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2835A - 착용 가능한 오디오 재생 장치 및 오디오 재생 장치용착용구 - Google Patents

착용 가능한 오디오 재생 장치 및 오디오 재생 장치용착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2835A
KR20060112835A KR1020050035498A KR20050035498A KR20060112835A KR 20060112835 A KR20060112835 A KR 20060112835A KR 1020050035498 A KR1020050035498 A KR 1020050035498A KR 20050035498 A KR20050035498 A KR 20050035498A KR 20060112835 A KR20060112835 A KR 200601128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ing
main body
fastening
audio
reproduc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5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태
이호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피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피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피오
Priority to KR1020050035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12835A/ko
Publication of KR20060112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28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11B33/022Cases
    • G11B33/025Portable cas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3/00Hook or eye fasteners
    • A44B13/0029Hook or eye fasteners characterised by their way of fastening to the support
    • A44B13/0035Hook or eye fasteners characterised by their way of fastening to the support using prong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디오 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재생 장치는, 내부에 다수의 전기소자가 장착된 회로기판이 설치되며, 그 일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제1 체결부가 형성되는 본체부와, 사람의 신체 또는 물건에 착용되며, 상기 본체부의 제1 체결부와 대응되어 탈, 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체결부가 일단에 형성되는 착용를 포함함으로써, 본 발명의 오디오 재생 장치는 사용자의 손목이나 바지 허리춤, 혹은 가방끈 등에 착용될 수 있어 장치의 휴대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오디오, 재생, 착용

Description

착용 가능한 오디오 재생 장치 및 오디오 재생 장치용 착용구{Audio player apparatus and wearing ornament for the same}
도 1 은 종래 오디오 재생장치의 외관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재생 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도 2a는 외관 사시도.
도 2b는 배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재생 장치의 본체부(21)와 착용부(31)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재생 장치의 본체부(21)와 착용부(31)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재생 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도 5a는 외관 사시도.
도 5b는 우측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재생 장치의 본체부(21)와 착용부(41)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의 일예.
도 7 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재생 장치의 본체부(21)와 착용부(41)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의 다른 예.
도 8 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재생 장치의 장착 실시예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재생 장치의 장착 실시예이다.
<도면부호의 간단한 설명>
11, 21 : 본체부 31, 41 : 착용부
22 : 고정홈 33 : 고정돌기
25, 27 : 제1 체결부
35, 37, 35, 47 : 제2 체결부
251, 371, 471 : 돌출부
253, 373, 473 : 가이드부
본 발명은 오디오 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람의 신체 또는 물건 등에 착용 가능한 오디오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오디오 재생 장치는 카세트 플레이어나 CD플레이어가 주류를 이루었다. 그런데, 저장부 가격이 하락하고 신호처리기술이 발달하면서 현재에는 MP3 플레이어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MP3 플레이어는 반도체 저장부에 저장된 압축된 음원을 복원하여 재생하므로, 기계적인 구동부를 필요로하지 않아 내구성이 좋으며 가볍고 컴팩트한 싸이즈와 저전력 소모로 인해 휴대용 오디오로서 많은 장점을 갖고 있다.
