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2532A - 유비쿼터스 기반의 농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유비쿼터스 기반의 농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2532A
KR20060112532A KR1020050035089A KR20050035089A KR20060112532A KR 20060112532 A KR20060112532 A KR 20060112532A KR 1020050035089 A KR1020050035089 A KR 1020050035089A KR 20050035089 A KR20050035089 A KR 20050035089A KR 20060112532 A KR20060112532 A KR 200601125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agement
data
farm
house
farm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5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9162B1 (ko
Inventor
이문영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5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9162B1/ko
Publication of KR20060112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25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9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91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유비쿼터스 기반의 농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통신 망을 이용하여 관리할 하우스 내부의 현재 상태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제어하기 위한 관리 단말기와; 상기 관리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현재 상태 정보를 상기 하우스에서 관리되는 작물 또는 가축을 재배 또는 사육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농장 관리 데이터와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를 통신망을 통하여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를 상기 관리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농장 관리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한 농장주가 소유한 다수의 온실을 통합 관리 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 측정 센서, 구동 장치, 유비쿼터스, USN

Description

유비쿼터스 기반의 농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 FARM IN UBIQUITOU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비쿼터스 기반의 농장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농장의 하우스 내부에 구현된 본 발명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비쿼터스 기반의 농장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유비쿼터스 기반의 농장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관리 단말기
200 : 측정 센서
300 : 구동 장치
400 : 하우스
500 : 통신망
600 : 농장 관리 서버
700 :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서버
750 :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서버
800 : 이동 단말기
본 발명은 농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하우스 즉, 온실, 축사, 냉동 창고 등의 온도, 습도의 환경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 기반의 농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장의 하우스에서 재배되는 작물은 온도, 습도, 일사량, 급수, 이산화탄소 등의 영향을 통해 작물의 성장속도, 소출량, 맛 등의 품질이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농장의 비닐 하우스 등의 환경 하에서 온도, 습도, 일사량 등을 일정하게 하는 기기가 사용되었는데, 이는 농장주 또는 관리자가 직접 현장에서만 작동해야 한다는 제약이 있었다.
농장주 또는 관리자가 자신의 전문 지식을 활용하여 작물에 필요한 조건 등을 스스로 고려하여 상기 기기를 작동하여 왔다. 이러한, 경우에는 농작물 재배의 성과가 현저하기 위해서는 농장주 또는 관리자가 상기 기기를 항시 정확하게 조절, 감시, 관리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우스 내부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수집된 현재 상태 정보를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고 이동 단말기로부터 발생된 제어 신호에 따라 하우스 내부를 제어하기 위한 유비쿼터스 기반의 농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유비쿼터스 기반의 농장 관리 시스템은,
통신 망을 이용하여 관리할 하우스 내부의 현재 상태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제어하기 위한 관리 단말기; 및
상기 관리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현재 상태 정보를 상기 하우스에서 관리되는 작물 또는 가축을 재배 또는 사육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농장 관리 데이터와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를 통신망을 통하여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를 상기 관리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농장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유비쿼터스 기반의 농장 관리 방법은,
A) 통신망을 이용하여 관리하고 제어할 하우스(House)의 ID, 및 상기 하우스에서 관리되는 작물 또는 가축의 종류가 농장 관리 서버에 등록되는 단계;
B) 상기 하우스의 내부에 설치된 측정 센서, 구동 장치, 및 상기 측정 센서 및 상기 구동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관리 단말기가 상기 농장 관리 서버에 등록되 는 단계;
