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3567A - 선택적 결합 시스템의 수신기에서 지터 감소를 위한 방법및 장치 - Google Patents

선택적 결합 시스템의 수신기에서 지터 감소를 위한 방법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3567A
KR20060113567A KR1020060039276A KR20060039276A KR20060113567A KR 20060113567 A KR20060113567 A KR 20060113567A KR 1020060039276 A KR1020060039276 A KR 1020060039276A KR 20060039276 A KR20060039276 A KR 20060039276A KR 20060113567 A KR20060113567 A KR 200601135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er
cell
received
pdus
lost pack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9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삼 샤우-시앙 지앙
Original Assignee
아스텍 컴퓨터 인코퍼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676312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60113567(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아스텍 컴퓨터 인코퍼레이티드 filed Critical 아스텍 컴퓨터 인코퍼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60113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35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40Network security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85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the supervisory signal being transmitted in response to a specific request, e.g. to a polling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32Details of sliding window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7Details of sliding window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4Hybrid switching systems
    • H04L12/6418Hybrid trans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2Traffic sha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6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using explicit feedback to the source, e.g. choke packets
    • H04L47/263Rate modification at the source after receiving feed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7Evaluation or update of window size, e.g. using information derived from acknowledged [ACK] pack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8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in relation to timing considerations
    • H04L47/283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in relation to timing considerations in response to processing delays, e.g. caused by jitter or round trip time [RT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32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by discarding or delaying data units, e.g. packe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4Scheduled access
    • H04W74/06Scheduled access using po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4Registration at HLR or HSS [Home Subscriber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Abstract

선택적 결합 시스템의 수신기에서의 지터 감소 방법은, 선택적 결합 시스템에서 수신기에 대응하는 가장 느린 셀을 결정하는 단계, 가장 느린 셀에 의해 전송된 데이터스트림이 복수 개의 잃어버린 패킷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검출될 때에 복수 개의 잃어버린 패킷들이 수신된 것으로 그리고 복수 개의 잃어버린 패킷들 중의 제1패킷의 순번이 순서상 수신될 것이 기대되는 다음 패킷의 순번인 것으로 취급하는 단계, 및 순서상 복수 개의 잃어버린 패킷들을 뒤따르는 수신된 패킷을 상위층에 전달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선택적 결합 시스템의 수신기에서 지터 감소를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jitter in a receiver of a selective combining system}
도 1 내지 도 3은 수신기가 종래기술의 UMTS 내에서 더 빠른 셀과 더 느린 셀 사이를 이동할 때 수신된 PDU들의 SN들 및 변수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4는 이동통신기기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의 프로그램 코드의 개요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선택적 결합 시스템에서 데이터스트림의 지터발생을 감소시키기 위한 제1실시예의 절차의 흐름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수신기가 도 6의 절차에 따라 더 빠른 셀과 더 느린 셀 사이를 이동할 때 수신된 PDU들의 SN들 및 변수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선택적 결합 시스템에서 데이터스트림의 지터발생을 감소시키기 위한 제2실시예의 절차의 흐름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수신기가 도 10의 절차에 따라 더 빠른 셀과 더 느린 셀 사이를 이동할 때 수신된 PDU들의 SN들 및 변수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선택적 결합 시스템에서 데이터스트림의 지터발생을 감소시키기 위한 제3실시예의 절차의 흐름도이다.
관련 출원들에 대한 상호참조
이 출원은 2005년 4월 29일자로 출원되고 참조로써 여기에 포함되는 미국 가출원 제60/594,697호를 우선권 주장한다.
발명의 배경
1.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선택적 결합 시스템의 수신기에서 데이터스트림들의 지터 발생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신기가 성공적으로 수신된 패킷들을 저장하고 그 패킷들을 상위층에 전달하지 않아서 데이터스트림들을 처리할 때에 지연을 야기하는 것을 피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2. 종래기술의 설명
근년의 이동통신기기들의 발달로, 엔터테인먼트와 정보 서비스들을 위해 각종 애플리케이션들이 존재한다. 제2세대(2G)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들은 대부분은 각 메시지가 160개 이하의 문자들을 담고 있고 3 내지 20킬로바이트인 단순한 벨소리들만이 허용되거나 또는 다른 작은 데이터가 다운로드되는 단문메시징서비스(SMS)로 제한된다. 지금 제3세대 이동통신망 기술은 프로세서 핵심 성능의 상승과 함께 발전되었고 이동통신들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들은 더 높은 데이터전송용량을 제공하였고 또한 더욱 다양한 유형들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들이 개발되 었다.
예를 들면, 제3세대 협력프로젝트(3GPP)에 의해 개발된 통신프로토콜 규격에 따르면,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UMTS)은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및 멀티캐스트 서비스(MBMS)를 제공할 수 있고, 그것은 서비스 콘텐츠(예컨대, 텔레비전 프로그램, 영화, 광고방송)를 서버들로부터 다른 셀들을 통해 각각의 사용자 장비까지 비확인 모드(UM)로 전송한다. 각 사용자 장비는 많은 다른 셀들의 통신가능범위(coverage) 하에 위치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사용자 장비는 다른 셀로부터 동일한 서비스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그래서, 사용자 장비가 서비스 콘텐츠를 제대로 처리하고 이 다중루트 전송특성을 이용하기 위해, 종래기술의 UMTS 수신기(즉 사용자 장비)의 무선링크제어(RLC) 엔티티는 중복회피 및 재정렬 기능이라고도 불리는 선택적 결합 기능을 시작하여, 다른 소스들(셀들)로부터 전송될 수 있는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들(PDU들)을 결합하고 및/또는 동일 소스로부터의 전송을 복제하여 단일 순서의 PDU시퀀스를 형성할 수 있다. 중복회피 및 재정렬 기능을 시작한 후, RLC엔티티는 PDU들의 순번들(SN들)에 따라 복제 PDU의 검출, 버림 및 재정렬 동작들을 실행한다. 이 동작들의 더욱 상세한 설명을 위해, 다음 문장들을 참조한다.
먼저, 중복회피 및 재정렬 기능을 지원하기 위해, 아래의 상태변수들과 프로토콜 매개변수들이 위에 기술된 통신프로토콜의 규격에 의해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1. 변수 VR(UDR): 차례상 수신될 것이 기대되는 다음 PDU의 SN을 나타낸다.
2. 변수 VR(UDH): 중복회피 및 재정렬 기능에 의해 수신되었던 가장 높은 번호의 PDU의 SN을 나타낸다.
3. 매개변수 DAR_Window_Size: 중복회피 및 재정렬 기능의 수신용 윈도우의 크기를 표시한다.
RLC엔티티는 변수 VR(UDR)과 수신용 윈도우의 수신 가능한 범위가 (VR(UDH) - DAR_Window_Size + 1)부터 VR(UDH)까지인 중복회피 및 재정렬 기능의 수신용 윈도우에 따라 중복회피 및 재정렬 기능을 실행한다. 중복회피 및 재정렬 기능을 시작한 후, 만일 수신된 PDU의 SN이 수신용 윈도우 내에 있고 SN이 변수 VR(UDR)보다 작거나, 동일한 SN의 PDU가 버퍼 내에 존재한다면, 수신된 PDU는 버려진다. 반대로, 만일 수신된 PDU의 SN이 변수 VR(UDR) 이상이고 동일한 SN을 가진 PDU가 버퍼 내에 존재하지 않는다면, 수신된 PDU는 버퍼에 저장된다. 부가적으로, 수신된 PDU가 수신용 윈도우 밖에 놓인다면, 변수 VR(UDH)는 수신용 윈도우를 전진시키기 위해 수신된 PDU의 SN으로 설정되며, (VR(UDH) - DAR_Window_Size + 1)보다 작은 SN들을 가진 PDU들은 버퍼로부터 버려지고 추가의 동작들을 위해 상위층에 전달되고, 변수 VR(UDR)가 (VR(UDH) - DAR_Window_Size + 1)보다 작을 때 변수 VR(UDR)은 (VR(UDH) - DAR_Window_Size + 1)과 동일하게 설정된다. 게다가, 갱신된 변수 VR(UDR)과 동일한 SN을 갖는 PDU가 버퍼에 존재한다면, 버퍼 내의 변수 VR(UDR)과 동일한 SN을 가진 PDU 및 SN 후의(즉 VR(UDR)+ 1로부터의) 연속하는 SN들을 가진 모든 PDU들은 버려지고 추가의 동작들을 위해 상위층에 배달된다. 끝으로, 변수 VR(UDR)은 상위층에 배달된 PDU들의 가장 높은 SN에 1을 더한 것과 동일하게 설정 된다.
