240)를 구비한다. 상기 각 솔레노이드(220,230)는 케이스(221,231)와, 상기 케이스(221,231)에 대해 돌출 및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플런저(222,232)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240)들은 상기 야구공(10)의 직경보다 더 작은 거리의 갭(250)을 가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피칭머신(200)에 있어서, 제1솔레노이드(220)에 전기를 인가하면, 제1솔레노이드의 플런저(222)가 케이스(221)에 대해 몰입되는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므로 제1솔레노이드의 플런저(222)와 제2솔레노이드의 플런저(232) 사이에 있는 야구공(10)이 회전부재(240)들 사이의 갭(250)으로 투입되게 된다. 이와 같이 회전부재들 사이의 갭(250)에 투입된 야구공(10)은 서로 반대방향 으로 회전하는 회전부재(240)들에 의해 슬라이딩되면서 그 회전부재(240)들 사이의 갭(250)에 끼워지게 된다. 이와 같이 야구공(10)은 회전부재(240)들 사이에 끼워져 그 갭(250)을 통과하면서 대략적으로 타원형으로 탄성변형되게 된다. 이와 같은 탄성변형된 야구공(10)은 회전부재(240)들이 회전함에 따라 도 1에 화살표로 지시된 전방으로 움직이게 되며 그 과정에서 탄성변형된 상태로부터 복원되면서 전방으로 발사되게 된다. 이와 같이 야구공(10)은 탄성변형 및 그 탄성변형으로부터의 복원되면서 회전부재(240)들의 회전력을 얻어 전방으로 발사되게 된다.
그리고, 야구공(10)을 회전부재(240)들 사이의 갭(250)으로 투입한 후에는 제1솔레노이드(220)에 전기를 차단하여 그 제1솔레노이드의 플런저(222)를 케이스(221)에 대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제2솔레노이드(230)에는 전기를 인가하여 그 제2솔레노이드의 플런저(232)를 케이스(231)에 대해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제1솔레노이드의 플런저(222) 및 제2솔레노이드의 플런저(232) 사이에 야구공(10)을 배치시킨다. 그 후에, 제2솔레노이드(230)에 전기를 차단하여 제2솔레노이드의 플런저(232)를 케이스(231)에 대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제1솔레노이드(220)와 제2솔레노이드(230)에 전기를 인가 또는 차단함으로써, 제1솔레노이드의 플런저(222) 및 제2솔레노이드의 플런저(232) 사이에는 항상 하나의 야구공(10)을 배치시킬 수 있으며, 이에 의해서 야구공(10)을 발사한 후에 제1솔레노이드(220)에 전기를 인가하여 다시 야구공(10) 하나를 전방으로 발사킬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피칭머신(200)에 있어서는, 야구공(10)이 검정색 타이어로 이루어진 회전부재(2400들 사이에서 탄성변형 및 탄성복원되는 과정에서 그 야구공(10)의 표면이 검정색으로 오염되게 된다. 더구나 오염된 야구공(10)은 세척하기가도 매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술한 피칭머신(200)에 있어서는 전기 부품인 솔레노이드(220,230)가 사용되므로 고장 발생율이 매우 높다. 특히, 솔레노이드가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솔레노이드의 플런저(222) 및 제2솔레노이드의 플런저(232) 사이에 하나의 야구공이 배치되도록 작동하지 않게 되면, 야구공(10)이 여러게 동시에 발사되는 경우도 자주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한편, 상술한 피칭머신(200)에 있어서는 야구공(10)과 회전부재(240)들 사이에 적절한 마찰력이 유지되어야 그 야구공(10)이 원하는 속도 및 방향으로 발사되게 된다. 그런데, 습도가 높은 날이나, 빗물 또는 이슬 등이 회전부재(240)들에 유입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야구공(10)이 회전부재(240)들 사이에서 미끌어져서 엉뚱한 방향으로 발사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게 되며, 특히 엉뚱한 방향으로 발사된 야구공은 다른 타석에 들어서 있는 타자에게 날아가 부상을 입힐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압축공기를 사용하여 구체를 발사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되어 구체를 하나씩 원하는 방향 및 속도로 안정적으로 발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발사과정에서 구체의 표면이 오염되지 않을 수 있도록 하는 발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발사장치는 공형상으로 이루어진 구체(球體)를 일방향으로 발사하는 발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공간부와, 상기 공간부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구체(球體)가 투입되는 투입구와, 상기 공간부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공간부에 투입된 구체(球體)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가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배출구 부근의 내측면에 부착되며, 그 내경이 상기 구체(球體)보다 작게 형성된 