C) 상기 관리 단말기가 상기 측정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측정 데이터, 및 상기 구동 장치의 상태 데이터를 상기 통신 망을 통하여 상기 농장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D) 상기 농장 관리 서버가 소정의 이동 단말기로 상기 측정 데이터 및 상기 상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유비쿼터스 기반의 농장 관리 방법은,
ⅰ) 농장 관리 서버가 하우스의 ID, 관리 대상의 종류, 측정 센서, 및 구동 장치에 따른 관리 데이터를 상기 하우스의 내부에 설치된 관리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ⅱ) 상기 관리 단말기가 상기 측정 센서로부터 전송된 측정 데이터, 및 상기 구동 장치의 상태 데이터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수신하는 단계;
ⅲ) 상기 측정 데이터를 상기 관리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구동 장치의 현재 상태 변경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ⅳ) 상기 단계 ⅲ)에서 상기 구동 장치의 현재 상태의 변경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구동 장치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ⅴ) 상기 관리 단말기가 상기 구동 장치의 변경된 상태 데이터를 상기 농장 관리 서버를 통해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한 농장주가 소유한 다수의 온실을 통합하여 관리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언제 어디서든 네트워크해를 통해 자신이 필요로 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유비쿼터스(Ubiquitous) 공간을 농장에 적용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비쿼터스 기반의 농장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며, 도 2는 농장의 하우스 내부에 구현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농장 관리 시스템은 농장의 하우스(400), 상기 하우스(400)와 양방향으로 통신하기 위한 통신망(500), 상기 통신망(500)을 통해 상기 하우스(400)로 관리 데이터 및 제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농장 관리 서버(600), 상기 하우스에서 발생된 데이터 및 농장 관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제공하는데 이용되는 단문 메시지 서버(Short Message Service Server ; 이하 SMS 서버 라 한다 ; 700) 및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버(Multimedia Message Service Server; 이하 MMS 서버 라 한다 ; 750), 및 이동 단말기(8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하우스(400)는 가축 축사, 냉동 창고, 저온 저장 창고, 온실 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한다. 상기 하우스(400)의 내부에는 상기 하우스의 온도, 습도의 환경 인자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 센서(200), 및 측정 데이터에 따라 상기 환경 인자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 장치(300)가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측정 센서(200) 및 상기 구동 장치(300)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단말기(100)가 설치되어 있다 (도 2 참조).
상기 측정 센서(200)는 환경 인자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부(210), 측정된 측정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230), 및 상기 저장된 측정 데이터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관리 단말기(100)로 전송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동 장치(300)는 상기 관리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전원의 온(ON)/오프(OFF)를 스위칭하는 스위칭부(310), 및 상기 구동 장치(300)의 현재 온/오프 상태를 상기 관리 단말기(100)로 전송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의 일 예로는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적외선 통신(IrDA),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 및 초 광대역 통신(UWB) 등 있다. 상기 RF는 UHF(Ultra High Frequency), 및 VHF(Very High Frequency)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측정된 데이터를 상기 관리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따라서, 상기 관리 단말기(100)는 상기 측정 센서(200) 및 상기 구동 장치(300)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하도록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측정 센서(200) 및 상기 구동 장치(300)에 오류가 발생된 것으로 간주하여 오류 발생 메시지를 농장 관리 서버(600)를 통해 이동 단말기(800)로 전송한다.
상기 관리 단말기(100)는 상기 하우스(400)에 하나 씩 설치되며 농장주 또는 관리자에 의해 상기 농장 관리 서버(600)에 등록된다. 상기 하우스(400)가 다수 개인 경우, 상기 하우스(400)에 설치된 관리 단말기(100) 또한 다수 개가 되며, 상기 하우스(400)에서 재배, 보관, 저장, 또는 사육하는 작물 또는 가축의 종류가 동일한 경우에는 하나의 그룹으로 형성하여 관리 데이터 및 제어 신호의 전송 및 회송이 용이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하우스(400)를 부가하는 경우에 상기 하우스(400)에 대한 정보를 상기 농장 관리 서버(600)에 등록함으로써 상기 이동 단말기(800)를 이용한 원격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일 응용 예에서, 상기 하우스(400)가 소정 개수 이상인 경우 적어도 하나의 메인(Main) 하우스를 설정하고 상기 메인 하우스에 종속된 서브(Subject) 하우스를 설정하여 운영한다. 즉, 메인 하우스에는 통신망(500)을 통해 농장 관리 서버(600)와 직접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 모듈일 구비되어 있다. 상기 메인 하우스 및 서브 하우스 간의 데이터 송수신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며, 상기 서브 하우스 간의 데이터 송수신도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다.
