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2566A - 목 진동 마이크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용 무선 헤드셋 - Google Patents

목 진동 마이크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용 무선 헤드셋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2566A
KR20060112566A KR1020050035133A KR20050035133A KR20060112566A KR 20060112566 A KR20060112566 A KR 20060112566A KR 1020050035133 A KR1020050035133 A KR 1020050035133A KR 20050035133 A KR20050035133 A KR 20050035133A KR 20060112566 A KR20060112566 A KR 200601125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wireless headset
neck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5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성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50035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12566A/ko
Publication of KR20060112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25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23Details of top sections of foundation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28Prefabricated piles made of steel or other meta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10Deep foundations
    • E02D27/12Pile found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헤드셋에 관한 것으로, 음성 통화 시에 사용자의 성대 떨림을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블루투스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이 음성신호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사용자에 의해 긴급 호출 버튼이 눌리는 경우에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사전에 등록된 전화번호로 긴급 상황을 알리도록 하는 목 진동 마이크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용 무선 헤드셋을 제공하며, 목 질환, 입안 또는 입술 상처 등과 같이 음성 발화를 제대로 할 수 없는 사용자가 본 무선 헤드셋을 사용하여 자신의 음성을 정확하게 상대방에게 전달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주위 소음이 섞이지 않기 때문에 상대방이 깨끗한 음질로 통화를 할 수 있고 사용자의 음성을 제대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 및 긴급 상황에 처한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는 것과 같이 간단하게 본 무선 헤드셋을 조작으로 자신의 긴급 상황을 타인에게 신속하게 알릴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음.
목 진동 마이크(neck microphone), 무선 헤드셋, 긴급 호출 버튼, 이동통신 단말기

Description

목 진동 마이크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용 무선 헤드셋{Wireless telecommunication headset which having the neck microphone for mobi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목 진동 마이크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용 무선 헤드셋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21 : 근거리 통신모듈 22 : 목 진동 마이크
23 : 스피커 24 : 키 입력부
25 : 배터리 26 : 제어부
본 발명은 무선 헤드셋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성 통화 시에 사 용자의 성대 떨림을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블루투스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이 음성신호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사용자에 의해 긴급 호출 버튼이 눌리는 경우에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사전에 등록된 전화번호로 긴급 상황을 알리도록 하는 목 진동 마이크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용 무선 헤드셋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 발전에 힙입어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유선으로 헤드셋을 연결시키지 않고서도 무선 헤드셋(일명 무선 핸즈프리, 이하 "무선 헤드셋"이라 통칭하기로 함)을 사용하여 편리하게 통화를 할 수 있게 되었다.
무선 헤드셋과 이동통신 단말기 각각에는 서로 동일한 근거리 통신모듈이 각각 탑재되어 있어야 되며, 이러한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는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rDA), 지그비(ZigBee), 초광대역 통신(UWB), 무선랜(W-LAN) 등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429605호(발명의 명칭: "블루투스 기능이 탑재된 통신 단말기에서 무선 헤드셋의 볼륨 제어 방법")에는 블루투스 방식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무선 헤드셋의 버튼 눌림 시간을 판별하여 통화 볼륨을 제어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으며, 이하, 본 발명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무선 헤드셋간의 근거리 통신 방식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블루투스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우리의 일상 생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일례로, 병을 앓고 있는 환자가 외출한 경우에 댁내에 있는 보호자는 이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서 환자가 소지한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화를 걸어 구두로 몸 상태 등을 물어 본다. 이 때에 환자는 운전 중이거나 주위가 시끄러워 보호자의 음성이 잘 들리지 않는 경우에 무선 헤드셋을 사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보호자에게 통화 응대를 하게 된다.
그런데, 위와 같이 무선 헤드셋을 사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병을 앓고 있는 경우, 특히 목 질환이 있어서 말을 제대로 할 수 없거나 입 안 또는 입술에 상처가 있어서 음성을 제대로 낼 수 없는 경우에 무선 헤드셋을 사용하더라도 환자의 음성이 보호자에게 정확하게 전달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더군다나, 주위가 시끄러워 환자의 음성 이외에 주위 소음이 섞여서 무선 헤드셋으로 입력되는 경우에는 보호자가 주위 소음으로 인해 환자의 음성을 제대로 인지하지 못한 채로 통화를 하게 된다.
