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4184A - 이동통신 단말기 거치대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4184A
KR20060114184A KR1020050036192A KR20050036192A KR20060114184A KR 20060114184 A KR20060114184 A KR 20060114184A KR 1020050036192 A KR1020050036192 A KR 1020050036192A KR 20050036192 A KR20050036192 A KR 20050036192A KR 20060114184 A KR20060114184 A KR 200601141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6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1233B1 (ko
Inventor
박재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에프.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에프.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에프.텍
Priority to KR1020050036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1233B1/ko
Publication of KR20060114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41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1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12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00Cleaning windows
    • A47L1/02Power-driven machines or devices
    • A47L1/03Power-driven machines or devices cleaning both sides of a window simultaneously
    • B08B1/12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4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Automatic obstacle dete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6Control of the cleaning action for autonomous devices; Automatic detection of the surface condition before, during or after cleaning

Abstract

전기적인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킨 이동통신 단말기 거치대가 개시되어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 거치대는 제1 하우징부, 제2 하우징부 및 커넥터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제1 하우징부는 거치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수용한다. 제2 하우징부는 제1 하우징부와의 결합을 통해 수납공간을 정의한다. 커넥터 어셈블리는 수납공간에 배치되고, 이동통신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신호를 교환하고, 일정 각도의 탄성을 갖고서 회동한다. 이와 같이, 커넥터 어셈블리가 탄성을 갖으며 회동함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와 커넥터 어셈블리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때, 둘 사이의 전기적인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 거치대{HAND PHONE CRAD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거치대와 이동통신 단말기과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이동통신 단말기 거치대를 분해해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이동통신 단말기 거치대 중 커넥터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4의 커넥터 어셈블리의 회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있어서 신호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핸드폰 20 : 신호선
30 : 음성입력장치 40 : 음성출력장치
100 : 핸드폰 거치대 110 : 제1 하우징부
112 : 핸드폰 거치부 114 : 커넥터 공간부
116 : 커넥터 연결통로 120 : 제2 하우징부
122 : 커버 바닥부 124 : 제1 측부
126 : 제2 측부 128 : 제3 측부
130 : 커넥터 어셈블리 132 : 커넥터
134 : 제1 서브 커버 136 : 제2 서브 커버
138 : 스프링 140 : 위치정보 수신부
142 : 위치정보 신호 연결부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전기적인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킨 이동통신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21세기에 접어듦에 따라, 하루에도 수많은 정보가 발생되고, 그에 따라 정보를 효과적으로 주고받기 위한 통신수단을 필요로 한다. 상기 통신수단 중 대표적인 것으로 이동통신 단말기(hand phone)가 있으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하면서 통화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고 있어, 최근에 급속히 발전하고 있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전원을 저장하여 공급하는 배터리(battery)를 포함한다. 상기 배터리 내의 전원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함에 따라 점차적으로 소모되기 때문에, 상기 배터리는 주기적으로 외부의 전원공급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되어져야한다. 또한, 자동차 운전을 하고 있을 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받거나 걸 경우, 안전한 운행을 위해 손을 데지 않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한 통화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원을 공급하거나 손을 데지 않고 전화를 걸기 위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 거치대에 거치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거치대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거나 신호를 주고받도록 해주는 커넥터를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커넥터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거치대 내에 고정되어 유동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쉽게 연결 및 분리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상기 커넥터와 결합 및 분리시키기 위해 강제적으로 힘을 가할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및 커넥터의 일부가 파손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소정의 각도로 회동함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과의 전기적인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킨 이동통신 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거치대는 거치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수용하는 제1 하우징부와, 상기 제1 하우징부와의 결합을 통해 수납공간을 정의하는 제2 하우징부와, 상기 수납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신호를 교환하고, 일정 각도의 탄성을 갖고서 회동하는 커넥터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거치대는 거치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수용하는 단말기 거치부와, 상기 단말기 거치부와 결합을 통해 수납공간을 정의하는 단말기 커버부와, 상기 수납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신호를 교환하는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를 커버하여 고정시키는 커넥터 커버와, 상기 단말기 커버부에 고정되어 지지되며, 상기 커넥터 커버와 결합되어 상기 커넥터를 일정 각도의 탄성을 갖도록 회동시키는 회동부재를 포함한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 거치대에 의하면, 이동통신 단말기 거치대의 내부에 배치된 커넥터 어셈블리가 탄성을 갖으며 회동함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때 보다 쉽게 결합 및 분리될 수 있고, 그 결과 이동통신 단말기 및 커넥터 어셈블리 사이의 전기적인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폰 거치대와 핸드폰과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폰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핸드폰 거치대를 분해해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핸드폰 거치대 중 커넥터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핸드폰 거치대(100)는 핸드폰(10)를 거치시키는 제1 하우징부(110), 상기 제1 하우징부(110)와 결합되는 제2 하우징부(120), 상기 핸드폰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신호를 교환하는 커넥터 어셈블리(130) 및 외부의 신호를 통해 위치를 추적하는 위치정보 수신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하우징부(110)는 핸드폰 거치부(112), 커넥터 공간부(114) 및 커넥터 연결통로(116)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하우징부(110)는 상기 핸드폰(10)을 거치시키며, 상기 핸드폰(10)과의 신호교환을 위한 수납공간을 정의한다.