상기 관리 단말기(100)는 상기 측정 센서(200) 및 상기 구동 장치(300)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수신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수집부(110),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를 통신부(150)를 통해 구동 장치(300)로 전송하거나, 또는 내부에서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어부(130), 및 상기 측정 센서(200) 및 상기 구동 장치(30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고, 농장 관리 서버 (600) 및 이동 단말기(800)와 무선 또는 유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 응용 예에서, 상기 관리 단말기(100)는 자신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GPS 수신기(1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위치 정보를 상기 통신부(150)를 통해 농장 관리 서버(600)로 전송한다.
상기 농장 관리 서버(600)는 관리 단말기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부(610), 농장 관리 서버(6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630), 상기 관리 단말기(100) 및 상기 이동 단말기(8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부(650), 및 상기 농장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농장 관리 데이터베이스(6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관리 단말기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부(610)는 상기 하우스가 다수 개인 경우 관리하는 대상의 종류에 따라 상기 하우스에 구비된 상기 관리 단말기(100)를 분류하여 등록하도록 소정의 툴(Tool)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관리부(610)는 상기 관리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제어부(630)는 상기 관리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및 상기 농장 관리 데이터베이스(670)에 저장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 즉 상기 하우스의 현재 상태를 이동 단말기(800)로 통보하기 위하여 SMS 서버(700) 또는 MMS 서버(750)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상기 SMS 서버(700)는 상기 데이터를 단문 메시지로 가공하고, 상기 MMS 서버(750)는 상기 데이터를 음성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로 가공하여 상기 하 우스의 현재 상태를 이동 단말기(800)로 전송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800)는 상기 농장 관리 서버(800)로부터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제공되는 측정 데이터 및 상기 구동 장치의 상태 데이터를 수신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 한다. 이 때, 상기 농장 관리 서버(800)의 데이터베이스(670)에 저장된 적정한 환경 인자 데이터를 함께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농장주 또는 관리자의 현재의 하우스 환경 상태가 정상인지 또는 제어가 요구되는 상황인지를 손쉽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800)는 상기 농장 관리 서버(600)에 접속하여 상기 하우스(400)에 구비된 구동 장치(300)를 원격 제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 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비쿼터스 기반의 농장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농장주 또는 관리자는 농장 관리 서버(600)에 접속하여 통신망을 통하여 관리하고 제어할 하우스(400)의 위치, 관리 종류, ID 등을 입력함으로써 상기 하우스(400)를 등록한다. 상기 관리 종류는 상기 하우스(400)에서 재배되는 농작물 종류, 사육되는 가축의 종류, 저장할 저장물의 종류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우스(400)의 내부에 환경 인자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 센서(200) 및 상기 환경 인자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 장치(300)가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상기 측정 센서(200) 및 상기 구동 장치(300)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단말기(100)가 구비되어, 농장주 또는 관리자는 상기 측정 센서(200), 구동 장치 (300), 및 관리 단말기(100)를 상기 농장 관리 서버(600)에 등록한다(S310).
이 때, 상기 관리 단말기(100)에 GPS 수신기(170)가 내장된 경우에는 인공 위성으로부터 상기 관리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농장 관리 서버(600)에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농장 관리 서버(600)는 상기 관리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이동 단말기(800)로 전송할 때 상기 관리 단말기의 위치 정보 즉, 하우스(400)의 위치 정보를 함께 전송하여 농장주 또는 관리자가 어떤 하우스(400)에서 수신된 데이터인지를 손쉽게 식별하도록 한다.