또한, 몸 상태가 악화되는 경우에 환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조작하여 댁내 전화번호 또는 응급 기관(예; 119, 병원 등)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어 자신의 긴급 상황을 알리게 되는데, 이처럼 긴급 상황 시에 환자가 직접 이동통신 단말기를 조작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따라서, 환자의 옷 호주머니, 가방 등에 이동통신 단말기가 넣어져 있는 경우 등에 자신과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무선 헤드셋을 간단히 조작하여 긴급 상황을 타인에게 신속하게 알릴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상기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 하여 제안된 것으로, 음성 통화 시에 사용자의 성대 떨림을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블루투스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이 음성신호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사용자에 의해 긴급 호출 버튼이 눌리는 경우에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사전에 등록된 전화번호로 긴급 상황을 알리도록 하는 목 진동 마이크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용 무선 헤드셋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무선 헤드셋에 있어서,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와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근거리 통신수단; 사용자의 목 주위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성대 떨림을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목 진동 마이크; 각종 기능 키 버튼; 및 음성 통화 모드에서, 상기 근거리 통신수단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받은 음성신호가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목 진동 마이크에서 변환한 음성신호가 상기 근거리 통신수단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근거리 통신모듈(11), 디스플레이부(12), 키 입력부(13), 마이크(14), 스피커(15), 배터리(16), 메모리(17), 무선 송수신부(18) 및 제어부(19)를 포함한다. 이외에도,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외부 디바이스(USB 메모리, 컴퓨터, 배터리 충전기 등) 연결을 위한 USB 모듈[일명 카킷(car kit)] 등과 같은 기본적인 구성 요소와 사진 촬영을 위한 카메라 등과 같은 부가적인 구성 요소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선 통신부(18)는 이동통신망에 속한 기지국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RF 모듈이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근거리 통신모듈(11)은 통상의 무선 헤드셋과 각종 데이터[상대방 음성신호, 사용자 음성신호, 이벤트 통지(버튼 눌림신호 등), 디바이스 제어 명령어 등]을 송수신하기 위한 RF 모듈이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근거리 통신모듈(11)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예;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rDA), 지그비(ZigBee), 초광대역 통신(UWB), 무선랜(W-LAN) 등]으로 안테나를 통해 무선으로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특히, 이러한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에서는 각 디바이스간에 데이터 채널을 통해 디지털 음성신호가 송수신되며, 이에 기존의 RF 방식보다 음질이 더 깨끗하다는 것을 당업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리(17)는 비휘발성 저장매체로 구현되는 데, 이러한 메모리(17)에는 사용자가 지정한 긴급 전화번호[예; 댁내 전화번호 또는 응급 기관(예; 119, 병원 등) 전화번호 등]이 저장되어 있다, 또한, 메모리(17)에는 긴급 호출 버튼 눌림에 해당되는 긴급 호출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위 긴급 전화번호를 수신자로 지정해 사용자의 긴급 상황을 단문 메시지 또는 전화 걸기(녹음 멘트 송출) 등으로 해당 관련자에게 즉시 알리는 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가적으로, 긴급 전화번호는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 외에도 타인(예; 보호자, 의사 등)에 의해 지정될 수 있거나 단말기 제품 출시 시에 사전에 등록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무선 헤드셋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 1에 개시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도면 부호 "10", 도 2에 개시되는 본 발명의 무선 헤드셋을 도면 부호 "20"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목 진동 마이크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용 무선 헤드셋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목 진동 마이크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용 무선 헤드셋은, 근거리 통신모듈(21), 목 진동 마이크(22), 스피커(23), 키 입력부(24), 배터리(25) 및 제어부(26)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 헤드셋(20)의 근거리 통신모듈(21)은 이동통신 단말기(10)와 각종 데이터[상대방 음성신호, 사용자 음성신호, 이벤트 통지(버튼 눌림신호 등), 디바이스 제어 명령어 등]을 송수신하기 위한 RF 모듈이다. 