상기 핸드폰 거치부(112)는 상기 핸드폰 거치대(100)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상기 핸드폰(10)을 거치하기 위한 홈이다. 이때, 상기 홈의 상부 측벽은 상기 핸드폰(10)과의 결합을 위해 개구되어 있다.
상기 커넥터 공간부(114)는 상기 핸드폰 거치대(100)의 하단, 즉 상기 핸드폰 거치부(112)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핸드폰 거치부(112)의 홈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 공간부(114)는 상기 핸드폰(10)과의 신호교환을 위한 수납공간을 정의한다. 상기 커넥터 공간부(114)에는 상기 제2 하우징부(120)와 제1 하우징부(110)를 결합시키기 위한 메인 나사홈(114a)이 형성되며, 바람직하게 한 쌍이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 연결통로(116)는 상기 핸드폰 거치부(112) 및 커넥터 공간부(114)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 연결통로(116)를 통해 상기 커넥터 어셈블리(130)는 상기 핸드폰(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넥터 연결통로(116)는 상기 커넥터 어셈블리(130)가 소정의 각도로 회동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하우징부(110)는 음성입력장치(30) 및 음성출력장치(40)를 포함한다.
상기 음성입력장치(30)는 상기 핸드폰(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핸드폰(10)으로 음성신호를 인가한다. 상기 음성입력장치(30)는 상기 커넥터 공간부(114)와 마주보는 위치, 즉 메인 나사홈(114a)과 반대방향인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와 다른 위치에도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음성출력장치(40)는 상기 핸드폰(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핸드폰(10)으로부터 다른 음성신호를 인가받아, 외부로 출력시킨다. 상기 음성출력장치(40)는 상기 핸드폰 거치부(112)의 마주보는 양 측벽에 한 쌍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다른 위치 또는 개수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하우징부(120)는 상기 제1 하우징부(110)와 결합하여 상기 커넥터 공간부(114)에 형성된 수납공간을 커버한다. 상기 제2 하우징부(120)는 바닥부(122)와, 상기 바닥부(122)의 에지로부터 마주보도록 연장된 제1 및 제2 측부(124, 126)와, 상기 바닥부(122)의 에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1 및 제2 측부(124, 126)를 연결하는 제3 측부(128)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3 측부(128)는 상기 커넥터 연결통로(116)와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바닥부(122)에는 소정의 높이로 돌출된 나사 연결 돌기(122a)가 형성되며, 바람직하게 한 쌍이 형성된다. 상기 나사 연결 돌기(122a)의 중심에는 나사홀이 형성되어 메인 나사(30)와 결합되고, 상기 메인 나사(30)는 상기 나사 연결 돌기(122a)와 메인 나사홈(114a)을 결합시켜, 상기 제2 하우징부(120)를 상기 제1 하우징부(110)에 고정시킨다.
상기 제3 측부(128)에는 신호선 연결통로(128a) 및 스프링 고정부(128b)가 형성된다. 상기 신호선 연결통로(128a)로는 상기 커넥터 어셈블리(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신호선(20)이 통과된다. 이때, 상기 신호선 연결통로(128a)는 상기 커넥터 어셈블리(130)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적당한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프링 고정부(128b)에는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홈으로 후술될 스프링 지지부(138a)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커넥터 어셈블리(130)가 상기 제2 하우징부(120)에 고정된다.