중공형상의 슬리브와, 상기 구체(球體)가 상기 본체의 공간부로 투입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의 투입구를 개방하는 제1위치와, 상기 투입구를 폐쇄함과 동시에 그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구체(球體)와 슬리브 중 적어도 하나가 변형된 상태로 상기 구체(球體)를 상기 슬리브내로 밀어 넣는 제2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의 공간부에 수용되는 압압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압압부재에는 압축공기가 유동 가능한 유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로의 일단은 상기 압축공기가 공급되는 압축공기공급원과 연결되어 있으며, 타단은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압축공기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상기 압축공기가 상기 구체(球體)를 상기 일방향으로 가압하여 그 구체(球體)가 상기 본체의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발사되도록 상기 구체(球體)와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 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발사장치에 있어서 야구공이 슬리브에 끼워지는 순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발사장치에 있어서 압압부재가 제2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발사장치(100)는 구체(球體)(10)를 일방향(D)으로 발사한다. 상기 구체(球體)(10)는 공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야구공, 테니스공, 축구공, 탁구공 등과 같이 여러가지 형태가 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체(10)는 야구공이다. 상기 야구공(10)은 일반적으로 그 내부에 압축공기가 채워져 있으므로, 탄성변형 가능하다.
상기 발사장치(100)는 본체(20)와, 슬리브(30)와, 압압부재(40)와, 연장부재(50)와, 흡음부재(60)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20)는 공간부(21)와, 투입구(22)와, 배출구(23)와, 슬롯(24)를 구비한다.
상기 공간부(21)는 상기 야구공(10)이 발사되는 일방향(D)으로 길게 형성된 내부 공간이다.
상기 투입구(22)는 상기 공간부(21)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투입구(22)는 상기 공간부(21)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야구공(10)은 별도의 장치 없이도 상기 투입구(22)를 통해 낙하하여 상기 공간부(21)로 투입된다. 상기 투입구(22) 부근의 상기 공간부(21)의 직경은 상기 야구공(10) 직경의 1배 내지 1.5배로 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야구공(10)은 상기 공간부(21)로 2개 이상 완전히 투입될 수는 없다. 상기 공간부(21)의 직경이 상기 야구공(10) 직경의 1배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야구공(10)이 상기 공간부(21)내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없어서 바람직하지 않으며, 상기 공간부(21)의 직경이 상기 야구공(10) 직경의 1.5배 이상인 경우에는 후술하는 압압부재(40)가 상기 야구공(10)을 들어올려 후술하는 슬리브(30)에 밀어 넣는 것이 용이하지 않아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배출구(23)는 상기 공간부(21)와 연결되어 있으며, 그 배출구(23)를 통해서 상기 공간부(21)에 투입된 야구공(10)은 상기 본체(20)의 밖으로 배출된다. 상기 배출구(23)에는 후술하는 연장부재(50)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슬롯(24)은 상기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롯은, 후술하는 압압부재(40)의 이동시 그 압압부재(40)에 연결된 커플링(74)이 상기 일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슬리브(30)는 탄성변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특히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테프론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슬리브(30)는 상기 본체(20)의 배출구(23) 부근의 내측면에 부착된다. 상기 슬리브(30)는 중공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슬리브(30)의 내경은 상기 야구공(10)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리브(30)에는 테이퍼부(31)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테이퍼부(31)의 직경은 상기 일방향(D)으로 갈수록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압압부재(40)는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20)의 공간부(21)에 수용된다. 