이러한 무선 헤드셋(20)의 근거리 통신모듈(21)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예;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rDA), 지그비(ZigBee), 초광대역 통신(UWB), 무선랜(W-LAN) 등]으로 안테나를 통해 무선으로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10)에 구현된 근거리 통신모듈(11)과 무선 헤드셋(20)에 구현된 근거리 통신모듈(21)이 동일한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는 것을 당업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공지의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rDA), 지그비(ZigBee), 초광대역 통신(UWB), 무선랜(W-LAN) 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목 진동 마이크(neck microphone 또는 throat detection microphone)(22)는 음성 발화, 즉 음성 통화 시에 사용자의 성대 떨림을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이러한 목 진동 마이크(22)는 사용자에 의해 목 주위, 특히 성대 부근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목 진동 마이크(22)는 성대 떨림으로 음성이 발화되는 원리를 응용하여 성대 떨림에 의해 발생되는 파형의 펄스를 감지하여 이를 부호화하여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이에, 음성 통화 시, 즉 음성 통화 모드에서 무선 헤드셋(20)의 제어부(26)의 제어에 의해 근거리 통신모듈(21)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수신받은 상대방의 음성신호가 스피커(23)로 출력되고 목 진동 마이크(22)에서 변환된 사용자의 음성신호가 근거리 통신모듈(21)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전송되어, 사용자간의 통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스피커(23)는 통상적으로 이어폰, 헤드폰 등으로 구현되며, 하나의 출력소자 또는 좌/우 출력소자를 갖을 수도 있다. 한편, 배터리(25)는 무선 헤드셋의 크기를 고려하여 작은 크기를 갖는 건전지 또는 충전지 등으로 구현되어, 무선 헤드셋으로 구동 전원을 제공한다.
상기 키 입력부(24)는 무선 헤드셋 본체 외부의 일측에 장착된 키 버튼으로 구성되며, 사용자의 키 버튼 눌림에 따라 각 키 버튼에서는 해당되는 입력신호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담당한다. 이러한 키 입력부(24)는 무선 헤드셋 전원 온/오프 버튼, 통화 시작/종료 버튼, 볼륨 조절 버튼 등으로 구성되며, 특히 본 발명에서는 긴급 호출 버튼이 구비된다. 여기서, 무선 헤드셋의 크기를 고려하여 무선 헤드셋 전원 온/오프, 통화 시작/종료, 볼륨 조절, 긴급 호출 기능에 대응되는 각각의 키 버튼을 구현하지 않고서 하나의 키 버튼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이 때에 하나의 키 버튼이 무선 헤드셋에 장착되는 경우에는 키 버튼의 눌림 시간을 체크하여 해당되는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거나 키 버튼의 연속 눌림 횟수를 체크하여 해당되는 기능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에 의해 긴급 호출 버튼이 눌리게 되면 무선 헤드셋(20)의 제어부(26)의 제어에 의해 긴급 호출신호가 생성되며, 무선 헤드셋(20)에서는 이 긴급 호출신호를 근거리 통신모듈(21)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전송한다. 이에, 이동통신 단말기(10)가 기 저장되어 있는 긴급 전화번호를 수신자로 지정해 사용자의 긴급 상황을 단문 메시지 또는 전화 걸기(녹음 멘트 송출) 등으로 해당 전화기로 즉시 통보하며, 그에 따라 긴급 상황을 인지한 보호자, 의사, 구조 대원 등에 의해 사용자가 조치를 받을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내용이 실시예를 들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기술자는 본원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원리 및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 또는 변경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목 질환, 입안 또는 입술 상처 등과 같이 음성 발화를 제대로 할 수 없는 사용자가 본 무선 헤드셋을 사용하여 자신의 음성을 정확하게 상대방에게 전달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주위 소음이 섞이지 않기 때문에 상대방이 깨끗한 음질로 통화를 할 수 있고 사용자의 음성을 제대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긴급 상황에 처한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는 것과 같이 간단하게 본 무선 헤드셋을 조작으로 자신의 긴급 상황을 타인에게 신속하게 알릴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무선 헤드셋에 있어서,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와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근거리 통신수단;
    사용자의 목 주위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성대 떨림을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목 진동 마이크;
    각종 기능 키 버튼; 및
    음성 통화 모드에서, 상기 근거리 통신수단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받은 음성신호가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목 진동 마이크에서 변환한 음성신호가 상기 근거리 통신수단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
    을 포함하는 목 진동 마이크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용 무선 헤드셋.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헤드셋에 긴급 호출 버튼이 구비되되,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긴급 호출 버튼이 눌리게 되면 긴급 호출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근거리 통신수단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진동 마이크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용 무선 헤드셋.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무선 헤드셋으로부터 긴급 호출신호가 수신되면 기 등록된 긴급 전화번호를 수신자로 지정해 사용자의 긴급 상황을 단문 메시지 또는 전화 걸기(녹음 멘트 송출)로 해당 전화기로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진동 마이크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용 무선 헤드셋.