위의 설명으로부터, 수신기가 다른 소스들로부터 동일한 PDU를 수신하면, 중복회피 및 재정렬 기능은 중복된 PDU를 버린다. 그러나, 셀들은 동기화되어 있지 않고, 그래서 서비스 콘텐츠들이 동일하다고 해도 셀들의 전송들 간에는 시간차가 존재한다. 특정 수신기의 경우, 어떤 셀들에 의해 전송된 신호들은 '더 천천히' 도착하고 어떤 셀들에 의해 전송된 신호들은 '더 빠르게' 도착하는데, 이는 수신기에 대해 어떤 셀들의 신호들은 '더 느리'고 어떤 셀들의 신호들은 '더 빠르다'는 의미이다. 그래서, 수신기가 일부 PDU들을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않을 때, 그 수신기는 서비스콘텐츠의 잃어버린 PDU들보다 순서상 나중인 성공적으로 수신된 PDU들 중의 어느 것도 처리할 수 없고 성공적으로 수신된 그 PDU들을 버퍼 내에 저장한다. 수신기는 더 느린 인근 셀이 잃어버린 PDU들을 송신하기를 기다린다. 성공적으로 수신된 PDU들은 잃어버린 PDU들이 성공적으로 수신되기까지 버퍼 내에 유지되고 상위층에 배달되지 않는다. 이제, 수신기(사용자 장비, 무선통신기기 등)가 '더 느린' 셀로 이동한다고 가정한다. '더 느린' 셀이 PDU들의 더 느린 타이밍순서를 가지므로, 성공적으로 수신된 PDU들은 버퍼에 더 오랫동안 저장될 필요가 있다. 이것이 서비스콘텐츠를 재생할 때에 지연을 유발한다. 대조적으로, 수신기가 대신에 '더 빠른' 셀로 이동한다면, 수신기가 얻을 수 없어서 데이터스트림이 앞쪽으로 점프하게 할 PDU들이 존재한다. 스포츠 게임, 영화, 노래 또는 음악을 방송할 때, 이런 종류의 지연 또는 지터발생 상황들은 프로그램의 유창함에 영향을 미치며, 방송 품질을 악화시키고, 사용자 관심을 축소한다.
예시를 위해,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더 빠른 셀(A)과 더 느린 셀(B) 간을 이동하는 수신기의 수신된 PDU들의 변수들 및 SN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셀 A에 의해 전송되는 패킷들이 셀 B에 의해 전송되는 패킷들보다 9개의 전송시간간격들(TTI들)만큼 앞서 있고 매개변수 DAR_Window_Size는 10이라고 가정한다. 도 1 내지 도 3에서, 각각의 사각형은 TTI를 나타내고, 그것은 일반적으로 20밀리초(ms)로 설정된다. 제1 및 제2 행들은 수신기가 셀 A 및 셀 B로부터 각각 수신했던 PDU들의 SN들을 나타내고, 음영진 사각형은 성공적으로 수신되지 않은 PDU들을 표시한다. 제3 및 제5 행들은 변수 VR(UDH) 및 변수 VR(UDR)의 값들을 각각 나타낸다. 제4행은 수신용 윈도우의 시작점인 (VR(UDH) - DAR_Window_Size + 1)의 값이다. 제6행은 버퍼부터 상위층까지 배달된 PDU들의 SN들을 나타낸다. 제7행은 수신기가 마지막에 재생하는 PDU들의 SN들을 나타낸다. 부가적으로, 연속하는 음영진 사각형들은 셀의 통신가능범위 밖으로 수신기가 이동하기 때문에 PDU들이 수신될 수 없게 됨을 뜻하고, 단일의 음영진 사각형은 무선전송 동안 잃어버린 PDU의 SN을 나타낸다.
각 행의 갱신타이밍은 다음과 같이 예시된다. 제3행의 변수 VR(UDH)은 제1 및 제2 행들의 데이터가 수신될 때 갱신된다. 제4행은 제3행이 갱신됨에 따라 계산되고 갱신된다. 제6행은 제1 및 제2 행들이 이전 TTI(이전 열)에 데이터를 받았을 때 상위층에 배달되는 SN들(1보다 클 것이다)을 보인다. (실용상, PDU들을 상위층에 전달하는 데는 20ms가 걸리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3은 예시만을 위한 것이고 상세한 시간비율에 따라 그려지진 않았다.) 제5행의 변수 VR(UDR)은 제6행의 데이 터를 상위층에 전달하고 난 후에 갱신된다. 제7행의 재생값과 제6행의 재생값 사이에는 정해진 시간차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보인 시간차는 20ms를 나타내는 하나의 사각형이지만, 시간차는 실사용에서는 더 길거나 더 짧게 될 수 있다.
시스템이 데이터스트림을 방송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때, 프로그램이 TTI에서 플레이되는 데이터스트림으로부터 하나의 PDU만을 가지는 연속하는 데이터스트림이므로, 재생 소프트웨어가 복수 개의 PDU들을 동일한 시간에 수신할 때, 재생되지 않은 PDU들은 재생소프트웨어에 의해 제어되는 버퍼에 일시적으로 저장되고 하나씩 재생된다. 종래기술에서, 잃어버린 PDU가 얻어지지 않는 것이 보장될 때에만(즉, 잃어버린 PDU가 수신용 윈도우 밖으로 이동된 후), 중복회피 및 재정렬 기능이 다음 PDU 또는 복수 개의 PDU들을 버퍼로부터 상위층에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절차는 프로그램 재생 시에 불연속성에 이르게 한다.
예를 들면, 도 1 내지 도 3에서, 시점 100 및 시점 102 사이에, 수신기는 셀 A의 통신가능범위에서 벗어나서 그 수신기는 SN = 30 내지 55의 PDU들을 셀 A로부터 수신할 수 없다. 수신기가 SN = 31의 PDU를 셀 B로부터 시점 120에 수신하지 않고 중복회피 및 재정렬 기능의 수신용 윈도우 크기는 10이라고 가정한다. SN = 32 내지 41의 PDU들은 SN = 32 내지 41의 PDU들 전체가 상위층에 전달되는 시점 110까지 일시적으로 저장된다. 이것은 SN = 30의 PDU가 시점 130에 재생된 후 10개의 TTI들이 시점 140에 SN = 32의 PDU를 재생하기 전에 지나가야 하는 것을 의미한다. 바꾸어 말하면, 수신기가 더 빠른 셀 A의 통신가능범위 밖으로 이동하므로, 수신기는 더 느린 셀 B로부터만 데이터스트림을 수신할 수 있다. 수신기가 SN = 31의 PDU 를 시점 120에 수신할 수 없다면, 데이트스트림의 재생 시 긴 중단(인터럽트)이 있게 된다. 그래서 하나의 TTI(20ms)의 원래 간격이 10개의 TTI들(200ms)이 되게 지연되어 프로그램 재생에 불연속성을 야기하고 프로그램 품질에 영향을 미친다. 마찬가지로, SN = 76의 PDU를 시점 150에 재생한 후에는, SN = 78의 PDU를 시점 160에 재생하기 전에 8개 TTI들의 지연이 존재한다. 더 나쁜 경우에는, 중복회피 및 재정렬 기능의 수신용 윈도우 크기가 크다면(예를 들어, DAR_Window_Size = 64), 사용자들을 방해하는 명백한 프로그램 인터럽트로 이끄는 1초보다 긴 데이터스트림 지연이 있을 수 있다.