상기 커넥터 어셈블리(130)는 상기 제1 하우징부(110)에 형성된 수납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핸드폰(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신호를 교환하고, 소정의 각도로 탄성을 갖으며 회동한다. 상기 커넥터 어셈블리(130)는 커넥터(132), 커넥터 커버 및 스프링(138)을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132)는 상기 휴대폰(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휴대폰(10)과 신호를 교환한다. 상기 커넥터(132)는 커넥터 몸체부(132a) 및 커넥터 삽입부(132b)를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 몸체부(132a)는 예를 들어 직육면체 형상을 갖고, 상기 커넥터 커버와의 결합시 결합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결합돌기들을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 몸체부(132a)의 하단은 상기 신호선(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신호선(20)으로는 상기 핸드폰을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이 전송되며, 그에 따라 상기 신호선(20)은 전원잭(22)에 의해 외부의 전원공급장치와 연결되어 전원을 전송한다.
상기 커넥터 삽입부(132b)는 상기 커넥터 몸체부(132a)의 상단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 몸체부(132a)보다 작은 크기의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다. 상 기 커넥터 삽입부(132b)는 상기 휴대폰(10)의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커넥터(132)와 휴대폰(10)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상기 커넥터 삽입부(132b)는 또한 상기 제1 하우징부(110)에 형성된 커넥터 연결통로(116)를 통해 소정의 각도로 유동이 가능하다.
상기 커넥터 커버는 제1 및 제2 서브 커버(134, 136)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서브 커버(134, 136)는 서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커넥터(132)와 결합된다.
상기 제1 서브 커버(134)는 커버 나사홈(134a) 및 회동축 돌기(134b)를 포함하며, 각각 한 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 나사홈(134a)으로 커버 나사(40)가 삽입되어, 상기 커버 나사홈(134a)과 후술될 상기 제2 서브 커버(136)의 커버 나사돌기(136a)를 결합시키고, 그 결과 상기 제1 및 제2 서브 커버(134, 136)는 서로 결합된다.
상기 회동축 돌기(134b)는 상기 제1 서브 커버(134)의 양 측면 상에 서로 대응되도록 한 쌍이 형성된다. 상기 회동축 돌기(134b)는 상기 스프링(138)과 결합되어 상기 커넥터의 회동을 위한 회동축으로 작용한다.
상기 제2 서브 커버(136)는 커버 나사돌기(136a), 돌기 연결홈(136b) 및 스프링 고정돌기(136c)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 나사돌기(136a)는 상기 커버 나사홈(134a)과 대응되는 위치에 한 쌍이 형성되며, 상기 커버 나사(40)는 상기 커버 나사홈(134a)과 커버 나사돌기(136a)를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서브 커버(134, 136)를 서로 결합된다.
상기 돌기 연결홈(136b)은 상기 제2 서브 커버(136)의 양 측벽에 소정의 깊 이로 함몰되어 형성되며, 상기 회동축 돌기(134b)와 마주보는 위치에 한 쌍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회동축 돌기(134b)의 일부는 상기 돌기 연결홈(136b)으로 삽입되어, 상기 회동축 돌기(134b)와 돌기 연결홈(136b)을 서로 결합시킨다.
상기 스프링 고정돌기(136c)는 상기 커버 나사돌기(136a)의 돌출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 서브 커버(136)의 하단에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 고정돌기(136c)는 상기 스프링(138)을 고정시키며, 상기 커넥터(132)가 소정의 각도로 회동할 때, 탄성 회동을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스프링(138)은 상기 회동축 돌기(134b)와 결합되어, 상기 회동축 돌기(134b)를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로 탄성을 갖으며 상기 커넥터(132)를 회동시킨다. 상기 스프링(138)은 스프링 코일부(138a), 스프링 지지부(138b) 및 스프링 연결부(138c)를 포함한다.
상기 스프링 코일부(138a)는 철심이 원형으로 구부러져 형성되며, 바람직하게 적어도 2회 원형으로 구부러져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 코일부(138a)는 양쪽으로 한 쌍으로 형성되며, 상기 회동축 돌기(134b)와 결합되어 상기 회동축 돌기(134b)를 중심으로 상기 커넥터(132)를 회동시킨다.
상기 스프링 지지부(138b)는 상기 스프링 코일부(138a)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서브 커버(134, 136)의 측면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한 쌍이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 지지부(138b)는 상기 제2 하우징부(120)의 스프링 고정부(128b)에 고정되어 상기 커넥터(132)가 상기 회동축 돌기(134b)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커넥터(132)를 지지한다.
상기 스프링 연결부(138c)는 상기 한 쌍의 스프링 코일부(138b)들 사이를 상기 스프링 지지부(138b)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결하여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 연결부(138c)는 상기 제2 서브 커버(136)의 스프링 고정돌기(136c)에 고정되어 상기 커넥터(132)를 탄성을 갖으며 회동시킨다.