KR1020050035133A 2005-04-27 2005-04-27 목 진동 마이크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용 무선 헤드셋 KR200601125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5133A KR20060112566A (ko) 2005-04-27 2005-04-27 목 진동 마이크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용 무선 헤드셋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5133A KR20060112566A (ko) 2005-04-27 2005-04-27 목 진동 마이크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용 무선 헤드셋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2566A true KR20060112566A (ko) 2006-11-01

Family

ID=37620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5133A KR20060112566A (ko) 2005-04-27 2005-04-27 목 진동 마이크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용 무선 헤드셋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1256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4787B1 (ko) * 2008-11-03 2011-01-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성대 신호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CN107182011A (zh) * 2017-07-21 2017-09-19 深圳市泰衡诺科技有限公司上海分公司 音频播放方法及系统、移动终端、WiFi耳机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4787B1 (ko) * 2008-11-03 2011-01-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성대 신호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CN107182011A (zh) * 2017-07-21 2017-09-19 深圳市泰衡诺科技有限公司上海分公司 音频播放方法及系统、移动终端、WiFi耳机
CN107182011B (zh) * 2017-07-21 2024-04-05 深圳市泰衡诺科技有限公司上海分公司 音频播放方法及系统、移动终端、WiFi耳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34506B2 (en) Stereo earphone
US7215790B2 (en) Voice transmission apparatus with UWB
US20160248894A1 (en) Mobile telephone
US20110206217A1 (en) Headset system with microphone for ambient sounds
WO2008116394A1 (fr) Combine d'un casque d'écoute blue-tooth et d'une base de mégaphone
JP2006166300A (ja) 携帯端末、通信システム、携帯端末における音声消音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WO2001087012A1 (fr) Prothese auditive
US20080287166A1 (en) Portable bluetooth speaker
KR20060112566A (ko) 목 진동 마이크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용 무선 헤드셋
US7826805B2 (en) Automatic-switching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20110080306A (ko) 보청기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
JP2007259276A (ja) 無線通信通話ユニット
KR101224174B1 (ko) 골전도 통신장치
KR101009885B1 (ko) 무선 이어폰 세트 및 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세트
JPH1174951A (ja) 無線式携帯電話機に接続する子機
WO1999013625A1 (fr) Dispositif auxiliaire connecte a un telephone portable sans fil
JP3237275U (ja) 音声集音器、音声集音機能付き音声送信器、および、音声認識システム
JP4240231B2 (ja) 電話装置
KR101900831B1 (ko) 무전 통신 기능을 갖는 무선 헤드셋 장치 및 그를 위한 방법
KR100494981B1 (ko) 화상 통신용 송수신 장치
KR200214834Y1 (ko) 무선 핸즈프리
KR20150116358A (ko) 블루투스 골전도 통신기기
KR200273122Y1 (ko) 무소음 통화장치
JP3103898U (ja) ワイヤレストランシーバ装置
JPH02218291A (ja) ワイヤレス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