추가로, 수신기가 시점 104 및 106 사이에 셀 B의 통신가능범위 밖에 있고 그래서 수신기는 SN = 49 내지 63의 PDU들을 셀 B부터 수신할 수 없다고 가정한다. 이것은 수신기가 SN = 49 내지 55의 PDU들을 셀 A로부터도 셀 B로부터도 수신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수신기가 SN = 48의 PDU를 시점 142에 재생한 후, 수신기는 SN = 56의 PDU를 다음 TTI(즉 시점 144)에 즉시 재생하고, 이는 원래의 재생타이밍에 비해 7개 TTI들을 앞쪽으로 점프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중복회피 및 재정렬 기능의 수신용 윈도우가 크다면(예를 들어, DAR_Window_Size = 64), 명백한 프로그램 중지 및 사용자들의 방해를 불러 일으키는 1초보다 큰 점프가 있을 수 있다.
요약하면, UMTS는 MBMS를 UM으로 제공하고 수신기는 다른 셀들로부터 동일한 PDU를 수신할 수 있다. 양호한 데이터수신 효율을 위해, 수신기의 RLC엔티티는 중복 PDU들을 버리는 중복회피 및 재정렬 기능을 시작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셀들 이 동일한 패킷에 대해 시간차를 가질 수 있으므로, 일부 셀들로부터 송신되는 패킷들은 다른 셀들로부터 송신되는 패킷들보다 수신기에 더 천천히 도착한다. 종래기술에서, 만일 수신기가 더 느린 셀로 이동하고 패킷이 손실된다면, 불완전한 PDU를 버퍼에 저장함으로 인한 시간 지연이 있고 그래서 서비스콘텐츠는 재생이 명백히 중단되고, 그것은 프로그램의 유창함(fluency)에 영향을 미치고 사용자를 방해한다. 부가적으로, 수신기가 더 빠른 셀로 이동하면, 그 수신기는 몇 개의 PDU들을 수신할 수 없고 수신된 데이터스트림은 앞쪽으로 점프되고, 그것은 프로그램 콘텐츠의 불연속성을 야기하고 프로그램 품질을 악화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선택적 결합 시스템의 수신기에서 데이터스트림들의 지터 발생을 감소시킴으로써, 특히 수신기가 성공적으로 수신된 패킷들을 저장하고 그 패킷들을 상위층에 전달하지 않아서 데이터스트림들을 처리할 때에 지연을 야기하는 것을 피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선택적 결합 시스템의 수신기에서의 지터 감소 방법은, 선택적 결합 시스템에서 수신기에 대응하는 가장 느린 셀을 결정하는 단계, 가장 느린 셀에 의해 전송된 데이터스트림이 복수 개의 잃어버린 패킷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검출될 때에 복수 개의 잃어버린 패킷들이 수신된 것으로 그리고 복수 개의 잃어버린 패킷들 중의 제1패킷의 순번이 순서상 수신될 것이 기대되는 다음 패킷의 순번인 것으로 취급하는 단계, 및 순서상 복수 개의 잃어버린 패킷들을 뒤따르는 수신된 패킷을 상위층에 전달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이런 및 다른 목적들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는 각종 그림들 및 도면들로 예시되는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을 읽은 후에는 의심없이 명백하게 될 것이다.
실시예들
본 발명은 선택적 결합 시스템을 위한 것으로, 다른 소스들(셀들)로부터 전송되는 PDU들을 중복회피 및 재정렬 기능을 시작하는 것을 통해 결합하여 단일 순서형 PDU시퀀스를 형성할 수 있다.
다음의 설명은 위에서 언급된 UMTS와 같은 이동통신시스템에 이용하기 위한 것이다.
우선, 도 4를 참조한다.
도 4는 이동통신기기의 블록도이다.
간결함을 위해, 도 4는 이동통신기기(400)의 입력기기(402), 출력기기(404), 제어회로(406), 중앙프로세서(408), 저장기기(410), 프로그램코드(412) 및 송수신기(414)만을 보인다. 이동통신기기(400)에서, 제어회로(406)는 중앙프로세서(408)로써 저장기기(410)에 저장된 프로그램코드(412)를 실행하고 그 후 이동통신기기(400)의 동작들을 제어한다. 이동통신기기(400)는 사용자들에 의해 입력기기(402)를 통해 입력된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거나, 또는 출력기기(404)(이를테면 모니터, 스피커 등)을 통해 영상, 소리 등과 같은 신호들을 출력할 수 있다. 송수신기(414)는 무선신호들 수신하여 수신된 무선신호들을 제어회로(406)에 전달하기 위해 또는 제어회로(406)로부터 제시된 신호들을 무선방식으로 송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통신프로토콜의 구조에서, 송수신기(414)는 레이어-1의 일부로서 알려져 있는 반면, 제어회로(406)는 레이어-2 및 레이어-3의 애플리케이션이다.
도 5를 참조한다. 도 5는 도 4의 프로그램코드(412)의 개요도이다. 프로그램코드(412)는 응용프로그램층(500), 레이어-3 인터페이스(502), 레이어-2 인터페이스(506) 및 레이어-1 인터페이스(518)를 포함한다. 신호들을 전송할 때, 레이어-2 인터페이스(506)은 레이어-3 인터페이스(502)로부터 제출된 복수 개의 서비스데이터단위들(SDU들)을 버퍼(512)에 저장한다. 그 후, 레이어-2 인터페이스(506)는 버퍼(512)에 저장된 SDU들(508)에 따라 복수 개의 PDU들(514)를 생성하고 생성된 PDU들(514)를 레이어-1 인터페이스(518)를 통해 수신지에 출력한다. 역으로, 무선신호를 수신할 때, 이 신호는 레이어-1 인터페이스(518)를 통해 수신되고 레이어-1 인터페이스(518)는 PDU들(514)를 레이어-2 인터페이스(506)에 전달한다. 레이어-2 인터페이스(506)는 PDU들(514)를 SDU들(508)로 재조립하고 SDU들(508)을 버퍼(512)에 저장한다. 마지막으로, 레이어-2 인터페이스(506)는 버퍼(512)에 저장된 SDU들(508)을 레이어-3 인터페이스(502)에 전달한다.
제3세대 이동통신시스템 UMTS는 서비스콘텐츠(예컨대, 영화, 음악, 광고방송 및 다른 멀티미디어 정보)를 서버들부터 다른 셀들을 통해 각 사용자에게 UM으로 전송하는 MBMS를 제공할 수 있다. 이동통신기기(400)가 서비스콘텐츠를 올바로 처리하게 하기 위해, 프로그램코드(412)의 레이어-2 인터페이스(506)는 중복회피 및 재정렬 기능이라고도 불리는 선택적 결합 기능을 시작할 수 있고, 이 기능은 다른 소스들(셀들)로부터 송신될 수 있고 및/또는 동일 소스로부터 반복적으로 송신될 수 있는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들(PDU)을 효율적으로 결합하여 단일 순서형 PDU시퀀스를 형성한다. 이 경우, 본 발명은 중복회피 및 재정렬 프로그램코드(509)를 제공하여 데이터스트리밍에서 일어나는 지터 발생을 감소하고 프로그램 품질을 개선한다.