도 1 은 종래 오디오 재생장치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재생장치 즉, MP3 플레이어는 압축된 오디오 파일이 저장되는 저장부와, 사용자 조작명령에 따라 저장부에 저장된 오디오 파일을 읽어들여 재생하는 디코더와, 재생되는 오디오 신호를 가처음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음향출력부를 포함하는 회로기판이 내장되는 본체(11)와, 상기 본체(11) 일측면 또는 상부면에 설치되며 재생/정지키(121), 순방향 키(122), 역방향 키(123), 볼륨업 키(124), 볼륨다운 키(125), 메뉴선택 키(126), 홀드 키(127)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기능키(12)와, 파일명이나 배터리 잔량, 키홀드, 플레이모드, 볼륨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13)와, 컴퓨터나 휴대폰 또는 외장형 저장매체와 전기적 접속을 가능하게 해주는 외부장치 접속부(14)와, 이어잭(15)과, 목에 걸 수 있는 줄을 묶을 수 있게금 본체(11)에 형성되는 고정부(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상적으로 MP3 플레이어 사용자는 MP3 플레이어의 본체(11)에 형성되는 고정부(16)에 줄을 묶은 후, 줄을 목에 걸어서 MP3 플레이어를 휴대하는 단순한 방식이었다. 그런데, 이러한 MP3 플레이어 휴대 방식은 많은 불편한 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MP3 플레이어를 목에 걸고 사람들과 인사를 할 경우 목에 걸린 MP3 플레이어가 흔들리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했다. 나아가 주요 고객과 상담을 하거나 MP3 플레이어 휴대가 엄격히 제한되는 장소에서는 MP3 플레이어를 목에 걸어 휴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같은 배경에서 제안된 것으로서, 사람의 신체 또는 물건에 착용 가능한 오디오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목적은 사용자가 오디오 재생 장치 본체부에 선택적으로 다양한 착용부를 탈, 부착시킬 수 있는 오디오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오디오 재생 장치는,내부에 다수의 전기소자가 장착된 회로기판이 설치되며, 그 일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제1 체결부가 형성되는 본체부와, 사람의 신체 또는 물건에 착용되며, 상기 본체부의 제1 체결부와 대응되어 탈, 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체결부가 일단에 형성되는 착용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같은 양상에 따라 본 발명의 오디오 재생 장치는 사용자의 손목이나 바지 허리춤, 혹은 가방끈 등에 착용될 수 있어 장치의 휴대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오디오 재생 장치는 본체부와 착용부가 분리형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체부와 착용부가 분리형으로 구현될 경우,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체부의 제 1 체결부는 상기 본체부 일측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돌출형성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와 수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 2 체결부와 슬라이딩 결합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착용부의 제 2 체결부는 상기 본체부 일측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돌출형성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와 수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 1 체결부와 슬라이딩 결합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후술하는 실시예를 통해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재생 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도 2a는 외관 사시도이고, 도 2b는 배면도이다. 도 2a,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재생 장치는 크게 내부에 다수의 전기소자가 장착된 회로기판이 설치되는 본체부(21)와, 사람의 신체 또는 물건에 착용되며 상기 본체부(21)에 설치되는 착용부(31)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에 장착되는 전기소자는 압축된 오디오 파일이 저장되는 저장부와, 사용자 조작명령에 따라 저장부에 저장된 오디오 파일을 읽어들여 재생하는 디코더와, 재생되는 오디오 신호를 가처음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음향출력부를 포함한다.
도 2a,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있어서, 착용부(31)는 길쭉한 밴드 형태로 구현된다. 또한, 도 2b를 참조하면 착용부(31)는 그 일면에 본체부(21)와 고정되는 고정부(33)가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33)는 고정돌기이고, 상기 본체부(21)에는 상기 고정돌기와 탈, 부착되는 고정홈(22)이 형성된다. 이 같은 실시예에 있어서, 착용부(31)는 예를 들면, 고무와 같이 탄력적인 재질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오디오 재생 장치 사용자는 장치를 자신의 손목이나 바지 허리춤, 혹은 가방끈 등에 착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33)는 예를 들면 자석 등으 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같은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오디오 재생 장치는 본체부(21)에 특별한 고정수단이 설치되지 않더라도, 장치 사용자는 착용부(31)와 본체부(21)를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오디오 재생 장치는 본체부(21)와 착용부(31)가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도 있으나, 본체부(21)와 착용부(31)가 탈, 부착되는 분리형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명세서에는 본체부(21)와 착용부(31)가 분리형으로 구현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재생 장치의 본체부(21)와 착용부(31)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재생 장치의 본체부(21)와 착용부(31)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21)에는 그 일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제1 체결부(25)가 형성되고, 착용부(31)에는 상기 본체부(21)의 제1 체결부(25)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2 체결부(35)가 일단에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체결부(25)는 본체부(21) 일측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돌출형성되는 돌출부(251)와, 상기 돌출부(251)와 수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 2 체결부(35)와 슬라이딩 결합되는 가이드부(253)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체결부(35)는 상기 1 체결부(25)가 측면으로 삽입되게금 일측면이 개방되고, 타측면은 상기 1 체결부(25)가 완전히 밀착되되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밀폐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일 실시예에 있어서, 착용부(31)에는 그 일단에 길이방향으로 제2 체결부(37)가 형성되고, 본체부(21)에는 상기 착용부(31)의 제2 체결부(37)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1 체결부(27)가 일단에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31)의 제 2 체결부(37)는 상기 착용부(31) 상부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돌출형성되는 돌출부(371)와, 상기 돌출부(371)와 수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 1 체결부(27)와 슬라이딩 결합되는 가이드부(373)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4 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 체결부(27)는 상기 제2 체결부(37)가 측면으로 삽입되게금 일측면이 개방되고, 타측면은 상기 제2 체결부(37)가 완전히 밀착되되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밀폐된다.