상기 제1위치에서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압압부재(40)가 상기 본체(20)의 투입구(22)를 개방하여 상기 야구공(10)이 상기 본체(20)의 공간부(21)로 투입 가능해진다. 상기 제2위치에서 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압압부재(40)가 상기 투입구(22)를 폐쇄하게 되며, 그와 동시에 상기 투입구(22)를 통해 투입된 야구공(10)과 접촉하여 그 야구공(10)은 상기 슬리브(30)내로 밀어 넣게 된다. 상기 제2위치에서는, 상기 야구공(10)과 슬리브(30) 중 적어도 하나가 변형된 상태로 있게 된다. 이는 상기 슬리브(30)의 내경이 상기 야구공(10)의 직경보다 더 작으며, 상기 야구공(10) 및 슬리브(30)의 재질 특성에 기인하여 상기 야구공(10) 및 슬리브(30)의 탄성변형의 정도가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즉, 상기 야구공(10)이 상기 슬리브(30)보다 강성이 더 작게 되면, 상기 야구공(10)이 탄성변형되게 되며, 상기 야구공(10)이 상기 슬리브(30)보다 강성이 더 크게 되면, 상기 슬리브(30)가 탄성변형되게 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야구공(10) 및 슬리브(30) 모두 일정 정도 탄성변형되게 된다.
상기 압압부재(40)는 압압부재 구동수단에 의해 왕복 이동 가능하며,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압압부재 구동수단은 상기 압압부재(30)에 연결된 로드(81)를 포함하는 공압실린더(80)이다. 상기 공압실린더(80)는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압압부재(40)에는 압축공기가 유동 가능한 유로(4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로(41)의 일단은 상기 압축공기가 공급되는 압축공기공급원(70)과 연결되어 있는데,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유로(41)의 일단에는 커플링(74)이 결합되어 있으며 그 커플링(74)이 상기 압축공기공급원(70)과 연결된 공압호스(75)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유로(41)의 타단은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압축공기공급원(70)으로부터 공급된 상기 압축공기가 상기 야구공(10)을 상기 일방향(D)으로 가압하여 그 야구공(10)이 상기 본체(20)의 배출구(23)를 통해 외부로 발사되도록 상기 야구공(10)과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압축공기공급원(70)과 상기 압압부재(40)의 유로(41) 사이에는 공기저장탱크(71)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공기저장탱크(71)는 상기 압축공기공급원(70)으로부터 상기 유로(41)측으로 공급되는 상기 압축공기를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상기 공기저장탱크(70)내의 압력은 조절기(72)에 의해 일정 압력으로 조절되어 그 일정 압력으로 유지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조절기(72)는 상기 압축공기공급원(70)과 공기저장탱크(71)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공기저장탱크(71)와 상기 유로(41) 사이에는 밸브(7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밸브(73)는 상기 공기저장탱크(71)를 개폐하여 그 공기저장탱크(71)에 저장된 상기 압축공기를 상기 유로(41)로 공급 또는 차단한다.
상기 압압부재(40)에는 상기 슬리브(30)의 테이퍼부(31)와 상보적으로 형성된 경사부(42)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압압부재(40)는 상기 제2위치에서 그 압압부재의 경사부(42)가 상기 슬리브의 테이퍼부(31)와 서로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압압부재의 경사부(42) 및 상기 슬리브의 테이퍼부(31)가 서로 상보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접촉위치에서 상기 슬리브(30), 압압부재(40) 및 상기 야구공(10)에 의해 형성된 공간은 밀폐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접촉위치에서 압축공기가 상기 압축공기공급원(70)으로부터 공급되는 경우에 그 압축공기는 새지 않고 상기 슬리브(30)에 끼워진 야구공(10)을 상기 일방향(D)으로 발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압압부재(40)에는 접촉부(43)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접촉부(43)는 상기 압압부재(40)가 상기 제2위치쪽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상기 야구공(10)과 접촉한다. 상기 접촉부(43)의 직경은 상기 일방향(D)으로 갈수록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압압부재(40)가 상기 제2위치쪽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상기 야구공(10)을 상방으로 약간 들어올려 상기 슬리브(30)의 내측면으로 밀어 넣는 것이 용이해진다.