도 6을 참조한다. 도 6은 선택적 결합 시스템에서 데이터스트림의 지터발생을 감소시키기 위한 제1실시예의 절차(600)의 흐름도이다. 선택적 결합 시스템은 UM으로 동작하는 UMTS와 같은 이동통신시스템일 수 있다. 절차(600)는 중복회피 및 재정렬 프로그램코드(509)로 컴파일될 수 있다. 절차(600)는 다음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602: 시작.
단계 604: 선택적 결합 시스템에서 서비스를 수신기에 제공할 수 있는 모든 셀들 중에서, 가장 느린 셀에 의해 전송된 데이터스트림의 타이밍순서가 서비스들을 수신기에 제공할 수 있는 모든 셀들에 의해 전송된 데이터스트림들의 타이밍순서들보다 늦거나 같은 가장 느린 셀을 결정.
단계 606: 가장 느린 셀에 의해 전송된 데이터스트림이 복수 개의 잃어버린 패킷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검출되고 복수 개의 잃어버린 패킷들 중 제1패킷의 순번이 순서상 수신될 것이 기대되는 다음 패킷의 순번일 때, 복수 개의 잃어버린 패킷들을 성공적으로 수신된 것으로 취급.
단계 608: 순서상 복수 개의 잃어버린 패킷들을 뒤따르는 수신된 패킷을 상 위층에 전달.
단계 610: 끝.
본 발명의 절차(600)에 따르면, 수신기는 모든 이용 가능한 셀들에 의해 전송되는 데이터스트림들의 타이밍순서들에 따라 가장 느린 셀을 결정한다. 가장 느린 셀은 다른 셀들로부터의 데이터스트림들의 타이밍순서들보다 늦거나 같은 타이밍순서를 갖는 데이터스트림을 전송한다. 만일 가장 느린 셀에 의해 전송되는 데이터스트림이 적어도 하나의 잃어버린 패킷을 포함하고 제1의 잃어버린 패킷이 수신될 것이 기대되는 다음 PDU의 SN(즉, VR(UDR))과 동일한 SN을 가진다면, 복수 개의 잃어버린 패킷들은 수신된 것으로 간주된다. 이것은 수신기가 가장 느린 셀로부터 다음의 예상되는 패킷을 수신할 수 없으면, 본 발명은 이 잃어버린 패킷을 수신한 것으로 고려하여서, 수신기는 순서상 잃어버린 패킷 뒤의 패킷들을 상위층에 전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것은 잃어버린 패킷 후에 성공적으로 수신된 다른 패킷들이 상위층에 전달되게 할 수 있고 종래기술에서와 같은 프로그램 중단을 회피한다. 실용에서, 변수 VR(UDR)은 잃어버린 패킷들의 수만큼 증가하여서, 수신기는 잃어버린 패킷들을 수신된 것으로 결정한다. 결과적으로, 절차(600)는 성공적으로 수신된 패킷들을 버퍼 내에 불필요하게 잡아 두는 것을 피할 수 있고 그래서 데이터스트림의 지터발생을 줄이는 목적을 달성한다.
예를 들면,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한다. 도 7 내지 도 9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제1행 및 제2행(즉 수신기에 의해 셀 A1 및 셀 B1으로부터 각각 수신되는 PDU들의 SN들)는 도 1 내지 도 3에서 제1행 및 제2행에 표시된 것들(즉 수신기에 의해 셀 A 및 셀 B로부터 각각 수신되는 PDU들의 SN들)과 동일하다. 그것들은 동일한 기호들, 번호들 및 설명들을 가지고 있어 본 발명의 절차(600)와 종래기술 간을 명백하게 비교하게 한다.
도 7 내지 도 9로부터, 셀 B1에 의해 전송되는 데이터스트림의 시간순서(time sequence)는 셀 A1 뒤에 있다. 그러므로, 절차(600)은 먼저 수신기가 추종하는 가장 느린 셀이 셀 B1이라고 결정하고 SN = 31을 가진 패킷이 가장 느린 셀 B1에 의해 전송된 데이터시퀀스로부터 시점 722에 누락되었고(시점 720에 수신되어야 했으나 그렇게 되지 않았음) 변수 VR(UDR)는 31과 같다고 결정한다. 그러므로, 수신기는 이 경우 1인 점프된 PDU들의 수만큼 변수 VR(UDR)을 증가시키고, 그래서 시점 220에 변수 VR(UDR)은 32로 설정된다. 이것은 수신기가 SN = 31을 가진 PDU를 수신한 것으로 간주하고 SN = 32를 가진 PDU를 추가 작업을 위해 상위층에 전달한다.
SN = 31을 가지는 PDU가 수신기에 의해 수신되지 않았던 경우에도, 모든 TTI는 매우 짧으므로(20ms) 사용자들은 프로그램 재생 시에 불연속성을 감지하지 못하고 SN = 31의 PDU를 재생하지 않는 것(시점 730부터 시점 740까지)이 중요하지 않다. 바꾸어 말하면, 수신기가 가장 느린 셀 B1으로부터 SN = 31을 가지는 PDU를 수신할 수 없고 가변 VR(UDR)가 31과 같을 때, 본 발명은 SN = 31을 가진 PDU를 수신한 것으로 고려하여서, SN = 32 이상을 가지는 PDU들은 버퍼에서 불필요하게 유지되지 않고 대신에 지연 없이 상위층에 전달된다. 이것은 프로그램 재생의 유창함을 유지하고 프로그램 품질을 개선한다. 비교해 보면, 종래기술은 다음에 저장되는 PDU들이 상위층에 전달되기 전에 변수 VR(UDR)가 중복회피 및 재정렬 기능의 수신용 윈도우 밖에 있게 되기를 기다리고, 그래서, 프로그램의 유창함에 영향을 미친다.
마찬가지로, 수신기가 가장 느린 셀 B1으로부터 시점 235에 SN = 77을 가지는 PDU를 수신할 수 없고 변수 VR(UDR)이 77과 같을 때, 수신기는 SN = 77을 가지는 PDU를 수신된 것으로 간주하고, 즉 변수 VR(UDR)을 1만큼 증가시키고 그래서 시점 240에는 변수 VR(UDR)이 78로 설정되고, 시점 250에는 SN = 78을 가지는 PDU는 재생을 위해 상위층에 전달된다. 따라서, SN = 78 이상을 가지는 PDU들은 버퍼에 유지되지 않고 지체 없이 상위층에 전달된다.
부가적으로, 도 7 내지 도 9로부터, 시점 742와 시점 748 사이에, 수신기는 SN = 49 내지 63의 PDU들을 가장 느린 셀 B1으로부터 수신할 수 없지만, 그것은 시점 750까지 알 수 없다. 시점 750에, 수신기가 SN = 64를 가지는 PDU들을 수신하고 난 후, 수신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황을 결정한다. 그래서, 시점 742와 시점 748 사이에는, 절차(600)의 단계 606의 결정 요건이 서있지 않고, 단계 608은 실행되지 않고 변수 VR(UDR)은 종래기술에서처럼 갱신된다. 수신기가 SN = 48을 가지는 PDU들을 시점 232에 재생한 후, 시점 234에서 SN = 56을 가지는 PDU들을 재생하기 전까지 7개의 TTI들이 경과한다. 이것은 SN = 48을 가지는 PDU들의 재생과 SN = 56을 가지는 PDU들의 재생 사이의 시간이 두 PDU들 사이의 원래의 시간간격과 정확히 일치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사용자는 프로그램의 일부가 중단된다고 느끼지만, 프로그램이 나중에 재개할 때 어떤 시간 점프도 없다. 시점 232와 시점 234 사이의 7개 TTI들은 SN = 49 내지 55를 가지는 잃어버린 PDU들에 대응한다. 수신기가 SN = 48을 가지는 PDU들을 시점 232에 재생한 후, 수신기는 SN = 56을 가지는 PDU를 시점 232의 다음 TTI에 즉시 재생하지 않아서 사용자는 서비스콘텐츠의 불연속성에 의해 당황하지 않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절차(600)로, 수신기는 프로그램 품질을 악화시키는 데이터스트림들에서의 지터 발생을 감소시킨다. 그러나 절차(600)는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는 모든 셀들 중에서 "전역적으로" 가장 느린 셀을 결정할 수 있는 모바일(mobile)을 위한 해일뿐이다. 전역적으로 가장 느린 셀은 모바일이 돌아다닐 때 추적하기가 쉽지 않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국소영역에서 가장 느린 셀이 결정되는 것만을 요구하는, 즉 국소적으로 가장 느린 셀만을 요구하는 데이터스트림을 위한 다른 지터감소방법을 제공한다.