상기 위치정보 수신부(140)는 외부로부터 신호 즉, 전파를 수신하여, 수신자의 현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는다. 상기 위치정보 수신부(140)는 예를 들어, 지구의 외각에서 회전하고 있는 인공위성으로부터 상기 위치정보를 포함된 전파를 수신한다.
상기 위치정보 수신부(140) 및 제1 하우징부(110) 사이에는 상기 위치정보 신호 연결부(142)이 배치된다. 상기 위치정보 신호 연결부(142)은 상기 커넥터 공간부(114)와 반대쪽 위치인 상기 제1 하우징부(110)의 단부에 연결된다. 상기 위치정보 신호 연결부(142)은 상기 위치정보 수신부(140)와 연결되기 위한 연결관을 포함하며, 상기 위치정보 수신부(140)는 상기 연결관을 중심으로 회동한다.
상기 위치정보 수신부(140)는 상기 인공위성에서 발생된 전파의 수신율을 높이기 위해 넓은 수신면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위치정보 수신부(140)는 회동을 통해 지표면과 수평하게 위치시킴으로서, 보다 넓은 수신면적을 얻을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도 4의 커넥터 어셈블리의 회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5a는 커넥터 어셈블리가 회동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5b는 커넥터 어셈블리가 소정의 각도로 회동된 상태를 나타낸 것 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커넥터 어셈블리(130)는 상기 스프링(138)의 탄성에 의해 상기 제2 하우징부(120)의 바닥부(122)와 평행한 방향으로 유지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스프링 지지부(138a)가 상기 제2 하우징부(120)의 제3 측부(128)에 형성된 스프링 고정부(128a)에 고정되어 상기 커넥터(132)를 지지한다. 상기 스프링 코일부(138b)는 상기 제1 서브 커버(134)의 회동축 돌기(134b)에 끼어지고, 그에 따라 상기 커넥터(132)는 상기 회동축 돌기(134b)를 중심으로 회동이 가능하다. 상기 스프링 연결부(138c)는 상기 제2 서브 커버(136)의 스프링 고정돌기(136c)에 고정되며, 상기 커넥터(132)를 상기 바닥부(122)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유지시킨다.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커넥터 어셈블리(130)는 상기 스프링(138)에 의해 상기 바닥부(122)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회동한다. 이때, 상기 커넥터 어셈블리(130)가 회동되는 각도는 20도 내지 40도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커넥터 어셈블리(130)는 외력에 의해 상기 회동축 돌기(134b)를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 예를 들어 30도로 회동한다. 일례로, 상기 휴대폰(10)을 상기 커넥터 어셈블리(130)에 결합시킬 때 또는 상기 커넥터 어셈블리(130)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커넥터 어셈블리(130)에는 회동 운동을 위한 상기 외력이 작용한다.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커넥터 어셈블리(130)는 상기 스프링(138)의 탄성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된다. 즉, 상기 커넥터 어셈블리(130)는 상기 바닥부(122)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복원된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간의 신호흐름을 도면을 이용하여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도 1에 있어서 신호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핸드폰 거치대(100)는 커넥터 어셈블리(130), 위치정보 수신부(140), 제어부(150), 음성입력장치(30) 및 음성출력장치(40)를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 어셈블리(130)는 외부의 신호, 예를 들어 전원을 상기 제어부(150) 및 휴대폰(10)으로 입력시킨다. 상기 커넥터 어셈블리(130)는 상기 신호선(20)에 의해 상기 전원잭(2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전원잭(22)은 외부의 전원공급장치, 예를 들어 자동차 내에 형성된 전원공급장치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는다. 상기 전원잭(22)으로 인가된 전원은 상기 신호선(20)을 통해 상기 커넥터 어셈블리(130)로 인가되어, 상기 제어부(150) 및 휴대폰(10)으로 전송된다.
상기 위치정보 수신부(140)는 외부의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정보가 담긴 전파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상기 위치정보 수신부(140)는 3개 이상의 인공위성으로부터 정확한 시간과 거리 정보를 포함한 전파를 수신한다. 상기 수신된 위치정보는 제1 인터페이스(50)를 통해 상기 제어부(150)로 전송된다.