상기 측정 센서(200)는 상기 하우스(400) 내부의 온도 및 습도 등의 환경 요소를 측정하고, 측정된 측정 데이터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상기 관리 단말기(100)로 전송한다(S320, S330). 뿐만 아니라, 상기 구동 장치(300)의 현재 상태 데이터 즉, 현재 구동 장치(300)가 온(ON) 상태인지, 오프(OFF) 상태인지 여부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상기 관리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따라서, 상기 관리 단말기(100)는 상기 측정 센서(200) 및 상기 구동 장치(300)로부터 소정 시간 동안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측정 센서(200) 및 상기 구동 장치(300)에 오류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상기 관리 단말기(100)는 오류 발생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농장 관리 서버(600)로 전송하고 상기 농장 관리 서버(600)가 통신망(500)을 통해 이동 단말기(800)로 전송한다.
상기 관리 단말기(100)는 상기 측정 센서(200) 및 상기 구동 장치(30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상기 농장 관리 서버(600)로 전송한다(S340). 따 라서, 상기 농장 관리 서버(600)는 소정 시간 동안 상기 측정 데이터 및 상기 구동 장치(300)의 상태 데이터가 상기 관리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관리 단말기(100)에 오류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고 오류 발생 메시지를 통신망을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800)로 전송한다.
상기 농장 관리 서버(600)는 등록된 소정의 이동 단말기(800)로 상기 측정 데이터 및 상기 구동 장치(300)의 상태 데이터를 전송한다(S350). 이 때, 상기 농장 관리 서버(600)는 상기 측정 데이터 및 상기 상태 데이터를 기반으로 단문 메시지 또는 음성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SMS 서버(700) 또는 MMS 서버(750)로 전송하고, 생성된 메시지를 상기 이동 단말기(800)로 전송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800)가 상기 하우스(400)의 구동 장치(300)를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800)는 상기 농장 관리 서버(600)에 접속하여 상기 구동 장치(300)의 제어를 요청한다. 상기 농장 관리 서버(600)는 상기 이동 단말기(800)의 제어 요청에 따라 상기 관리 단말기(100)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구동 장치(300)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유비쿼터스 기반의 농장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농장 관리 서버(600)는 하우스(400)에 관리하는 관리 대상 즉, 농작물 또는 가축의 종류, 상기 하우스(400)의 내부에 설치된 측정 센서(200) 및 구동 장치(300)의 종류에 따른 관리 데이터를 관리 단말기(100)로 전송한다(S410).
상기 관리 단말기(100)는 상기 측정 센서로부터 전송된 측정 데이터 및 상기 구동 장치(300)로부터 수신된 상기 구동 장치의 상태 데이터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수신한다(S420).
상기 관리 단말기(100)는 상기 측정 데이터를 상기 농장 관리 서버(600)로부터 수신된 관리 데이터와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구동 장치(300)의 현재 상태 변경 여부를 결정한다(S430).
부언하면, 상기 측정 데이터가 온도 데이터 및 습도 데이터인 경우, 상기 관리 단말기(100)는 상기 관리 데이터에 포함된 기준 온도 및 습도 데이터와 상기 측정된 온도 데이터 및 습도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구동 장치(300)인 가습기 및 온풍기 중 적어도 하나의 현재 상태의 변경 여부를 결정한다. 즉, 온도가 기준 값보다 낮은 경우에는 온풍기를 온 상태로 유지 또는 변경하고, 온도가 기준 값보다 높은 경우에 상기 온풍기가 여전히 온 상태인 경우 오프 상태로 변경한다. 상기 가습기의 경우에도 동일하다.
또한, 상기 구동 장치에 상기 하우스(400)의 창문 개폐기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관리 단말기(100)는 상기 하우스(400)의 외부 온도 데이터, 내부 온도 데이터, 및 습도 데이터를 함께 고려하여 상기 하우스(400)의 창문 개폐여부를 결정한다.
상기 구동 장치(300)의 현재 상태 변경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관리 단말기(100)는 상기 구동 장치(300)로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S440).
또한, 상기 관리 단말기(100)는 상기 구동 장치(300)의 변경된 상태 데이터를 상기 농장 관리 서버(600)를 통해 이동 단말기(800)로 전송하고, 상기 이동 단 말기(800)는 상기 변경된 상태 데이터에 대한 확인 메시지를 상기 관리단말기(100)로 전송한다(S450, S460).