상기 연장부재(50)는 상기 본체(20)에 볼트 결합되어 있다. 상기 연장부재(50)에는 그 연장부재(50)를 관통하여 형성된 통로부(51)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통로부(51)는 상기 본체(20)의 공간부(21) 및 배출구(23)와 동축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배출구(23)를 통해 발사된 야구공(10)은 상기 통로부(51)를 진행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흡음부재(60)는 상기 연장부재(50)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흡음부재(60)는 등록공개특허 제436,157호에 개시된 글라스 울 또는 폴리에스테르 섬유소재 등과 같은 흡음성 소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야구공(10)의 발사시 발생되는 소음을 흡수한다.
이하, 본 실시예의 발사장치(100)를 사용하여 야구공(10)을 발사하는 과정의 일례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압압부재(40)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위치에 위치시킨 후에, 야구공(10)들을 본체(20)에 채워넣는다. 이와 같이 야구공(10)들이 본체(20)에 채워지게 되면, 본체의 공간부(21)에는 야구공(10) 1개만이 완전히 수용되게 되며 다른 하나 의 야구공(10)은 그 일부만이 본체의 공간부(21)에 수용되게 된다. 그 후에, 공압실린더(80)를 작동시키게 되면, 그 공압실린더의 로드(81)가 야구공(10)이 발사되는 일방향(D)으로 움직이게 되며 이에 따라 그 로드(81)에 고정된 압압부재(40)도 상기 일방향(D)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 때에, 압압부재(40)에는 그 직경이 상기 일방향(D)으로 갈수록 커지도록 형성된 접촉부(43)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공간부(21)의 내측면과 접촉한 상태에 있는 야구공(10)은 그 접촉부(43)에 의해 밀려서 상기 일방향(D)으로 보다 잘 움직이게 된다. 이와 같이 야구공(10)이 압압부재(40)에 밀려 상기 일방향(D)으로 이동하게 되면, 슬리브(30)에는 그 직경이 상기 일방향(D)으로 갈수록 작아지도록 형성된 테이퍼부(31)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압압부재(40)에 밀려 이동하는 야구공(10)을 보다 용이하게 슬리브(30)의 테이퍼부(31)와 접촉하도록 만들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야구공(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의 테이퍼부(31)와 접촉하는 위치까지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압압부재(40)를 이동시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시킨 상태에서, 공압실린더(80)의 로드(81)를 상기 일방향으로 더 움직이도록 작동시키면, 압압부재(40)는 그 압압부재(40)의 접촉부(43)가 야구공(10)을 슬리브(30)내로 밀어 넣음과 동시에 상기 일방향(D)으로 더 이동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위치까지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슬리브(30)의 내경이 야구공(10)의 직경보다 더 작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압압부재(40)가 도 4에 도시된 제2위치에 위치하는 과정에서 슬리브(30)와 야구공(10) 중 적어도 하나는 변형되게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슬리브(30)는 탄성변형 가능한 테프론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야구공(10)이 테 프론보다 더 강성이 큰 재질로 이루어져 있는 경우에는 테프론으로 이루어진 슬리브(30)는 야구공(10)과 접촉한 부분에서 그 반경방향으로 탄성변형되게 된다.