상기 제어부(150)는 핸드폰(10), 커넥터 어셈블리(130), 위치정보 수신부(140), 음성입력장치(30) 및 음성출력장치(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신호의 흐름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위치정보 수신부(140)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를 입력받고 제어하며, 상기 수신된 위치정보를 핸드폰(10) 또는 음성출력장치(40)로 인가한다. 예를 들어, 상기 위치정보는 제2 인터페이스(60)를 통해 상기 휴대폰(10)으로 전송되며, 상기 휴대폰(10)의 중앙처리장치에 의해 영상신호 및 음성 신호로 변환된다. 상기 영상신호는 상기 휴대폰(10)의 표시장치에 의해 외부로 표시되며, 상기 음성신호는 상기 휴대폰(10)의 스피커 또는 상기 음성출력장치(40)에 의해 음성으로 출력된다.
상기 음성입력장치(30)는 외부의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어부(150)로 전송되며, 상기 제어부(150)로 인가된 음성신호는 상기 제2 인터페이스(60)를 통해 상기 휴대폰(10)으로 인가된다. 상기 휴대폰(10)은 상기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전파로 변환하여 외부의 다른 휴대폰으로 전송시킨다.
상기 음성출력장치(40)는 상기 제어부(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150)로부터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외부로 출력시킨다. 예를 들어, 통화시 외부로부터 음성신호가 상기 휴대폰(10)으로 입력되고, 상기 음성신호는 상기 제2 인터페이스(60)를 통해 상기 제어부(150)로 인가되며,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음성신호를 상기 음성출력장치(40)로 인가하여 외부로 출력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핸드폰 거치대(10)의 내부에 배치된 커넥터 어셈블리(130)가 탄성을 갖으며 회동함에 따라, 상기 핸드폰(10)과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때 보다 쉽게 결합 및 분리될 수 있고, 그 결과 상기 핸드폰(10) 및 커넥터 어셈블리(130)의 파손을 방지하며, 상기 핸드폰(10) 및 커넥터 어셈블리(130) 사이의 전기적인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b 및 도 5b에서는 상기 스프링 지지부(138a)가 상기 스프링 고정부(128b)에 형성된 상기 고정홈에 고정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와 다르게 상기 스프링 지지부(138a)는 상기 고정홈에 고정되는 방식이 아닌 다른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스프링 고정부(138a)의 위치도 상기 제2 하우징부(120)의 바닥부(122) 및 제3 측부(128)에 변경되거나 상기 제1 하우징부(110)로 변경될 수 있다.
도 1에서 도시된 상기 핸드폰 거치대(100)는 핸드폰(10)을 거치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와 다르게 상기 핸드폰 거치대(100)는 핸드폰(10) 이외의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 예를 들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단말기 또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ong)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서 도시된 상기 커넥터(132)에는 핀(pin)들이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커넥터(132)는 상기 핸드폰(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신호를 교환하기 위한 핀들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상기 커넥터(132)에는 24핀 커넥터 또는 42핀 커넥터 등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핸드폰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신호 교환 및 전원 공급을 수행하는 커넥터 어셈블리가 탄성을 갖으며 회동함에 따라, 핸드폰와 커넥터 어셈블리는 전기적으로 보다 쉽게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다. 즉, 두 손을 사용하지 않고, 한 손만으로도 핸드폰을 보다 쉽게 핸드폰 거치대에 결합 및 핸드폰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커넥터 어셈블리가 회동함에 따라, 핸드폰을 핸드폰 거치대로부터 분리시킬 때 핸드폰 또는 커넥터 어셈블리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 어셈블리가 회동함에 따라, 핸드폰을 핸드폰 거치대에 결합시 킬 때 핸드폰 및 커넥터 어셈블리 사이의 전기적인 접촉 신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등록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5)

  1. 거치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수용하는 제1 하우징부;
    상기 제1 하우징부와의 결합을 통해 수납공간을 정의하는 제2 하우징부; 및
    상기 수납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신호를 교환하고, 일정 각도의 탄성을 갖고서 회동하는 커넥터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어셈블리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신호를 교환하는 커넥터;
    상기 커넥터와 결합되어 커버하며, 양 측면으로 형성된 돌기들을 갖는 커넥터 커버; 및
    상기 돌기들과 결합되어, 상기 돌기들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의 탄성을 갖고서 상기 커넥터를 회동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거치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상기 돌기들과 결합되어 상기 돌기들을 중심으로 상기 커넥터를 회동시키는 한 쌍의 스프링 코일부들;
    상기 스프링 코일부들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2 하우징부와 결합하여 상기 커넥터를 지지하는 한 쌍의 스프링 지지부들; 및
    상기 스프링 코일부들 사이를 연결하여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 커버의 일부에 고정되어 상기 커넥터를 탄성을 갖으며 회동시키는 스프링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거치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커버는 상기 스프링 연결부와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스프링 고정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거치대.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부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에지로부터 마주보도록 연장된 제1 및 제2 측부와, 상기 바닥부의 에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1 및 제2 측부를 연결하는 제3 측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측부는 상기 스프링 지지부들과 결합되기 위한 한 쌍의 스프링 고정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거치대.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커버는 제1 및 제2 서브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서브 커버는 서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커넥터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거치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부에는 상기 커넥터 어셈블리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통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거치대.