그러나, 상기 관리 단말기(100)는 소정 시간 내에 상기 이동 단말기(800)로부터 상기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구동 장치(300)의 상태를 이전 상태로 되돌리는 제어 신호를 상기 구동 장치(300)로 전송하여 상기 구동 장치(300)가 이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S470).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비쿼터스 기반의 농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의하면, 한 농장주 또는 관리자가 다수의 하우스 즉, 온실, 축사, 저장 창고 등을 소유할 경우 현장에 직접 답사하지 않아도 각 하우스의 상태를 이동 단말기로 확인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 상기 하우스의 내부 환경 요소를 제어할 수 있어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여러 종류의 농작물 및 가축을 재배 및 사육하는 경우에 각 농작물 및 각 가축에게 적당한 환경 인자에 대한 정보를 수시로 확인하고 그에 대한 환경을 원격으로 제공할 수 있어 농작물 및 가축의 생산성이 향상되고 품질이 개선된다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여러 개의 하우스를 관리하더라도 메인(Main) 하우스에만 이동 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을 구비하고, 서브(Subject) 하우스에는 상대적으로 값싼 근거리 통신 모듈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저렴한 비용으로 다수의 하우스를 통합 관리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Claims (19)

  1. 통신 망을 이용하여 관리할 하우스 내부의 현재 상태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제어하기 위한 관리 단말기; 및
    상기 관리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현재 상태 정보를 상기 하우스에서 관리되는 작물 또는 가축을 재배 또는 사육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농장 관리 데이터와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를 통신망을 통하여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를 상기 관리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농장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기반의 농장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단말기는,
    상기 하우스 내부의 현재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수집부; 및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현재 상태 정보를 수집하며 상기 농장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기반의 농장 관리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단말기는,
    인공 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GPS 수신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기반의 농장 관리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농장 관리 서버는,
    상기 농장 관리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농장 관리 데이터베이스;
    상기 하우스가 다수 개인 경우 관리하는 대상의 종류에 따라 상기 하우스에 구비된 상기 관리 단말기를 분류하여 등록하기 위한 관리 단말기 관리부; 및
    상기 관리 단말기 및 상기 이동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기반의 농장 관리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적외선 통신(IrDA),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및 초광대역통신(UWB)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기반의 농장 관리 시스템.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하우스의 소정의 위치에 장착되어 환경 인자를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된 측정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및
    상기 저장된 측정 데이터를 소정의 시간 주기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관리 단말기로 발송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기반의 농장 관리 시스템.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관리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온/오프(ON/OFF)하기 위한 스위칭부; 및
    상기 온/오프 상태를 상기 관리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기반의 농장 관리 시스템.
  8.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농장 관리 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상기 측정 데이터 및 상기 구동 장치의 상태 데이터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하며, 상기 농장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구동 장치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기반의 농장 관리 시스템.
  9.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농장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하우스의 현재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단문 메시지로 생성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단문 메시지 서버(Short Message Service Server); 및
    상기 농장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하우스의 현재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음성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로 생성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멀 티미디어 메시지 서버(Multimedia Message Service Server)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기반의 농장 관리 시스템.
  10. A) 통신망을 이용하여 관리하고 제어할 하우스(House)의 ID, 및 상기 하우스에서 관리되는 작물 또는 가축의 종류가 농장 관리 서버에 등록되는 단계;
    B) 상기 하우스의 내부에 설치된 측정 센서, 구동 장치, 및 상기 측정 센서 및 상기 구동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관리 단말기가 상기 농장 관리 서버에 등록되는 단계;
    C) 상기 관리 단말기가 상기 측정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측정 데이터, 및 상기 구동 장치의 상태 데이터를 상기 통신 망을 통하여 상기 농장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D) 상기 농장 관리 서버가 소정의 이동 단말기로 상기 측정 데이터 및 상기 상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기반의 농장 관리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관리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농장 관리 서버에 등록하며, 상기 이동 단말기로 상기 측정 데이터 및 상기 구동 장치의 상태 데이터를 전송할 때 상기 관리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기반의 농장 관리 방법.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E)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농장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구동 장치의 제어를 요청함으로써, 상기 농장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관리 단말기가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구동 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기반의 농장 관리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F) 상기 측정 센서로부터 소정 시간 동안 상기 측정 데이터가 상기 관리 단말기로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측정 센서에 오류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고 오류 발생 메시지를 상기 농장 관리 서버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기반의 농장 관리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G) 상기 관리 단말기로부터 소정 시간 동안 상기 측정 데이터 및 상기 상태 데이터가 상기 농장 관리 서버로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관리 단말기에 오류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고 오류 발생 메시지를 통신망을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기반의 농장 관리 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적외선 통신(IrDA),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및 초광대역통신(UWB)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기반의 농장 관리 방법.