도 10을 참조한다. 도 10은 선택적 결합 시스템에서 데이터스트림의 지터발생을 줄이기 위한 제2실시예의 절차(1000)의 흐름도이다. 선택적 결합 시스템은 UM으로 동작하는 UMTS와 같은 이동통신시스템일 수 있다. 절차(1000)는 중복회피 및 재정렬 프로그램코드(509)로 편집될 수 있다. 절차(1000)는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1002: 시작.
단계 1004: 선택적 결합 시스템에서 서비스를 수신기에 제공할 수 있는 이웃하는 셀들 중에서, 국소적으로 가장 느린 셀에 의해 전송되는 데이터스트림의 타이밍순서는 서비스들을 수신기에 현재 제공할 수 있는 모든 이웃하는 셀들에 의해 전송된 데이터스트림들의 타이밍순서들의 뒤이거나 그것들과 같은 국소적으로 가장 느린 셀을 결정.
단계 1006: 국소적으로 가장 느린 셀에 의해 전송되는 데이터스트림이 복수 개의 잃어버린 패킷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검출되지 않고 복수 개의 잃어버린 패킷들 중에서 제1패킷의 순번이 순서상 수신될 것이 기대되는 다음 패킷의 순번과 동일할 때, 복수 개의 잃어버린 패킷들을 수신된 것으로 취급.
단계 1008: 순서상 복수 개의 잃어버린 패킷들을 뒤따르는 수신되는 패킷을 상위층에 전달.
단계 1010: 끝.
본 발명의 절차(1000)에 따르면, 수신기는 모든 이웃하는 셀들에 의해 전송되는 데이터스트림들의 타이밍순서들에 따라 국소적으로 가장 느린 셀을 결정한다. 국소적으로 가장 느린 셀은 다른 이웃하는 셀들로부터 데이터스트림들의 타이밍순서들의 뒤이거나 같은 타이밍순서를 가지는 데이터스트림을 전송한다. 이것은 "이웃하는 셀들"이 수신기가 그 셀들로부터 서비스들을 현재 수신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는 점에서 모든 이웃하는 셀들 중에서 데이터스트림들의 가장 느린 타이밍순서를 가지는 셀이 국소적으로 가장 느린 셀이라는 의미이다. 이웃하는 셀들의 집합은 수신기, 풍경, 육상자재 등의 이동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중요하지 않고, 그래서 여기서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만일 국소적으로 가장 느린 셀에 의해 전송되는 데이터스트림이 적어도 하나의 잃어버린 패킷을 포함하고 제1 잃어버린 패킷이 수신될 것이 기대되는 다음 PDU의 SN(즉, 변수 VR(UDR))과 동일한 SN을 가진다면, 복수 개의 잃어버린 패킷들은 수신된 것으로 취급된다. 이것은 수신기가 국소적으로 가장 느린 셀로부터 다음에 기대되는 패킷을 수신할 수 없으면, 본 발명은 이 잃어버린 패킷을 수신된 것으로 간주하고, 그래서 수신기는 순서상 잃어버린 패킷 뒤의 패킷을 상위층에 전달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이것은 잃어버린 패킷 뒤에 성공적으로 수신되는 다른 패킷들이 상위층에 전달될 수 있게 하여 종래기술에서와 같은 프로그램 중단을 회피한다. 실사용에서, 변수 VR(UDR)은 잃어버린 패킷들의 수만큼 증가되어서, 수신기는 잃어버린 패킷들을 수신된 것으로 결정한다. 결과적으로, 절차(1000)은 성공적으로 수신된 패킷들을 버퍼 내에 불필요하게 잡아 두는 것을 피하고 그래서 데이터스트림의 지터발생을 줄이는 목적을 달성한다. '국소적으로 가장 느린 셀'은 테이터스트림들의 타이밍순서가 임의의 이웃하는 셀들로부터 전송된 데이터스트림들의 타이밍순서들보다 뒤에 있는 셀이고 그것은 절차(600)에서 설명된 '가장 느린 셀'과는 다르다는 점에 주의한다.
예를 들면,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한다.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행 및 제2행(즉 수신기에 의해 셀 A2 및 셀 B2로부터 각각 수신되는 PDU들의 SN들)는 도 1 내지 도 3의 제1행 및 제2행에서 표시되는 것들(즉 수신기에 의해 셀 A 및 셀 B로부터 각각 수신되는 PDU들의 SN들)과 동일하다. 그것들은 동일한 심볼들, 번호들, 및 설명들을 가져서 본 발명의 절차(1000)와 종래기술 사이의 명백하게 비교하게 한다. 본 발명의 절차(1000)에 따르면, 수신기는 먼저 모든 이웃하는 셀들로부터 다른 시점들에 송신된 데이터스트림들의 타이밍순서들에 따라 국소적으로 가장 느린 셀을 결정한다.
시점 1120과 시점 1235에서는 셀 B2가 국소적으로 가장 느린 셀인 반면, 시점 310에서는 국소적으로 가장 느린 셀이 셀 A2인데, 셀 B2가 이 시점에는 이웃하는 셀에 있지 않기 때문이다. 수신기는 SN = 31을 가지는 패킷이 국소적으로 가장 느린 셀 B2에 의해 전송된 데이터시퀀스로부터 잃어버렸다(시점 1220에 수신되어야 했지만 그렇지 않았다)고, 그리고 변수 VR(UDR)는 31과 같다고 결정한다. 그러므로, 수신기는 변수 VR(UDR)를 점프된 PDU들의 수만큼 이 경우 1만큼 증가시켜서, 시점 1220에는 변수 VR(UDR)가 32로 설정되게 한다. 이것은 수신기가 SN = 31을 가지는 PDU를 수신한 것으로 간주하고 SN = 32를 가지는 PDU를 추가의 동작을 위해 상위층에 전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SN = 31을 가지는 PDU가 수신기에 의해 수신되지 않았던 경우에도, 모든 TTI는 매우 짧으므로(20ms) 사용자들은 프로그램 재생 시에 불연속성을 감지하지 못할 것이고 SN = 31의 PDU를 재생하지 않는 것(시점 1130부터 시점 1140까지)이 중요하지 않다. 바꾸어 말하면, 수신기가 가장 느린 셀 B1으로부터 SN = 31을 가지는 PDU를 수신할 수 없고 가변 VR(UDR)가 31과 같을 때, 본 발명은 SN = 31을 가진 PDU를 수신한 것으로 간주하여서, SN = 32 이상을 가지는 PDU들은 버퍼에서 불필요하게 유지되지 않고 대신 지연 없이 상위층에 전달된다. 이것은 프로그램 재생의 유창함을 유지하고 프로그램 품질을 개선한다.