  8. 제1항에 있어서, 외부의 신호를 수신하여 위치정보를 제공받는 위치정보 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거치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 수신부는 인공위성으로부터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거치대.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 수신부 및 제1 하우징부 사이에는 위치정보 신호 연결부가 배치되며, 상기 위치정보 수신부는 상기 위치정보 신호 연결부를 중심을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거치대.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부에는 외부의 음성신호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인가시키는 음성입력장치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거치대.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부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음성신호를 인가받아 외부로 출력시키는 음성출력장치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거치대.
  13. 거치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수용하는 단말기 거치부;
    상기 단말기 거치부와 결합을 통해 수납공간을 정의하는 단말기 커버부;
    상기 수납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신호를 교환하는 커넥터;
    상기 커넥터를 커버하여 고정시키는 커넥터 커버; 및
    상기 단말기 커버부에 고정되어 지지되며, 상기 커넥터 커버와 결합되어 상기 커넥터를 일정 각도의 탄성을 갖도록 회동시키는 회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거치대.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거치대.
  15. 제13항에 있어서, 외부의 신호를 수신하여 위치정보를 제공받는 위치정보 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거치대.
KR1020050036192A 2005-04-29 2005-04-29 이동통신 단말기 거치대 KR1007012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6192A KR100701233B1 (ko) 2005-04-29 2005-04-29 이동통신 단말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6192A KR100701233B1 (ko) 2005-04-29 2005-04-29 이동통신 단말기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4184A true KR20060114184A (ko) 2006-11-06
KR100701233B1 KR100701233B1 (ko) 2007-03-29

Family

ID=37651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6192A KR100701233B1 (ko) 2005-04-29 2005-04-29 이동통신 단말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12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3880B1 (ko) * 2006-09-08 2007-07-30 주식회사대성엘텍 차량용 휴대단말기 거치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3055B1 (ko) 2009-03-17 2011-03-24 (주)상영이텍 핸드폰용 변환젠더
KR101159443B1 (ko) 2010-04-28 2012-06-22 주인선 충전기 부착용 핸드폰 충전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3408B1 (ko) * 2004-12-06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가로 거치 겸용 세로 거치 유형 충전 거치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3880B1 (ko) * 2006-09-08 2007-07-30 주식회사대성엘텍 차량용 휴대단말기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1233B1 (ko) 2007-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71563B2 (en) Docking station for electronic device
CN101425647B (zh) 具有天线能力的通用串行总线连接器
US8155713B2 (en) Mobile phone having communication system and entertainment system detachably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system
CN101174163B (zh) 信息处理装置
KR100617737B1 (ko) 위성 통신용 휴대 단말기
KR20130079978A (ko) 모바일 기기
JP2008295273A (ja) 無接点電力伝送装置
KR20060045506A (ko) 자기 거치 기능을 구비한 슬라이딩/스윙 타입 휴대 장치
KR20080089214A (ko) 휴대 단말 장치, 충전기 및 휴대 단말 장치가 장착되는어댑터
KR100701233B1 (ko) 이동통신 단말기 거치대
CN113891590A (zh) 中框和移动终端
JP4350699B2 (ja) 携帯電話機用充電器及び電子機器用充電器
US6424842B1 (en) Dual function connector for cellular phones
KR100752727B1 (ko) 휴대폰 기능을 겸비한 휴대폰 케이스
KR20080035040A (ko) 스피커와 인테나의 결합 조립물, 그 조립 방법 및 이를구비한 휴대형 무선통신 단말기
US11635788B2 (en) Mobile terminal and host device thereof
US7949379B2 (en) Foldable electronic device
KR100800713B1 (ko) 휴대용 단말기
JP2002016684A (ja) 携帯端末装置及び無線カードモデム
KR20090003921U (ko)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US20070191077A1 (en) Self-cradling typ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0069137A (ja) 無線通信機と電池パック
KR200423544Y1 (ko) 다기능 dmb폰 지지대
CN110417953A (zh) 移动终端
KR20060065323A (ko) 내장형 안테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