  16. ⅰ) 농장 관리 서버가 하우스의 ID, 관리 대상의 종류, 측정 센서, 및 구동 장치에 따른 관리 데이터를 상기 하우스의 내부에 설치된 관리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ⅱ) 상기 관리 단말기가 상기 측정 센서로부터 전송된 측정 데이터, 및 상기 구동 장치의 상태 데이터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수신하는 단계;
    ⅲ) 상기 측정 데이터를 상기 관리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구동 장치의 현재 상태 변경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ⅳ) 상기 단계 ⅲ) 에서 상기 구동 장치의 현재 상태의 변경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구동 장치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ⅴ) 상기 관리 단말기가 상기 구동 장치의 변경된 상태 데이터를 상기 농장 관리 서버를 통해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기반의 농장 관리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ⅵ) 상기 관리 단말기가 소정 시간 동안 이동 단말기로부터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관리 단말기는 상기 구동 장치의 현재 상태를 변경된 이전 상태로 되돌리는 제어 신호를 상기 구동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기반의 농장 관리 방법.
  18.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ⅲ)에서,
    상기 측정 데이터가 온도 데이터 및 습도 데이터인 경우, 상기 관리 데이터에 포함된 기준 온도 데이터 및 습도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구동 장치인 가습기 및 온풍기 중 적어도 하나의 현재 상태 변경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기반의 농장 관리 방법.
  19.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ⅲ)에서,
    상기 구동 장치가 상기 하우스의 창문 개폐기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 데이터가 상기 하우스의 내부 온도 데이터 및 외부 온도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관리 데이터에 제공되는 기준 온도 데이터 및 습도 데이터를 기준으로 상기 내부 및 외부 온도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하우스의 창문 개폐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기반의 농장 관리 방법.
KR1020050035089A 2005-04-27 2005-04-27 유비쿼터스 기반의 농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991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5089A KR100699162B1 (ko) 2005-04-27 2005-04-27 유비쿼터스 기반의 농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5089A KR100699162B1 (ko) 2005-04-27 2005-04-27 유비쿼터스 기반의 농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2532A true KR20060112532A (ko) 2006-11-01
KR100699162B1 KR100699162B1 (ko) 2007-03-22

Family

ID=37620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5089A KR100699162B1 (ko) 2005-04-27 2005-04-27 유비쿼터스 기반의 농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916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8103B1 (ko) * 2007-03-12 2008-06-10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토양 및 환경센서를 이용한 온실 자동제어 시스템 및 온실관리 방법
KR100835987B1 (ko) * 2007-02-07 2008-06-10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농업용 통합 센서 서버 시스템
KR100979797B1 (ko) * 2008-06-26 2010-09-03 (주)이지정보기술 복합센서 통합모듈을 이용한 축사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120075558A (ko) * 2010-11-23 2012-07-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온실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US20120260574A1 (en) * 2011-04-14 2012-10-18 Lin Jung-Hsin Apparatus for controlling growth of organisms
KR101644071B1 (ko) * 2015-04-08 2016-07-29 (주) 이레아이에스 생장환경측정장치