비교해 보면, 종래기술은 다음에 저장되는 PDU들을 상위층에 전달하기 전에 변수 VR(UDR)가 중복회피 및 재정렬 기능의 수신용 윈도우 밖에 있게 되기를 기다리고 프로그램의 유창함에 상당히 영향을 미친다.
마찬가지로, 수신기가 가장 느린 셀 B1으로부터 시점 1235에 SN = 77을 가지 는 PDU를 수신할 수 없고 변수 VR(UDR)이 77과 같을 때, 수신기는 SN = 77을 가지는 PDU를 수신된 것으로 간주하고, 즉 변수 VR(UDR)을 1만큼 증가시키고 그래서 시점 1240에는 변수 VR(UDR)이 78로 설정되고, 시점 1250에는 SN = 78을 가지는 PDU는 재생을 위해 상위층에 전달된다. 그래서, SN = 78 이상을 가지는 PDU들은 버퍼에 유지되지 않고 지체 없이 상위층에 전달된다. 그래서, 절차(1000)는 프로그램의 유창함을 유지하고, 프로그램 품질을 개선한다.
부가하여, 시점 312일 때, 국소적으로 가장 느린 셀은 셀 A2이다. 수신기는 SN = 68을 가지는 PDU를 수신하여서, 수신기는 SN = 67을 가지는 PDU가 시점 310에 국소적으로 가장 느린 셀 A2로부터 수신되지 않았었고 변수 VR(UDR)는 67이라고 결정한다. 그러므로, 수신기는 SN = 67을 가지는 PDU를 수신된 것으로 간주하고, 즉, 수신기는 변수 VR(UDR)을 1만큼 증가시켜서 시점 320에는 변수 VR(UDR)가 SN = 68으로 설정되게 하고 SN = 68을 가지는 PDU는 시점 330에 상위층에 전달되게 한다. 시점 320에 수신기는 SN = 67을 가지는 PDU를 수신된 것으로 간주하였다(그러나 실제로 그것은 수신되지 않았었다). 그래서, 시점 350에 SN = 66을 가지는 PDU를 재생한 후, 수신기는 SN = 68을 가지는 PDU를 재생하도록 점프하여서 지터발생은 상당한 영향을 주지 않는다(단지 하나의 TTI를 점프한다). 그것 외에, 시점 360에는, SN = 74를 가지는 PDU와 SN = 75를 가지는 PDU 사이에 짧은 공백이 있다. 짧은 공백 역시 프로그램을 재생하는 것에 대해 제한된 영향을 미친다.
게다가, 수신기가 셀들을 변경함에 따라, 수신기는 SN = 49 내지 55를 가지는 PDU들을 수신할 수 없다. 그래서 수신기가 SN = 48을 가지는 PDU들을 시점 1232 에 재생한 후, 시점 1234에서 SN = 56을 가지는 PDU들을 재생하기 전까지 7개의 TTI들이 경과한다. 이것은 SN = 48을 가지는 PDU들의 재생과 SN = 56을 가지는 PDU들의 재생 사이의 시간간격이 원래 두 PDU들 사이에 있는 시간간격과 정확히 동일하여서 사용자는 프로그램의 일부가 중단됨을 감지하지만, 프로그램이 나중에 재개될 때 시간 점프는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시점 1232와 시점 1234 사이의 7개의 TTI들은 SN = 49 내지 55를 가지는 잃어버린 PDU들에 대응한다. 수신기가 SN = 48을 가지는 PDU들을 시점 232에 재생한 후, 수신기는 SN = 56을 가지는 PDU를 시점 1232의 다음 TTI에 즉시 재생하지 않아서 사용자는 서비스콘텐츠의 시간 불연속성 때문에 당황하지 않을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일부 상황에서는, 시간 지연이 길다면, 그것은 서비스콘텐츠 재생 시의 유창함에 영향을 미치고 사용자의 불편을 야기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기술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른 실시예를 제공한다.
도 14를 참조한다. 도 14는 선택적 결합 시스템에서 데이터스트림의 지터발생을 줄이기 위한 제3실시예의 절차(1000)의 흐름도이다. 선택적 결합 시스템은 UM으로 동작하는 UMTS와 같은 이동통신시스템일 수 있다. 절차(1400)는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1402: 시작.
단계 1404: 선택적 결합 시스템에서 다른 셀로의 변경에 요구되는 최소 과도(transition)기간을 결정.
단계 1406: 셀들 사이에서 패킷들을 전송하는 최대 시간차를 최소 과도시간 이하로 유지.
단계 1408: 끝.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절차(1400)에 따르면, 네트워크 송신기는 다른 셀로 변경하는데 수신기에 의해 요구된 최소 과도시간을 결정하고, 그 후 셀들 사이에 패킷들을 전송하는 시간차를 최소 과도시간 이하로 유지한다. 예를 들면, 도 1 내지 도 3에서, 셀들을 변경하는데 요구된 최소 과도시간은 2개의 TT들이고, 그러므로 셀 A 및 셀 B 사이의 시간차를 도 1 내지 도 3에 보인 것처럼 2개의 TTI 이내로 되도록 제어한다. 이것은 시점 102의 SN이 55에서 48로 변경되도록 셀 B의 타이밍순서를 동일하게 유지하고 셀 A의 타이밍순서를 7개의 TTI만큼 역으로 시프트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고, 나중의 과도시간에 큰 데이터 손실이 없을 것이다. 부가하여, 셀들 사이의 전송시간차를 적당한 범위 내로 유지한 후, 중복회피 및 재정렬 기능의 수신용 윈도우 크기는 시간차에 대응하는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요약하면, MBMS응용들의 경우, 수신기는 다른 셀들로부터 동일한 PDU를 수신할 수 있다. 양호한 데이터수신 효율을 위해, 수신기의 RLC엔티티는 중복 PDU들을 버리고 재정렬하는 중복회피 및 재정렬 기능을 시작할 수 있다. 그러나, 셀들은 동기화되어 있지 않아서 서비스 콘텐츠들이 동일하다고 해도 셀들의 전송들 간에는 시간차가 존재한다. 본 발명에서는, 수신기가 가장 느린 셀로부터 다음에 기대되는 패킷을 수신할 수 없다면, 본 발명은 이 잃어버린 패킷을 수신된 것으로 간주하여서 수신기는 순서상 잃어버린 패킷 뒤의 패킷들을 재생을 위해 상위층에 전달할 수 있다.이것은 순서상 잃어버린 패킷 뒤에 있는 다른 성공적으로 수신된 패킷들이 버퍼에 유지되고 상위층에 송신되지 않아 데이터스트림의 처리 또는 재생 시에 지연 을 유발하는 문제를 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프로그램 재생의 유창함을 유지하고 프로그램 품질을 개선한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은 셀들 간의 전송의 시간차를 셀들을 변경하는데 요구되는 최소 과도시간 이하가 되도록 유지하여, 수신기가 이동하고 셀들을 변경할 때 데이터 손실을 회피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선택적 결합 시스템에서 데이터스트림의 지터발생을 줄일 수 있고,더 유창한 서비스 콘텐츠들을 가지는 양호한 프로그램 품질의 재생을 가질 수 있다.
이 기술분야의 숙련된 자들은 기기 및 방법의 다수의 변형들 및 개조들이 본 발명의 가르침을 유지하면서 만들어질 수 있다는 것이 쉽사리 깨닫게 될 것이다.
따라서, 위의 개시내용은 첨부의 청구항들의 경계 및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것으로 구성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선택적 결합 시스템의 수신기에서 데이터스트림들의 지터 발생을 감소시킴으로써, 특히 수신기가 성공적으로 수신된 패킷들을 저장하고 그 패킷들을 상위층에 전달하지 않아서 데이터스트림들을 처리할 때에 지연을 야기하는 것을 피할 수 있게 한다.