한편, 점차 오디오 재생 장치가 널리 보급되고 있는 점을 고려해보면, 본 발명의 오디오 재생 장치가 상업적으로 성공하여 널리 보급될 경우 상기 착용부(31)만을 단독으로 상품화하여 시장에 제공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것이다. 이 경우 착용부(31)에는 다양한 사용자마다의 독특한 개성 연출과 미려한 감각 연출을 발휘할 수 있도록 다양한 패션(fashion)이 새겨질 수 있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재생 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도 5a는 외관 사시도이고, 도 5b는 우측면도이다. 도 5a,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착용부(41)는 길이방향으로 관통공(43)이 형성된다. 이에 본 발명의 오디오 재생 장치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관통공(43)이 형성된 착용부(41)를 본체부(21)에 부착한 후 상기 관통공(43)에 줄을 묶어 오디오 재생 장치를 목에 걸어 휴대할 수도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재생 장치는 본체부(21)와 착용부(41)는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본체부 (21)와 착용부(41)가 탈, 부착되는 분리형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재생 장치의 본체부(21)와 착용부(41)가 분리형으로 구현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재생 장치의 본체부(21)와 착용부(41)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의 일예이고, 도 7 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재생 장치의 본체부(21)와 착용부(41)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의 다른 예이다.
먼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체부(21)에는 그 일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제1 체결부(25)가 형성되고, 착용부(41)에는 상기 본체부(21)의 제1 체결부(25)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2 체결부(45)가 일단에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체결부(25)는 본체부(21) 일측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돌출형성되는 돌출부(251)와, 상기 돌출부(251)와 수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 2 체결부(45)와 슬라이딩 결합되는 가이드부(253)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체결부(45)는 상기 1 체결부(25)가 측면으로 삽입되게금 일측면이 개방되고, 타측면은 상기 1 체결부(25)가 완전히 밀착되되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밀폐된다.
이하, 도 7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일 실시예에 있어서, 착용부(41)에는 그 일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제2 체결부(47)가 형성되고, 본체부(21)에는 상기 착용부(41)의 제2 체결부(47)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1 체결부(27)가 일단에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41)의 제 2 체결부(47)는 상기 착용부(41) 상부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돌출형성되는 돌출부(471)와, 상기 돌출부(471)와 수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 1 체결부(27)와 슬라이딩 결합되는 가이드부(473)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오디오 재생 장치 사용자는 오디오 재생 장치 본체부에 선택적으로 다양한 착용부를 탈, 부착시킬 수 있어 장치의 휴대가 보다 편리해지는 것이다. 한편, 도 7 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 체결부(27)는 상기 2 체결부(47)가 측면으로 삽입되게금 일측면이 개방되고, 타측면은 상기 2 체결부(47)가 완전히 밀착되되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밀폐된다.
이하, 도 8 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재생 장치의 장착 실시예이고, 도 9 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재생 장치의 장착 실시예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오디오 재생 장치(20)는 사용자의 바지 허리춤, 나아가 가방끈, 손목 등에 착용될 수 있어 장치의 휴대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오디오 재생 장치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목에 휴대할 수 있도록 구현되어 장치의 휴대성이 더욱 향상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재생 장치 사용자는 신체 일부 혹은 물건 등에 장치를 착용할 수 있어 장치의 휴대가 보다 편리해지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오디오 재생 장치 사용자는 오디오 재생 장치 본체부에 선택적으로 다양한 착용부를 탈, 부착시킬 수 있어 장치의 휴대가 보다 편리해지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 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라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사람의 신체 또는 물건에 착용 가능한 오디오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재생 장치가 :
    내부에 다수의 전기소자가 장착된 회로기판이 설치되며, 그 일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제1 체결부가 형성되는 본체부와;
    사람의 신체 또는 물건에 착용되며, 상기 본체부의 제1 체결부와 대응되어 탈, 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체결부가 일단에 형성되는 착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재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가 :
    길쭉한 밴드 형태로 구현되되, 그 일면에 상기 본체부와 고정되는 고정부가 설치되는 제1 착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재생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가 고정돌기이고,
    상기 본체부가 상기 고정돌기와 탈, 부착되는 고정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재생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체결부가 :
    상기 본체부 일측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돌출형성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와 수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 2 체결부와 슬라이딩 결합되는 가이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오디오 재생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체결부가 :
    상기 제1 착용부 상부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돌출형성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와 수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 1 체결부와 슬라이딩 결합되는 가이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오디오 재생 장치.