이와 같이 압압부재(40)가 도 4에 도시된 제2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압압부재의 테이퍼부(31) 및 그 테이퍼부(31)와 상보적으로 형성된 슬리브의 경사부(42)가 서로 밀착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슬리브(30)가 탄성변형된 상태로 그 슬리브(30)의 내부에 야구공이 끼워지게 되므로, 압압부재(40), 슬리브(30) 및 야구공(10)에 의해 형성된 공간이 밀폐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공압호스(75)를 통해 압압부재(40)의 유로(41)로 압축공기를 공급하게 되면, 그 압축공기는 야구공(10)을 상기 일방향(D)으로 가압하게 되며 그에 따라 야구공(10)은 본체의 배출구(23)를 통과하여 연장부재(50)의 통로부쪽으로 발사되게 된다.
그리고, 야구공(100이 발사되는 과정에서, 야구공(10)과 접촉하는 슬리브(30)의 부분은 그 직경방향으로 탄성변형되게 되고 그 탄성변형되었던 부분은 야구공(10)이 진행함에 따라 복원되게 되며, 이와 같은 슬리브(30)의 탄성변형 및 그 탄성변형으로부터의 복원은 야구공(10)이 그 슬리브(30)를 통과하는 동안에 반복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야구공(10)이 슬리브(30)를 완전히 통과하기 전까지는 슬리브(30)가 탄성변형된 상태로 그 슬리브(30)내로 야구공(10)이 끼워지게 되므로, 압압부재(40), 슬리브(30) 및 야구공(10)에 의해 형성된 공간은 야구공(10)이 슬리브(30)를 완전히 통과하기 전까지는 밀폐되게 되며, 이에 따라 압축공기공급원(70)으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는 새지 않고 야구공(10)을 상기 일방향으로 가압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압축공기에 의해 가압된 야구공(10)은 슬리브(30)를 탄성변형 및 그 탄성변형으로부터 복원시킨 후 연장부재(50)의 통로부(51)를 통과하여 외부로 발사되게 된다. 그리고 발사된 야구공(10)은 타석에 들어선 타자에게 날아가게 되므로, 타자는 다른 선수의 도움 없이도 타격연습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야구공(10)이 본체의 배출구(23)를 통과하는 순간 및 그 야구공(10)이 연장부재의 통로부(51)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압축공기에 기인한 소음이 발생되게 되나, 이 소음은 연장부재(50)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있는 흡음부재(60)에 의해 흡수되게 되므로, 외부로 그 소음이 전달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야구공(10)의 발사시 소음이 방지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발사장치(100)에 있어서는, 종래에 솔레노이드들을 순차적으로 작동시켰던 방식과는 달리, 별도의 장치없이도 야구공(10)을 하나씩 본체(20)의 공간부(21)에 수용시켜 발사시킬 수 있게 된다. 더구나, 압압부재(40)가 하나의 야구공(10)만을 발사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종래에 전자부품인 솔레노이드들의 오작동이나 고장 등으로 인해서 여러 개의 야구공들이 한꺼번에 발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야구공(10)이 압축공기에 의해 가압되어 연장부재의 통로부(51)를 통과하여 타자에게 발사되게 되므로, 종래에 습도가 높은 날이나 발사장치의 회전부재에 빗물이나 이슬 등이 유입되어 야구공이 엉뚱한 방향으로 발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래에 야구공이 회전부재에 의해 오염되는 현상도 줄일 수 있게 된 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은 발사장치(100)에 있어서 야구공 대신에 각종 구체, 예컨대 배구공, 탁구공, 축구공, 테니스공 등을 사용하게 되면, 구체가 사용되는 각종 스포츠에 있어서 그 스포츠 선수가 스스로 연습을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연습하고자 하는 선수는 시간 및 비용에 제약을 받지 않고 자유롭게 연습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서는 구체가 야구공인 것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구체는 테니스공, 축구공 등과 같이 공형상으로 이루어진 어떠한 형태의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압압부재가 공압실린더에 의해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모터 등과 같은 다른 압압부재 구동수단에 의해 압압부재가 구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연장부재와 흡음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연장부재 및 흡음부재가 반드시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야구공의 발사 과정에서 야구공과 슬리브 중 슬리브가 탄성변형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야구공이 탄성변형되도록 그 야구공을 슬리브보다 강성이 더 적은 소재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야구공과 슬리브를 적절한 소재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여 야구공과 슬리브 모두가 적절하게 탄성변형되도록 할 수 도 있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구체가 사용되는 각종 스포츠에 있어서 선수가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도 스스로 연습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간의 제약도 받지 않고 자유롭게 연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래의 