Claims (10)

  1. 선택적 결합 시스템의 수신기에서 지터 감소 방법에 있어서,
    선택적 결합 시스템에서 수신기에 대응하는 가장 느린 셀을 결정하는 단계;
    가장 느린 셀에 의해 전송되는 데이터스트림이 복수 개의 잃어버린 패킷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검출되고 복수 개의 잃어버린 패킷들 중에서 제1패킷의 순번이 순서상 수신될 것이 기대되는 다음 패킷의 순번과 동일할 때, 복수 개의 잃어버린 패킷들을 수신된 것으로 취급하는 단계; 및
    순서상 복수 개의 잃어버린 패킷들을 뒤따르는 수신되는 패킷을 상위층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잃어버린 패킷들을 수신된 것으로 취급하는 단계는 순서상 수신되는 것이 기대되는 다음 패킷의 순번을 복수 개의 잃어버린 패킷들의 수만큼 증가시키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잃어버린 패킷들의 수는 1인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가장 느린 셀에 의해 전송되는 데이터스트림의 타이밍순서는 수신기에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는 모든 다른 셀들에 의해 전송되는 데이터스트림들의 타이밍순서들 뒤이거나 그 타이밍순서들과 같은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가장 느린 셀에 의해 전송되는 데이터스트림의 타이밍순서는 수신기에 현재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는 이웃하는 셀들에 의해 전송되는 데이터스트림들의 타이밍순서들 뒤이거나 그 타이밍순서들과 같은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수신기는 비확인 모드(UM)로 동작하는 방법.
  7. 전기통신에서 중앙처리부를 메모리와 함께 포함하는 수신기로서, 상기 메모리는 제1항의 방법을 이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코드를 포함하는 수신기.
  8. 선택적 결합 시스템에서 지터 감소 방법에 있어서,
    선택적 결합 시스템에서 다른 셀로의 변경에 요구되는 최소 과도(transition)기간을 결정하는 단계; 및
    셀들 사이에서 패킷들을 전송하는 최대 시간차를 최소 과도시간 이하로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중복회피 및 재정렬 기능의 윈도우의 크기를 최소 과도시간에 따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선택적 결합 시스템은 비확인 모드(UM)로 동작하는 방법.
KR1020060039276A 2005-04-29 2006-05-01 선택적 결합 시스템의 수신기에서 지터 감소를 위한 방법및 장치 KR2006011356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9469705P 2005-04-29 2005-04-29
US60/594,697 2005-04-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3567A true KR20060113567A (ko) 2006-11-02

Family

ID=3676312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9276A KR20060113567A (ko) 2005-04-29 2006-05-01 선택적 결합 시스템의 수신기에서 지터 감소를 위한 방법및 장치
KR1020060039275A KR100779753B1 (ko) 2005-04-29 2006-05-0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상태를 폴링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9275A KR100779753B1 (ko) 2005-04-29 2006-05-0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상태를 폴링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3) US20060245430A1 (ko)
EP (2) EP1718017B2 (ko)
JP (2) JP2006311543A (ko)
KR (2) KR20060113567A (ko)
CN (2) CN1855887A (ko)
AT (1) ATE459170T1 (ko)
DE (1) DE602006012393D1 (ko)
ES (1) ES2340602T5 (ko)
TW (3) TW20063871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78155B1 (en) * 2005-05-04 2013-12-04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ransmission window updating method using the same
US8040836B2 (en) * 2006-05-26 2011-10-18 Microsoft Corporation Local network coding for wireless networks
KR100996069B1 (ko) * 2006-11-27 2010-11-2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라디오 링크 제어 계층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CN101247195B (zh) * 2007-02-14 2011-06-29 创新音速有限公司 无线通讯系统提升传输效率的方法及其相关装置
JP4896073B2 (ja) * 2007-05-15 2012-03-14 イノヴァティヴ ソニック リミテッド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データ伝送状態をポーリングする方法及び装置
TWI405481B (zh) * 2007-05-18 2013-08-11 Innovative Sonic Ltd 無線通訊系統比較狀態變數或封包序號的方法及其相關裝置
US8774203B2 (en) * 2007-06-07 2014-07-08 Intel Corporation One-way message notification with out-of-order packet delivery
KR101486352B1 (ko) 2007-06-18 2015-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의 상향링크 동기 상태 제어방법
KR101341515B1 (ko) 2007-06-18 2013-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반복 전송 정보 갱신 방법
WO2008156314A2 (en) 2007-06-20 2008-12-24 Lg Electronics Inc. Effective system information reception method
WO2009022826A1 (en) 2007-08-10 2009-02-19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trolling harq operation in dynamic radio resource allocation
KR101479341B1 (ko) 2007-08-10 2015-0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Mbms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효율적인 수신 방법
KR101490253B1 (ko) 2007-08-10 2015-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제어정보 전송 및 수신 방법
KR101514841B1 (ko) 2007-08-10 2015-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효율적인 랜덤 액세스 재시도를 수행하는 방법
KR101461965B1 (ko) 2007-08-14 2014-1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의 특정 프로토콜 계층에서의 데이터 블록전송 및 처리 방법
KR101478173B1 (ko) 2007-08-29 2014-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기기 연결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멀티미디어 재생장치
KR100937432B1 (ko) 2007-09-13 2010-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자원 할당 방법
KR101461970B1 (ko) 2007-09-13 2014-1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폴링 과정 수행 방법
KR101591824B1 (ko) 2007-09-18 2016-0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폴링 과정 수행 방법
KR101435844B1 (ko) 2007-09-18 2014-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블록 전송 방법
KR101513033B1 (ko) 2007-09-18 2015-04-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계층 구조에서 QoS를 보장하기 위한 방법
KR101396062B1 (ko) 2007-09-18 2014-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헤더 지시자를 이용한 효율적인 데이터 블록 전송방법
WO2009038377A2 (en) 2007-09-20 2009-03-26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effectively transmitting radio resource allocation request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1487557B1 (ko) 2007-10-23 2015-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통제어채널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KR20090041323A (ko) 2007-10-23 2009-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블록 구성함에 있어서 단말의 식별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송하는 방법
TWI394399B (zh) * 2007-10-28 2013-04-21 Innovative Sonic Ltd 計算協定資料單元之傳輸次數的方法及通訊裝置
WO2009057941A2 (en) 2007-10-29 2009-05-07 Lg Electronics Inc. A method for repairing an error depending on a radion bearer type
US20090168723A1 (en) 2007-11-27 2009-07-0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out-of-order packets during handov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518269B1 (ko) * 2008-02-01 2015-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상태보고를 전송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090087773A (ko) * 2008-02-13 2009-08-1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 유닛의 재전송 및 상태보고 장치 및 방법
KR101163275B1 (ko) 2008-03-17 2012-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Pdcp 상태 보고 전송 방법
US8958411B2 (en) 2008-03-17 2015-02-17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transmitting RLC data
JP5348138B2 (ja) * 2008-10-24 2013-11-20 日本電気株式会社 パケットロス頻度計測システム、パケットロス頻度計測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295159B2 (en) * 2009-01-14 2012-10-23 Qualcomm Incorporated Timer poll retransmission expir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228938B2 (en) * 2009-02-02 2012-07-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a miss-detection of duplicated packets and an out-of-sequence delivery to the higher layer in unacknowledged mode operation
JP5147898B2 (ja) * 2010-06-10 2013-02-20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無線制御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US9420475B2 (en) * 2013-02-08 2016-08-16 Intel Deutschland Gmbh Radio communication device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 radio communication device
US20160014803A1 (en) * 2014-07-09 2016-01-14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traffic information signal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WO2019160469A1 (en) 2018-02-14 2019-08-2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ransmitting device and method performed therein for handling communication