  6.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가 길이방향으로 관통공이 형성되는 제2 착용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재생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체결부가 :
    상기 본체부 일측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돌출형성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와 수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 2 체결부와 슬라이딩 결합되는 가이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오디오 재생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체결부가 :
    상기 착용부 상부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돌출형성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와 수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 1 체결부와 슬라이딩 결합되는 가이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오디오 재생 장치.
  9. 오디오 재생 장치의 본체부와 탈, 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길쭉한 밴드 형태로 구현되어 사람의 신체 또는 물건에 착용되는 오디오 재생 장치용 착용구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재생 장치용 착용구가 :
    그 일단에 오디오 재생 장치의 본체부 일측면에 형성되는 제1 체결부와 대응되어 탈, 부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 체결부와;
    그 일면에 오디오 재생 장치의 본체부와 고정되는 고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재생 장치용 착용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가 오디오 재생 장치의 본체부에 형성되는 고정홈과 탈, 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재생 장치용 착용구.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2 체결부가 :
    착용구 상부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돌출형성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와 수직으로 연결되어 오디오 재생 장치의 본체부 일측면에 형성되는 제1 체결부와 슬라이딩 결합되는 가이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재생 장치용 착용구.
KR1020050035498A 2005-04-28 2005-04-28 착용 가능한 오디오 재생 장치 및 오디오 재생 장치용착용구 KR200601128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5498A KR20060112835A (ko) 2005-04-28 2005-04-28 착용 가능한 오디오 재생 장치 및 오디오 재생 장치용착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5498A KR20060112835A (ko) 2005-04-28 2005-04-28 착용 가능한 오디오 재생 장치 및 오디오 재생 장치용착용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2835A true KR20060112835A (ko) 2006-11-02

Family

ID=37651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5498A KR20060112835A (ko) 2005-04-28 2005-04-28 착용 가능한 오디오 재생 장치 및 오디오 재생 장치용착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1283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66190T3 (es) Dispositivo de comunicación móvil con funciones de instrumento musical
US20020003889A1 (en) Headphone device with improved controls and/or removable memory
KR100848946B1 (ko) 휴대용 재생장치
US7120509B1 (en) Sound and image producing system
US11265636B1 (en) Multifunctional Bluetooth microphone
US20010029192A1 (en) Cellular phone having an audio player
KR19990022020U (ko) 엠피3플레이어를겸한개인휴대통신기기
US7043044B2 (en) Portable audio player
US8481840B2 (en) Button shaped portable media player with indicia
KR100934491B1 (ko) 음악 및 영상 재생기 겸용 화장품 케이스
KR20060112835A (ko) 착용 가능한 오디오 재생 장치 및 오디오 재생 장치용착용구
US20070219655A1 (en) External remote with display accessory
KR100320326B1 (ko) 휴대폰 배터리 일체형 엠피3 플레이어
KR101373747B1 (ko) 핸드폰 거치대로도 사용될 수 있는 다용도 핸드폰케이스
CN208046875U (zh) 一种便携式音响设备
JP2005534982A (ja) リムーバブルディスク付きmp3ポータブルオーディオ
KR100585743B1 (ko) 착탈식 덮개를 구비한 휴대폰
US20110230988A1 (en) Button shaped portable media player with indicia
JP3081181U (ja) 携帯型メロディ再生玩具
KR20070112342A (ko) 휴대폰과 엠피쓰리의 기능을 가진 헤드폰
KR200428271Y1 (ko) 펜던트형 엠피쓰리플레이어 케이스
KR20000012814A (ko) 디지털 음원 재생기를 내장한 헤드폰 세트및 그 구동 방법
KR200387402Y1 (ko) 오디오 플레이어를 갖는 숙면용 베게
TWM369481U (en) Watch for playing multimedia audio and video
KR200302308Y1 (ko) 다목적 팔주머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