피칭머신과 달리 별도의 장치없이도 구체를 하나씩 본체의 공간부에 수용시켜 발사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압압부재가 하나의 구체만을 발사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종래에 전자부품인 솔레노이드들의 오작동이나 고장 등으로 인해서 여러 개의 야구공들이 한꺼번에 발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구체가 압축공기에 의해 가압되어 연장부재의 통로부를 통과하여 타자에게 발사되게 되므로, 종래에 습도가 높은 날이나 발사장치의 회전부재에 빗물이나 이슬 등이 유입되어 야구공이 엉뚱한 방향으로 발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래에 구체가 회전부재에 의해 오염되는 현상도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구체의 발사시 발생되는 소음은 연장부재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있는 흡음부재에 의해 흡수되어 외부로 전달되지 않는다.

Claims (11)

  1. 공형상으로 이루어진 구체(球體)를 일방향으로 발사하는 발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공간부와, 상기 공간부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구체(球體)가 투입되는 투입구와, 상기 공간부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공간부에 투입된 구체(球體)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가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배출구 부근의 내측면에 부착되며, 그 내경이 상기 구체(球體)보다 작게 형성된 중공형상의 슬리브와,
    상기 구체(球體)가 상기 본체의 공간부로 투입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의 투입구를 개방하는 제1위치와, 상기 투입구를 폐쇄함과 동시에 그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구체(球體)와 슬리브 중 적어도 하나가 변형된 상태로 상기 구체(球體)를 상기 슬리브내로 밀어 넣는 제2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의 공간부에 수용되는 압압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압압부재에는 압축공기가 유동 가능한 유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로의 일단은 상기 압축공기가 공급되는 압축공기공급원과 연결되어 있으며, 타단은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압축공기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상기 압축공기가 상기 구체(球體)를 상기 일방향으로 가압하여 그 구체(球體)가 상기 본체의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발사되도록 상기 구체(球體)와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체(球體)는 야구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압부재를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압압부재 구동수단은, 상기 압압부재에 연결된 로드를 포함하는 공압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탄성변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테프론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위치에서 상기 슬리브, 압압부재 및 상기 구체에 의해 형성된 공간이 밀폐되도록, 상기 슬리브 및 상기 압압부재의 서로 접촉하는 부분들은 상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에는 그 직경이 상기 일방향으로 갈수록 작아지도록 형성된 테이퍼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압압부재에는 상기 슬리브의 테이퍼부와 상보적으로 형성된 경사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압압부재에는 상기 제2위치쪽으로의 이동시 상기 구체와 접촉하며 그 직경이 상기 일방향으로 갈수록 커지도록 형성된 접촉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투입구는, 상기 구체가 그 투입구를 통해 낙하하여 상기 공간부로 투입되도록 상기 공간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투입구 부근의 상기 공간부의 직경은 상기 구체 직경의 1배 내지 1.5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본체의 공간부 및 배출구와 동축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발사된 구체가 진행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관통 형성된 통로부를 가지는 연장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구체의 발사시 발생되는 소음을 흡수하기 위한 흡음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공기공급원과 상기 압압부재의 유로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압축공기공급원으로부터 상기 유로측으로 공급되는 상기 압축공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공기저장탱크와,
    상기 공기저장탱크내의 압력을 일정 압력이 되도록 조절하는 조절기와,
    상기 공기저장탱크에 저장된 상기 압축공기를 상기 유로로 공급 또는 차단하기 위해 상기 공기저장탱크를 개폐하는 밸브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장치.