EP3439451B1 (en) 2016-04-04 2021-09-29 Freight Farms, Inc. Modular farm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9567A (ko) 2011-11-04 2013-05-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작물 관측 장치 및 그 방법
KR102633424B1 (ko) 2022-04-17 2024-02-07 (주)미농바이오 스마트팜에서 전자파를 이용한 병충해를 방지하는 농작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8423Y1 (ko) * 1996-05-29 1999-03-20 최윤석 원격환경감시장치
KR19980068917A (ko) * 1997-02-25 1998-10-26 박세진 원격통신에 의한 농장관리 시스템
KR19990001025A (ko) * 1997-06-11 1999-01-15 김효상 페이져에 의한 전기기기 및 농장제어장치
KR20000010451A (ko) * 1998-07-31 2000-02-15 정현복 유리온실 음성경보 및 원격제어장치
KR100408372B1 (ko) * 2000-09-08 2003-12-11 김성식 유무선 전화망을 이용한 원격 제어 및 경보 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5987B1 (ko) * 2007-02-07 2008-06-10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농업용 통합 센서 서버 시스템
KR100828103B1 (ko) * 2007-03-12 2008-06-10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토양 및 환경센서를 이용한 온실 자동제어 시스템 및 온실관리 방법
KR100979797B1 (ko) * 2008-06-26 2010-09-03 (주)이지정보기술 복합센서 통합모듈을 이용한 축사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120075558A (ko) * 2010-11-23 2012-07-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온실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US20120260574A1 (en) * 2011-04-14 2012-10-18 Lin Jung-Hsin Apparatus for controlling growth of organisms
US8689483B2 (en) * 2011-04-14 2014-04-08 Thermo Plus Technology Inc. Apparatus for controlling growth of organisms
KR101644071B1 (ko) * 2015-04-08 2016-07-29 (주) 이레아이에스 생장환경측정장치
EP3439451B1 (en) 2016-04-04 2021-09-29 Freight Farms, Inc. Modular farm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9162B1 (ko) 2007-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0877B1 (ko) 유비쿼터스 기반의 농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00878B1 (ko) 유비쿼터스 기반의 농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99162B1 (ko) 유비쿼터스 기반의 농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330771B2 (en) Intelligent gardening system and external device communicating therewith
US8643495B2 (en) Internet of things based farm greenhouse monitor and alarm management system
KR100941000B1 (ko) 유비쿼터스 센서네트워크 기반 온실환경 자동관리 시스템
CN104954475B (zh) 一种畜禽舍环境监控系统及方法
KR20070056247A (ko) 온실 제어 시스템
KR101240557B1 (ko) 작물 생장 주기에 따라 작물을 관리하는 자동화 관리 시스템
KR20190143680A (ko) IoT 기반 온실 내 작물 생육상태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18526B1 (ko) 팜 클라우드 시스템에 사용되는 팜 클라우드 서버 및 온실용 복합 환경 제어장치
JP6348440B2 (ja) 動植物の育成場の環境を適正に保つための装置
CN105163089A (zh) 基于wifi的家庭庭院智能看护装置
KR20190031768A (ko) Ict기반의 스마트 팜 제어 시스템
CN103823437A (zh) 一种具有便携式监控装置的水产养殖智能控制系统
KR20190143678A (ko) IoT 기반 온실 환경 관리 시스템
KR19980068917A (ko) 원격통신에 의한 농장관리 시스템
KR20150033961A (ko) 사물인터넷 기반 전자화분 및 그 관리시스템
Vellidis et al. How wireless will change agriculture
KR20100012358A (ko) u-IT 기반의 정밀농업을 위한 농산물 수확량 모니터링시스템
WO2018001334A1 (zh) 智能加热系统
KR20190075244A (ko) 스마트팜 환경센서를 이용한 자동관개제어시스템 및 그방법
CN209964914U (zh) 一种智慧养猪系统
CN108573298B (zh) 一种温室生产管理信息交互标签及系统
KR20180127566A (ko) 식물생장 환경을 모니터링하며 led 조명을 제어하는, 농장 자동화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6

Year of fee payment: 13