WO2019245179A1 (en) * 2018-06-20 2019-12-2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rocessing a packet located outside of window by reception en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n apparatus therefor
US20200059504A1 (en) * 2018-08-19 2020-02-20 Pixart Imaging Inc. Schemes capable of synchronizing native clocks and audio codec clocks of audio playing for bluetooth wireless devices
CN113645177A (zh) * 2020-05-11 2021-11-12 同响科技股份有限公司 可靠传输网络中维持实时音讯串流播放延迟的方法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3541A (ja) * 1995-09-19 1997-03-28 Fujitsu Ltd エラー処理方法および装置
US5740173A (en) * 1996-02-28 1998-04-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Asynchronous transfer mode (ATM) cell arrival monitoring system
US6085085A (en) * 1996-03-27 2000-07-0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preferred system selection
TW496058B (en) 1997-07-08 2002-07-21 Ericsson Telefon Ab L M Technique for providing a secure link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6038633A (en) 1997-08-15 2000-03-14 Compaq Computer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dual interrupt mechanism to designate the occurrence and termination of an event
US6230013B1 (en) 1997-11-26 2001-05-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Diversity handling moveover for CDMA mobile telecommunications
GB2341287B (en) * 1998-09-04 2002-12-31 Fujitsu Ltd Jitter reduction
JP3444224B2 (ja) 1999-03-23 2003-09-08 ヤマハ株式会社 パケット転送装置
KR100657253B1 (ko) * 2000-03-29 2006-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패킷 송수신 장치 및 그 방법
US6922393B2 (en) 2001-01-10 2005-07-26 Asustek Computer Inc. Data discarding request acknowledge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protocol
US6687248B2 (en) 2001-01-10 2004-02-03 Asustek Computer Inc. Sequence number order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TW578402B (en) 2001-04-03 2004-03-01 Asustek Comp Inc Window-based polling scheme for a wireless communications protocol
EP1275265B1 (en) * 2001-04-05 2008-07-30 Nokia Siemens Networks Oy Allocation period determination for packet data
EP1263160A1 (en) * 2001-06-01 2002-12-0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Method and transmitter for an efficient packet data transfer in a transmission protocol with repeat requests
US6804738B2 (en) * 2001-10-12 2004-10-12 S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a resource to meet quality-of-service restrictions
KR100765121B1 (ko) * 2001-11-24 2007-10-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송신버퍼의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폴링 방법
US6717927B2 (en) 2002-04-05 2004-04-06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System for efficient recovery of node B buffered data following serving high speed downlink shared channel cell change
US6765905B2 (en) * 2002-04-18 2004-07-20 Motorola, Inc. Method for reducing packet data delay variation in an internet protocol network
KR100434054B1 (ko) * 2002-04-26 2004-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래디오 링크 콘트롤의 폴링방법
KR100535295B1 (ko) * 2002-05-06 2005-12-09 아스텍 컴퓨터 인코퍼레이티드 승인모드 전송과 비승인모드 송신에 있어서 비정상적 문제 조정을 위한 방법 및 수신기
US7227856B2 (en) * 2002-08-13 2007-06-05 Innovative Sonic Limited Method for handling timers after an RLC reset or re-establish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7706405B2 (en) * 2002-09-12 2010-04-27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System for efficient recovery of Node-B buffered data following MAC layer reset
US20040062260A1 (en) * 2002-09-30 2004-04-01 Raetz Anthony E. Multi-level jitter control
KR100802619B1 (ko) * 2002-11-07 2008-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링크 제어 프로토콜에 따르는 수신기에서의 알엘씨데이터 수신 윈도우 처리 방법
EP1465369A1 (en) * 2003-03-31 2004-10-0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Reset synchronisation method for a retransmission protocol
CN1577256A (zh) 2003-07-29 2005-02-09 群光电子股份有限公司 可规划的无线接收器及用来规划接收模块的计算机系统
US7417991B1 (en) * 2003-12-18 2008-08-26 Avaya Inc. Network quality estimation
US8855572B2 (en) * 2004-06-16 2014-10-0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link control in wireless communications
US7558243B2 (en) 2004-09-15 2009-07-07 Innovative Sonic Limited Enhanced polling method for preventing deadlock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7525908B2 (en) * 2004-09-24 2009-04-28 M-Stack Limited Data unit management in communications
RU2007130081A (ru) 2005-02-07 2009-02-20 Самсунг Электроникс Ко., Лтд. (KR)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проса/передачи отчета о состоянии в системе мобильной связи
KR20080090191A (ko) 2007-04-04 2008-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비게이션 방법 및 네비게이션 시스템
AP2923A (en) * 2007-05-04 2014-05-31 Nokia Corp Media stream recording into a reception hint trackof a multimedia container fi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08827B (en) 2009-04-11
TW200638711A (en) 2006-11-01
EP1718016A2 (en) 2006-11-02
EP1718017A3 (en) 2008-01-23
TW200642375A (en) 2006-12-01
JP2006311543A (ja) 2006-11-09
TW200642348A (en) 2006-12-01
KR20060113566A (ko) 2006-11-02
CN1855800A (zh) 2006-11-01
ES2340602T5 (es) 2021-06-25
KR100779753B1 (ko) 2007-11-26
US20060245430A1 (en) 2006-11-02
EP1718017B1 (en) 2010-02-24
ATE459170T1 (de) 2010-03-15
CN1855887A (zh) 2006-11-01
EP1718017A2 (en) 2006-11-02
EP1718017B2 (en) 2020-10-28
DE602006012393D1 (de) 2010-04-08
US8134993B2 (en) 2012-03-13
ES2340602T3 (es) 2010-06-07
US20070250637A1 (en) 2007-10-25
US20060245410A1 (en) 2006-11-02
JP2006311564A (ja) 2006-11-09
CN100479359C (zh) 2009-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113567A (ko) 선택적 결합 시스템의 수신기에서 지터 감소를 위한 방법및 장치
US9288263B2 (en) Two tier multiple sliding window mechanism for multidestination media applications
FI116816B (fi) Median suoratoisto
US20080040759A1 (en)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nd Maintaining Synchronization Of Isochronous Audio And Video Information Streams in Wireless Multimedia Applications
JP4676738B2 (ja) 高速チャネル変更
US860571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channel change response times for IPTV
US7492770B2 (en) Synchronizing data transmission over wireless networks
EP1639726B1 (en) Adjusting data burst transmission rates
EP1977537B1 (en) Media data transfer in a network environment
US20110066746A1 (en) Synchronized data streaming
JPH08205125A (ja) 双方向ビデオシステム
US8595372B2 (en) Streaming media buffering system
JP2007259050A (ja) 移動体通信端末、および、プログラム
EP1806870B1 (en) Method for providing data and data transmission system
CN111327962B (zh) 播放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766826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ve data reception
CN113347578B (zh) 音频数据传输方法、装置、系统、存储介质及耳机
US20170019353A1 (en) Two tier multiple sliding window mechanism for multidestination media applications
JP2005348015A (ja) リアルタイム・ストリーミングデータ受信装置
WO2015064082A1 (ja) パケット送信方法、コンテンツ再生方法、パケット送信システム及び端末
CN101552684B (zh) 实时流媒体协议会话状态控制的方法、装置和系统
CN113691827A (zh) 媒体流传输方法及装置
Xu et al. Providing seamless QoS for multimedia multicast in wireless packet networks
JP2008227621A (ja) マルチキャスト配信装置、マルチキャスト配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6333251A (ja) データ放送システム及びデータ放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