KR1020050036699A 2005-05-02 2005-05-02 발사장치 KR1007022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6699A KR100702227B1 (ko) 2005-05-02 2005-05-02 발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6699A KR100702227B1 (ko) 2005-05-02 2005-05-02 발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4534A true KR20060114534A (ko) 2006-11-07
KR100702227B1 KR100702227B1 (ko) 2007-04-03

Family

ID=37652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6699A KR100702227B1 (ko) 2005-05-02 2005-05-02 발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222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0934B1 (ko) * 2010-12-14 2013-01-11 지관구 자동 타격 연습장치
WO2017010914A1 (ru) * 2015-07-16 2017-01-19 Нина Сергеевна ПОГРЕБНЯК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пуска спортивных снарядов
CN109107133A (zh) * 2018-10-12 2019-01-01 温州职业技术学院 一种网球发射装置
KR102022491B1 (ko) * 2018-03-15 2019-09-19 (주)티보텍 공 발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8769B1 (ko) 2022-09-14 2023-02-10 홍인순 회전 발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77081U (ko) * 1986-11-10 1988-05-21
KR960010039U (ko) * 1994-09-12 1996-04-12 이성조 타격연습용 야구공 발사기
US5980399A (en) * 1997-08-06 1999-11-09 Volleyball Products International, Inc. Ball toss apparatus
KR20010085137A (ko) * 2000-02-29 2001-09-07 이순희 에어펌프를 이용한 공 자동공급장치
KR20020062075A (ko) * 2001-01-19 2002-07-25 최재호 압축공기를 이용한 피칭머신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0934B1 (ko) * 2010-12-14 2013-01-11 지관구 자동 타격 연습장치
WO2017010914A1 (ru) * 2015-07-16 2017-01-19 Нина Сергеевна ПОГРЕБНЯК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пуска спортивных снарядов
RU2609725C2 (ru) * 2015-07-16 2017-02-02 Нина Сергеевна Погребняк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пуска спортивных снарядов
KR102022491B1 (ko) * 2018-03-15 2019-09-19 (주)티보텍 공 발사장치
CN109107133A (zh) * 2018-10-12 2019-01-01 温州职业技术学院 一种网球发射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2227B1 (ko) 2007-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2227B1 (ko) 발사장치
KR100998736B1 (ko) 배드민턴 연습장치
US5241944A (en) Toy weapon for shooting out wet pellets
US5857451A (en) Launcher apparatus for spherical and disc-shaped objects
US9500436B2 (en) Projectile launcher having upper receiver pivotally coupled to lower receiver
JP2008212440A (ja) シャトル発射装置
US9068792B2 (en) Projectile launcher able to launch an object using a hammer
KR101118557B1 (ko) 배드민턴 연습장치
US5800288A (en) Ball toss sport training apparatus
US3779227A (en) Spring type projecting device
US20110152011A1 (en) Ball Toss Up Apparatus for Batting Practice and Game Play
US7219817B2 (en) Fluid slug launcher
KR102022491B1 (ko) 공 발사장치
JPS62500286A (ja) テニスボ−ル投球装置
US8491423B1 (en) Training aid for a batter
US9074838B2 (en) Paintball launcher employing a carrier for striker reset before disconnecting from striker
CN108325196B (zh) 足篮排球发球机构
EA024727B1 (ru) Система пневматического оружия высокой мощности
US20070107711A1 (en) Low velocity projectile marker
US5681043A (en) Compression actuated game or simulation apparatus
US20020134367A1 (en) Ball feeding device
CN101850180A (zh) 全自动射击冰球运动游戏机
US20130056928A1 (en) Air soccer game
US20200070041A1 (en) Ball launcher and amusement machine using it
US10905940B2 (en) Two-player baseball table g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